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7539A - 선체 밸러스트 수 멸균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선체 밸러스트 수 멸균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7539A
KR20190127539A KR1020190011814A KR20190011814A KR20190127539A KR 20190127539 A KR20190127539 A KR 20190127539A KR 1020190011814 A KR1020190011814 A KR 1020190011814A KR 20190011814 A KR20190011814 A KR 20190011814A KR 20190127539 A KR20190127539 A KR 20190127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ballast water
ballast
wat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충-유 첸
Original Assignee
포세이돈 에너지 테크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세이돈 에너지 테크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포세이돈 에너지 테크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127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8Multistage treatments, e.g. repetition of the same process step under different con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러스트 수 멸균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밸러스트 수 멸균 처리 방법은 적어도 하기와 같은 단계, 즉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급수 살균 장치가 선체 외부로부터 해수가 진입하도록 유도는 제 1 밸브를 통해, 배관을 통해 펌프가 제 1 밸브로부터 인입된 해수를 그 일단에 연결된 제 1 살균 장치에 수송하는 도입 단계; 해수가 제 1 살균 장치에 진입된 후, 상기 제 1 살균 장치의 자기장 효과에 의해 도입된 미생물 또는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사멸시키거나 표면의 저항성을 감소시킨 후 밸러스트 내에 밸러스트 수가 형성될 때까지 도입하는 자화 단계; 밸러스트 수가 밸러스트 탱크에 있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시 살균 장치와 지속적으로 접촉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시 살균 장치가 은 이온 또는 약제 등과 같은 멸균 성분을 방출하여 밸러스트 수 중의 미생물 또는 세균이 지속적으로 사멸되게 하고 또 증식되는 것을 억제시킴으로써, 밸러스트 수가 자화 단계를 거친 기초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시 살균 장치가 필요로 하는 은 이온 또는 약제 등과 같은 멸균 성분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균 억제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체 밸러스트 수 멸균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DEVICE FOR STERILIZATING BALLAST WATER OF SHIP}
본 발명은 선체 밸러스트 수 멸균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창에 밸러스트 수를 설치할 때의 멸균 방법 및 그 장치 설계에 관한 것으로, 더 낮은 비용과 더 우수한 멸균 효과를 구비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세계 무역 규모의 확대와 더불어, 선박 운송도 나날이 발전하고 있으며, 따라서 선박이 각국을 오가는 횟수도 빈번해지고, 선박이 가득 실은 화물을 목적지 국가로 운송한 후 화물을 내릴 때, 선체는 하중을 잃고 수평면에서 선체가 많이 떠오르게 되며, 선체 중심이 너무 높아 흔들리면서 불안정한 상태를 간접적으로 초래하게 되므로, 돌아오는 항해 과정에서 적재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문제로 인해 항해하는 선박의 안정성이 낮아지며, 2004년 <국제선박 밸러스트 수 및 침전물 관리협약(BWM 협약으로 약칭)>에서의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정의에 따르면, “밸러스트 수”는 선체의 흘수차를 조정하거나, 균형을 유지하거나, 흘수 깊이를 변경하거나, 또는 선창 압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도입된 수체이며, 밸러스트 수(Ballast water)는 선박이 경하(underloading) 상태, 즉 부족한 적재 상태 또는 공선 상태로 운항할 경우, 프로펠러가 물에 잠기도록 하거나 선박의 균형을 잡기 위해, 선창 바닥 또는 양측에 적절한 양의 물을 공급하는데 이 물이 선박의 밸러스트 수이다.
그러나 항구 실무에서, 선박 내에 밸러스트 수를 적재하기 위한 선창은 밸러스트 탱크라 불리며, 일반 선박의 밸러스트 수 양은 약 그 적재량의 30 % ~ 40 %이고, 선박의 설계, 사이즈 및 강도가 상이함에 따라, 10 만톤 적재량의 화물선을 예로 들때, 보유한 밸러스트 수는 많아서 3, 4 만톤에 달할 수 있으며, 선박이 항역에 진입하여 화물을 적재할 시, 다른 항만에서 흡입된 밸러스트 수를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대량의 밸러스트 수는 대량의 미지 수생 생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선박을 따라 전 세계에서 운송되고 각 하역 항구 부근의 해역에 배출되기에 생물 오염 문제는 나날이 심해지고 있다. 선박이 목적지에 도착하여 선상의 화물을 내린 후, 그 자리에서 추출한 물을 밸러스트 수로 하는 기술은, 비록 공선의 흘수 선이 적절한 범위에서 유지되게 하나, 다음 하역 목적지에 도착하면 화물을 내려야 하므로 다시 밸러스트 수를 배출해야 하며, 이러한 기술은 밸러스트 수를 인입할 때 해수를 추출하여 채우기 때문에 해수 도입 과정에서 대량의 수중 미생물을 흡입하게 되며, 이러한 생물은 세균 또는 다른 미생물, 소형 무척추동물 및 포자, 상대적으로 큰 종의 알 또는 유충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일부는 독성이 있으며, 일부는 그것들의 원생태계를 떠나 선박에서 배출 시 다른 하나의 생태계로 진입하여 위험성이 있고, 외래종은 천적이 없는 경우에 급속하게 번식한다. 다수의 해양 종은 그것들의 생명주기에서 모두 부유기를 거쳐야 하므로 선박의 밸러스트 수의 흡입구와 펌프를 통과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그것들은 성장한 후 매우 크거나 해상에 붙어 있을 수 있으나 모두 밸러스트 수를 통하여 수송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의 세계적 수송 문제는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1991년 페루 3 개 다른 항구 도시에서 발생한 콜레라 전염병과 같은 현대 선적 밸러스트 수로 인한 문제 사례는 선박의 밸러스트 수의 부적절한 배수 관리에 의해 수천명의 사망자를 초래한 비극이며, 해당 전염병 발생 상황은 남미 각 국으로 퍼졌고 1994년에 점차적으로 제거되었지만 누계하여 약 만명에 달하는 사람이 콜레라 전염병으로 인해 사망하여 심한 재앙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항해하는 다른 상선은 20 세기 말 홍콩, 중국 대륙 연해 항구에서 밸러스트 수 배출 시 적조균을 전파하여 흩어지게 하여 홍콩과 중국 대륙의 어업이 약 천만 달러의 심한 손실을 입게 한 등 사례는 생명 또는 환경에 막대한 피해를 주었다.
근 수십년 동안, 밸러스트 수는 선박의 오염을 줄이기 위한 국제 간 중요한 문제로 되었으며, 기존의 밸러스트 수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은 여과법, 약제법, 촉매화법, 탈산, 이온화, 오존 처리 또는 자외선 조사 등 방법을 포함하는데, 그 중에서 여과법은 밸러스트 수 중의 소형 곤충 및 플랑크톤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약제법은 고철산염 등 약제를 정수제로 첨가하여 해수 중에 잔존하는 미생물을 소멸하는 것이다. 촉매화법, 탈산, 이온화, 오존 처리 또는 자외선 조사 방법은 각각 상이한 메커니즘으로 유기체가 사망하도록 하는 것이다. 기존의 처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여과 장치(Filter Unit), 자외선 살균 장치(UV Unit), 조작 및 제어판(Operation and Control Panel), 배관 시스템(Piping System) 및 전기회로 시스템(Electric System) 등을 포함해야 하는데 시스템이 복잡하고 또한 화학 약제의 원가가 상대적으로 높음으로 인해 일반 밸러스트 수 시스템은 약 30 ~ 100 만 달러의 비용이 지출되어야 하며, 후속적인 수리비 및 재료 소모 비용도 고려해야 할 요점으로 되고, 대만의 각 큰 국제 항구에는 매년 여러 나라의 여러 종류의 상선이 있으며, 대량의 밸러스트 수는 대량의 미지 수생생물을 보유한 상태에서 선박을 따라 전 세계에서 운송되어 각 항구 부근의 해역에 배출되는데 이로 인한 문제는 국민과 관련 부서에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적극적으로 경계해야 한다.
현재 세계 53 개 국가 이상이 2016년 10월에 D-2 선박 밸러스트 수 관리 협약에 서명함으로써 국제 선박 밸러스트 수 및 침전물 관리 협약(BWM 협약) 체결 국가가 52 개에 달하였으며, 상선 총 최대 적재량의 35.14 % 차지하여 시행 조건에 도달함으로써, 2017년 9월 8일에 정식으로 시행되었고, 아래 표 1은 D-2 항 밸러스트 수 성능 기준을 규범화한 것이며, BWM 협약의 부속서 D-2는 밸러스트 수 처리를 위한 성능 기준을 규정한 것이고, 다양한 크기의 생물체 및 지표 미생물의 허용 농도를 통제한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은 밸러스트 수 멸균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선체 및 선체 내 밸러스트 탱크에 설치되고, 밸러스트 탱크의 급수 살균 장치, 적어도 하나의 상시 살균 장치 및 밸러스트 탱크의 배수 살균 장치 등 3 개 주요 부재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급수 살균 장치는 제 1 밸브를 구비하고, 제 1 밸브는 배관을 통해 펌프와 연결되며, 상기 펌프의 일단은 제 1 살균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시 살균 장치는 밸러스트 수 중에 상시 침지되어 있는 선체 밸러스트 수 멸균 장치에 적용되며, 본 발명의 밸러스트 수 멸균 처리 방법은 적어도 하기와 같은 단계, 즉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급수 살균 장치가 선체 외부로부터 해수가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제 1 밸브를 통해, 배관을 통해 펌프가 제 1 밸브로부터 인입된 해수를 그 일단에 연결된 제 1 살균 장치에 수송하는 도입 단계; 해수가 제 1 살균 장치에 진입된 후, 상기 제 1 살균 장치의 자기장 효과에 의해 도입된 미생물 또는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사멸시키거나 표면의 저항성을 감소시킨 후 밸러스트 내에 밸러스트 수가 형성될 때까지 도입하는 자화 단계; 밸러스트 수가 밸러스트 탱크에 있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시 살균 장치와 지속적으로 접촉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시 살균 장치가 은 이온 또는 약제 등과 같은 멸균 성분을 방출하여 밸러스트 수 중의 미생물 또는 세균이 지속적으로 사멸되게 하고 또 증식되는 것을 억제시킴으로써, 밸러스트 수가 자화 단계를 거친 기초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시 살균 장치가 필요로 하는 은 이온 또는 약제 등과 같은 멸균 성분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균 억제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주요 특징은 밸러스트 수 멸균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선체 및 선체 내 밸러스트 탱크게 설치되고, 상기 장치는 제 1 밸브를 구비하며, 제 1 밸브는 배관을 통해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펌프의 일단은 제 1 살균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밸브는 선체 외부로부터 해수 진입을 유도하고, 배관과 연결된 펌프를 통해 해수를 추출하여 펌프 일단에 연결된 제 1 살균 장치에 수송한 후, 밸러스트 탱크 내에 진입하여 밸러스트 수를 형성하는 밸러스트 탱크의 급수 살균 장치; 밸러스트 탱크에 설치되고, 밸러스트 수 중에 상시 침지되어있으며, 멸균 성분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시 살균 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국부 동작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국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국부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체 밸러스트 수 멸균 장치의 장치도와 같이, 상기 D-2 밸러스트 수 배출 기준 설계에 따라, 상기 선체 밸러스트 수 멸균 장치는 선체(B)의 밸러스트 탱크(C) 내에 설치되고, 여기서 상기 선체 밸러스트 수 멸균 장치는 밸러스트 탱크의 급수 살균 장치(10), 밸러스트 수의 상시 살균 장치(20) 및 밸러스트 탱크의 배수 살균 장치(30) 등 3 개 주요 부재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급수 살균 장치(10)는 선체(B) 외부로부터 해수(O) 진입을 유도하는 제 1 밸브(Vi); 및 배관(101)을 통해 제 1 밸브(Vi)와 연결되고 진입한 해수(O)를 추출하는 펌프(P)를 구비하며, 펌프(P)는 해수(O)를 인입하여 그 일단에 연결된 제 1 살균 장치(11)에 수송하며, 해수(O)는 제 1 살균 장치(11)를 통과한 후, 밸러스트 탱크(C) 내에 진입하여 밸러스트 수(CW)를 형성한다. 상기 밸러스트 탱크(C) 내에 복수 개의 상시 살균 장치(20)가 설치되며, 이러한 상기 상시 살균 장치(20)는 밸러스트 수(CW) 중에 상시 침지되어있다. 본 발명의 선체 밸러스트 수 멸균 장치에서는 선체(B)의 적절한 위치에 밸러스트 탱크의 배수 살균 장치(30)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배수 살균 장치(30) 설계 원리는 펌프(P)를 통해 밸러스트 수(CW)를 추출하고 먼저 그 일단에 연결된 제 2 살균 장치(31)를 통과하게 한 후 상기 펌프(P)로부터 배출되며, 배출된 밸러스트 수(CW)는 상기 펌프(P)를 거쳐 배관(301)으로 수송되어 일측에 연결된 제 2 밸브(Vo)로 배출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와 같이, 본 발명의 밸러스트 수 멸균 처리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도입 단계(S1)에서,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급수 살균 장치(10)가 선체(B) 외부로부터 해수(O)가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제 1 밸브(Vi)를 통해, 배관(101)을 통해 펌프(P)가 제 1 밸브(Vi)로부터 인입된 해수(O)를 그 일단에 연결된 제 1 살균 장치(11)에 수송한다.
자화 단계(S2)에서, 해수(O)가 제 1 살균 장치(11)에 진입된 후, 상기 제 1 살균 장치(11)의 자기장 효과에 의해 도입된 미생물 또는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사멸시키거나 표면의 저항성을 감소시킨 후 밸러스트 탱크(C) 내에 밸러스트 수(CW)가 형성될 때까지 해수(O)를 도입한다.
균 억제 단계(S3)에서, 밸러스트 수(CW)가 밸러스트 탱크(C)에 있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시 살균 장치(20)와 지속적으로 접촉시키고,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시 살균 장치(20)가 은 이온 또는 약제 등과 같은 멸균 성분을 방출하여 밸러스트 수(CW) 중의 미생물 또는 세균이 지속적으로 사멸되게 하고 또 증식되는 것을 억제시키되, 상기 단계에서, 밸러스트 수(CW)는 자화 단계(S2)를 이미 거쳤기때문에 균 억제 단계(S3)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시 살균 장치(20)가 필요로 하는 은 이온 또는 약제 등과 같은 멸균 성분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배출 단계(S4)에서, 밸러스트 수(CW) 배출 시, 상기 펌프(P)를 통해 밸러스트 수(CW)를 추출하고 내부에 자화 장치를 구비한 제 2 살균 장치(31)를 통과한 후 상기 펌프(P)로부터 배출되고, 배출된 밸러스트 수(CW)가 상기 펌프(P)를 거쳐 배관(301)으로 수송되어 일측에 연결된 제 2 밸브(Vo)로 배출되며, 여기서, 상기 제 2 살균 장치(31)는 상기 자화 장치의 자기장 효과를 통해 흐르는 밸러스트 수(CW)의 나머지 미생물 또는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사멸되게 하고 또 최저량을 배출할 때까지 억제시킨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부도와 같이, 상기 제 1 살균 장치(11)(또는 제 2 살균 장치(31))는 자화 장치 설계가 작업 원리 측면에서 전자기장이 끊임없이 성장하고 수축하며 또한 장 방향을 통해 계속하여 변화하는 특성을 구비하고, 이는 각종 상이한 수질에서의 물분자의 전하 양극 및 음극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생성된 전자기장은 자유 전자를 배관 중심으로부터 액체를 둘러싼 금속 배관 위로 이동시키고, 금속 배관 위에서도 유사한 전기전도 활동이 진행되고 있으며, 전자는 호스 주위를 에워싼 비좁은 주파수대로 밀리나, 이 위치는 전자를 금속과 멀리하게 하여, 상기 배열에 의해 물 분자단을 절단함으로써 대분자가 많은 소분자로 변하게 함으로써, 소분자 물이 세균과 미생물의 세포벽에 진입하여 번식 능력을 잃게 하고 이로써 살균 효과에 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살균 장치(11)(또는 제 2 살균 장치(31))의 자화 장치는 2 가지 유형의 자화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자화 장치는 통전형 자화 장치이고, 바람직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살균 장치(11)는 주로 2 개의 통전형 자화 장치(121/122)를 구비하며, 그 내부는 양극 양극 자화 링(Positive magnetizing ring)(123)을 구비하여 전자를 생성하고 그 외부고리는 금속 관벽(124)을 구비하며, 양극 자화 링(123)에 전기가 전도된 후, 상기 제 1 살균 장치(11)의 배관 라인 내에서 자기장(M)을 생성하고 또한 상기 작업 원리에 기반하여 입수(W1) 분자를 변화시켜 소분자의 배수(W2)를 생성하게 하며, 이 밖에, 상기 제 1 살균 장치(11) 양단에는 모두 결합단(111/112)이 설치되어 배관(101)과 연결되어 물 수송을 진행한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국부도와 같이, 상기 제 1 살균 장치(11)(또는 제 2 살균 장치(31))의 자화 장치는 영구자석 자화 장치(13)를 배관(101)의 양단에 연결하도록 설계 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영구자석 자화 장치(13)는 배관 라인 내의 평균 링에 복수 개의 자화 로드(rod)(131)를 설치하고 중심 로드(132)에 의해 고정되어 중심을 지지하며, 상기 복수 개의 자화 로드(131)는 자발 자화(Spontaneous magnetism)성을 갖고 있고, 흐르는 입수(W1)에 대해 자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어 자화 후의 소분자 입수(W2)가 세균에 쉽게 침입하여 미생물의 세포벽을 파괴시킴으로써 번식 능력을 잃게 하며 이로써 살균 효과에 도달하게 한다. 특히 설명해야 할 것은, 영구자석 자화 장치(13)는 과학기술의 진보와 더불어 각종 파장을 발산하는 자기장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정 용도 묘지에 적용될 때 더 효과적이며, 유지 보수가 간단하고 교체가 편리하다.
아래 표 2와 같이, 상기 단계 및 장치에 따라 실시된 후, 실제 120 시간의 테스트를 거쳐,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그룹(대조군)과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단계 및 장치를 사용한 실험군을 비교할 경우, 그 결과는 국제 선박 밸러스트 수 및 침전물 관리 협약 D-2 규정에 의한 밸러스트 수 처리의 성능 기준 요구에 확실히 부합된다.
Figure pat00002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계 및 그 장치는 선행 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하지 않으며, 실제 테스트 후, 국제 선박 밸러스트 수 및 침전물 관리 협약 D-2 규정에 의한 밸러스트 수 처리의 성능 기준에 부합되고, 생태 및 환경 위생에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자화를 통해 살균하고 세포벽을 파괴하는 효과에 도달하여 밸러스트 수에 사용되는 은 이온 또는 살균제 용량을 크게 감소시켜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출원 특허 요건에 부합되고 법에 따라 특허를 출원한다.
10: 밸러스트 탱크의 급수 살균 장치 101: 배관
11: 제 1 살균 장치 111/112: 결합단 121/122: 통전형 자화 장치
123: 양극 자화 링 124: 금속 관벽 13: 영구자석 자화 장치
131: 자화 로드 132: 중심 로드 20: 상시 살균 장치
30: 밸러스트 탱크의 배수 살균 장치 301: 배관
31: 제 2 살균 장치 B: 선체 C: 밸러스트 탱크
CW: 밸러스트 수 M: 자기장 O: 해수
P: 펌프 S1: 도입 단계 S2: 자화 단계
S3: 균 억제 단계 S4: 배출 단계 Vi: 제 1 밸브
Vo: 제 2 밸브 W1: 입수 W2: 배수

Claims (8)

  1. 선체(B) 및 선체(B) 내 밸러스트 탱크(C)에 설치되고, 밸러스트 탱크의 급수 살균 장치(10), 적어도 하나의 상시 살균 장치(20) 및 밸러스트 탱크의 배수 살균 장치(30) 등 3 개 주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급수 살균 장치(10)는 제 1 밸브(Vi)를 구비하고, 제 1 밸브(Vi)는 배관(101)을 통해 펌프(P)와 연결되며, 상기 펌프(P)의 일단은 제 1 살균 장치(11)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시 살균 장치(20)는 밸러스트 수(CW) 중에 상시 침지되어 있는 선체 밸러스트 수 멸균 장치에 적용되는 밸러스트 수 멸균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급수 살균 장치(10)가 선체(B) 외부로부터 해수(O)를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제 1 밸브(Vi)를 통해, 배관(101)을 통해 펌프(P)가 제 1 밸브(Vi)로부터 인입된 해수(O)를 그 일단에 연결된 제 1 살균 장치(11)에 수송하는 도입 단계(S1);
    해수(O)가 제 1 살균 장치(11)에 진입된 후, 상기 제 1 살균 장치(11)의 자기장 효과에 의해 도입된 미생물 또는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사멸시키거나 표면의 저항성을 감소시킨 후 밸러스트 탱크(C) 내에 밸러스트 수(CW)가 형성될 때까지 도입하는 자화 단계(S2);
    밸러스트 수(CW)가 밸러스트 탱크(C)에 있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시 살균 장치(20)와 지속적으로 접촉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시 살균 장치(20)가 은 이온 또는 약제 등과 같은 멸균 성분을 방출하여 밸러스트 수(CW) 중의 미생물 또는 세균이 지속적으로 사멸되게 하고 또 증식되는 것을 억제시킴으로써, 밸러스트 수(CW)가 자화 단계(S2)를 거친 기초 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시 살균 장치(20)가 필요로 하는 은 이온 또는 약제 등과 같은 멸균 성분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균 억제 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수 멸균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밸러스트 수 멸균 장치는 밸러스트 탱크의 배수 살균 장치(30)를 구비하고 이는 제 2 살균 장치(31)를 구비하며, 제 2 살균 장치(31)의 일단은 펌프(P)와 연결되고, 펌프(P)는 배관(301)을 통해 제 2 밸브(Vo)와 연결되며,
    상기 균 억제 단계(S3) 이후에, 밸러스트 수(CW) 배출 시, 상기 펌프(P)를 통해 밸러스트 수(CW)를 추출하고 제 2 살균 장치(31)를 통과한 후 상기 펌프(P)로부터 배관(301)으로 수송되어 일측에 연결된 제 2 밸브(Vo)로 배출되며, 상기 제 2 살균 장치(31)는 자기장 효과를 통해 흐르는 밸러스트 수(CW)의 나머지 미생물 또는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사멸되게 하고 또 최저량을 배출할 때까지 억제시키는 배출 단계(S4)를 구비하는 밸러스트 수 멸균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살균 장치(11)는 내부에 통전형 자화 장치 또는 영구자석 자화 장치인 자화 장치를 구비하는 밸러스트 수 멸균 처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살균 장치(31)는 내부에 통전형 자화 장치 또는 영구자석 자화 장치인 자화 장치를 구비하는 밸러스트 수 멸균 처리 방법.
  5. 선체(B) 및 선체(B) 내 밸러스트 탱크(C)에 설치되는 밸러스트 수 멸균 처리 장치로서,
    제 1 밸브(Vi)를 구비하며, 제 1 밸브(Vi)는 배관(101)을 통해 펌프(P)와 연결되고, 상기 펌프(P)의 일단은 제 1 살균 장치(11)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밸브(Vi)는 선체(B) 외부로부터 해수(O) 진입을 유도하고, 배관(301)과 연결된 펌프(P)를 통해 해수를 추출하여 펌프(P) 일단에 연결된 제 1 살균 장치(11)에 수송한 후, 밸러스트 탱크(C) 내에 진입하여 밸러스트 수(CW)를 형성하는 밸러스트 탱크의 급수 살균 장치(10);
    밸러스트 탱크(C)에 설치되고, 밸러스트 수(CW) 중에 상시 침지되어있으며, 은 이온 또는 약제등과 같은 멸균 성분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시 살균 장치(20)를 포함하는 밸러스트 수 멸균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 2 살균 장치(31)를 구비하고, 제 2 살균 장치(31) 일단은 펌프(P)와 연결되며, 펌프(P)는 배관(301)을 통해 제 2 밸브(Vo)와 연결되고, 상기 펌프(P)를 통해 밸러스트 수(CW)를 추출하고 제 2 살균 장치(31)를 통과한 후, 상기 펌프(P)로부터 배관(301)으로 수송되어 일측에 연결된 제 2 밸브(Vo)로 배출되는 밸러스트 탱크의 배수 살균 장치(30)를 구비하는 밸러스트 수 멸균 처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살균 장치(11)는 내부에 통전형 자화 장치 또는 영구자석 자화 장치인 자화 장치를 구비하며, 자화 장치를 통해 생성된 전자기장으로 물 분자단을 절단하여 대분자가 많은 소분자로 변하게 함으로써 소분자 물이 세균과 미생물의 세포벽에 진입하여 번식 능력을 잃게 하고 이로써 살균 효과에 도달하게 하는 밸러스트 수 멸균 처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살균 장치(31)는 내부에 통전형 자화 장치 또는 영구자석 자화 장치인 자화 장치를 구비하며, 자화 장치를 통해 생성된 전자기장으로 물 분자단을 절단하여 대분자가 많은 소분자로 변하게 함으로써 소분자 물이 세균과 미생물의 세포벽에 진입하여 번식 능력을 잃게 하고 이로써 살균 효과에 도달하게 하는 밸러스트 수 멸균 처리 장치.
KR1020190011814A 2018-05-03 2019-01-30 선체 밸러스트 수 멸균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1275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7115016 2018-05-03
TW107115016A TWI685450B (zh) 2018-05-03 2018-05-03 船體壓艙水滅菌方法及其裝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539A true KR20190127539A (ko) 2019-11-13

Family

ID=68428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814A KR20190127539A (ko) 2018-05-03 2019-01-30 선체 밸러스트 수 멸균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90127539A (ko)
CN (2) CN210796091U (ko)
TW (1) TWI6854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85450B (zh) * 2018-05-03 2020-02-21 海神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船體壓艙水滅菌方法及其裝置
CN111592200A (zh) * 2020-06-30 2020-08-28 广西碧福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生态+生物+物理净化及消毒的自来水处理新工艺
CN112359552A (zh) * 2020-11-13 2021-02-12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搭载磁场装置的洗衣机及控制方法
CN115849526A (zh) * 2023-02-28 2023-03-28 江苏南极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船舶压载水磁场灭活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4107B2 (ja) * 2005-02-09 2013-06-19 株式会社東芝 バラスト水浄化装置
EP1900693B1 (en) * 2005-06-20 2011-11-02 OHR Laboratory Corporation Ballast water treating apparatus
JP5412111B2 (ja) * 2006-09-27 2014-02-12 株式会社 Tgコーポレーション 船舶の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
CN101786748B (zh) * 2010-03-30 2012-06-13 青岛海德威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灭活和节能的船舶压载水处理方法和系统
CN202046961U (zh) * 2011-05-04 2011-11-23 深圳力合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船舶压载水处理系统
JP3170235U (ja) * 2011-06-28 2011-09-08 株式会社太陽 船舶バラスト水浄化処理システム
CN202936278U (zh) * 2012-09-14 2013-05-15 上海海洋大学 一种船舶压载水综合处理装置
CN104085967B (zh) * 2014-07-31 2015-12-02 哈尔滨工程大学 高梯度磁场与脉冲磁场联合的船舶压载水处理方法
CN106006917A (zh) * 2016-04-26 2016-10-12 北京启元汇通水务科技股份有限公司 电磁强氧化船舶压载水处理装置
CN207580117U (zh) * 2017-12-02 2018-07-06 浙江宏盛造船有限公司 压载系统
TWI685450B (zh) * 2018-05-03 2020-02-21 海神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船體壓艙水滅菌方法及其裝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0796091U (zh) 2020-06-19
TWI685450B (zh) 2020-02-21
TW201946836A (zh) 2019-12-16
CN110436695A (zh)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7539A (ko) 선체 밸러스트 수 멸균 방법 및 그 장치
RU2433087C2 (ru) Способ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ды путем уничтожения водных организм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1193824B (zh) 压载水处理装置和压载水处理方法
US7169310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control of undesirable organisms in a water system
KR19990087727A (ko) 선박용 밸러스트 워터 해독 처리 시스템
EP2391585B1 (en)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KR101118055B1 (ko) 선박평형수의 인라인 처리 장치
KR100928069B1 (ko) 선박용 밸러스트 수 전처리 필터 및 그 처리 방법
US6875363B2 (en) Process and device for the treatment of water, particularly for ships
JP2009297610A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およびバラスト水処理方法
JP2012020218A (ja)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及びバラスト水処理方法
KR101851465B1 (ko) 선박 외부 평형수 전용처리 시스템
JPWO2006003723A1 (ja) 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処理装置
KR20100008369A (ko) 밸러스트수의 이용 시스템
JP2013193000A (ja)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及びバラスト水処理方法
TWM570274U (zh) Hull ballast water sterilization device
US7374681B2 (en) Biological deoxygenation method and uses thereof
KR101518678B1 (ko)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의 운전방법
US20210114900A1 (en) Method of sterilizing ballast water and device thereof
Ghomi et al. Comparison of ozone, hydrogen peroxide and removal of infected eggs for prevention of fungal infection in sturgeon hatchery
JP2013046897A (ja) 船舶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
Dachev et al. Ship ballast water treatment
KR101411405B1 (ko) 금속 이온 발생 장치를 적용한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JP2012086200A (ja)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及びバラスト水処理方法
JP2010023034A (ja) 輸送船バラスト水汚染微生物の殺滅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