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024A -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024A
KR20190128024A KR1020180051732A KR20180051732A KR20190128024A KR 20190128024 A KR20190128024 A KR 20190128024A KR 1020180051732 A KR1020180051732 A KR 1020180051732A KR 20180051732 A KR20180051732 A KR 20180051732A KR 20190128024 A KR20190128024 A KR 20190128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valve
hydrant
water
fight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4669B1 (ko
Inventor
진익희
Original Assignee
부산광역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광역시 filed Critical 부산광역시
Priority to KR1020180051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669B1/ko
Publication of KR20190128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4Supports or clamps for fire ho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화재 발생 시 소화용수를 싣고 화재현장으로 출동하는 소방차량과 평상시에는 상기 소방차량에 탑재하여 운반되다가, 상기 소방차량의 충수 필요시에 선택적으로 상기 소방차량에 인접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소방차량과 호스에 의해 연결되는 밸브와 상기 밸브와 호스에 의해 연결되는 스탠드 파이프와 상기 스탠드 파이프와 연결되어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상수도배관과 상기 상수도배관을 개폐하는 소화전스핀들을 포함하며, 상기 소방차량의 충수 과정에서 상기 소화전스핀들을 조작할 필요없이, 상기 밸브를 개폐하고 상기 호스를 소방차량에 착탈하는 작업만으로 충수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충수 작업 시 소방관이 이동하는 거리를 최소화하여 충수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fire engine water replenishment system}
본 발명은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으로써 더욱 자세하게는, 화재 현장에서 소방차량에 소방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화재 현장 주위에 있는 소화전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소방용수 공급 시간을 단축하고, 화재현장에 원활하게 소방용수를 공급함으로써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에 관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계속해서 연구되고 있다. 여러 종류의 화재가 있지만,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 중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소화용수를 화재 발생 지역에 분사하는 것이다. 일례로, 도심지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소방차량이 소화용수를 가득 싣고 출동하여 화재현장에 소화용수를 분사한다. 싣고 온 소화용수를 통해 진화가 완료되면 다행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소화용수의 보충이 필요하다.
소방차량이 소화용수를 보충하는 방법 중 지하 소화전을 이용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이에 관련하여, 소방차량에 소화용수를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48850호는 지하 매설식 승하강 소화전의 구조 및 시공 방법을 제시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파손, 훼손, 동파 등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8375호는 도시 도로변 곳곳의 지하맨홀 내부에 설치된 소화전에 호스를 연결할 때, 소화전 급수밸브의 개폐장치를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소화용수의 공급시간을 단축시켰다. 하지만, 소화전이 설치된 장소가 도로가 협소한 곳이거나 고지대 등 소방차량의 진입이 곤란한 곳에 위치한 경우 소방차량의 진출입이 어려워 소화용수의 공급이 지체될 수 있다. 또한, 소화전 스핀들의 빈번한 개폐로 인해 누수 등의 고장 및 작동 중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48850호(2007.09.0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8375호(2003.06.2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화용수의 공급체계를 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방차량의 진출입이 곤란한 상황에서도 소화용수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방차량에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단축하여, 소화용수의 공급시간을 단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전 스핀들을 한번 개방하여 다수의 소방차량에 소화용수를 공급함으로써, 소화전 스핀들 개방 횟수를 줄여 소화전 스핀들의 수명을 늘리고, 개폐시간을 단축하여 소화용수의 공급시간을 단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방차량에 소화용수를 공급하는데 있어서, 밸브를 통해 손쉽게 조작하여 소화용수의 공급시간을 단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에 있어서, 화재 발생 시 소화용수를 싣고 화재현장으로 출동하는 소방차량과 평상시에는 상기 소방차량에 탑재하여 운반되다가, 상기 소방차량의 충수 필요시에 선택적으로 상기 소방차량에 인접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소방차량과 호스에 의해 연결되는 밸브와 상기 밸브와 호스에 의해 연결되는 스탠드 파이프와 상기 스탠드 파이프와 연결되어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상수도배관과 상기 상수도배관을 개폐하는 소화전스핀들을 포함하며, 상기 소방차량의 충수 과정에서 상기 소화전스핀들을 조작할 필요없이, 상기 밸브를 개폐하고 상기 호스를 소방차량에 착탈하는 작업만으로 충수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충수 작업 시 소방관이 이동하는 거리를 최소화하여 충수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은, 공간이 협소하거나 고지대와 같이 상기 소방차량이 진입하기 곤란한 지점에 상기 소화전이 위치할 경우, 상기 밸브가 상기 소방차량이 이동하기 용이한 지점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소방차량의 진출입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밸브는 일방향을 기준으로 0°내지 90°의 범위로 회전하여 상기 밸브를 개폐하는 개폐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손잡이를 통해 상기 소방차량에 소방용수를 공급 및 차단함으로써 신속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소방차량이 소화용수를 공급받는 과정은, 상기 상수도배관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소화전의 뚜껑이 개방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이후, 상기 스탠드 파이프와 상기 상수도배관이 연결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스탠드 파이프와 상기 밸브가 호스를 통해 연결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밸브와 상기 소방차량이 호스를 통해 연결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이후, 상기 소화전스핀들이 개방되고, 상기 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소방차량에 소화용수가 공급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 이후, 상기 밸브가 폐쇄되고, 상기 소방차량과 상기 밸브를 연결하는 호스가 분리된 후, 상기 소방차량이 화재 현장으로 이동하게 되는 제6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소방차량과 상기 밸브를 연결하는 호스를 제외한 나머지 호스에 남은 소화용수를 낭비하지 않고, 상기 나머지 호스에 남은 높은 압력의 소화용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은, 화재 현장에 출동하는 소방차량이 다수일 경우, 상기 제5단계는 첫 소방차량에 소방용수를 공급할 때 상기 소화전스핀들이 개방되고, 중간의 소방차량에 소방용수를 공급할 때는 상기 밸브를 이용하여 개폐하고, 마지막 소방차량에 소방용수를 공급할 때 상기 소화전스핀들이 폐쇄됨으로써, 상기 소화전스핀들의 개폐 횟수를 줄여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특징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은, 소화용수의 공급체계를 확립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방차량의 진출입이 곤란한 상황에서도 소화용수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방차량에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단축하여, 소화용수의 공급시간을 단축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전 스핀들을 한번 개방하여 다수의 소방차량에 소화용수를 공급함으로써, 소화전 스핀들 개방 횟수를 줄여 소화전 스핀들의 수명을 늘리고, 개폐시간을 단축하여 소화용수의 공급시간을 단축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방차량에 소화용수를 공급하는데 있어서, 밸브를 통해 손쉽게 조작하여 소화용수의 공급시간을 단축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의 밸브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의 밸브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의 밸브의 윗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소화용수를 싣고 화재현장으로 출동하는 소방차량(100)과 평상시에는 상기 소방차량(100)에 탑재하여 운반되다가, 상기 소방차량(100)의 충수 필요시에 선택적으로 상기 소방차량(100)에 인접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소방차량(100)과 호스(150)에 의해 연결되는 밸브(200)와 상기 밸브(200)와 호스(150)에 의해 연결되는 스탠드 파이프(300)와 상기 스탠드 파이프(300)와 연결되어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상수도배관(500)과 상기 상수도배관(500)을 개폐하는 소화전스핀들(430)을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소화전스핀들(430)은 소화전핸들(320)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상기 스탠드 파이프(300)는 상기 상수도배관(500)과 연결된 방사구(410)와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소방차량(100)의 충수 과정에서 상기 소화전스핀들(430)을 조작할 필요없이, 상기 밸브(200)를 개폐하고 상기 호스(150)를 소방차량에 착탈하는 작업만으로 충수 과정이 이루어 질 수 있으므로, 충수 작업 시 소방관이 이동하는 거리를 최소화하여 충수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비교해보면, 기존에는 상기 소방차량(100)이 소화전(400)에서 소화용수를 공급받고 화재현장으로 출동한 후, 싣고 온 소화용수를 모두 사용하여 다시 소화용수의 공급이 필요할 때, 상기 소방차량(100)마다 매번 상기 소화전스핀들(430)을 개폐하는 작업과 상기 호스(150)를 상기 소방차량(100)에 연결하는 작업이 반복되어야 하므로, 소방관이 도 2에 표시한 이동거리(D2)만큼 먼 거리를 이동할 수 밖에 없다.
반면에, 상기 밸브(2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경우에는 상기 소화전스핀들(430)을 개방한 이후에는 상기 밸브(200)를 개폐하는 작업만으로 상기 소화용수의 공급 및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소방관의 이동거리(D1)가 상기 밸브(200)가 없는 기존 방식에서 소방관의 이동거리(D2)에 비하여 월등히 단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방식에 비하여 상기 소방차량(100)의 충수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밸브(200)는 설치지점 변경이 가능하여, 공간이 협소하거나 고지대와 같이 상기 소방차량(100)이 진입하기 곤란한 지점에 상기 소화전(400)이 위치할 경우, 상기 소방차량(100)이 이동하기 용이한 지점에 상기 밸브(200)를 설치하여 소방용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소방차량(100)의 진출입시간을 감소시킨다.
일례로, 상기 소방차량(100)이 진입할 수 없는 좁은 골목길을 통과해야하는 곳에 상기 소화전(400)이 위치한 경우, 상기 밸브(200)를 상기 소방차량(100)이 진출입하기 용이한 위치에 설치한다. 상기 소방차량(100)이 상기 소화전(400)에서 소화용수를 공급받고 화재현장으로 출동한 후, 싣고 온 소화용수를 모두 사용하여 다시 소화용수를 공급이 필요할 때, 진출입이 용이한 곳에 상기 밸브(20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소화용수의 공급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3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밸브(200)는 볼타입 밸브 구조로 이루어져 소화용수의 유동을 조절한다. 상기 밸브(200)는 소화용수가 이동하는 몸체관(210)과 상기 몸체관에 구비되어 소화용수의 이동을 조작하는 개폐손잡이(220)와 상기 개폐손잡이(220)와 상기 몸체관(210)을 지지하는 4개의 지지대(230)와 상기 4개의 지지대(230)와 접촉하는 지지판(240)과 상기 몸체관(210)과 호스(150)를 연결하는 2개의 연결부(250)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2개의 연결부(250)는 65A 소방암나사와 65A 소방수나사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관(210)에는 소화용수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거름망(21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몸체관(210)의 일측에는 집게부(212)가 구비되어 있다. 일례로, 상기 집게부(212)는 경광봉과 같은 조명장치를 고정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어두운 상황에서도 상기 밸브(200)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상기 밸브(200)는 일방향을 기준으로 0°내지 90°의 범위로 회전하여 상기 밸브(200)를 개폐하는 개폐손잡이(220)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손잡이(220)를 통해 상기 소방차량에 소방용수를 공급 및 차단함으로써 신속한 조작이 가능하여, 소화용수의 공급시간을 단축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손잡이(220)가 0°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소방용수가 차단되고, 상기 개폐손잡이(220)가 90°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밸브(200)의 내부 유로가 완전히 개방되어 소방용수가 최대 유량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손잡이(220)가 45°와 같은 중간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소방용수가 상기 최대 유량보다 적은 중간 유량으로 공급되도록 조절될 수도 있다.
상기 4개의 지지대(230)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4개의 지점이 상기 몸체관(210)보다 바깥쪽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관(2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지지판(240)은 직육면체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밸브(200)에 고압의 소화용수가 흘러도 상기 밸브(200)가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지지판(240)은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고지대 등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상기 밸브(200)가 놓이는 바닥면이 평평하지 않아도 상기 밸브(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제 소화용수의 공급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상기 소방차량(100)에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소방차량(100)이 진출입 용이한 곳에 정차한 후 제1단계는 상기 상수도배관(50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소화전의 뚜껑을 개방한다. 다음으로, 제2단계는 상기 스탠드 파이프(300)와 상기 상수도배관(500)을 연결한다. 다음으로, 제3단계는 상기 스탠드 파이프(300)와 상기 밸브(200)를 호스(150)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다음으로, 제4단계는 상기 밸브(200)와 상기 소방차량(100)을 호스(150)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소화전스핀들(430)을 소화전핸들(320)로 조작하여 상기 소방차량(100)에 소화용수를 공급한다. 다음으로, 상기 소방차량(100)과 상기 밸브(200)를 연결하는 호스(150)를 분리한 후 상기 소방차량(100)이 화재 현장으로 출동한다.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소방차량(100)과 상기 밸브(200)를 연결하는 호스(150)를 제외한 나머지 호스(150)에 남은 소화용수를 낭비하지 않고, 상기 나머지 호스(150)에 남은 높은 압력의 소화용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일례로, 도2를 참조하면, 기존에는 상기 밸브(200)가 설치되어있지 않아 상기 소방차량(100)에 소화용수를 공급한 후 소화전 스핀들(430)을 폐쇄하였을 때 호스(150)에 남은 소화용수가 낭비된다. 또한 호스(150)에 남은 소화용수는 고압이므로 압력을 제거하지 않고 호스(150)를 분리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밸브(200)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소방차량(100)에 소화용수를 공급한 후 상기 밸브(200)를 잠그고 상기 소방차량(100)이 화재현장으로 출동함으로써, 소방관의 이동거리를 감소시킨다. 또한 호스(150)에 남은 소화용수의 낭비를 줄이고, 고압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화재 현장에 출동하는 소방차량(100)이 다수일 경우, 상기 제5단계는 처음 소방용수를 공급받는 소방관이 상기 소화전스핀들(430)을 개방하고, 중간의 소방차량에 소방용수를 공급할 때는 상기 밸브(200)를 이용하여 개폐하고, 마지막으로 소방용수를 공급받는 소방관이 상기 소화전스핀들(430)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소화전스핀들(430)의 개폐 횟수를 줄여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시간을 단축한다.
일례로, 기존에는 도 2를 참조하면, 화재 현장에 출동하는 소방차량(100)이 다수일 경우, 모든 소방차량(100)의 소방관이 상기 소화전스핀들(430)을 개방하고, 폐쇄하여 소화용수의 공급시간이 증가한다. 또한, 상기 소화전스핀들(430)의 고장이 빈번하다.
반면 본 발명에 의하면 도 1을 참조하면, 처음 소방용수를 공급받는 소방관이 상기 소화전스핀들(430)을 개방하고, 마지막으로 소방용수를 공급받는 소방관이 상기 소화전스핀들(430)을 폐쇄할 뿐, 중간 소방차량의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동안에는 상기 소화전스핀들(430)은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밸브(200)를 개폐하는 것만으로 충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동거리도 감소하고, 상기 소화전스핀들(430)을 조작하는 시간도 감소하여 효율적인 로테이션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전스핀들(430)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소방차량
150 : 호스
200 : 밸브
210 : 몸체관
211 : 거름망
212 : 집게부
220 : 개폐손잡이
230 : 4개의 지지대
240 : 지지판
250 : 2개의 연결부
300 : 스탠드 파이프
320 : 소화전핸들
400 : 소화전
410 : 방수구
430 : 소화전스핀들
500 : 상수도배관
600 : 지면
D1 : 상기 밸브(200)가 있는 경우 소방관의 이동거리
D2 : 상기 밸브(200)가 없는 경우 소방관의 이동거리

Claims (5)

  1. 화재 발생 시 소화용수를 싣고 화재현장으로 출동하는 소방차량;
    평상시에는 상기 소방차량에 탑재하여 운반되다가, 상기 소방차량의 충수 필요시에 선택적으로 상기 소방차량에 인접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소방차량과 호스에 의해 연결되는 밸브;
    상기 밸브와 호스에 의해 연결되는 스탠드 파이프;
    상기 스탠드 파이프와 연결되어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상수도배관; 및
    상기 상수도배관을 개폐하는 소화전스핀들;을 포함하며,
    상기 소방차량의 충수 과정에서 상기 소화전스핀들을 조작할 필요없이, 상기 밸브를 개폐하고 상기 호스를 소방차량에 착탈하는 작업만으로 충수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충수 작업 시 소방관이 이동하는 거리를 최소화하여 충수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공간이 협소하거나 고지대와 같이 상기 소방차량이 진입하기 곤란한 지점에 소화전이 위치할 경우, 상기 밸브가 상기 소방차량이 이동하기 용이한 지점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소방차량의 진출입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일방향을 기준으로 0°내지 90°의 범위로 회전하여 상기 밸브를 개폐하는 개폐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손잡이를 통해 상기 소방차량에 소방용수를 공급 및 차단함으로써 신속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차량이 소화용수를 공급받는 과정은,
    상기 상수도배관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소화전의 뚜껑이 개방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이후, 상기 스탠드 파이프와 상기 상수도배관이 연결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스탠드 파이프와 상기 밸브가 호스를 통해 연결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밸브와 상기 소방차량이 호스를 통해 연결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 이후, 상기 소화전스핀들이 개방되고, 상기 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소방차량에 소화용수가 공급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 이후, 상기 밸브가 폐쇄되고, 상기 소방차량과 상기 밸브를 연결하는 호스가 분리된 후, 상기 소방차량이 화재 현장으로 이동하게 되는 제6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소방차량과 상기 밸브를 연결하는 호스를 제외한 나머지 호스에 남은 소화용수를 낭비하지 않고, 상기 나머지 호스에 남은 높은 압력의 소화용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화재 현장에 출동하는 소방차량이 다수일 경우, 상기 제5단계는 첫 소방차량에 소방용수를 공급할 때 상기 소화전스핀들이 개방되고, 중간의 소방차량에 소방용수를 공급할 때는 상기 밸브를 이용하여 개폐하고, 마지막 소방차량에 소방용수를 공급할 때 상기 소화전스핀들이 폐쇄됨으로써, 상기 소화전스핀들의 개폐 횟수를 줄여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

KR1020180051732A 2018-05-04 2018-05-04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 KR102064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732A KR102064669B1 (ko) 2018-05-04 2018-05-04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732A KR102064669B1 (ko) 2018-05-04 2018-05-04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024A true KR20190128024A (ko) 2019-11-14
KR102064669B1 KR102064669B1 (ko) 2020-01-10

Family

ID=6857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732A KR102064669B1 (ko) 2018-05-04 2018-05-04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6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375Y1 (ko) 2003-03-18 2003-06-27 정풍진 지하 매설식 소화전의 급수밸브 개폐장치
KR100748850B1 (ko) 2004-11-13 2007-09-03 주식회사청원테크 지하 매설식 승하강 소화전의 구조 및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302B1 (ko) * 2011-05-17 2012-09-06 신진정공 주식회사 지상 소화전
KR200466000Y1 (ko) * 2012-07-23 2013-03-22 강태영 소방차량용 급수중계기
KR200473032Y1 (ko) * 2012-11-15 2014-06-05 경기도 다용도 용수 분배기 및 이것이 구비된 급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375Y1 (ko) 2003-03-18 2003-06-27 정풍진 지하 매설식 소화전의 급수밸브 개폐장치
KR100748850B1 (ko) 2004-11-13 2007-09-03 주식회사청원테크 지하 매설식 승하강 소화전의 구조 및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669B1 (ko) 202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9186Y1 (ko) 지상소화전
KR101331616B1 (ko)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KR102082567B1 (ko)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 시스템
KR102064669B1 (ko) 소방차량 충수 시스템
KR20210018690A (ko) 과압방지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복합밸브
US20050067016A1 (en) Air valve assembly for a fire hydrant
KR100757705B1 (ko) 소화전 설비용 사수방지장치
KR101034175B1 (ko) 고압가스를 이용한 소화전
WO2009158706A1 (en) Weeping system for fire hydrant having a protective valve or device
JP4623551B2 (ja) 消火栓装置
US6173739B1 (en) Addow's checkvalved FDC
KR20140035162A (ko) 주변 화재 차단용 수막 형성 시스템
KR20210158057A (ko) 제수밸브 및 체크밸브 일체형 사수방지 소화전 시스템
US20010002597A1 (en) Fire department connection
US9999792B2 (en) Wet pipe fire protection sprinkler system dual air vent with water retention and return
JP2023029554A (ja) トンネル内消火栓装置
KR20160012232A (ko) 화재 진압용 스프링 쿨러의 수압 검사 방법 및 수압검사용 검사수단
KR100802158B1 (ko) 소방용 커플링 및 이를 이용한 소방시스템
KR102055834B1 (ko) 벽걸이 소화장치
KR20200124378A (ko) 화재진압용 폼 트레일러
KR100972144B1 (ko) 회전식 소화전
JP7487375B2 (ja) 消火栓装置及び消火栓設備
EP0958000B1 (en) A device at a building for preventing propagation of fire and/or fire gases
KR102406586B1 (ko) 건축물 화재 시 연결송수관 설비를 이용한 스프링클러 시스템
JP3012546U (ja) よりもどし及び排水金具付き消防用二又分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