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524A -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 - Google Patents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524A
KR20190130524A KR1020190135537A KR20190135537A KR20190130524A KR 20190130524 A KR20190130524 A KR 20190130524A KR 1020190135537 A KR1020190135537 A KR 1020190135537A KR 20190135537 A KR20190135537 A KR 20190135537A KR 20190130524 A KR20190130524 A KR 20190130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needle
collection
guid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4768B1 (ko
Inventor
방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신아메드
방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아메드, 방영철 filed Critical (주)신아메드
Priority to KR1020190135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76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33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36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collecting or disposing of used articles
    • A61B50/362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collecting or disposing of used articles for shar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8Racks for supporting syringes or nee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75Disposal of medical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rod-shaped articles, e.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17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45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54Shielding of proximal needles, e.g. for pen 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슐린 주사 전 펜타입 주사바늘을 보관부에 복수개 보관하고 보관부에 보관된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을 꺼내어 주사하도록 하고 주사 후 사용된 펜타입 주사바늘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그대로 수거 회수되도록 하여 사용된 주사기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 2차감염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보관된 펜타입 주사바늘의 사용이 완료되면 주사 후 사용된 펜타입 주사바늘이 회수된 상태로 용기본체를 그대로 폐기하도록 하여 주사기배럴과 주사기니들의 분리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하고 하나의 용기본체를 이용하여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을 보관함과 동시에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을 회수하여 폐기할 수 있어 사용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Supply and recovery safe container of pen type insulin syringe needle}
본 발명은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과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을 하나의 용기본체에 같이 보관 및 수거하도록 하여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과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의 재사용을 방지하도록 한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뇨병이란 체내의 인슐린 부족으로 혈액중의 포도당(혈당)이 정상인 보다 그 농도가 높아져서 발생되는 만성질환성 질병으로 환자의 전부는 아니지만 대부분이 혈당강하제인 인슐린을 정기적으로 투약하여야 하고, 인슐린의 투약을 위해서는 인슐린 투약용 주사기를 필요로 한다.
종래 인슐린 투약용 주사기는 일반 주사액을 투약하는 주사기와는 달리 인슐린이 담겨지는 주사기배럴이 매우 가는 직경에 짧은 길이의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당뇨병 환자가 일회에 투약해야 할 인슐린 양이 그리 많지 않아도 되고 고가의 인슐린이 주사바늘을 환자의 피부에서 빼내지 않은 상태에서 투약되지 못하고 가급적 주사기배럴 내부에 극히 미량의 인슐린이 남아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종래 인슐린 투약용 주사기는, 내부에 인슐린 액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갖는 주사기배럴과 이 주사기배럴의 선단에 구비되어 환자의 피부속으로 꽂아지는 주사바늘과 주사기배럴 내부에 수용된 인슐린 액이 주사바늘을 통해 환자의 피부속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주사기플런저로 구비되어 있으며, 환자의 피부속으로 주사바늘을 꽂은 상태에서 주사기플런저를 주사바늘측으로 눌러 인슐린 액이 투약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인슐린 주사기는 바늘이 가늘고 주사바늘이 꽂이는 허브가 가늘고 길어서 환자가 인슐린을 주사할 때 정확히 90도를 유지하지 않을 경우, 주사바늘이 휘거나 또는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인슐린 액의 투약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주사바늘이 휘거나 부러짐을 방지하도록 한 펜타입 인슐린 주사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펜타입 인슐린 주사기는 인슐린 액이 담겨진 주사기 하단에 펜타입 주사바늘을 연결하여 인슐린 주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주사 후에는 주사기와 연결된 펜타입 주사바늘을 분리하여 주사바늘만 폐기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펜타입 주사바늘은 사용 후 반드시 폐기하여 주사바늘이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는 바, 이는 한 번 사용한 주사바늘에 환자의 혈흔이 남게 되고 혈흔이 남겨진 주사바늘을 재차 사용하게 되면 주사바늘에 남겨진 혈흔에 포함된 병원균이 다른 사람에게 그대로 옮겨지게 되어 옮겨진 병원균에 의해 2차적인 감염사고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의 경우 구입비용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고 난 주사기를 폐기하지 않고 재사용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질병의 전파에 의한 감염은 물론 감염에 의한 사회적인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인슐린 투약용 주사바늘을 한 번 사용하고 난 후 재사용이 방지되도록 하는 기술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382163호인 주사기 및 주사침 폐기용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그 상부가 개방되며 사각 함체로 구성된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부에 그 내측으로 삽입되어 주사기와 주사침을 각각 분리시키기 위한 주사침 분리공이 형성되어져 주사침을 분리하여 용기내부로 주사기와 주사침을 각각 투입하기 위한 분리부재와, 상기 분리부재가 용기몸체의 상단에 결합된 후, 그 용기몸체의 상단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커버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손쉽게 주사기로부터 주사침을 분리시킬 수 있고 분리와 동시에 주사침이 낙하되어 수납되며 주사기와 주사침이 용기 내부에 충만 되면 커버를 닫고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하여 주사침에 찔려 감염되는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펜타입 인슐린 주사기가 아닌 배럴형 주사기를 폐기하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라 주사기배럴과 주사기니들을 분리하여 폐기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주사기배럴과 주사기니들을 분리하는 공정에 의해 사용 후 주사기를 폐기하는 편의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사용 후 주사기만을 폐기하도록 하고 있음에 따라 사용 전 주사기를 보관하는 용기를 따로 구입해야 하는 불편함은 물론 주사기 보관용기와 주사기 폐기용기를 각각 구비하기 때문에 공간활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82163호(2005.04.08.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특허등록 10-1783894호(2017.09.26. 등록)
본 발명은 주사기는 그대로 사용하고 주사바늘만을 새 것으로 교체하여 주사하도록 한 펜타입 인슐린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폐기함에 있어서, 하나의 용기본체를 이용하여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과 사용 후 주사바늘을 동시에 보관 및 회수하도록 하여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사용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보관된 펜타입 주사바늘을 꺼내면 보관된 복수개 펜타입 주사바늘이 승강되도록 하여 보관된 펜타입 주사바늘을 빼내어 사용함이 용이하도록 하며 사용 후 펜현 주사바늘의 폐기가 완료되면 용기본체 자체를 폐기하도록 하여 주사기 재사용에 따른 2차감염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는,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이 보관되는 보관부와 상기 보관부 하부측에 위치되어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을 수거 회수하는 수거부와 상기 보관부와 연통되도록 상부 외면에 구비되는 보관부개폐도어를 갖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관부에 보관되는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을 용기본체 상부측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를 관통하여 상기 승강체 하부측과 연결되어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이 상기 수거부측으로 수거되도록 하는 수거가이드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체는, 상기 용기본체 내측 바닥면에 구비되고 중앙에 지지봉을 갖는 고정부와;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이 복수개 적층되고 중앙에 상기 지지봉이 관통되는 관통구멍이 통공되는 적층승강판과; 상기 관통구멍과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적층승강판의 중앙의 상단측으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지지봉이 가이드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와 일체로 하향 연장되고 상기 고정부에 탄성결합되는 탄성결합편이 하단에 구비되며 상단에 상기 적층승강판의 하단면에 밀착되는 지지턱이 돌출되며 상기 지지봉이 내측에 위치되는 스프링지지부와; 상기 지지봉에 끼워져 하단은 상기 스프링지지부가 끼워진 고정부 상면에 밀착되고 상단은 상기 적층승강판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적층승강판에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이 복수개 적층될 때 적층된 복수개 펜타입 주사바늘 하중에 의해 상기 적층승강판이 하강되어 압축되었다가 적층승강판에 적재된 펜타입 주사바늘을 꺼낼 경우 신장되면서 하강된 적층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인슐린 주사 전 펜타입 주사바늘을 보관부에 복수개 보관하고 보관부에 보관된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을 꺼내어 주사하도록 하고 주사 후 사용된 펜타입 주사바늘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그대로 수거 회수되도록 하여 사용된 주사기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 2차감염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보관된 펜타입 주사바늘의 사용이 완료되면 주사 후 사용된 펜타입 주사바늘이 회수된 상태로 용기본체를 그대로 폐기하도록 하여 주사기배럴과 주사기니들의 분리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하고 하나의 용기본체를 이용하여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을 보관함과 동시에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을 회수하여 폐기할 수 있어 사용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를 나타낸 타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의 작용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의 구성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1)이 보관되는 보관부(11)와 상기 보관부(11) 하부측에 위치되어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2)을 수거 회수하는 수거부(12)와 상기 보관부(11)와 연통되도록 상부 외면에 구비되는 보관부개폐도어(13)를 갖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관부(11)에 보관되는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1)을 용기본체(10) 상부측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체(20)와, 상기 승강체(20)를 관통하여 상기 승강체(20) 하부측과 연결되어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1)이 상기 수거부(12)측으로 수거되도록 하는 수거가이드체(3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본체(10)는,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1)이 상기 보관부(11)에 복수개 적층되어 보관된 후 외부로 개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2)은 상기 수거부(12)에 자연스럽게 낙하되어 회수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용기본체(10)에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1)이 복수개 보관되고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2)이 회수되어 폐기됨에 따라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며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1)과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2)을 하나의 공간에 보관 및 회수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승강체(20)는, 상기 용기본체(10) 내측 바닥면(10a)에 구비되고 중앙에 지지봉(21a)을 갖는 고정부(21)와,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1)이 복수개 적층되고 중앙에 상기 지지봉(21a)이 관통되는 관통구멍(22a)이 통공되는 적층승강판(22)과, 상기 관통구멍(22a)과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적층승강판(22)의 중앙의 상단측으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지지봉(21a)이 가이드되는 가이드부(23)와, 상기 가이드부(23)와 일체로 하향 연장되고 상기 고정부(21)에 탄성결합되는 탄성결합편(24a)이 하단에 구비되며 상단에 상기 적층승강판(22)의 하단면에 밀착되는 지지턱(24b)이 돌출되며 상기 지지봉(21a)이 내측에 위치되는 스프링지지부(24)와, 상기 지지봉(21a)에 끼워져 하단은 상기 스프링지지부(24)가 끼워진 고정부(21) 상면에 밀착되고 상단은 상기 적층승강판(22)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적층승강판(22)에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1)이 복수개 적층될 때 적층된 복수개 펜타입 주사바늘(1) 하중에 의해 상기 적층승강판(22)이 하강되어 압축되었다가 적층승강판(22)에 적재된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1)을 꺼낼 경우 신장되면서 하강된 적층승강판(22)을 승강시키는 스프링(25)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지지부(24)의 탄성결합편(24a)은, 사용 전 상기 고정부(21)에 탄성결합되었다가 사용할 때 용기본체(10)의 하부측으로 손가락을 위치하여 상기 탄성 결합편(24a)을 눌러주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부(21)로부터 분리되어 스프링(25)에 의해 상기 적층승강판(22)이 승강될 때 상기 스프링지지부(24)가 적층승강판(22)과 동일하게 승강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적층승강판(22)의 상단으로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1)이 복수개 적층되어 보관되면 보관된 복수개 펜타입 주사바늘(1)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적층승강판(22)이 용기본체(10) 하부측으로 하강된다.
이 때, 하단이 상기 스프링지지부(24)가 끼워진 고정부(21) 상면에 밀착되고 상단이 상기 적층승강판(22) 하면에 밀착된 스프링(25)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적층승강판(22)에 적층된 사용 전 복수개 펜타입 주사바늘(1)을 보관부개폐도어(13)를 이용하여 꺼내면 적층승강판(22)을 누르고 있는 힘 즉 적층된 복수개 펜타입 주사바늘(1)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압축된 스프링(25)이 신장되면서 적층승강판(22)을 용기본체(10)의 상부측으로 승강시켜 적층승강판(25)에 적층된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1) 중 최상측에 위치된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1)이 항상 보관부개폐도어(13)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압축된 스프링(25)의 신장되는 것에 의해 적층승강판(22)이 승강되는 과정에서 스프링(25)이 끼워진 상기 지지봉(21a)이 적층승강판(22) 상단으로 부터 수직연장된 가이드부(23) 내측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부(23)가 지지봉(21a)에 의해 지지되어 적층승강판(22)의 승강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흔들거림과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지지부(24) 상단에는 상기 적층승강판(22) 하단에 밀착되어 적층승강판(22)을 지지하는 지지턱(24b)이 구비되어 승강되는 적층승강판(22)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준다.
본 발명의 수거가이드체(30)는, 상기 승강체(20)의 적층승강판(22)의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적층승강판(22)의 승강동작과 동일하게 승강되되 상기 용기본체(10)의 수거부(12)와 연통되도록 연장되고 가이드경사면(31)을 갖는 수거가이드(32)와, 상기 용기본체(10) 상단 내측으로 하향 연장되되 상기 수거가이드(32)와 대응되도록 하향 연장되어 하단이 상기 수거가이드(32) 상단 내측에 끼워지는 수거낙하구(33)와, 상기 수거낙하구(33) 상단에 구비되어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2)이 끼워져 인입되는 바늘회수인입부(34)와, 상기 바늘회수인입부(34)측으로 힌지회전되어 바늘회수인입부(34)를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본체(10)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바늘회수인입부(34)를 덮어 바늘회수인입부(34)에 끼워진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2)을 상기 수거낙하구(33)측으로 밀어주는 밀림돌부(35)를 갖는 수거덮개(36)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2)을 펜타입 인슐린 주사기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수거가이드체(30)의 바늘회수인입부(34)에 끼운 상태에서 펜타입 인슐린 주사기(미도시)를 회전시켜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2)을 펜타입 인슐린 주사기로부터 분리한 다음, 상기 수거덮개(36)를 바늘회수인입부(34)측으로 덮어 밀림돌부(35)에 의해 바늘회수인입부(34)에 끼워진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2)이 밀리면서 상기 수거낙하구(33)를 통해 낙하되어 상기 수거가이드(32)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용기본체(10)의 수거부(12)측으로 수거 회수된다.
이 때, 상기 수거낙하구(33)를 통해 낙하된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2)은 상기 수거가이드(32)에 구비된 가이드경사면(31)을 타고 수거부(12)측으로 용이하게 수거 회수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경사면(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0)의 수거부(12)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됨이 당연하다.
본 발명의 상기 수거가이드(32)의 외면에는 수거가이드(32)의 승강 동작과 동일하게 승강되는 지지슬라이딩구(37)가 수거가이드(32)와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 벽면(10b)에는 상기 수거가이드(32)가 끼워져 가이드되도록 수거가이드(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가이드레일(38)이 용기본체(10)의 내측 벽면(10b)과 일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승강체(20)의 적층승강판(22)이 승강될 때 상기 가이드레일(38)을 따라 상기 지지슬라이딩구(37)가 끼워진 상태로 승강됨에 따라 승강되는 수거가이드(32)가 흔들거림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 2 :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
10 : 용기본체 11 : 보관부
12 : 수거부 13 : 보관부개폐도어
20 : 승강체 21 : 고정부
21a : 지지봉 22 : 적층승강판
22a : 관통구멍 23 : 가이드부
24 : 스프링지지부 24a : 탄성결합편
24b : 지지턱 25 : 스프링
30 : 수거가이드체 31 : 가이드경사면
32 : 수거가이드 33 : 수거낙하구
34 : 바늘회수인입부 35 : 밀림돌부
36 : 수거덮개 37 : 지지슬라이딩구
38 : 가이드레일

Claims (3)

  1.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1)이 보관되는 보관부(11)와 상기 보관부(11) 하부측에 위치되어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2)을 수거 회수하는 수거부(12)와 상기 보관부(11)와 연통되도록 상부 외면에 구비되는 보관부개폐도어(13)를 갖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관부(11)에 보관되는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1)을 용기본체(10) 상부측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체(20)와;
    상기 승강체(20)를 관통하여 상기 승강체(20) 하부측과 연결되어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1)이 상기 수거부(12)측으로 수거되도록 하는 수거가이드체(3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체(20)는,
    상기 용기본체(10) 내측 바닥면(10a)에 구비되고 중앙에 지지봉(21a)을 갖는 고정부(21)와;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1)이 복수개 적층되고 중앙에 상기 지지봉(21a)이 관통되는 관통구멍(22a)이 통공되는 적층승강판(22)과;
    상기 관통구멍(22a)과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적층승강판(22)의 중앙의 상단측으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지지봉(21a)이 가이드되는 가이드부(23)와;
    상기 가이드부(23)와 일체로 하향 연장되고 상기 고정부(21)에 탄성결합되는 탄성결합편(24a)이 하단에 구비되며 상단에 상기 적층승강판(22)의 하단면에 밀착되는 지지턱(24b)이 돌출되며 상기 지지봉(21a)이 내측에 위치되는 스프링지지부(24)와;
    상기 지지봉(21a)에 끼워져 하단은 상기 스프링지지부(24)가 끼워진 고정부(21) 상면에 밀착되고 상단은 상기 적층승강판(22)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적층승강판(22)에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1)이 복수개 적층될 때 적층된 복수개 펜타입 주사바늘(1) 하중에 의해 상기 적층승강판(22)이 하강되어 압축되었다가 적층승강판(22)에 적재된 사용 전 펜타입 주사바늘(1)을 꺼낼 경우 신장되면서 하강된 적층승강판(22)을 승강시키는 스프링(25)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가이드체(30)는,
    상기 승강체(20)의 적층승강판(22)의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적층승강판(22)의 승강동작과 동일하게 승강되되 상기 용기본체(10)의 수거부(12)와 연통되도록 연장되고 가이드경사면(31)을 갖는 수거가이드(32)와;
    상기 용기본체(10) 상단 내측으로 하향 연장되되 상기 수거가이드(32)와 대응되도록 하향 연장되어 하단이 상기 수거가이드(32) 상단 내측에 끼워지는 수거낙하구(33)와;
    상기 수거낙하구(33) 상단에 구비되어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2)이 끼워져 인입되는 바늘회수인입부(34)와;
    상기 바늘회수인입부(34)측으로 힌지회전되어 바늘회수인입부(34)를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본체(10)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바늘회수인입부(34)를 덮어 바늘회수인입부(34)에 끼워진 사용 후 펜타입 주사바늘(2)을 상기 수거낙하구(33)측으로 밀어주는 밀림돌부(35)를 갖는 수거덮개(36)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20)의 적층승강판(22)이 승강될 때 상기 수거가이드(32)가 흔들거림이 방지되도록,
    상기 수거가이드(32)의 외면에는 수거가이드(32)의 승강 동작과 동일하게 승강되는 지지슬라이딩구(37)가 수거가이드(32)와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 벽면(10b)에는 상기 수거가이드(32)가 끼워져 가이드되도록 수거가이드(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가이드레일(38)이 용기본체(10)의 내측 벽면(10b)과 일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
KR1020190135537A 2019-10-29 2019-10-29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 KR102364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537A KR102364768B1 (ko) 2019-10-29 2019-10-29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537A KR102364768B1 (ko) 2019-10-29 2019-10-29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524A true KR20190130524A (ko) 2019-11-22
KR102364768B1 KR102364768B1 (ko) 2022-02-18

Family

ID=68731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537A KR102364768B1 (ko) 2019-10-29 2019-10-29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7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16552A (zh) * 2021-05-01 2021-07-16 王晗 护理通用锐器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9500U (ja) * 1995-06-16 1995-12-19 良男 別府 医療用針の取り外し装置
KR200382163Y1 (ko) 2005-02-04 2005-04-19 협성메디칼 주식회사 주사기 및 주사침 폐기용기
JP2009112805A (ja) * 2007-11-01 2009-05-28 Tyco Healthcare Group Lp 医療器具分配および処分システム
KR20120002177U (ko) * 2010-09-16 2012-03-26 주식회사 메덱셀 주사바늘 공급용기 및 회수용기
KR101783894B1 (ko) 2016-08-01 2017-10-10 박중현 주사기 폐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9500B2 (ja) * 1991-07-08 2000-03-13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レンズの絞り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9500U (ja) * 1995-06-16 1995-12-19 良男 別府 医療用針の取り外し装置
KR200382163Y1 (ko) 2005-02-04 2005-04-19 협성메디칼 주식회사 주사기 및 주사침 폐기용기
JP2009112805A (ja) * 2007-11-01 2009-05-28 Tyco Healthcare Group Lp 医療器具分配および処分システム
KR20120002177U (ko) * 2010-09-16 2012-03-26 주식회사 메덱셀 주사바늘 공급용기 및 회수용기
KR101783894B1 (ko) 2016-08-01 2017-10-10 박중현 주사기 폐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16552A (zh) * 2021-05-01 2021-07-16 王晗 护理通用锐器箱
CN113116552B (zh) * 2021-05-01 2023-03-14 中南大学湘雅三医院 护理通用锐器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768B1 (ko)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2074361A3 (en) Retractable needle medical device for injecting fluid from a pre-filled cartridge
KR20190128609A (ko) 인슐린 투약용 안전 주사기
KR20190130524A (ko) 펜타입 주사바늘 공급 및 회수용기
KR200465178Y1 (ko) 주사바늘 공급용기 및 회수용기
CN107633877B (zh) 一种药物管理系统
KR101628349B1 (ko) 시린지 교체형 자동투약기
CN208641289U (zh) 一种针灸针储存器
KR102361901B1 (ko) 인슐린 안전주사기 공급 및 회수용기
CN215309232U (zh) 一种新型胰岛素针
CN213191791U (zh) 一种带保护功能的胰岛素注射器
CN210963394U (zh) 一种注射器放置装置
KR102219038B1 (ko) 외부 하우징에 수용된 록킹 모듈과 주사액이 담긴 약액 카트리지 간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일회용 주사 장치
CN209301601U (zh) 一种护士用注射消毒用具支架
CN211132180U (zh) 一种药粉和溶剂一体组装注射器
CN109395211B (zh) 一种胰岛素笔针头的拆卸方法
CN213031279U (zh) 一种防感染注射器
KR20190002857U (ko) 인슐린 투약용 안전 펜 니들
KR102124692B1 (ko) 주사기용 필터링 니들 세트
CN208405600U (zh) 一种具有推卸针头机构的胰岛素注射装置及针头
CN210844703U (zh) 一种针头能够收回的注射器
CN219271809U (zh) 一种居家使用的胰岛素针头回收装置
CN214970405U (zh) 一种废弃针头收纳盒
AU726245B2 (en) Syringe
CN214909738U (zh) 一种方便放置针头和杂物的托盘
CN219289715U (zh) 一种防刺伤便利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