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823A -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 - Google Patents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823A
KR20190125823A KR1020180050118A KR20180050118A KR20190125823A KR 20190125823 A KR20190125823 A KR 20190125823A KR 1020180050118 A KR1020180050118 A KR 1020180050118A KR 20180050118 A KR20180050118 A KR 20180050118A KR 20190125823 A KR20190125823 A KR 20190125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smart device
evacuation route
management area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8963B1 (ko
Inventor
문성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엔엔에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엔엔에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엔엔에프텍
Priority to KR1020180050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96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5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Abstract

본 발명은 대피 상황이 발생할 시에 알게 된 위험 구역을 관리 영역 내의 사람이 휴대한 스마트 기기에게 알려서, 스마트 기기 자체에서 위험 구역을 회피한 대피 경로를 생성하고 대피 경로를 따라 안내하며, 알지 못하였거나 추가 발생한 위험 구역을 스마트 기기의 이동 경로에 따라 찾아내어 관리 영역 내의 모든 스마트 기기가 공유하도록 원격 지원함으로써, 스마트 기기의 통신 데이터량 및 통신 주기를 최소화하여 대피 상황 시의 데이터 트래픽 문제를 해결하면서, 관리 영역 내 모든 사람이 안전하게 대피하게 하는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관리 영역(1)에 진입하는 스마트 기기(40)에게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관리 영역(1)의 대피 통로맵 및 비콘 배치맵을 저장하게 하며, 이후, 관리 영역에서 대피 상황이 발생할 시에 위험 구역을 서버(30)에서 중계하여, 위험 구역을 회피하는 대피 경로를 자체 생성한 후 안내하게 하고, 대피 경로를 이탈할 시에 이탈 위치를 위험 구역으로 추가하여 중계한다.

Description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METHOD FOR ACTIVELY GUIDING EMERGENCY EVACUATION ROUTE}
본 발명은 대피 상황이 발생할 시에 알게 된 위험 구역을 관리 영역 내의 사람이 휴대한 스마트 기기에게 알려서, 스마트 기기 자체에서 위험 구역을 회피한 대피 경로를 생성하고 대피 경로를 따라 안내하며, 알지 못하였거나 추가 발생한 위험 구역을 스마트 기기의 이동 경로에 따라 찾아내어 관리 영역 내의 모든 스마트 기기가 공유하도록 원격 지원함으로써, 스마트 기기의 통신 데이터량 및 통신 주기를 최소화하여 대피 상황 시의 데이터 트래픽 문제를 해결하면서, 관리 영역 내 모든 사람이 안전하게 대피하게 하는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오피스텔, 빌딩, 쇼핑몰, 다중이용시설, 전시장, 행사장 등의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에, 신속하게 화재 경보를 발령하고, 안전한 대피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안내하는 것이 화재로 인한 인명 사고를 줄이는 유일한 방법이다.
최근, 긴급 대피 상황이 발생할 시에 스마트 기기을 활용하여 대피 상황을 전달하고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종래 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185405호에 의하면, 구조물 내에 다수의 무선중계기를 설치하고, 대피자 위치의 구역 정보, 탈출 경로에 관한 정보, 및 대피 안내 메시지 정보를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휴대단말기에서 구동되게 하여, 구조물 내의 대피자 휴대단말기로 탈출 경로 정보를 제공한다.
다른 종래 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7-0101657호에 의하면, 건물 내에 진입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여, 대피 상황 시에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건물 내 통신 인프라의 소실 여부에 기초하여 대피 경로를 결정하고,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그렇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위험 구역을 회피하는 대피 경로를 선정하여야 하는 데, 공개특허 제10-2017-0101657호는 건물 내 통신 인프라의 소실 여부로 위험 구역을 결정하므로, 실제로 발생한 위험 구역을 누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지진 등에 의해서 건물 내에 실제로 발생하는 위험 구역은 통과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는 사람에 의해서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공개특허 제10-2017-0101657호처럼 통신 인프라의 파손 여부로 판단하거나, 또는 센서로 감지하는 경우, 사람이 직접 판단하는 경우와 차이 날 수 있다. 결국, 위험 구역을 잘못 안내하여 인명 피해의 원인을 제공할 우려가 있고, 신속하게 대피하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대피 상황이 발생할 시에 건물 내의 수많은 스마트 기기이 서버와 통신 연결되어야 하므로, 통신량이 폭주하여 통신 연결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대형 건물, 다중 이용 시설 등이 그러하다.
또한, 대피 경로를 안내할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 기기에 미리 설치하거나 아니면 건물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서버에 접속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이용하기 불편하고,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지도 몰라 이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대피 상황이 발생할 시에 건물 내의 모든 사람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게 준비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방식도 단순해야 한다. 즉, 실제 대피 상황에서는 복잡한 방식으로 정확한 대피 경로 정보를 전달하더라도 당황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단순하게 대피 방향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KR 10-1536876 B1 2015.07.08. KR 10-2017-0101657 A 2017.09.0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출입자가 판단하는 위험 구역도 실시간 반영한 대피 경로를 안내하여, 보다 안전하면서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으며, 서버에서 통지하는 위험 구역에 따라 스마트 기기 내에서 자체적으로 대피 경로를 안내하게 하여 통신 데이터량 폭주에 의한 트레픽 문제를 해결하고, 관리 영역에 진입하는 모든 출입자에게 누락 없이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유도하며, 대피 방향을 안내하는 단순한 방식에 따라 누구나 쉽게 대피 경로를 따라 대피할 수 있게 한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관리 영역(1)의 출입자가 휴대하는 스마트 기기(40), 및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50)이 스마트 기기(40)에서 실행되어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데 사용할 대피 통로맵을 관리 영역별로 저장하여 두고 통신망(3)을 통해 스마트 기기(40)에 제공하는 서버(30)에 의해 이루어지는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기기(40)에서, 관리 영역(1)에 진입할 시에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50)을 설치하고, 대피 통로맵을 서버(3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대비 단계(S10); 서버(30)에서, 대피 상황에 따른 위험 구역을 외부로부터 수신할 시에 위험 구역을 스마트 기기(40)에 전송하는 경보 단계(S20); 스마트 기기(40)에서, 관리 영역(1)에 구축된 무선 측위 인프라(10)의 도움을 받아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한 위치에서 위험 구역을 회피하며 탈출할 대피 경로를 대피 통로맵에서 획득하여 안내하고, 대피 경로를 이탈할 시에 이탈 위치를 위험 구역으로 추가하여 대피 경로를 수정한 후 안내하고, 추가한 이탈 위치를 서버(30)에 전송하는 안내 단계(S30); 서버(30)에서, 스마트 기기(40)에 의해 추가된 위험 구역을 수신할 시에 관리 영역(1) 내의 다른 스마트 기기(40)에게 전송하여 공유하게 하는 실시간 원격 지원 단계(S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실시간 원격 지원 단계(S40)는 미리 설정된 대수 이상의 스마트 기기(40)가 동일한 위치를 위험 구역으로 추가할 시에 관리 영역(1) 내의 다른 스마트 기기(40)에게 전송하여, 스마트 기기(40)에서 추가 위험 구역에 따라 대피 경로를 수정하여 안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내 단계(S30)는 대피 경로를 따라 이동하기 위한 방향을 안내하고, 이동 경로를 모니터링하여 대피 경로를 이탈할 시에 이탈 위치를 위험 구역으로 추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대비 단계(S10)는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50)을 설치하기 위한 앱스토어 접속 환경을 제공하는 태그(20)를 관리 영역(1)의 진입구(2)에 비치하여서, 태그(20)를 이용하여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50)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내 단계(S30)는 스마트 기기(40)에서, 식별한 위치를 주기적으로 서버(30)에 전송하고, 상기 실시간 원격 지원 단계(S40)는 서버(30)에서, 스마트 기기(40)의 밀집도에 따라 대피 경로를 대체할 대안 정보를 스마트 기기(4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실시간 원격 지원 단계(S40)는 밀집도가 설정 기준치 이상인 구역을 회피 구역으로 결정하고, 위험 구역 및 회피 구역을 모두 회피하는 대체 경로를 대안 정보로 하여 생성한 후 전송함으로써, 스마트 기기(40)에서 전송받은 대피 경로에 따라 안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실시간 원격 지원 단계(S40)는 밀집도가 설정 기준치 이상인 구역을 회피 구역으로 결정하고, 회피 구역을 대안 정보로 하여 전송함으로써, 스마트 기기(40)에서 위험 구역 및 회피 구역을 회피하는 대피 경로에 따라 안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실시간 원격 지원 단계(S40)는 설정 기준치 이상의 밀집도가 나타난 구역으로 이동 중인 스마트 기기(40)를 선별하여 대안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실시간 원격 지원 단계(S40)는 설정 임계 시간 이상으로 움직이지 않는 스마트 기기(40)를 밀집도 산정에서 제외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대피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안내한 출입자의 이동 경로가 대피 경로에서 이탈할 시에 출입자에 의해 판단되는 위험 구역으로 지정하고, 대피 경로를 수정하므로, 출입자가 보다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 영역에 진입할 시에 대피 통로맵을 미리 스마트 기기에 저장시키고, 대피 상황이 발생할 시에는 위험 구역을 스마트 기기에 전송하여 스마트 기기에서 안내하게 하므로, 전송 데이터량을 줄이면서 신속하게 안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태그를 이용하여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게 하므로, 필요하다고 생각되거나 원하는 사람만이 앱스토어로부터 다운받아 설치하는 방식에 비해 간편하면서도 누락 없이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게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피 경로를 안내할 시에 대피 방향을 지시하는 방식으로 하므로, 쉽게 인지하며 대피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의 실시를 위한 시스템 설치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는 스마트 기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스마트폰(40)의 화면 구성도.
도 6은 출입자 스마트폰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험 구역의 추가 및 대피로의 수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은 아파트, 오피스텔, 빌딩, 쇼핑몰, 다중이용시설, 전시장, 행사장 등을 관리 영역(1)으로 지정하고, 관리 영역(1)에 구축된 무선 측위 인프라(10)의 도움을 받아 관리 영역(1) 내에 있는 스마트 기기(40)가 자신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게 하고, 스마트 기기(40)에 설치하여 실행시킬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50)이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해 사용할 대피 통로맵을 관리 영역별로 저장하여 두는 서버(30)를 구축한 상태에서, 관리 영역(1)에 진입하는 스마트 기기(40)에서 수행하는 대비 단계(S10), 서버(30)에서 수행하는 경보 단계(S20), 관리 영역(1) 내에 있는 스마트 기기(40)에서 수행하는 안내 단계(S30) 및 서버(30)에서 수행하는 실시간 원격 지원 단계(S40)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의 실시를 위한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의 실시를 위한 시스템 설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는 스마트 기기(40)의 구성도이다.
도 1은 관리 영역(1) 내의 어느 1개 층만 무선 측위 인프라(10 : 11, 12)가 구축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관리 영역(1)의 각 층마다 무선 측위 인프라(10 : 11, 12)가 구축되어 있을 수 있다.
관리 영역(1)의 출입자는 도시한 스마트 기기(40)를 휴대하는 사람으로서 거주자, 방문자, 이용자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서 도시한 도 1 및 2에 따르면, 화재, 지진 등에 의한 대피 상황이 발생할 시에 관리 영역(1) 내에 비상 발송하는 경보 수단(4)이 구축되어, 경보 수단(4)이 대피 상황을 서버(30)에도 알리게 하고, 경보 수단(4)에서 감지한 위험 구역을 서버(30)에 전송하게 한다.
통신망(3)은 예를 들어 건물 내에서 WiFi를 지원하는 에이피(12, Access Point) 또는 LTE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이동통신망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스마트 기기(4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만 도시하였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은 관리 영역(1) 내에 분산 배치되어 있는 무선 측위 인프라(10 : 11, 12), 관리 영역(1)의 진입구(현관, 진입구, 2)에 설치되는 태그(20), 관리 영역(1)에 진입하는 스마트 기기(40) 및 통신망(3)을 통해 스마트 기기(40)와 통신하게 한 서버(3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측위 인프라(10 : 11, 12)는 스마트 기기(40)가 자신의 위치를 알 수 있게 하는 통신 인프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비콘(11), 및 관리 영역 내에서 통신망(3)에 연결되게 설치한 에이피(AP : Access Point, 12)일 수 있다.
스마트 기기(40)에서 상기 무선 측위 인프라(10 : 11, 12)를 이용하여 관리 영역(1) 내 자신의 위치를 식별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할 시에는 비콘(11)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비콘(11)은 비콘 ID를 포함한 비콘 신호를 일정 주기로 송출하며, 대상 영역(1) 중에 어디서든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분산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삼각 측량 기법으로 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비콘(11)을 분산 배치하는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상 영역(1)에 분산 배치한 비콘(11)의 위치 및 비콘 ID를 나타내는 비콘 배치맵은 서버(30)의 DB에 저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비콘(11)은 저전력으로 동작하여, 내장 배터리의 전력을 소모하며 장기간 동작 가능한 BLE 비콘(Bluetooth Low Energy Beacon)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태그(20)는 관리 영역(1)의 진입구(2)에 비치하여, 스마트 기기(40)로 태깅할 시에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50)을 설치하기 위한 앱스토어(5) 접속 환경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태그(20)는 QR코드, NFC 태그 등으로 구성하되,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50)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앱스토어(5)의 접속 주소를 저장하여 두어서, 스마트 기기(40)에서 태깅하여 접속 주소를 읽어들인 후 통신망(3)을 통해 앱스토어(5)에 접속하여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50)을 다운로드받고 스마트 기기(40)에 설치 및 실행되게 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스마트 기기(40)는 상기 태그(20)로부터 앱스토어(5)의 접속 주소를 읽어들일 시에 상기 태그(20)의 ID도 읽어들이게 한다.
그리고,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50)은 스마트 기기(40)에서 실행됨과 동시에 통신망(3)을 통해 서버(30)에 접속하여, 태그 ID로 구분되는 관리 영역(1)에 관련된 대피 통로맵 및 비콘 배치맵을 요청하고, 서버(30)에서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하는 대피 통로맵 및 비콘 배치맵을 수신하여 태그 ID와 매칭되도록 스마트 기기(40)의 저장부(47)에 저장시킨다.
이에, 관리 영역(1)에 진입하는 스마트 기기(40)는 관리 영역(1) 내에서 대피 상황이 발생할 시에 출입자를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 준비 태세를 갖춘다.
상기 스마트 기기(40) 및 상기 대피 안내 애플프리케이션(5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40)는 LTE 무선 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모듈(42), 관리 영역(1) 내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할 수 있는 WiFi 모듈(43), 비콘(11)에서 송출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Bluetooth 모듈(44), 상기 태그(20)를 태깅하여 저장된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는 태깅 수단(45), 터치 입력과 화면 출력을 위한 사용자 UI(46), 스마트 기기(40)의 움직임과 방위를 검출하는 모션 센서(47),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48)를 포함하는 자원을 구비하고, 프로세서(41)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자원을 이용한 제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깅 수단(45)은 상기 태그(2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예를 들어, 상기 태그(20)가 QR코드이면 이미지 스캔하여 인식하는 애플리케이션이고, 상기 태그(20)가 NFC태그이며 NFC 모듈이 된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40)에 설치하는 상기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50)은 기능 수행을 위한 맵 관리부(51), 위치 식별부(52), 대피 경로 생성부(53), 대피 방향 안내부(54) 및 경로 이탈 감시부(55)를 포함하며, 스마트 기기(30)에 설치된 직후 프로세서(41)에서 실행되고, 저장되어 있는 맵을 확인하여 선택적으로 저장하고, 관리 영역(1) 내에서는 상기 서버(30)에서 대피 상황 알림 메시지 및 위험 구역을 전송하기 이전까지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실행되고, 상기 서버(30)에서 전송하는 대피 상황 알림 메시지 및 위험 구역을 수신한 시점부터는 포그라운드(foreground)로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맵 관리부(51)는 관리 영역(1) 내로 진입하는 중에 태그(20)를 태깅할 시에 태그 ID를 전달받아, 태그 ID와 매칭되게 저장한 대피 통로맵 및 비콘 배치맵이 저장부(48)에 있는지를 확인하여, 없으면 태그 ID에 대응되는(또는 관리 영역에 관련되는) 대피 통로맵 및 비콘 배치맵을 서버(30)에서 다운로드하여 태그 ID와 매치되게 저장부(47)에 저장한다. 물론, 태그(20)를 최초 태깅할 시에는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50)를 설치하면서, 태깅에 의해 얻은 태그 ID를 사용한다.
즉, 스마트 기기(40)가 진입구(2)를 다시 통과할 시에 태그(20)를 태깅하는 경우, 맵 저장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맵이 저장되지 않은 다른 관리 영역에 출입하며 태그(20)를 태깅하는 경우, 새로운 태그 ID가 확인되므로, 새로운 태그 ID에 대응되는 해당되는 대피 통로맵 및 비콘 배치맵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물론, 상기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기기(40)는 어느 관리 영역의 태그(20)를 태깅하더라도 앱 설치 과정이 생략된다. 그렇지만, 스마트 기기(40)의 휴대한 출입자는 태깅 과정에서 상기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를 확인하여 실행 정지된 상태이면 실행시킬 것이다.
한편, 상기 맵 관리부(51)는 저장부(48)에 저장되어 있는 태그 ID에 따라 맵을 다운로드받거나 다운로드를 생략하는 과정에서 스마트 기기(40)의 전화번호(즉, 출입자 전화번호)를 서버(30)에 전달하여서, 관리 영역(1)에 진입하였음을 통지한다.
여기서, 대피 통로맵은 안전하게 대피하기 위해 사람이 이동하게 할 통로를 나타낸 전자 지도이다. 즉, 상기 대피 통로맵에는 관리 영역(1) 전체의 이동 통로를 포함한다.
대피 경로는 스마트 기기(40)가 있는 위치에서 위험 구역을 회피하여 대피할 수 있는 경로로서, 위험 구역의 위치 및 스마트 기기(40)의 위치에 따라 대피 통로맵에서 획득한다.
비콘 배치맵은 관리 영역(1)에 분산 배치한 각 비콘(11)의 위치 및 비콘(11)의 ID를 나타낸 전자 지도이다.
만약, 관리 영역(1)에 있는 에이피(12)를 무선 측위 인프라(10)로 이용한다면, 관리 영역(1) 내에 있는 에이피(12)의 배치맵도 준비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50)이 관리 영역(1)에 관련된 대피 통로맵 및 비콘 배치맵을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스마트 기기(40)는 대피 상황이 발생할 시에 대피 경로를 안내할 준비 태세를 갖추게 된다.
스마트 기기(40)이 진입구(2)를 통과하여 관리 영역(1) 내로 진입한 이후, 상기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50)은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실행되다가 서버(10)로부터 대피 상황을 통지받으며 위험 구역의 위치를 수신하게 되면 포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되어, 위치 식별부(52), 대피 경로 생성부(53), 대피 방향 안내부(54) 및 경로 이탈 감시부(55)를 가동시킨다.
상기 위치 식별부(52)는 비콘(11)에서 송출하여 수신하게 되는 비콘 신호의 비콘 ID를 상기 비콘 배치맵에서 검색하여 스마트 기기(40)의 위치를 식별한다. 위치를 식별할 시에는 비콘 신호의 세기에 따라 비콘(11)과의 거리를 추정하여 더욱 정확하게 위치를 식별하여도 좋다.
상기 대피 경로 생성부(53)는 식별한 위치 및 수신한 위험 구역을 대피 통로맵에 매칭시켜, 식별한 위치에서 시작하여 수신한 위험 구역을 회피하며 탈출할 수 있는 대피 경로를 획득한다.
상기 대피 방향 안내부(54)는 대피 경로를 따라 이동하기 위한 대피 방향을 모션 센서(47)의 도움을 받아 결정하여 사용자 UI(45)의 화면에 출력한다. 즉, 방위를 모션 센서(47)로부터 감지할 수 있으므로, 대피 방향을 결정하여 안내할 수 있고, 출입자는 스마트 기기(40)에 출력하는 대피 방향으로 이동하여 대피 경로를 따라 대피할 수 있다.
대비 방향을 안내하는 중에도 상기 위치 식별부(52)는 계속 가동되어서, 바뀌는 위치를 실시간 식별하고, 주기적으로 서버(30)에 전송한다.
상기 경로 이탈 감시부(55)는 모션 센서(47)의 도움을 받아 검출하는 스마트 기기(40)의 움직임 및 방향과, 위치 식별부(52)로 식별한 위치를 기반으로, 스마트 기기(40)의 이동 경로를 획득하여서, 대피 경로를 이탈하는지를 감시한다.
만약, 대피 경로를 이탈하면, 대피 경로에서 이탈하기 시작한 위치, 즉, 이탈 위치를 위험 구역으로 추가하여서, 상기 대피 경로 생성부(53)에서 추가된 위험 구역을 회피하는 대피 경로를 생성하도록 대피 경로를 수정하게 하고, 상기 대피 방향 안내부(54)에서 수정한 대피 경로를 따라 대피 방향을 안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경로 이탈 감시부(55)는 이탈 위치에 따라 추가한 위험 구역을 서버(30)에 전송하여 알려준다.
한편, 스마트 기기(40) 자체에서 추가하는 위험 구역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40)를 휴대한 출입자가 지정하게 하여도 좋다.
상기 서버(30)는 관리 영역(1) 별로 구분되는 대피 통로맵 및 비콘 배치맵을 저장하여 두고, 아울러, 출입자 전화번호(스마트 기기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 데이터베이스(31)와, 대피 통로맵과 비콘 배치맵을 스마트 기기(40)에게 제공하며 스마트 기기(40)의 전화번호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맵 지원부(32)와, 대피 상황 및 위험 구역을 경보 수단(4)으로부터 접수하는 대피 상황 접수부(33), 및 대피 상황 및 위험 구역이 접수되는 즉시 관리 영역(1) 내의 각 스마트 기기(40)에게 출입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달하는 전송부(38)를 포함한다.
즉, 경보 수단(4)은 대피 상황이 발생할 시에 위험 구역을 파악하게 되므로, 대피 상황이 발생하였고, 파악된 위험 구역이 어느 위치인지를 상기 서버(30)에서 알 수 있도록 상기 서버(30)와 연계되어 있다.
상기 대피 상황 접수부(33)를 통해 대피 상황 및 위험 구역을 접수하게 할 대상은 관리 영역(1)에 설치되어 비상 방송을 하는 경보 수단(4)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피 상황 및 위험 구역을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면 된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제10-15368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위험 구역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30)는 어느 관리 영역(1)에서 어떤 원인에 의해 대피 상황이 발생하였다는 대피 상황 알림 메시지를 관리 영역(1) 내의 모든 스마트 기기(40)에게 전파하면서 위험 구역의 위치도 전파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서버(30)는 스마트 기기(40)의 위치 및 스마트 기기(40)에서 추가한 위험 구역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부(34), 미리 설정된 대수 이상의 스마트 기기(40)가 동일한 위험 구역을 추가할 시에 해당되는 위험 구역을 확정하는 위험 구역 선별부(35), 관리 영역(1) 내에 있는 스마트 기기(40)의 위치에 따라 대피 경로 상의 밀집도(또는 혼잡도)를 산정하는 밀집도 산정부(36), 및 밀집 구간을 회피하여 대피할 수 있는 대안 정보를 생성하고 밀집 구간을 향하는 스마트 기기(40)를 선별하는 대안 정보 생성부(37)를 더욱 포함하여서, 위험 구역 선별부(35)에서 위험 구역을 확정하는 즉시 전파하여 관리 영역(1) 내에 있는 스마트 기기(40) 간에 상호 공유하게 하고, 상기 대안 정보 생성부(37)에서 대안 정보를 생성하는 즉시 선별한 스마트 기기(40)에게 전달하여 대안 정보에 따라 대피 경로를 수정하게 한다.
즉, 상기 서버(30)는 경보 수단(4)에 의해 파악되지 않은 위험 구역을 관리 영역(1) 내에서 출입자가 휴대한 스마트 기기(40)를 통해 얻고, 관리 영역(1) 내의 모든 스마트 기기(40)가 공유할 수 있게 하여, 공유한 위험 구역을 회피하며 안전하게 대피하게 한다.
또한, 일부 출입자의 잘못된 이동 경로에 의해 다수의 출입자가 위험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위험 구역 추정부(35)는 동일 위치에서 이탈하는 스마트 기기(40)가 미리 설정한 대수 이상으로 발생할 시에, 그 이탈 위치를 위험 구역으로 추가한다. 예를 들어, 동일 위치에 3인 이상의 출입자가 대피로를 이탈할 시에 해당 구역을 위험 구역으로 추가한다.
상기 밀집도 산정부(36)에서 산정하는 밀집도(또는 혼잡도)는 각자 스마트 기기(40)를 휴대한 출입자들이 대피 경로를 따라 이동할 시에 정체되는 구간을 나타내는 지표이면 만족한다. 예를 들어, 대피 경로의 폭, 대피 경로 상의 각 구간별 스마트 기기(40)의 대수, 각 구간별 스마트 기기(40) 대수의 증가 속도 또는 이동 속도 등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출입자가 스마트 기기(40)를 분실할 우려도 있으므로, 미리 정한 설정 임계 시간 이상으로 움직이지 않는 스마트 기기(40)는 밀집도 산정에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대안 정보 생성부(37)는 미리 정한 설정 기준치 이상의 밀집도가 나타나는 구역을 회피 구역으로 결정하여, 회피 구역을 대안 정보로 하고, 회피 구역으로 향하는 스마트 기기(40)를 선별한다. 그리고, 상기 전송부(36)는 선별한 스마트 기기(40)에게 회피 구역을 전파함으로써, 스마트 기기(40)가 위험 구역에 더하여 회피 구역까지 회피하는 대피 경로에 따라 안내하게 한다.
다른 일 실시 예로서, 상기 대안 정보 생성부(37)는 경보 수단(4) 및 스마트 기기(40)를 통해 수집된 위험 구역과, 스마트 기기(40)의 밀집도(또는 혼잡도)에 따라 얻은 회피 구역을 회피하는 대체 경로를 자체 생성하고, 생성한 대체 경로를 선별한 스마트 기기(40)에게 전파한다. 이에, 스마트 기기(40)는 자체에서 생성한 대피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다가 대체 경로를 수신하면 대체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그렇지만, 대체 경로를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자체 생성한 대피 경로를 사용할 것인지를 스마트 기기(40)를 휴대한 출입자가 사용자 UI로 선택하게 하여도 좋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정도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에 의하면, 관리 영역(1)에 진입하는 출입자의 스마트 기기(40)에서 관리 영역(1)의 진입구(2)에 비치한 태그(20)를 태깅하여 앱스토어 접속 환경을 제공받는 대비 단계(S10)부터 시작된다.
상기 대비 단계(S10)는 스마트 기기(40)에서 태그(20)를 태깅함으로써, 상기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앱스토어(5) 접속 주소 및 태그(20)에 할당된 태그 ID를 얻는다. 이에, 앱스토어(5) 접속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게 하고(S11), 상기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됨과 동시에 서버(30)에 접속되게 하여서, 태그 ID에 대응되는 대피 통로맵 및 비콘 배치맵을 서버(3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게 한다(S12).
이에, 스마트 기기(40)는 대피 상황에 대처할 준비가 완료된다.
만약, 스마트 기기(40)에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면,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과정을 생략하게 된다. 그렇지만, 출입자는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정지된 상태이면,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불러들여 실행시킬 것이다.
또한,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맵 관리부(51)는 태그 ID와 대응되는 대피 통로맵 및 비콘 배치맵이 스마트 기기(4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먼저 확인하므로, 만약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서버(30)에 요청하여 수신한 후 태그 ID와 매칭되게 저장하고, 저장되어 있으면 서버(30)에 요청하지 않는다.
이때,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대피 통로맵 및 비콘 배치맵을 서버(30)에 요청하든 요청하지 않든 간에 스마트 기기(40)의 전화번호를 서버(30)에 전송한다. 이에, 서버(30)는 관리 영역(1)에 진입한 스마트 기기(40)의 전화번호를 관리 영역(1) 별로 그룹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기기(40)는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게 한 상태로 출입자에 의해 휴대되어 관리 영역(1)을 진입한다.
서버(30)는 화재 또는 지진 등에 의한 대피 상황 및 위험 구역을 대피 상황 접수부(33)를 통해 접수하게 되면(S21), 대피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 및 위험 구역을 전송하는(S23) 경보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경보 단계(S20)는 대피 상황이 발생한 관리 영역(1) 내에 있는 스마트 기기(40)에게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위험 구역 및 대피 상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위험 구역 및 대피 상황 알림 메시지를 전송받은 스마트 기기(40)는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50)을 포그라운도에서 가동하여, 안내 단계(S30)를 수행함으로써 스마트 기기(40)를 휴대한 출입자를 대피하도록 이동 방향을 안내한다.
우선, 관리 영역(1)에 구축된 무선 측위 인프라(10)의 도움을 받아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한 위치 및 수신한 위험 구역을 대피 통로맵에 적용함으로써, 식별한 위치에서 위험 구역을 회피하며 대피할 수 있는 대피 경로를 생성한다(S31).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무선 측위 인프라(10)는 비콘(11)이므로, 스마트 기기(50)의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주변의 비콘(11)에서 송출하여 수신하게 되는 비콘 신호 및 저장하여 둔 비콘 배치맵에 근거하여 위치를 식별한다.
그리고, 생성한 대피 경로를 사용자 UI(46)로 안내한다(S32).
이와 같이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중에 변경되는 스마트 기기(40) 위치를 주기적으로 획득하여 서버(40)에 전송하고, 스마트 기기(40)가 대피 경로를 이탈하는 지를 감시하며(S33), 만약 대피 경로를 이탈하면 이탈 위치를 위험 구역으로 추가하고 추가한 이탈 위치를 서버(30)에 전송한다(S34). 또한,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위험 구역 및 이탈 위치에 따라 추가한 위험 구역을 모두 회피하며 대피할 수 있는 대피 경로를 생성한다(S35). 이때 생성한 대피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도 5에 도시한 사용자 UI(46)의 화면 구성도를 참조하면, 방향 지시기(45a)로 대피 방향을 안내하고, 대피 경로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 탭하는 경로 변경 버튼(45b)도 준비되어 있다.
즉, 스마트 기기(40)는 스마트 기기(40)의 위치와 모션 센서(47)로 감지한 방위 또는 움직임을 적용하여 대피 경로를 따라 이동하기 위한 대피 방향을 결정하고, 방향 지시기(45a)로 안내한다.
상기 경로 변경 버튼(45b)은 서버(30)에서 전송한 위험 구역 이외에도 다른 위험 구역이 존재할 경우에 탭하여 대체 경로를 얻기 위한 버튼이다.
즉, 출입자는 스마트 기기(40)가 안내한 대피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위험 구역이 있으면 상기 경로 변경 버튼(45b)을 탭한다. 그러면, 스마트 기기(40)는 현재 위치에 근접한 전방 위치이되 대피 경로 상에 있는 위치를 위험 구역으로 추가하고, 위험 구역의 추가에 따른 대체 경로를 얻고, 대피 방향을 안내한다. 잘못하여 상기 경로 변경 버튼(45b)을 탭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경로 변경 버튼(45b)을 더블 탭하게 하여도 좋다. 물론, 추가한 위험 구역은 서버(30)에 전달한다.
그렇지만, 대피 상황에서는 상기 경로 변경 버튼(45b)을 탭할 정신이 없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 기기(40)의 이동 경로에 따라 자체적으로 대체 경로를 얻을 수 있게도 하였다.
즉, 이동 방향이 대피 경로에서 이탈할 시에, 이탈 위치의 전방 구역을 위험 구역으로 추가하고, 수신한 위험 구역 및 추가한 위험 구역에 따른 대체 경로를 대피 통로맵에 근거하여 자체 선정하고, 대체 경로에 따라 대피 방향을 안내한다.
도 6에 예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마트 기기(40)는 대피 통로맵에 위험 구역(a1)을 매칭시켜 건물 내의 통로 중에 최적의 대피 경로(L1)를 선정한 후 현재 위치에서 대피 경로(L1)를 따라 이동하기 위한 대피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대피 경로(L1)을 따라 이동하는 중에 모션 센서(47) 또는 비콘(11)을 통해 이동 경로를 획득하여 대피 경로(L1)를 이탈하는지 감시한다. 만약, 대피 경로(L1)를 이탈하면, 이탈 위치(S)의 전방에는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위험 구역(a1)에 포함되지 않은 새로운 위험 구역(a2)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대체 경로(L2)를 자체 생성하고, 대체 경로(L2)에 따라 대피 방향을 안내한다. 즉, 최단거리의 대피 경로를 선정하였더라도 위험 구역이 추가되면 차선의 대피 경로를 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새롭게 발견된 위험 구역(a2)을 서버(40)에 알려줌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버(40)의 중계에 의해서 다른 스마트 기기(40)에게 전파되게 하여 공유한다.
한편, 추가할 위험 구역(a2)은 이탈 위치(S)의 전방 위치(또는 구역)으로 설명하였으나, 위험 구역(a2)은 시간이 지나면 확산할 수 있으므로, 이탈 위치(S)로 선정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얻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에, 추가하는 위험 구역(a2)을 이탈 위치(S)로 하여 설명하였다. 물론, 이탈 위치의 전방 위치는 이동 방향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30)는 대피 상황이 발생할 시에 파악된 위험 구역을 관리 영역(1) 내의 스마트 기기(40)에 전파하여 대피 안내하게 한 이후에도 위험 구역 공유 지원 단계(S41) 및 대피 경로 분산 지원 단계(S42)를 포함하는 원격 지원 단계(S40)를 수행한다.
상기 위험 구역 공유 지원 단계(S41)는 관리 영역(1) 내의 스마트 기기(40)에서 추가하는 위험 구역을 취합하여, 미리 설정된 대수 이상의 스마트 기기(40)가 동일한 구역을 위험 구역으로 추가하였을 시에, 해당 위험 구역을 다른 스마트 기기(40), 즉, 해당 위험 구역을 추가하지 아니한 스마트 기기(40)에게 전송하여, 공유하게 한다.
이에, 관리 영역(1) 내의 스마트 기기(40)는 대피 상황을 접수할 시에 파악된 위험 구역을 서버(30)로부터 수신하여 대피 경로를 정하고 안내하는 중이더라도, 대피 경로를 이탈하여 위험 구역을 추가할 때, 및 다른 스마트 기기(40)에 의해서 추가된 위험 구역을 서버(30)의 중계로 수신할 때에 각각 대피 경로를 수정하여, 수정한 대피 경로를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대피 경로 분산 지원 단계(S42)는 관리 영역(1) 내의 스마트 기기(40)에서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40) 위치를 취합하여, 대피 통로맵 상의 각 통로 구간에 대한 밀집도(또는 혼잡도)를 산정하고, 미리 정한 설정 기준치 이상의 밀집도가 나타나는 구간이 생기면, 해당 구단을 회피 구역으로 결정하여 스마트 기기(40)에게 전달한다.
즉, 관리 영역(1) 내의 스마트 기기(40)는 위험 구역 및 회피 구역을 모두 회피하여 탈출할 수 있는 대피 경로를 생성하므로,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대피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변형된 실시 예로서, 서버(30)에서 위험 구역 및 회피 구역을 모두 회피하는 대체 경로를 생성하여 스마트 기기(40)에게 전달하여도 좋다. 그렇지만, 전송할 데이터량을 줄이려면, 회피 구역을 스스로 대피 경로를 획득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40)에게 알리는 방식으로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밀집도(또는 혼잡도)에 따라 회피 구역을 결정하여 전파하는 경우, 전파할 대상인 스마트 기기(40)는 회피 구역으로 이동 중인 스마트 기기(40)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피 상황에서는 출입자가 스마트 기기(40)를 분실할 수도 있으므로, 미리 정한 설정 임계 시간 이상으로 움직이지 않는 스마트 기기(40)는 밀집도 산정에서 제외하여, 출입자의 밀집도(또는 혼잡도)를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 관리 영역 2 : 진입구
3 : 통신망 4 : 경보 수단
5 : 앱스토어
10 : 무선 측위 인프라 11 : 비콘
12 : 에이피(AP : Access Point)
20 : 태그
30 : 서버
40 : 스마트 기기
50 :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

Claims (9)

  1. 관리 영역(1)의 출입자가 휴대하는 스마트 기기(40), 및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50)이 스마트 기기(40)에서 실행되어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데 사용할 대피 통로맵을 관리 영역별로 저장하여 두고 통신망(3)을 통해 스마트 기기(40)에 제공하는 서버(30)에 의해 이루어지는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기기(40)에서, 관리 영역(1)에 진입할 시에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50)을 설치하고, 대피 통로맵을 서버(3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대비 단계(S10);
    서버(30)에서, 대피 상황에 따른 위험 구역을 외부로부터 수신할 시에 위험 구역을 스마트 기기(40)에 전송하는 경보 단계(S20);
    스마트 기기(40)에서, 관리 영역(1)에 구축된 무선 측위 인프라(10)의 도움을 받아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한 위치에서 위험 구역을 회피하며 탈출할 대피 경로를 대피 통로맵에서 획득하여 안내하고, 대피 경로를 이탈할 시에 이탈 위치를 위험 구역으로 추가하여 대피 경로를 수정한 후 안내하고, 추가한 이탈 위치를 서버(30)에 전송하는 안내 단계(S30);
    서버(30)에서, 스마트 기기(40)에 의해 추가된 위험 구역을 수신할 시에 관리 영역(1) 내의 다른 스마트 기기(40)에게 전송하여 공유하게 하는 실시간 원격 지원 단계(S40);
    를 포함하는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원격 지원 단계(S40)는
    미리 설정된 대수 이상의 스마트 기기(40)가 동일한 위치를 위험 구역으로 추가할 시에 관리 영역(1) 내의 다른 스마트 기기(40)에게 전송하여, 스마트 기기(40)에서 추가 위험 구역에 따라 대피 경로를 수정하여 안내하게 하는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단계(S30)는
    대피 경로를 따라 이동하기 위한 방향을 안내하고, 이동 경로를 모니터링하여 대피 경로를 이탈할 시에 이탈 위치를 위험 구역으로 추가하는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비 단계(S10)는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50)을 설치하기 위한 앱스토어 접속 환경을 제공하는 태그(20)를 관리 영역(1)의 진입구(2)에 비치하여서, 태그(20)를 이용하여 대피 안내 애플리케이션(50)을 설치하는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단계(S30)는
    스마트 기기(40)에서, 식별한 위치를 주기적으로 서버(30)에 전송하고,
    상기 실시간 원격 지원 단계(S40)는
    서버(30)에서, 스마트 기기(40)의 밀집도에 따라 대피 경로를 대체할 대안 정보를 스마트 기기(40)에 전송하는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원격 지원 단계(S40)는
    밀집도가 설정 기준치 이상인 구역을 회피 구역으로 결정하고, 위험 구역 및 회피 구역을 모두 회피하는 대체 경로를 대안 정보로 하여 생성한 후 전송함으로써, 스마트 기기(40)에서 전송받은 대피 경로에 따라 안내하게 하는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원격 지원 단계(S40)는
    밀집도가 설정 기준치 이상인 구역을 회피 구역으로 결정하고, 회피 구역을 대안 정보로 하여 전송함으로써, 스마트 기기(40)에서 위험 구역 및 회피 구역을 회피하는 대피 경로에 따라 안내하게 하는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원격 지원 단계(S40)는
    설정 기준치 이상의 밀집도가 나타난 구역으로 이동 중인 스마트 기기(40)를 선별하여 대안 정보를 전송하는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원격 지원 단계(S40)는
    설정 임계 시간 이상으로 움직이지 않는 스마트 기기(40)를 밀집도 산정에서 제외하는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
KR1020180050118A 2018-04-30 2018-04-30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 KR102108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118A KR102108963B1 (ko) 2018-04-30 2018-04-30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118A KR102108963B1 (ko) 2018-04-30 2018-04-30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823A true KR20190125823A (ko) 2019-11-07
KR102108963B1 KR102108963B1 (ko) 2020-05-11

Family

ID=6857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118A KR102108963B1 (ko) 2018-04-30 2018-04-30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96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335A (ko) * 2019-12-25 2021-07-05 장필준 화재대피 유도시스템 및 방법
KR102381225B1 (ko) * 2021-03-18 2022-04-01 주식회사 아이미디어솔루션 구역별 비상 전관 방송의 제어
CN114724322A (zh) * 2022-03-28 2022-07-08 安徽上造智能设备科技有限公司 可视化的防护服用逃生路线指引系统及方法
KR20220126016A (ko) * 2021-03-08 2022-09-1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발전소 경보 알림 및 정보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KR20220169267A (ko) * 2021-06-18 2022-12-27 주식회사 다바 재실자 모니터링 및 피난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WO2023153019A1 (ja) * 2022-02-10 2023-08-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端末、情報処理方法、警報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7274A (ja) * 2004-07-07 2006-02-16 East Japan Railway Co 経路誘導システム
JP2013149189A (ja) * 2012-01-23 2013-08-01 Hitachi Information & Control Solutions Ltd 避難誘導方法および避難誘導システム
KR101536876B1 (ko) 2014-12-30 2015-07-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재해 대피 및 구조지원 시스템
KR20170059261A (ko) * 2015-11-20 2017-05-30 주식회사 케이티 긴급 상황 발생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01657A (ko) 2016-02-29 2017-09-06 팅크웨어(주) 통신 인프라와 연동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23147B1 (ko) * 2017-07-12 2018-03-14 아이티플래닛 주식회사 비콘 기반 안심 동행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7274A (ja) * 2004-07-07 2006-02-16 East Japan Railway Co 経路誘導システム
JP2013149189A (ja) * 2012-01-23 2013-08-01 Hitachi Information & Control Solutions Ltd 避難誘導方法および避難誘導システム
KR101536876B1 (ko) 2014-12-30 2015-07-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재해 대피 및 구조지원 시스템
KR20170059261A (ko) * 2015-11-20 2017-05-30 주식회사 케이티 긴급 상황 발생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01657A (ko) 2016-02-29 2017-09-06 팅크웨어(주) 통신 인프라와 연동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23147B1 (ko) * 2017-07-12 2018-03-14 아이티플래닛 주식회사 비콘 기반 안심 동행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335A (ko) * 2019-12-25 2021-07-05 장필준 화재대피 유도시스템 및 방법
KR20220126016A (ko) * 2021-03-08 2022-09-1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발전소 경보 알림 및 정보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381225B1 (ko) * 2021-03-18 2022-04-01 주식회사 아이미디어솔루션 구역별 비상 전관 방송의 제어
KR20220169267A (ko) * 2021-06-18 2022-12-27 주식회사 다바 재실자 모니터링 및 피난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WO2023153019A1 (ja) * 2022-02-10 2023-08-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端末、情報処理方法、警報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14724322A (zh) * 2022-03-28 2022-07-08 安徽上造智能设备科技有限公司 可视化的防护服用逃生路线指引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963B1 (ko) 202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963B1 (ko) 능동적 긴급 대피 경로 안내 방법
US20200267419A1 (en) Set-Top Box,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wareness in a Hospitality Environment
CA2890503C (en) System and method of voice based personalized interactive evacuation guidance
US100281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ed emergency exit
US11557014B2 (en) Real-time managing evacuation of a building
KR100927581B1 (ko) 원격 방재 관리 시스템
JP2023011892A (ja) 防災システム
CN110969788A (zh) 个人化逃生导引系统
CN105637436B (zh) 在过程图形上呈现现场用户的方法和布置
KR102086541B1 (ko) 상황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049418B1 (ko) 상황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503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사물 위치 추적 방법
TW202011217A (zh) 個人化逃生導引系統
KR20170034245A (ko) 위치에 기반한 출입보안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49202A (ko) 비상 상황 중계 시스템 및 그 중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