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457A - 계류 장치 - Google Patents

계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457A
KR20190129457A KR1020180054133A KR20180054133A KR20190129457A KR 20190129457 A KR20190129457 A KR 20190129457A KR 1020180054133 A KR1020180054133 A KR 1020180054133A KR 20180054133 A KR20180054133 A KR 20180054133A KR 20190129457 A KR20190129457 A KR 20190129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fluid
pile base
base
fluid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0838B1 (ko
Inventor
신상명
김정
박태윤
전상배
전준환
정성훈
천진솔
최봉균
최정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4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83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73Details of sea bottom engaging foo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계류 장치를 제공한다. 계류 장치는 선박을 지지하는 파일, 및 해저 지반에 고정되고, 상기 파일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여 유압으로 상기 파일을 지지하는 파일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파일 및 상기 파일 베이스는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수의 파일 베이스 중 대응하는 파일 베이스간에는 상호간의 유체 이송을 위한 유체 이송관이 구비된다.

Description

계류 장치{Mo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심이 깊지 않은 천해역에 설치되는 FSRU(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 등의 선박은 방파제(jetty) 또는 돌핀(dolphin)에 계류하여 해상에서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방파제 또는 돌핀을 이용한 계류 방식은 선박의 운동을 충분히 구속하지 못하기 때문에 태풍과 같은 외부 요인에 취약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5721호 (2012.06.2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계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계류 장치의 일 면(aspect)은 선박을 지지하는 파일, 및 해저 지반에 고정되고, 상기 파일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여 유압으로 상기 파일을 지지하는 파일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파일 및 상기 파일 베이스는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수의 파일 베이스 중 대응하는 파일 베이스간에는 상호간의 유체 이송을 위한 유체 이송관이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파일 베이스 중 상기 선박의 선수 및 선미에 구비된 파일 베이스간에 유체 이송관이 구비된다.
상기 유체 이송관은 유체의 이송을 조절하는 유체 조절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파일은 상기 파일 베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유체 밀폐부를 포함한다.
제 1 파일 베이스 및 제 2 파일 베이스는 상호간의 유체 이송을 위한 제 1 유체 이송관 및 제 2 유체 이송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유체 이송관의 일단은 상기 제 1 파일 베이스에 수용된 유체 밀폐부의 상측에 구비되도록 상기 제 1 파일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유체 이송관의 타단은 상기 제 2 파일 베이스에 수용된 유체 밀폐부의 하측에 구비되도록 상기 제 2 파일 베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유체 이송관의 일단은 상기 제 1 파일 베이스에 수용된 유체 밀폐부의 하측에 구비되도록 상기 제 1 파일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유체 이송관의 타단은 상기 제 2 파일 베이스에 수용된 유체 밀폐부의 상측에 구비되도록 상기 제 2 파일 베이스에 연결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베이스에 대한 파일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에 선박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가 해저 지반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에 결합된 선박이 기울어진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가 선박의 자세를 복원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관에 유체 조절 밸브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에 선박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에 결합된 선박이 기울어진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가 선박의 자세를 복원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베이스에 대한 파일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계류 장치(10)는 파일(100), 파일 베이스(200) 및 유체 이송관(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일(100)은 선박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파일(10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상태에서 선박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선박은 파일(100)에 지지되어 해상에서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파일(100)이 선박의 측면에 배치되어 선박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파일 베이스(200)는 해저 지반에 고정되고, 파일(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파일(100)은 파일 베이스(2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선박을 지지할 수 있다.
파일 베이스(200)는 파일(100)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SP)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일 베이스(200)는 파일(100)의 출입을 위한 개구(OP)를 포함하는데, 개구(OP)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은 밀폐될 수 있다. 수용 공간(SP)에는 유체가 수용될 수 있다. 유체는 액체 또는 기체일 수 있으며, 액체 및 기체의 혼합체일 수도 있다.
파일(100)은 파일 베이스(200)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유체 밀폐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밀폐부(110)로 인하여 파일 베이스(200)의 개구(OP)를 통한 유체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파일(100)은 파일 베이스(200)를 기준으로 이동할 수 있다. 파일(100)의 이동으로 인하여 파일 베이스(200)의 수용 공간(SP)상에서 유체 밀폐부(110)가 이동할 수 있다.
파일(100)이 파일 베이스(200)에 삽입되는 경우 수용 공간(SP)이 축소되고 수용 공간(SP) 내부의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파일(100)이 파일 베이스(200)에서 방출되는 경우 수용 공간(SP)이 확장되고 수용 공간(SP) 내부의 압력이 감소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 복수의 파일(100) 각각에 대한 파일 베이스(2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4개의 파일 베이스(200)가 4개의 파일(100)에 대응되어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유체 이송관(300)은 복수의 파일 베이스(200)간의 유체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복수의 파일 베이스(200) 각각에는 유체 이송을 위한 파일 베이스(200)가 할당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파일 베이스(200)간에 유체 이송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유체 이송관(300)은 2개의 파일 베이스(200)를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3개 이상의 파일 베이스(200)가 유체 이송관(300)에 의하여 연결되고, 3개 이상의 파일 베이스(200)간에 유체 이송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2개의 파일 베이스(200)간에 유체가 이송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파일 베이스(200) 중 대응하는 파일 베이스(200)간에는 상호간의 유체 이송을 위한 유체 이송관(30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 이송관(300)은 복수의 파일 베이스(200) 중 선박의 선수 및 선미에 구비된 파일 베이스(200)간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선수 좌측에 위치하는 파일 베이스(200)와 선미 좌측에 위치하는 파일 베이스(200)가 유체 이송관(300)에 의하여 연결되고, 선수 우측에 위치하는 파일 베이스(200)와 선미 우측에 위치하는 파일 베이스(200)가 유체 이송관(30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유체 이송관(300)이 2개의 파일 베이스(200)간의 유체 이송을 수행하기 때문에 각 파일 베이스(200)의 내부의 압력이 균일하게 유지되고, 파일 베이스(200)에 대한 파일(100)의 급격한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에 선박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가 해저 지반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선박(20)은 계류 장치(10)에 결합되고, 계류 장치(10)는 해저 지반(SB)에 고정된 상태에서 선박(20)을 지지할 수 있다.
선박(20)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 장치(400)가 이용될 수 있다. 결합 장치(400)는 파일(100)과 선박(20)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선박(20)은 해상에서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파일 베이스(200)의 수용 공간(SP)에는 유체가 수용되는데,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수용 공간(SP) 내부에서 유체 밀폐부(110)가 하강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즉, 선박(20)은 파일 베이스(200)의 수용 공간(SP)에 수용된 유체의 압력을 통하여 계류 장치(10)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에 결합된 선박이 기울어진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가 선박의 자세를 복원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계류 장치(10)에 결합된 선박(20)은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조류 또는 파도에 의한 압력이 선박(20)에 작용하는 경우 선박(20)이 기울어질 수 있다.
선박(20)이 기울어지는 경우 선박(20)과 파일(100)을 연결하는 결합 장치(400)로 압력이 전달되고, 이로 인하여 결합 장치(400), 선박(20) 또는 파일(100)이 파손될 수 있다. 도 6은 선수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선박(20)이 기울어진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100)은 파일 베이스(20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선박(20)이 기울어지는 경우 선수 측에 구비된 파일(100)이 파일 베이스(200)에 삽입될 수 있다.
파일(100)이 파일 베이스(200)에 삽입되는 경우 파일 베이스(200)의 수용 공간(SP)에 수용된 유체 밀폐부(110)가 하강하고, 수용 공간(SP)이 축소되면서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증가한 압력은 유체 밀폐부(110)를 상승시키기 위한 힘으로 작용하고, 이에 파일 베이스(200)에 대하여 파일(100)이 상승할 수 있다. 파일 베이스(200)에 대하여 파일(100)이 상승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20)의 자세가 복원될 수 있다.
선수 측 파일(100)이 하강하는 경우 선수 측 파일 베이스(200)에 수용된 유체의 일부가 유체 이송관(300)을 통하여 선미 측 파일 베이스(200)로 이동할 수 있다. 유체가 이동하는 만큼 선수 측 파일 베이스(200)의 수용 공간(SP)의 급격한 압력 증가가 방지되고 선박(20)의 원만한 자세 변화가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관에 유체 조절 밸브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유체 이송관(300)에는 유체의 이동을 조절하는 유체 조절 밸브(500)가 구비될 수 있다.
유체 조절 밸브(500)는 유체 이송관(300)을 통한 유체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유체 조절 밸브(500)는 유체 이송관(300)을 통하여 이동하는 유체의 단위 시간당 부피를 제어할 수 있다.
유체 조절 밸브(500)는 유체 이송관(300)의 경로를 완전히 개방하여 유체 이송관(300)을 통한 유체의 이동이 자유롭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유체 조절 밸브(500)는 유체 이송관(300)의 경로를 완전히 폐쇄하여 유체 이송관(300)을 통한 유체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유체 이송관(300)의 경로가 완전히 개방된 경우 유체 이송관(300)에 의하여 연결된 파일 베이스(200)간의 유체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각 파일 베이스(200)의 수용 공간(SP)의 급격한 압력 변화가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유체 이송관(300)의 경로가 완전히 폐쇄된 경우 유체 이송관(300)에 의하여 연결된 파일 베이스(200)간의 유체 이동이 차단되기 때문에 각 파일 베이스(200)의 수용 공간(SP)의 급격한 압력 변화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유체 조절 밸브(500)는 유체 이송관(300)의 경로를 일부만 개방하여 유체 이송관(300)을 통하여 이동하는 유체의 단위 시간당 부피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하는 유체의 단위 시간당 부피에 따라 각 파일 베이스(200)의 수용 공간(SP)의 압력 변화량이 결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계류 장치(11)는 파일(601, 602), 파일 베이스(701, 702) 및 유체 이송관(801, 80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일(601, 602)은 선박(2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파일 베이스(701, 702)는 해저 지반(SB)에 고정되고, 파일(601, 602)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유체 이송관(801, 802)은 복수의 파일 베이스(701, 702)간의 유체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파일(601, 602), 파일 베이스(701, 702) 및 유체 이송관(801, 802)의 형태 및 기능은 전술한 파일(100), 파일 베이스(200) 및 유체 이송관(300)의 형태 및 기능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9에 도시된 2개의 파일 베이스(701, 702)를 각각 제 1 파일 베이스(701) 및 제 2 파일 베이스(702)라 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2개의 파일(601, 602)을 각각 제 1 파일(601) 및 제 2 파일(602)이라 한다.
제 1 파일 베이스(701) 및 제 2 파일 베이스(702)는 상호간의 유체 이송을 위한 제 1 유체 이송관(801) 및 제 2 유체 이송관(802)을 구비할 수 있다. 2개의 유체 이송관(801, 802)이 제 1 파일 베이스(701)와 제 2 파일 베이스(702)간의 유체 이동을 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 유체 이송관(801)의 일단은 제 1 파일 베이스(701)에 수용된 유체 밀폐부(611)의 상측에 구비되도록 제 1 파일 베이스(701)에 연결되고, 제 1 유체 이송관(801)의 타단은 제 2 파일 베이스(702)에 수용된 유체 밀폐부(612)의 하측에 구비되도록 제 2 파일 베이스(70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2 유체 이송관(802)의 일단은 제 1 파일 베이스(701)에 수용된 유체 밀폐부(611)의 하측에 구비되도록 제 1 파일 베이스(701)에 연결되고, 제 2 유체 이송관(802)의 타단은 제 2 파일 베이스(702)에 수용된 유체 밀폐부(612)의 상측에 구비되도록 제 2 파일 베이스(702)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파일 베이스(701) 및 제 2 파일 베이스(702)의 각 수용 공간(SP)의 상측 공간 및 하측 공간이 서로 교차되어 연결되도록 제 1 유체 이송관(801) 및 제 2 유체 이송관(802)이 제 1 파일 베이스(701)와 제 2 파일 베이스(702)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제 1 파일 베이스(701)의 수용 공간(SP)의 상측 공간과 제 2 파일 베이스(702)의 수용 공간(SP)의 하측 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상호간의 유체의 이동이 수행되고, 제 1 파일 베이스(701)의 수용 공간(SP)의 하측 공간과 제 2 파일 베이스(702)의 수용 공간(SP)의 상측 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상호간의 유체의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 1 파일 베이스(701) 및 제 2 파일 베이스(702)의 개구(OP)는 파일(601, 602)에 의하여 밀폐되어 수용 공간(SP)의 상측 공간에 수용된 유체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에 선박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에 결합된 선박이 기울어진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가 선박의 자세를 복원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선박(20)은 계류 장치(11)에 결합되고, 계류 장치(11)는 해저 지반(SB)에 고정된 상태에서 선박(20)을 지지할 수 있다.
파일 베이스(701, 702)의 수용 공간(SP)에는 유체가 수용되는데,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수용 공간(SP) 내부에서 유체 밀폐부(611, 612)가 하강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도 10은 2개의 파일 베이스(701, 702) 및 2개의 파일(601, 602)이 각각 선박(20)의 선미 및 선수를 지지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선박(20)의 선미 및 선수에 구비된 파일 베이스(701, 702)를 각각 제 1 파일 베이스(701) 및 제 2 파일 베이스(702)라 하고, 선박(20)의 선미 및 선수에 구비된 파일(601, 602)을 각각 제 1 파일(601) 및 제 2 파일(602)이라 한다. 또한, 제 1 파일 베이스(701)의 상측 공간과 제 2 파일 베이스(702)의 하측 공간을 연결하는 유체 이송관을 제 1 유체 이송관(801)이라 하고, 제 1 파일 베이스(701)의 하측 공간과 제 2 파일 베이스(702)의 상측 공간을 연결하는 유체 이송관을 제 2 유체 이송관(802)이라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계류 장치(11)에 결합된 선박(20)은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조류 또는 파도에 의한 압력이 선박(20)에 작용하는 경우 선박(20)이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601, 602)은 파일 베이스(701, 702)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미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선박(20)이 기울어지는 경우 제 1 파일(601)이 제 1 파일 베이스(701)에 삽입될 수 있다.
제 1 파일(601)이 제 1 파일 베이스(701)에 삽입되는 경우 제 1 파일 베이스(701)의 수용 공간(SP)에 수용된 유체 밀폐부(611)가 하강할 수 있다.
수용 공간(SP)의 하측 공간이 축소되면서 압력이 증가하고, 수용 공간(SP)의 상측 공간의 확장되면서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하측 공간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제 1 파일 베이스(701)의 하측 공간에 수용된 유체는 제 2 유체 이송관(802)을 통하여 제 2 파일 베이스(702)의 상측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측 공간의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제 2 파일 베이스(702)의 하측 공간에 수용된 유체는 제 1 유체 이송관(801)을 통하여 제 1 파일 베이스(701)의 상측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체가 제 2 파일 베이스(702)의 상측 공간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 2 파일 베이스(702)의 상측 공간의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유체가 제 2 파일 베이스(702)의 하측 공간에서 방출되는 경우 제 2 파일 베이스(702)의 하측 공간의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상측 공간에서의 압력 증가 및 하측 공간에서의 압력 감소에 의하여 제 2 파일 베이스(702)에 수용된 제 2 파일(602)의 유체 밀폐부(612)가 하강할 수 있다.
결국, 제 1 파일(601)이 하강함에 대한 결과로 제 2 파일(602)이 하강하는 것으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20)의 자세가 복원될 수 있다.
이상은 선박(20)의 선미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자세가 기울어진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선박(20)의 선수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자세가 기울어진 경우에도 제 1 파일 베이스(701)와 제 2 파일 베이스(702)간의 유체 이동에 의하여 선박(20)의 자세 복원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11: 계류 장치 20: 선박
100, 601, 602: 파일 110, 611, 612: 유체 밀폐부
200, 701, 702: 파일 베이스 300, 801, 802: 유체 이송관
400: 결합 장치 500: 유체 조절 밸브

Claims (5)

  1. 선박을 지지하는 파일; 및
    해저 지반에 고정되고, 상기 파일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여 유압으로 상기 파일을 지지하는 파일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파일 및 상기 파일 베이스는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수의 파일 베이스 중 대응하는 파일 베이스간에는 상호간의 유체 이송을 위한 유체 이송관이 구비되는 계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일 베이스 중 상기 선박의 선수 및 선미에 구비된 파일 베이스간에 유체 이송관이 구비되는 계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이송관은 유체의 이송을 조절하는 유체 조절 밸브를 포함하는 계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상기 파일 베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유체 밀폐부를 포함하는 계류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제 1 파일 베이스 및 제 2 파일 베이스는 상호간의 유체 이송을 위한 제 1 유체 이송관 및 제 2 유체 이송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유체 이송관의 일단은 상기 제 1 파일 베이스에 수용된 유체 밀폐부의 상측에 구비되도록 상기 제 1 파일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유체 이송관의 타단은 상기 제 2 파일 베이스에 수용된 유체 밀폐부의 하측에 구비되도록 상기 제 2 파일 베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유체 이송관의 일단은 상기 제 1 파일 베이스에 수용된 유체 밀폐부의 하측에 구비되도록 상기 제 1 파일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유체 이송관의 타단은 상기 제 2 파일 베이스에 수용된 유체 밀폐부의 상측에 구비되도록 상기 제 2 파일 베이스에 연결되는 계류 장치.
KR1020180054133A 2018-05-11 2018-05-11 계류 장치 KR102070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133A KR102070838B1 (ko) 2018-05-11 2018-05-11 계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133A KR102070838B1 (ko) 2018-05-11 2018-05-11 계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457A true KR20190129457A (ko) 2019-11-20
KR102070838B1 KR102070838B1 (ko) 2020-01-29

Family

ID=6872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133A KR102070838B1 (ko) 2018-05-11 2018-05-11 계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83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8187A (ja) * 1997-06-05 1998-12-22 Hokkaido Kaihatsukyoku Kaihatsu Doboku Kenkyusho 浮体構造物の係留連結装置
KR20100114186A (ko) * 2009-04-15 2010-10-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부유물용 계류장치
KR20110074450A (ko) * 2009-12-24 2011-06-30 한국과학기술원 파랑제어용 파일 어셈블리 및 파일형 파랑제어 시스템
KR20120065721A (ko) 2010-12-13 2012-06-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계류장치
KR20140052688A (ko) * 2012-10-25 2014-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
KR101514735B1 (ko) * 2013-04-22 2015-04-23 김은숙 수상구조물의 계류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8187A (ja) * 1997-06-05 1998-12-22 Hokkaido Kaihatsukyoku Kaihatsu Doboku Kenkyusho 浮体構造物の係留連結装置
KR20100114186A (ko) * 2009-04-15 2010-10-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부유물용 계류장치
KR20110074450A (ko) * 2009-12-24 2011-06-30 한국과학기술원 파랑제어용 파일 어셈블리 및 파일형 파랑제어 시스템
KR20120065721A (ko) 2010-12-13 2012-06-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계류장치
KR20140052688A (ko) * 2012-10-25 2014-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
KR101514735B1 (ko) * 2013-04-22 2015-04-23 김은숙 수상구조물의 계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838B1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55626A (en) Pipe lines for loading and unloading ships and other vessels
EP2559814B1 (en) Gravity foundation
US6241425B1 (en) Tethered marine stabilizing system
US9783947B2 (en) Submerged oil storage, loading and offloading system
MX2013004327A (es) Torre maritima para perforacion y/o produccion.
NO763774L (no) Flyte- og sveveb¦ye.
US9938681B1 (en) Floating oil containment boom
KR102070838B1 (ko) 계류 장치
US4556343A (en) Offshore oil storage and transfer facility
US3311142A (en) Tankship mooring and loading system
US3408971A (en) Submerged oil storage vessel and oil loading facility for offshore wells
JP6422177B2 (ja) 連絡橋構造体
KR102097957B1 (ko) 선체 계류 장치
US3540397A (en) Collapsible container
JP2021504215A (ja) 浮体式構造物と固定式又は浮体式構造物との間の低温製品の移送のための装置
US20240051740A1 (en) Storage of Fluids Underwater
KR20200002419A (ko) 계류 장치
KR102461386B1 (ko) 부유식 구조물
RU2180635C2 (ru) Система для швартовки судна в океане (варианты)
US3934289A (en) Marine fluid transfer apparatus
US20190162327A1 (en) Self sealing jetting valve
EP3446957A1 (fr) Barge à systèmes de piles pour l'échouage et l'amortissement des effets de la houle
KR102007734B1 (ko) 벙커링 장치
KR102016374B1 (ko) 요크 계류 장치
WO2002072415A1 (en) A method and a means for connecting two floating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