KR20190131220A - 원격 주행준비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주행준비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220A
KR20190131220A KR1020180055818A KR20180055818A KR20190131220A KR 20190131220 A KR20190131220 A KR 20190131220A KR 1020180055818 A KR1020180055818 A KR 1020180055818A KR 20180055818 A KR20180055818 A KR 20180055818A KR 20190131220 A KR20190131220 A KR 20190131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mart device
proximity
remote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5908B1 (ko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5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90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1Blueto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원격 주행준비 방법은 스마트기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도착 예정 시간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도착 예정 시간에 기초하여 타이머가 동작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기기 위치 및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 및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거리 근접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거리 근접도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차량에 근접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에 근접 중으로 판단 시, 상기 차량의 시동을 ON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 주행준비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mote driving preparation}
본 발명은 원격 주행준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티비티 서비스를 통해 원격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커넥티비티 서비스가 확장되면서 다양한 원격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원격 시동을 기본으로, 공조나 시트 열선 기능 등을 원격으로 제공하고, 문 열림/잠금이나 비상등 동작 등의 개별 기능들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가 명령을 수행하는 시점에 명령어가 전달되어 차량이 개별 명령에 동작/반응하는 형태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많은 원격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지만, 기능별로 성격도 다르고, 필요한 상황이 다른 기능들이 혼재되어 제공되고 있다. 즉, 주행 전 미리 설정을 해두는 원격 시동/공조/열선 등의 기능이 있고, 차량에 근접 시 도움이 되는 주차 위치 확인, 비상등/경적 등의 기능들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장에서 주행을 앞두고 기능들을 작동시키고자 할 때 차에 언제 갈지, 공조를 언제 켜면 될 지, 너무 미리 켜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 판단해야 하기도 하고, 차량에 근접하였을 때 별도의 필요한 기능들을 동작시켜야 할 때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원격 주행준비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한다.
더욱 상세하게, 원격 기능들을 사용자의 위치나 상황에 따라 연관된 기능들을 한번에 제공해주어 사용자의 조작을 최소화하는 원격 주행준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격 주행준비 방법은 스마트기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도착 예정 시간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도착 예정 시간에 기초하여 타이머가 동작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기기 위치 및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 및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거리 근접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거리 근접도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차량에 근접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에 근접 중으로 판단 시, 상기 차량의 시동을 ON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거리 근접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스마트기기 및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 주기도 증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에 따라 상기 도착 예정 시간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도착 예정 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ON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거리 근접도에 기초하여, 스마트기기가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기기가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1차 근접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기기가 1차 근접모드인 경우, 상기 스마트기기 및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 방향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차량 방향을 상기 스마트기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1차 근접모드인 경우, 비상등이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1차 근접모드인 경우, 상기 스마트기기와 상기 차량이 블루투스로 연결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기기와 상기 차량이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기기가 2차 근접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근접모드인 경우, 차량의 자동 문잠김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격 주행준비 시스템은 도착 예정 시간에 대응하여 주행 준비 신호를 전송하는 스마트기기;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행 준비 신호를 차량에게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주행 준비 신호에 기초하여 주행 준비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차량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기기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도착 예정 시간을 입력 받고, 상기 도착 예정 시간에 기초하여 타이머를 동작하고, 상기 타이머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기기 위치 및 상기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스마트기기 및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거리 근접도를 계산하고, 상기 거리 근접도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차량에 근접 중인지 판단하고, 상기 차량에 근접 중으로 판단 시, 상기 차량의 시동을 ON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거리 근접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스마트기기 및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 주기도 증가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에 따라 상기 도착 예정 시간 이내인지 판단하고, 상기 도착 예정 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ON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거리 근접도에 기초하여,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인지 판단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1차 근접모드로 진입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1차 근접모드인 경우, 상기 스마트기기 및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 방향을 계산하여 표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1차 근접모드인 경우, 상기 차량의 비상등이 동작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1차 근접모드인 경우, 상기 차량과 블루투스로 연결되었는지 판단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차량과 블루투스로 연결된 경우, 2차 근접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차량의 자동 문잠김을 해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주행준비 방법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정시간을 통해 그 시간 동안 차량과의 지속적 연결/거리 확인을 설정하고, 차와 나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추세를 통해 꼭 필요한 시간 동안만 엔진/에어컨을 가동하여, 차량 에너지를 절약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차량이 나의 이동/접근을 관찰할 대략적 시간이 설정됨으로써 차량 사용 여부에 대한 지속 관찰 가능한 장점이 있다.
셋째, 운전자와 차량의 상호 GPS 활용을 통해 근접 속도 및 차량 도착 예정 시간을 지속 추론하고, 일정 거리 이내 접근 시, 차량 옆 도착 등 단계별로 차량 이용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단계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넷째, 상호 위치 근접 정도나, 사용 예정시간 다가옴, 도착 예정시간 업데이트 등의 시간/위치를 통해 얻어낸 차량 접근도에 따라 초기엔 긴 주기로 관찰 시작하더라도 차량 접근 중 또는 근접 상황에서 세밀한 관찰로 상황별 필요한 서비스 제공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섯째, 위치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자동 동작하게 하여 사용자 조작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주행준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주행 준비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 시간 예상에 따른 주행 준비 기능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차량 위치 안내 표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타이머 활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전(앞) 또는 후(뒤)"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주행준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원격 주행준비 시스템은 스마트기기(100), 서버(200), 차량(300)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100)는 서버(200)와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100)는 서버(200)로 도착 예정 시간을 전송 할 수 있다. 도착 예정 시간은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타이머를 설정하여 입력된 시간일 수 있다. 상기 타이머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 어떤 장치를 쓰더라도 동일한 UI 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100)는 도착 예정 시간에 기초하여 주행 준비 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100)는 서버(200)로부터 차량(300)의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100)는 서버(200)로 주행 준비 신호를 전송한 이후부터 스마트기기(100)의 위치 및 차량(300)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300)과의 거리 근접도를 계산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상기 거리 근접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스마트기기 및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 주기도 증가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100)는 차량(300)과의 거리 근접도에 기초하여 거리 근접 속도를 트래킹 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100)는 타이머가 0이 되거나 차량(300)에 도착할 때까지 주행 준비 기능들이 순차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주행 준비 기능은 차량(300) 내 온도 조절, 차량의 비상등 점멸, 도어 잠금 해제 기능을 포함 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100)는 타이머의 카운트에 따라 도착 예정 시간 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는 도착 예정 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ON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100)는 거리 근접도에 기초하여,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는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1차 근접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는 상기 1차 근접모드인 경우, 스마트기기 및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 방향을 계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는 1차 근접모드인 경우, 상기 차량의 비상등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100)는 1차 근접모드인 경우, 차량과 블루투스로 연결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는 차량과 블루투스로 연결된 경우, 2차 근접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차량의 자동 문잠김을 해제할 수 있다.
서버(200)는 스마트기기(100)로부터 도착 예정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차량(300)으로부터 위치를 수신하여 스마트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스마트기기(100)로부터 주행 준비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300)은 서버(200)로부터 도착 예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300)은 서버(200)로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차량에 설치된 GPS 모듈(미도시)에 의하여 회득할 수 있다.
차량(3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주행 준비 신호에 기초하여 주행 준비 기능들을 순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차량(300)은 도착 시간 기준으로 현재 엔진 상태, 실내 온도 등 기준 필요한 시간을 역산해 미리 시동을 ON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300)은 예열 및 에어컨 동작으로 바로 쾌적하게 주행 가능한 환경을 준비할 수 있다.
차량(300)은 비상등을 점멸하고, 차량의 방향 확인하여 주차 중인 차량(300)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기능 제공할 수 있다.
차량(300)은 스마트기기(100) 근접 시, 차량(300)의 도어 잠금 해제하여 바로 탑승할 수 있는 기능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주행 준비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기기(100)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사용자는 도착 예정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S201 내지 S202).
스마트기기(100)는 서버(200)로 원격 시동 예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03).
상기 S103 단계 이후, 스마트기기(100)는 위치 확인 타이머를 설정 할 수 있다(S211).
서버(200)는 스마트기기(100)의 위치 및 차량(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S212 내지 S213).
스마트기기(100)는 스마트기기(100)의 위치 및 차량(300)의 위치에 기초하여 거리 근접도를 계산할 수 있다(S214).
상기 S211 단계 이후, 타이머의 카운트가 진행되는 경우, 상기 타이머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 인지 판단할 수 있다(S221 내지 S222). 이때, 상기 타이머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가 아닌 경우, 타이머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타이머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S114 단계로부터 수신한 거리 근접도 및 도착예정 시간에 기초하여 스마트기기(100)가 차량(300)에 근접 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S223). 스마트기기(100)가 차량(300)에 근접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차량의 시동을 ON할 수 있다(S224). 스마트기기(100)가 차량(300)에 근접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도착 예정 시간을 다시 물어볼 수 있다.
상기 S214 단계 이후, 스마트기기(100)는 차량(300)과 스마트기기(100)가 차량(300)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 인지 판단할 수 있다(S215).
스마트기기(100)가 차량(300)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1차 근접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231).
스마트기기(100)는 1차 근접 모드인 경우, 스마트기기(100)의 위치 및 차량(3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스마트기기(100)로부터 차량의 방향을 계산 할 수 있다(S232 내지 S234).
이후, 스마트기기(100)는 사용자에게 차량의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S235).
상기 S131 단계 이후, 1차 근접 모드로 진입 되는 경우, 차량(300)은 비상등이 점멸될 수 있다(S236).
상기 S131 단계 이후, 1차 근접 모드로 진입 되는 경우, 스마트기기(100)는 차량(300)과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 할 수 있다(S241).
상기 스마트기기(100)가 차량(300)과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경우, 2차 근접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242).
이후, 2차 근접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차량(300)은 자동으로 문잠김을 해제할 수 있다(S243).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 시간 예상에 따른 주행 준비 기능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기기(100)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300) 사용 예약 시점을 입력하는 경우, 서버(200)는 타이머 설정 이후 내부적으로는 차량(300)과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300)과의 거리 근접도를 계산하고, 근접 속도를 트래킹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 또는 사용자가 기입력한 일정으로 타이머가 맞춰지게 되면 타이머가 0이 되거나 스마트기기(100)가 차량(300)에 도착할 때까지 주행 준비 기능을 순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1차 동작은 예열 및 에어컨 동작으로 바로 쾌적하게 주행 가능한 환경 준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스마트기기(100)는 도착 시간 기준으로 현재 엔진 상태, 실내 온도 등 기준 필요한 시간을 역산해 미리 시동될 수 있다.
이후, 2차 동작으로 차량의 비상등 점멸, 차량의 방향 확인으로 주차 중인 차량(300)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기능 제공할 수 있다.
이후, 3차 동작으로 차량(300) 근접 시, 도어 잠금을 해제하여 바로 탑승할 수 있는 기능 제공할 수 있다.
도면 번호 310을 참조하면, 차량(300)의 거리 근접도 및 근접 속도를 트래킹한 결과, 도착 시간이 초기 도착 예상시간보다 빠른 경우, 도착 시점 및 거리별 니즈에 맞는 주행 준비 기능을 순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100)가 차량(300)에 예상 보다 빠른 접근하는 경우, 희망 실내온도에 도달하기 위해 에어컨 가동시간을 고려하여, 차량의 시동을 ON하고, 적정 예열시간 동안 대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의 시동이 ON되는 차량의 방향 제공, 비상등을 도착 시간 전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의 설정 시간 동안 차량(300)과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차량(300)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도착 시간이 빠르다고 판단하는 경우, 차량(300)의 준비가 상기 설정된 타이머 보다 미리 동작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착 시간이 타이머 보다 빠른 경우, 차량의 시동을 ON할 수 있다.
도면 번호 320을 참조하면, 차량(300)의 거리 근접도 및 근접 속도를 트래킹한 결과, 차량(300)과 스마트기기(100)의 거리 및 근접속도로 초기 설정시간 도착 불가 판단 하는 경우, 차량(300) 탑승 의도를 재확인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운전자에게 도착 타이머 연장 여부를 재확인 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기기(100)는 연장된 시간에 기초하여, 희망 실내온도에 도달하기 위해 에어컨 가동시간을 고려하여, 차량의 시동을 ON하고, 적정 예열시간 동안 대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차량(300)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스마트기기(100)가 차량(300)에 전혀 근접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 되는 경우, 시간 재설정 또는 차량(300) 이용 취소를 확인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번호 410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면번호 420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워치에서 동작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은 시간만을 설정하는 간단한 개념으로 동작하므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 등 어떤 장치를 쓰더라도 동일한 UI 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스마트기기(100)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사용자는 원격으로 주행을 준비하기 위해 타이머를 입력할 수 있다.
타이머는 도착 예정 시간 설정이므로 타이머 동작 시작이나 시간 설정은 유동적으로 입력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도착 예정 시간 동안 차량(300)과 연결이 이루어지고, 거리 확인 등으로 자동으로 도착 시간이 당겨져 시동이 미리 걸릴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차량 위치 안내 표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부호 510 참조하면, 스마트기기(100)가 차량(300)에 접근 중일 때 차량의 비상등 자동 점멸 및 차량의 방향에 대한 나침반과 같은 정보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100)의 위치 및 차량(300)의 위치를 트래킹 중 스마트기기(100)나 차량(300)의 GPS 수신율이 저하되는 경우, 스마트 기기(100)는 차량의 위치를 지하로 가정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GPS 수신율 및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300)의 헤드램프를 on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기기(100)는 헤드램프 ON 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램프 ON에 대응하는 메시지는 "차량(300) 헤드램프를 켜겠습니다."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타이머 활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번호 610을 참조하면, 스마트기기(100)는 다음 일정에 맞춰 차량(300) 주행 준비 확인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준비 확인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스마트기기(100)에 표시활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기기(100)는" 다음 일정에 맞춰 차량(300) 주행 준비 확인할까요? 10분 후 도착"이라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면 번호 620을 참조하면, 스마트기기(100)는 차량(300)에 근접 중일 때 속도 및 차량(300)까지 남은 거리 기반으로 현재의 근접 속도로는 차량(300)에 도착하는 것이 늦을 것으로 판단 되는 경우, 타이머를 자동 연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머 연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스마트기기(1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기기(100)는 "4분 지연 도착 예상되어 타이머 연장"이라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시스템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100: 스마트기기
200: 서버
300: 차량

Claims (19)

  1. 스마트기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도착 예정 시간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도착 예정 시간에 기초하여 타이머가 동작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기기 위치 및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 및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거리 근접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거리 근접도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차량에 근접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에 근접 중으로 판단 시, 상기 차량의 시동을 ON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주행준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근접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스마트기기 및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 주기도 증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주행준비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에 따라 상기 도착 예정 시간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도착 예정 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ON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주행준비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근접도에 기초하여, 스마트기기가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주행준비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가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1차 근접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주행준비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가 1차 근접모드인 경우,
    상기 스마트기기 및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 방향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차량 방향을 상기 스마트기기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주행준비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근접모드인 경우, 비상등이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주행준비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근접모드인 경우, 상기 스마트기기와 상기 차량이 블루투스로 연결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주행준비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와 상기 차량이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기기가 2차 근접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근접모드인 경우, 차량의 자동 문잠김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주행준비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원격 주행준비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1. 도착 예정 시간에 대응하여 주행 준비 신호를 전송하는 스마트기기;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행 준비 신호를 차량에게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주행 준비 신호에 대응하여 주행 준비 기능이 순차적으로 동작하는 차량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기기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도착 예정 시간을 입력 받고,
    상기 도착 예정 시간에 기초하여 타이머를 동작하고,
    상기 타이머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기기 위치 및 상기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스마트기기 및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거리 근접도를 계산하고,
    상기 거리 근접도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차량에 근접 중인지 판단하고,
    상기 차량에 근접 중으로 판단 시, 상기 차량의 시동을 ON하도록 제어하는
    원격 주행준비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거리 근접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스마트기기 및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 주기도 증가하는
    원격 주행준비 시스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에 따라 상기 도착 예정 시간 이내인지 판단하고,
    상기 도착 예정 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ON하도록 제어하는
    원격 주행준비 시스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거리 근접도에 기초하여,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인지 판단하는
    원격 주행준비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1차 근접모드로 진입하는
    원격 주행준비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1차 근접모드인 경우, 상기 스마트기기 및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 방향을 계산하여 표시하는
    원격 주행준비 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1차 근접모드인 경우, 상기 차량의 비상등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원격 주행준비 시스템.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1차 근접모드인 경우, 상기 차량과 블루투스로 연결되었는지 판단하는 원격 주행준비 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차량과 블루투스로 연결된 경우,
    2차 근접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차량의 자동 문잠김을 해제하는 원격 주행준비 시스템.
KR1020180055818A 2018-05-16 2018-05-16 원격 주행준비 방법 및 시스템 KR102555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818A KR102555908B1 (ko) 2018-05-16 2018-05-16 원격 주행준비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818A KR102555908B1 (ko) 2018-05-16 2018-05-16 원격 주행준비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220A true KR20190131220A (ko) 2019-11-26
KR102555908B1 KR102555908B1 (ko) 2023-07-17

Family

ID=6873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818A KR102555908B1 (ko) 2018-05-16 2018-05-16 원격 주행준비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9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728B1 (ko) * 2023-07-17 2024-04-18 주식회사 동성아이텍 모바일과 블루투스를 이용한 위치기반의 주차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8037A (ja) * 2004-06-02 2005-12-15 Toyota Motor Corp 遠隔制御装置
JP2006069296A (ja) * 2004-08-31 2006-03-16 Denso Corp 自動車用ユーザもてなしシステム
KR20110100157A (ko) * 2010-03-03 2011-09-09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차량 도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JP2013121737A (ja) * 2011-12-09 2013-06-20 Fujitsu Ten Ltd 遠隔始動装置、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及び、遠隔始動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8037A (ja) * 2004-06-02 2005-12-15 Toyota Motor Corp 遠隔制御装置
JP2006069296A (ja) * 2004-08-31 2006-03-16 Denso Corp 自動車用ユーザもてなしシステム
KR20110100157A (ko) * 2010-03-03 2011-09-09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차량 도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JP2013121737A (ja) * 2011-12-09 2013-06-20 Fujitsu Ten Ltd 遠隔始動装置、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及び、遠隔始動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728B1 (ko) * 2023-07-17 2024-04-18 주식회사 동성아이텍 모바일과 블루투스를 이용한 위치기반의 주차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908B1 (ko) 202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715B1 (ko) 바이모달 차량들의 자율 모드의 제어
US9821817B2 (en) Operating method for a vehicle in manual mode and in autonomous mode
WO2017173771A1 (zh) 车辆控制方法和装置
US10717448B1 (en) Automated transfer of vehicle control for autonomous driving
CN109584608A (zh) 一种停车场自动泊车方法及系统
US11511749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and a motor vehicle
AU20173909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at least partially automatic guidance of a following vehicle
US2023003619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device application having vehicle interaction
EP3380904A1 (en) Fall back trajectory systems for autonomous vehicles
US20130219294A1 (en) Team-Oriented Human-Vehicle Interface For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Same
WO2020147360A1 (zh) 用于无人车的控制方法和装置
US20220011767A1 (en) Method for the at least semi-automated guidance of a motor vehicle
CN112533812A (zh) 车辆的行驶控制方法及行驶控制装置
EP3729222A1 (en) Improving safety of autonomous vehicles by remote support request
US20210150656A1 (en) Service management device,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service management method
US20190228664A1 (en) Vehicle calling system
CN109774729A (zh) 实现自动驾驶车辆的快速停止的方法和装置
KR20170034644A (ko) 자동차용 시스템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800179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vehicle
CN112550309A (zh) 自动驾驶车辆、信息显示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JP2020005123A (ja) 車両の遠隔操作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車両及び遠隔操作の開始タイミングを報知する方法
CN113479195A (zh) 用于自动代客泊车的方法和用于执行所述方法的系统
CN112584317A (zh) 对移动入口点的触觉引导和导航
KR20190131220A (ko) 원격 주행준비 방법 및 시스템
US11724719B2 (en) Employing Wi-Fi communications to activate an opera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at a scheduled ti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