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456A -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 - Google Patents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456A
KR20190129456A KR1020180054130A KR20180054130A KR20190129456A KR 20190129456 A KR20190129456 A KR 20190129456A KR 1020180054130 A KR1020180054130 A KR 1020180054130A KR 20180054130 A KR20180054130 A KR 20180054130A KR 20190129456 A KR20190129456 A KR 20190129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unit
compressor
housing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341B1 (ko
Inventor
강은석
김태형
박성준
신승환
심성운
정민교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4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341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7/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60Assembly methods
    • F04C2230/604Mounting devices for pumps or compr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버터를 카트리지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전동 압축기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수밀이 필요한 부분을 감소시킴으로써 가스켓의 크기를 감소시켜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써,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하여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압축기 하우징, 상기 압축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인버터 삽입공간을 포함하는 인버터 하우징 및 상기 인버터 삽입공간에 상기 압축기 하우징 및 상기 인버터 하우징이 연결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모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를 동작시키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Compressor including cartridge type inverter}
본 발명은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히는 전동 압축기에 있어서, 인버터부를 카트리지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압축기의 조립성 향상, 인버터 패키지의 축소, 실링성 향상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압축기(Compressor)는 증발기에서 증발한 냉매 증기가 응축되기 용이하도록 냉매의 압력을 높여, 고온/고압 상태의 냉매가스로 변환시킨 후 응축기로 제공하는 장치이다.
차량의 공조 기기에 사용되는 압축기는 구동 방식에 따라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압축기와 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전동식 압축기가 있다.
종래 전동식 압축기에 관해서는,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5649호("전동 압축기", 공개일 2013.03.12., 이하 선행문헌 1)가 있으며, 도 1은 선행문헌 1의 대표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동식 압축기는 압축기 하우징(10), 가스켓(20) 및 인버터 어셈블리(3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 하우징(10)은 전동 압축기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으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부에 모터부와 압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압축기 하우징(10)의 모터부를 제어하는 인버터가 포함된 인버터 어셈블리(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압축기 하우징(10)과 인버터 어셈블리(30) 사이에는 서로 면접하는 면의 외곽에 맞춰 씰링을 위한 가스켓(20)이 끼워진 후, 체결공(11, 21, 31)에 볼트(40)가 삽입되어 압축기 하우징(10)과 인버터 어셈블리(30)는 서로 결합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압축기 하우징(10)의 3상 핀(12)은 인버터 어셈블리(30)의 3상 커넥터의 홀(미도시)에 삽입 및 접촉되어야 압축기 하우징(10)과 인버터 어셈블리(30)의 인버터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과 같은 구조의 전동 압축기는 압축기 하우징(10)과 인버터 어셈블리(30)의 조립시 가스켓(20)의 위치가 이탈될 우려가 있고, 압축기 하우징(10)의 3상 핀(12) 또는 인버터 어셈블리(30)의 3상 커넥터의 홀의 불량으로 서로간의 체결이 어긋날 경우, 볼트(40)의 나사산의 마모가 발생하여 압축기 하우징(10)과 인버터 어셈블리(30)의 결합이 헐거워져 가스켓(20)이 이탈해 수밀성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가스켓(20)의 크기가 압축기 하우징(10)과 인버터 어셈블리(30) 사이에는 서로 면접하는 면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어 비교적 큰 크기를 가지므로, 수밀성이 담보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압축기 하우징(10)과 인버터 어셈블리(30)의 조립을 위한 볼트(40)의 개수 및 길이가 증가하여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5649호("전동 압축기", 공개일 2013.03.1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의 목적은 인버터를 카트리지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전동 압축기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수밀이 필요한 부분을 감소시킴으로써 가스켓의 크기를 감소시켜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수밀성을 높일 수 있는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하여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압축기 하우징, 상기 압축기 하우징의 수평방향 일측에 형성되어, 인버터 삽입공간을 포함하는 인버터 하우징 및 상기 인버터 삽입공간에 상기 수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모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를 동작시키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버터부는 고전압 단자와 저전압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인버터 삽입공간에 삽입시 외부에 노출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방열부, 상기 인버터상에 형성되어, 상기 인버터 및 상기 모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 단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버터는 상기 단자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방열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인버터부가 상기 인버터 삽입공간에 삽입 및 결합시, 상기 단자부의 일면과 상기 인버터 하우징은 서로 맞닿아 상기 인버터 삽입공간을 밀폐시키며, 상기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는 상기 단자부의 일면과 상기 인버터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씰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인버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소자들이 형성되며, 상기 인버터 삽입공간은 일측에 상기 방열부가 삽입되는 방열부 삽입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 삽입공간에는 방열물질이 도포 또는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단자는 3개의 3상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하우징은 3개의 상기 3상 커넥터 단자와 각각 접촉하여 상기 모터부와 상기 인버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3개의 3상 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3상 커넥터 단자는 상기 3상 핀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3상 핀이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태이고, 상기 3상 핀이 삽입되는 부분은 탄성에 의해 확장 또는 복원되며, 상기 3상 커넥터 단자가 개방된 방향은 상기 인버터부가 상기 인버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3상 커넥터 단자는 상기 인버터가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3상 핀은 상기 3상 커넥터 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3개의 상기 3상 커넥터 단자는 절연용 격벽을 통해 구획되는 공간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인버터부가 삽입되는 방향은 상기 압축기 하우징과 상기 인버터 하우징이 형성된 방향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에 의하면, 인버터를 카트리지형으로 구성하여 인버터 하우징에 형성되는 인버터 삽입공간에 삽입 및 결합되므로, 인버터의 조립 용이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압축기의 부피와 인버터의 부피가 감소하고, 인버터부와 인버터 하우징 사이에 밀폐 및 결합이 필요한 면적이 감소하여 해당 부분에 형성되는 씰링부재를 소형화할 수 있어 수밀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씰링부재의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인버터부와 인버터 하우징간의 볼팅이 용이하며 필요한 볼트의 개수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 인버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버터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버터부의 일부 구성이 없는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와 다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인버터부의 일부 구성이 없는 상태의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의 단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의 3상 커넥터 단자와 3상 핀이 결합되는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는 압축기 하우징(100), 인버터 하우징(200) 및 인버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 하우징(100)은 모터부(미도시) 및 압축부(미도시)를 내부에 수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 하우징(200)은 압축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인버터 삽입공간(210)이 형성된다.
인버터 삽입공간(210)은 후술할 인버터부(30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인버터 하우징(200)은 인버터부(300)의 삽입된 부분의 외곽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압축기 하우징(100)과 인버터 하우징(200)은 서로 분리 및 결합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압축기 하우징과 인버터 하우징의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압축기 하우징과 인버터 하우징은 수평방향으로 서로 결합하며, 인버터 삽입공간(210)은 상기 수평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인버터부(300)도 상기 수평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삽입된다.
압축기 하우징(100) 및 인버터 하우징(20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압축기 하우징과 인버터 하우징의 재질을 합성수지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압축기 하우징과 인버터 하우징의 재질은 절연이 가능한 재질이라면 경제성 또는 제작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부(300)는 인버터 삽입공간(210)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인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는 인버터부(300)가 인버터 삽입공간(210)에 삽입되어 결합되었을 때, 압축기 하우징(100)에 포함되는 모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부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동신호 및 전력을 모터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인버터부(300)는 인버터 삽입공간(210)에 삽입되어 결합되었을 때, 인버터 삽입공간(210)을 밀폐하게 되며, 인버터 삽입공간(210)에는 상술한 인버터가 위치한다.
인버터부(300)가 인버터 삽입공간(210)에 삽입되어 결합되더라도, 물과 같은 액체가 인버터 삽입공간(210)으로 침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인버터부(300)가 인버터 삽입공간(210)에 삽입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인 단자부(310)와 인버터 하우징(200)과 맞닿는 면에 씰링부재(가스켓, 미도시)를 삽입함으로써, 인버터 삽입공간(210)의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은 구조에 씰링부재를 적용할 경우, 씰링이 필요한 단자부(310)와 인버터 하우징(200) 사이의 공간이 종래보다 감소하므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방식에 비해 씰링부재의 크기가 줄어들어 씰링 부재가 이탈할 확률이 줄어들게 되고, 씰링부재의 크기 감소로 인한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인버터 하우징(200)에 포함되는 인버터 삽입공간(210)의 개방된 방향은 압축기 하우징(100)과 인버터 하우징(200)이 연장 형성된 방향과 교차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인버터 삽입공간(210)의 개방된 방향은 압축기 하우징(100)과 인버터 하우징(200)이 형성된 방향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은 종래의 방식에 비해 압축기 자체의 부피와 인버터부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인버터부(300)와 인버터 하우징(200)을 결합시키는 볼트가 설치되는 범위가 감소함으로써(인버터부의 단자부(310)의 주변과 인버터 하우징(200) 부분에 볼팅이 이루어짐) 볼트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볼트의 길이 또한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버터부(300)만을 뒤집어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부(300)는 상술한 단자부(310)에 인버터(320)와 방열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인버터(320)와 방열부(330)는 인버터부(300)가 인버터 삽입공간(210)에 삽입시 단자부(310)와 달리 밀폐구조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단자부(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버터부(300)가 인버터 삽입공간(210)에 삽입되어 인버터 하우징(200)과 결합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고전압 단자(미도시) 및 저전압 단자(미도시)가 형성되는 부분이다. 고전압 및 저전압 단자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다.
인버터(320)는 단자부(310)의 일측, 즉 인버터부(300)가 인버터 삽입공간(210)에 삽입되는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인버터(320)는 일종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이다.
도 4는 도 3에서 방열부(330)를 제거하여, 인버터(320)만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320)는 압축기 하우징(100)에 포함되는 모터부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단자로 3개의 3상 커넥터 단자(3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상 커넥터 단자(321)는 솔더링 핀(322) 및 와이어를 통해 인버터(320)와 연결된다. 3개의 3상 커넥터 단자(321) 각각은 인버터(320) 상에 절연용 격벽(323)을 통해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형성되는데, 이는 서로 연결된 3상 커넥터 단자(321), 솔더링 핀(322) 및 와이어 각각의 절연을 위한 것이다.
절연용 격벽(323)은 절연이 가능하고, 소정 정도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의 절연능력이 충분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을 뒤집은 상태에서, 상술한 인버터(320) 및 인버터(320)에 형성되는 구성을 생략해 단자부(310)와 방열부(330)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330) 또한 인버터(320)와 마찬가지로 단자부(31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인버터(32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인버터(320)와 방열부(330)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330)는 인버터(32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전자소자(331)가 인버터(320)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자소자(331)는 전선(332)을 통해 인버터(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방열부(330)는 전자소자(331)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열용량이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알루미늄일 수 있다.
전자소자(331)는 인버터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전자소자일 수 있으며, 특히 발열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스위칭소자일 수 있다.
이하 인버터부(300)가 인버터 하우징(200)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인버터부(300)가 인버터 하우징(200)에 결합되는 과정을 단면 개략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에는 압축기 하우징(100)에 포함되는 모터부(110)와, 모터부(110)와 연결된 3상 핀(120)이 도시되어 있으며, 인버터 하우징(200)에는 인버터 삽입공간(210) 및 방열부 삽입공간(211)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단자부(310)는 고전압 단자부와 저전압 단자부로 나뉘므로 별도로 분리하도록 도시하였으나, 별도의 도번을 통해 고전압 단자부와 저전압 단자부를 구분하지는 않는다.
3상 핀(120)은 상술한 인버터부(300)의 3상 커넥터 단자(321)가 연결되어, 모터부(110)와 인버터(3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부분으로, 3상 커넥터 단자(321)의 개수인 3개에 대응하여(도 4 참조) 3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개략도이기 때문에 단일개로 표시하며, 3상 커넥터 단자(321)와 3상 핀(120)의 결합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6에 도시된 방열부 삽입공간(211)은 인버터부(300)의 삽입시 방열부(330)가 면접하는 공간으로, 인버터 삽입공간(210)의 일측에 방열부(330)에 대응되는 크기의 슬라이딩 가능한 홈이 형성된 형상일 수 있다. 방열부 삽입공간(221)에는 방열물질이 도포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방열물질은 열전도를 용이하게 하면서 절연이 가능한 물질일 수 있고, 대표적으로는 써멀 그리스(Thermal grease)와 같은 겔 상태의 방열물질이 도포되거나 방열패드가 부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과정에서 3상 핀과 3상 커넥터 단자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3상 핀과 3상 커넥터 단자만을 도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도 6과 같이 인버터부(300)가 인버터 삽입공간(210)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고, 도 8b는 도 7과 같이 인버터부(300)가 인버터 삽입공간(21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이다. 도 8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은 인버터부(300)가 인버터 삽입공간(210)에 삽입되는 방향이다.
도 8에서는 3개의 3상 핀과 3상 커넥터 단자가 도시되어 있고, 서로 접촉되어 결합되므로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3상 핀과 3상 커넥터 단자를 a, b, c와 같은 첨자를 붙여 구분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3상 커넥터 단자(321a, 321b, 321c)는 프레스 압입 구조를 가진다. 보다 상세히는 3상 커넥터 단자(321a, 321b, 321c)는 일측이 개방되어 슬라이딩되어 3상핀과 결합시 3상 핀(120a, 120b, 120c)이 삽입되는 공간(이하 삽입공간)을 가지며, 삽입공간의 입구 부분은 3상 핀(120a, 120b, 120c)에 의해 확장 또는 복원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3상 커넥터 단자(321a, 321b, 321c)는 인버터(320)에 일체로 형성되되, 삽입공간의 입구 부분은 인버터(320)의 표면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고, 소정 범위 내에서 탄성에 의한 확장 및 복원할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3개의 3상 커넥터 단자(321a, 321b, 321c)는 인버터(300)가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가장 좌측에 위치한 3상 커넥터 단자(321a)는 3개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며, 중앙에 위치한 3상 커넥터 단자(321b)는 중간에, 가장 우측에 위치한 3상 커넥터 단자(321c)는 가장 상측에 위치하며, 각각의 3상 커넥터 단자에 대응되는 3상 핀(120a, 120b, 120c) 또한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는 작업자가 실수로 인버터부(300)를 뒤집어서 인버터 삽입공간(210)에 삽입할 경우, 3상 커넥터 단자와 3상 핀이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하여, 조립이 잘못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3상 커넥터 단자(321)의 개방된 방향은 인버터부(300)가 삽입되는 방향과 일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버터부(300)는 삽입되는 방향을 좌측, 우측 또는 상하 방향으로 변경하더라도 3상 커넥터 단자(321)가 3상 핀(120)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100 : 압축기 하우징 12 : 3상 핀
20 : 가스켓 30 : 인버터 어셈블리
11, 21, 31 : 체결공 40 : 볼트
110 : 모터부 120 : 3상 핀
200 : 인버터 하우징 210 : 인버터 삽입공간
211 : 방열부 삽입공간
300 : 인버터부 310 : 단자부
320 : 인쇄회로기판 321 : 3상 커넥터 단자
322 : 솔더링 핀 323 : 절연용 격벽
330 : 방열부 331 : 전자소자
332 : 전선

Claims (11)

  1.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하여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압축기 하우징;
    상기 압축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인버터 삽입공간을 포함하는 인버터 하우징; 및
    상기 인버터 삽입공간에 상기 압축기 하우징 및 상기 인버터 하우징이 연결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모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를 동작시키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인버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고전압 단자와 저전압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인버터 삽입공간에 삽입시 외부에 노출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방열부,
    상기 인버터상에 형성되어, 상기 인버터 및 상기 모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 단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버터는 상기 단자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방열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가 상기 인버터 삽입공간에 삽입 및 결합시, 상기 단자부의 일면과 상기 인버터 하우징은 서로 맞닿아 상기 인버터 삽입공간을 밀폐시키고,
    상기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는 상기 단자부의 일면과 상기 인버터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인버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소자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삽입공간은 일측에 상기 방열부가 삽입되는 방열부 삽입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 삽입공간에는 방열물질이 도포 또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단자는 3개의 3상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 하우징은 3개의 상기 3상 커넥터 단자와 각각 접촉하여 상기 모터부와 상기 인버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3개의 3상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3상 커넥터 단자는 상기 3상 핀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3상 핀이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태이고, 상기 3상 핀이 삽입되는 부분은 탄성에 의해 확장 또는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상 커넥터 단자가 개방된 방향은 상기 인버터부가 상기 인버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방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3상 커넥터 단자는 상기 인버터가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3상 핀은 상기 3상 커넥터 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
  11. 제7항에 있어서,
    3개의 상기 3상 커넥터 단자는 절연용 격벽을 통해 구획되는 공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
KR1020180054130A 2018-05-11 2018-05-11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 KR102477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130A KR102477341B1 (ko) 2018-05-11 2018-05-11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130A KR102477341B1 (ko) 2018-05-11 2018-05-11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456A true KR20190129456A (ko) 2019-11-20
KR102477341B1 KR102477341B1 (ko) 2022-12-15

Family

ID=6872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130A KR102477341B1 (ko) 2018-05-11 2018-05-11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3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026B1 (ko) * 2006-08-11 2008-02-14 주식회사 포콘스 보드 대 보드 커넥터
JP2010112330A (ja) * 2008-11-10 2010-05-20 Jtekt Corp 電動ポンプユニット
KR20110072324A (ko) * 2009-12-22 2011-06-29 한라공조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KR20130025649A (ko) 2011-09-02 2013-03-12 한라공조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026B1 (ko) * 2006-08-11 2008-02-14 주식회사 포콘스 보드 대 보드 커넥터
JP2010112330A (ja) * 2008-11-10 2010-05-20 Jtekt Corp 電動ポンプユニット
KR20110072324A (ko) * 2009-12-22 2011-06-29 한라공조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KR20130025649A (ko) 2011-09-02 2013-03-12 한라공조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341B1 (ko)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9932B1 (en) Sealed terminal device for electric compressor
CN102686881B (zh) 逆变器一体型电动压缩机
US7175448B2 (en) Compressor having a terminal cluster block with locking end fittings
JP4562699B2 (ja) 電動圧縮機
WO2014068914A1 (ja) 電動圧縮機
WO2015005413A1 (ja) 電動圧縮機
US8608514B2 (en) Connector block with parallel electrical connection
BR112021013036A2 (pt) Arranjo para plugue que conecta conexões elétricas e seu método de montagem, dispositivo para acionar um compressor e seu uso
US20220278481A1 (en) Seal arrangement of a plug-in connection for establishing electrical connections and a device for driving a compressor with the seal arrangement
CN113464436A (zh) 电动压缩机
CN109072894B (zh) 逆变器一体型电动压缩机
CN106953473A (zh) 有内置控制装置的壳体和结合该壳体的电压缩机
US20160281698A1 (en) Electric compressor
KR20190129456A (ko)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
WO2021117477A1 (ja) 端子台
JP2000257905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2289268B1 (ko) 전동 압축기
CN116569450A (zh) 馈通和密封布置结构
JP7132195B2 (ja) 気密端子
KR100629594B1 (ko)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
CN110289524B (zh) 连接器的连接结构
KR102493783B1 (ko) 전동 압축기용 매그메이트 터미널
WO2022202803A1 (ja) 電動圧縮機
CN220083195U (zh) 电控箱部件、室外机及空调
CN213958943U (zh) 车载空调压缩机驱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