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117A - 토픽과 관련된 컨텐츠 아이템들의 제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토픽과 관련된 컨텐츠 아이템들의 제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117A
KR20190128117A KR1020190053162A KR20190053162A KR20190128117A KR 20190128117 A KR20190128117 A KR 20190128117A KR 1020190053162 A KR1020190053162 A KR 1020190053162A KR 20190053162 A KR20190053162 A KR 20190053162A KR 20190128117 A KR20190128117 A KR 20190128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ard
content items
user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아드 술탄
비드야 라메쉬 바트
Original Assignee
구글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글 엘엘씨 filed Critical 구글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128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7Optimising the visualization of content, e.g. distillation of HTML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06F16/986Document structures and storage, e.g. HTML exten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토픽(예: 뉴스 스토리) 주변의 상이한 관점들을 제공하는 컨텐츠 아이템들(예: 뉴스 기사 또는 반응)을 브라우징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린백(lean-back), 인터렉티브 경험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시스템 및 방법은 토픽 주변의 광범위한 관심 컨텐츠를 조합하고, 사용자가 그 안에 포함된 고유 정보를 드러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기사들을 통해 매끈하게(seamless) 스캔하게 함으로써 토픽 주변의 컨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토픽 주변의 수천개의 문서들을 읽고, 이해하고 조직화할 수 있어, 뉴스를 쉽게 소비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토픽과 관련된 컨텐츠 아이템들의 제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ATION OF CONTENT ITEMS RELATING TO A TOPIC}
관련 출원
본 출원은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668,241호 및 미국 가출원 제62/668,230호 둘 모두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모두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통합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컨텐츠 아이템들의 제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토픽(예: 뉴스 스토리)와 관련된 컨텐츠 아이템(예: 뉴스 기사)과 연관된 카드들을 시각적으로 스크롤하는 인터렉티브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뉴스 스토리 주변의 정보를 소비하는 것은 어렵다. 예를 들어, 유명한 뉴스 스토리에 대해, 수천 명의 퍼블리셔가 수천 개의 뉴스 기사들을 게시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텍스트 뉴스 기사들에 더하여, 오늘날의 미디어 환경은 비디오, 블로그, 소셜 미디어 포스트 등 다양한 미디어 형식의 뉴스 컨텐츠가 웹에 산재되어 있으며, 한 곳에서 함께 통합되지 않는다.
이렇게 많은 수의 다양한 출처에서 정보를 뽑아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특히, 뉴스 스토리의 깊이 있는 이해를 얻으려면 기사 한 개를 읽는 것뿐만 아니라 뉴스 스토리 기저의 이슈에 대한 충분한 정보에 입각한 판단을 내리기 위해 뉴스 스토리 주변의 다양한 시각에 관한 충분한 정보가 있어야 한다.
현재, 사용자가 관심있는 문서를 식별하고 이해하며 읽는데 도움이 되는 스토리 주변의 컨텐츠 아이템들에 제시된 컨텐츠를 몰래 들여다 볼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은 없다. 예를 들어, 어떤 기존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에게 관련없는 뉴스 기사들의 리스트만 제공되고, 사용자는 각각이 상이한 기사를 평가하여 사용자가 이해하기에 관심 있는 토픽과 관련된 기사인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기사가 토픽과 관련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전체 기사를 로드하고 읽고 그 내용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토리의 모든 차원들을 이해하는 것은 어렵다. 일반적 사용자는 바쁘고, 뉴스 스토리에 대해 정통한 관련 정보를 위해 인터넷을 검색할 시간이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양태들 및 이점들이 후술하는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기술될 것이며, 또는 설명으로부터 학습될 수 있거나 또는 실시예들의 실시를 통해 학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양태는 정보적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토픽과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들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 기술자들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과 각각 연관된 복수의 카드들을 통해 순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복수의 카드들 각각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카드에 대응하는 컨텐츠 아이템에 대해 생성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기술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다양한 시스템, 장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들 및 다른 구성들, 양태들 및 이점들은 후술하는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들을 참조하여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들은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며, 관련된 원리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통상의 기술자 중 누군가를 위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논의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는 명세서에서 기술된다.
도 1a-c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그래픽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 컴퓨팅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적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예시적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적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예시적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토픽(예: 뉴스 스토리) 주변의 다른 관점을 제공하는 컨텐츠 아이템들(예: 뉴스 기사 또는 반응)을 브라우징하고 이해하게 할 수 있는 린-백(lean-back), 인터렉티브 경험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시스템 및 방법은 토픽 주변의 광범위한 흥미 있는 컨텐츠를 조합하고 사용자가 기사에 포함된 고유 정보를 떠올려서 기사들을 매끈하게 스캔하게 함으로써 토픽 주변의 컨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토픽 주변의 수천 개의 문서들을 읽고, 이해하고, 조직화할 수 있으므로, 뉴스를 쉽게 소비하게 한다.
특히,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수의 개별 윈도우, 프레임, 셀 또는 다른 구분되는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을 디스플레이(자동 재생 방식으로 순차적으로)하는(본 명세서에서 “카드”로서 지칭되며, 각 카드는 문서, 비디오 “오디오 클립”, 소셜 미디어 포스트 또는 토픽과 관련된 컨텐츠 아이템의 임의의 기타 유형에 대응함), 인터렉티브 사용자 인터페이스(“뉴스캐스트”로서 지칭될 수 있음)를 생성하고 제공할 수 있다. 카드들 중 하나를 클릭, 탭핑 또는 이와 달리 선택하면, 해당 문서, 비디오, 소셜 미디어 포스트 또는 기타 컨텐츠 아이템의 정식 버전으로 사용자를 안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카드들 중 하나 이상은 토픽에 대한 심층적 다이빙을 허용하는 보다 완전하고 다각적 정보 및 토픽에 대한 커버리지를 포함하는 더 큰 랜딩 페이지를 방문하는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는 오디오 스트림일 수 있고, "카드들"은 톤, 문구(예: "다음 클립"), 또는 시각 및 오디오 “카드들”의 조합과 같은 삽입된 경계를 갖는 개별적 오디오 클립일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사용자는 음성 명령(예: "두 번째 게임 재생", "Bloomer 뉴스 네트워크에서 재생” 등)으로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오디오 기반 구현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이브리드 오디오/비디오 구현을 개시할 수 있게 하는 아이콘 또는 다른 제어 위젯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구현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 자체는 소위 어시스턴트 지원 디바이스들 또는 "스마트 스피커"의 경우 또는 자동차 환경에서와 같이 오디오 중심 인터페이스들이 선호되는 컨텍스트를 표시하는 상황에서, 인터페이스를 오디오로 제한할 것이다.
특히, 컴퓨팅 시스템은 토픽에 관한 뉴스 캐스트에 포함시킬 토픽과 관련된 다수의 컨텐츠 아이템들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은 토픽 주변의 컨텐츠 아이템들의 클러스터를 식별할 수 있고, 뉴스 캐스트에 포함시킬 컨텐츠 아이템들의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 컨텐츠 아이템은 개별 기사, 블로그, 텍스트 코멘트, 비디오, 오디오 클립 및/또는 적어도 추론적으로 토픽과 관련이 있는 다른 컨텐츠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토픽 주변의 뉴스 캐스트는 컨텐츠 집합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뉴스 어플리케이션) 또는 플랫폼의 피처일 수 있고, 일례에서, 컴퓨팅 시스템은 컨텐츠 아이템들의 대응 클러스터가 일정한 수를 초과하는 임의의 토픽에 대한 뉴스 캐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단 생성된 뉴스 캐스트는 컨텐츠 집합 어플리케이션 내의 컨텐츠 피드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토픽이 얼마나 중요한지와 토픽에 대해 얼마나 많은 정보가 사용 가능한지에 따라 뉴스 캐스트가 트리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가 특정한 토픽에 대한 검색을 수행한 경우, 응답으로, 컴퓨팅 시스템은 상기 토픽과 관련된 컨텐츠 아이템을 식별 및 선택하고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뉴스 캐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뉴스 캐스트는 검색 결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뉴스 캐스트는 사용자에 대한 개인화(예: 사용자가 사용자 프로필을 갖는 경우)에 기초하여 구동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주어진 토픽에 대한 뉴스 캐스트는 예를 들어, 토픽에 관한 제1 컨텐츠 아이템을 브라우징하는 동안 사용자가 토픽에 대한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것에 응답하여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팅 시스템은 사용자가 토픽에 관한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으로부터 동일한 토픽에 대한 다른 컨텐츠 아이템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컴퓨팅 시스템은 컨텐츠 아이템들의 광범위한 소스(예: 퍼블리셔 웹사이트, 블로그, 소셜 미디어 플랫폼, 비디오 플랫폼 및/또는 기타)로부터 토픽과 관련된 컨텐츠 아이템을 식별하고 클러스터링하는 백엔드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아이템 선택 알고리즘은 실제 컨텐츠(예: 관점)와 컨텐츠 유형(예: 동영상 대 텍스트 소셜 미디어 포스트) 둘 모두에서 충분한 다양성을 보장하여 중복 정보가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는 토픽 주변의 다양한 관점을 볼 수 있게 한다. 알고리즘은 또한 스토리 속의 핵심 인물의 소셜 미디어 포스트 및 스토리와 관련된 비디오와 같이 스토리 주변에 더 많은 컨텍스트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기타 유용한 정보를 식별하고 클러스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컨텐츠 유형 및 관점의 배열을 선택함으로써, 컴퓨팅 시스템은 핵심 주제 또는 토픽과 관련된 컨텐츠 아이템을 객관적으로 큐레이트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각 선택된 컨텐츠 아이템에 대한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아이템에 대한 카드는 컨텐츠 아이템의 제목, 컨텐츠 아이템과 연관된 그래픽 및/또는 컨텐츠 아이템으로부터의 스니펫(snippet)과 같은 기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픽은 컨텐츠 아이템으로부터 추출된 정지 화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그래픽은 동적 이미지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정지 화상은 카드 상에 제시되는 동안 이동(예: 옆으로 병진 및/또는 크기의 증가 또는 감소(예: 줌))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컨텐츠 아이템은 영화일 수 있거나 영화를 포함할 수 있고, 영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에 대한 카드가 디스플레이될 때 재생될 수 있다. 적어도 부분적 오디오 실시예에서, 카드는 컨텐츠 아이템과 연관된 선택된 오디오 샘플을 포함할 수 있다. 카드의 제시는 선택된 오디오 샘플의 재생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각 컨텐츠 아이템에 대한 카드는 실제 컨텐츠 그 자체를 전달하면서 사용자의 관심을 잡는 역할을 하는 많은 풍부한 비주얼(및/또는 오디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뉴스캐스트 형식으로 카드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뉴스 캐스트는 사용자가 토픽과 관련된 컨텐츠 아이템을 브라우징할 수 있게 하는 인터렉티브 슬라이드 쇼와 같은 형식으로 복수의 카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카드를 자동으로 스크롤할 수 있고 및/또는 사용자는 카드 배열을 스와이프하거나 청각적으로 지시하거나 이와 달리 탐색할 수 있다.
특히, 일부 구현예에서 사용자가 카드를 스와이프하여 토픽 주변의 광범위한 컨텐츠를 보기 위해 뉴스 캐스트와 인터렉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카드를 빠르고 쉽게 스캔할 수 있게 하는 빨리 감기 버튼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이 버튼을 탭하여 뉴스 캐스트의 카드들 간에 앞뒤로 탐색하고 카드 스니펫들을 신속하게 로딩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다수의 퍼블리셔의 기사를 브라우징하고, 기사와 함께 비디오, 소셜 미디어 포스트 및 기타 미디어를 보고 스토리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얻을 수 있게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뉴스 캐스트에 제시된 각 카드는 대응하는 컨텐츠 아이템을 기술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기술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일부 경우에, 컨텐츠 기술자들은 사용자의 관심을 자극하여 관심있는 자료를 찾기 위해 컨텐츠를 통한 브라우징 경험을 향상시키는 관심있는 사전 선택 정보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컨텐츠 기술자는 사용자가 각 컨텐츠 아이템 내에서 컨텐츠를 엿볼 수 있게 하는 뉴스 캐스트 내의 컨텐츠 아이템으로부터 생성되거나 추출된 스니펫 및/또는 인용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를 어셈블링하는 것에 더하여, 뉴스캐스트는 카드 상의 컨텐츠 아이템으로부터 스니펫들 또는 핵심 사실을 떠올림으로써 사용자가 관심 있는 기사를 식별하고 읽게 한다. 이 스니펫들은 컨텐츠 아이템으로부터 관심 있는 문장 또는 컨텐츠 아이템에서 추출된 스토리의 핵심 인물로부터의 인용구일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경우에, 스니펫은 예를 들어, 제목, 부제목 또는 컨텐츠 아이템과 연관된 다른 표제보다는 컨텐츠 아이템의 본문으로부터 추출된 부분일 수 있다. 스니펫들은 뉴스 캐스트에서 컨텐츠 아이템 상의 퍼블리셔 제목 및 타임스탬프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뉴스 캐스트에 포함된 각 카드는 카드 상의 퍼블리셔 제목과 함께 추출된 스니펫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카드를 클릭하면 사용자가 컨텐츠 아이템으로 이동하게 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스니펫들은 사용자가 컨텐츠 아이템의 컨텐츠의 방향(flavor)을 얻게 하기 위해, 핵심적 문장을 식별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추출되거나 또는 이와 달리 생성된다. 알고리즘은 유사한 문장들이 뉴스 캐스트의 컨텐츠 아이템으로부터 추출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고 정보의 중복을 제거한다. 스니펫은 예를 들어 컨텐츠 아이템을 요약하는, 쉽게 소화 가능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현예에서, 인용구는 문서 내의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인용구를 식별하는 다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알고리즘은 텍스트의 의미론적 이해를 사용하여, 누가 인용구를 작성했는지 그리고 인용구가 스토리/토픽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인용구를 포함하는 컨텐츠 아이템의 경우, 인용구를 작성한 사람과 함께 추출 된 인용구를 뉴스캐스트 카드 상의 스니펫으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컨텐츠 기술자의 추가적 예시는 기사의 저널리즘 스타일(예: 의견, 보고, 풍자, 라이브 블로그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라벨 또는 다른 식별자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로서, 컨텐츠 기술자는 컨텐츠 아이템 내에 포함된 의견의 레벨을 기술할 수 있다(예를 들어, 1 부터 5). 다른 예로서, 컨텐츠 기술자는 컨텐츠 아이템 내에 포함된 사실의 레벨(또는 오히려 오보의 레벨)을 기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특정한 컨텐츠 아이템 또는 퍼블리셔와 유사하거나 또는 특정한 컨텐츠 아이템 또는 퍼블리셔 등과 상이한 것으로 결정된 아이템들을 선택하여, 특정 컨텐츠 아이템의 유사한 관점 또는 상이한 관점인 것으로 결정된 추가적 컨텐츠 아이템들이 제공된다.
뉴스 캐스트 카드에 컨텐츠 기술자(예: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를 드러내는 것은 사용자가 문서의 컨텐츠를 더 잘 이해하고, 읽을 적절한 기사를 찾는데 충분한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다양한 퍼블리셔와 다양한 리포트 스타일을 쉽게 스캔하여 사용자를 다른 관점에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퍼블리셔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 넣는다.
따라서, 임의의 토픽에 대해(예: 뉴스 스토리), 뉴스 캐스트는 다수의 컨텐츠 아이템들을 조직화하고, 사용자가 사용자를 압도하지 않고도 이러한 컨텐츠 아이템들과 인터렉션하게 한다. 이는 사용자가 관심있는 기사 및 스토리 주변의 다른 컨텐츠 중 일부를 매끈하게 탐색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가 문서의 내용과 왜 읽어야하는지 쉽게 이해하게 한다. 사용자는 웹에서 관심있는 컨텐츠를 브라우징하고 스토리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는 사용자 경험에 큰 가치를 제공한다.
특히, 광범위한 문서, 소셜 미디어 포스트 및 비디오를 어셈블링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스토리 주변의 관심 있는 문서 중 일부를 들여다 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카드들은 사용자가 이 기사들 내에서 컨텐츠를 엿볼 수 있게 하는 컨텐츠 아이템들의 추출된 스니펫들 및 인용구들을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다수의 퍼블리셔의 기사를 브라우징하고, 컨텐츠 아이템들과 함께 비디오, 소셜 미디어 포스트 및 기타 미디어를 보고 스토리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뉴스 캐스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뉴스 스토리와 관련된 뉴스 컨텐츠와 관련하여 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었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상이한 유형의 토픽(예: 여행, 하이킹, 기술 등) 주변의 컨텐츠 아이템들을 브라우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특정한 퍼블리셔의 상이한 컨텐츠 아이템들(예: 하나의 단일한 토픽과 일정하게 관련되지 않음)을 탐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다수의 기술적 효과 및 이점을 제공한다. 일 예시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토픽 주변의 관심 있는 컨텐츠를 통해 쉽게 스캔하고, 유사하게, 사용자가 더 상세히 소비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쉽게 식별 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한다. 이러한 뉴스캐스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각 컨텐츠 아이템의 진정한 성질을 보다 신속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컨텐츠 아이템 전체를 읽는데 관심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그녀가 읽기에 관심이 없는 컨텐츠 아이템을 로딩하고 읽는 것을 피할 수 있어서, 컴퓨팅 시스템(서버 디바이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둘 모두)의 프로세싱, 메모리 및 네트워크 자원을 절약한다. 마찬가지로, 뉴스 캐스트에 포함시키기 위한 다양한 컨텐츠 아이템을 선택함으로써,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문서들 자체의 실제 컨텐츠를 고려한 개선된 다양성, 구조 및/또는 다른 구성을 갖는 정보적 디스플레이를 제공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컨텐츠 아이템에 포함된 상이한 스탠스들의 보다 다양한 표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중복 의견을 구성하는 컨텐츠 아이템을 읽거나 보지 않아도 되므로, 컴퓨팅 시스템의 프로세싱, 메모리 및 네트워크 자원를 절약한다.
일부 경우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형의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다양한 기계 학습 기법들(예: 신경 네트워크 또는 기타 기계 학습 모델을 트레이닝함으로써)을 통해, 예를 들면, 컨텐츠의 상이한 유형, 상이한 사용자 인구수, 타이밍 및 위치 등과 같은 상이한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컨텐츠 아이템들의 유형, 관점들, 소스들 및/또는 선호되는 기타 속성들의 균형을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컨텍스트적 시나리오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에 의해 취해진 액션들(예: 클릭, 좋아요 등)을 기술하는 데이터는 저장되고, 트레이닝 데이터로서 사용되어, 하나 이상의 기계 학습 모델들을 트레이닝하고(예: 지도 트레이닝 기법을 통해), 트레이닝 후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의 관점 선호도에 부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지원하는 예측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시스템 성능이 개선되고, 수동적 간섭이 감소되어, 사용자 검색을 줄이고, 컴퓨팅 시스템(서버 디바이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둘 모두)의 프로세싱, 메모리 및 네트워크 자원을 절약한다.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더 자세히 논의될 것이다.
예시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1a-c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그래픽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a-c에 도시된 예시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지 예로서 제공된다. 도 1a-c의 예시적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 많은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는 카드(12)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예를 들어, 카드(12)는 컨텐츠 피드의 일부로 디스플레이되는 뉴스 캐스트의 제1 카드일 수 있다(예: 카드들(12) 위 및 아래 카드는 피드의 일부일 수 있음).
카드(12)는 특정한 이벤트가 주어진 스피치를 논하는 뉴스 기사에 해당한다. 카드(12)는 뉴스 기사로부터 추출되고 카드(12)에서 재생되고 있는 비디오(13)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카드(12)를 탭하거나 선택하면, 사용자는 전체 뉴스 기사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카드(12)는 뉴스 기사의 제목(14)을 포함한다. 또한, 카드(12)는 뉴스 기사(아래 텍스트에 보여짐)의 퍼블리셔를 나타내는 아이콘(16) 및 뉴스 기사의 나이를 나타내는 타임 스탬프(18)를 포함한다. 버튼(20)은 사용자가 카드(12)에 대한 추가적인 선택가능한 옵션들을 수신하게 한다. 또한 카드(12)는 예를 들어, 대응하는 뉴스 기사가 오피니언 기사임을 표시하는 라벨 또는 비디오(13)가 라이브 스트리밍 중임을 나타내는 라벨과 같은 추가적 컨텐츠 기술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카드(12)는 비디오(13)의 재생을 포함하기 때문에, 카드(12)는 또한 이퀄라이저 버튼(2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퀄라이저 버튼(22)을 선택하면, 사용자는 비디오(13)의 재생과 연관된 오디오 레벨(예를 들어, 오디오를 음소거 또는 음소거 해제)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권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시적 카드(12)는 비디오(13)를 포함하지만, 대안적으로 정지 화상 또는 다른 그래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카드(12)는 사용자가 오디오 기반 구현 또는 카드(12)의 하이브리드 오디오/비디오 구현을 개시할 수 있게 하는 아이콘 또는 다른 제어 위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구현예에서, 디바이스(10) 자체는 소위 어시스턴트 지원 디바이스들 또는 "스마트 스피커"의 경우 또는 자동차 환경에서와 같이 오디오 중심 인터페이스들이 선호되는 컨텍스트를 표시하는 상황에서, 인터페이스를 오디오로 제한할 것이다.
또한 카드(12)는 선택되면, 이벤트에 관한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더 큰 랜딩 페이지로 사용자를 안내할 링크를 포함하는 푸터(24)를 포함한다.
카드(12)는 또한 진행 바(26)를 포함한다. 진행 바(26)는 뉴스 캐스트를 통한 진행을 표시한다(예를 들어, 뉴스 캐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카드를 통해). 도시된 구현예와 같은 일부 구현예에서, 진행 바(26)는 복수의 분리된 세그먼트(예: 세그먼트들(28a 및 28b))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분리된 각 세그먼트는 카드들 중 하나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세그먼트(28a)는 카드(12)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카드(12)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예를 들어, 카드(12)와 연관된 제시 기간 동안) 세그먼트(28a)를 점진적으로 채울 수 있다. 카드(12)와 연관된 제시 기간이 만료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카드(12)를 새로운 카드(예를 들어, 도 1b에 도시된 카드(32))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카드들을 통해 자동으로 플레이할 수 있다.
각 제시 기간은 미리 정의된 시간(예: 5초)일 수 있다. 제시 기간은 연속적이고 오버랩핑되지 않을 수 있다. 카드(12)는 예를 들어, 카드의 수평 슬라이딩/와이핑(wiping), 카드의 뒤집기(flipping)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새로운 카드로 교체될 수 있다.
이제 도 1b를 참조하면, 카드(12)와 연관된 제시 기간의 만료 이후,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이제 제2 카드(32)를 보여준다. 제2 카드(32)는 카드(12)와 유사하지만, 동일한 토픽과 관련된 다른 컨텐츠 아이템에 대응한다.
진행 바(2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카드(12)에 대응하는 세그먼트(28a)는 완전히 채워지고, 제2 카드(32)에 대응하는 세그먼트(28b)는 채워지는 중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카드(예를 들어, 카드(32))의 제시 동안, 하나 이상의 스니펫이 또한 카드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스니펫은 컨텐츠 아이템에서 추출된 문장 또는 인용구를 포함하고 및/또는 컨텐츠 아이템에 관한 또는 컨텐츠 아이템으로부터의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예를 들어, 도 1b 및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니펫은 카드의 제시를 통해 중간에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로서, 도 1b는 스니펫이 제시되지 않는 카드(32)와 연관된 제시 기간의 초기 부분을 도시하고, 도 1c는 스니펫(34)이 부가된 제시 기간의 제2 부분을 도시한다. 마찬가지로, 진행 바(26)의 세그먼트(28b)는 도 1b와 관련하여 도 1c에서 더 채워진 것을 알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스니펫(34) 및/또는 카드 상의 다른 피처는 스니펫에 포함된 텍스트 문자가 일정 기간 동안 카드 상에 순차적으로 부가되는 타자기 효과로 제시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스니펫(34)이 제시될 때, 스니펫(34)을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카드의 다양한 다른 피처들(예를 들어, 퍼블리셔를 표시하는 아이콘(36))은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스니펫(34)이 나타날 때, 그래픽(37)(예를 들어, 비디오, 정지 화상 또는 다른 그래픽)은 어둡게 되거나 또는 이와 달리 덜 강조될 수 있다. 이는 뉴스 캐스트들에 압도되지 않도록 한다.
예시적 시스템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뉴스 캐스트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예시적 컴퓨팅 시스템(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시스템(100)은 네트워크(180)를 통해 통신적으로 연결된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서버 컴퓨팅 시스템(130)을 포함한다.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예를 들어 개인 컴퓨팅 디바이스(예: 랩톱 또는 데스크톱),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예: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게임 콘솔 또는 컨트롤러, 스마트 스피커, 착용가능한 컴퓨팅 디바이스, 임베디드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2)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12) 및 메모리(114)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12)은 임의의 적절한 프로세싱 디바이스(예를 들어, 프로세서 코어, 마이크로 프로세서, ASIC, FPGA, 제어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일 수 있고,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동작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메모리(114)는 RAM, ROM, EEPROM, EPROM,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자기 디스크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4)는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동작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세서(112)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116) 및 명령어들(118)을 저장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컨텐츠 집합 어플리케이션(12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집합 어플리케이션(121)은 네트워크(180)를 통해 서버 컴퓨팅 시스템(130)과 통신하여, (예를 들어, 컨텐츠 피드의 형태로) 컨텐츠 아이템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컨텐츠 집합 어플리케이션(121)은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뉴스 캐스트를 수신할 수 있고(예를 들어, 뉴스 캐스트 생성기(142)에 의해), 컨텐츠 집합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예를 들어, 컨텐츠 피드의 항목으로서) 뉴스 캐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전용 컨텐츠 집합 어플리케이션(121)을 반드시 포함하지는 않고, 대신에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180)를 통해 서버 컴퓨팅 시스템(130)과 통신하여, (예를 들어, 컨텐츠 피드의 형태로) 컨텐츠 아이템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컨텐츠 집합 어플리케이션(121)은 서버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뉴스 캐스트를 수신할 수 있고(예를 들어, 뉴스 캐스트 생성기(142)에 의해),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의 브라우저 창 내에(예를 들어, 컨텐츠 피드의 항목으로서) 뉴스 캐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은 일부 예시에서 모바일 브라우저일 수 있다.
예시로서, 컨텐츠 집합 어플리케이션(121) 및/또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은 도 3의 방법(300) 및/또는 도 4의 방법(40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들(1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122)는 사용자 입력 객체(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의 터치에 감응하는 터치 감지 컴포넌트(예를 들어,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일 수 있다. 터치 감지 컴포넌트는 가상 키보드를 구현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들은 마이크로폰, 마우스, 키보드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수단들을 포함한다.
사용자 컴퓨팅 시스템(102)은 또한 디스플레이(12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4)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예시에서,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122)일 수 있다. 예시로서, 디스플레이(124)는 터치 스크린의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부분일 수 있고, 음극선관(CRT), LED, LCD 또는 OLED와 같은 비-터치스크린 다이렉트 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24)는 또한 다이렉트 뷰 디스플레이 대신에 프로젝터일 수 있다.
서버 컴퓨팅 시스템(13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32) 및 메모리(134)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32)은 임의의 적절한 프로세싱 디바이스(예를 들어, 프로세서 코어, 마이크로 프로세서, ASIC, FPGA, 제어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일 수 있고,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동작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메모리(134)는 RAM, ROM, EEPROM, EPROM,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자기 디스크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4)는 서버 컴퓨팅 시스템(130)이 동작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세서(132)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136) 및 명령어들(138)을 저장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서버 컴퓨팅 시스템(130)은 하나 이상의 서버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하거나 이와 달리 그에 의해 구현된다. 서버 컴퓨팅 시스템(130)이 복수의 서버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그러한 서버 컴퓨팅 디바이스들은 순차적 컴퓨팅 아키텍처, 병렬 컴퓨팅 아키텍처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서버 컴퓨팅 시스템(130)은 뉴스 캐스트 생성기(142)를 포함할 수 있다. 뉴스 캐스트 생성기(142)는 컨텐츠 아이템과 연관된 카드들을 제공하는 뉴스 캐스트 또는 다른 정보 디스플레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뉴스 캐스트 생성기(142)는 뉴스 캐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컨텐츠 아이템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아이템 데이터베이스(144)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아이템 데이터베이스(들)(144)는 다양한 퍼블리셔들에 의해 (예를 들어, 웹 상에) 퍼블리시된 컨텐츠 아이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아이템들은 퍼블리셔의 웹 도메인으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거나, 컨텐츠 아이템들은 퍼블리셔에 의해 서버 컴퓨팅 시스템(130)과 연관된 중앙 데이터베이스에 제출될 수 있다. 컨텐츠 아이템 데이터베이스(144)는 뉴스 웹사이트, 블로그, 소셜 미디어 플랫폼 및/또는 컨텐츠 아이템의 다른 소스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아이템 데이터베이스(144)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들일 수 있다.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들은 함께 배치하거나 물리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예시로서, 뉴스캐스트 생성기(142)는 도 3의 방법(300) 및/또는 도 4의 방법(40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일 예시에서, 뉴스 캐스트 생성기(142)는 도 3의 방법(300)을 수행하고, 컨텐츠 집합 어플리케이션(121) 또는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은 도 4의 방법(400)을 수행한다.
뉴스 캐스트 생성기(142)가 서버 컴퓨팅 시스템(130)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다른 구현예에서, 뉴스 캐스트 생성기(142)는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저장되고 실행되는 컨텐츠 집합 어플리케이션(예: 뉴스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 집합 어플리케이션(121) 및 뉴스 캐스트 생성자(142) 각각은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활용되는 컴퓨터 로직을 포함한다. 컨텐츠 집합 어플리케이션(121) 및 뉴스 캐스트 생성기(142) 각각은 범용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컨텐츠 집합 어플리케이션(121) 및 뉴스 캐스트 생성기(142) 각각은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된 프로그램 파일을 포함하고, 메모리에 로딩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컨텐츠 집합 어플리케이션(121) 및 뉴스 캐스트 생성기(142) 각각은 RAM 하드 디스크 또는 광학 또는 자기적 매체와 같은 유형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을 포함한다.
네트워크(180)는 근거리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트라넷), 광역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또는 그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고, 임의의 수의 유선 또는 무선 링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180)를 통한 통신은 임의의 유형의 유선 및/또는 무선 연결을 사용하여,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TCP/IP, HTTP, SMTP, FTP), 인코딩 또는 포맷들(예를 들어, HTML, XML), 및/또는 보호 스키마(예를 들어, VPN, 시큐어 HTTP, SSL)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 방법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적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예시적 방법(3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302에서, 컴퓨팅 시스템은 뉴스 캐스트가 생성되어야 하는 토픽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컴퓨팅 시스템은 컨텐츠 아이템들의 대응하는 클러스터가 특정 수(예를 들어, 50)를 초과하는 임의의 토픽에 대한 뉴스 캐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수의 연관된 컨텐츠 아이템을 갖는 토픽에 대한 뉴스 캐스트를 생성함으로써, 컴퓨팅 시스템은 중요한 스토리들에 사용자의 주의를 끈다. 또 다른 예시적인 규칙으로서, 일부 구현예에서, 뉴스 캐스트는 클러스터 내의 고유한 컨텐츠 아이템의 특정 수(예를 들어, 7개)보다 적은 수의 토픽들에 대해 생성/트리거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컴퓨팅 시스템은 토픽에 따라 컨텐츠 아이템을 클러스터링하는 알고리즘에 의존하거나 이와 달리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키워드 매칭 또는 다른 자연어 프로세싱,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예를 들어, k-nearest neighbors), 지식 그래프의 사용, 및/또는 상이한 토픽들과 컨텐츠 아이템을 연관시키기 위한 다른 기법들을 통해 클러스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가 특정한 토픽에 대한 검색을 수행한 경우, 응답으로, 302에서, 컴퓨팅 시스템은 뉴스 캐스트가 상기 토픽에 대해 생성되어야 함다고 결정할 수 있다.
304에서, 컴퓨팅 시스템은 토픽과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토픽 주변의 컨텐츠 아이템들의 클러스터가 주어지면, 304에서, 컴퓨팅 시스템은 컨텐츠 아이템 선택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뉴스 캐스트에 포함시키기 위한 컨텐츠 아이템들 중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304에서 수행되는 컨텐츠 아이템 선택 알고리즘은 실제 컨텐츠(예: 관점)와 컨텐츠 유형(예: 동영상 대 텍스트 소셜 미디어 포스트) 둘 모두에서 충분한 다양성을 보장하여 중복 정보가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는 토픽 주변의 다양한 관점을 볼 수 있게 한다. 알고리즘은 또한 스토리 속의 핵심 인물의 소셜 미디어 포스트 및 스토리와 관련된 비디오와 같이 스토리 주변에 더 많은 컨텍스트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기타 유용한 정보를 식별하고 클러스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컨텐츠 유형 및 관점의 배열을 선택함으로써, 컴퓨팅 시스템은 핵심 주제 또는 토픽과 관련된 컨텐츠 아이템을 객관적으로 큐레이트할 수 있다.
특히, 뉴스 캐스트에 포함된 컨텐츠 아이템은 사용자가 다양한 관점에 노출될 수 있도록 다양한 범위의 퍼블리셔부터 제공되어야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304에서 수행되는 컨텐츠 선택 알고리즘은 컨텐츠 아이템을 랭킹하고, 다양한 컨텐츠 아이템들의 세트를 뉴스 캐스트들에 대한 후보로서 선택한다. 다양성은 다음 기준을 기초로 할 수 있다: 핵심적 용어; 논의된 사람들; 의견(또는 그것의 부족); 뉴스 다양성; 유사한 청중 기반의 다양성; 및/또는 다른 특성들.
일부 구현예에서, 상술된 다양성 목적에 부가하여, 컨텐츠 아이템 선택 알고리즘은 컨텐츠 아이템을 선택하고 연관된 뉴스 캐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지원하는 다수의 규칙을 구현하거나 시행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각 뉴스 캐스트는 일정 수(예를 들어, 3, 5, 7 등)의 컨텐츠 아이템 및 대응하는 카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카드들은 비디오, 이미지, 문서, 소셜 미디어 포스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리드(즉, 첫 번째) 카드는 항상 토픽을 요약하거나 이와 달리 사용자가 토픽이 무엇인지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문서 또는 비디오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토픽과 관련성이 높은 소셜 미디어 포스트들이 뉴스 캐스트에 등장한다. 이러한 포스트들은 일반적으로 스토리에 관여하고 클러스터에서 3개 이상의 문서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이는 중요성의 신호이다)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트윗이 토픽 클러스터의 다른 컨텐츠 아이템에 내장되어 있다는 사실은 그것이 뉴스 캐스트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강력한 신호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컴퓨팅 시스템은 상술된 컨텐츠 아이템 선택/랭킹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일정 수의 텍스트 문서를 먼저 식별하고, 이어서 선택된 텍스트 문서와 함께 비디오, 인용구 및/또는 소셜 미디어 포스트를 가져 오기 위한 호출을 수행할 수 있다.
306에서, 컴퓨팅 시스템은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들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 기술자들을 생성한다. 예시로서, 컨텐츠 기술자들은 스니펫을 포함할 수 있고, 스니펫은 컨텐츠 아이템의 텍스트 요약, 컨텐츠 아이템으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문장 및/또는 컨텐츠 아이템으로부터 추출된 인용구이다. 다른 예시로서, 컨텐츠 기술자들은 상기 컨텐츠 아이템에 포함된 의견의 레벨을 기술하는 의견 레벨 기술자를 포함할 수 있다. 대응하는 컨텐츠 아이템의 특정 양태들을 분류하는 다양한 라벨들 또는 태그들을 포함하는 다른 컨텐츠 기술자들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뉴스 캐스트에 포함된 일부 또는 모든 카드는 생성되거나 추출되어 카드에 디스플레이되는 스니펫을 가질 것이다. 카드 상의 스니펫은 중복되지 않을 수 있으며, 뉴스 캐스트 상의 카드를 통해 스와이핑하는 사용자에게 고유한 값을 제공할 수 있다.
스니펫이 디스플레이된 카드들은 다음 아이템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예: 문서 + 스니펫 카드); 스니펫 오버레이(예: 문서 + 스니펫 카드); LIVE 또는 OPINION과 같은 컨텐츠 유형을 표시하는 키커(예: 문서 + 스니펫 카드); 흰색 바탕에 추출된 인용구(예: 문서 + 인용구 카드); 인용구를 작성한 사람의 신원(예: 문서 + 인용구 카드); 퍼블리셔 제목(예: 문서 + 스니펫 카드, 문서 + 인용구 카드); 퍼블리셔 로고(예: 문서 + 스니펫 카드, 문서 + 인용구 카드); 퍼블리시된 타임스탬프(예: 문서 + 스니펫 카드, 문서 + 인용구 카드); 피드백용 오버플로우 메뉴(예: 문서 + 스니펫 카드, 문서 + 인용구 카드).
일부 구현예에서, 뉴스 캐스트 상의 모든 비디오 카드들은 그 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기(예: 이퀄라이저 또는 사운드 모듈레이션 애니메이션 아이콘)를 가질 것이다. 가능한 경우 비디오를 인라인으로 재생할 수 있다. 특정 비디오는 시각적 노이즈를 피하기 위해 스니펫 오버레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키커 또는 태그는 LIVE인 문서들 또는 비디오들에 대한 카드들에 제시될 수 있고 및/또는 OPINION 조각들에 제시되어 사용자가 이들을 사실적 리포트와 구분할 수 있게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핵심 인물로부터의 인용구는 뉴스 캐스트에 포함된 컨텐츠 아이템에서 추출되고 대응 카드에 디스플레이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용구들은 카드상의 특정 위치에만 허용된다(예: 위치 2 또는 3). 일부 구현예에서, 뉴스 캐스트는 뉴스 캐스트 상에 2개 이상의 인용구들을 포함하는 것은 금지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추출된 인용구는 다음 가이드라인의 일부 또는 모두를 준수할 수 있다: 인용구는 그와 연관된 지식 그래프 엔터티를 가지는 공인(authoritative people)로부터의 것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관객의 “인용구”] 또는 [이사회의 "인용구"]은 피해야 하며,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의 “인용구”]나 [채드윅 보스먼(Chadwick Boseman)의 “인용구”]는 선호되어 사용자가 더 나은 컨텍스트를 알게 한다. 다른 예에서, 영화, 노래 또는 책의 제목은 인용구로서 디스플레이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면: ["Look what you made me do", Taylor Swift]는 노래의 이름이기 때문에 인용구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또 다른 예시로서, 인용구들은 4개 이상의 단어를 포함해야만 한다. 길이가 짧은 단어의 인용구는 스토리에 대한 매우 작은 가치/컨텍스트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나는 그것을 보았다", JK Rowling]은 스토리에 대한 매우 작은 컨텍스트만 추가한다. 인용구는 인용구를 말한 사람을 올바르게 표시해야만 한다. 또한 인용구는 그것이 추출된 문서를 표시해야 한다. 인용구는 완전한 문장이어야 하며, 마침표로 끝나야 한다. 스니펫은 다양해야 하며,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
308에서, 컴퓨팅 시스템은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들과 각각 연관된 복수의 카드들을 통해 시각적으로 스크롤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에 대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 기술자를 생성한 후에, 컴퓨팅 시스템은 적절한 순서화를 보장하는 패킹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이들을 함께 혼합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일부 구현에서, 사용자는 보충/컨텍스트적 정보를 얻기 전에 먼저 스토리를 이해해야하므로, 뉴스 캐스트는 인용구 또는 소셜 미디어 포스트로 리드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리드 컨텐츠 아이템은 항상 사실적 리포트이어야 한다.
다른 예시로서, 일부 구현예에서, 뉴스 캐스트는 2개 이상의 인용구를 포함하면 안되며, 인용구(있는 경우)는 카드들 2 내지 4 사이에 배치되어야 한다. 다른 예시로서, 일부 구현예에서, 뉴스 캐스트는 1개 이상의 소셜 미디어 포스트를 포함하면 안되며, 상기 소셜 미디어 포스트는 카드들 2 내지 4 사이에 배치되어야 한다. 또 다른 예시로서, 일부 구현예에서, 의견은 카드 4 와 7 사이에 랭킹되어야 하며, 다양해야 한다.
일 예시에서, 서버 컴퓨팅 시스템은 방법(300)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뉴스 캐스트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에 뉴스 캐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적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예시적 방법(4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402에서, 컴퓨팅 시스템은 뉴스 캐스트의 다음 카드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402의 제1 인스턴스에서, 다음 카드가 제1 카드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카드를 제시하는 것은 카드와 연관된 비디오를 재생을 포함할 수 있다.
404에서, 컴퓨팅 시스템은 사용자가 카드를 선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사용자가 카드를 선택한 경우, 방법(400)은 (405)로 진행하고, 컴퓨팅 시스템은 사용자를 전체 컨텐츠 아이템으로 안내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카드를 선택하지 않았다면, 방법(400)은 (406)으로 진행하며, 컴퓨팅 시스템은 현재 디스플레이 된 카드가 연관된 초기 제시 기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초기 제시 기간이 만료되지 않았다면, 방법(400)은 (404)로 리턴한다.
그러나, 초기 제시 기간이 만료된 경우, 방법(400)은 (408)로 진행하며, 하나가 사용가능한 경우, 컴퓨팅 시스템은 현재 디스플레이된 카드와 연관된 스니펫을 제시한다. 스니펫은 모든 카드마다 생성될 필요는 없다. (408)에서, 스니펫의 제시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다른 컨텐츠 기술자가 제시될 수 있다. (408)후에, 방법(400)은 단계(410)로 진행한다.
(410)에서, 컴퓨팅 시스템은 사용자가 카드를 선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사용자가 카드를 선택한 경우, 방법(400)은 (405)로 진행하고, 컴퓨팅 시스템은 사용자를 전체 컨텐츠 아이템으로 안내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카드를 선택하지 않았다면, 방법(400)은 (412)으로 진행하며, 컴퓨팅 시스템은 현재 디스플레이 된 카드가 연관된 2차 제시 기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2차 제시 기간이 만료되지 않았다면, 방법(400)은 (410)로 리턴한다.
그러나, 2차 제시 기간이 만료된 경우, 방법(400)은 (402)로 진행하며, 컴퓨팅 시스템은 뉴스 캐스트의 다음 카드를 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컴퓨팅 시스템 복수의 카드들을 포함하는 뉴스 캐스트를 자동 재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토픽(예: 뉴스 스토리) 주변의 다른 관점을 제공하는 컨텐츠 아이템들(예: 뉴스 기사 또는 반응)을 브라우징하고 이해하게 할 수 있는 린-백(lean-back), 인터렉티브 경험을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는 또한 카드들 사이에서 탐색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새로운 카드(예를 들어, 다음 카드 또는 이전 카드)로 이동할 수 있고, 일단 새로운 카드가 제시되면, 그러한 새로운 카드에 대해 (404)에서 시작한다.
추가 개시
본 명세서에 논의된 기술은 서버,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 및 다른 컴퓨터 기반 시스템들 뿐만 아니라 취해진 액션들 및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되거나 그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컴퓨터 기반 시스템들의 내재적 유연성은 광범위한 가능한 구성들, 조합들 및 작업의 분할 및 컴포넌트들 간의 및 그로부터의 기능성을 허용함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프로세스들은 단일의 디바이스 또는 컴포넌트 또는 조합으로 작동하는 다수의 디바이스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및 어플리케이션들은 단일 시스템 또는 다수의 시스템들에 걸처 분산된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분산 컴포넌트들은 순차적으로 또는 병렬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제가 그 다양한 특정 예시적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각 예시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한정을 위한 것은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내용을 이해할 때 상기 실시예에 대한 변형, 변형 및 균등물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명백질 수 있는 상기 수정, 변형 및/또는 본 발명에 대한 추가의 포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일부로서 도시되거나 기술된 구성들은 여전히 추가적 실시예를 만들어내기 위해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수정들 및 변형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되었다.
특히, 도 3 및 4는 도시 및 설명을 위해 특정한 순서로 수행된 단계들을 각각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방법은 특별히 설명된 순서 또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방법(300 및 400)의 다양한 단계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생략, 재배열, 결합 및/또는 구성될 수 있다.

Claims (15)

  1. 정보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컨텐츠 아이템들의 다수의 별개의 소스들로부터, 토픽과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들에 대한 각각의 복수의 카드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들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 기술자(descriptor)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들과 각각 연관된 상기 복수의 카드들을 통해 순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카드들 각각에 대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카드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에 대해 생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기술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2.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토픽은 뉴스 스토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들은 상기 뉴스 스토리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뉴스 기사들을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아이템들의 다수의 별개의 소스들은 다수의 별개의 뉴스 퍼블리셔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3.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카드들을 통해 시각적으로 스크롤하고, 상기 복수의 카드들 각각에 대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카드 상에 시각적으로 제시하며, 상기 카드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기술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4.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카드들을 자동적으로 순환시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각의 제시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카드들 각각을 각각 제시하도록 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제시 기간들은 연속적이고 오버래핑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5.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상기 컨텐츠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기술자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상기 컨텐츠 아이템에 대한 스니펫을 생성하는 것,
    선택적으로, 상기 스니펫은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텍스트적 요약 또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으로부터 추출된 인용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카드와 연관된 제시 기간의 초기 부분에 대해 상기 스니펫 없이 상기 카드를 제시한 후에, 상기 컨텐츠 아이템과 연관된 상기 카드 상에 상기 스니펫을 시작적으로 제시하여, 상기 스니펫이 상기 카드와 연관된 상기 제시 기간의 제2 부분에 대해서만 상기 카드 상에 제시되도록 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스니펫에 포함된 텍스트적 문자들이 시간의 기간에 걸쳐 상기 카드 상에 순차적으로 추가되는 타자기 효과로 상기 카드 상에 상기 스니펫을 시각적으로 제시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카드 상에 상기 스니펫의 시각적 제시에 따라 상기 카드의 백그라운드 이미지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6.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기술자들은 상기 컨텐츠 아이템에 포함된 의견의 레벨을 기술하는 의견 레벨 기술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7.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영화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과 연관된 카드에서 상기 영화의 재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8.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카드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단절된 세그먼트들을 갖는 진행 바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복수의 카드들을 통해 시각적으로 스크롤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단절된 세그먼트들을 점진적으로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9.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상기 토픽과 관련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컨텐츠 다양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후보 컨텐츠 아이템들을 랭킹하는 것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컨텐츠 다양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후보 컨텐츠 아이템들을 랭킹하는 것은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현저한 용어;
    논의되는 사람들;
    퍼블리셔;
    의견의 레벨; 및
    청중 유형 중 하나 이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후보 컨텐츠 아이템들을 랭킹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0.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들 각각에 대해 하나 이상의 컨텐츠 기술자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지식 그래프 엔트리를 가지는 엔터티와 연관된 인용구(quote)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1.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토픽과 관련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토픽과 관련된 적어도 임계수의 후보 컨텐츠 아이템들 내에서 내장된 소셜 미디어 포스트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2.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들 각각에 대해 하나 이상의 컨텐츠 기술자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아이템들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기술자들을 중복-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3.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시스템으로서,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팅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기계 학습 리소스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하나와의 사용자 인터렉션들을 평가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와의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들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시스템.
  14.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집합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5.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의 수행에 의해 생산된 정보적 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KR1020190053162A 2018-05-07 2019-05-07 토픽과 관련된 컨텐츠 아이템들의 제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81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68241P 2018-05-07 2018-05-07
US201862668230P 2018-05-07 2018-05-07
US62/668,230 2018-05-07
US62/668,241 2018-05-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117A true KR20190128117A (ko) 2019-11-15

Family

ID=666686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156A KR20190128116A (ko) 2018-05-07 2019-05-07 공통 스토리와 관련된 미디어-컨텐츠 아이템을 식별, 선택 및 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0190053162A KR20190128117A (ko) 2018-05-07 2019-05-07 토픽과 관련된 컨텐츠 아이템들의 제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156A KR20190128116A (ko) 2018-05-07 2019-05-07 공통 스토리와 관련된 미디어-컨텐츠 아이템을 식별, 선택 및 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20190340199A1 (ko)
EP (2) EP3567494A1 (ko)
KR (2) KR20190128116A (ko)
CN (2) CN1102632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608A (ko) * 2020-02-21 2021-09-01 구글 엘엘씨 기계 학습을 사용하여 애니메이션 미디어 컨텐츠 아이템에서 시간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40199A1 (en) * 2018-05-07 2019-11-07 Google Llc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Selecting, and Presenting Media-Content Items Related to a Common Story
US11934437B2 (en) * 2018-07-02 2024-03-19 Primer Technologies, Inc. Stance detection and summarization for data sources
USD949909S1 (en) * 2018-08-24 2022-04-26 Meta Platforms,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972101B2 (en) * 2019-12-09 2024-04-30 SmartNews, Inc. Slider for content selection in user interface
US20210368241A1 (en) * 2020-03-31 2021-11-25 Kosmas George Ballis System and method for curating internet multimedia content for television broadcast
US20220019631A1 (en) * 2020-07-16 2022-01-20 Fox Sports Produc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animated website
US11711493B1 (en) 2021-03-04 2023-07-25 Meta Platfor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phemeral streaming spaces
CN112883208A (zh) * 2021-03-26 2021-06-01 数预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自动生成数据故事的系统与方法
CN114090856B (zh) * 2022-01-21 2022-05-13 浙江工企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工业操作系统的工业app选配与聚合方法
CN114548037A (zh) * 2022-03-01 2022-05-27 北京搜狐新媒体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多媒体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8931A (en) * 1994-10-24 1998-05-05 Infosis Group Ltd.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graphical images and text of a publication
US7200801B2 (en) 2002-05-17 2007-04-03 Sap Aktiengesellschaft Rich media information portals
US7346668B2 (en) * 2002-05-17 2008-03-18 Sap Aktiengesellschaft Dynamic presentation of personalized content
US8813133B1 (en) * 2004-03-17 2014-08-19 Starz Entertainment, Llc Video rotation interface
US20070136248A1 (en) * 2005-11-30 2007-06-14 Ashantipic Limited Keyword driven search for questions in search targets
US7669123B2 (en) * 2006-08-11 2010-02-23 Facebook, Inc. Dynamically providing a news feed about a user of a social network
US7783497B2 (en) * 2006-03-28 2010-08-24 Intel Corporation Method of adaptive browsing for digital content
WO2008034084A2 (en) * 2006-09-14 2008-03-20 Cqgt, Llc Interactive streaming news headline display
US8230361B2 (en) * 2006-09-28 2012-07-24 Google Inc. Content feed user interface
US10867133B2 (en) * 2008-05-01 2020-12-15 Primal Fus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knowledge representation to provide information based on environmental inputs
US8380710B1 (en) * 2009-07-06 2013-02-19 Google Inc. Ordering of ranked documents
US20110153396A1 (en) * 2009-12-22 2011-06-23 Andrew Marcuvitz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on-line transactions involving a content owner, an advertiser, and a targeted consumer
US8600979B2 (en) * 2010-06-28 2013-12-03 Yahoo! Inc. Infinite browse
US20140081954A1 (en) * 2010-11-30 2014-03-20 Kirill Elizarov Media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US8719279B2 (en) * 2012-02-24 2014-05-06 Strategic Communication Advisors, LLC.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and ranking newsworthiness
US8826125B2 (en) * 2012-03-12 2014-09-02 Hyperion Media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ews articles
US9274696B1 (en) 2012-07-06 2016-03-01 Path Mobile Inc Pte. Ltd. Scroll bar with time details
US9009619B2 (en) * 2012-09-19 2015-04-14 JBF Interlude 2009 Ltd—Israel Progress bar for branched videos
US9552395B2 (en) 2013-11-13 2017-01-24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recommended media content items
WO2015196162A1 (en) * 2014-06-20 2015-12-23 Google Inc.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playing on a device
US10241994B2 (en) * 2014-07-02 2019-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on electronic device
US10242047B2 (en) 2014-11-19 2019-03-26 Facebook,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erforming search queries
US20160162582A1 (en) * 2014-12-09 2016-06-09 Moodwire,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an opinion search engine and a display thereof
US10621183B1 (en) * 2015-03-09 2020-04-14 Interos Solutions, Inc. Method and system of an opinion search engine with a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 providing an opinion web portal
US10685471B2 (en) * 2015-05-11 2020-06-16 Facebook,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laying video while transitioning from a content-item preview to the content item
US10798193B2 (en) * 2015-06-03 2020-10-06 Oath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toryline construction based on determined breaking news
US10455049B2 (en) * 2015-07-13 2019-10-22 Facebook, Inc. Presenting content to an online system user based on content presented by a scrollable content unit
US10606466B2 (en) * 2015-07-13 2020-03-31 Facebook, Inc. Presenting additional content to an online system user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 a scrollable content unit
US10176265B2 (en) * 2016-03-23 2019-01-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wareness engine
CN106294730A (zh) * 2016-08-09 2017-01-0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资讯信息的推荐方法及装置
GB2556394A (en) * 2016-10-24 2018-05-30 Adobe Systems Inc Combined interaction monitoring for media content groups on social media services
US10783197B2 (en) * 2017-03-31 2020-09-22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iverse content
US10747945B2 (en) * 2017-12-12 2020-08-18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rendering stylized text posts
US20190340199A1 (en) * 2018-05-07 2019-11-07 Google Llc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Selecting, and Presenting Media-Content Items Related to a Common Sto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608A (ko) * 2020-02-21 2021-09-01 구글 엘엘씨 기계 학습을 사용하여 애니메이션 미디어 컨텐츠 아이템에서 시간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39835A1 (en) 2019-11-07
KR20190128116A (ko) 2019-11-15
US11048402B2 (en) 2021-06-29
CN110263186A (zh) 2019-09-20
US20200293170A1 (en) 2020-09-17
EP3567493A1 (en) 2019-11-13
CN110263272A (zh) 2019-09-20
US20210326017A1 (en) 2021-10-21
US20190340199A1 (en) 2019-11-07
EP3567494A1 (en) 2019-11-13
US10671267B2 (en) 2020-06-02
US11435890B2 (en)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8117A (ko) 토픽과 관련된 컨텐츠 아이템들의 제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Morris et al. Rich representations of visual content for screen reader users
US1056732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serting content into conversations in on-line and digital environments
US11128918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aggregating and presenting content relevant to a particular video game
US10565268B2 (en) Interactive communication augmented with contextual information
US8997134B2 (en) Controlling presentation flow based on content element feedback
US20190130185A1 (en) Visualization of Tagging Relevance to Video
US20160226804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suggesting a link to media content
US9442626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content consumption and sharing through geographic and incentive based virtual networks
US11423073B2 (en) System and management of semantic indicators during document presentations
US20140195890A1 (en) Browser interface for accessing supplemental content associated with content pages
US9710140B2 (en) Optimizing layout of interactive electronic content based on content type and subject matter
US10437913B2 (en) Determining heights of content regions presenting content in a digital magazine
WO2008154419A2 (en) Systems and processes for presenting informational content
US20140195337A1 (en) Browser interface for accessing supplemental content associated with content pages
US202100511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shing content
US11029801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ssages
EP3374879A1 (en) Provide interactive content generation for document
US113081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shing content
US1094338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shing content
US120014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shing content
WO20210301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shing content
JP2018181337A (ja) 対話サービス提供装置、対話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0750194A (zh) 一种提供待发布信息的方法、设备和介质
Sato Collaborative Web Accessibility Improvement with Users and Volunte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