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774A -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774A
KR20190129774A KR1020190069221A KR20190069221A KR20190129774A KR 20190129774 A KR20190129774 A KR 20190129774A KR 1020190069221 A KR1020190069221 A KR 1020190069221A KR 20190069221 A KR20190069221 A KR 20190069221A KR 20190129774 A KR20190129774 A KR 20190129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gear
shaft
electric
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4921B1 (ko
Inventor
설인환
Original Assignee
설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인환 filed Critical 설인환
Priority to KR1020190069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921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웜축; 상기 웜축에 마련되어, 상기 웜축의 축방향을 따라 외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다가 다시 커지는 축경부를 형성하고, 상기 축경부에는 나선형의 웜 이빨이 형성된 장구형 웜; 상기 웜축과 나란하게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전동축; 및 상기 제1전동축에 마련되고, 외주면에 상기 장구형 웜의 웜 이빨과 공액이 되는 치형을 갖는 제1기어 이빨이 나선형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웜 이빨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1전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력전달장치{POWER TRANSMISSION APPARATUS}
본 발명은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구형 웜과 맞물리는 새로운 형태의 기어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력전달장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또는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또는 회전운동만을 전달하되 회전속도와 토크를 변환시키는 기어열로 대별된다.
통상의 경우에 있어, 동력전달장치의 동력전달체계는 원에 감은 실을 팽팽한 상태로 풀 때 실 끝이 그리는 궤적인 인벌류트(involute) 곡선을 이용한 치형을 갖는 기어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어는 그 치형이 원주상에 형성되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축 사이에 원주상에 형성된 기어를 맞물려서 회전이나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로서, 기어를 이용할 경우 동력이나 회전의 전달이 확실하고, 정확한 각속도비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기어의 종류는 스퍼기어, 헬리컬기어, 베벨기어, 웜과 웜기어 등이 있다.
특히, 웜기어는 일반기어에 대해 월등히 큰 기어비를 가지고 있으며, 동력의 입력방향과 출력방향이 직각으로 되는 특수 기어이다.
웜과 웜기어로 구성된 동력전달장치의 경우, 웜은 봉 형상인데 반하여, 웜의 이빨과 맞물려 접촉하는 웜기어는 원반 형상을 가지며, 웜기어의 이빨은 원주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므로, 웜과 웜기어의 상호 접촉 면적이 작아지는 즉, 물림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동력전달장치로서 장구형상의 웜 예컨대, 힌들리 웜(hindley worm)이 알려져 있다.
장구형 웜은 외주면에 장구형상으로 만곡되고, 만곡 영역에 나선형의 홈 예컨대, 나선형의 이빨이 형성된 것으로서, 이와 맞물리는 웜기어는 이빨 수가 많아서 이빨간의 압력을 지지하는 면적이 통상의 웜 및 웜기어에 비해 넓어지므로, 기어의 마모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큰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동력전달장치는 이러한 장구형 웜과 웜기어로 한정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장구형 웜의 특징을 충분히 살려 다양한 형태의 기어와 함께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없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장구형 웜에 장구형 웜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기어를 개발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48225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어의 물림율을 향상시키고, 기어의 마모를 줄이며, 동력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웜축; 상기 웜축에 마련되어, 상기 웜축의 축방향을 따라 외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다가 다시 커지는 축경부를 형성하고, 상기 축경부에는 나선형의 웜 이빨이 형성된 장구형 웜; 상기 웜축과 나란하게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전동축; 및 상기 제1전동축에 마련되고, 외주면에 상기 장구형 웜의 웜 이빨과 맞물려 일정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는 공액(conjugated)이 되는 치형을 갖는 제1기어 이빨이 나선형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구형 웜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1전동기어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구형 웜의 웜 이빨은 피치원의 직경이 가변하며 동일한 유효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전동기어의 외주는, 상기 축경부의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1전동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외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다가 다시 작아지는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전동기어의 제1기어 이빨은 피치원의 직경이 가변하며 동일한 유효치 높이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장구형 웜의 웜 이빨과 공액이 되는 축방향 모듈, 리드각, 축방향 피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웜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전동축과 나란하게 대향 배치되는 제2전동축; 및 상기 제2전동축에 마련되고, 외주면에 상기 장구형 웜의 웜 이빨과 공액이 되는 치형을 갖는 제2기어 이빨이 나선형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구형 웜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2전동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동기어의 외주는, 상기 축경부의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2전동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외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다가 다시 작아지는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전동기어의 제2기어 이빨은 피치원의 직경이 가변하며 동일한 유효치 높이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장구형 웜의 웜 이빨과 공액이 되는 축방향 모듈, 리드각, 축방향 피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웜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전동축과 직교하며 대향 배치되는 제3전동축; 및 상기 제3전동축에 마련되고,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장구형 웜의 웜 이빨과 맞물리는 웜기어 이빨이 형성된 웜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웜기어의 복수의 웜 이빨은 동일한 피치원의 직경과 유효치 높이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장구형 웜의 웜 이빨과 공액이 되는 축방향 모듈, 리드각, 축방향 피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어의 물림율을 향상시키고, 기어의 마모를 줄이며, 동력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파단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파단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요부 파단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1a)는 웜축(10)과, 장구형 웜(20)과, 제1전동축(30)과, 제1전동기어(40)를 포함한다.
웜축(10)은 일정 길이를 갖는 원형 단면의 봉 형상을 가진다. 웜축(10)의 양단부는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장구형 웜(20)은 웜축(10)의 중앙 영역에 마련된다. 장구형 웜(20)은 웜축(10)의 축선방향을 따라 외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다가 다시 커지는 축경부(21)를 형성한다.
축경부(21)에는 웜 이빨(23)이 형성되어 있다. 웜 이빨(23)은 가변하는 피치경에 따라 가변의 축방향 모듈, 가변의 리드각, 가변의 축방향 피치를 가지며, 축졍부의 외주면에 웜축(10)의 축선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웜 이빨(23)은 축경부(21)의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피치원의 직경이 가변하고, 동일한 유효치 높이를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웜축(10)과 장구형 웜(20)이 동심으로 이루며 일체로 만들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웜축(10)과 장구형 웜(20)은 분리가능하도록 키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장구형 웜(20)은 웜축(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전동축(30)은 일정 길이를 갖는 원형 단면의 봉 형상을 가진다. 제1전동축(30)은 웜축(10)과 나란하게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전동축(30)의 양단부는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제1전동축(30)은 제1전동축(30)의 축선방향을 따라 좌우로 유동하지 않도록 베어링에 지지될 수 있다.
제1전동기어(40)는 일정 두께의 원반 형상을 가진다. 제1전동기어(40)의 외주는, 장구형 웜(20)의 축경부(21)의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제1전동축(30)의 축선방향을 따라 외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다가 다시 작아지는 단면형상 예컨대, 아크 형태로 돌출된 단면형상을 가진다.
제1전동기어(40)의 외주면에는 장구형 웜(20)의 웜 이빨(23)에 공액이 되는 치형을 갖는 제1기어 이빨(43)이 제1전동축(30)의 축선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전동기어(40)의 각 제1기어 이빨(43)은 피치원 직경이 가변하고, 동일한 유효치 높이를 가진다. 또한, 각 제1기어 이빨(43)은 장구형 웜(20)의 웜 이빨(23)에 공액이 되는 축방향 모듈, 리드각, 축방향 피치를 가진다. 또한, 제1기어 이빨(43)은 장구형 웜(20)의 웜 이빨(23) 수에 기어비(감속비)를 곱한 줄수를 가진다.
따라서, 제1전동기어(40)의 각 제1기어 이빨(43)의 일측 플랭크는 예컨대, 각 제1기어 이빨(43)의 일측 치면은 장구형 웜(20)의 각 웜 이빨(23)의 일측 플랭크에 동시에 접촉하며, 각 웜 이빨(23)의 플랭크를 따라 맞물리며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제1전동기어(40)의 각 제1기어 이빨(43)의 일측 치면은 장구형 웜(20)의 각 웜 이빨(23)의 일측 플랭크에 웜 이빨(23)의 법선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며 접촉함에 따라, 고속 회전시 웜 이빨(23)과 제1기어 이빨(43) 사이로 윤활제가 쉽게 유입 및 배출하게 된다. 이에 웜 이빨(23)과 제1기어 이빨(43) 사이의 마모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장구형 웜(20)과 제1전동기어(40)의 수명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전동기어(40)를 장구형 웜(20)과 조립할 때, 장구형 웜(20)의 중심선이 제1전동기어(40)의 중심선을 통과하면서 웜축(10)의 축선과 직교하도록 장구형 웜(20)과 제1전동기어(40)를 배치한다. 이로써, 장구형 웜(20)과 제1전동기어(40)의 물림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장구형 웜(20)과 제1전동기어(40) 사이의 감속비는 장구형 웜(20)의 중심선에서의 피치원 직경과 제1전동기어(40)의 피치원 직경의 비로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전동축(30)과 제1전동기어(40)가 키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전동축(30)과 제1전동기어(40)는 동심을 이루며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1a)는 웜축(10)과 제1전동축(30)이 웜축(10)의 회전 중심축선과 제1전동축(30)의 회전 중심축선 사이의 축간거리를 가지며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장구형 웜(20)의 중심이 제1전동기어(40)의 중심선이 통과하면서 웜축(10)의 축선과 직교하도록, 장구형 웜(20)과 제1전동기어(40)가 배치된다.
이로써, 제1전동기어(40)의 각 제1기어 이빨(43)의 일측 플랭크는 장구형 웜(20)의 각 웜 이빨(23)의 일측 플랭크에 동시에 접촉하며 플랭크를 따라 맞물리며 회전하게 되고, 이에 장구형 웜(20)과 제1전동기어(40)의 물림율이 향상되어, 기어의 마모가 줄어들며, 동력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1a)는 웜축(10)에 입력되는 회전수를 장구형 웜(20)의 중심선에서의 피치원 직경과 제1전동기어(40)의 피치원 직경에 따라 감속하여, 제1전동축(3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1b)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전술한 제1전동축(30) 및 제1전동기어(4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전동축(50) 및 제2전동기어(60)가 웜축(10) 및 장구형 웜(20)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즉, 제2전동축(50)은 웜축(10)을 사이에 두고 제1전동축(30)과 나란하게 대향 배치되어 있다.
제2전동축(50)은 웜축(10)과 나란하게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2전동축(50)의 양단부는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제2전동축(50)은 제2전동축(50)의 축선방향을 따라 좌우로 유동하지 않도록 베어링에 지지될 수 있다.
제2전동기어(60)는 일정 두께의 원반 형상을 가진다. 제2전동기어(60)의 외주는, 장구형 웜(20)의 축경부(21)의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제2전동축(50)의 축선방향을 따라 외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다가 다시 작아지는 단면형상 예컨대, 아크 형태로 돌출된 단면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제2전동기어(60)는 제1전동기어(40)와 동일한 외경 또는 상이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제2전동기어(60)의 외주면에는 장구형 웜(20)의 웜 이빨(23)과 동일한 치형을 갖는 제2기어 이빨(63)이 제2전동축(50)의 축선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전동기어(60)의 각 제2기어 이빨(63)은 피치원 직경이 가변하고, 동일한 유효치 높이를 가진다. 또한, 각 제2기어 이빨(63)은 장구형 웜(20)의 웜 이빨(23)과 공액이 되는 축방향 모듈, 리드각, 축방향 피치를 가진다. 또한, 제2기어 이빨(63)은 장구형 웜(20)의 웜 이빨(23) 수에 원하는 기어비(감속비)를 곱한 줄수를 가진다.
따라서, 제2전동기어(60)의 각 제2기어 이빨(63)의 일측 플랭크는 장구형 웜(20)의 각 웜 이빨(23)의 일측 플랭크에 동시에 접촉하며, 각 웜 이빨(23)의 플랭크를 따라 맞물리며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제2전동기어(60)의 각 제2기어 이빨(63)의 일측 치면은 장구형 웜(20)의 각 웜 이빨(23)의 일측 플랭크에 웜 이빨(23)의 법선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며 접촉함에 따라, 고속 회전시 웜 이빨(23)과 제2기어 이빨(63) 사이로 윤활제가 쉽게 유입 및 배출하게 된다. 이에 웜 이빨(23)과 제2기어 이빨(63) 사이의 마모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장구형 웜(20)과 제2전동기어(60)의 수명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전동기어(60)를 장구형 웜(20)과 조립할 때, 장구형 웜(20)의 중심선이 제2전동기어(60)의 중심선을 통과하면서 웜축(10)의 축선과 직교하도록 장구형 웜(20)과 제2전동기어(60)를 배치한다. 이로써, 장구형 웜(20)과 제2전동기어(60)의 물림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장구형 웜(20)과 제2전동기어(60) 사이의 감속비는 장구형 웜(20)의 중심선에서의 피치원 직경과 제2전동기어(60)의 피치원 직경의 비로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전동축(50)과 제2전동기어(60)가 키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전동축(50)과 제2전동기어(60)는 동심으로 이루며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1b)는 웜축(10)과 제1전동축(30)이 웜축(10)의 회전 중심축선과 제1전동축(30)의 회전 중심축선 사이의 축간거리를 가지며 나란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웜축(10)과 제2전동축(50)이 웜축(10)의 회전 중심축선과 제2전동축(50)의 회전 중심축선 사이의 축간거리를 가지며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장구형 웜(20)의 중심이 제1전동기어(40)의 중심선과 제2전동기어(60)의 중심선이 통과하면서 웜축(10)의 축선과 직교하도록 장구형 웜(20)과 제1전동기어(40)와 제2전동기어(60)가 배치된다.
이로써, 제1전동기어(40)의 각 제1기어 이빨(43)의 일측 플랭크와 제2전동기어(60)의 각 제2기어 이빨(63)의 일측 플랭크는 각각, 장구형 웜(20)의 각 웜 이빨(23)의 일측 플랭크에 동시에 접촉하며 플랭크를 따라 맞물리며 회전하게 되고, 이에 장구형 웜(20)과 제1전동기어(40) 및 제2전동기어(60)의 물림율이 향상되어, 기어의 마모가 줄어들며, 동력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1b)는 제1전동기어(40)와 제2전동기어(60)의 각 피치원 직경을 달리하거나 또는 동일하게 하므로써, 웜축(10)에 입력되는 회전수를 장구형 웜(20)과 제1전동기어(40) 및 제2전동기어(60)를 거쳐 다양한 감속비로 감속시켜, 각각 제1전동축(30)과 제2전동축(50)을 동일 회전수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상이한 회전수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감속비를 갖는 동력전달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1c)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제3전동축(70)과 웜기어(80)를 더 포함한다.
제3전동축(70)은 웜축(10)을 사이에 두고 제1전동축(30)과 나란하게 대향 배치되어 있다.
제3전동축(70)은 웜축(10)과 직교하며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3전동축(70)의 양단부는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제3전동축(70)은 제3전동축(70)의 축선방향을 따라 좌우로 유동하지 않도록 베어링에 지지될 수 있다.
웜기어(80)는 일정 두께의 원반 형상을 가진다. 웜기어(80)의 외주는 원주방향을 따라 만곡되게 함몰 형성되어 있다.
웜기어(80)의 외주면에는 장구형 웜(20)의 웜 이빨(23)과 맞물리는 복수의 웜기어 이빨(83)이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웜기어(80)의 복수의 웜 이빨(83)은 동일한 피치원의 직경과 동일한 유효치 높이를 가짐과 동시에, 장구형 웜(20)의 웜 이빨(23)과 공액이 되는 축방향 모듈, 리드각, 축방향 피치를 가진다.
한편, 장구형 웜(20)과 웜기어(80) 사이의 감속비는 장구형 웜(20)의 줄수와 웜기어(80)의 웜기어 이빨(83) 수의 비로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웜기어(80)는 제3전동축(70)과 키(9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1c)는 웜축(10)과 제1전동축(30)이 웜축(10)의 회전 중심축선과 제1전동축(30)의 회전 중심축선 사이의 축간거리를 가지며 나란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웜축(10)과 제3전동축(70)이 웜축(10)의 회전 중심축선과 제3전동축(70)의 회전 중심축선 사이의 축간거리를 가지며 직교하며 배치된다.
그리고, 장구형 웜(20)의 중심이 제1전동기어(40)의 중심선과 제2전동기어(60)의 중심선이 통과하면서 웜축(10)의 축선과 직교하도록 장구형 웜(20)과 제1전동기어(40)와 제2전동기어(60)가 배치된다.
이로써, 제1전동기어(40)의 각 제1기어 이빨(43)의 일측 플랭크는 장구형 웜(20)의 각 웜 이빨(23)의 일측 플랭크에 동시에 접촉하며 플랭크를 따라 맞물리며 회전하게 되고, 이에 장구형 웜(20)과 제1전동기어(40)의 물림율이 향상되어, 기어의 마모가 줄어들며, 동력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장구형 웜(20)의 웜 이빨(23)은 웜기어(80)의 웜기어 이빨(83)의 일측 플랭크에 플랭크의 수직방향 예컨대, 웜기어 이빨(83)의 법선방향으로 맞물리며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장구형 웜(20)에 각기 다른 형태의 제1전동기어(40)와 웜기어(80)를 각각 맞물림 결합함으로써, 웜축(10)에 입력되는 회전수를 장구형 웜(20)과 제1전동기어(40) 및 웜기어(80)를 거쳐 다양한 감속비로 감속시켜, 각각 제1전동축(30)과 제3전동축(70)을 동일 회전수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상이한 회전수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전동축(30)과 제3전동축(70)이 서로 직교하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동력전달장치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감속비를 갖는 동력전달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a,1b,1c : 동력전달장치
10 : 웜축
20 : 장구형 웜
30 : 제1전동축
40 : 제1전동기어
50 : 제2전동축
60 : 제2전동기어
70 : 제3전동축
80 : 웜기어

Claims (7)

  1. 웜축;
    상기 웜축에 마련되어, 상기 웜축의 축방향을 따라 외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다가 다시 커지는 축경부를 형성하고, 상기 축경부에는 나선형의 웜 이빨이 형성된 장구형 웜;
    상기 웜축과 나란하게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전동축; 및
    상기 제1전동축에 마련되고, 외주면에 상기 장구형 웜의 웜 이빨과 공액이 되는 치형을 갖는 제1기어 이빨이 나선형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구형 웜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1전동기어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구형 웜의 웜 이빨은 피치원의 직경이 가변하며 동일한 유효치 높이를 갖는, 동력전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동기어의 외주는, 상기 축경부의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1전동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외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다가 다시 작아지는 단면형상을 갖는, 동력전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동기어의 제1기어 이빨은 피치원의 직경이 가변하며 동일한 유효치 높이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장구형 웜의 웜 이빨과 공액이 되는 축방향 모듈, 리드각, 축방향 피치를 갖는, 동력전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웜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전동축과 나란하게 대향 배치되는 제2전동축; 및
    상기 제2전동축에 마련되고, 외주면에 상기 장구형 웜의 웜 이빨과 공액이 되는 치형을 갖는 제2기어 이빨이 나선형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구형 웜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2전동기어를 더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동기어의 외주는, 상기 축경부의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2전동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외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다가 다시 작아지는 단면형상을 갖는, 동력전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동기어의 제2기어 이빨은 피치원의 직경이 가변하며 동일한 유효치 높이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장구형 웜의 웜 이빨과 공액이 되는 축방향 모듈, 리드각, 축방향 피치를 갖는, 동력전달장치.
KR1020190069221A 2019-06-12 2019-06-12 동력전달장치 KR102074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221A KR102074921B1 (ko) 2019-06-12 2019-06-12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221A KR102074921B1 (ko) 2019-06-12 2019-06-12 동력전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591A Division KR102035250B1 (ko) 2018-05-10 2018-05-10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774A true KR20190129774A (ko) 2019-11-20
KR102074921B1 KR102074921B1 (ko) 2020-02-07

Family

ID=68729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221A KR102074921B1 (ko) 2019-06-12 2019-06-12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45776A1 (en) 2020-01-03 2021-07-07 Wiworld Co., Lt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0434A (ja) * 2002-04-26 2003-11-11 Shin Ei Tech:Kk 転造ダイスの製造方法
JP2009047267A (ja) * 2007-08-21 2009-03-05 Asmo Co Ltd ウォーム及びモータ装置
JP2013148109A (ja) * 2012-01-17 2013-08-01 Mitsuba Corp 歯車装置
KR101482251B1 (ko) 2014-10-24 2015-01-14 (주)신도기어 장구형 웜기어를 사용한 동력전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0434A (ja) * 2002-04-26 2003-11-11 Shin Ei Tech:Kk 転造ダイスの製造方法
JP2009047267A (ja) * 2007-08-21 2009-03-05 Asmo Co Ltd ウォーム及びモータ装置
JP2013148109A (ja) * 2012-01-17 2013-08-01 Mitsuba Corp 歯車装置
KR101482251B1 (ko) 2014-10-24 2015-01-14 (주)신도기어 장구형 웜기어를 사용한 동력전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45776A1 (en) 2020-01-03 2021-07-07 Wiworld Co., Lt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KR20210087623A (ko) 2020-01-03 2021-07-13 위월드 주식회사 동력전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921B1 (ko)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5250B1 (ko) 동력전달장치
JP2874750B2 (ja) 面歯車伝動装置
JP5479903B2 (ja) ハイブリッド伝動装置を備えた全牽引差動装置
JP4289353B2 (ja) 遊星式差動ねじ型回転−直線運動変換装置
US4942781A (en) Differential planet gear unit
KR100414889B1 (ko) 무체인 동력전달용 기어부재
KR101838926B1 (ko) 듀얼타입의 파동기어장치
JPS58152958A (ja) 動力伝動装置
US4680985A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epicyclic constant mesh gearing
KR101838928B1 (ko) 듀얼타입의 파동기어장치
KR102074921B1 (ko) 동력전달장치
KR101918011B1 (ko) 듀얼타입의 파동기어장치
JPH0461983B2 (ko)
CN202690900U (zh) 一种新型齿形的齿轮偏心传动机构
KR102007323B1 (ko) 동력전달장치
KR102007321B1 (ko) 동력전달장치
KR101690151B1 (ko) 나선각을 갖는 공액 이중 싸이클로이드 치형 감속기
CN112105840B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CN214824187U (zh) 一种仪表机构转动控制装置
KR102178023B1 (ko) 인볼류트 헬리컬 기어와 결합되는 장고형의 인벨로핑 웜
KR20190129775A (ko) 동력전달장치
DE102020002698A1 (de) Getriebe mit einem eine Verzahnung aufweisenden Rad und jeweils eine Ritzelverzahnung aufweisenden Ritzeln
US3018668A (en) Varying speed ratio gearing
CN112696575B (zh) 一种控制多圈转动角度的结构
RU2782871C1 (ru) Зубчатая широкодиапазонная трансмисс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