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817A - 소목(Caesalpinia eriostachys Benth)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목(Caesalpinia eriostachys Benth)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817A
KR20190130817A KR1020180055423A KR20180055423A KR20190130817A KR 20190130817 A KR20190130817 A KR 20190130817A KR 1020180055423 A KR1020180055423 A KR 1020180055423A KR 20180055423 A KR20180055423 A KR 20180055423A KR 20190130817 A KR20190130817 A KR 20190130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
extract
eriostachys
frac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8768B1 (ko
Inventor
서홍원
임순성
황승환
김현용
이희정
최상호
김수용
이동근
로살레스 오바레스 까띠아
쏘또 몬떼로 실비아
비케스 란달가르시아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5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76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목(Caesalpinia eriostachys Benth)추출물 및/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통증 예방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독성과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 유래의 조성물이므로, 통증 치료에 보다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소목(Caesalpinia eriostachys Benth)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ain comprising caesalpinia eriostachys benth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소목(Caesalpinia eriostachys Benth)추출물 및/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느끼는 통증은 크게 급성통증(Acute pain)과 만성통증(chronic pain)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국제통증연구학회에 따르면 통증은 "실제적 또는 잠재적 조직 손상을 동반한 불쾌한 감각적이고 정서적 경험"이라 정의하고, 이 통증 증상을 특징과 기간으로 분류하면 급성과 만성통증으로 나눌 수 있다.
급성통증은 질병이나 외상에 의한 조직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침해성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통증으로, 출산 통증, 수술 후 통증, 조직손상 후 통증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3 내지 6개월 이내 소실되며, 여러 약물(마약성 진통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에 의해 효과적으로 치료가 된다. 그러나, 만성통증은 여러 불분명한 원인에 의해 신경손상과 이에 따른 신경계의 변화에 의해 유발되며, 원인이 된 질환이나 손상의 치유기간보다 길게 지속이 된다. 또한 통증 부위의 경계가 불분명하며, 지속적으로 무디고 깊은 통증을 보이며, 6개월 이상 지속되며, 마약성 진통제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효과가 제한적이다. 예를 들어, 편두통, 류마티스성통증, 당뇨병성통증, 및 암성 통증이 있으며, 이러한 통증은 환자의 삶의 질을 급격히 떨어뜨리고, 우울증 등을 수반할 수 있다.
한편, 통증을 치료하는 기존의 진통제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몰핀과 같은 마약성 진통제(narcotic analgesics)로서 코데인(codeine)과 디히드로코데인(dihydrocodeine)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다른 하나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N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로서 아스피린(aspirin), 이브프로펜(ibuprofen), 및 인도메타친(indomethacin) 등이 대표적이다.
최근 개발된 새로운 통증 억제제로는 해외의 경우, 통증 치료제 전문 개발사 자벨린 파마슈티컬스(Javelin Pharmaceuticals) 비강내 모르핀 분무제 「릴로민」(Rylomine)이 후기 2상 임상에서 중등도에서 중증 수술후 통증의 치료에 정맥주사 모르핀과 대등한 진통효과를 나타내는 뿌리는 마약성 진통제를 개발하였으며, 중국에서는 상하이 싱롱 바오테크 제약회사에서 위와 이오테크 제약회사에서 위와장(腸), 유방, 폐, 신장과 관련된 암으로 인한 통증에 효능이 있는 신약 '아킬레스'를 개발한 바 있다. 또한, 바다 달팽이 독에서 추출한 새로운 진통제 '프라이얼트(Prialt)'를 아일랜드 제약회사인 이랜(Elan)이 개발한 진통제로 영국에서 첫 시판되기도 하였다.
국내에서는 캡사이신 길항물질을 개발하여 2004년 2월에 독일의 다국적 제약업체인 슈바르쯔 파마社가 이의 가치를 인정, 공동연구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였으나, 현재까지, 소목(Caesalpinia eriostachys Benth)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이용하여 통증제로 개발하거나 시도된 사례는 없다.
만성 악성 종양성 통증은 물론 사회가 고령화됨에 따라 퇴행성 관절염, 요통 관련 질환 환자는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나, 모르핀과 같은 기존의 아편제제는 일반인에게 마약작용으로 인하여 사용에 제한이 있고, 통증자체가 질병으로 여겨지며 이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고 확산되고 있어 통증완화제의 수요는 향후 훨씬 더 늘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기존의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는 통증에 대한 진통제 개발이 크게 요구되는 시점이다.
그러나, 기존의 마약성 및 비마약성 진통제들에 반응하지 않는 통증환자가 많이 보고될 뿐만 아니라, 진통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알려진 기존의 아편유사제제 등이 마약성 및 심각한 부작용들로 인해 일반 환자가 편하게 사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진통제로는 아세트아미노펜, 아스피린 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이들은 성인에게 1일 약 1 내지 4g의 고용량으로 투여되어야 하고 이로 인해 위장장애, 알레르기, 간독성 등의 부작용이 문제되어 왔다. 이에, 저용량으로도 진통 효과가 우수하고, 독성 및 부작용이 없는 새로운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소목(Caesalpinia eriostachys Benth) 추출물 및/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이 통증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47862호(2016.05.03)
Stewart, J.L., Dunsdon, A.J., Hellin J.J. & Hughes, C.E. (1992). Wood biomass estimation of Central American dry zone species. Tropical Forestry Paper 26, Oxford Forestry Institute, University of Oxford, U.K.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목(Caesalpinia eriostachys Benth) 추출물 및/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목(Caesalpinia eriostachys Benth) 추출물 및/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소목을 알코올 추출물을 헥산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헥산 분획물; 상기 헥산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수성층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분획하여 얻어진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상기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수성층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수성층을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분획하여 얻어진 알코올 분획물; 및 상기 알코올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수성층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일반적인 만성 통증에 적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통각수용 통증, 신경병증성 통증, 복합 통증, 암성 통증일 수 있으며, 예컨대 수술 후 통증, 외상 후 통증, 분만 통증, 관절염 통증, 당뇨병성 신경병증성 통증, 대상포진 후 신경통, 삼차신경통, 척추 수술 후 통증, 척추관협착증, 손목터널증후군 및 암에 의한 모든 2차적 통증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목(Caesalpinia eriostachys Benth) 추출물 및/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통증 치료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독성과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 유래의 조성물이므로, 통증 치료에 보다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 eriostachys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 eriostachys 추출물 및 분획물을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를 이용한 성분분석 시험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 eriostachys 추출물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한 성분분석 시험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 eriostachys 분획물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한 성분분석 시험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 eriostachys 추출물의 진통효능을나타내는 라이딩 억제 시험(writhing test)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 eriostachys 추출물의 진통효능을 나타내는 포르말린 통증 시험(Formalin test)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 eriostachys 추출물의 진통효능을 나타내는 뜨거운 바닥 시험(Hot plate test) 결과이다.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 eriostachys 추출물 및 분획물의 당뇨병성 신경병증에 대한 진통 효능을 나타내는 기계적 자극에 대한 이질통 시험(Von-frey test)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소목(Caesalpinia eriostachys Benth, C. eriostachys)은 멕시코와 중미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건조하고 더운 기후를 견딜 수 있는 건식 구역의 나무이다. 일반적으로 태평양 연안과 중앙 아메리카의 해안 평야의 경사면에 마른 낙엽 숲, 관목 바위 언덕, 협곡 및 해수면에 많이 분포하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국내 연구는 많이 알려진 바가 없다.
C. eriostachys는 높이 10 내지 15 m에 달하는 작고 가시가 없는 나무로서, 일반적으로 날씬한 수목 모양을 띤다. 1 월에서 3 월까지 건기에는 잎이 없는 노란 꽃이 피며, 3 월에서 4 월 사이에 씨앗을 수확할 준비를 하여, kg당 4000-6000 종자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이 소목은 우수한 목재를 제공하여 대개 중미 지역에서는 장작 및 펜스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C. eriostachys는 소목 속(Caesalpinia(Leguminosae family))의 어느 한 종으로서, 소목(caesalpinia)은 열대 아시아에 분포하는 낙엽 관목의 콩과 식물이다. 소방목(蘇方木), 적목(赤木), 홍자(紅紫)등으로 불리우며, 목재는 단단하고, 심재는 밝은 홍색이며, 나무껍질과 열매에는 색소를 가지고 있어서 홍색염료의 자원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나무 원줄기를 베서 껍질과 목질부 변두리를 잘라버리고 가운데부분만을 말려 약재로 사용하기도 한다. 심재에는 무색의 원색소인 brazilin이 약 2% 포함되어 있고 이 화합물은 연노란색 결정으로 brazilin이 공기와 만나면 산화하여 brazilein으로 된다. Brazilin은 1982년 Perkin 등에 의해 구조가 밝혀진 Benz(b)-Indeno(2,1-d) pyran 유도체로 주로 염료나 산 및 알칼리 지시약 또는 식품첨가물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소목에는 -L-phellandren, ocime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정유 및 tannin이 포함되어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소목은 혈액 응고 촉진작용(Xie etal.,2000), 항경련 작용 (Baek etal.,2000), 항보체효과(Oh etal.,1998)등의 효과가 있음이 보고 됐으며, 한방에서는 혈분에 작용하여 혈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 어혈과 종기를 없애고 특히 어혈을 없애는 작용이 뛰어나고, 통증을 없애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어혈로 인한 타박손상, 월경통, 월경폐색, 현훈, 출산 후 각종 증상에 사용한다(bae etal.,2005, Ratu etal.,2003). 또한, 항균antimicrobial), 세포독성효과(cytotoxic), 항산화(antioxidation), 간보호(hepatoprotective), 근수축(muscle contractile activity) 등의 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 소목의 성분 및 구조에 대한 연구로는, Saitoh 와 Namikoshi등이 3-benzylchroman 유도체와 moisoflavonoids에 관한 연구가 있었으며, 소목 유용성분에 대한 연구로는 campesterol, stigmasterol, beta-sitosterol, hematein,sappanin, volatile oils,protosappanin A, protosappanin B, protosappanin E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소목 속(Caesalpinia(Leguminosae family))의 어느 한 종인 C. eriostachys 추출물 및/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이 통증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연구를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소목(C. eriostachys)은, 그 형태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C. eriostachys로부터 얻어진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활성 성분을 의미하며, 여기서는 상기 C. eriostachys로부터 분리된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C. eriostachys 추출물은 물 및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통상의 소목 추출방법으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보다 통증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물은 C. eriostachys을 30 내지 80 %(v/v)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압추출법, 환류추출법, 온침추출법, 초음파분쇄 추출법 등에 의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가압추출법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분획물"은 추출물의 활성 성분을 다시 분획한 것으로, 여기서는 상기 C. eriostachys 추출물을 여러 개로 분리시킨 일부분(이하, 'C. eriostachys 분획물'이라 함)을 의미한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추출물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상기 얻어진 C. eriostachys 추출물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극성 순으로 적용하여 각 적용시마다 얻어지는 분획물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헥산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헥산 분획물, 상기 헥산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수성층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분획하여 얻어진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상기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수성층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수성층을 부탄올로 분획하여 얻어진 부탄올 분획물 및 상기 부탄올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물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추출된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이후 감압 여과 과정을 수행하거나 추가로 농축 및/또는 동결 건조를 수행하여 농축하거나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추출물은 통상적 방법으로 건조된 건조물과 통상적 방법으로 농축된 농축물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C. eriostachys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 및/또는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하기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C. eriostachys 추출물 제조
C. eriostachys(Caesalpinia eriostachys Benth) #26 을 세척 및 건조시켜 준비하였다. 준비된 C. eriostachys의 무게 1 kg에 30% 에탄올 10 L를 가하여 60 ℃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이를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와 같은 추출 과정을 2회 반복하여 얻어진 #26 추출액을 45 ℃ 이하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상의 C. eriostachys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내지 6. C. eriostachys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
C. eriostachys 추출물의 활성 성분을 분획하여, C. eriostachys 추출물의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C. eriostachys 추출물 100 g을 증류수 20 L에 현탁하고, 헥산 20 L 를 가하여 혼합한 후, 헥산 가용성 분획부(헥산층) 및 수가용성 분획부(제1 수성층)로 분리하였다.
이어서, 상기 수가용성 분획부에 메틸클로라이드 20 L를 가하여 혼합한 후, 상기의 분리과정과 동일하게 메틸클로라이드 가용성 분획부(메틸클로라이드층) 및 수가용성 분획부(제2 수성층)로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메틸클로라이드 수가용성 분획부에 에틸아세테이트 20 L를 가하여 혼합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부(에틸아세테이트층) 및 수가용성 분획부(제3 수성층)로 분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수득된 에틸아세테이트 수가용성 분획부에 n-부탄올 20 L를 가하여 혼합한 후, n-부탄올 가용성 분획부(n-부탄올층) 및 수가용성 분획부(제4 수성층)로 분리하고, 각각을 수득하였다. 상기의 분리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상기 분리된 헥산층, 메틸클로라이드층, 에틸아세테이트층, n-부탄올층, 및 제4 수성층 분획부 각각을 감압 건조하여, 실시예 2 내지 6의 가용 분획물 분말을 얻었으며, 이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구분 성분 물질
실시예 2 헥산 가용 분획물
실시예 3 메틸클로라이드 가용 분획물
실시예 4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분획물
실시예 5 n-부탄올 가용 분획물
실시예 6 제4 수성층 수가용 분획물
실험예 1. 박층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이용한 성분 분석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C. eriostachys 추출물의 성분물질 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TLC(Thin layer chromatography, silicagel 60(Merk Co. USA) F254 precoated사용)에 상기 분획물을 10 mg/ml 농도로 메탄올에 용해한 후, 10 ul 점적하여 전개용매(헥산:에틸아세테이트=1:1)에 전개하였다.
전개 후, UV (254, 366 nm)로 관찰한 뒤, 전개면에 10%의 황산을 분사시켜 100℃에서 건조시켜 밴드를 확인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 방법에 의하면, 시료의 유기성분을 발색시켜 모든 유기성분을 확인 가능한 것으로, 상기 얻어진 분획물의 성분 분석 시험 결과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분석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느 정도 극성을 가지는 성분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비극성 물질도 일부 함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한 성분 분석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C. eriostachys 추출물 및 실시예 2 에서 수득한 C. eriostachys 분획물의 용매별 성분물질 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용매별 분석 칼럼은 Agilent Eclips SB-C18 (3.5uM, 4.5 * 150 mm i.d.) flow rate 0.7 mL/min, 이동상 water(0.1% Formic acid)(A)와 메탄올(B)을 사용하여 0분 A:B=95:5, 40분 A:B=0:100, 43분 A:B=0:100, 45분 A:B=95:5, 50분 A:B=95:5로 분석하고, UV 280 및 254 nm에서 검출하여 피크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3 내지 4에 도시하였다.
분석결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수득한 C. eriostachys 추출물의 경우, 254nm 검출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단순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280nm에서는 극성을 어느 정도 가지는 물질이 다량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 수득한 C. eriostachys의 각 용매분획물은 극성별로 분획이 잘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진통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에서 수득한 C. eriostachys 추출물의 진통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물을 마우스에 투여한 후, 라이딩 억제 시험(writhing test) 을 농도별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도 5에 도시하였다.
C. eriostachys 추출물을 5, 10, 20 mg/kg 농도별로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30분 후, 1% Acetic acid를 복강 투여하여 writhing test를 진행한 결과, 5 mg/kg의 저농도부터 20 mg/kg의 고농도까지 유의성 있는 진통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진통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에서 수득한 C. eriostachys 추출물의 진통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물을 마우스에 투여한 후, 포르말린 통증 시험(Formalin test)을 농도별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도 6에 도시하였다.
C. eriostachys 추출물을 농도별로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30분 후, 5% Formalin을 마우스의 왼쪽 발바닥에 투여하여 실험을 진행한 결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2nd phase에서 5 mg/kg의 저농도부터 20 mg/kg의 고농도까지 유의성 있는 진통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진통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에서 수득한 C. eriostachys 추출물의 진통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물을 마우스에 투여한 후, 뜨거운 바닥 시험(Hot plate test)을 농도별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도 7에 도시하였다.
C. eriostachys 추출물을 농도별로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30분 후, Hot plate test 통증 실험을 진행한 결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40 mg/kg 이상의 농도에서 진통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6. 당뇨병성 신경병증에 대한 진통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C. eriostachys 추출물 및 실시예 2 내지 6에서 수득한 C. eriostachys 분획물의 진통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물의 농도별 및 각 분획물별 마우스에 투여한 후, 좌골신경 손상 후 기계적 자극에 대한 이질통 테스트(Von-frey test)를 실시하였다.
상기 측정방법은 마우스를 철망 실험대 위에 설치된 아크릴 상자에 넣고 60분 이상 적응시킨 후, Von Frey Filament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반응을 Up-Down method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Filament를 마우스의 좌측 환부 발바닥에 수직으로 접촉시키고 5~6초간 유지시켜 마우스가 신속한 회피반응을 보이거나 hairs를 떼면서 즉시 움찔하거나 발바닥을 핥으면 양성반응을 보인 것으로 간주하였다. Von Frey Filament부터 자극하여 양성반응을 보이면 약한 Filament로 자극하고, 양성반응이 없으면 강한 Filament로 자극하여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도 8 내지 9에 도시하였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C. eriostachys 추출물을 10, 20, 40, 80 mg/kg 농도별로 마우스에 투여한 한 결과, 2시간이 지난 후부터 10 mg/kg의 저농도부터 80 mg/kg의 고농도까지 유의성 있는 진통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획물들을 마우스에 투여한 결과, 한시간 이 지난 시점에서는 시간의존적으로 제4 수성층으로 분획한 분획물이 가장 높은 진통효과를 보였으며, 다른 분획물의 경우 유의성 있는 효과는 없었다. 그러나, 투여한 지, 4시간이 지난 시점에서는 메틸렌클로라이드층으로 분획한 분획물의 우수한 진통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소목(Caesalpinia eriostachys Benth)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목을 알코올 추출물을 헥산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헥산 분획물;
    상기 헥산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수성층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분획하여 얻어진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상기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수성층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수성층을 C1 내지 C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분획하여 얻어진 알코올 분획물; 및
    상기 알코올 분획물을 분리하고 남은 수성층 분획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은 통각수용 통증(nociceptive pain),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 복합 통증(mixed pain) 및 암성 통증(cancer pa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만성 통증에 의해 유발되는 것인,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은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에 의해 유발되는 것인,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병증성 통증은 당뇨병성 신경병증에 의해 유발되는 것인,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80055423A 2018-05-15 2018-05-15 소목(Caesalpinia eriostachys Benth)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8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423A KR102088768B1 (ko) 2018-05-15 2018-05-15 소목(Caesalpinia eriostachys Benth)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423A KR102088768B1 (ko) 2018-05-15 2018-05-15 소목(Caesalpinia eriostachys Benth)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817A true KR20190130817A (ko) 2019-11-25
KR102088768B1 KR102088768B1 (ko) 2020-03-17

Family

ID=68730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423A KR102088768B1 (ko) 2018-05-15 2018-05-15 소목(Caesalpinia eriostachys Benth)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7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8099A (en) * 1985-03-29 1990-04-17 Moon Chang Kiu Drug, preparation and use thereof
KR20070060715A (ko) * 2005-12-09 2007-06-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소목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용도
KR20120118090A (ko) * 2011-04-18 2012-10-26 학교법인 선목학원 소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60047862A (ko) 2014-10-23 2016-05-0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당뇨병성 합병증 치료 및 억제 작용을 갖는 목서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8099A (en) * 1985-03-29 1990-04-17 Moon Chang Kiu Drug, preparation and use thereof
KR20070060715A (ko) * 2005-12-09 2007-06-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소목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용도
KR20120118090A (ko) * 2011-04-18 2012-10-26 학교법인 선목학원 소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60047862A (ko) 2014-10-23 2016-05-0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당뇨병성 합병증 치료 및 억제 작용을 갖는 목서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 K. Hemalatha 외 3명. Analgesic Activity of Caesalpinia sappan. Heartwood(Pharmaceutical Biology. 2007. 45(5). pp.360~362. (2008.10.07.)* *
Stewart, J.L., Dunsdon, A.J., Hellin J.J. & Hughes, C.E. (1992). Wood biomass estimation of Central American dry zone species. Tropical Forestry Paper 26, Oxford Forestry Institute, University of Oxford, U.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768B1 (ko)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shim et al. Phytochemistry and medicinal properties of Ammi visnaga (Apiacae)
Elumalai et al. A review on Ceiba pentandra and its medicinal features
Woode et al. An evaluation of the anti-inflammatory, antipyretic and antinociceptive effects of Ficus exasperata (Vahl) leaf extract
Galeotti et al. St. John's Wort seed and feverfew flower extracts relieve painful diabetic neuropathy in a rat model of diabetes
KR102151401B1 (ko) 자스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Mohebali et al. Antinociceptive &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erberis vulgaris l. root's hydro alcoholic extract and determination of it's possible antinociceptive mechanism in male mice
KR101934794B1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77094A (ko) 초롱꽃 지상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통제 조성물
Sachan et al. In-Vitro & In-Vivo Efficacy Of Moringa Oleifera Plant Constituents In Urolithiasis As Antilithiatic Drug
JP2016503787A (ja) オピオイドおよびアルコールの乱用を処置するためのラファヌス属、テオブロマ属およびパッシフローラ属を含む組成物
KR101223662B1 (ko) 짚신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통제 조성물
KR101500485B1 (ko) 마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8768B1 (ko) 소목(Caesalpinia eriostachys Benth)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3796B1 (ko) Combretum farinosum Kunth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a Rosa Moreira et al.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Scutia buxifolia Reissek stem barks extract
Tailor et al. Isolation of phytoconstituents and in vitro antilithiatic by titrimetic method, antioxidant activity by 1, 1-diphenyl-2-picryl hydrazyl scavenging assay method of alcoholic roots & rhizomes extract of Hedychium coronarium J. Koenig plant species
SM et al. Characterization, in silico and in vitro determination of antidiabetic and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ethanolic extract of Sargassum wightii
Shchérazade et al. Study of the Analgesic Effect of the Aqueous Extract of the Leaves of Citrus aurantifolia (Rutaceae) in Mice
Mohammadi et al. Antinociceptive effects of Rhus coriaria L. extract in male rats
KR102109498B1 (ko) 로로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E69923864T2 (de) Extrakte aus selleriesamen zur vorbeugung und behandlung von entzündungen und gastrointestinalen irritationen
Sari et al. Overview of traditional use,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KR101776143B1 (ko)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신분열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bbas et al. Antinociceptive action of Ononis spinosa leaf extract in mouse pain models
Lupuşoru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the effects of Bidens tripartita extracts in nociceptive re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