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288A -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 - Google Patents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288A
KR20190126288A KR1020197019138A KR20197019138A KR20190126288A KR 20190126288 A KR20190126288 A KR 20190126288A KR 1020197019138 A KR1020197019138 A KR 1020197019138A KR 20197019138 A KR20197019138 A KR 20197019138A KR 20190126288 A KR20190126288 A KR 20190126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ell
housing
shell
ridge
ou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틴 아우어
베네딕트 크래머
세바스찬 마이식
토마스 회플링
Original Assignee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126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2Elements optimising image sensor operation, e.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or temperature control by heat transfer or cool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외측 하우징 쉘(912)과 내측 하우징 쉘(911)과 관련된 제조방법을 가지며,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카메라 하우징(7)용 하우징 부품(8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외측 하우징 쉘(912)은 합성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내측 하우징 쉘(911)은 상기 외측 하우징 쉘(912)의 합성 재료보다 열을 더 전도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된다. 상기 외측 하우징 쉘(912)은 상기 외측 하우징 쉘(912) 및 상기 내측 하우징 쉘(911)의 모든 대향하게 놓인 표면 영역들을 통해 상기 내측 하우징 쉘(911)에 각각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
본 발명은 자동차 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 및 관련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자동차의 멀지 않고 더 넓은 주변 환경에서(in the immediate and wider surroundings of a motor vehicle) 움직이거나 움직이지 않는 물체를 식별하도록 자동차 분야에서 수년 동안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방식으로 식별되는 물체의 신호를 보내는 것에 의해, 그리고 그에 따라 자동차를 조종하기 위한 추가적인 자동체결(additional automatic engagement)에 의해 이러한 방식으로 물체와 자동차의 충돌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배경에 대하여, DE 10 2004 034 383 A1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카메라 하우징을 갖는 카메라 모듈의 일예를 개시한다.
카메라 모듈은 일반적으로 광학 및 전자 부품들을 포함한다. 전자 부품들은 작동 중 폐열을 발생시키므로 개별 전자 부품들의 정확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소산되어야 한다. 폐열은 일반적으로 카메라 하우징을 통해 소산된다. 카메라 하우징들은 무게, 용이한 생산, 비용 및 부식에 대한 효과적인 내성과 같은 이유로 폴리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와 같은 합성 재료로 제조된다.
전자 시스템에서 생성된 폐열은 공간적으로 제한된 영역에서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합성 재료로 제조된 카메라 하우징의 제한된 영역만을 가열한다. 또한, 종래의 합성 재료, 즉 예로써 금속, 흑연 또는 탄소 섬유를 가지는 전기 전도성 충전제(electrically-conductive fillers)를 가지는 합성 재료를 제외한 합성 재료는 특히 열을 전도할 수 없다. 하우징의 공간적으로 제한된 영역에서의 이러한 열 축적은 불리하게 카메라 모듈의 정확한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 모듈의 전자 시스템의 내부에서 생성된 폐열을 카메라 모듈의 외부 영역 내로 소산하는 것을 개선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지는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에 의해 그리고 청구항 15의 특징을 가지는 관련된 제조 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으로서, 외측 하우징 쉘(outer-side housing shell)과 내측 하우징 쉘(inner-side housing shell)을 가지고, 외측 하우징 쉘은 상기 합성 재료로 제조되고 내측 하우징 쉘은 외측 하우징 쉘의 합성 재료보다 열을 더 전도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되며, 외측 하우징 쉘은 외측 하우징 쉘 및 내측 하우징 쉘의 모든 대향하게 놓인 표면 영역들(opposite-lying surface regions)을 통해 내측 하우징 쉘에 각각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 적어도 2개의 하우징 부품들을 가지며,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카메라 하우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품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부품이다.
-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을 가지는 자동차.
- 하우징 부품의 제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합성 재료로부터 외측 하우징 쉘을 사출 성형하는 단계, 외측 하우징 쉘의 합성 재료보다 열을 더 전도할 수 있는 재료로 내측 하우징 쉘을 제조하는 단계, 및 외측 하우징 쉘과 내측 하우징 쉘을 함께 가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외측 하우징 쉘은 외측 하우징 쉘과 내측 하우징 쉘의 모든 대향하게 놓인 표면 영역들을 통해 내측 하우징 쉘에 각각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단계.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지식/아이디어는 카메라 하우징의 각각의 하우징 부품이 2개의 하우징 쉘, 즉 합성 재료로 구현된 외측 하우징 쉘과 외측 하우징 쉘의 합성 재료보다 열을 더 전도할 수 있는 재료로 구현된 내측 하우징 쉘을 포함한다는 사실에 있다. 내측 하우징 쉘의 재료는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예컨대 금속 섬유를 가지는 전기 전도성 충전제(electrically-conductive fillers)를 구비한 합성 재료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금속 및 합성 재료인 두 재료들의 특정-재료의 장점들(material specific advantages)이 카메라 하우징의 하우징 부품에 결합된다:
내측 하우징 쉘의 금속 및 그에 따른 전기 전도성 충전제는 합성 재료와 비교하여 명백하게 개선된 열용량을 포함하고 그에 따른 열을 더 전도할 수 있고 명백하게 개선된 EMC 특성을 포함한다. 외측 하우징 쉘의 합성 재료는 명백하게 개선된 내 부식 특성들(anti-corrosion characteristics)을 포함하고 합성 재료로 제조된 카메라 하우징의 하우징 쉘들 또는 추가적인 하우징 부품들에 더 쉽게 연결될 수 있다.
내측 및 외측 하우징 쉘의 대향하게 놓인 표면 영역들이 카메라 하우징의 제한된 영역 위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내부 전자 시스템의 폐열이 직접적으로 편향되므로, 오히려 상기 대향하게 놓인 표면 영역들이 카메라 하우징의 큰 영역 위로 연장되는 경우, 열을 전도하는 금속의 양호한 성능 및 그에 따른 전기 전도성 충전재로 인해 내측 하우징 쉘의 전체 표면 영역 위로 비교적 신속하게 내측 하우징 쉘 상에 발생되는 폐열을 분배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측 하우징 쉘과 외측 하우징 쉘이 본 발명에 따라 모든 대향하게 놓인 표면 영역들을 통해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경우, 내측 하우징 쉘의 전체 표면 영역 위로 신속하게 분배된 폐열은, 따라서 유리하게 외측 하우징 쉘의 마찬가지로 큰 대향하게 놓인 표면 영역에 전달된다. 이러한 경우, 내측 또는 외측 하우징 쉘의 표면 단위 당 내측 하우징 쉘의 단지 하나의 제한된 영역에 의해 원래 흡수된 폐열의 각 일부만이 내측 하우징 쉘로부터 외부 하우징 쉘에 전달된다.
유리한 실시예들 및 추가적인 개발품들은 추가적인 종속항들 및 도면 항목의 도면들을 참조한 설명에서 명백해진다.
위에서 언급한 특징들 및 이하에서 설명될 특징들은 각각 개시된 조합에 사용될뿐만 아니라 오히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조합들 또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내측 하우징 쉘과 외측 하우징 쉘의 대향하게 놓인 표면 영역들이 내측 하우징 쉘의 전체 외부 표면 및 그에 따른 외측 하우징 쉘의 전체 내부 표면 위로 연장될 경우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측 하우징 쉘에 의해 제한된 표면 영역에서 전형적으로 신속하게 흡수되는 폐열이 내측 및 외측 하우징 쉘을 포함하는 하우징 부품의 전체 표면 영역 위로 마찬가지로 신속하게 분배되도록 보장된다.
공기는 각각의 대향하게 놓인 표면 영역들의 영역에서 내측 및 외측 하우징 쉘 사이의 직접 연결로부터 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즉 상기 직접적인 연결은 어떠한 공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내측 하우징 쉘에 의해 방출되는 폐열은 결과적으로 내측 및 외측 하우징 쉘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층에 저장되지 않으며 시간 지연 후에 외측 하우징 쉘에만 전달되지 않기는 하나, 오히려 대향하는 외측 하우징 쉘에 의해 가능한 한 신속하게 흡수된다.
상기 내측 및 외측 하우징 쉘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를 포함하지 않는 내측 및 외측 하우징 쉘 사이의 직접 전이는 내측 및 외측 하우징 쉘 사이의 마찰식 연결(friction-type connection )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실현된다. 내측 및 외측 하우징 쉘 사이의 마찰식 연결은 또한 내측 및 외측 하우징 쉘 사이에 안정적인 기계 고정 배열(mechanical fixing arrangement)을 가능하게 한다.
내측 및 외측 하우징 쉘 사이의 직접 전이 표면을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내측 및 외측 하우징 쉘 사이에 열에 대한 추가적인 가속 전달을 발생시키기 위해, 내측 하우징 쉘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은 외측 하우징 쉘의 대향하는 내부 표면 상의 관련된 함몰부에 각각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를 각각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각각의 융기부가 외측 하우징 쉘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 상에 제공되고 내측 하우징 쉘의 대향하는 외부 표면 상의 관련된 함몰부에 삽입되는 기술적인 실현을 포함한다.
제1변형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는 관련된 슬롯-형상의 함몰부에 삽입되는 리브-형상의 융기부(rib-shaped elevation)로서 각각 실현된다. 내측 및 외측 하우징 쉘 사이의 마찰식 연결을 실현하기 위해, 각각의 리브-형상의 융기부의 폭은 관련된 슬롯-형상의 함몰부(slot-shaped depression)의 폭보다 각각이 약간 크게 설계된다.
제2변형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는 관련된 격자 슬롯-형상의 함몰부에 삽입되는 격자 리브-형상의 융기부로서 각각 실현된다. 또한, 마찰식 연결에 관해서, 격자 리브-형상으로 배치된 각각의 리브-형상의 융기부들의 폭은 격자 리브-형상으로 배치된, 관련된 슬롯-형상의 함몰부들의 폭보다 각각이 약간 크게 설계된다.
제3변형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는 관련된 블라인드 홀-형상의 함몰부에 삽입되는 핀-형상의 융기부로 각각 실현된다. 또한 여기서, 마찰 식 연결에 대해, 핀-형상의 융기부의 외경은 블라인드 홀-형상의 함몰부(blind hole-shaped depression)의 내경보다 크게 설계되어야 한다.
각각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는 내측 하우징 쉘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 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메라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는 내측 하우징 쉘의 상부 표면은 추가로 확대되고, 따라서 내측 하우징 쉘의 열의 흐름은 유리하게 추가로 개선되거나 가속된다.
제1실시예에서, 내측 하우징 쉘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 상에 각각 제공되는 이러한 유형의 융기부는 리브-형상의 융기부로서 구현된다.
제2실시예에서, 내측 하우징 쉘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 상에 각각 제공되는 이러한 유형의 융기부는 격자 리브-형상의 융기부(lattice rib-shaped elevation)로서 구현된다.
제3실시예에서, 내측 하우징 쉘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 상에 각각 제공되는 이러한 유형의 융기부는 핀-형상의 융기부(pin-shaped elevation)로서 구현된다.
상기의 실시예들 및 추가적인 개발품들은 조합이 편리한 것으로 제공될 경우 임의의 방식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추가의 가능한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발품들 및 구현예들은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이상 또는 이하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조합들을 또한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경우, 당업자는 본 발명의 각각의 기본 형태에 개선 또는 추가로서 각각의 양태를 또한 추가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 항목의 개략적인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게 된다. 도면 항목에서: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2a는 단면이 제거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부품의 3차원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부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부품의 제1변형예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부품의 제1변형예의 내측 하우징 쉘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부품의 제2변형예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부품의 제2변형예의 내측 하우징 쉘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부품의 제3변형예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부품의 제3변형예의 내측 하우징 쉘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부품의 제3변형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면 항목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전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들은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본 발명의 원리 및 개념 설명의 기술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들 및 언급된 많은 장점들은 도면들과 관련하여 명백하다. 도면의 구성 요소들은 반드시 서로 일정한 크기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도면 항목의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적으로 동일하고 동일하게 동작하는 구성요소, 특징들 및 구성요소들에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각각 동일한 참조 부호가 제공된다.
도면들은 일관적이고 포괄적인 방식으로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과 같이, 도 1a는 카메라 모듈(1)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1b는 카메라 모듈(1)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회로 기판(3)은 카메라 모듈(1)의 내부(2)에 위치하며, 상기 회로 기판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전자 부품들(4)과 결합된다. 전자 부품은 바람직하게 광전자 이미지 센서들(opto-electronical image sensors) 및 광전자 확인 이미지 데이터(opto-electronically-ascertained image data)를 전처리하기 위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부품들이다.
전처리된 이미지 데이터(pre-processed image data)는 통신 인터페이스(communications interface)를 통해 자동차 내의 다른 데이터 처리 유닛들(data processing units)로 전송된다. 도 1에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된 제1커넥터(51)가 통신 인터페이스(communications interface)로서 사용되며, 상기 커넥터는 소위 회로 기판 커넥터(circuit board connector)로서 회로 기판(3)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1커넥터(51)는 하우징 커넥터가 카메라 모듈(1)의 하우징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거나 카메라 모듈(1)의 하우징에 통합될 때 제2커넥터(52)로 직접적으로 전이할 수 있다. 제2커넥터(52)의 다른 출력은 각각도 1a 및 1b에 도시되지 않은 데이터 케이블에 기계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커넥터(51) 및 제2커넥터(52)의 조합에 대한 대안으로서, 제1커넥터(51)의 출력은 또한 외부로 향한 카메라 모듈(1)이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기밀하게 봉인되는 방식으로 안내되는 데이터 케이블에 직접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커넥터(51, 52)는 예컨대 FAKRA(전문 자동차 그룹, HSD, 고속 데이터) 또는 HFM(high speed fakra mini)와 같은 자동차 분야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임의의 인터페이스 표준의 기술적 요구 사항을 각각 수행한다.
회로 기판(3)의 이미지 센서들은 광학 렌즈들(6)에 광학적으로 연결된다.
카메라 모듈(1)의 내부(2)는 카메라 하우징(7)을 통해 기밀하게 봉인되어 차단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넥터(52) 및 광학렌즈들(6)만이 카메라 하우징(7)에 기밀하게 봉인되는 방식으로 통합된다. 카메라 하우징(7)은 바람직하게 2개의 하우징 부품들(81, 82)을 포함한다. 그러나, 카메라 하우징(7)을 위한 더 많은 수의 하우징 부품들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된다. 카메라 모듈(1)의 내부(2)의 봉인된 차단과 관련하여, 2개의 하우징 부품들(81, 82)은 서로 원주 방향으로 용접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외측 하우징 쉘은 합성 재료로 제조되고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2개의 하우징 부품들(81, 82)의 외측 하우징 쉘은, 바람직하게 레이저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품(81, 82)은 각각 내측 하우징 쉘 및 외측 하우징 쉘을 포함한다. 하우징 부품(81) 또는 하우징 부품들은 전자 부품들(4)에 대향하여 배치되거나 전자 부품들(4)에 의해 생성되는 폐열의 가장 높은 비율로 조사되는 내측 하우징 쉘(911) 및 외측 하우징 쉘(912)을 각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항목의 도면에서, 이것은 커넥터(5)가 통합되고 전자 부품들(4)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하우징 부품(81)이다. 일반적으로 광학 렌즈(6)가 집적된 하우징 부품(82)과 같은 카메라 하우징(1)의 다른 하우징 부품들은, 전자 부품들(4)에 의해 카메라 모듈(1)의 외부 공간으로 보다 신속하게 발생되는 폐열을 소산할 수 있도록 내측 및 외측 하우징 쉘을 각각 포함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하우징 부품(81, 82)은 일반적으로 다르게 배향된 내부 표면 또는 외부 표면을 가지는 각각 서로 연결된 다수의 하우징 영역을 각각 포함한다. 도면 항목의 도면에서, 하우징 부품(81, 82)은 예시로서 4개의 내측 또는 외측 측면들과 하나의 내측 또는 외측 베이스 표면 또는 커버 표면을 각각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수(number)에서 벗어나서 다르게 배향된 내부 표면들 또는 외부 표면들을 가지는 다수의 하우징 영역을 구비한 하우징 부품들은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베이스 표면(base surface) 및 커버 표면(cover surface)은 각각 다른 표면, 즉 측면 표면(side surface)에 각각 모든 그들 표면 한계들에 각각 연결된다. 측면 표면들(side surfaces)은 표면 한계에서 각각 개방되고, 즉 다른 표면에 연결되지 않지만, 상기 측면 표면들은 나머지 표면 한계들에서 다른 표면, 즉 다른 측면 표면 또는 베이스 표면 또는 커버 표면과 연결된다.
도면 항목의 모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부품(81)의 최적의 열 흐름에 관련하여, 내측 하우징 쉘(911)은 상기 내측 및 외측 하우징 쉘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층을 포함하지 않고 모든 대향하게 놓인 표면 영역들(opposite-lying surface regions)을 통해 외측 하우징 쉘(912)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하우징 쉘(911) 및 외측 하우징 쉘(912)은 측면 표면들, 베이스 표면들 또는 커버 표면들의 축소된 대향하게 놓인 표면 영역을 통해 공기를 포함하지 않고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외측 하우징 쉘(912)은 예컨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로부터 합성 재료로 사출 성형 기술에 의해 제조된다. 내측 하우징 쉘(911)은 외측 하우징 쉘(912)의 합성 재료보다 열을 더 전도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된다. 금속, 예컨대 아연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예컨대 금속 섬유를 가지는 전기 전도성 충전제(electrically-conductive fillers)를 구비한 합성 물질도 가능하다. 금속으로 구현되는 내측 하우징 쉘(911)은 압력 주조 기술(pressure casting technique), 소결 기술(sintering technique) 또는 기계 기술(machining technique)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충전제를 가지는 합성 재료로 구현되는 내측 하우징 쉘(911)은 예컨대 사출 성형 기술(injection molding technique)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내측 하우징 쉘(911)의 금속 또는 전기 전도성 충전제는 외측 하우징 쉘(912)의 합성 재료보다 분명히 열을 더 전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측 하우징 쉘(911)의 한정된 영역에 수용된 전자 부품들 (4)의 폐열은 전체의 내측 하우징 쉘(911) 위로 비교적 신속하게 분배된다. 이상적인 경우, 내측 하우징 쉘(911)의 외부 표면과 외측 하우징 쉘(912)의 내부 표면은 동일한 크기이다. 결과적으로, 단지 합성 재료로만 구현된 종래의 카메라 하우징들과 대조적으로, 내측 하우징 쉘(911)에 대향하는 외측 하우징 쉘(912)의 표면 영역들은 각각 전자 부품들(4)에 의해 생성되는 단지 폐열의 일부분만으로 각각 영향을 받는다.
내측 하우징 쉘(911)은 공기가 상기 2개의 하우징 쉘들 사이에 저장되지 않고 각각의 대향하게 놓인 표면 영역들에서 외측 하우징 쉘(912)에 직접적으로 놓여 있기 때문에, 내측 하우징 쉘(911)로부터 외측 하우징 쉘(912)로 소산되는 폐열은 상기 2개의 하우징 쉘 사이에 저장된 공기 중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지 않으며, 상기 폐열은 지연 후에 단지 외측 하우징 쉘(912)로 전달되지 않는다. 반대로, 소산될 폐열은 내측 하우징 쉘(911)에 의해 외측 하우징 쉘(912)로 즉시 방출된다.
외측 하우징 쉘(912)의 내부 표면에 대응하는 외부 표면을 가지는 내측 하우징 쉘(911)이 금속 또는 전기 전도성 충전재가 집적된 합성 재료로 제조되므로, 카메라 모듈(1)의 EMC 특성은 추가적으로 개선된다. 내측 하우징 쉘(911)과 외측 하우징 쉘(912) 사이의 열 전달을 가속시키는 것 이외에, 내측 하우징 쉘(911) 및 외측 하우징 쉘(912)의 대향하게 놓인 표면 영역들은 또한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내측 하우징 쉘(911)의 외부 표면상의 각각의 대향하게 놓인 표면 영역들에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 바람직하게는 각각 특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융기부가 제공되며, 상기 융기부는 내측 하우징 쉘(911) 외측 하우징 쉘(912)의 내 측면상의 관련된 함몰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측 하우징 쉘(911) 및 외측 하우징 쉘(912)의 각각의 대향하게 놓인 표면 영역들의 상부 표면이 추가로 확대된다.
대안적으로, 융기부는 외측 하우징 쉘(912)의 내부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융기부는 내측 하우징 쉘(911)의 외부 표면상의 관련된 함몰부에 삽입된다.
각각의 융기부는 내측 하우징 쉘(911)과 외측 하우징 쉘(912) 사이의 열 전달을 가속시키기 위해 공기를 포함하지 않고 관련된 함몰부에 직접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하우징 쉘(911)의 각각의 융기부들과 외측 하우징 쉘(912)의 관련된 함몰부들 사이에서 공기가 제거되는 직접적인 연결은 내측 하우징 쉘(911)과 외측 하우징 쉘(912) 사이의 특히 각각의 융기부들과, 관련된 함몰부들 사이의 마찰식 연결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 쉘(911)상의 융기부의 폭(XiG)은 외측 하우징 쉘(912)상의 관련된 함몰부의 폭(XaG)보다 크게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내측 하우징 쉘(911)은 외측 하우징 쉘(912)에 이러한 유형의 마찰식 연결에 의해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도 3a 및 도 3b에 따른 제1변형예에서, 내측 하우징 쉘(911)의 외부 표면 상의 융기부는 외측 하우징 쉘(912)의 내부 표면 상의 관련된 슬롯-형상의 함몰부들(111)에 삽입되는 리브-형상(rib-shaped)의 융기부들(101)로 실현된다. 이러한 경우, 리브-형상의 융기부들(101)은 내측 하우징 쉘(911)의 모든 외측 표면들 또는 외측 표면 영역들 및 외측 하우징 쉘(912)의 모든 내측 표면들 및 내측 표면 영역들의 관련된 슬롯-형상의 함몰부(111)에서 실현 될 수 있다. 또한, 리브-형상의 융기부들(101) 및 관련된 슬롯-형상의 함몰부들(111)은 내측 하우징 쉘(911)의 외측 표면들 또는 외측 표면 영역들의 감소된 수 또는 외측 하우징 쉘(912)의 내측 표면들 또는 내측 표면 영역들에서 발생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 예컨대, 리브-형상의 융기부들(101) 및 관련된 슬롯-형상의 함몰부들(111)은 내측 하우징 쉘(911) 및 외측 하우징 쉘(912)의 2개의 측면 표면들(side surfaces) 및 커버 표면(cover surface) 또는 베이스 표면(base surface) 상에 각각 위치된다.
각각의 리브-형상의 융기부들(101) 및 관련된 슬롯-형상의 함몰부들(111)의 단면 프로파일(cross-sectional profile)은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삼각형의 단면 프로파일이 또한 가능하다.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 프로파일들은 내측 하우징 쉘(911) 및 외측 하우징 쉘(912)의 측면 표면들의 영역에서 또한 가능하다.
리브-형상의 융기부들(101)의 높이와 폭 및 관련된 슬롯-형상의 함몰부들(111)의 깊이 또는 폭은 종방향의 범위(longitudinal extent)에서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리브-형상의 융기부들(101) 및 관련된 슬롯-형상의 함몰부들(111)의 높이 및 폭은 커버 표면 방향으로 내측 하우징 쉘(911) 및 외측 하우징 쉘(912)의 측면 표면들의 영역에서 각각 감소될 수 있다.
각각의 리브-형상의 융기부들(101) 사이 및 관련된 슬롯-형상의 함몰부들(111)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에 따른 제2변형예에서, 내측 하우징 쉘(911) 상의 외측 커버 표면의 영역에서의 융기부들은 격자 리브-형상의 융기부들(102)로서 각각 실현되고, 내측 커버 표면의 영역에서의 관련된 함몰부들은 외측 하우징 쉘(912) 상에 격자 슬롯-형상의 함몰부들(112)로서 각각 실현된다. 격자 리브-형상의 융기부들(102) 및 격자 슬롯-형상의 함몰부들(112)의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단면 프로파일 대신에, 제2변형예의 경우 삼각형 단면 프로파일이 또한 가능하다.
제2변형예에서, 격자 리브-형상의 융기부들(101)의 각 리브들 사이와 격자 슬롯-형상의 함몰부들(111)의 각각의 관련된 각 슬롯들 사이의 간격들은 일정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에 따른 제3변형예에서, 내측 하우징 쉘(911)상의 외측 커버 표면의 영역에서의 융기부들은 핀-형상의 융기부(103)로서 각각 실현되고, 내측 커버 표면의 영역에서의 관련된 함몰부들은 블라인드 홀-형상(blind hole-shaped)의 함몰부들(113)로서 외측 하우징 쉘(912) 상에 각각 실현된다. 도 5a 및 도 5b에 따른 핀-형상의 융기부들(103) 및 블라인드 홀-형상의 함몰부들(113)의 원형 단면 프로파일 대신에,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또는 타원형 단면 프로파일들이 또한 가능하다.
제3변형예에서, 각각의 핀-형상의 융기부들(103) 또는 관련된 블라인드 홀-형상의 함몰부들(113)은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즉 특정 그리드 패턴(grid pattern)으로, 또는 완전히 불규칙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달리 말하면 확률적으로 분배될 수 있다. 각각의 핀-형상의 융기부들(103)의 높이 및 관련된 블라인드 홀-형상의 함몰부들(113)의 깊이는 또한 서로에 대해 각각 일정하거나 또는 서로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핀-형상의 융기부들(103)의 외경 및 각각의 블라인드 홀-형상의 함몰부들(113)의 내경은 각각 일정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내측 하우징 쉘(911)의 열의 흐름을 가속시키기 위해 내측 하우징 쉘(911)의 내부 표면들의 상부 표면 및 그에 따른 내측 하우징 쉘(911)의 내부 표면 영역들은 추가로 확장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 3a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 리브-형상의 융기부들(121)은 내측 하우징 쉘(911)의 내부 표면들 상에, 특히 내측 하우징 쉘(911)의 커버 표면의 내부 표면 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의 리브-형상의 융기부들(121)의 높이 및 리브-형상의 융기부들(121) 사이의 간격은, 전자 부품들(4)과 리브-형상의 융기부들(121) 사이의 간격이 가능한 한 작고, 충분한 수의 리브-형상의 융기부들(121)은 폐열을 방출하는 영역에 위치된다.
도 4a 및 도 4c에 따른 제2실시 예에서, 격자 리브-형상의 융기부들(122)은 내측 하우징 쉘(911)의 내부 표면 상에, 특히 내측 하우징 쉘(911)의 커버 표면의 내부 표면 상에 제공된다. 격자 리브-형상의 융기부들(122)의 높이 및 격자 리브-형상의 융기부들(122)의 각각의 리브들 사이의 간격에 대해서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된 높이 및 간격이 유사하게 적용된다.
도 5a 및 도 5c에 따른 제3실시예에서, 핀-형상의 융기부(123)는 내측 하우징 쉘(911)의 내부 표면 상에, 특히 내측 하우징 쉘(911)의 커버 표면의 내부 표면 상에 제공된다.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된 높이 및 간격은 핀-형상의 융기부(122)의 높이 및 핀-형상의 융기부(122) 사이의 간격에 대해 유사하게 적용된다. 각각의 핀-형상의 융기부(122) 사이의 간격에 대한 각각의 핀-형상의 융기부(122)의 직경은 내측 하우징 쉘(911)의 최적화된 내측 상부 표면이 발생되는 방식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각각의 핀-형상의 융기부(123)의 원형 단면 프로파일 대신에,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또는 타원형 단면 프로파일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도움으로 완전하게 설명되었지만, 상기 발명은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오히려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변형예들과 실시예들의 임의의 조합은 제공된 본 발명에 포함되며, 조합은 기술적으로 편리하다.
1 : 카메라 모듈
2 : 카메라 모듈의 내부
3 : 회로기판
4 : 전자 부품들
51, 52 : 제1 및 제2커넥터
6 : 광학 렌즈들
7 : 카메라 하우징
81, 82 : 하우징 부품들
911, 912 : 외측 하우징 쉘 및 내측 하우징 쉘
101, 102, 103 : 리브-형상, 격자 리브 형상 및 핀-형상의 융기부들(내측 하우징 쉘의 외부 표면들 상)
111, 112, 113 : 리브-형상, 격자 리브 형상 및 핀-형상의 함몰부들
121, 122, 123 : 리브-형상, 격자 리브 형상 및 핀-형상의 융기부들(내측 하우징 쉘의 내부 표면들 상)

Claims (15)

  1.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카메라 하우징(7)용 하우징 부품(81)으로서, 외측 하우징 쉘(912)과 내측 하우징 쉘(911)을 가지고, 상기 외측 하우징 쉘(912)은 합성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내측 하우징 쉘(911)은 상기 외측 하우징 쉘(912)의 합성 재료보다 열을 더 전도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외측 하우징 쉘(912)은 상기 외측 하우징 쉘(912) 및 상기 내측 하우징 쉘(911)의 모든 대향하게 놓인 표면 영역들을 통해 상기 내측 하우징 쉘(911)에 각각 직접적으로 연결된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하우징 쉘(912) 및 상기 내측 하우징 쉘(911)의 대향하게 놓인 표면 영역들은 상기 내측 하우징 쉘(911)의 전체 외부 표면 및 그에 따른 상기 외측 하우징 쉘(912)의 전체 내부 표면 위로 각각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대향하게 놓인 표면 영역들에서, 각각의 상기 외측 하우징 쉘(912)과 상기 내측 하우징 쉘(911)은 공기를 포함하지 않고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향하게 놓인 표면 영역들에서, 각각의 상기 외측 하우징 쉘(912)은 상기 내측 하우징 쉘(911)에 마찰식 연결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하우징 쉘(911)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 상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101;102;103)가 제공되고, 상기 융기부는 상기 외측 하우징 쉘(912)의 관련된 내부 표면 상의 관련된 함몰부(111;112;113)에 각각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101;102;103)는 각각 리브-형상의 융기부(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101;102;103)는 각각 격자 리브-형상의 융기부(1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101;102;103)는 각각 핀-형상의 융기부(1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121;122;123)는 상기 내측 하우징 쉘(911)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 상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121;122;123)는 각각 리브-형상의 융기부(1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121;122;123)는 각각 격자 리브-형상의 융기부(1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121;122;123)는 각각 핀-형상의 융기부(1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
  13. 적어도 2개의 하우징 부품들(81,82)로 구현되며,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카메라 하우징(7)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품(81,82)은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우징 부품(8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
  14. 제13항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7)을 가지는 자동차.
  15. 하우징 부품(81)의 제조 방법으로서,
    합성 재료로부터 외측 하우징 쉘(912)을 사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외측 하우징 쉘(912)의 상기 합성 재료보다 열을 더 전도할 수 있는 재료로 내측 하우징 쉘(911)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외측 하우징 쉘(912)과 상기 내측 하우징 쉘(911)을 함께 가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외측 하우징 쉘(912)은 상기 외측 하우징 쉘(912)과 상기 내측 하우징 쉘(911)의 모든 대향하게 놓인 표면 영역들을 통해 상기 내측 하우징 쉘(911)에 각각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우징 부품의 제조 방법.
KR1020197019138A 2017-03-20 2017-10-24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 KR201901262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002665.3 2017-03-20
DE102017002665.3A DE102017002665A1 (de) 2017-03-20 2017-03-20 Gehäuseteil für ein kameragehäuse
PCT/EP2017/077157 WO2018171915A1 (de) 2017-03-20 2017-10-24 Gehäuseteil für ein kameragehä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288A true KR20190126288A (ko) 2019-11-11

Family

ID=60262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138A KR20190126288A (ko) 2017-03-20 2017-10-24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44892B2 (ko)
EP (1) EP3603047B1 (ko)
JP (1) JP2020515122A (ko)
KR (1) KR20190126288A (ko)
CN (1) CN110178361B (ko)
DE (1) DE102017002665A1 (ko)
WO (1) WO20181719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356A (ko) * 2020-04-20 2021-10-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금속분말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얇은 벽면 구조 및 일체형 커넥터를 가지도록 제조되는 카메라 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3962B2 (en) * 2017-05-25 2020-06-16 Google Llc Thermal management for a compact electronic device
US10819921B2 (en) 2017-05-25 2020-10-27 Google Llc Camera assembly having a single-piece cover element
US10972685B2 (en) 2017-05-25 2021-04-06 Google Llc Video camera assembly having an IR reflector
CN112311978B (zh) * 2020-02-27 2022-03-25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用于固定摄像头的安装件及摄像头组件
DE102021132731A1 (de) * 2021-12-10 2023-06-15 Connaught Electronics Ltd. Gehäuse für einen elektronischen Schaltkreis
KR20240012690A (ko) * 2022-07-21 2024-01-30 주식회사 세코닉스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및 그 조립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4365A (en) * 1996-01-26 1999-01-26 Kaman Sciences Corporation Environmentally controlled camera housing assembly
CA2303525A1 (en) * 2000-03-30 2001-09-30 Silent Witness Enterprises Ltd. Heat management for enclosed video cameras
DE102004034383A1 (de) 2004-07-16 2006-02-16 Robert Bosch Gmbh Kamera mit einem Gehäuseteil
JP2007067113A (ja) 2005-08-30 2007-03-15 Hamamatsu Photonics Kk 光照射ヘッド及び光照射装置
KR20080073072A (ko) 2007-02-05 2008-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방열수단이 구비된 카메라모듈
JP5126257B2 (ja) * 2010-03-12 2013-01-23 オムロ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565117B2 (ja) * 2010-06-07 2014-08-06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
CN202362568U (zh) * 2011-09-20 2012-08-01 江久金 新型红外智能球型云台
DE102013200966B4 (de) * 2012-02-10 2023-11-16 Robert Bosch Gmbh Modulvorrichtung für ein Kamerasystem und entsprechendes Kamerasystem
GB2505538B (en) 2013-02-20 2014-07-23 Amino Comm Ltd Hou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391176B1 (ko) * 2013-04-29 2014-05-07 주식회사 뷰웍스 영상촬영장치
CN203720516U (zh) * 2014-01-26 2014-07-16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摄像机的加热及散热装置
DE102014209611A1 (de) * 2014-05-21 2015-11-26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Assistenzsystem eines Kraftfahrzeugs
KR102138332B1 (ko) * 2014-06-09 2020-07-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카메라
JP2016014564A (ja) * 2014-07-01 2016-01-28 株式会社リコー 撮像ユニット
DE102015115363B4 (de) 2015-09-11 2023-12-28 Connaught Electronics Ltd. Kamera mit einem Kameragehäuse, Anordnung und Kraftfahrzeug
US10133158B2 (en) * 2016-10-17 2018-11-2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ing device
US11480853B2 (en) * 2017-03-06 2022-10-25 SMR Patents S.à.r.l Heating device for a camera le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356A (ko) * 2020-04-20 2021-10-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금속분말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얇은 벽면 구조 및 일체형 커넥터를 가지도록 제조되는 카메라 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US11407364B2 (en) 2020-04-20 2022-08-09 Hyundai Mobis Co., Ltd. Thin-walled camera module housing with integrated connector fabricated by metal powder injection molding process and camera module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15122A (ja) 2020-05-21
DE102017002665A1 (de) 2018-09-20
US10944892B2 (en) 2021-03-09
CN110178361B (zh) 2021-07-06
EP3603047B1 (de) 2020-07-15
US20200236266A1 (en) 2020-07-23
WO2018171915A1 (de) 2018-09-27
CN110178361A (zh) 2019-08-27
EP3603047A1 (de)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6288A (ko) 카메라 하우징용 하우징 부품
US7651372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s on mating housings
KR102064300B1 (ko) 모듈형 커넥터
KR101779499B1 (ko) 카메라 모듈
US9711891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with ventilation hole in a hood portion
CN101785371A (zh) 基于柔性印刷电路的继电连接器
CN110582896A (zh) 基板用连接器
CN214101485U (zh) 车辆相机模块
EP2914073B1 (en) Electronic unit
CN101645546B (zh) 一种壳体
CN110603693B (zh) 电子模块和制造方法
US20220346267A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CN110754139A (zh) 电子模块
US9876306B2 (en) Method for producing a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a control unit in a motor vehicle
WO2015098567A1 (ja) 電子回路ユニットにおける外装ケースの成形方法
US20170244185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odule spacer thereof
JP2021093245A (ja) コネクタ
WO2016067621A1 (ja) 電子回路部品
US8797747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CN112203489A (zh) 用于包围机动车辆的至少一个电气部件的外壳及安装方法
KR10226662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EP1121006A2 (en) Transmitter-receiver unit that ensures mounting of cover
JP6482124B2 (ja) 基板の収納構造
KR20230083809A (ko) 금속분말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얇은 벽면 구조 및 일체형 커넥터를 가지도록 제조되는 카메라 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102046305B1 (ko) 복합 부품,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 그리고 복합 부품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