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711A -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711A
KR20190125711A KR1020180049852A KR20180049852A KR20190125711A KR 20190125711 A KR20190125711 A KR 20190125711A KR 1020180049852 A KR1020180049852 A KR 1020180049852A KR 20180049852 A KR20180049852 A KR 20180049852A KR 20190125711 A KR20190125711 A KR 20190125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e
manufacturing
mwcnt
conductive cor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행기
무하마드살만
하마드 라자 칼리드
장대익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49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5711A/ko
Priority to PCT/KR2018/006878 priority patent/WO2019212085A1/ko
Publication of KR20190125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 H10N30/302Sensors
    • H01L41/1132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06Preparatory processes
    • C08G77/08Preparatory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8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resistive materials, i.e. materials of which the ohmic resistance varies according to changes in magnitude or direction of force applied to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1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passing through or dipping in a liquid bath; by spra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6Extensible conductors or cables, e.g. self-coiling co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L41/19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7Macromolecular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 중합체(silicone polymer)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를 혼합한 전도성 코어와 실리콘 재질의 단열피복재로 구성되어, 10 ~ 500 %의 변형률 범위에서 작동할 수 있는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는, 실리콘 중합체(백금촉매 실리콘(Platinum-catalyzed silicone))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 무수 톨루엔(Toluene Anhydrous)(99.8%)을 포함하는 전도성 코어(1)와; 상기 전도성 코어(1)의 외면에 피복된 실리콘 재질의 단열피복재(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Highly Stretchable and Flexible Piezoresistive CNT-Silicone Wire Sensor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저항 와이어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리콘 중합체(silicone polymer)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를 혼합한 전도성 코어와 실리콘 재질의 단열피복재로 구성되어, 10 ~ 500 %의 변형률 범위에서 작동할 수 있는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착용성 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 액추에이터 (인공 근육) 및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와 같은 수없이 많은 응용 분야에서 향상된 신축성(stretchability) 및 광범위한 감지 변형에 대한 민감도를 갖는 스트레인 센서가 매우 중요 해지고 있다.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CPCs)의 응용은 다양한 변형 및 인간의 움직임을 조사하는 가장 중요한 접근 방법이 되고 있다.
인체 운동 스트레인의 범위는 0.5 % ~ 200 %이며, 특정 단일 유형의 복합 센서 작동은 이 넓은 범위에서는 매우 어렵다. 기존에 변형률 범위가 최대 1 % ~ 10 %, 10 % ~ 55 % 및 50 % ~ 150 % 인 다양한 복합 센서가 보고되었다.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412623호에 "압저항 센싱감도가 향상된 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 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갖는 압력감응센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압력감응센서는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 메트릭스 (실리콘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이용한 탄소나노뷰트 복합체를 제조하여, 외부의 압력에 따른 복합체의 저항 변화를 통하여 압력감응 센서로 이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나, 사용하는 고분자 메트릭스의 신축성이 낮아 실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759120호에 탄성을 가진 유전체로 이루어진 스킨부와, 상기 스킨부 내에 내장되며 동일 평면상에서 제1 좌표축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1 센서소자와, 상기 스킨부 내에 내장되며 동일 평면상에서 제2 좌표축에 평행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센서소자에 대해 꼬인 위치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 센서소자를 포함하는 "촉각센서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등록특허의 촉각센서는 전류의 변화와 크기를 감지하여 압력 위치 및 크기를 연산하는 방법으로 전류를 인가하는 외부 전류원을 필요로 하는 결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412623호 등록특허 제10-1759120호
본 발명은 10 ~ 500 %의 변형률 범위에서 작동할 수 있는 새로운 0.5mm ~ 1.5mm 크기의 센서를 개발하고, 합성된 센서를 사용하여 거의 모든 유형의 신체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른 유형의 압력 센서를 만들 수 있는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것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는, 실리콘 중합체(백금촉매 실리콘(Platinum-catalyzed silicone)),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 무수 톨루엔(Toluene Anhydrous)(99.8%)을 포함하는 전도성 코어와; 상기 전도성 코어의 외면에 피복된 단열피복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의 제조 방법은,
0.2~3.0 중량%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를 30~120 분 동안 톨루앤 용액 5 ~ 50 ㎖에 30 ~ 120 분 동안 초음파 처리(sonification)하는 단계;
상기 용액을 40 ℃ ~ 90 ℃에서 실리콘 중합체에 첨가하는 단계;
50 ~ 90 ℃의 고온 및 초음파 처리에서 일정하게 혼합하여 실리콘에 CNT를 균일하게 분산하는 단계;
40 ~ 90 ℃의 온도에서 용액을 고압 주사기 펌프로 다양한 직경(0.2-3.5㎜)의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EE) 재질의 튜브에 주입하는 단계;
합성된 와이어를 다시 실리콘 용액으로 처리하여 절연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MWCNT-실리콘 와이어 센서는 신축성이 뛰어나고 유연성이 뛰어나며 우수한 압전 저항 응답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MWCNT-실리콘을 기반으로 한 와이어 형태의 센서는 주기적인 인장 변형률(10~500%)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며, 저항 변화는 변형률 수준(level)에 따라 400 - 1000 % 범위이다.
변형(strain)은 와이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지될 수 있으며, 와이어의 전기적 응답은 센서에 걸리는 변형으로 인해 검출될 수 있다.
변형의 크기는 전기적 응답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탁월한 유연성과 높은 신축성으로 인해 와이어는 섬유에 통합되어 감지 및 모니터링과 같은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만들어진 다양한 직경을 갖는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에 대한 사진이다.
도 4는 탄소나노튜브-실리콘 와이어의 SEM 이미지이다.
도 5는 전도성 MWCNT- 실리콘 와이어를 사용하여 상승 진폭으로 인장 로딩-언로딩(loading-unloading)에 대한 피에조 저항 응답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전도성 MWCNT의 다른 직경을 사용하여 최대 200% 변형까지 인장 하중을 가했을 때의 피에조 저항 응답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100% 변형률과 0.5㎜/초의 주파수로 최대 100 사이클까지 MWCNT-실리콘 복합 와이어의 신뢰성 테스트를 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을 후술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는, 실리콘 중합체(백금촉매 실리콘(Platinum-catalyzed silicone))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 무수 톨루엔(Toluene Anhydrous)(99.8%)을 포함하는 전도성 코어(1)와; 상기 전도성 코어(1)의 외면에 피복된 실리콘 재질의 단열피복재(2);를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코어(1)의 직경은 대략 300㎛ 이상이고, 단열피복재(2)의 두께는 대략 50㎛ 내외이다.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의 농도는 0.25% ~2.5%이다.
또한 상기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의 변형 감지 범위는 10~500%이다.
본 발명의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0.2~3.0 중량%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를 30~120 분 동안 톨루앤 용액 5 ~ 50 ㎖에 30 ~ 120 분 동안 초음파 처리(sonification)하는 단계.
상기 용액을 40 ℃ ~ 90 ℃에서 실리콘 중합체에 첨가하는 단계.
50 ~ 90 ℃의 고온 및 초음파 처리에서 일정하게 혼합하여 실리콘에 CNT를 균일하게 분산하는 단계.
40 ~ 90 ℃의 온도에서 용액을 고압 주사기 펌프로 다양한 직경(0.2-3.5㎜)의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EE) 재질의 튜브에 주입하는 단계.
합성된 와이어를 다시 실리콘 용액으로 처리하여 절연하는 단계.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본 발명의 MWCNT-실리콘 와이어 센서는 신축성이 뛰어나고 유연성이 뛰어나며 우수한 압전 저항 응답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MWCNT-실리콘을 기반으로 한 와이어 형태의 센서는 주기적인 인장 변형률(10~500%)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며, 저항 변화는 변형률 수준(level)에 따라 400 - 1000 % 범위이다.
변형(strain)은 와이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지될 수 있으며, 와이어의 전기적 응답은 센서에 걸리는 변형으로 인해 검출될 수 있다.
변형의 크기는 전기적 응답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탁월한 유연성과 높은 신축성으로 인해 와이어는 섬유에 통합되어 감지 및 모니터링과 같은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 센서는 모든 종류의 피에조 저항 감지 플랫폼(piezoresistive sensing platforms)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식 센서, 햅틱 장치, 인공 전자 스킨, 생리 모니터링 및 평가 시스템, 생체 의학 응용 등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 : 전도성 코어(conductive core) 2 : 단열피복재

Claims (2)

  1. 실리콘 중합체(백금촉매 실리콘(Platinum-catalyzed silicone)),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 무수 톨루엔(Toluene Anhydrous)(99.8%)을 포함하는 전도성 코어(1)와;
    상기 전도성 코어(1)의 외면에 피복된 단열피복재(2);
    를 포함하는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
  2. 0.2~3.0 중량%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를 30~120 분 동안 톨루앤 용액 5 ~ 50 ㎖에 30 ~ 120 분 동안 초음파 처리(sonification)하는 단계;
    상기 용액을 40 ℃ ~ 90 ℃에서 실리콘 중합체에 첨가하는 단계;
    50 ~ 90 ℃의 고온 및 초음파 처리에서 일정하게 혼합하여 실리콘에 CNT를 균일하게 분산하는 단계;
    40 ~ 90 ℃의 온도에서 용액을 고압 주사기 펌프로 다양한 직경(0.2-3.5㎜)의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EE) 재질의 튜브에 주입하는 단계;
    합성된 와이어를 다시 실리콘 용액으로 처리하여 절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의 제조 방법.
KR1020180049852A 2018-04-30 2018-04-30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125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852A KR20190125711A (ko) 2018-04-30 2018-04-30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PCT/KR2018/006878 WO2019212085A1 (ko) 2018-04-30 2018-06-19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852A KR20190125711A (ko) 2018-04-30 2018-04-30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711A true KR20190125711A (ko) 2019-11-07

Family

ID=6838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852A KR20190125711A (ko) 2018-04-30 2018-04-30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25711A (ko)
WO (1) WO20192120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95149A (zh) * 2022-11-15 2023-04-04 武汉理工大学 一种复合材料膜及其制备方法、柔性压阻传感器及其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8035B (zh) * 2022-05-09 2023-05-09 西南交通大学 柔性压阻式压力传感器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623B1 (ko) 2012-05-10 2014-07-0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압저항 센싱감도가 향상된 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 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갖는 압력감응센서
KR101759120B1 (ko) 2015-08-06 2017-07-2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촉각센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6176A1 (fr) * 2009-05-27 2010-12-03 Arkema France Fibre conductrice multicouche et son procede d'obtention par co-extrusion.
KR101577212B1 (ko) * 2014-06-16 2015-12-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저항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압저항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복합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623B1 (ko) 2012-05-10 2014-07-0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압저항 센싱감도가 향상된 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 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갖는 압력감응센서
KR101759120B1 (ko) 2015-08-06 2017-07-2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촉각센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95149A (zh) * 2022-11-15 2023-04-04 武汉理工大学 一种复合材料膜及其制备方法、柔性压阻传感器及其应用
CN115895149B (zh) * 2022-11-15 2023-10-13 武汉理工大学 一种复合材料膜及其制备方法、柔性压阻传感器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2085A1 (ko)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Wearable, ultrawide-range, and bending-insensitive pressure sensor based on carbon nanotube network-coated porous elastomer sponges for human interface and healthcare devices
Khalid et al. Flexible strain sensors for wearable applications fabricated using novel functional nanocomposites: A review
Jin et al. Highly durable nanofiber-reinforced elastic conductors for skin-tight electronic textiles
Wu et al. Transparent polymeric strain sensors for monitoring vital signs and beyond
Yu et al. Wearable temperature sensors with enhanced sensitivity by engineering microcrack morphology in PEDOT: PSS–PDMS sensors
Wang et al. Polyurethane/cotton/carbon nanotubes core-spun yarn as high reliability stretchable strain sensor for human motion detection
Lu et al. Design of helically double-leveled gaps for stretchable fiber strain sensor with ultralow detection limit, broad sensing range, and high repeatability
Song et al. Breathable and skin-mountable strain sensor with tunable stretchability, sensitivity, and linearity via surface strain delocalization for versatile skin activities’ recognition
Chen et al. Design of flexible strain sensor with both ultralow detection limit and wide sensing range via the multiple sensing mechanisms
WO2016197429A1 (zh) 电阻应变片及电阻应变式传感器
Yuan et al. Flexible and breathable strain sensor with high performance based on MXene/nylon fabric network
Liu et al. Highly stretchable, sensitive and wide linear responsive fabric-based strain sensors with a self-segregated carbon nanotube (CNT)/Polydimethylsiloxane (PDMS) coating
Liu et al. A biomimetic multifunctional electronic hair sensor
Kim et al. Stretching and twisting sensing with liquid-metal strain gauges printed on silicone elastomers
Zhao et al. A wearable sensor based on gold nanowires/textile and its integrated smart glove for motion monitoring and gesture expression
Tang et al. Coaxial carbon nanotube/polymer fibers as wearable piezoresistive sensors
Jang et al. Design of a highly flexible and sensitive multi-functional polymeric sensor incorporating CNTs and carbonyl iron powder
Baldoli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 multilayer matrix textile sensor for interface pressure measurements
Guo et al. Highly stretchable, responsive flexible dual‐mode magnetic strain sensor
Kapoor et al. Toward fully manufacturable, fiber assembly–based concurrent multimodal and multifunctional sensors for e‐textiles
KR20190125711A (ko) 고 신축성 압저항 와이어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Zhang et al. A highly sensitive and stretchable strain sensor based on a wrinkled chitosan-multiwall carbon nanotube nanocomposite
Yoon et al. MultiSoft: Soft sensor enabling real-time multimodal sensing with contact localization and deformation classification
Huang et al. Highly stretchable, rapid-response strain sensor based on SWCNTs/CB nanocomposites coated on rubber/latex polymer for human motion tracking
Yang et al. Electromechanical sorting method for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micropyramid carbon nanotube film flexible force sen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