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7431A - 내부 공간 확보를 위한 대나무 모양의 플레넘을 가진 핵연료봉 - Google Patents

내부 공간 확보를 위한 대나무 모양의 플레넘을 가진 핵연료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7431A
KR20190127431A KR1020180052037A KR20180052037A KR20190127431A KR 20190127431 A KR20190127431 A KR 20190127431A KR 1020180052037 A KR1020180052037 A KR 1020180052037A KR 20180052037 A KR20180052037 A KR 20180052037A KR 20190127431 A KR20190127431 A KR 20190127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clear fuel
end cap
fuel rod
cladding tub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3235B1 (ko
Inventor
윤학규
김홍진
김용환
Original Assignee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2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235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02Fuel elements
    • G21C3/04Constructional details
    • G21C3/06Casings; Jackets
    • G21C3/10End closures ; Means for tight mounting therefor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3Supporting or hanging of elements in the bundle; Means forming part of the bundle for inserting it into, or removing it from, the core; Means for coupling adjacent bundles
    • G21C3/331Comprising hold-down means, e.g.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핵연료봉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핵연료 펠렛(1)이 수용되는 튜브 형상의 피복관(110)과; 상기 피복관(110)의 양단을 각각 밀봉하게 되는 제1봉단마개(120) 및 제2봉단마개(130)와; 상기 피복관(110) 내에 형성된 플레넘에서 핵연료 펠렛(1)을 일정 위치로 유지하도록 상기 제1봉단마개(120)에 지지되어 핵연료 펠렛(1)을 탄성 지지하게 되는 압축스프링(140);을 포함하며, 상기 제1봉단마개(120)는 상기 피복관(110) 보다 더 큰 내경(d1>d2)을 갖고 상기 피복관(110)과 연통되며, 외주면에 마디(12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부 공간 확보를 위한 대나무 모양의 플레넘을 가진 핵연료봉{Nuclear fuel rod with bamboo shape plenum adapted to increase internal volume thereof}
본 발명은 핵연료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핵분열과정에서 핵연료봉 내부에 발생되는 기체를 수용하기 위한 플레넘 공간과 봉단마개를 갖는 핵연료봉에 관한 것이다.
핵연료봉은 원통 형상을 갖는 지르코늄 합금의 피복관 내에 펠렛 형태의 소결체를 다수 장입하고 피복관의 양단을 봉단마개로 용접하여 밀봉 제작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핵연료봉의 일부 단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기술의 핵연료봉(10)은, 다수의 핵연료 펠렛(1)이 수용되는 튜브 형상의 피복관(11)과, 피복관(11)의 하단을 밀봉하게 되는 하부 봉단마개(12)와, 핵연료 펠렛(1)을 탄성 지지하게 되는 압축스프링(13)('플레넘 스프링'으로도 지칭함)이 삽입되어 피복관(11)의 상단을 밀봉하게 되는 상부 봉단마개(14)로 구성된다.
피복관(11)은 복수의 핵연료 펠렛(1)이 수용되는 용기 역할을 하며, 하단과 상단 개구부에는 밀봉을 위한 하부 봉단마개(12)와 상부 봉단마개(14)가 용접되어 밀봉되며, 이때 상부 봉단마개(14) 안쪽으로 압축스프링(13)이 삽입되어 핵연료 펠렛(1)을 탄성 지지한다.
핵연료봉(10) 내에는 핵연료 펠렛(1)이 수용되지 않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을 '플레넘(Plenum)'이라 한다. 플레넘은 원자로의 가동 중에 핵반응에 의해 필연적으로 생성되는 핵분열 기체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기술에서는 상부 봉단마개(14)에 압축스프링(13)이 핵연료 펠렛(1)을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플레넘이 형성된다.
플레넘은 원자로의 가동 중에 핵반응에 의해 필연적으로 생성되는 핵분열 기체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원자로의 운전 동안에 발생되는 핵분열 기체에 의해 핵연료봉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되며, 핵연료봉의 내부 압력이 원자로 노심의 압력보다 높아지는 경우에는 피복관에 과도한 인장응력이 발생하여 핵연료봉의 건전성을 침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핵연료봉의 설계 시에 피복관에 과도한 인장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핵연료봉의 내압을 제한하고 있다.
원자로의 출력을 높이는 경우에는 핵분열 기체의 발생이 증가하게 되며, 따라서 핵연료봉의 내압을 줄이기 위하여 플레넘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원자력발전소의 경제성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0805호에서는 봉단마개에 확장홈을 형성하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1543호에서는 항아리형 스프링을 사용하여 핵연료봉의 내부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다른 예로는 중성자속이 낮은 연료봉의 양 끝단에 환형 펠렛(annular pellet)을 사용하여 핵연료봉 내부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0805호(공개일자: 2008.07.02.)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1543호(공개일자: 2009.03.04.)
본 발명은 핵연료봉 내에서 핵분열 기체가 수용되는 플레넘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핵연료봉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봉은, 다수의 핵연료 펠렛이 수용되는 튜브 형상의 피복관과; 상기 피복관의 양단을 각각 밀봉하게 되는 제1봉단마개 및 제2봉단마개와; 상기 피복관 내에 형성된 플레넘에서 핵연료 펠렛을 일정 위치로 유지하도록 상기 제1봉단마개에 지지되어 핵연료 펠렛을 탄성 지지하게 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봉단마개는 상기 피복관보다 더 큰 내경(d1>d2)을 갖고 상기 피복관과 연통되며, 외주면에 마디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봉단마개는 상기 피복관과 연통되는 개구단에 상기 압축스프링의 일단이 지지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봉은, 핵연료 펠렛이 수용되는 피복관의 플레넘을 형성하게 되는 봉단마개가 피복관보다 더 큰 내경(d1>d2)을 갖고 스프링이 차지하는 부피를 감소시키며 상기 피복관과 연통되고 외주면에 마디가 형성됨으로써,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핵연료봉의 큰 구조적인 변경이 없이도 핵분열 가스의 기체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핵연료봉의 일부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봉의 일부 단면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봉의 일부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핵연료봉(100)은, 다수의 핵연료 펠렛(1)이 수용되는 튜브 형상의 피복관(110)과, 피복관(110)의 양단을 각각 밀봉하게 되는 제1봉단마개(120) 및 제2봉단마개(130)와, 피복관(110) 내에 형성된 플레넘에서 핵연료 펠렛(1)을 일정 위치로 유지하도록 제1봉단마개(120)에 지지되어 핵연료 펠렛(1)을 탄성 지지하게 되는 압축스프링(14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봉단마개(120)는 내부에 소정의 내경(d1)을 갖는 빈공간(120a)이 형성되며, 제1봉단마개(120)는 피복관(110)의 내경(d2) 보다 더 큰 내경(d1>d2)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봉단마개(120)는 내압에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수의 마디(121)가 외주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봉단마개(120)는 피복관(110)과 연통되는 개구단에 압축스프링(140)의 일단이 지지되는 플랜지부(1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봉단마개(120)는 피복관(110)과 연통된 플레넘을 가지며, 따라서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핵분열 가스의 기체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핵연료봉(110)의 길이(L)는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플레넘 스프링(압축 스프링)(140)의 길이(L1)를 줄이면서 제1봉단마개(120)의 길이(L2)를 길게 설계하여 핵분열 가스를 수용할 수 있는 빈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관련하여 봉단마개가 피복관과 동일한 내경(d1=d2)을 갖는 경우에도 핵연료봉의 내압이 약 1.6%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을 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피복관 120 : 제1봉단마개
121 : 마디 122 : 플랜지부
130 : 제2봉단마개 140 : 압축스프링

Claims (2)

  1. 다수의 핵연료 펠렛이 수용되는 튜브 형상의 피복관과;
    상기 피복관의 양단을 각각 밀봉하게 되는 제1봉단마개 및 제2봉단마개와;
    상기 피복관 내에 형성된 플레넘에서 핵연료 펠렛을 일정 위치로 유지하도록 상기 제1봉단마개에 지지되어 핵연료 펠렛을 탄성 지지하게 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봉단마개는 상기 피복관보다 더 큰 내경(d1>d2)을 갖고 상기 피복관과 연통되며, 외주면에 마디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단마개는 상기 피복관과 연통되는 개구단에 상기 압축스프링의 일단이 지지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KR1020180052037A 2018-05-04 2018-05-04 내부 공간 확보를 위한 대나무 모양의 플레넘을 가진 핵연료봉 KR102123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037A KR102123235B1 (ko) 2018-05-04 2018-05-04 내부 공간 확보를 위한 대나무 모양의 플레넘을 가진 핵연료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037A KR102123235B1 (ko) 2018-05-04 2018-05-04 내부 공간 확보를 위한 대나무 모양의 플레넘을 가진 핵연료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431A true KR20190127431A (ko) 2019-11-13
KR102123235B1 KR102123235B1 (ko) 2020-06-16

Family

ID=68534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037A KR102123235B1 (ko) 2018-05-04 2018-05-04 내부 공간 확보를 위한 대나무 모양의 플레넘을 가진 핵연료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23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4179A (ja) * 1994-03-07 1995-09-19 Nuclear Fuel Ind Ltd 燃料棒の上部端栓
JPH08122472A (ja) * 1994-10-21 1996-05-17 Mitsubishi Nuclear Fuel Co Ltd 管の端栓及びその溶接方法
JPH1090457A (ja) * 1996-09-13 1998-04-10 Nuclear Fuel Ind Ltd 燃料棒の端栓およびこの端栓と被覆管の溶接方法
KR20080060805A (ko) 2006-12-27 2008-07-02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집합체의 핵연료봉 내부 공간 증가 및 압축스프링지지를 위한 봉단마개를 구비한 핵연료봉
KR20090021543A (ko) 2007-08-27 2009-03-04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집합체의 항아리형 핵연료봉 내부 공간 증가 스프링
KR101350822B1 (ko) * 2013-02-14 2014-01-14 한국과학기술원 고속로용 핵연료봉
JP2016114555A (ja) * 2014-12-17 2016-06-23 株式会社東芝 燃料棒と燃料集合体、および燃料棒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4179A (ja) * 1994-03-07 1995-09-19 Nuclear Fuel Ind Ltd 燃料棒の上部端栓
JPH08122472A (ja) * 1994-10-21 1996-05-17 Mitsubishi Nuclear Fuel Co Ltd 管の端栓及びその溶接方法
JPH1090457A (ja) * 1996-09-13 1998-04-10 Nuclear Fuel Ind Ltd 燃料棒の端栓およびこの端栓と被覆管の溶接方法
KR20080060805A (ko) 2006-12-27 2008-07-02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집합체의 핵연료봉 내부 공간 증가 및 압축스프링지지를 위한 봉단마개를 구비한 핵연료봉
KR20090021543A (ko) 2007-08-27 2009-03-04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집합체의 항아리형 핵연료봉 내부 공간 증가 스프링
KR101350822B1 (ko) * 2013-02-14 2014-01-14 한국과학기술원 고속로용 핵연료봉
JP2016114555A (ja) * 2014-12-17 2016-06-23 株式会社東芝 燃料棒と燃料集合体、および燃料棒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235B1 (ko)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867B1 (ko) 핵연료집합체용 안내관 마개
RU2008133648A (ru) Устойчивый поглощающий управляющий стержень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FR2864322B1 (fr) Crayon de combustible pour un reacteur nucleaire
CN106531262A (zh) 一种环形燃料元件的组装方法
RU2011111440A (ru) Смешанно-оксидная тепловыделяющая сборка
KR101522719B1 (ko) 가압경수로용 중성자선원 집합체
KR101007848B1 (ko) 환형마개가 형성된 이중냉각 핵연료봉과 이를 제작하는 핵연료봉 제조방법
KR20190127431A (ko) 내부 공간 확보를 위한 대나무 모양의 플레넘을 가진 핵연료봉
US20100166134A1 (en) Top Nozzle Having On-Off Type Of Hold-Down Spring In Nuclear Fuel Assembly
KR100844882B1 (ko) 핵연료집합체의 핵연료봉 내부 공간 증가 및 압축스프링지지를 위한 봉단마개를 구비한 핵연료봉
US4011134A (en) Pressurized-coolant reactor fuel rod
US3669833A (en) Nuclear fuel
PL3907742T3 (pl) Rura osłonowa pręta paliwowego dla reaktora jądrowego, pręt paliwowy i zespół paliwowy
KR20090025399A (ko) 열린 환형구조 소결체를 포함하는 환형 핵연료봉
US3206369A (en) Fuel elements for nuclear reactors
KR100889033B1 (ko) 핵연료집합체의 항아리형 핵연료봉 내부 공간 증가 스프링
JP6691000B2 (ja) 燃料棒および燃料集合体
KR100896799B1 (ko) 피복관과 봉단마개 사이에 신축성 부재를 구비한 환형핵연료봉
CN212713381U (zh) 一种防爆压力释放装置
GB1135235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ubular nuclear fuel rods
KR940020431A (ko) 원자로 연료봉용 반농축 축방향 블랭킷(mid-enrichment axial blanket for a nuclear reactor fuel rod)
CN203643037U (zh) 转化炉用热电偶
JPH0275995A (ja) 燃料集合体
JPH0544998B2 (ko)
JPH0799398B2 (ja) 核燃料要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69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227

Effective date: 2020021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