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339A -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sump of nuclear power facilit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sump of nuclear power fac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339A
KR20190129339A KR1020180053817A KR20180053817A KR20190129339A KR 20190129339 A KR20190129339 A KR 20190129339A KR 1020180053817 A KR1020180053817 A KR 1020180053817A KR 20180053817 A KR20180053817 A KR 20180053817A KR 20190129339 A KR20190129339 A KR 20190129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level control
control unit
sump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8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6113B1 (en
Inventor
김민수
김기현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53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113B1/en
Publication of KR20190129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3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1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rectly and easily check performance of a pump and performance of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even when a water level of a sump is 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for controlling a water level of a sump of a nuclear power facility comprises: a movable water level control unit inserted from the outside of a sump of a nuclear power facility into a storage fluid stored in the inside of the sump or moved to the outside of the sump, and having a connection unit on one side thereof to be formed in a movable type; and a fluid supply control unit connected with the movable water level control unit through a fluid supply path and controlling a supply amount of a water level control fluid to be supplied to the movable water level control unit. The movable water level control unit is selectively moved and arranged inside the sump in accordance with an external force, stores the water level control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control unit, and controls a water level of the storage fluid by a net positive suction head.

Description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SUMP OF NUCLEAR POWER FACILITY}Drainage water level control device for nuclear power plant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SUMP OF NUCLEAR POWER FACILITY}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가 제공된다.A sump level control device for a nuclear power plant is provided.

일반적으로 원자력시설의 배수조(Sump)에는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수직장축 펌프 및 수위 검출부가 사용된다. 원자력시설의 경우 설치된 수직장축 펌프 또는 수위 검출부의 동작여부 등의 성능에 대한 주기적인 테스트가 진행되며, 이러한 테스트는 가동 중 시험으로 진행된다. In general, a vertical long pump and a level detector for transporting a fluid are used in a sump of a nuclear power plant. In the case of nuclear facilities, periodic tests on the performance of installed vertical long-term pumps or level detectors are carried out. These tests are carried out during operation.

배수조의 수위가 낮아 펌프기동을 할 수 없는 경우, 시험요건을 만족하지 않아 펌프의 성능에 대하여 주기적인 시험을 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펌프기동을 할 수 없는 경우, 수위 검출부의 성능에 대해서도 직접 시험을 진행하기가 어렵고, 대신 모의신호를 통한 간접시험을 진행할 수 있을 뿐이다. 펌프시험을 위해 인위적으로 오염되지 않은 유체를 배수조에 채우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If the pump level cannot be started due to low water level in the sump, it may be difficult to perform periodic tests on the performance of the pump because the test requirements are not met. In addition, when the pump can not be started, it is difficult to directly test the performance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and instead, it is only possible to conduct an indirect test through a simulation signal. Techniques for filling the sump with artificially uncontaminated fluid for pump testing have been developed.

관련 선행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1,783,248은 "수직장축펌프 성능시험장치"를 개시하며, 한국등록특허 792,756는 "수조의 수위제어 장치"를 개시하며, 일본공개특허 2006-161791는 "급배수조의 수위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As a related prior document, Korean Patent No. 1,783,248 discloses "vertical long shaft pump performance test apparatus", Korean Patent No. 792,756 discloses "water level control apparatus of a water tank",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6-161791 discloses "water level of a water supply and drainage tank. Control device ".

한국등록특허 1,783,248Korea Patent 1,783,248 한국등록특허 792,756Korea Patent 792,756 일본공개특허 2006-161791Japanese Laid-Open Patent 2006-161791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배수조의 수위가 낮은 경우에도 펌프의 성능 및 수위 검출부의 성능을 직접적이고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rectly and easily check the performance of the pump and the performance of the water level detector eve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ump is low.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배수조의 수위가 낮은 경우에도 폐기물을 증가시키지 않고 펌프와 수위 검출부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pump and the level detector without increasing waste eve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ump is low.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achieve other objects not specifically mentioned.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는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의 외부에서 배수조의 내부에 저장된 저장유체로 투입되거나 배수조의 외부로 이동되고, 일측에 연결부를 갖고 이동형으로 형성되는 이동형 수위 조절부, 그리고 이동형 수위 조절부와 유체 공급경로를 통해 연결되고, 이동형 수위 조절부로 공급되는 수위조절유체의 공급양을 조절하는 유체 공급 조절부를 포함하며, 이동형 수위 조절부는 외력에 따라 배수조 내부에 선택적으로 이동 배치되고, 유체 공급 조절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위조절유체를 저장하고, 그리고 저장유체의 수위를 유효흡입수두로 조절한다.Drainage level control device for a nuclear power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roduced into the storage fluid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drainage tank from the outside of the drainage tank of the nuclear power plant or moved to the outside of the drainage tank, is formed to be movable with a connection on one side A mobile water level control unit and a fluid level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mobile level control unit through the fluid supply path, and the fluid supply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supply amount of the level control fluid supplied to the mobile level control unit, the mobile level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ce It is selectively moved within and stores the level control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control unit, and the level of the storage fluid is adjusted to the effective suction head.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배수조의 수위가 낮은 경우에도 펌프의 성능 및 수위검출부의 성능을 직접적이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배수조의 수위가 낮은 경우에도 폐기물을 증가시키지 않고 펌프와 수위검출부의 성능을 시험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and easily check the performance of the pump and the water level detector eve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ump is low, and the performance of the pump and the water level detector without increasing waste even if the water level of the sump is low. Can be teste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조에 이동형 수위 조절부가 투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조에 이동형 수위 조절부가 투입되어 수위가 조절된 상태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위 조절부에 고정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위 조절부의 제1 수위 조절유닛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water level control unit is put in the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sump level control device of a nuclear power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comparing the state in which the water level is adjusted by the input of the movable water level control unit in the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ed portion is coupled to the movable water level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level control unit of the movable level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and description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in nature and not restrictiv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well-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sump level control device of a nuclear power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조에 이동형 수위 조절부가 투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조에 이동형 수위 조절부가 투입되어 수위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비교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는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 유체 공급 조절부(20)를 포함한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water level control unit is put into a drai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for a nuclear power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comparing the state in which the water level is adjusted by the input of the movable water level control unit in the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3, the sump level control device of the nuclear power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level control unit 100, the fluid supply control unit 20.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는 배수조(10) 내부로 투입되거나 외부로 이동되도록 재사용 가능한 이동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약 1 시간 내외의 시간 동안 펌프의 오작동 여부를 체크한 후,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를 제거하므로, 배수조(10)의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다른 배수조에서 재사용 가능하므로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The movable water level control unit 100 is formed into a reusable movable type to be introduced into the drainage tank 10 or moved outward. Accordingly, after checking whether the pump is malfunctioning for about 1 hour or so, the mobile water level control unit 100 is removed, thereby minimizing contamination of the drain tank 10 and reusing it in another drain tank. Cost reduction is possible.

반면, 종래의 수위 조절 장치는 고정식으로 배수조에 설치되므로 배수조의 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배수조가 여러 개인 경우 배수조마다 종래의 수위 조절 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is fixedly installed in the sump can cause contamination of the sump, and in the case of several drains, the conventional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must be installed for each sump, which can be expensive.

배수조(10)는 누설된 유체나 사용 후 유체 등의 저장유체(10a)를 저장하는 수집장치이다. 배수조(10)의 수위 조절장치는 배수조(10) 내부에 저장된 저장유체(10a)를 이송하기 위한 배수용펌프(14)와 배수조(10) 내부에 저장된 저장유체(10a)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는 외력에 따라 배수조(10) 내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저장유체(10a)의 수위를 미리 설정된 수위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수위는 배수조(10)의 저장유체(10a)를 배수용펌프(14)가 흡입할 수 있는 유효흡입수두(W1)로 설정될 수 있다. 배수용펌프(14)는 하부에 구비된 흡입구와 상부에 구비된 모터를 장축으로 연결하여 배수조(10)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배수용펌프(14)는 배수조(10)에 저장된 저장유체(10a)를 하부에서 상부로 흡입하는데, 배수조(10) 내에서 수위를 적절하게 변경하면서 배수용펌프(14)의 유효흡입수두(W1) 성능시험을 해야 한다. The drain 10 is a collecting device for storing the storage fluid (10a), such as leaked fluid or used fluid.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of the drainage tank 10 adjusts the water level of the drainage pump 14 for transferring the storage fluid 10a stored in the drainage tank 10 and the storage fluid 10a stored in the drainage tank 10. The water level detector 12 may further include a detector. The movable water level control unit 100 may be selectively disposed in the drain 10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to adjust the level of the storage fluid 10a to a predetermined level. Here,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may be set to an effective suction head W1 through which the drain pump 14 may suck the storage fluid 10a of the drain tank 10. The drain pump 14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provided in the lower part and the motor provided in the upper part with a long axis and is installed in the drainage tank 10 in a vertical direction. The drainage pump 14 sucks the storage fluid 10a stored in the drainage tank 10 from the bottom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effective suction head of the drainage pump 14 while appropriately changing the water level in the drainage tank 10. (W1) Performance tests are to be carried out.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는 배수조(10)의 외부에서 배수조(10)의 내부에 저장된 저장유체(10a)로 투입되거나 배수조(10)의 외부로 이동되도록 일측에 연결부(102)를 갖고 재사용 가능한 이동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는 외력에 따라 배수조(10) 내부에 선택적으로 이동 배치되어 유체 공급 조절부(20)로부터 공급되는 수위조절유체를 저장하여 저장유체(10a)의 수위를 배수용펌프(14)가 흡입할 수 있는 유효흡입수두(W1) 이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는 배수조(10) 내에서 자중 또는 부피팽창으로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는 미리 설정된 잠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는 제1 수위 조절유닛(110), 그리고 제2 수위 조절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vable water level control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10a stored in the drainage tank 10 from the outside of the drainage tank 10 o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rainage tank 10 so as to move out of the drainage tank 10. It can be formed into a removable and reusable mobile. And the movable water level control unit 100 is selectively disposed in the drain tank 10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ce to store the water level control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control unit 20 for draining the water level of the storage fluid (10a) The pump 14 can be adjusted to more than the effective suction head (W1) that can be sucked. The movable water level control unit 100 may adjust the water level by the self-weight or volume expansion in the drain 10. And the movable water level control unit 100 may be formed of a preset diving structure. In addition, the movable level control unit 10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this case, the movable level control unit 100 may be formed in different sizes. The movable level control unit 100 may include a first level control unit 110 and a second level control unit 120.

제1 수위 조절유닛(110)은 개구된 상부와 복수의 배수홀(112)을 갖는 하부를 연결하는 측부를 포함하여 내부 저장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수위 조절유닛(110)은 배수조(10) 내에 투입되어 바닥면으로 가라앉도록 무게추 기능을 한다. 제1 수위 조절유닛(110)은 하부에 구비된 복수의 배수홀(112)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배수조(10) 내부의 바닥면으로 가라 앉을 수 있다. 제1 수위 조절유닛(110)은 자체 무게로 배수조(10) 내부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수위 조절유닛(110)은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의 배수조(10) 내부 이동시 배수조(10) 내부에서 부력으로 인한 상승 또는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무게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water level adjusting unit 110 may form an inner storage space including a side portion connecting the opened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having the plurality of drainage holes 112. 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unit 110 is put into the drain 10 to function as a weight to sink to the bottom surface. 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unit 110 may sink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drain tank 10 more easily through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112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unit 110 may adjust the water level in the drain 10 by its own weight. 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unit 110 may be formed to a weight that can prevent the rise or movement due to buoyancy in the water tank 10 when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0 of the movable water level control unit 100 moves.

제1 수위 조절유닛(110)은 내부에 제2 수위 조절유닛(120)을 고정시키고 이동이 용이한 적절한 위치에 연결부(102)를 구비한다. 연결부(102)에는 인양부(140)가 결합되어 필요시 제1 수위 조절유닛(110)의 설치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수위 조절유닛(110)의 이동부를 이용하여 제1 수위 조절유닛(110)을 이동하는 것은 배수조(10)의 외부에 설치되는 이동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hook)를 이용한 크레인의 사용 또는 체인블록을 사용하여 제1 수위 조절유닛(110)을 배수조(10)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수위 조절유닛(110)은 배수조(10) 내부에서 적절한 공간에 이동설치가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2차 오염이 최소화될 수 있다.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unit 110 has a connection portion 102 at an appropriate position to fix the second water level control unit 120 therein and to easily move. The lifting unit 14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102 to mov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unit 110 if necessary. Moving the first water level adjusting unit 110 using the moving portion of the first water level adjusting unit 110 may use a moving device installed outside the drainage tank 10. For example, 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unit 110 may be moved out of the sump 10 by using a hook or a chain block using a hook. Accordingly, since 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unit 110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an appropriate space in the drainage tank 10, secondary pollution may be minimized.

그러나, 종래의 고정식 수위 조절 장치의 경우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원자력 시설과 같은 경우 오염문제로 인하여 배수조 자체의 구조를 변경 보수하는 것이 어려우며, 배수조 내부를 청소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수위 조절 장치가 장시간 배수조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는 경우 오염물질 부착 등에 의한 2차 오염이 발생하여 수위 조절부의 유지 보수가 어려울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fixed level control device, contamination may occur. In the case of nuclear power plants, it is difficult to change and repair the structure of the sump itself due to pollution problems, and it is difficult to clean the inside of the sump. Therefore, when the conventional level control device is mounted in a fixed state inside the drainage tank for a long time, secondary pollution may occur due to the attachment of contaminants, and thus maintenance of the level control unit may be difficult.

제1 수위 조절유닛(110)은 체적이 크고 무게가 무거운 형태의 1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위 조절유닛(110)은 상대적으로 체적이 작고 무게가 가벼운 형태의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first water level adjusting unit 110 may be provided as one of a large volume and a heavy weight. In addition, the first water level adjusting unit 110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forms having a relatively small volume and light weight.

제2 수위 조절유닛(120)은 제1 수위 조절유닛(110)의 저장공간에 구비되어 유체 공급경로(130)에 연결되며, 유체 공급 조절부(20)로부터 공급되는 수위조절유체가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체적이 변화된다. 여기서, 유체 공급경로(130)는 플렉시블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유체 공급경로(130)와 제2 수위 조절유닛(120)의 결합부분은 체결부(122)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체결부(122)를 통해 유체 공급경로(130)와 제2 수위 조절유닛(12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 제2 수위 조절유닛(120)은 수위조절유체를 내부에 채움으로써 체적이 변화될 수 있고, 외부와 내부가 격리되어 섞이지 않도록 고무재질의 튜브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수위 조절유닛(120)은 2차 오염을 최소화하고 제1 수위 조절유닛(110) 내부에서 적어도 일면이 고정되게 구비되어 체적이 변화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위 조절유닛(120)은 체적 변화가 큰 1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위 조절유닛(120)은 체적 변화가 상대적으로 작은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The second level control unit 120 is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first level control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path 130, the level control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control unit 20 flows into the interior Volume changes. Here, the fluid supply path 130 may be provided in a flexible form.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luid supply path 130 and the second water level control unit 120 may be implemented by a fastening portion 122. It is easy to couple and separate the fluid supply path 130 and the second water level control unit 120 through the fastening part 122 shown in FIG. The second level control unit 120 may be changed in volume by filling the level control fluid therein,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ube of rubber material so that the outside and the inside are not mixed with each other. The second water level control unit 12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volume is changed by minimizing secondary pollution and having at least one surface fixedly inside 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unit 110. For example, the second water level control unit 120 may be provided with one large volume change. In addition, the second water level adjusting unit 12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latively small volume change.

유체 공급 조절부(20)는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와 유체 공급경로(130)를 통해 연결되어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로 공급되는 수위조절유체의 공급양을 조절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공급 조절부(20)는 배수조(10) 내부에 저장된 저장유체(10a)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12)로부터 검출된 저장유체(10a)의 수위(W2)가 미리 설정된 수위인 유효흡입수두(W1)보다 낮을 경우 구동되어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로 수위조절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수위조절유체는 저장유체(10a)와는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조절유체는 저장유체(10a)보다 오염되지 않은 유체로 구비될 수 있다. 유체 공급 조절부(20)는 수위조절유체 이송을 위한 배관(150), 조절밸브(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위조절유체의 이송을 위한 배관(150) 및 조절밸브(160)는 수위조절유체를 제2 수위 조절유닛(120)에 주입하고 배출하는 기능을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배관(150)은 주입배관과 배출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주입배관은 배수조(10) 내의 저장유체(10a)의 자중을 들어올릴 만큼의 성능을 가진 펌프가 장착될 수 있다. 배출배관은 배수조(10) 내의 저장유체(10a)에 의한 자중에 의해 별도의 배출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유체차단을 위한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The fluid supply control unit 20 may include a pump that is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water level control unit 100 and the fluid supply path 130 to adjust the supply amount of the water level control fluid supplied to the mobile water level control unit 100. have. The fluid supply control unit 20 is effective in that the water level W2 of the storage fluid 10a detected from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12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storage fluid 10a stored in the drain 10 is a predetermined level. When lower than the suction head (W1) is driven can be supplied to the level control fluid to the mobile level control unit (100). Here, the level control fluid may be provided differently from the storage fluid (10a). For example, the level control fluid may be provided with a fluid that is not contaminated than the storage fluid 10a. The fluid supply control unit 20 may further include a pipe 150, a control valve 160, and the like for level control fluid transfer. The pipe 150 and the control valve 160 for the transfer of the level control fluid may guide the function of injecting and discharging the level control fluid into the second level control unit 120. Here, the pipe 150 may include an injection pipe and a discharge pipe. The injection pipe may be equipped with a pump having a performance enough to lift the weight of the storage fluid 10a in the drain 10. The discharge pipe does not need a separate discharge device by its own weight by the storage fluid (10a) in the drain 10 can be installed a valve for blocking the fluid.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위 조절부에 고정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위 조절부의 제1 수위 조절유닛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는 고정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00)는 제1 수위 조절유닛(110)과 제2 수위 조절유닛(120) 사이에 구비되어 제2 수위 조절유닛(120)을 제1 수위 조절유닛(11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고정부(200)는 제2 수위 조절유닛(120)의 고정 결합을 지지하며, 고정홀(212)을 갖는 고정판(210), 그리고 고정홀(212)에 결합되어 고정판(210)과 제1 수위 조절유닛(110)의 내부 바닥면을 이격시키도록 연결하는 지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210)은 제2 수위 조절유닛(120)의 외측 바닥면과 고정 결합되며, 제2 수위 조절유닛(120)이 고정판(2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판(210)과 제2 수위 조절유닛(120)의 고정 결합은 본딩 또는 체결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고정홀(212)은 복수의 걸림턱을 갖는다. 따라서, 지지부(220)의 머리부분이 고정홀(2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판(210)의 상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220)는 고정판(210)과 제1 수위 조절유닛(110)의 내부 바닥면을 이격시키는 길이를 갖고 형성된다. 지지부(220)가 체결되는 제1 수위 조절유닛(110)의 내부 바닥면에는 체결홀(114)이 구비될 수 있다. 체결홀(114)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220)를 통해 고정판(210)과 제1 수위 조절유닛(110)이 간격을 두고 이격됨에 따라 이격공간을 통해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다. 따라서, 제2 수위 조절유닛(120)의 고정 결합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제1 수위 조절유닛(110)의 잠수를 더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xed part is coupled to a movable water level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of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unit of the movable water level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drawing. 4 and 5, the movable water level adjust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unit 200. The fixing part 20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unit 110 and the second water level control unit 120 to separate the second water level control unit 120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unit 110. You can. The fixing part 200 supports the fixing coupling of the second water level adjusting unit 120, and is fixed to the fixing plate 210 having the fixing hole 212, and the fixing hole 212, and the fixing plate 210 and the first water level. It may include a support 220 for connecting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ontrol unit 110 to be spaced apart. The fixing plate 21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water level adjusting unit 120 and prevent the second water level adjusting unit 1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plate 210. The fixed coupling of the fixed plate 210 and the second water level control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a bonding or fastening structure. The fixing hole 212 has a plurality of locking jaws. Therefore, the head portion of the support 220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10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212. The support part 220 is formed to have a length that separates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10 and 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unit 110. A fastening hole 114 may be provid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unit 110 to which the support unit 220 is fastened. The fastening hole 114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s the fixing plate 210 and 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unit 110 are spaced apart at intervals through the support 220, smooth drainage is possible through the separation spa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implement the diving of the first level control unit 110 in a state of supporting the fixed coupling of the second level control unit 120.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배수조(10)의 수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5 will be described a process of adjusting the water level of the drain tank 10 by using the water tank level control device of the nuclear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는 원자력시설 또는 중요시설의 배수조(10)에 적용될 수 있다. 원자력시설 또는 중요시설의 경우 주기적으로 설치된 배수용펌프(14) 또는 수위 검출부(12)의 동작여부 등의 성능에 대한 시험이 주기적으로 진행되며, 가동 중 시험이 진행된다. 그런데 배수조(10) 내에 저장된 저장유체(10a)는 자연 증발 또는 외부 배출 등의 이유로 수위가 낮아질 수 있다. 배수용펌프(14) 시험의 경우 배수조(10)의 내부에 저장된 저장유체(10a)의 수위(W2)가 유효흡입수두(W1) 이하로 낮아지면 배수용펌프(14)의 기동을 못하게 된다. 결국, 유효흡입수두(W1) 성능시험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여 배수용펌프(14)의 주기적인 성능시험을 못하게 된다. 그리고 수위 검출부(12)의 경우 모의신호를 통한 간접시험만을 수행하게 된다. Drainage water level control device of a nuclear power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drainage tank 10 of the nuclear power plant or critical facilities. In the case of nuclear facilities or critical facilities, tests on the performance of the drainage pump 14 or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12 periodically installed are periodically performed, and tests during operation are performed. However, the storage fluid 10a stored in the drain 10 may have a low water level due to natural evaporation or external discharge. In the case of the drain pump 14 test, when the water level W2 of the storage fluid 10a stored in the drain 10 falls below the effective suction head W1, the drainage pump 14 cannot be started. . As a result, the effective suction head (W1) performance test requirements do not meet the periodic performance test of the drain pump (14) is not possible. In the case of the water level detector 12, only the indirect test through the simulation signal is performed.

상기한 바와 같이, 배수용펌프(14)의 기동이나 수위 검출부(12) 시험을 위한 배수조(10)의 오염된 저장유체(10a)의 수위(W2)가 유효흡입수두(W1) 이하로 낮을 때, 주입배관의 펌프를 기동하여 오염되지 않은 수위조절유체를 제2 수위 조절유닛(120)으로 공급하여 제2 수위 조절유닛(120)의 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배수조(10) 내부에 저장된 저장유체(10a)의 수위를 유효흡입수두(W1) 이상의 수위(W3)로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W2는 유효흡입수두(W1)보다 낮은 저장유체(10a)의 수위를 말하며, d1은 W2와 W1의 수위차이를 나타낸다. 그리고 W3는 유효흡입수두(W1)보다 높은 저장유체(10a)의 수위를 말하며, d2는 W3와 W1의 수위차이를 나타낸다.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level W2 of the contaminated storage fluid 10a of the drainage tank 10 for the start of the drainage pump 14 or the test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12 is lower than the effective suction head W1. At this time, by operating the pump of the inlet pipe supplying the non-contaminated water level control fluid to the second water level control unit 120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second water level control unit 120 to store the storage fluid stored in the drain tank 10 The water level of 10a can be increased to the water level W3 above the effective suction head W1. Here, W2 refers to the level of the storage fluid 10a lower than the effective suction head W1, and d1 represen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of W2 and W1. W3 refers to the level of the storage fluid 10a higher than the effective suction head W1, and d2 represen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of W3 and W1.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에서 배수조(10)에 저장된 저장유체(10a)의 수위 검출은 수위 검출부(12)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는 검출된 수위 검출신호의 입력에 따라 해당되는 수위조절유체 공급신호를 유체 공급부로 공급하여 일련의 수위 조절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The water level detection of the storage fluid (10a) stored in the drain tank 10 in the water tank level control device of the nuclear power plant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water level detector (12). In addition, the water tank level control apparatus of the nuclear power plant may be separately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supplying a level control fluid supply signal to the fluid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detected level detection signal to automatically control a series of level control operations. .

배수조(10)의 저장유체(10a) 수위조절을 통해 유효흡입수두(W1)가 확보된 상태에서 배수용펌프(14) 기동 및 수위 검출부(12) 시험 후 배출배관의 밸브를 열어 오염되지 않은 수위조절유체를 외부로 이송하여 초기상태의 배수조(10)의 저장유체(10a) 수위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수위 조절유닛(120)의 체적을 변화시키는 오염되지 않은 수위조절유체는 오염된 저장유체(10a)와 격리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는 배수조(10) 내부에 설치되는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를 배수용펌프(14)의 성능시험 시간인 약 1시간 내외의 시간 동안 사용 후 배수조(10)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의 재사용뿐만 아니라 수위조절유체의 재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의 재사용으로 인해 기존의 수위 조절부가 배수조(10) 내부에 고정형으로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배수조(10) 내부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After the start of the drain pump 14 and the test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12 while the effective suction head W1 is secured through the level control of the storage fluid 10a of the drain tank 10, the valve of the discharge pipe is opened to prevent contamination. By transferring the level control fluid to the outside it can be returned to the level of the storage fluid (10a) of the drain tank 10 in the initial state. At this time, the non-contaminated water level control fluid changing the volume of the second water level control unit 120 may be reused by being isolated from the contaminated storage fluid 10a. Therefore, the drainage level control device of the nuclear power pla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bout 1 hour of performance test time of the drainage pump 14 to the mobile water level control unit 100 installed inside the drainage tank 10. Since the internal and external time after use can be moved to the outside of the sump (10) can reduce the cost of the reuse of the water level control fluid as well as the reuse of the mobile water level control unit (100). In addition, due to the reuse of the mobile water level control unit 10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ntamination inside the water tank 10 as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existing water level control unit is fixedly installed in the water tank 10.

한편, 유효흡입수두(W1) 성능시험을 위해 인위적으로 오염되지 않은 새로운 유체를 배수조(10) 내부에 채우는 경우 배수조(10)에 저장된 저장유체(10a)(기존의 사용 후 폐기물(원자력시설 액체폐기물))와 새로운 유체가 혼합되어 전체적으로 폐기물 양이 증가한다. 배수조(10) 내부에 폐기물의 양이 증가하거나 고정형 수위 조절부의 설치로 인해 배수조(10) 내부가 오염되더라도 배수조(10) 내부를 청소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종래의 고정형 수위 조절부와는 달리,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는 배수용펌프(14)의 성능시험을 하는 약 1시간 내외의 기간 동안 배수조(10) 내에 투입하여 적절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용펌프(14)의 성능시험 요건을 항상 만족할 수 있으며, 수위 검출부(12)의 직접적인 동작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배수조(10)의 저장유체(10a) 수위가 배수용펌프(14)가 흡입할 수 있는 수위보다 낮은 경우에도 오염되지 않은 유체를 배수조(10) 내부로 직접 공급하여 실험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폐기물 발생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조(10)의 저장유체(10a) 수위가 낮은 경우에도 폐기물을 증가시키지 않고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를 배수조(10)의 적절한 위치에 이동시켜 배수조(10)의 저장유체(10a) 수위를 유효흡입수두(W1) 이상으로 조절함으로써 배수용펌프(14)의 정기적인 성능점검 및 수위 검출부(12)의 직접적인 동작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용펌프(14)의 성능시험이 완료되면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는 배수조(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외부로 이동된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는 다른 배수조(10)의 내부로 투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는 배수조(10)의 저장유체(10a) 수위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배수용펌프(14)의 유효흡입수두(W1)를 확보할 수 있으며, 배수조(10) 내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filling the inside of the sump (10) with a new fluid that is not artificially contaminated for the effective suction head (W1) performance test, the storage fluid (10a) stored in the sump (10 existing waste (nuclear facilities) Liquid waste)) and the new fluid are mixed to increase the overall amount of waste. Even if the amount of waste increases inside the sump 10 or the inside of the sump 10 is contaminated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fixed water level control unit, the interior of the sump 10 is rarely cleaned. Unlike the conventional fixed water level control unit, the mobile water level control unit 100 can be maintained in the water tank 10 for a period of about 1 hour to perform the performance test of the drain pump 14 to maintain the appropriate level. . Therefore, the performance test requirements of the drain pump 14 can always be satisfied, and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12 is directly operated. In addition, even when the level of the storage fluid 10a of the drain 10 is lower than the level at which the drain pump 14 can inhale, it is necessary to supply the uncontaminated fluid directly into the drain 10 to perform the experiment. This prevents an increase in waste generation. Therefore, even when the storage fluid 10a of the drain tank 10 is low, the movable fluid level control unit 100 is mov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drain tank 10 without increasing waste, thereby storing the storage fluid of the drain tank 10. (10a) By adjusting the water level above the effective suction head W1,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whether the drainage pump 14 performs regular performance checks and whether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12 is directly operated. When the performance test of the drain pump 14 is completed, the movable water level control unit 100 may move from the inside of the drain tank 10 to the outside. If necessary, the movable water level control unit 100 moved to the outside may be used to be introduced into the other of the drain (10). That is, the movable water level control unit 100 can secure the effective suction head W1 of the drain pump 14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level of the storage fluid 10a of the drain tank 10 as necessary. The contamination inside the tank 10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배수조(10)의 수위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배수용펌프(14)의 유효흡입수두(W1)를 확보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the effective suction head (W1) of the drain pump 14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water level of the drain tank (10) as needed.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배수조(10) 수위가 배수용펌프(14)가 흡입할 수 있는 수위보다 낮은 경우에도 오염되지 않은 유체를 배수조(10)에 넣어 실험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폐기물 발생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drainage tank 10 level is lower than the drainage pump 14 can inhale, there is no need to put the uncontaminated fluid into the drainage tank 10 so that waste is not generated. This can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배수조(10)의 수위가 낮은 경우에도 폐기물을 증가시키지 않고 이동형 수위 조절부(100)를 배수조(10)의 적절한 위치에 이동시켜 배수조(10)의 수위를 유효흡입수두(W1)로 조절하므로, 배수용펌프(14)의 점검 및 수위 검출부(12)의 직접적인 동작여부가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ump 10 is low, the movable water level control unit 100 is mov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sump 10 without increasing waste, thereby increasing the water level of the sump 10. Since it is adjusted by the effective suction head W1, it is easy to check whether the drainage pump 14 and the water level detector 12 are directly opera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10: 배수조 10a: 저장유체
12: 수위 검출부 14: 배수용펌프
20: 유체 공급 조절부 100: 이동형 수위 조절부
102: 연결부 110: 제1 수위 조절유닛
112: 배수홀 114: 체결홀
120: 제2 수위 조절유닛 122: 체결부
130: 유체 공급경로 140: 인양부
150: 배관 160: 조절밸브
200: 고정부 210: 고정판
212: 고정홀 220: 지지부
10: sump 10a: storage fluid
12: water level detection unit 14: drainage pump
20: fluid supply control unit 100: movable level control unit
102: connecting portion 110: first level control unit
112: drain hole 114: fastening hole
120: second level control unit 122: fastening portion
130: fluid supply path 140: lifting part
150: pipe 160: control valve
200: fixing part 210: fixing plate
212: fixing hole 220: support portion

Claims (10)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의 외부에서 상기 배수조의 내부에 저장된 저장유체로 투입되거나 상기 배수조의 외부로 이동되고, 일측에 연결부를 갖고 이동형으로 형성되는 이동형 수위 조절부, 그리고
상기 이동형 수위 조절부와 유체 공급경로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이동형 수위 조절부로 공급되는 수위조절유체의 공급양을 조절하는 유체 공급 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형 수위 조절부는 외력에 따라 상기 배수조 내부에 선택적으로 이동 배치되고, 상기 유체 공급 조절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수위조절유체를 저장하고, 그리고 상기 저장유체의 수위를 유효흡입수두로 조절하는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
A mobile water level control unit which is introduced into a storage fluid stored inside the sump of the waste tank of the nuclear power plant or moved to the outside of the sump, has a connection part on one side, and is formed to be mobile;
The fluid supply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mobile water level control unit through a fluid supply path, and controls the supply amount of the water level control fluid supplied to the mobile water level control unit.
Including;
The mobile water level control unit is selectively moved to the inside of the sump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and stores the water level control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control unit, and the nuclear facility for adjusting the level of the storage fluid to the effective suction head Sump level control device.
제1항에서,
상기 유체 공급 조절부는
상기 저장유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저장유체의 수위가 상기 유효흡입수두보다 낮을 경우, 상기 이동형 수위 조절부로 상기 수위조절유체를 공급하는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
In claim 1,
The fluid supply control unit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level of the storage fluid detected by the level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storage fluid is lower than the effective suction head, and supplies the level control fluid to the mobile level controller.
제2항에서,
상기 이동형 수위 조절부는 상기 배수조 내에서 자중과 부피팽창의 복합구조로 상기 배수조의 수위를 조절하는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
In claim 2,
The mobile water level control unit is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for a nuclear power plant to adjust the water level of the sump in a complex structure of self-weight and volume expansion in the sump.
제3항에서,
상기 이동형 수위 조절부는 미리 설정된 잠수 구조로 형성되는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
In claim 3,
The mobile water level control unit is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for a nuclear power plant formed of a predetermined submerged structure.
제4항에서,
상기 이동형 수위 조절부는 복수로 구비되는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
In claim 4,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for a nuclear power plan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bile level control unit.
제5항에서,
상기 이동형 수위 조절부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
In claim 5,
The mobile water level control unit is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for a nuclear power plant formed in different sizes.
제3항에서,
상기 이동형 수위 조절부는
개구된 상부와 복수의 배수홀을 갖는 하부를 연결하는 측부를 포함하여 내부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자중으로 상기 배수조의 내부 바닥면에 접하는 제1 수위 조절유닛, 그리고
상기 제1 수위 조절유닛의 저장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 공급경로에 연결되며, 상기 유체 공급 조절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위조절유체가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체적이 변화되는 제2 수위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
In claim 3,
The movable level control unit
A first water level control unit including an open upper portion and a side portion connecting a lower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the first water level adjusting unit contacting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ump with its own weight; and
A nuclear power source comprising a second water level control unit provided in a storage space of 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unit and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path, and the volume of the water level control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control unit is changed into the volume. Drainage level control device in the facility.
제7항에서,
상기 제2 수위 조절유닛은 고무재질의 튜브로 형성되는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
In claim 7,
The second water level control unit is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for a nuclear power plant formed of a tube of rubber material.
제7항에서,
상기 제1 수위 조절유닛과 상기 제2 수위 조절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수위 조절유닛을 상기 제1 수위 조절유닛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
In claim 7,
I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unit and the second water level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portion for separating the second water level control unit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unit nuclear power plant water level control Device.
제9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수위 조절유닛의 고정 결합을 지지하며, 고정홀을 갖는 고정판, 그리고
상기 고정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제1 수위 조절유닛의 내부 바닥면을 이격시키도록 연결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원자력 시설의 배수조 수위조절장치.
In claim 9,
The fixing part supports a fixed coupling of the second water level control unit, a fixing plate having a fixing hole, and
And a support part coupled to the fixing hole to connect the fixing plate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unit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KR1020180053817A 2018-05-10 2018-05-10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sump of nuclear power facility KR1020861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817A KR102086113B1 (en) 2018-05-10 2018-05-10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sump of nuclear power fac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817A KR102086113B1 (en) 2018-05-10 2018-05-10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sump of nuclear power fac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339A true KR20190129339A (en) 2019-11-20
KR102086113B1 KR102086113B1 (en) 2020-03-06

Family

ID=68729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817A KR102086113B1 (en) 2018-05-10 2018-05-10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sump of nuclear power fac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113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189B1 (en) * 1993-05-25 1995-07-03 이완영 Constant water level control method
JP2006161791A (en) 2004-12-10 2006-06-22 Ebara Corp Water level control device for plumbing tank
KR100792756B1 (en) 2001-12-05 2008-01-11 주식회사 포스코 Water Level Control Apparatus of Water Tank
JP2010085367A (en) * 2008-10-02 2010-04-15 Toshiba Corp Storage pool facility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flow stream in storage pool
JP3188063U (en) * 2013-10-18 2013-12-26 株式会社ハイスイコー Water level adjuster
KR101677381B1 (en) * 2015-07-23 2016-11-18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water level controlling of storage tank
KR101783248B1 (en) 2017-07-27 2017-09-29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The performance test apparatus for vertical and long shaft pump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189B1 (en) * 1993-05-25 1995-07-03 이완영 Constant water level control method
KR100792756B1 (en) 2001-12-05 2008-01-11 주식회사 포스코 Water Level Control Apparatus of Water Tank
JP2006161791A (en) 2004-12-10 2006-06-22 Ebara Corp Water level control device for plumbing tank
JP2010085367A (en) * 2008-10-02 2010-04-15 Toshiba Corp Storage pool facility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flow stream in storage pool
JP3188063U (en) * 2013-10-18 2013-12-26 株式会社ハイスイコー Water level adjuster
KR101677381B1 (en) * 2015-07-23 2016-11-18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water level controlling of storage tank
KR101783248B1 (en) 2017-07-27 2017-09-29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The performance test apparatus for vertical and long shaft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113B1 (en)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267B1 (en) Circulating drainage system for sewage pipe installation work
KR101196194B1 (en)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apparatus
KR101400746B1 (en) Method for collecting sample using multiple packers, and apparatus thereof
KR102086113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sump of nuclear power facility
KR101759927B1 (en) Water Pumping Device for Testing Manhole
KR102044018B1 (en) Intercepting facilities water quality inspection device
JP2019187318A (en) Algae culture device
KR200190446Y1 (en) A pipe washing machine
KR200479952Y1 (en) drum filling apparatus
JP4972031B2 (en) Vacuum valve device mounting structure and sewage with vacuum valve
SE537978C2 (en) Pump station for wastewater and insert therefor
KR101513806B1 (en) Ultrasonic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Irradiated Nulcear Fuel Assemblies
US8439648B2 (en) Process water lift station apparatus
US7338596B2 (en) Air activated decanter
JP6371082B2 (en) Pressure drainage device
JP7162446B2 (en) pump system
KR102374059B1 (en) Tube reversing device for conduit repair with internal guide pipe
KR102190506B1 (en) Device for measuring water quality blast furnace
JP2008128155A (en) Engine power generator with in-door fuel tank
JP2018090971A (en) Pump system and odor stop type drainage equipment
JP7313963B2 (en) Submersible pump inspection method
JP5903868B2 (en) Construction method of temporary closing structure of dam dam body
KR101323486B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soil pipe
JP7162447B2 (en) pump system
JP2018090972A (en) Pump system and malodor preventing type drainage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