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958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958A
KR20190126958A KR1020180050680A KR20180050680A KR20190126958A KR 20190126958 A KR20190126958 A KR 20190126958A KR 1020180050680 A KR1020180050680 A KR 1020180050680A KR 20180050680 A KR20180050680 A KR 20180050680A KR 20190126958 A KR20190126958 A KR 20190126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center
line
bridg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2997B1 (ko
Inventor
이아람
안성식
김민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0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997B1/ko
Priority to US16/398,631 priority patent/US11043548B2/en
Publication of KR20190126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958A/ko
Priority to US17/329,055 priority patent/US1171688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01L27/3297
    • H01L27/3276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수명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과정에서의 단선 등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하여,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벤딩영역을 갖고,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영역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벤딩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 벤딩축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은 직선 형태의 중심배선, 상기 중심배선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보조배선 및 상기 중심배선을 기준으로 타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보조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배선과 상기 제2 보조배선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며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배선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수명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과정에서의 단선 등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상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를 벤딩시킴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거나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이와 같이 벤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명이 줄어든다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수명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과정에서의 단선 등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벤딩영역을 갖고, 벤딩축을 따라 벤딩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영역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벤딩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 벤딩축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배선들 각각은 직선 형태의 중심배선, 상기 중심배선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보조배선 및 상기 중심배선을 기준으로 타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보조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배선과 상기 제2 보조배선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며 서로 엇갈려 배치되는, 배선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배선들 각각은, 상기 제1 보조배선의 일단이 상기 중심배선과 접하는 제1 접합부, 상기 제1 보조배선의 타단이 상기 중심배선과 접하는 제2 접합부, 상기 제2 보조배선의 일단이 상기 중심배선과 접하는 제3 접합부 및 상기 제2 보조배선의 타단이 상기 중심배선과 접하는 제4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제4 접합부는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배선들 각각은, 상기 중심배선을 기준으로 타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보조배선과 최인접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보조배선, 상기 제3 보조배선의 일단이 상기 중심배선과 접하는 제5 접합부, 상기 제3 보조배선의 타단이 상기 중심배선과 접하는 제6 접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접합부는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접합부와 상기 제5 접합부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에서 상기 제1 보조배선 및 상기 제2 보조배선 각각과 상기 중심배선의 적어도 일부가 이루는 형상은 사다리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보조배선은 상기 중심배선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한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의 일단과 상기 중심배선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직선부의 타단과 상기 중심배선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직선부는 상기 중심배선과 평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각각 상기 제1 직선부와 둔각을 이루고, 상기 중심배선과 30도 내지 60도 사이의 예각을 이루도록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보조배선은 상기 중심배선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한 제2 직선부, 상기 제2 직선부의 일단과 상기 중심배선을 연결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2 직선부의 타단과 상기 중심배선을 연결하는 제4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직선부는 상기 중심배선과 평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4 연결부는 평행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제3 연결부는 평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심배선은 상기 벤딩축과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배선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범에 따르면,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벤딩영역을 갖고,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영역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벤딩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 벤딩축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은 직선 형태를 갖는 제1 중심배선, 상기 제1 중심배선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중심배선 및 상기 제1 중심배선과 상기 제2 중심배선을 사선으로 연결하는 제1 브릿지배선을 포함하는, 배선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선은 상기 제1 브릿지배선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중심배선과 상기 제2 중심배선을 사선으로 연결하는 제2 브릿지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릿지배선과 상기 제2 브릿지배선은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선은 직선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중심배선의 타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 중심배선, 상기 제1 중심배선과 상기 제3 중심배선을 사선으로 연결하는 제3 브릿지배선을 더 포함하고,상기 제3 브릿지배선은 상기 제1 브릿지배선 및 상기 제2 브릿지배선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선은 상기 제1 브릿지배선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중심배선과 상기 제2 중심배선을 사선으로 연결하는 제2 브릿지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릿지배선과 상기 제2 브릿지배선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선은 직선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중심배선의 타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 중심배선, 상기 제1 중심배선과 상기 제3 중심배선을 사선으로 연결하는 제3 브릿지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브릿지배선은 상기 제1 브릿지배선 및 상기 제2 브릿지배선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선은 상기 제1 중심배선과 상기 제3 중심배선을 사선으로 연결하며상기 제3 연결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브릿지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릿지배선은 상기 제3 브릿지배선과 상기 제4 브릿지배선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중심배선 및 상기 제2 중심배선은 상기 벤딩축과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배선부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수명을 담보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과정에서의 단선 등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하기 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어느 하나의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IV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VIII-VIII' 및 VIII''-V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한편,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무기 EL 디스플레이 장치(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표면 전도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Cathode Ray Display) 등 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의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하기 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하는 기판(100)은 제1 영역(1A)과 제2 영역(2A) 사이에 위치하는 벤딩영역(BA)을 갖는다. 이 벤딩영역(BA)은 일 방향(+x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y 방향)에 있어서, 제1 영역(1A)과 제2 영역(2A)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기판(10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된 벤딩 축(BAX)을 중심으로 벤딩되어 있다.
기판(100)은 플렉서블 또는 벤더블 특성을 갖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기판(100)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elenen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e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영역(DA)은 제1 영역(1A)에 포함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영역(1A)은 디스플레이영역(DA) 및 디스플레이영역(DA) 주변의 외곽영역(PA)의 일부를 포함한다. 외곽영역(PA)은 벤딩영역(BA) 및 제2 영역(2A)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기판(100)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1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y방향으로 연장된 스캔선(SL) 및 y방향과 교차하는 x방향으로 연장된 데이터선(DL)에 연결된 화소(P)들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화소(P)들에서 방출되는 빛을 통해 소정의 이미지를 제공하며, 디스플레이영역(DA)을 정의한다.
각 화소(P)는 예컨대,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각 화소(P)는 표시소자를 포함하며, 표시소자는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화소(P)라 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화소를 나타낸다. 화소(P)의 구조는 도 3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외곽영역(PA)은 디스플레이영역(DA)의 외측에 배치된다. 예컨대, 외곽영역(PA)은 디스플레이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외곽영역(PA)은 화소(P)들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으로, 이미지를 제공하지 않는 비표시영역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벤딩영역(BA)은 외곽영역(PA)의 일부로 정의될 수 있으며, 따라서 벤딩영역(BA)은 이미지를 제공하지 않는 비표시영역일 수 있다.
외곽영역(PA)에는 구동회로(drive circuit), 예컨대 제1 및 제2 스캔 구동회로(20, 30), 패드부(40), 구동 전원공급배선(60), 및 공통 전원공급배선(7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캔 구동회로(20, 30)는 기판(100)의 외곽영역(PA) 상에 배치되며, 스캔선(SL)을 통해 각 화소(P)에 스캔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일 예로, 제1 스캔 구동회로(20)는 디스플레이부(10)의 좌측에, 제2 스캔 구동회로(30)는 디스플레이부(1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 스캔 구동회로는 하나만 구비될 수 있다.
패드부(40)는 기판(100)의 일 단부에 배치되며, 복수의 패드(41, 42, 44, 45)를 포함한다. 패드부(40)는 절연층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되어,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패드부(40)는 제1 및 제2 스캔 구동회로(20, 30)이 위치하지 않은 기판(10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은 제어부(90)와 패드부(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제어부(90)로부터 전달된 신호 또는 전원은 패드부(40)에 연결된 연결배선(21, 31, 51, 61, 71)들을 통해 이동한다.
제어부(90)는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및 클럭신호를 전달받아 제1 및 제2 스캔 구동회로(20, 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과 연결된 패드(44) 및 연결배선(21, 31)을 통해 제1 및 제2 스캔 구동회로(20, 30) 각각에 전달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스캔 구동회로(20, 30)의 스캔 신호는 스캔선(SL)을 통해 각 화소(P)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90)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과 연결된 패드(42, 45) 및 연결배선(61, 71)을 통해 구동 전원공급배선(60) 및 공통 전원공급배선(70) 각각에 구동전원(ELVDD) 및 공통전원(ELVSS)을 제공한다. 구동전원(ELVDD)은 구동전압선(PL)을 통해 각 화소(P)에 제공되고, 공통전원(ELVSS)은 화소(P)의 공통전극에 제공될 수 있다.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에는 데이터 구동회로(80)가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80)는 데이터 신호를 각 화소(P)에 제공한다. 데이터 구동회로(80)의 데이터 신호는 패드(41)에 연결된 배선(51) 및 배선(51)과 연결된 데이터선(DL)을 통해 각 화소(P)에 제공된다. 도 2에서는 데이터 구동회로(80)가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 상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 데이터 구동회로(80)는 기판(100)의 외곽영역(P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전원공급배선(60)은 외곽영역(P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 전원공급배선(60)은 패드부(40)와 인접한 디스플레이부(10)의 일측과 패드부(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41)와 연결된 연결배선(61)을 통해 제공된 구동전원(ELVDD)은 구동전압선(PL)을 통해 각 화소(P)들에 제공될 수 있다.
공통 전원공급배선(70)은 외곽영역(PA) 상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부(10)를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예컨대, 공통 전원공급배선(70)은 패드부(40)와 인접한 디스플레이부(10)의 일측이 개방된 루프 형태로서, 패드부(40)를 제외한 기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2의 공통 전원공급배선(70)은 패드(45)와 연결된 연결배선(7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화소(P)의 유기발광소자의 대향전극(230)(예컨대, 캐소드)에 공통전원(ELVSS)을 제공한다. 도 2에서는 공통 전원공급배선(70)이 디스플레이부(1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일측이 개방된 루프 형태이며, 연결배선(71)과 일부 중첩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연결배선(71)과 공통 전원공급배선(70)은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층, 예컨대 무기 절연층의 콘택홀(CNT)을 통해 접속될 수 있으며, 연결배선(71)과 공통 전원공급배선(70)의 접속영역, 즉 콘택홀(CNT)은 패드부(40)를 향하는 디스플레이부(10)의 일측과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연결배선(71)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공통 전원공급배선(70)이 패드(45)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디스플레이부(10) 상부에는 디스플레이부(10)를 외부로부터 밀봉하는 박막봉지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박막봉지부(미도시)는 무기막과 유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다층막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박막봉지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부(10)를 비롯하여 외곽영역(PA)에 배치된 회로부들(예컨대, 제1 및 제2 스캔 구동회로(20, 30) 및 공통 전원공급배선(70))을 덮고 기판(100)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어느 하나의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소(P)는 스캔선(SL) 및 데이터선(DL)에 연결된 화소회로(PC) 및 화소회로(PC)에 연결된 유기발광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회로(PC)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d),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s),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s)는 스캔선(SL) 및 데이터선(DL)에 연결되며, 스캔선(SL)을 통해 입력되는 스캔 신호에 따라 데이터선(DL)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d)로 전달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s) 및 구동전압선(PL)에 연결되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s)로부터 전달받은 전압과 구동전압선(PL)에 공급되는 구동전압(ELVDD)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압을 저장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d)는 구동전압선(PL)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연결되며,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압 값에 대응하여 구동전압선(PL)으로부터 유기발광소자(OLED)를 흐르는 구동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OLED)는 구동 전류에 의해 소정의 휘도를 갖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OLED)는 예컨대,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화소(P)가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1개의 스토리지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 화소(P)의 화소회로(PC)는 3개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거나, 2개 이상의 스토리지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과 같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벤딩영역(BA)은 외곽영역(PA)에서 연결배선(21, 31, 51, 61, 71)들이 팬아웃(fan-out)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벤딩영역(BA) 상에는 연결배선(21, 31, 51, 61, 71)들이 배치될 수 있다. 벤딩영역(BA)은 도 1과 같이 벤딩축(BAX)을 기준으로 벤딩되는데, 벤딩영역(BA)이 벤딩축(BAX)을 기준으로 벤딩되는 과정에서, 벤딩영역(BA) 상에 배치된 연결배선(21, 31, 51, 61, 71)들에 스트레스가 집중되어 단선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연결배선(21, 31, 51, 61, 71)들 중에서도 특히 데이터선(DL)과 연결되는 배선부(50)의 배선(51)은 미세한 폭으로 매우 많은 수의 배선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어, 다른 배선들에 비해 스트레스에 더욱 민감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벤딩영역(BA) 상에 배치된 배선부(50) 형상을 통해, 스트레스에 강건함은 물론, 동시에 배선(51)의 특정 부분에 크랙이 발생하여도 이를 우회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배선(51)이 완전히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IV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벤딩영역(BA) 상에 배치되는 배선부(50)는 복수개의 배선(5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배선부(50)는 도 2의 데이터 구동회로(80)에서 전달된 데이터 신호를 각 화소(P)에 제공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배선(51)들은 벤딩영역(BA)에 위치하며 벤딩축(BAX)과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예서, 복수개의 배선(51)들은 벤딩축(BAX)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개의 배선(51)들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면 상에서 일정하게 반복되는 패턴을 갖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배선(51)들 각각은 벤딩영역(BA) 상에서 이러한 패턴을 가지며, 비벤딩영역인 제1 영역(1A) 및 제2 영역(2A)에서는 단순한 직선의 배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설계에 따라 벤딩영역(BA)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배선(51)들의 패턴의 일부가 벤딩영역(BA)과 제1 영역(1A) 또는 벤딩영역(BA)과 제2 영역(2A)이 접하는 부분에 걸쳐 위치해도 무방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선부(5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배선(51)들 중 하나의 배선(51) 구조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벤딩영역(BA) 상에서 복수개의 배선(51)들의 구조는 모두 동일한바, 하나의 배선(51)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배선(51)은 직선 형태의 중심배선(CL), 중심배선(CL)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보조배선(SL1), 중심배선(CL)을 기준으로 타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보조배선(SL2) 및 제3 보조배선(SL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중심배선(CL)과 중심배선(CL)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한 제1 보조배선(SL1), 제2 보조배선(SL2) 및 제3 보조배선(SL3)은 각각 배선(51)의 일부분을 형상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별개가 아니며 서로 일체(一體)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중심배선(CL)은 벤딩영역(BA) 전 영역에 걸쳐 하나의 축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중심배선(CL)은 특정 일 부분이 직선 형상을 갖는 것이 아니고, 벤딩영역(BA) 전 영역에서 절곡된 부분 없이 일 직선으로 형성된 형태이다. 중심배선(CL)은 말 그대로 배선(51) 구조의 중심을 잡아주는 메인 배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
비교예로서, 벤딩영역(BA)에 걸리는 배선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하여, 중심배선(CL)이 절곡된 부분을 갖거나, 또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변곡점을 갖는 경우, 절곡부나 변곡점 부분에 오히려 스트레스가 집중되어 크랙 발생 원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중심배선(CL)을 직선 형태로 형성하여 벤딩영역(BA) 전 영역에서 배선(51)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골고루 분산시킴으로써, 특정 부분에 스트레스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심배선(CL)의 일측 및 타측에는 각각 제1 보조배선(SL1), 제2 보조배선(SL2) 및 제3 보조배선(SL3)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보조배선(SL1), 제2 보조배선(SL2) 및 제3 보조배선(SL3) 각각은 중심배선(CL)을 기준으로 서로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보조배선(SL1), 제2 보조배선(SL2) 및 제3 보조배선(SL3)이 중심배선(CL)을 기준으로 서로 엇갈려 배치되는 경우에도, 제1 보조배선(SL1)과 제2 보조배선(SL2)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제1 보조배선(SL1)과 제3 보조배선(SL3)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중첩된다고 함은 평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중심배선(CL)을 기준으로 제1 보조배선(SL1), 제2 보조배선(SL2)의 배치가 완전히 엇갈리지 않고, 일부 영역에서 서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보조배선(SL1), 제2 보조배선(SL2) 및 제3 보조배선(SL3)은 중심배선(CL)에 크랙이 발생한 경우 배선(51)이 완전히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심배선(CL)과 연결되는 우회 배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배선(51)은 제1 보조배선(SL1)의 일단이 중심배선(CL)과 접하는 제1 접합부(C1), 제1 보조배선(SL1)의 타단이 중심배선(CL)과 접하는 제2 접합부(C2)를 포함하고, 제2 보조배선(SL2)의 일단이 중심배선(CL)과 접하는 제3 접합부(C3), 제2 보조배선(SL2)의 타단이 중심배선(CL)과 접하는 제4 접합부(C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4 접합부(C4)는 제1 접합부(C1)와 제2 접합부(C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접합부(C4)는 제1 접합부(C1)와 제2 접합부(C2) 사이에 위치한다고 함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보조배선(SL1)과 제2 보조배선(SL2)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배선(51)은 제3 보조배선(SL3)의 일단이 중심배선(CL)과 접하는 제5 접합부(C5), 제3 보조배선(SL3)의 타단이 중심배선(CL)과 접하는 제6 접합부(C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5 접합부(C5)는 제1 접합부(C1)와 제2 접합부(C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접합부(C5)는 제1 접합부(C1)와 제2 접합부(C2) 사이에 위치한다고 함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보조배선(SL1)과 제2 보조배선(SL2)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됨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4 접합부(C4) 및 제5 접합부(C5) 모두 제1 접합부(C1)와 제2 접합부(C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4 접합부(C4)와 제5 접합부(C5)는 서로 소정 간격(d1)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4 접합부(C4)와 제5 접합부(C5)가 이격되어 배치된다는 것은 최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보조배선(SL2)와 제3 보조배선(SL3)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비교예로, 제4 접합부(C4)와 제5 접합부(C5)가 서로 맞닿아 있는 경우 해당 접합부에 스트레스가 집중되기 때문에, 제4 접합부(C4)와 제5 접합부(C5)가 소정 간격(d)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스트레스 분산에 유리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심배선(CL)의 적어도 일부와 제1 보조배선(SL1), 중심배선(CL)의 적어도 일부와 제2 보조배선(SL2), 중심배선(CL)과 제3 보조배선(SL3)은 각각 폐다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평면에서 중심배선(CL)의 적어도 일부와 제1 보조배선(SL1)이 이루는 형상은 사다리꼴일 수 있다. 제2 보조배선(SL2) 및 제3 보조배선(SL3)도 이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제1 보조배선(SL1), 제2 보조배선(SL2) 및 제3 보조배선(SL3)과 중심배선(CL)이 이루는 형상은 위치만 상이할 뿐, 동일한 형상의 반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보조배선(SL1)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보조배선(SL1)은 중심배선(CL)과 소정 간격(d2) 이격되어 위치한 제1 직선부(L1), 제1 직선부(L1)의 일단과 중심배선(CL)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S1) 및 제1 직선부(L1)의 타단과 중심배선(CL)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직선부(L1)는 중심배선(CL)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연결부(S1) 및 제2 연결부(S2)는 제1 직선부(L1)와 각을 이루도록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S1) 및 제2 연결부(S2)는 각각 제1 직선부(L1)와는 둔각을 이루고, 중심배선(CL)과는 예각을 이루도록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정도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S1) 또는 제2 연결부(S2)는 기준선(X축)을 기준으로 약 30도 내지 60도의 각도(
Figure pat00001
1)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즉, 제1 연결부(S1) 또는 제2 연결부(S2)가 중심배선(CL)과 이루는 각도가 약 30도 내지 60도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제2 보조배선(SL2)은 중심배선(CL)과 소정 간격(d2) 이격되어 위치한 제2 직선부(L2), 제2 직선부(L2)의 일단과 중심배선(CL)을 연결하는 제3 연결부(S3) 및 제2 직선부(L2)의 타단과 중심배선(CL)을 연결하는 제4 연결부(S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직선부(L2)는 중심배선(CL)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연결부(S3) 및 제4 연결부(S4)는 제2 직선부(L2)와 각을 이루도록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 연결부(S3) 및 제4 연결부(S4)는 각각 제2 직선부(L2)와는 둔각을 이루고, 중심배선(CL)과는 예각을 이루도록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정도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 제3 연결부(S3) 또는 제4 연결부(S4)는 기준선(X축)을 기준으로 약 30도 내지 60도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즉, 제3 연결부(S3) 또는 제4 연결부(S4)가 중심배선(CL)과 이루는 각도가 약 30도 내지 60도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S1)와 제4 연결부(S4)는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고, 제2 연결부(S2)와 제3 연결부(S3)는 서로 평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보조배선(SL3)은 제2 보조배선(SL2)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벤딩영역(BA) 상에 배치된 배선부(50)의 배선(51)의 형상을 도 5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스트레스에 강건함은 물론, 동시에 배선(51)의 특정 부분에 크랙이 발생하여도 이를 우회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배선(51)이 완전히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선(51)의 중심배선(CL)은 직선 형태로 형성되며, 이를 통해 벤딩영역(BA) 전 영역에서 배선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골고루 분산시킴으로써, 특정 부분에 스트레스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선(51)의 중심배선(CL)의 양측에 엇갈려 배치된 제1 보조배선(SL1), 제2 보조배선(SL2) 및 제3 보조배선(SL3)은 중심배선(CL)에 크랙이 발생한 경우 제1 보조배선(SL1), 제2 보조배선(SL2) 및 제3 보조배선(SL3)으로 신호가 흐르게 함으로써 배선(51)이 완전히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51')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배선(51')은 직선 형태를 갖는 제1 중심배선(CL1), 제1 중심배선(CL1)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중심배선(CL2), 제1 중심배선(CL1)의 타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중심배선(CL3), 제1 중심배선(CL1)과 제2 중심배선(CL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2 브릿지배선(BL1, BL2) 및 제1 중심배선(CL1)과 제3 중심배선(CL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4 브릿지배선(BL3, BL4)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중심배선(CL1), 제2 중심배선(CL2) 및 제3 중심배선(CL3)과 이들을 연결하는 제1, 2 브릿지배선(BL1, BL2) 및 제3, 4 브릿지배선(BL3, BL4)은 각각 배선(51')의 일부분을 형상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별개가 아니며 서로 일체(一體)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1 중심배선(CL1), 제2 중심배선(CL2) 및 제3 중심배선(CL3)은 벤딩영역(BA) 전 영역에 걸쳐 하나의 축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중심배선(CL1), 제2 중심배선(CL2) 및 제3 중심배선(CL3)은 특정 일 부분이 직선 형상을 갖는 것이 아니고, 벤딩영역(BA) 전 영역에서 절곡된 부분 없이 일 직선으로 형성된 형태이다. 그 중 제1 중심배선(CL1)은 배선(51') 구조의 중심을 잡아주는 메인 배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중심배선(CL1)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2 중심배선(CL2)이, 타측에는 제3 중심배선(CL3)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중심배선(CL2) 및 제3 중심배선(CL3) 각각은 제1 중심배선(CL1)과 동일한 간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중심배선(CL2) 및 제3 중심배선(CL3)은 제1 중심배선(CL1)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스트레스를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1 중심배선(CL1)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 우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중심배선(CL1)과 제2 중심배선(CL2) 사이에는 제1 중심배선(CL1)과 제2 중심배선(CL2)을 전기적,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제1, 2 브릿지배선(BL1, BL2)이 위치할 수 있다. 구조적으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2 브릿지배선(BL1, BL2)은 제1 중심배선(CL1)과 제2 중심배선(CL2)을 사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2 브릿지배선(BL1, BL2)은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중심배선(CL1)과 제3 중심배선(CL3) 사이에는 제1 중심배선(CL1)과 제3 중심배선(CL3)을 전기적,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제3, 4 브릿지배선(BL3, BL4)이 위치할 수 있다. 구조적으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4 브릿지배선(BL3, BL4)은 제1 중심배선(CL1)과 제3 중심배선(CL3)을 사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4 브릿지배선(BL3, BL4)은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브릿지배선(BL3)은 제1 브릿지배선(BL1)과 제2 브릿지배선(BL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의 배선(51') 구조에서 상기 구조는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이를 통해 모든 브릿지배선들(BL1, BL2, BL3, BL4)이 서로 엇갈려 위치하게 된다. 이처럼 브릿지배선들(BL1, BL2, BL3, BL4)이 엇갈려 배치되어야 특정 부분에 스트레스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브릿지배선들(BL1, BL2, BL3, BL4)은 각각 중심배선들(CL1, CL2, CL3)과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정도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브릿지배선들(BL1, BL2, BL3, BL4)은 기준선(X축)을 기준으로 약 30도 내지 60도의 각도(
Figure pat00002
2)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즉, 브릿지배선들(BL1, BL2, BL3, BL4)이 중심배선들(CL1, CL2, CL3)과 이루는 각도가 약 30도 내지 60도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 예로 제2 브릿지배선(BL2)을 참조하면, 제2 브릿지배선(BL2)의 일단은 제1 중심배선(CL1)과 접하는 부분에서 제1 접합부(C1)를 형성하고, 제2 브릿지배선(BL2)의 타단은 제2 중심배선(CL2)과 접하는 부분에서 제2 접합부(C2)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접합부(C1)와 제2 접합부(C2)를 가상으로 연결한 직선은 기준선(X축)을 기준으로 약 30도 내지 60도의 각도(
Figure pat00003
2)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릿지배선들(BL1, BL2, BL3, BL4)이 상술한 각도로 비스듬하게 배치되어야 특정 부분에 스트레스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실시예에서는 브릿지배선들(BL1, BL2, BL3, BL4)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된 것을 도시하나, 다른 실시예로 제1, 2 브릿지배선(BL1, BL2)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3, 4 브릿지배선(BL3, BL4)이 제1, 2 브릿지배선(BL1, BL2)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51'')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배선(51'')은 직선 형태를 갖는 제1 중심배선(CL1), 제1 중심배선(CL1)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중심배선(CL2), 제1 중심배선(CL1)의 타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중심배선(CL3), 제1 중심배선(CL1)과 제2 중심배선(CL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2 브릿지배선(BL1, BL2) 및 제1 중심배선(CL1)과 제3 중심배선(CL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4 브릿지배선(BL3, BL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배선(51'')은 도 6의 배선(51')과 비교했을 때, 브릿지배선들(BL1, BL2, BL3, BL4)의 배치 방향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제1 중심배선(CL1)과 제2 중심배선(CL2) 사이에는 제1 중심배선(CL1)과 제2 중심배선(CL2)을 전기적,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제1, 2 브릿지배선(BL1, BL2)이 위치할 수 있다. 구조적으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2 브릿지배선(BL1, BL2)은 제1 중심배선(CL1)과 제2 중심배선(CL2)을 사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2 브릿지배선(BL1, BL2)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중심배선(CL1)과 제3 중심배선(CL3) 사이에는 제1 중심배선(CL1)과 제3 중심배선(CL3)을 전기적,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제3, 4 브릿지배선(BL3, BL4)이 위치할 수 있다. 구조적으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4 브릿지배선(BL3, BL4)은 제1 중심배선(CL1)과 제3 중심배선(CL3)을 사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4 브릿지배선(BL3, BL4)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브릿지배선(BL1) 및 제3 브릿지배선(BL3)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2 브릿지배선(BL2) 및 제4 브릿지배선(BL4)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브릿지배선들(BL1, BL2, BL3, BL4)은 각각 중심배선들(CL1, CL2, CL3)과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정도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브릿지배선들(BL1, BL2, BL3, BL4)은 기준선(X축)을 기준으로 약 30도 내지 60도의 각도(
Figure pat00004
3)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즉, 브릿지배선들(BL1, BL2, BL3, BL4)이 중심배선들(CL1, CL2, CL3)과 이루는 각도가 약 30도 내지 60도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브릿지배선(BL3)은 제1 브릿지배선(BL1)과 제2 브릿지배선(BL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의 배선(51'') 구조에서 상기 구조는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이를 통해 모든 브릿지배선들(BL1, BL2, BL3, BL4)이 서로 엇갈려 위치하게 된다. 이처럼 브릿지배선들(BL1, BL2, BL3, BL4)이 엇갈려 배치되어야 특정 부분에 스트레스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 예로 제2 브릿지배선(BL2)을 참조하면, 제2 브릿지배선(BL2)의 일단은 제1 중심배선(CL1)과 접하는 부분에서 제1 접합부(C1)를 형성하고, 제2 브릿지배선(BL2)의 타단은 제2 중심배선(CL2)과 접하는 부분에서 제2 접합부(C2)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접합부(C1)와 제2 접합부(C2)를 가상으로 연결한 직선은 기준선(X축)을 기준으로 약 30도 내지 60도의 각도(
Figure pat00005
3)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릿지배선들(BL1, BL2, BL3, BL4)이 상술한 각도로 비스듬하게 배치되어야 특정 부분에 스트레스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VIII-VIII' 및 VIII''-V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에서 VIII-VIII'는 디스플레이영역(DA)의 일 화소의 단면을 취해 도시한 것이고, VIII''-VIII'''는 외곽영역(PA)의 벤딩영역(BA) 상에 배치된 배선부(50) 일부의 단면을 취해 도시한 것이다.
먼저, 디스플레이영역(DA)을 참조하면, 기판(100)의 디스플레이영역(DA)에는 유기발광소자(300) 및 유기발광소자(3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200)가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박막트랜지스터(200)는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영역(DA) 외측의 외곽영역(PA)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외곽영역(PA)에 위치하는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는 예컨대 디스플레이영역(DA) 내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회로의 일부일 수 있다.
기판(100) 상에는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과 같은 무기물을 포함하는 버퍼층(110)이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110)은 기판(100)의 상면의 평활성을 높이거나 기판(100) 등으로부터의 불순물이 박막트랜지스터(20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버퍼층(110) 상에는 박막트랜지스터(200)가 배치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200)는 비정질실리콘, 다결정실리콘 또는 유기반도체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층(211), 게이트전극(213), 소스전극(215a) 및 드레인전극(215b)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211)과 게이트전극(213)과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게이트절연막(120)이 반도체층(211)과 게이트전극(21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아울러 게이트전극(213)의 상부에는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층간절연막(13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소스전극(215a) 및 드레인전극(215b)은 그러한 층간절연막(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200) 상에는 평탄화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트랜지스터(200) 상부에 유기발광소자(300)가 배치될 경우, 평탄화층(140)은 박막트랜지스터(200)를 덮는 보호막 상부를 대체로 평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평탄화층(140)은 예컨대 아크릴, BCB(Benzocyclobutene)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과 같은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층(140) 상에는 화소전극(310), 대향전극(330) 및 그 사이에 개재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320)을 갖는 유기발광소자(300)가 위치할 수 있다. 화소전극(310)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탄화층(140) 등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소스전극(215a) 및 드레인전극(215b) 중 어느 하나와 컨택하여 박막트랜지스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평탄화층(140) 상부에는 화소정의막(1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화소정의막(150)은 각 부화소들에 대응하는 개구, 즉 적어도 화소전극(310)의 중앙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를 가짐으로써 화소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화소정의막(150)은 화소전극(310)의 가장자리와 화소전극(310) 상부의 대향전극(330)과의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화소전극(310)의 가장자리에서 아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화소정의막(150)은 예컨대 폴리이미드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과 같은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300)의 중간층(320)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저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한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층들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층(320)이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에는 대개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홀 수송층은 PEDOT을 포함하고, 발광층은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간층(320)은 스크린 인쇄나 잉크젯 인쇄방법, 레이저열전사방법(LITI; Laser induced thermal imaging)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중간층(320)은 복수개의 화소전극(310)들에 걸쳐서 일체인 층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복수개의 화소전극(310)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패터닝된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향전극(330)은 디스플레이영역(DA) 상부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영역(DA) 전면(全面)에 배치될 수 있다. 대향전극(330)은 디스플레이영역(DA) 상에 일체(一體)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화소전극(310)들에 대응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300)는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산소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기에, 유기발광소자(300) 상에는 박막봉지부(400)이 배치되어, 유기발광소자를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박막봉지부(400)은 디스플레이영역(DA)을 덮으며 디스플레이영역(DA) 외측의 외곽영역(PA)까지 연장될 수 있다.
박막봉지부(400)은 제1 무기막(410), 유기막(420) 및 제2 무기막(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막(410)은 대향전극(330)을 덮으며,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1 무기막(410)과 대향전극(330) 사이에 캐핑층 등의 다른 층들이 개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무기막(410)은 그 하부의 구조물을 따라 형성되기에, 그 상면이 평탄하지 않게 된다.
유기막(420)은 이러한 제1 무기막(410)을 덮는데, 제1 무기막(410)과 달리 그 상면이 대략 평탄하도록 할 수 있다. 유기막(420)은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설포네이트,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릴레이트 및/또는 헥사메틸디실록산으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기막(430)은 유기막(420)을 덮으며, 예컨대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무기막(430)은 디스플레이영역(DA) 외측에 위치한 그 가장자리에서 제1 무기막(410)과 컨택함으로써, 유기막(4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외곽영역(PA)을 참조하면 배선부(50)는 벤딩영역(B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배선부(50)는 복수개의 배선(51)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배선(51)들 각각은 제1 영역(1A)으로 연장되어 각 화소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영역(2A)으로 연장되어 패드(41, 도 2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서 복수개의 배선(51)들은 박막트랜지스터(200)의 소스전극(215a) 및 드레인전극(215b)과 동일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박막트랜지스터(200)의 게이트전극(213)과 동일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 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부
50: 배선부
51, 51', 51'': 배선
100: 기판
200: 박막트랜지스터
300: 유기발광소자
CL, CL1, CL2, CL3: 중심배선, 제1 중심배선, 제2 중심배선, 제3 중심배선
SL1, SL2, SL3: 제1 보조배선, 제2 보조배선, 제3 보조배선
BL1, BL2, BL3, BL4: 제1, 2, 3, 4 브릿지배선
S1, S2, S3, S4: 제1, 2, 3, 4 연결부
C1, C2, C3, C4, C5, C6: 제1, 2, 3, 4, 5, 6 접합부

Claims (20)

  1.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벤딩영역을 갖고, 벤딩축을 따라 벤딩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영역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벤딩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 벤딩축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배선들 각각은 직선 형태의 중심배선, 상기 중심배선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보조배선 및 상기 중심배선을 기준으로 타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보조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배선과 상기 제2 보조배선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며 서로 엇갈려 배치되는, 배선부;
    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배선들 각각은, 상기 제1 보조배선의 일단이 상기 중심배선과 접하는 제1 접합부, 상기 제1 보조배선의 타단이 상기 중심배선과 접하는 제2 접합부, 상기 제2 보조배선의 일단이 상기 중심배선과 접하는 제3 접합부 및 상기 제2 보조배선의 타단이 상기 중심배선과 접하는 제4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제4 접합부는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배선들 각각은, 상기 중심배선을 기준으로 타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보조배선과 최인접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보조배선, 상기 제3 보조배선의 일단이 상기 중심배선과 접하는 제5 접합부, 상기 제3 보조배선의 타단이 상기 중심배선과 접하는 제6 접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접합부는 상기 제1 접합부와 상기 제2 접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접합부와 상기 제5 접합부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상기 제1 보조배선 및 상기 제2 보조배선 각각과 상기 중심배선의 적어도 일부가 이루는 형상은 사다리꼴인,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배선은 상기 중심배선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한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의 일단과 상기 중심배선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직선부의 타단과 상기 중심배선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부는 상기 중심배선과 평행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각각 상기 제1 직선부와 둔각을 이루고, 상기 중심배선과 30도 내지 60도 사이의 예각을 이루도록 비스듬히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배선은 상기 중심배선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한 제2 직선부, 상기 제2 직선부의 일단과 상기 중심배선을 연결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2 직선부의 타단과 상기 중심배선을 연결하는 제4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직선부는 상기 중심배선과 평행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4 연결부는 평행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제3 연결부는 평행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배선은 상기 벤딩축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배선부인,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벤딩영역을 갖고,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영역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벤딩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 벤딩축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은 직선 형태를 갖는 제1 중심배선, 상기 제1 중심배선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중심배선 및 상기 제1 중심배선과 상기 제2 중심배선을 사선으로 연결하는 제1 브릿지배선을 포함하는, 배선부;
    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상기 제1 브릿지배선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중심배선과 상기 제2 중심배선을 사선으로 연결하는 제2 브릿지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릿지배선과 상기 제2 브릿지배선은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직선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중심배선의 타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 중심배선, 상기 제1 중심배선과 상기 제3 중심배선을 사선으로 연결하는 제3 브릿지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브릿지배선은 상기 제1 브릿지배선 및 상기 제2 브릿지배선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상기 제1 브릿지배선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중심배선과 상기 제2 중심배선을 사선으로 연결하는 제2 브릿지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릿지배선과 상기 제2 브릿지배선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직선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중심배선의 타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 중심배선, 상기 제1 중심배선과 상기 제3 중심배선을 사선으로 연결하는 제3 브릿지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브릿지배선은 상기 제1 브릿지배선 및 상기 제2 브릿지배선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상기 제1 중심배선과 상기 제3 중심배선을 사선으로 연결하며상기 제3 연결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브릿지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릿지배선은 상기 제3 브릿지배선과 상기 제4 브릿지배선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심배선 및 상기 제2 중심배선은 상기 벤딩축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배선부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050680A 2018-05-02 2018-05-02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52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680A KR102652997B1 (ko) 2018-05-02 2018-05-02 디스플레이 장치
US16/398,631 US11043548B2 (en) 2018-05-02 2019-04-30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7/329,055 US11716884B2 (en) 2018-05-02 2021-05-24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680A KR102652997B1 (ko) 2018-05-02 2018-05-02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958A true KR20190126958A (ko) 2019-11-13
KR102652997B1 KR102652997B1 (ko) 2024-04-01

Family

ID=6838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680A KR102652997B1 (ko) 2018-05-02 2018-05-02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1043548B2 (ko)
KR (1) KR102652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9536B2 (en) 2018-07-18 2020-06-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116B1 (ko) * 2018-10-10 2023-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623A (ko) * 2004-10-26 2006-05-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 및 그것을 채용한 표시 장치
US9276055B1 (en) * 2014-08-31 2016-03-0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micro cover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170054436A (ko) * 2014-10-10 2017-05-17 애플 인크. 가요성 기판을 위한 신호 트레이스 패턴
KR20170063606A (ko) * 2014-09-30 2017-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103048A (ko) * 2016-03-02 2017-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14040A (ko) * 2016-03-31 2017-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7882B2 (en) * 2015-09-25 2018-04-17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robust flexible displays
TWI792916B (zh) 2016-06-24 2023-02-1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電子裝置
KR102622089B1 (ko) * 2016-12-19 2024-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9003142A (ja) * 2017-06-19 2019-01-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623A (ko) * 2004-10-26 2006-05-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 및 그것을 채용한 표시 장치
US9276055B1 (en) * 2014-08-31 2016-03-0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micro cover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170063606A (ko) * 2014-09-30 2017-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054436A (ko) * 2014-10-10 2017-05-17 애플 인크. 가요성 기판을 위한 신호 트레이스 패턴
KR20170103048A (ko) * 2016-03-02 2017-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14040A (ko) * 2016-03-31 2017-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9536B2 (en) 2018-07-18 2020-06-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80665A1 (en) 2021-09-09
KR102652997B1 (ko) 2024-04-01
US11043548B2 (en) 2021-06-22
US20190341441A1 (en) 2019-11-07
US11716884B2 (en)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4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7942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33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605693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 bending area with differently shaped wirings
KR102552266B1 (ko) 표시 장치
KR1025629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312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60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283574B2 (en) Display apparatus with bending area capable of minimizing manufacturing defects
KR10269680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706959B2 (en) Testing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935903B2 (en) Display apparatus
KR10249188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55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716884B2 (en)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272117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40237436A9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inspecting defects of the same
KR2024015517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5222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84393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