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628A - 종패 부착용 식생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어초 - Google Patents
종패 부착용 식생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어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26628A KR20190126628A KR1020180050775A KR20180050775A KR20190126628A KR 20190126628 A KR20190126628 A KR 20190126628A KR 1020180050775 A KR1020180050775 A KR 1020180050775A KR 20180050775 A KR20180050775 A KR 20180050775A KR 20190126628 A KR20190126628 A KR 201901266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getation
- cage
- artificial reef
- hole
- spores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1464 adher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195 solubl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28 prem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72 pisci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WYNVVGOOAEACU-UHFFFAOYSA-N Fe2+ Chemical compound [Fe+2] CWYNVVGOOAEAC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70 Theobroma caca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240602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43 imp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3—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assembled of compon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 Y02A40/82—
-
- Y02A40/83—
-
- Y02A40/8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생물들의 생활사에 최적화된 서식처를 제공하기 위한 종패 부착용 식생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써, 각종 해양생물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개구 구조로 제작된 케이지부와, 부착성 해양생물들이 안착 가능하도록 서식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지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식생부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어류 등과 같은 이동성 해양생물들의 번식 또는 안식할 수 있는 장소가 제공될 뿐만 아니라, 해조류나 패류 등과 같은 부착성 생물들이 생장할 수 있는 안착 장소가 제공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저로 투하되어 수중에 패류(종패), 해조류 등과 같은 부착성 해양생물을 공급하고 각종 해양 생물들에게 서식처를 제공하기 위한 종패 부착용 식생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어초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에는 어업자원의 고갈과 각 국의 어업자원의 무기화에 따른 어업행정의 결과로 인하여 자연산 어업보다는 양식 어업이 활성화를 띄고 있다.
이러한 양식 어업 상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양식 사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연안 지역에 해조류, 패류, 어류 등과 같은 각종 해양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구조물인 인공어초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진행중이다.
이러한 인공어초에 해양 생물들이 자연스럽게 서식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을 요하므로, 인공어초는 장시간 해수면에 위치할 수 밖에 없어 부식, 해수압 및 부력 등에 의한 손상을 입지 않아야 한다.
또한, 인공어초는 양식 대상으로 하는 어종의 주식인 해조류 등의 생활사에 최적화된 구조로 설계되어야 해조류 증가에 의한 어종 양식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제 해결의 일환으로, 선행하는 공개실용실안공보 제 1999-0021897 호 에서는, 주철주물에 알루미늄, 크롬 등을 첨가하여 내부식성 및 내산성을 증가시킨 주철주물재 인공어초에 관해 기술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의할 시 인공어초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나, 상기 선행문헌에는 양식 대상인 해양생물들의 생활사에 최적화된 구체적인 구조가 개시되어 있지 않아 양식 등 효율의 향상을 기대하기 힘든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류(종패), 해조류 등과 같은 부착성 해양생물들의 생활사에 최적화된 구조로 형성되어 이를 주식으로 하는 어종들이 그 부근에 서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해양 생태계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종패 부착용 식생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어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공어초는, 이동성 해양생물들의 서식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지부 및 부착성 해양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도록 서식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지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식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공어초는, 각각 상기 식생부의 일단과 타단을 수용하고 각기 상기 케이지부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연결되는 한 쌍의 홀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생부는, 내부에 부착성 해양생물의 포자 또는 종패를 수용한 채 상기 서식공의 내측에 마련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서식공을 차폐하는 마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생부는, 투수성 소재로 제작되고, 상기 수용부재 또는 상기 마개부재는, 용해성 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마개부재보다 소정 더 높은 용해도를 지닌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에 의한 종패 부착용 식생부는, 이동성 해양생물들의 서식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지부의 내측에 마련되고, 부착성 해양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도록 서식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공어초는, 이동성 해양생물들이 출입 및 서식할 수 있는 케이지부 및 부착성 생물들이 안착할 수 있도록 서식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지의 내측에 마련되는 식생부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어류 등과 같은 이동성 해양생물들의 번식 또는 안식할 수 있는 장소가 제공될 뿐만 아니라, 해조류나 패류 등과 같은 부착성 생물들이 생장할 수 있는 안착 장소가 제공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인공어초는 상기 식생부의 일단 및 타단과 상기 케이지부 사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케이지부와 식생부를 연결시키는 한 쌍의 홀더부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케이지부와 식생부 사이에 일종의 중간 연결부재가 구비되므로, 이를 통해 케이지부와 식생부간 결합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서식공 내측에는 부착성 해양생물의 포자 또는 종패를 수용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서식공을 차폐하는 마개부재가 마련되며, 이에 따라 상기 포자 등은 상기 수용부재 및 서식공에 의해 외부 해수로부터의 기밀상태가 유지된 채 상기 서식공의 내측에 마련되므로, 상기 포자 등은 부착생장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자랄 때까지 외부 해수의 유동으로부터 차단되어, 이를 통해 포자의 이탈 위험이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식생부는 투수성 소재로 제작되고 상기 수용부재는 마개부재에 비해 고 용해성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식생부로부터 투수된 해수에 의해 수용부재가 용해되는 동안 상기 마개부재는 용해되지 않아 서식공을 차폐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마개부재는 서식공 내측의 포자 등이 충분한 크기로 자라기 전까지 기밀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이를 통해 포자 등의 생착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에 의한 종패 부착용 식생부는, 케이지부의 내측에 마련되고 서식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서식공은 외부로의 노출이 최소화되는 구멍(孔)구조이고, 이는 개방형 구조에 비해 외부 노출 면적이 극히 작아 이에 포자 등이 안착될 시 그 이탈 위험도를 대폭 낮출 수 있어, 이를 통해 부착성 해양생물들의 안착도가 향상되어 그 전체적인 개체수가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인공어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인공어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기둥부 및 카트리지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A-A에서 바라본 카트리지와 기둥부간의 고정 과정을 나타내는 투시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B-B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a에 도시된 C-C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4c에 도시된 B-B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4c에 도시된 C-C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인공어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인공어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한 쌍의 홀더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한 쌍의 홀더부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식생부, 수용부재 및 마개부재의 결합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A 부분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수용부재 및 마개부재의 용해에 따른 식생부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14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재(700)가 해수에 의해 용해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인공어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기둥부 및 카트리지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A-A에서 바라본 카트리지와 기둥부간의 고정 과정을 나타내는 투시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B-B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a에 도시된 C-C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4c에 도시된 B-B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4c에 도시된 C-C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인공어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인공어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한 쌍의 홀더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한 쌍의 홀더부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식생부, 수용부재 및 마개부재의 결합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A 부분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수용부재 및 마개부재의 용해에 따른 식생부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14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재(700)가 해수에 의해 용해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형 표현들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복수형도 포함한다 할 것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종패 부착용 식생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어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공어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인공어초의 구성들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공어초는 크게 케이지부(100) 및 기둥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케이지부(100)는 이동성 해양생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측면에 개구 구조가 형성되고, 내측에 이들의 서식공간인 중공 구조가 형성된 개방형 구조체이다.
이때, 도 1 등 에는 상기 케이지부(100)가 일종의 육면체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 례일 뿐 상기 케이지부(100)의 전체적인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케이지부(100)의 내측에는 중공 구조로 형성되는 기둥부(200)가 마련되며, 상기 기둥부(200)에는 패류, 해조류 등과 같은 부착성 해양생물들이 안착할 수 있도록 내측의 중공 구조와 연통되는 서식공(210)이 개구 구조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도 1 등 에는 상기 기둥부(200)가 원통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 례일 뿐 상기 기둥부(200)의 전체적인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게이지부(100)와 상기 기둥부(200)의 경우, 부력에 의해 해수면으로 떠오르지 않도록 콘크리트 등과 같이 비중이 높은 소재로 제작된 중량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은 일체로 제작된다.
상술한 내용들을 종합하자면, 상기 인공어초는 케이지부(100) 내부 중공 구조를 통해 이동성 해양생물들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과, 서식공(210)과 같이 부착성 해양생물들이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구조체이다.
이상으로 상기 인공어초에 대해 개략적인 설명을 하였으며, 후술하여 상기 인공어초의 다른 구성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해조류의 경우 적절한 해양환경을 가진 곳에 착상한 채 일생의 대부분을 보내는 부착성을 가진 개체들로써, 이들의 부착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기둥부(200)는 그물구조로 형성되어 서식공(210)에 마련되는 제 1 그물(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조류들은 상기 그물구조의 사이사이를 감싸며 생장할 수 있게 되므로, 단순히 평면 구조 등에 부착된 것에 비해 더욱 안정적으로 착상할 수 있게 되어 그 부착 안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그물(220)은 직조 또는 연사된 로프와 같은 종류로 제작되거나, 와이어와 같은 종류로 제작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제 1 그물(220)의 경우 케이지부(100) 및 기둥 부(200)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이에 삽입한 채 그대로 굳힘으로써 서식공(210)에 고정되게 하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해조류의 개체가 부족한 지역에 상기 인공어초를 침하할 경우에는 해조류가 서식공(210)에 자연적으로 안착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육상에서 미리 해조류를 착상시킨 후에 이를 수중으로 투하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 1 그물(220)이 설치된 상기 인공어초 전체를 대상으로 해조류의 포자를 인공채묘 하거나, 작업자가 인공어초 내측으로 들어가서 제 1 그물(220)에 해조류를 감아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분리 가능한 별도의 수단에 해조류의 포자를 인공채묘하거나 이를 감아서 부착한 후 상기 인공어초에 부착할 필요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조류의 부착도를 높이기 위한 그물구조가 형성되는 카트리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둥부(200)의 내측에 상기 카트리지(3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기둥부(200)과 케이지부(100)의 접촉면에 개구 구조를 형성시킨다.
상세하게는, 기둥부(200)의 상부에는 서식공(210)과 연통하는 제 1 삽입공(230)을 개구 구조로 형성시키고, 상기 케이지부(100)에는 상기 제 1 삽입공(230)과 연통하는 구조인 제 2 삽입공(110)을 형성시킨다.
이를 통해, 카트리지(300)만을 별도로 외부의 수조 등에 수용하여 해조류의 포자를 인공채묘 시키거나, 또는 이에 해조류를 감은 후 상기 제 1 삽입공(230)과 제 2 삽입공(110)을 통해 기둥부(200)의 내측에 삽입할 수 있다.
도 3은 기둥과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이를 더 참조하여 상기 카트리지(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300)는 제 1 그물(220)과 마찬가지로 직조 또는 연사된 로프와 같은 종류로 제작되거나, 와이어와 같은 종류로 제작되어 그물구조로 형성되는 제 2 그물(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그물(330)만으로 구성된 카트리지(300)를 기둥부(200)의 내측에 삽입하려는 경우 줄의 꼬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300)는 일종의 격자 구조로 형성되는 격자체(320)를 더 포함하고, 제 2 그물(330)은 상기 격자체(320)의 내측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제 2 그물(330)은 상기 격자체(320)의 형태 고정에 의해 항상 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기둥부(200) 내측에 삽입할 시 줄의 꼬임 등이 방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카트리지(300)를 기둥부(200)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수중에 침하시키는 경우, 부력에 의하여 카트리지(300)가 제 1 삽입공(230) 및 제 2 삽입공(110)(이하‘삽입공들’이라 함)을 통해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300)는 일종의 중량체로써 상기 격자체(320)의 하부에 연결되는 무게추기능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카트리지(300)에 발생하는 부력을 무게추기능부(310)의 자중이 상쇄함으로써, 부력에 의한 이탈 방지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무게추기능부(310)는 부력을 상쇄하도록 콘크리트 등과 같이 비중이 높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다시 참조할 시, 기둥부(200)에는 하부에 소정의 깊이와 단면 형상을 갖는 체결홈(240)이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홈(240)은 상기 무게추기능부(310)의 하부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 제 1 체결홈(2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카트리지(300)는 하부가 상기 제 1 체결홈(241)에 밀착 삽입되므로 그 고정력이 더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때 무게추기능부(310)의 상부는 밀착고정 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부력 작용에 의해 카트리지(300)가 이탈될 위험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체결홈(241)은 내측에 상기 격자판(320)의 폭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의 형상이 중첩되어 함몰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240)은 무게추기능부(310)의 길이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체결홈(241)부터 연장되는 제 2 체결홈(242)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체결홈(240)의 구성에 카트리지(300)를 삽입하였을 시, 무게추기능부(310) 부분은 제 2 체결홈(242)의 내측에서 그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되며, 이에 대해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A-A에서 바라본 카트리지와 기둥의 고정과정을 나타내는 투시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B-B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a에 도시된 C-C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4c에 도시된 B-B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b는 도 4c에 도시된 C-C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며, 이하 도 4a 내지 도 6b를 더 참조하여 체결홈(240)에 의한 카트리지(300)의 고정원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a, 도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기능부(310) 전체를 체결홈(240)에 삽입한다.
이 경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기능부(310)는 하부면이 제 2 체결홈(242)의 하부측 기둥부(200)면과 접촉하고, 양 측면은 제 1 체결홈(241)과 수직으로 연통하는 제 2 체결홈(242)의 테두리측 기둥부(200)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무게추기능부(310)의 상부면에는 어떠한 접촉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도 4b 및 도 4c의 순서와 같이, 카트리지(300)를 소정 회전시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기능부(310)의 양 측면은 제 1 체결홈(241)과 수직으로 연통하는 제 2 체결홈(242)의 테두리측 기둥부(200)면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대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기능부(310)의 양 측면 및 양 단의 상부면은 제 1 체결홈(241)에서의 원 구조와 제 2 체결홈(242)에서의 원 구조 간의 직경차이로 인해 형성되는 기둥부(200)면과 접촉하게 된다.
즉, 카트리지(300)를 상기 체결홈(240)에 삽입한 후 이를 소정 회전시키면 무게추기능부(310)의 하부면, 양 측면 및 양 단의 상부면이 제 2 체결홈(242)의 내측 기둥부(200)면에 접촉되며 카트리지(300) 전체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공어초에 대한 설명을 마쳤으며, 다음으로 도 7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공어초 및 본 발명의 다른 사상에 의한 식생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어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공어초는 케이지부(100) 및 식생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지부(100)는 수중에 침하되는 상기 인공어초의 전체적인 형태를 이루는 구조체이며, 이는 소정의 중량을 지니는 중량체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인공어초가 수중에 침하된 경우 부력에 의해 부상하지 않아야 하므로, 이는 콘크리트, 철금속 등과 같이 소정의 비중을 지닌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케이지부(100)는 내부에 공동형 구조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공동형 구조와 외부를 연통하는 개구 구조가 형성되는 일종의 개방형 구조체이다.
상기 공동형 구조의 경우 충분한 체적공간을 구비한 것으로써, 이러한 공간성 확보에 의해 어류 등은 상기 공동형 구조 내측에서 서식을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영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와 공동형 구조를 연통함으로써, 외부의 어류 등이 상기 공동형 구조로 출입할 수 있게 하는 접근 용이성을 제공한다.
즉, 상기 개방형 구조를 통해 어류 등은 접근이 보장되는 충분한 서식공(410)간을 제공받게 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인공어초를 중심으로 이동성 해양물들의 생태계가 활성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때, 도면상에는 상기 케이지부(100)가 육면체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례일 뿐, 상기 케이지부(100)의 형상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이상으로 어류 등과 같은 이동성 해양생물들의 생활사에 최적화된 구성인 케이지부(100)에 대한 설명을 마쳤으며, 다음으로 이와 반대되는 부착성 해양생물들을 위한 구성인 식생부(4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해조류, 패류(종패) 등과 같은 부착성 해양생물(이하‘해조류 등’이라 함)들은 안착한 장소에서 이탈되는 경우 각종 위험에 노출될 우려가 있어, 이들은 포자 또는 종패 시기에 이탈 위험성이 낮은 최적의 안착장소를 찾으려는 습성이 있다.
그러나, 케이지부(100) 내측의 상기 공동형 구조는 그 개방 면적이 상당하여 해조류 등이 부착생장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환경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착성 해양생물들이 안착할 수 있도록 서식공(410)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지부(100)의 내측에 마련되는 식생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서식공(410)은 일종의 관통홈 구조를 갖고 상기 식생부(400)에 형성되므로, 이에 따라 외부에 노출된 면적이 최소화되어 이에 안착된 해조류 등이 이탈될 위험 또한 최소화된다.
따라서, 상술한 서식공(410)의 구조를 통해 상기 식생부(400) 근방으로 부착성 해양생물 개체수가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무엇보다도, 상술한 바와 같이 어류 등은 상술한 개방형 구조를 통해 케이지 내측으로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어류 등은 식생부(400)를 통해 생장하는 해조류 등을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해조류 등을 먹이로 삼는 어류 등은 상기 인공어초 주변으로 군집하게 되므로, 상기 인공어초 주변에는 일종의 먹이사슬 생태계가 형성된다.
특히, 어류 양식을 수행하는 구간에 상기 인공어초 또는 식생부(400)를 투하하면, 상술한 먹이사슬 구도 형성에 의하여 양식 대상인 어류 등의 영양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양식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즉, 먹이사슬의 최하층인 해조류 등이 서식공(410)에 의해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함을 전제로 함으로써, 먹이사슬의 상위계층들이 순차적으로 상기 인공어초 부근으로 군집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케이지부(100) 및 식생부(400)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을 마쳤다.
도 9는 한 쌍의 홀더부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한 쌍의 홀더부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A부분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9, 도 10 및 도 12를 더 참조하여 상기 홀더부(500)에 의한 케이지부(100)와 식생부(400)간의 결합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홀더부(500)는 각각 식생부(400)의 일단과 타단을 수용하고 각기 상기 케이지부(10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연결됨으로써, 식생부(400)와 케이지부(100)를 상호 결합시킨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홀더부(500)는 홀더몸체(510) 및 상기 홀더몸체(510)로부터 연장형성되는 홀더돌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돌부(520)는 식생부(400)의 일단 또는 타단을 수용하도록 상기 식생부(400)의 일단 또는 타단의 형상에 대응되는 중공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중공구조에 따르는 경우, 식생부(400)의 양 단은 그 단면 뿐만아니라, 상기 중공구조의 깊이에 대응되는 둘레면까지 상기 중공구조의 내측에 삽입되어 이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식생부(400)는 그 단면부 뿐만 아니라 그 둘레면 또한 상기 중공구조에 삽입된 채 접촉지지되므로, 이러한 접촉면적의 증가를 통해 이와 비례관계에 있는 지지고정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술한 홀더돌부(520)와 연결된 홀더몸체(510)가 케이지부(100)에 연결됨으로써, 이러한 한 쌍의 홀더부(500)의 연결부재 기능 수행 하에 식생부(400)는 케이지(100)의 내측에서 위치고정 되는 것이다.
덧붙여, 도 8 등에는 상기 한 쌍의 홀더부(500) 및 케이지부(100)가 볼트(B) 및 너트(N)에 의해 볼팅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홀더부(500)와 케이지부(100)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일 예시일 뿐이며, 양 구성간의 결합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양 구성은 접착수단에 의해 결합되거나, 일체형으로 양생 또는 형성되는 등 다양한 수단 또는 방법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부(500)와 케이지부(100)가 볼팅결합 되는 경우에 있어서, 도 8 및 도 9의 (a)에는 홀더몸체(510)가 그 상단면이 홀더돌부(520)의 상단면 전부를 수용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6개의 볼트(B)에 의해 볼팅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는 경우, 4개 이상의 볼팅에 의해 그 결합도가 향상되나, 이러한 복수개의 볼팅을 위해서는 홀더몸체(510)는 다소 큰 면적을 갖고 제작되어야 하므로, 공간활용도가 떨어져 소형 인공어초 제작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한 다른 예시로써,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몸체(510)는 그 폭 또는 길이가 양 단부에만 각각 하나씩 볼팅가능한 크기를 갖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르는 경우, 상기 홀더몸체(510)는 2개의 볼팅만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그 전체적인 크기는 도 9의 (a)에 따르는 것보다 상당히 축소되므로, 소형 인공어초를 제작하는 경우 그 공간활용도를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내용들을 종합하면, 상기 홀더몸체(510)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인공어초의 전체적인 크기, 각 축별 항복점과 같은 제작 소재의 특성 등 고려 가능한 모든 변수들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으로, 한 쌍의 홀더부(500)에 대한 설명을 마쳤으며, 다음으로 식생부, 수용부재 및 마개부재의 결합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인 도 11을 더 참조하여, 수용부재(600) 및 마개부재(700)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생부(400)에는 관통홈 구조를 갖는 서식공(410)이 형성되며, 이는 수중의 해조류 포자 등이 자연 안착할 수 있도록 안출된 구성이다.
그러나, 오염 등에 의해 해조류 등의 포자수가 부족한 지역에는 상술한 자연 안착 빈도가 낮을 수 밖에 없어, 서식공(410)에 상기 포자들을 미리 안착시킨 후 이를 해당 지역에 침하시킬 필요가 있다.
이때, 단순히 상기 포자들을 서식공(410) 내측에 수용하는 것만으로는 그 기밀 상태를 확보할 수 없어, 성체가 되기 전 포자 등은 해수 유동에 의해 상기 서식공(410)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식공(410)의 내측에 마련되는 수용부재(600) 및 상기 서식공(410)을 차폐하는 마개부재(700)를 포함한다.
보다 더 상세하게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재(600)는 내부에 부착성 해양생물들의 포자 또는 종패를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구조로 형성된 채 서식공(410)의 내측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마개부재(700)가 상기 서식공(410)을 차폐함으로써, 이로 인해 포자 등은 서식공(410) 외부로부터 기밀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그 이탈 위험도가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러나, 포자 등이 지속적으로 기밀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해수 등으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을 수 없어 성체로 자랄 수 없게 된다.
그리고, 기밀상태에 의하여 포자 등은 서식공(410) 외부로 노출될 수 없으므로, 서식공(410) 외부의 어류 등은 이를 섭취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기밀상태를 유지한 채 포자 등에 해수를 공급하고, 포자 등이 소정 크기 이상 자란 후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식생부(400)는 투수성 소재로 제작되고, 상기 수용부재(600) 또는 마개부재(700)는 용해성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부재 및 마개부재의 용해에 따른 식생부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단면도인 도 13a 내지 도 13d를 더 참조하여 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재(600)는 식생부의 내측에 투수된 해수인 용매 해수(W)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식생부(400)는 코코아 섬유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소재의 변경에 대응하는 만큼 투수성이 증대되어, 수용부재(600)의 용해 과정이 더욱 촉진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두번째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3a의 상태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뒤에는 상기 수용부재(600)는 소정 용해되어, 식생부(400)의 내측에는 상기 용매 해수(W)가 수용부재(600)의 내측으로 침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용부재(600) 내측의 포자(S)는 상기 용매 해수(W)로부터의 영양분을 공급받게 된다.
이때, 포자(S)가 성체가 되기 전에 마개부재(700)가 수용부재(600)보다 먼저 용해되는 경우, 상기 포자는 서식공(410) 외측으로 이탈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재(600)는 마개부재(700)에 비해 소정 더 높은 용해도를 지닌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용매 해수(W)에 의해 수용부재(600)가 용해되는 동안 상기 마개부재(700)는 완전 용해되지 않아 그 기밀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그리하여, 포자(S)는 상기 용매 해수(W)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아 성체가 되기 전까지 마개부재(700)에 의한 이탈방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수용부재(600) 및 마개부재(700) 각각의 제작에 사용되는 용해성 소재들은 그 용해도 차이가 포자(S)의 종별 생장주기에 대응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세하게는, 수용부재(600)가 용해되어 포자(S)에 상기 용매 해수(W)를 공급하기 시작하는 시점과, 마개부재(700)가 용해되어 서식공(410)을 개방하는 시점 사이에 포자(S)가 완전 성숙할 수 있도록, 그에 대응되는 소재들이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세 번째로, 도 13c 및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3b의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 마개부재(700)가 용해됨으로써, 상기 서식공(410)은 개방되어 그 내측의 해조류는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마개부재(700) 중 서식공(41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구간은, 그 일부만 용해되더라도 서식공(410)과의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되어, 마개부재(700) 전체가 예상치 못한 시기에 이탈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식공(410) 또한 조기 이탈되어, 그 내측에 수용된 미성숙 상태의 포자(S)도 이탈되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개부재(700)는, 비용해성 소재로 제작되고 서식공(41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구간에 중공구조로 형성되는 마개축(7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개부재(700)는, 상기 수용부재(600)보다 소정 더 낮은 용해도를 지닌 용해성 소재로 제작되고 상기 서식공(410)을 차폐하도록 상기 마개축(710)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마개헤드(720)를 더 포함한다.
이를 통해, 마개부재(700) 중 용해가 발생하는 부분은 마개헤드(720)만으로 한정되므로, 마개부재(700)의 용해에 따른 서식공(410) 개방 시기 설정시 고려해야 할 변수 범위가 상당히 감소하게 된다.
즉, 서식공(410)이 개방되는 시기는 마개헤드(720)가 완전 용해되는 시기와 근사하게 되어, 서식공(410)의 개방 시기를 결정할 시 그 오차 범위가 상당히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서식공(410)이 조기 이탈될 위험성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므로, 그 내측의 미성숙 포자(S) 또한 조기 이탈될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져 포자(S)의 생착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덧붙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재(700)가 해수에 의해 용해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인 도 14a 내지 도 14c를 더 참조하여, 마개부재(700)의 바람직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마개헤드(720)는, 비용해성 소재로 제작되고 상기 마개축(710)의 상기 중공구조와 마주하며 형성되는 제 1 헤드(72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마개헤드(720)는 용해성 소재로 제작되고 상기 서식공(410)을 차폐하도록 상기 제 1 헤드(721)의 둘레를 따라 연장형성되는 제 2 헤드(7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헤드(721)는 상기 수용부재(600)보다 소정 더 낮은 용해도를 지닌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도 14a 내지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부재(700)는 상기 제 1 헤드(721)의 양 단면부만이 상기 용매 해수(W)와 접촉하게되어, 그 용해 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서식공(410)의 개방 시기 결정시 상기 제 1 헤드(721)의 용해도 및 이의 양 단면부 면적만 고려하면 되므로, 이러한 고려 변수의 급격한 감소에 따라 그 오차 범위 또한 더욱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서식공의 조기이탈 위험성은 급격히 감소하게 되어, 그 내측에 수용된 미성숙 상태의 포자가 이탈될 위험성이 더욱 낮아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덧붙여, 상기 사항들은 서식공(410)의 내측에 해조류의 포자 등이 수용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이와 연관되는 구성들에 대해 설명을 진행한 것이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예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서식공(410)의 내측에는 양식, 채집, 인공채묘 등에 의해 성체로 자란 해조류, 패류 등과 같이, 미성숙체 뿐만 아니라 성숙체 상태인 부착성 해양생물들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a 이하에서는 서식공(410)의 내측에 해조류의 포자가 수용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수용부재(600) 및 마개부재(700)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서식공(410)의 내측에는 패류의 종패가 수용되어 상술한 수용부재(600) 및 마개부재(700)의 특징에 따라 성장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예시들이 도출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공어초에 대한 설명을 마쳤으며, 본 발명의 다른 사상에 의한 종패 부착용 식생부는 상기 인공어초의 설명에 기재된 식생부(400)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패 부착용 식생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어초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 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000 :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인공어초
2000 :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인공어초
100 : 케이지부
110 : 제 2 삽입공
200 : 기둥부
210: 서식공
220 : 제 1 그물
230 : 제 1 삽입공
240 : 체결홈
241 : 제 1 체결홈
242 : 제 2 체결홈
300 : 카트리지
310 : 무게추기능부
320 : 격자판
330 : 제 2 그물
400 : 식생부
410 : 서식공
500 : 한 쌍의 홀더부
510 : 홀더몸체
520 : 홀더돌부
600 : 수용부재
700 : 마개부재
710 : 마개축
720 : 마개헤드
721 : 제 1 헤드
722 : 제 2 헤드
B : 볼트
N : 너트
S : 포자
2000 :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인공어초
100 : 케이지부
110 : 제 2 삽입공
200 : 기둥부
210: 서식공
220 : 제 1 그물
230 : 제 1 삽입공
240 : 체결홈
241 : 제 1 체결홈
242 : 제 2 체결홈
300 : 카트리지
310 : 무게추기능부
320 : 격자판
330 : 제 2 그물
400 : 식생부
410 : 서식공
500 : 한 쌍의 홀더부
510 : 홀더몸체
520 : 홀더돌부
600 : 수용부재
700 : 마개부재
710 : 마개축
720 : 마개헤드
721 : 제 1 헤드
722 : 제 2 헤드
B : 볼트
N : 너트
S : 포자
Claims (5)
- 이동성 해양생물들의 서식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지부; 및
부착성 해양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도록 서식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지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식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어초는,
각각 상기 식생부의 일단과 타단을 수용하고 각기 상기 케이지부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연결되는 한 쌍의 홀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부는,
내부에 부착성 해양생물의 포자 또는 종패를 수용한 채 상기 서식공의 내측에 마련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서식공을 차폐하는 마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부는,
투수성 소재로 제작되고,
상기 수용부재 또는 상기 마개부재는,
용해성 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마개부재보다 소정 더 높은 용해도를 지닌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 이동성 해양생물들의 서식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지부의 내측에 마련되고, 부착성 해양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도록 서식공이 형성되는 종패 부착용 식생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0775A KR102124459B1 (ko) | 2018-05-02 | 2018-05-02 | 종패 부착용 식생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어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0775A KR102124459B1 (ko) | 2018-05-02 | 2018-05-02 | 종패 부착용 식생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어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6628A true KR20190126628A (ko) | 2019-11-12 |
KR102124459B1 KR102124459B1 (ko) | 2020-06-23 |
Family
ID=6857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0775A KR102124459B1 (ko) | 2018-05-02 | 2018-05-02 | 종패 부착용 식생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어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445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6631Y1 (ko) * | 2021-11-03 | 2023-03-17 | 국립해양생물자원관 | 해양식물 배양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배양키트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1897A (ko) | 1995-06-09 | 1999-03-25 | 루이도 베르나소코니 | 경구용 고형 제형 |
KR200204959Y1 (ko) * | 2000-05-22 | 2000-12-01 | 김청호 | 쉘타가 부착된 인공어초 |
JP2007209262A (ja) * | 2006-02-09 | 2007-08-23 | Tsuda Hiroya | 人工魚礁 |
KR100761009B1 (ko) * | 2006-07-05 | 2007-10-04 | (주) 선재종합건설 | 유선형 격판을 구비하는 사각형 인공어초 |
KR20100036837A (ko) * | 2008-09-30 | 2010-04-08 | 경상남도 | 친환경 굴패각 해중림초 |
KR100962664B1 (ko) * | 2009-07-07 | 2010-06-11 | 주식회사 태화건설 | 어류용 인공어초 및 그 제조 방법 |
KR20160026313A (ko) * | 2014-08-29 | 2016-03-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데이터 암호화 또는 복호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KR20160052907A (ko) * | 2014-10-29 | 2016-05-13 |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어망 |
JP2016096802A (ja) * | 2014-11-26 | 2016-05-30 | 宇部樹脂加工株式会社 | 人工浮き魚礁 |
-
2018
- 2018-05-02 KR KR1020180050775A patent/KR1021244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1897A (ko) | 1995-06-09 | 1999-03-25 | 루이도 베르나소코니 | 경구용 고형 제형 |
KR200204959Y1 (ko) * | 2000-05-22 | 2000-12-01 | 김청호 | 쉘타가 부착된 인공어초 |
JP2007209262A (ja) * | 2006-02-09 | 2007-08-23 | Tsuda Hiroya | 人工魚礁 |
KR100761009B1 (ko) * | 2006-07-05 | 2007-10-04 | (주) 선재종합건설 | 유선형 격판을 구비하는 사각형 인공어초 |
KR20100036837A (ko) * | 2008-09-30 | 2010-04-08 | 경상남도 | 친환경 굴패각 해중림초 |
KR100962664B1 (ko) * | 2009-07-07 | 2010-06-11 | 주식회사 태화건설 | 어류용 인공어초 및 그 제조 방법 |
KR20160026313A (ko) * | 2014-08-29 | 2016-03-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데이터 암호화 또는 복호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KR20160052907A (ko) * | 2014-10-29 | 2016-05-13 |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어망 |
JP2016096802A (ja) * | 2014-11-26 | 2016-05-30 | 宇部樹脂加工株式会社 | 人工浮き魚礁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6631Y1 (ko) * | 2021-11-03 | 2023-03-17 | 국립해양생물자원관 | 해양식물 배양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배양키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4459B1 (ko) | 2020-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3836B1 (ko) |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 |
KR200195063Y1 (ko) | 종묘부착형 인공해조초 | |
CN115226664A (zh) | 一种基于疏浚土固化的生态鱼礁结构 | |
CN102792904A (zh) | 三曲面海藻林鱼礁 | |
KR101724818B1 (ko) | 홍해삼의 중간육성틀을 이용한 홍해삼의 중간육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종묘 방류방법 | |
KR101806086B1 (ko) |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방법 | |
KR20190126628A (ko) | 종패 부착용 식생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어초 | |
KR102487938B1 (ko) | 해조류 어초 이식용 고정장치 | |
KR102487941B1 (ko) | 해조류 이식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 |
JP2007082466A (ja) | 栽培養殖漁業用魚礁 | |
KR200204959Y1 (ko) | 쉘타가 부착된 인공어초 | |
JP2010057433A (ja) | 人工魚礁 | |
KR200448974Y1 (ko) | 인공어초용 영양블럭 고정장치 | |
KR20140109524A (ko) | 해삼 또는 전복 양식용 패널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1252235B1 (ko) | 돌기형 인공 어초 | |
KR20150029107A (ko) |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 |
KR102200440B1 (ko) | 해상용 해삼 양식장치 | |
JPH0415011Y2 (ko) | ||
KR200491524Y1 (ko) | 부침식 가리비 대량 양식장치 | |
KR100866375B1 (ko) | 슬래그 패널형 인공어초 | |
KR100688384B1 (ko) | 해조류 초 | |
KR200477377Y1 (ko) |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 |
KR102003185B1 (ko) | 목재를 이용한 두족류 서식 및 산란장치 | |
KR100494224B1 (ko) | 전복양식을 위한 부표의 연결구조 | |
KR200202807Y1 (ko) | 인공 어패초류 양식블럭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