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442A - 칩 파쇄기 - Google Patents

칩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442A
KR20190129442A KR1020180054095A KR20180054095A KR20190129442A KR 20190129442 A KR20190129442 A KR 20190129442A KR 1020180054095 A KR1020180054095 A KR 1020180054095A KR 20180054095 A KR20180054095 A KR 20180054095A KR 20190129442 A KR20190129442 A KR 20190129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coupled
unit
blades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균
Original Assignee
신진 엠.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진 엠.티.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진 엠.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4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9442A/ko
Publication of KR20190129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1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axial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며 각 중앙 부위에 제1, 2관통홀(111, 121)이 형성되는 전, 후면판(11, 12),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되 전, 후면판(11, 12) 각각보다 낮은 수직 높이를 가지며 전, 후면판(11, 12)을 연결하는 제1, 2내측판(13, 14), 전, 후면판(11, 12)과 동일한 수직 높이를 가지며 제1, 2내측판(13, 14) 각 외면에 결합되는 제1, 2외측판(15, 16), 상측 부위는 제1, 2외측판(15, 16) 외부로 일정 수직 높이 돌출되고 하측 부위는 제1, 2내측판(13, 14) 상측 부위로 연장되되 좌우 측면 부위 각각이 제1, 2외측판(15, 16) 각각의 상단 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호퍼(17)가 마련되는 하우징부(10); 하우징부(10)의 전면판(11)과 일정 간격 떨어져 위치하는 모터(21), 일측 부위가 모터(21)의 구동축과 연결되고 타측 부위는 전면판(11)과 결합되는 감속기(22), 좌, 우측 부위 각각이 전, 후면판(11, 12) 각각의 제1, 2관통홀(111, 121)을 관통하되 일측 부위가 감속기(22)의 축과 연결되는 회전봉(23)이 마련되는 구동부(20); 일정 길이를 가지며 제1, 2내측판(13, 14) 각각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1, 2고정칼날(31, 32), 구동부(20)의 회전봉(23)에 결합되는 중공 구조의 관으로서 외면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칼날(331)이 구비되는 회전칼날(33)이 마련되는 파쇄부(30);를 포함하는 칩 파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칩 파쇄기{Chip crusher}
본 발명은 칩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보다 간단한 구조로서 절삭가공 등에서 발생하는 칩을 일정 크기 이하로 용이하게 파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 중에 칼날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칼날만을 신속하게 수리하거나 교체하는 것이 가능한 칩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공작기계를 사용하여 금속제품을 절삭 등의 방법으로 가공할 때 가공부산물로서 칩(chip)이 발생하게 되는데,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칩들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컨베이어를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수거박스 등을 이용하여 처리하고 있다.
한편, 가공부산물로서의 칩은 가공의 방식에 따라 그 형상을 달리하나 대개의 경우 스프링과 같이 일정 길이의 나선 형상을 이루거나 또는 일정 각도로 꺽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칩들을 수시로 수거하지 않으면 누적되어 쌓이는 칩에 의해 공작기계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 관련업계에서는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은 칩 파쇄기를 공작기계에 별도 설치하여, 공작기계에서 발생하는 칩을 파쇄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럴 경우, 칩이 일정 크기 이하로 파쇄됨에 따라 공작기계의 손상 없이 종래에 비해 칩의 수거 주기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종래 칩 파쇄기는 외면에 복수 개의 칼날이 구비되는 회전날에 의해 투입되는 칩을 파쇄하는 구조인데, 회전날에 구비되는 칼날 중의 어느 하나가 마모되거나 또는 손상되면, 회전날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데 이는 작업성을 현저히 떨어뜨릴 뿐 아니라 유지 관리 비용을 현저히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39730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파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파쇄 작업 중에 칼날의 손상이 발생하면 손상된 해당 부위만을 간단하게 교체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칩 파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며 각 중앙 부위에 제1, 2관통홀(111, 121)이 형성되는 전, 후면판(11, 12),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되 전, 후면판(11, 12) 각각보다 낮은 수직 높이를 가지며 전, 후면판(11, 12)을 연결하는 제1, 2내측판(13, 14), 전, 후면판(11, 12)과 동일한 수직 높이를 가지며 제1, 2내측판(13, 14) 각 외면에 결합되는 제1, 2외측판(15, 16), 상측 부위는 제1, 2외측판(15, 16) 외부로 일정 수직 높이 돌출되고 하측 부위는 제1, 2내측판(13, 14) 상측 부위로 연장되되 좌우 측면 부위 각각이 제1, 2외측판(15, 16) 각각의 상단 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호퍼(17)가 마련되는 하우징부(10); 하우징부(10)의 전면판(11)과 일정 간격 떨어져 위치하는 모터(21), 일측 부위가 모터(21)의 구동축과 연결되고 타측 부위는 전면판(11)과 결합되는 감속기(22), 좌, 우측 부위 각각이 전, 후면판(11, 12) 각각의 제1, 2관통홀(111, 121)을 관통하되 일측 부위가 감속기(22)의 축과 연결되는 회전봉(23)이 마련되는 구동부(20); 일정 길이를 가지며 제1, 2내측판(13, 14) 각각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1, 2고정칼날(31, 32), 구동부(20)의 회전봉(23)에 결합되는 중공 구조의 관으로서 외면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칼날(331)이 구비되는 회전칼날(33)이 마련되는 파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단위 칼날(331)은 상기 회전칼날(33)에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호 대향하는 고정칼날 사이에 회전칼날을 배치하고, 회전칼날 외면에 복수 개의 단위 칼날을 일정 간격만큼씩 이격시켜 마련함으로써, 투입되는 칩이 회전칼날의 회전 중에 고정칼날과 회전칼날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일정 크기 이하로 매우 용이하게 파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칼날에 마련되는 단위 칼날이 별도의 볼트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작업 과정에서 칼날의 손상이 발생하면 해당 칼날만을 손쉽게 수리하거나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여 파쇄기를 장시간 매우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장시간 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칩 파쇄기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칩 파쇄기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칩 파쇄기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
도 4는 종래 칩 파쇄기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칩 파쇄기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 평면 구성도 그리고 분해 구성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부(10), 구동부(20), 파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하우징부(10)는 본 발명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전, 후면판(11, 12), 제1, 2내측판(13, 14), 제1, 2외측판(15, 16), 호퍼(17)가 마련된다.
전, 후면판(11, 12) 각각은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한다. 전, 후면판(11, 12) 각각의 중앙 부위에는 제1, 2관통홀(111, 121)이 형성된다.
제1, 2내측판(13, 14) 각각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며, 전, 후면판(11, 12) 각각을 연결한다. 제1, 2내측판(13, 14)은 판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과 같이 전, 후면판(11, 12) 각각보다 낮은 수직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2외측판(15, 16) 각각은 상호 간에 대향하며 제1, 2내측판(13, 14) 각 외면에 결합된다. 제1, 2외측판(15, 16)은 판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과 같이 전, 후면판(11, 12)과 동일한 수직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 후면판(11, 12), 제1, 2내측판(13, 14), 제1, 2외측판(15, 16)은 일체화된다.
호퍼(17)는 칩이 투입되는 부분으로, 그 상측 부위는 제1, 2외측판(15, 16) 외부로 일정 수직 높이 돌출되고, 그 하측 부위는 도 1과 같이 제1, 2내측판(13, 14) 상측 부위로 연장되며, 좌우 측면 부위 각각은 제1, 2외측판(15, 16) 각각의 상단 부위에 고정 결합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18은 하우징부(10)의 하측 부위에 형성되는 배출구이다. 호퍼(17)를 통해 투입된 칩들은 고정칼날(31)과 회전칼날(32)에 의해 일정 크기 이하로 파쇄된 다음 배출구(18)를 통해 배출된다. 배출부(18) 하측에는 미도시된 컨베이어 또는 수거박스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20)는 후술할 회전칼날(33)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부분으로, 모터(21), 감속기(22), 회전봉(23)으로 이루어진다.
모터(21)는 하우징부(10)의 전면판(11)과 일정 간격 떨어져 위치한다. 모터(21)는 전기로 작동하는 통상적인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속기(22)는 그 일측 부위가 미도시된 모터(21)의 구동축과 연결되고, 그 타측 부위는 전면판(11)과 결합된다.
회전봉(23)은 도 3과 같이 좌, 우측 부위 각각이 전, 후면판(11, 12) 각각의 제1, 2관통홀(111, 121)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일측 부위는 감속기(22)의 축(221)과 연결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231, 232 각각은 전, 후면판(11, 12)에 결합되는 플랜지로서, 하우징부(10)에 대한 회전봉(23)의 자유 회전을 담보한다.
파쇄부(30)는 호퍼(17)로 투입되는 칩을 일정 크기 이하로 파쇄하는 부분이다. 파쇄부(30)는 제1, 2고정칼날(31, 32) 및 회전칼날(33)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제1, 2고정칼날(31, 32) 각각은 도 3과 같이, 일정 길이를 가지는 스트립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1, 2내측판(13, 14) 각각의 상면에 고정 결합된다. 제1, 2고정칼날(31, 32)의 제1, 2칼날부(311, 321) 각각은 도 1과 같이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한다.
회전칼날(33)은 중공 구조의 관으로 구성되어 구동부(20)의 회전봉(23)에 결합된다. 이때, 회전칼날(33)의 외면에는 복수 개의 단위 칼날(331)이 마련되고, 단위 칼날(331) 각각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선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즉, 제1, 2고정칼날(31, 32)의 제1, 2칼날부(311, 321) 각각이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하여 제1, 2내측판(13, 14) 각각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고, 회전칼날(33)이 구동부(20)의 회전봉(23)에 결합되면, 도 2와 같이 회전칼날(33)의 각 단위 칼날(331)은 제1, 2칼날부(311, 321)와 일정 간격 이격된 형태를 이룬다.
이 상태에서, 호퍼(17)를 통해 칩이 투입되면, 칩은 회전칼날(33)을 따라 회전하면서 제1, 2칼날부(311, 321)와 단위 칼날(331) 사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으로 순차적으로 끼이게 되고, 각 공간(s)에 끼인 칩은 뒤이어 각 공간(s)에 진입하는 각 단위 칼날(331)에 의해 일정 크기 이하로 파쇄되며, 파쇄된 칩들은 배출구(18)를 통해 파쇄기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은 회전칼날(33)에 단위 칼날(331)을 마련함에 있어, 단위 칼날(331) 각각이 회전칼날(33)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즉, 단위 칼날(331) 각각이 별도의 볼트에 의해 회전칼날(33) 외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단위 칼날(331) 각각이 회전칼날(33)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면, 작업 도중에 특정 칼날 부위가 손상될 때 종래와 같이 회전칼날 전체를 수리하거나 교체할 필요 없이 해당 칼날만을 간단히 수리하거나 교체하는 것에 의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하우징부 20 : 구동부
30 : 파쇄부

Claims (2)

  1.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며 각 중앙 부위에 제1, 2관통홀(111, 121)이 형성되는 전, 후면판(11, 12),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되 전, 후면판(11, 12) 각각보다 낮은 수직 높이를 가지며 전, 후면판(11, 12)을 연결하는 제1, 2내측판(13, 14), 전, 후면판(11, 12)과 동일한 수직 높이를 가지며 제1, 2내측판(13, 14) 각 외면에 결합되는 제1, 2외측판(15, 16), 상측 부위는 제1, 2외측판(15, 16) 외부로 일정 수직 높이 돌출되고 하측 부위는 제1, 2내측판(13, 14) 상측 부위로 연장되되 좌우 측면 부위 각각이 제1, 2외측판(15, 16) 각각의 상단 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호퍼(17)가 마련되는 하우징부(10);
    하우징부(10)의 전면판(11)과 일정 간격 떨어져 위치하는 모터(21), 일측 부위가 모터(21)의 구동축과 연결되고 타측 부위는 전면판(11)과 결합되는 감속기(22), 좌, 우측 부위 각각이 전, 후면판(11, 12) 각각의 제1, 2관통홀(111, 121)을 관통하되 일측 부위가 감속기(22)의 축과 연결되는 회전봉(23)이 마련되는 구동부(20);
    일정 길이를 가지며 제1, 2내측판(13, 14) 각각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1, 2고정칼날(31, 32), 구동부(20)의 회전봉(23)에 결합되는 중공 구조의 관으로서 외면에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칼날(331)이 구비되는 회전칼날(33)이 마련되는 파쇄부(30);를
    포함하는 칩 파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칼날(331)은 상기 회전칼날(33)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파쇄기.
KR1020180054095A 2018-05-11 2018-05-11 칩 파쇄기 KR20190129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095A KR20190129442A (ko) 2018-05-11 2018-05-11 칩 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095A KR20190129442A (ko) 2018-05-11 2018-05-11 칩 파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442A true KR20190129442A (ko) 2019-11-20

Family

ID=68729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095A KR20190129442A (ko) 2018-05-11 2018-05-11 칩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94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742B1 (ko) * 2021-09-08 2022-07-11 (주)원보 분리 가능한 폐기물 분쇄기용 파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폐기물 분쇄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730B1 (ko) 2001-10-17 2004-07-14 구자명 정수기의 산소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730B1 (ko) 2001-10-17 2004-07-14 구자명 정수기의 산소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742B1 (ko) * 2021-09-08 2022-07-11 (주)원보 분리 가능한 폐기물 분쇄기용 파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폐기물 분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832B1 (ko)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US5873397A (en) Wood pulverizer with improved hammers and anvils
US20200331000A1 (en) Rotor chamber fin for chipper shredder
US3708129A (en) Cutter machine
KR20190129442A (ko) 칩 파쇄기
CN205308484U (zh) 粉碎装置
KR102237772B1 (ko) 바이트인 커터를 구비한 폐기물 분쇄기
KR100526953B1 (ko) 목재 분쇄 장치
CN105562173A (zh) 一种木材粉碎机
CN106334611A (zh) 双轴撕碎机的刀具结构
JP3051981B1 (ja) 繊維含有材料の縦型粗粉砕装置及びその刃物構造
ES2187027T3 (es) Carcasa para una maquina trituradora.
KR200433588Y1 (ko) 다용도 분쇄 장치
CN205109738U (zh) 玻璃碾碎机
US6196284B1 (en) Wood pulverizer with improved grates and grate components
JPH0938515A (ja) 破砕機
CN206008886U (zh) 一种面条粉碎机
CN205361556U (zh) 一种塑料破碎机
CN201669828U (zh) 粗碎机
CN205216959U (zh) 草料粉碎机构
CN105251576A (zh) 草料粉碎机
JP5879128B2 (ja) 供給シュートの軸に対して傾けられたロータを有している小型粉砕機
CN207169858U (zh) 一种高效废钢破碎机
JP3246504U (ja) 木材粉砕装置
CN205217004U (zh) 草料粉碎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