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7058A - 파이렌계 화합물,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oled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파이렌계 화합물,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oled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7058A
KR20190127058A KR1020180051139A KR20180051139A KR20190127058A KR 20190127058 A KR20190127058 A KR 20190127058A KR 1020180051139 A KR1020180051139 A KR 1020180051139A KR 20180051139 A KR20180051139 A KR 20180051139A KR 20190127058 A KR20190127058 A KR 20190127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pyrene
based compound
oled display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7607B1 (ko
Inventor
최한영
권혜림
정경문
박주현
오정훈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로움하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로움하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1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60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76Ketones containing a keto group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49/82Ketones containing a keto group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containing hydroxy groups
    • C07C49/83Ketones containing a keto group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containing hydroxy groups polycycl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파이렌계 화합물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짖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렌계 화합물은 380nm 내지 420nm 영역의 자외선에 의한 OLED 발광소자의 변형에 의한 발광특성 변화가 적은 우수한 내광성, 내열광성을 가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파이렌계 화합물,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OLED 디스플레이{PYRENE-BASED COMPOUND, ULTRAVIOLET ABSORBENT AND OLED DISPLAY HAVING MEMB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이렌계 화합물,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OLED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디스플레이)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함으로써 응답속도가 빠르고, 명암비(Contrast Ratio), 발광 효율, 휘도 및 시야각 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LCD 공정에서는 유기막 형성 조건이 고온이었기 때문에 경화도가 높아서, 유기막 자체의 내화학성, 내열성 등의 유기막으로서의 일반적인 요구 성능에 문제가 크지 않았으나, 유기 TFT 공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OLED 공정에서는 열에 약해 고온에 견디기 어려운 기판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 이에 사용되는 유기막 형성 조건 또한 저온이여야 한다. 또한, 연속되는 후속 공정에서 유기 발광 소자가 고온에서 열화되기 쉽고, 유기 TFT 공정에서의 물질들 역시 고온에서 취약한 특성을 보인다.
최근에는, OLED가 옥외용 디스플레이,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이 확대되면서 자외선에 대한 우수한 내광성 및 내열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들의 자외선 흡수제들은 380~420nm 영역의 자외선의 흡수가 우수하지 않아 내광성 확보가 다소 곤란하며, 420nm 이상의 영역에서 자외선을 흡수하는 경향이 있어 휘도가 우수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내열광 내구성 역시 우수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우수한 내광성은 물론, 휘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내열광 내구성이 우수한 OLED 디스플레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06558호 (2009.01.1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89088호 (2009.08.21.)
본 발명은 380nm 내지 420nm 영역의 자외선에 의한 OLED 발광소자의 변형에 의한 발광특성 변화가 적은 우수한 내광성, 내열광성을 가지는 파이렌계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파이렌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흡수제, 이를 포함하는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우수한 내광성, 내열광성을 가지고, 휘도, 특히 420~450nm의 blue 영역에서 우수한 휘도를 가지는 OLED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렌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 내지 C18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는 전술한 파이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렌계 화합물은 380nm 내지 420nm 영역의 자외선에 의한 OLED 발광소자의 변형에 의한 발광특성 변화가 적은 우수한 내광성, 내열광성을 가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렌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OLED 디스플레이는 365nm 영역 부근의 자외선을 이용한 광경화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기존의 재료와 공정을 이용하여 소자의 제조가 가능하여, 자연광에 많이 존재하는 380~420nm의 자외선은 차단하여, 내광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420nm를 초과하는 영역의 자외선을 흡수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휘도가 우수한 이점이 있다.
도 1 은 화학식 2 및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이용한 초기 및 내열광성 평가 후의 광학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파이렌계 화합물>
본 발명의 한 양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파이렌계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 내지 C18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다).
상기 C1 내지 C18의 알킬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sec-부틸, 1-메틸-부틸, 1-에틸-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tert-펜틸, n-헥실, 1-메틸펜틸, 2-메틸펜틸, 4-메틸-2-펜틸, 3,3-디메틸부틸, 2-에틸부틸, n-헵틸, 1-메틸헥실, n-옥틸, tert-옥틸, 1-메틸헵틸, 2-에틸헥실, 2-프로필펜틸, n-노닐, 2,2-디메틸헵틸, 1-에틸-프로필, 1,1-디메틸-프로필, 이소헥실, 2-메틸펜틸, 4-메틸헥실, 5-메틸헥실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할로겐 원자는 F, Cl, Br 또는 I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파이렌계 화합물은 알킬, 할로겐으로 치환되어도 좋은, 오르토(Ortho) 메톡시 벤조산클로하이드와 파이렌의 아실레이션반응 후, 디메틸레이션을 진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2-메톡시-페닐)-피렌-1-일-메타논((2-Methoxy-phenyl)-pyren-1-yl-methanone)을 디클로로메탄에 혼탁시키고 아이스 배스(ice-bath)하에서 냉각시킨다. 반응혼합액에 보론 트리브로마이드를 서서히 첨가하고 천천히 상온으로 승온 후 밤새 교반한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추출한다. 유기층을 물로 3회 세척하고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헥산(MC/Hex)으로 결정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파이렌계 화합물은 380~420nm 영역의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파이렌계 화합물을 이용할 경우 내광성, 내열광성이 우수하고, 420nm 광을 초과하는 영역의 투과율이 높아 휘도가 우수한 OLED 디스플레이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파이렌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파이렌계 화합물이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될 경우 합성이 용이하여 높은 수율의 파이렌계 화합물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렌계 화합물은 380 내지 420nm 영역 파장의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에, 상기 파이렌계 화합물을 이용할 경우 내광성 및 휘도가 우수한 OLED 디스플레이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OLED 디스플레이>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전술한 파이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OLED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는 내광성, 휘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특히 내열광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400nm 이하 파장 영역의 UV를 흡수하는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파이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 외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자외선 흡수제는 400nm 이하의 UV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관계없이 사용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입체 장애 아민 빛 안정제(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를 자외선 흡수제와 혼합하여 사용하지만, 입체 장애 아민 빛 안정제는 단순히 라디칼 안정화의 역할로 자외선 흡수와는 관련이 없어 본 발명에서는 사용하여도 좋고 사용하지 않아도 크게 관계는 없다.
예컨대,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사지논(benzoxazinone)계, 트리아진(triazine)계,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및 벤조페논(benzophenone)계 자외선 흡수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자외선 흡수제의 예로는, 벤조사지논(benzoxazinone)계는 사이텍사의 CYASORB UV-3853S; 트리아진(triazine)계는 사이텍사의 CYASORB UV-1164, 바스프사의 TINUVIN 1577, TINUVIN P, TINUVIN 234, TINUVIN 326, TINUVIN 328, TINUVIN 329, TINUVIN 571, TINUVIN 400, TINUVIN 479;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는 시바사의 CYASORB UV-2337, CYASORB UV-5411, 바스프사의 TINUVIN 360, TINUVIN 213, TINUVIN 99-2, TINUVIN 171, TINUVIN 328, TINUVIN 384-2, TINUVIN 900, TINUVIN 928, TINUVIN 1130, 송원산업의 SONGSORB 1000, SONGSORB 2340, SONGSORB 3200, SONGSORB 3260, SONGSORB 3270, SONGSORB 3280; 벤조페논(benzophenone)계는 사이텍사의 CYASORB UV-9, CYASORB UV-24, CYASORB UV-531, 시바사의 CHIMASSORB 81, 송원산업의 SONGSORB 8100 등이 있으며, 각각의 자외선 흡수제를 단독 또는 2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재가 상기 400nm 이하 파장 영역의 UV를 흡수하는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할 경우 내광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윈도우 필름, 편광판, 터치패널, 투명 광학 점착층, 투명 광학 접착층 또는 유기발광 소자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윈도우 필름용 하드코팅층, 편광판용 접착층 또는 점착층, 투명 광학 점착층, 투명 광학 접착층, 터치패널용 절연층 또는 유기발광 소자용 오버코팅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투명광학 점착층, 투명 광학 접착층 또는 편광판용 접착층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 필름, 편광판, 터치패널, 투명 광학 점착층, 투명 광학 접착층, 유기발광 소자는 본 발명에 따른 부재를 포함하기만 한다면 그 외 구성, 제조 방법 등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재는 그 용도에 따라 상기 자외선 흡수제 외 결합제 수지, 광중합성 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첨가제, 용제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제 수지, 광중합성 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첨가제, 용제의 구성, 조성을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상기 윈도우 필름은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에 구비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드코팅층은 전술한 부재일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은 투명한 고분자 필름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아세틸 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프로피오닐 셀룰오로스, 부티릴 셀룰로오스, 아세틸 프로피오닐 셀룰로오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고분자로 형성된 필름일 수 있다. 이들 고분자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다관능(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광개시제, 용제 등을 포함하는 공지의 하드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리카 나노 입자와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는 편광판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광판은 전술한 부재 및 편광자를 포함하며,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구비된 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호필름 외 광학 필름 등 공지의 필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광판은 하나의 편광자 및 이의 적어도 일면에 투명 보호 필름이 적층된 다층 필름일 수 있으며, 상기 부재를 구비한다면 공지의 광학 기능성 필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광학 보상 필름, 반사형 편광 분리 필름, 위상차 필름, 방현 기능 부가 필름, 표면 반사 장치 처리된 부가 필름, 반사 필름, 반투과 반사 필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편광판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 조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에 포함되는 편광자 등의 제조 방법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상기 편광자는 연신된 고분자 필름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것으로서, 편광자를 구성하는 고분자 필름은 이색성 물질, 예컨대 요오드에 의해 염색 가능한 필름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필름, 셀룰로오스 필름, 이들의 부분적으로 검화된 필름 등과 같은 친수성 고분자 필름; 또는 탈수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탈염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등과 같은 폴리엔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면내에서 편광도의 균일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이색성 물질에 대한 염색 친화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자는 필요에 따라 적어도 일면에 편광자 보호필름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보호 필름으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에서 우수한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황화 폴리페닐렌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필름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블렌드물로 구성된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된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재는 편광판용 접착층 또는 점착층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부재는 편광판용 접착층일 수 있다.
상기 편광판용 접착층 또는 상기 편광판용 점착층은 상기 자외선 흡수제, 공지의 광중합성 단량체, 광중합 개시제, 용제, 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성물의 구성, 조성 등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상기 편광판용 접착층, 점착층은 후술할 투명광학 접착층, 점착층과 동일한 내용을 적용할 수 있으나 역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부재, 전도성 패턴층 및 공지의 각종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전도성 패턴층은 투명 도전층으로 금속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산화물은 인듐틴옥사이드(ITO), 인듐징크옥사이드(IZO), 인듐징크틴옥사이드(IZTO),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 갈륨징크옥사이드(GZO), 플로린틴옥사이드(FTO), 징크옥사이드(ZnO), 인듐틴옥사이드-은-인듐틴옥사이드(ITO-Ag-ITO), 인듐징크옥사이드-은-인듐징크옥사이드(IZO-Ag-IZO), 인듐징크틴옥사이드-은-인듐징크틴옥사이드(IZTO-Ag-IZTO) 및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은-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Ag-AZ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부재는 상기 전도성 패턴층 상부에 형성되는 절연층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재는 터치패널용 절연층일 수 있다. 상기 부재는 전술한 자외선 흡수제 외 용도에 따라 공지의 결합제 수지, 광중합성 단량체, 광중합 개시제, 용제, 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역시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상기 부재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과 같은 유기계 절연 소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는 투명 광학 점착층 또는 투명 광학 접착층일 수 있다. 상기 투명 광학 점착층 또는 투명 광학 접착층은 상기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다. 상기 투명 광학 점착층 또는 투명 광학 접착층은 자외선 흡수제 외 공지의 가교제, 광중합성 단량체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를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폴리올, 아크릴계 단량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용제 및 각종 첨가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투명"이란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70 % 이상 또는 8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체 면적이 모두 투명하지 않고, 개구율이 60% 이상인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 소자는 애노드, 캐소드, 발광층, 본 발명에 따른 부재를 구비하며, 그 외 공지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발광 소자는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정공 주입층, 전자 주입층, 오버코팅층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부재는 상기 유기발광 소자에 포함되는 오버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오버코팅층의 재질은 광중합이 가능한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오버코팅층의 재질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의 자외선 경화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부재의 용도에 따라 전술한 결합제 수지, 광중합성 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첨가제, 용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부재는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자외선, 구체적으로 254 내지 365nm 영역의 자외선을 이용하여 경화함으로써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재의 두께는 상기 부재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부재의 두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상기 부재의 두께는 1㎛ 내지 15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재가 하드코팅층인 경우의 5㎛ 내지 15㎛, 편광판용 접착층 또는 점착층인 경우 15㎛ 내지 25㎛, 투명 광학 점착층 또는 접착층인 경우 50㎛ 내지 150㎛, 절연층인 경우 1㎛ 내지 5㎛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상기 부재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부재를 제조할 때 자외선 경화 특성이 우수하여 공정성이 우수하며 제조된 부재의 내광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부재 상에 400nm 이하 파장 영역의 UV를 흡수하는 광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OLED 디스플레이는 상기 부재 상에 400nm 이하 파장 영역의 UV를 흡수하는 광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학부재는 400nm 이하 파장 영역의 UV를 흡수하기 위하여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상기 광학 부재가 400nm 이하 파장 영역의 UV를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라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 흡수제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 외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상기 자외선 흡수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OLED 디스플레이가 상기 400nm 이하 파장 영역의 UV를 흡수하는 광학부재를 더 포함할 경우, 내광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400nm 이하 파장 영역의 UV를 차단하는 효과의 부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 광학부재는 상기 OLED 디스플레이의 사용 목적에 따라 그 용도가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부재가 편광판용 접착층일 경우 상기 광학 부재는 보호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는 전술한 파이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부재를 구비하기 때문에 내광성, 휘도, 내열광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는 내광성이 우수하면서도 내열광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는 차량용 OLED 디스플레이에 적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함유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합성예 1
둥근 바닥플라스크에 (2-메톡시-페닐)-피렌-1-일-메타논((2-Methoxy-phenyl)-pyren-1-yl-methanone) (8.7g, 0.026 mole)을 87ml 디클로로메탄에 혼탁시키고 아이스 배스(ice-bath)하에서 냉각시킨다. 반응혼합액에 1M 보론 트리브로마이드(31.1ml, 0.031 mole)을 서서히 첨가하고 천천히 상온으로 승온 후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3회 세척하고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헥산(MC/Hex)으로 결정화하여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생성물(7.5g, 70%)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12.5(s, 1H), 8.0~8.3(m, 9H), 7.5(t, 1H), 7.3(d, 1H), 7.2(d, 1H), 6.8(t, 1H)
[화학식 2]
Figure pat00004
합성예 2
둥근 바닥플라스크에, 파이렌(12g, 0.06 mole)을 120ml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아이스 배스(ice-bath)하에서 냉각시켰다. 반응 플라스크에 2-메톡시벤조일 클로라이드(11.1g, 0.07) 및 AlCl3(9.5g, 0.07 mole)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0℃에서 10분 교반 후 상온으로 천천히 승온하여 1시간동안 추가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수에 붓고,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2회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킨후, 농축하여 디클로로메탄/헵탄(MC/Heptane) 용매하에서 결정화하여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생성물(19g, 95%)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 δ 8.9(d, 1H), 8.0~8.3(m, 8H), 7.7(d, 1H), 7.6(t, 1H), 7.2(d, 1H), 7.0(t, 1H), 3.6(s, 3H)
[화학식 3]
Figure pat00005
제조예 1 :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질소 가스가 환류되며,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L의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 90중량부, 메타아크릴레이트 7중량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중량부, 아크릴산 1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후, 용제로 에틸아세테이트 100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 가스를 1시간 동안 퍼징한 후, 62℃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반응 개시제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7중량부를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약 100만)를 제조하였다.
점착 시트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200 중량부(고형분 100 중량부)에, 메텔에틸케톤 100 중량부를 추가하고, 가교제로서 Coronate-L(일본폴리우레탄공업사) 2 중량부와 상기 합성예에서 합성한 자외선 흡수제를 하기 표 1과 같이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도포하고, 100℃에서 1분 동안 건조하여 두께 25㎛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후, 점착제층의 위에 이형 필름을 라미네이션하여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점착시트는 상온에서 7일간 방치하여 경화시켰다.
(단위: 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아크릴 공중합체 200 200 200 200 200
메틸에틸케톤 100 100 100 100 100
Coronate-L 2 2 2 2 2
자외선 흡수제 합성예 1의 화합물 2 1 0.5 - -
합성예 2의 화합물 - - - 2 1
시험예 1: 내열광성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점착시트를 3cm×4cm으로 재단하여 이형필름을 박리하고, JISZ 0237의 규정에 따라 2 kg의 롤러를 사용하여 4cm×6cm 유리에 부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시편은 분광광도계(Shimadzu社, UV-2450)로 200nm부터 600nm에서의 초기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초기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시편을 내후성 시험기 (Suga社, U48AU)에 자외선 카본 아크 램프를 100시간 조사한 후, 조사 전후의 흡광도 스펙트럼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380nm(초기 흡광도) 2.125 2.021 1.825 2.213 2.031
380nm(내열광 100hr 후 흡광도) 2.140 2.008 1.808 1.523 1.280
Δ380nm (|초기-내열광 후|) 0.015 0.013 0.017 0.69 0.751
표 2 및 도 1을 살펴보면,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점착시트는 내열광조건에서 흡광 파장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비교예에 따른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점착시트는 내열광조건에서 분자가 분해되어, 흡광파장이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파이렌계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 내지 C18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파이렌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인 파이렌계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pat00007
    .
  3. 제1항에 따른 파이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OLED 디스플레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400nm 이하 파장 영역의 UV를 흡수하는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OLED 디스플레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윈도우 필름, 편광판, 터치패널, 투명 광학 점착층, 투명 광학 접착층 또는 유기발광 소자에 포함되는 것인 OLED 디스플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윈도우 필름용 하드코팅층, 편광판용 접착층 또는 점착층, 터치패널용 절연층, 투명 광학 점착층, 투명 광학 접착층 또는 유기발광 소자용 오버코팅층인 것인 OLED 디스플레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투명광학 점착층, 투명 광학 접착층 또는 편광판용 접착층인 것인 OLED 디스플레이.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상에 400nm 이하 파장 영역의 UV를 흡수하는 광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OLED 디스플레이.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의 자외선 경화물을 포함하는 것인 OLED 디스플레이.
KR1020180051139A 2018-05-03 2018-05-03 파이렌계 화합물,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oled 디스플레이 KR102567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139A KR102567607B1 (ko) 2018-05-03 2018-05-03 파이렌계 화합물,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oled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139A KR102567607B1 (ko) 2018-05-03 2018-05-03 파이렌계 화합물,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oled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058A true KR20190127058A (ko) 2019-11-13
KR102567607B1 KR102567607B1 (ko) 2023-08-16

Family

ID=68534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139A KR102567607B1 (ko) 2018-05-03 2018-05-03 파이렌계 화합물,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oled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6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558A (ko) 2007-07-12 2009-01-15 한국산업기술평가원(관리부서:요업기술원) 벤조트리아졸계 아크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uv 흡수제 조성물
KR20090089088A (ko) 2008-02-18 2009-08-21 한국세라믹기술원 벤조트리아졸계 아크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및 이의 제조를 위한 자외선 흡수제 조성물
JP2009191136A (ja) * 2008-02-13 2009-08-27 Nicca Chemical Co Ltd 紫外線吸収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加工された耐光性材料
KR101609234B1 (ko) * 2015-01-13 2016-04-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광경화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190050267A (ko) * 2017-10-31 2019-05-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558A (ko) 2007-07-12 2009-01-15 한국산업기술평가원(관리부서:요업기술원) 벤조트리아졸계 아크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uv 흡수제 조성물
JP2009191136A (ja) * 2008-02-13 2009-08-27 Nicca Chemical Co Ltd 紫外線吸収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加工された耐光性材料
KR20090089088A (ko) 2008-02-18 2009-08-21 한국세라믹기술원 벤조트리아졸계 아크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및 이의 제조를 위한 자외선 흡수제 조성물
KR101609234B1 (ko) * 2015-01-13 2016-04-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광경화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190050267A (ko) * 2017-10-31 2019-05-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etrahedron Letters 58 (2017) 4377-438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607B1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2600B (zh) 樹脂組成物、三唑化合物、光學薄膜、偏光板、光學透鏡、圓偏光板、及圖像顯示裝置
WO2016021664A1 (ja) マトリックスに紫外線吸収能及び/又は高屈折率を付与するための添加剤とそれを用いた樹脂部材
JP2017120430A (ja) 光学積層体
KR20150100931A (ko)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편광판 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
JP6668091B2 (ja) 紫外線吸収剤とそれを用いた樹脂部材
JP7055306B2 (ja) 光学積層体
KR101377201B1 (ko)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742845B1 (ko)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EP2835670A1 (en) Optical film with excellent ultraviolet cut-off function and polarizing plate including same
KR101960467B1 (ko) 편광 필름용 이색성 염료,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105876A (ko) 적층체
JP5948287B2 (ja) 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50019485A (ko)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130135671A (ko)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2567607B1 (ko) 파이렌계 화합물,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oled 디스플레이
KR102302953B1 (ko)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oled 디스플레이
KR101576333B1 (ko)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
KR101629064B1 (ko)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2361100B1 (ko) 색변환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77202B1 (ko)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160079448A (ko) 광학 필름용 조성물, 필름 및 표시 장치
KR20150081670A (ko)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KR20190025284A (ko)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oled 디스플레이
KR20190023300A (ko)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oled 디스플레이
JP2013190577A (ja)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利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