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7397A - 드레싱 패치 - Google Patents

드레싱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7397A
KR20190127397A KR1020180051978A KR20180051978A KR20190127397A KR 20190127397 A KR20190127397 A KR 20190127397A KR 1020180051978 A KR1020180051978 A KR 1020180051978A KR 20180051978 A KR20180051978 A KR 20180051978A KR 20190127397 A KR20190127397 A KR 20190127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essing
sensing unit
wound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승연
이강선
이윤재
정홍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1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7397A/ko
Publication of KR20190127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F13/0006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5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sub-pressure or over-pressure therapy, wound drainage or wound irrigation, e.g. for use with negative-pressure wound therapy [NPW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29Plasters use for conducting tests
    • A61F2013/00442Plasters use for conducting tests using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27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biological activity, e.g. enzymes for debriding wounds or others, collagen or growth f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4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sensing physical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4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sensing physical parameters
    • A61F2013/00944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sensing physical parameters humidity; mois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4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sensing physical parameters
    • A61F2013/00953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sensing physical parameters 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처의 수준 및 상처의 치유 정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드레싱 패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처와 접촉하는 드레싱층, 상기 드레싱층 상에 형성되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싱부에서 발생된 전기신호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드레싱층과 오버랩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접착되도록 이루어지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드레싱층으로 흡수된 삼출물과 접촉하여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패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레싱 패치{DRESSING PATCH}
본 발명은 상처의 수준 및 상처의 치유 정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드레싱 패치에 관한 것이다.
욕창, 당뇨발과 같이 만성적으로 발생한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모된다. 특히, 욕창 때문에 수술을 거치는 환자들은 몇 달 동안 누워있을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재정적 부담이 주어지기도 하며 만성 상처에 연관된 커다란 심리사회학적 비용이 들게 된다. 만성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상처로 인해 발생한 이물질 제거 후, 하이드로콜로이드, 하이드로겔, 알기네이트 등과 같은 전형적인 습윤 드레싱으로 상처를 감싸게 된다.
상처를 덮어 습윤한 환경을 유지하는 습윤 드레싱의 효과는 습윤환경 하에서 재생 상피세포가 상처의 창면을 따라 원활히 전개되는 데에 있다. 건조환경 하에서는 재생 상피세포가 창면을 따라 전개하지 못하기 때문에 회복에 있어서 시간이 더디게 되고 상처의 치유가 비효율적으로 진행되게 된다. 또한 삼출액에 포함되어 있는 다핵 백혈구, 대식세포, 단백질 분해효소, 세포성장 인자 등의 창상 치유에 관여하는 물질들이 건조환경에서는 외부로 배출되거나 건조되어 그 역할을 못하게 되나, 습윤환경에서는 원활히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처 치유가 효율적으로 진행된다.
지금까지 제품으로 나와 있는 드레싱 패치는 대부분 이러한 습윤환경만을 제공해 주고 있다. 최근에는 실버 계열의 성분을 포함하여 항균력을 높인 제품들이 나오고 있으나 다종의 마커를 동시에 측정하여 상처의 치유 정도를 정확하게 관리 할 수 있는 제품은 현재 전무하다.
본 발명은 상처 부위에서 발생된 삼출물을 이용하여 상처의 수준 및 상처의 치유정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드레싱 패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삼출물에 포함된 물질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물질이 상처 부위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드레싱 패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처와 접촉하는 드레싱층, 상기 드레싱층 상에 형성되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싱부에서 발생된 전기신호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드레싱층과 오버랩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접착되도록 이루어지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드레싱층으로 흡수된 삼출물과 접촉하여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패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전극, 상기 전극 상에 도포된 감지물질 및 상기 감지물질을 고정시키는 고정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물질은 소정 물질의 산화 또는 환원반응을 촉진하는 촉매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물질은 글루코스산화 효소 및 요산분해 효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센싱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 및 상기 전극에서 발생된 전류값을 특정하는 전류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pH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요산 센서 및 글루코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층은 폴리우레탄, 하이드로콜로이드, 알긴산칼슘, 하이드로파이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층은 복수의 기공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공들의 기공률은 상기 센싱부와 멀어질수록 커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층은 복수의 층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층들 각각의 기공률은 상기 센싱부와 멀어질수록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처 주변의 pH, 온도, 습도 및 상처에서 발생되는 물질의 종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드레싱 패치의 교체 시기 및 치료의 수준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패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패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패치의 변형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a 및 4b는 감지물질과 고정화물질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데이터 수집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상기 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글루코스의 농도에 따른 전류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NFC 방식을 통해 신호 처리를 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BLE 방식으로 신호 처리를 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처 발생시 상처 부위에서 발생하는 삼출물(wound fluid) 성분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드레싱 패치에 관한 것이다. 상처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마커들이 동시에 활용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삼출물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드레싱 패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패치(100)는 드레싱층(110), 센싱부(120a 내지 120e), 데이터 수집부(130) 및 커버부(140)를 포함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패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패치의 단면도이다.
드레싱층(110)은 사용자의 상처와 접촉한다. 상기 드레싱층(110)은 상처를 덮어 상처 주변을 습윤 상태로 유지한다. 상처에서 발생된 삼출물은 상기 드레싱층(110)에 흡수되는데, 삼출물이 많을 경우 삼출물은 드레싱층(110) 전체에 확산된다.
삼출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상기 드레싱층(110)은 폴리우레탄, 하이드로콜로이드, 알긴산칼슘, 하이드로파이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드레싱층(110)은 면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드레싱층(110)의 일면은 사용자의 상처와 접촉하고, 상기 일면과 다른 일면 상에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싱부(120)가 배치된다.
상기 드레싱층(110)에 흡수된 삼출물의 양이 많을 경우, 상기 삼출물은 센싱부(120)까지 도달한다. 상기 센싱부(120)는 상기 삼출물에 포함된 화학물질의 종류, 농도, 삼출물의 농도, 삼출물의 양에 근거하여 전기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센싱부(120)는 복수의 센서(120a 내지 120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 센싱부를 이루는 센서 각각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 패치의 변형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4a 및 4b는 감지물질과 고정화물질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삼출물의 pH, 상처 주위의 온도는 상처의 치유 정도를 확인하는데 중요한 정보이다. 상처의 치유 정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센싱부(120)는 pH 센서 및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처가 난 시점부터 상처가 치유될 때까지 삼출물의 pH는 일정한 패턴으로 변화한다. 예를 들어, 급성 상처의 경우, 삼출물의 pH는 상처가 난 직후 감소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증가하기 시작하고, 상처가 아물면서 다시 감소한다. 삼출물의 pH를 측정할 경우, 현재 상처의 치유 정도를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센싱부는 pH센서를 포함한다.
한편, 상처가 치유될수록 상처 주위의 온도가 달라진다. 이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센싱부는 드레싱층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포함한다.
경증 상처는 상술한 두 개의 센서만으로도 상처의 치유 정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다만, 중증 상태의 상처이거나, 사용자가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처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센서가 더 필요하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센싱부(120)는 드레싱층의 습윤 상태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습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처가 치유될수록 상처에서 발생되는 삼출물의 양이 감소하는데, 본 발명은 삼출물의 양을 모니터링하여 상처의 치유 정도를 판단한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센싱부(120)는 삼출물에 포함된 글루코스 및 요산 중 적어도 하나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센싱부(120)는 전극, 상기 전극 상에 도포된 감지물질 및 상기 감지물질을 고정시키는 고정화 물질을 구비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은 금, 은, 탄소 전극 등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전극은 상기 드레싱층(110) 상에 스퍼터링,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인쇄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감지물질은 상기 전극 상에 도포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물질은 소정 물질의 산화 또는 환원반응을 촉진하는 촉매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물질은 글루코스산화 효소일 수 있다. 당뇨환자의 경우, 삼출물에 포함된 글루코스의 농도가 상처 치유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글루코스의 농도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글루코스산화 효소는 글루코스가 글루코닉 락톤으로 산화되는 것을 촉진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과산화수소가 발생되는데, 과산화수소의 산화로 인한 전류 발생량을 측정하여 글루코스의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물질은 요산분해 효소일 수 있다. 중증 상처의 경우, 삼출물에 포함된 요산의 농도가 상처 치유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요산의 농도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요산분해 효소는 요산이 알란토인으로 산화되는 것을 촉진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과산화수소가 발생되는데, 과산화수소의 산화로 인한 전류 발생량을 측정하여 글루코스의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글루코스 및 요산의 산화 시 전자 이동을 돕기 위해, 전자전달매개체가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전달매개체는 Ferrocenemethanol, Potassium ferricyanide 및 Prussian Blu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전자전달매개체는 상기 감지물질과 혼합되어 상기 전극상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감지물질을 전극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고정화 물질이 필요하다. 고정화 물질은 상기 감지물질을 상기 전극 상에 고정시킨다. 도 4(a)와 같이, 상기 고정화 물질은 Form 형태의 드레싱 제제일 수 있고, 도 4(b)와 같이 Hydrogel 형태의 드레싱 제제일 수 있다.
상기 Form 형태의 드레싱 제제(210')는 드레싱 제제 자체가 삼출물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삼출물이 과량 발생하는 상처에 적합하다.
이와 달리, Hydrogel형태의 드레싱 제제(210')은 삼출물이 소량 발생할 경우 사용될 수 있다. Hydrogel의 경우 상기 Form 형태의 드레싱 제제보다 상기 감지 물질을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Hydrogel 이 Form 형태의 드레싱 제제보다 안정성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
드레싱층(110)에 형성되는 센서는 상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와 같이, 경증 상처에는 pH센서(120d) 및 온도 센서(120e)만 활용될 수 있다. 도 3(b)와 같이, 중증 상처에는 요산 센서(120b), 습윤 센서(120c), pH센서(120d) 및 온도 센서(120e)가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c)와 같이, 당뇨 환자의 상처에는 글루코스 센서(120a), 요산 센서(120b), 습윤 센서(120c), pH센서(120d) 및 온도 센서(120e)가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센서에 포함된 상기 감지물질이 상처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드레싱층의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드레싱층(110)은 상처의 삼출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복수의 기공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드레싱층의 기공률을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상기 감지물질이 상처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레싱층의 기공률은 상기 센싱부와 멀어질수록 커진다. 즉, 상처와 가까워질수록 기공의 개수가 많아진다. 기공률이 클수록 물질의 흡수가 활발히 일어나기 때문에, 삼출물의 흡수는 상처와 가까운 위치에서 활발히 일어난다. 이를 통해, 상기 드레싱층은 상처 주변을 습윤환경으로 만들어줄 수 있다.
이와 달리, 기공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센싱부 주변에서는 물질의 흡수가 상대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감지물질이 드레싱층으로 흡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기공률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드레싱층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레싱층은 기공률이 다른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층의 기공률은 센싱부와 멀어질수록 작아진다. 이를 통해, 기공률이 점진적으로 변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드레싱층이 삼출물을 원활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감지물질이 상처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전극에서 발생되는 전기 신호는 데이터 수집부(130)에 의해 수집된다. 상기 데이터 수집부(130)는 상기 센싱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싱부(120)에서 발생된 전기신호를 수집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부(130)는 상기 센싱부(120)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드레싱층을 교체하더라도 상기 데이터 수집부(130)를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 데이터 수집부를 이루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데이터 수집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6은 상기 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글루코스의 농도에 따른 전류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7은 NFC 방식을 통해 신호 처리를 하는 순서도이고, 도 8은 BLE 방식으로 신호 처리를 하는 순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수집부(130)는 상기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부(320), 상기 전극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부(330)를 구비한다. 상기 전압인가부(320)는 상기 산출물에 포함된 소정 물질의 산화 환원을 유도하기 위해 활용된다. 상기 소정 물질의 산화 환원 유도를 위해 cyclic voltammetry 방식으로 전압을 인가하거나, amperometry 방식으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도 6참조)는 상기 전류 측정부(330)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 전압으로 변환되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는 마이컴 AD 컨버터(340)를 통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무선통신부(350)를 통하여 스마트폰 등의 메인 정보처리부로 전송되고 유의미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디지털 신호값은 기 설정된 calibration 수식을 통하여 농도 값으로 환산되어 다른 데이터와의 관계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처의 치유정도를 표시해주게 된다.
무선통신부(350)는 Bluetooth(BLE), Zigbee, NFC 등 여러 방식이 존재하는데 경증의 상처의 경우 NFC 방식을 통하여 필요한 경우에 측정하도록 하고 지속적인 monitoring이 요구되는 중증의 상처의 경우에는 BLE 방식이 적합하다.
한편, 상기 드레싱층(110)은 커버층(140)을 통해 신체에 고정된다. 상기 커버층(140)은 상기 드레싱층(110)과 오버랩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접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드레싱층(110)은 사용자의 신체(200) 중 상처(210) 부위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드레싱층(110)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커버층(140)은 상기 데이터 수집부(130)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커버층(140)은 상기 데이터 수집부(130)와 상기 센싱부(120)가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층(140)은 종래 드레싱 패치에 사용되는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처 주변의 pH, 온도, 습도 및 상처에서 발생되는 물질의 종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드레싱 패치의 교체 시기 및 치료의 수준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9)

  1. 사용자의 상처와 접촉하는 드레싱층;
    상기 드레싱층 상에 형성되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싱부에서 발생된 전기신호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드레싱층과 오버랩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접착되도록 이루어지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드레싱층으로 흡수된 삼출물과 접촉하여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패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전극;
    상기 전극 상에 도포된 감지물질; 및
    상기 감지물질을 고정시키는 고정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패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물질은,
    소정 물질의 산화 또는 환원반응을 촉진하는 촉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패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물질은 글루코스산화 효소 및 요산분해 효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패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센싱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 및
    상기 전극에서 발생된 전류값을 특정하는 전류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패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pH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요산 센서 및 글루코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패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층은,
    폴리우레탄, 하이드로콜로이드, 알긴산칼슘, 하이드로파이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패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층은 복수의 기공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공들의 기공률은 상기 센싱부와 멀어질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패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층은 복수의 층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층들 각각의 기공률은 상기 센싱부와 멀어질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패치.
KR1020180051978A 2018-05-04 2018-05-04 드레싱 패치 KR20190127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978A KR20190127397A (ko) 2018-05-04 2018-05-04 드레싱 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978A KR20190127397A (ko) 2018-05-04 2018-05-04 드레싱 패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397A true KR20190127397A (ko) 2019-11-13

Family

ID=68535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978A KR20190127397A (ko) 2018-05-04 2018-05-04 드레싱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739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3652A (zh) * 2020-12-16 2021-04-06 罗剑锋 一种防痔疮内裤智能贴片及其制备方法、应用
WO2023024305A1 (zh) * 2021-08-27 2023-03-02 南华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伤口敷贴
KR20230171242A (ko) 2022-06-13 2023-12-20 한국기계연구원 다층 구조의 상처 드레싱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8992B1 (ko) * 2023-08-24 2024-04-19 주식회사 에너지마이닝 자가치료가 가능한 창상 및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밴드 제어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3652A (zh) * 2020-12-16 2021-04-06 罗剑锋 一种防痔疮内裤智能贴片及其制备方法、应用
WO2023024305A1 (zh) * 2021-08-27 2023-03-02 南华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伤口敷贴
KR20230171242A (ko) 2022-06-13 2023-12-20 한국기계연구원 다층 구조의 상처 드레싱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8992B1 (ko) * 2023-08-24 2024-04-19 주식회사 에너지마이닝 자가치료가 가능한 창상 및 상처치료용 스마트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밴드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7397A (ko) 드레싱 패치
Bariya et al. Wearable sweat sensors
Brown et al. Wearable technology for chronic wound monitoring: current dressings, advancements, and future prospects
Johnston et al. Advances in biosensors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towards wearables
O'Callaghan et al. ‘Smart’wound dressings for advanced wound care: a review
EP2451349B1 (en) Wound dressing with impedance sensor
CN109060923B (zh) 折纸结构的体表汗液电化学传感器及监测方法
Tierney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the GlucoWatch® biographer: a continual, non-invasive glucose monitor for patients with diabetes
JP2620236B2 (ja) ブドウ糖モニタリング用電気化学システム
US20190365571A1 (en) A dressing system
RU2611557C2 (ru) Микроэлектроды в офтальмическом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м датчике
KR102446995B1 (ko) 이식 가능 마이크로-바이오센서
JP2016518881A (ja) 医療デバイスデータ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医療デバイスデータ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Cheng et al. Recent progress in intelligent wearable sensors for health monitoring and wound healing based on biofluids
JP2013230403A5 (ko)
KR20090115196A (ko) 전기화학 분석물 센서를 동작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dos Santos et al. Advances and current challenges in non‐invasive wearable sensors and wearable biosensors—A mini‐review
JP7480234B2 (ja) クレアチニンを検出するための分析物センサ及び検出方法
KR102307775B1 (ko) 더 빠른 신체 센서 응답을 위한 신규한 센서 초기화 방법
CN110881984A (zh) 一种单电极植入式血糖传感器
EP3346907B1 (en) A urea, phosphate and ph measuring device
Ausri et al. Recent advances and challenges: Translational research of minimally invasive wearable biochemical sensors
KR102318793B1 (ko) 산도 센서와 습도 센서를 구비한 여성용 y존 관리 장치
CN111387993B (zh) 微创检测左旋多巴的传感器及其检测系统
Meng et al. A Conducting Polymer-based array with Multiplex Sensing and Drug Delivery Capabilities for Smart Band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