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4619A -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4619A
KR20190124619A KR1020180079728A KR20180079728A KR20190124619A KR 20190124619 A KR20190124619 A KR 20190124619A KR 1020180079728 A KR1020180079728 A KR 1020180079728A KR 20180079728 A KR20180079728 A KR 20180079728A KR 20190124619 A KR20190124619 A KR 20190124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image data
us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258B1 (ko
Inventor
권용진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90124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원은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 중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하는 단계; 및 (b)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EVICE AND METHOD FOR REGIONAL INFORMATION SEARCHING SERVICE APPLYING OF IMAGES BASED ON THE 020 PLATFORM}
본원은 사진 등의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사용의 급증과 스마트폰의 성장은 온라인 시스템의 빠른 발달과 소셜 커뮤니티의 증가를 가져왔다. 이로 인해, 다른 사람들과의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공급자와 소비자를 이어 주는 방식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변화는 온라인을 통해 오프라인으로, 또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소비자를 유도하여 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쌍방향 마케팅인 O2O(Online-to-Offline) 의 발달을 가져왔다. 이러한 O2O는 스마트폰 및 소셜 미디어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매장 주위에 있는 고객에게 온라인 할인쿠폰을 전송해 구매를 유도하는 등의 O2O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지도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에 O2O를 적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시스템은 미비한 실정이다.
더불어, 기존의 사용자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가 직접 추천 버튼을 클릭하는 동작을 수행해야 추천수가 증가하는 불편함이 발생하며, 해당 장소에 방문한 사용자와 해당 장소에 방문하지 않은 사용자의 추천이 구분되지 않아 추천 조작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2542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갖고 있는 사진 등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지역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수의 이미지 중 해당 지역에 대하여 보다 선호되는 시각 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우선적으로 표출되거나 추천될 수 있는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 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진 등의 이미지에 포함된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연계하여 해당 이미지에 대응되는 지역에 관한 경로 설정 및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 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 중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하는 단계; 및 (b)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는 사용자 단말이 획득한 단말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입력한 입력 위치정보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상기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영역 내의 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은, 상기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한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의 영역인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c)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하여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 기반으로 랭크를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랭크를 고려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하는 것 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랭크와 관련된 우선 순위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은, 화면에 표출되는 지도상에서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지도 마커와 다른 하나의 지도 마커가 서로 적어도 일부 겹쳐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적으로 표시할 지도 마커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는 복수의 레벨로 분류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의 레벨을 고려하여 랭크를 갱신하는 것 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는, (c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이미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상기 선택 이미지에는 제1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1 점수가 부가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는, (c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 이미지 중 선택된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길 안내 요청을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는 제2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2 점수가 부가 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점수는 상기 제1 점수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된 점수인 것 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2) 단계는, 상기 길 안내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목적지 정보로 설정하여 생성한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길 안내 정보는, 상기 단말 위치정보 또는 상기 입력 위치 정보를 출발지 정보로 설정하여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는, (c3)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획득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수신받은 사용자 획득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상기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일치할 경우, 상기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는 제3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3 점수가 부가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점수는 상기 제1 점수 및 상기 제2 점수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된 점수인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2)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선택된 경유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경유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경유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경유지로 설정하여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2) 단계는, 상기 길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에 포함되는 어느 한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에 미리 설정된 랭크 이상의 랭크와 연관된 이미지 데이터의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추천 위치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위치를 경유하도록 갱신하여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는, (c3)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획득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수신받은 사용자 획득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상기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일치할 경우, 상기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는 제3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3 점수가 부가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점수는 상기 제1 점수 및 상기 제2 점수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된 점수인 것일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 중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하는 이미지 데이터 선별부; 및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는 사용자 단말이 획득한 단말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입력한 입력 위치정보인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선별부는, 상기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영역 내의 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하여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 기반으로 랭크를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랭크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선별부는 상기 랭크를 고려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랭크와 관련된 우선 순위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은, 화면에 표출되는 지도 상에서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지도 마커와 다른 하나의 지도 마커가 서로 적어도 일부 겹쳐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적으로 표시할 지도 마커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는 복수의 레벨로 분류되고, 상기 랭크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의 레벨을 고려하여 랭크를 갱신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이미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는 사용자 행동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상기 선택 이미지에는 제1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1 점수가 부가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 수신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 이미지 중 선택된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길 안내 요청을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고, 상기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는 제2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2 점수가 부가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길 안내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목적지 정보로 설정하여 생성한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경로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길 안내 정보는, 상기 단말 위치정보 또는 상기 입력 위치 정보를 출발지 정보로 설정하여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 수신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획득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되, 수신받은 사용자 획득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상기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일치할 경우, 상기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는 제3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3 점수가 부가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로 안내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선택된 경유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경유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경유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경유지로 설정하여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로 안내부는, 상기 길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에 포함되는 어느 한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에 미리 설정된 랭크 이상의 랭크와 연관된 이미지 데이터의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추천 위치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위치를 경유하도록 갱신하여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 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장소의 실제 풍경 등과 같은 시각적 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가진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하고, 지도상에 이미지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함으로써, 지도상에서 위치정보를 가지고 해당 장소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이미지와 함께 지역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의 일련의 행동(예를 들면 연속적인 행동(sequential behavior))에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해당 이미지 및 해당 이미지에 대응하는 장소의 방문 가치에 대한 신뢰성을 부여하고, 이를 통해 방문객을 유치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홍보와 활성화를 유도하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지도상에 표시된 이미지를 선택받고, 길 안내 요청을 받아 해당 이미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최단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장소의 주소를 입력하지 않고도 목적지 또는 경유지를 경유한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를 제공하여 방문객들을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유도하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특정 이미지의 랭크를 올리기 위해서는 각 단계에 대응하는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대한 점수가 부가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랭크 조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랭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b 내지 3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적으로 표시할 지도 마커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4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사용자 단말의 지도상에 마커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사용자 행동 기반으로 랭크를 갱신하는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6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지도와 연계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밀 지도에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고정밀 지도에 적용되는 경우 좁은 골목길과 같은 도보 경로에 대한 보다 상세하고 정확한 안내가 이미지 연관 위치정보와 연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또한,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사진을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또한, 도 3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3b 내지 3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적으로 표시 할 지도 마커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4a 내지 4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대 또는 축소에 따라 지도상에 표시된 마커가 변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5는 사용자 행동 기반으로 랭크를 갱신하는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또한, 도 6a 내지 6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시스템(1000)은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01 내지 S103는 본원의 구현 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본원에서의 이미지는 사진 및 동영상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원에서 이미지는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모든 콘텐츠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데이터의 집합)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억 장치란, 컴퓨터에서 자료를 일시적 또는 영구히 보존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억 장치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롬, 램, 비휘발성 메모리, 테이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업로드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multer 모듈을 통해 수신받은 이미지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참고로,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지에 대한 설명 또는 사용자(방문자)의 커멘트(댓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커멘트는 해당 장소에 방문한 사용자가 방문 후기를 남긴 커멘트(댓글)일 수 있다. 이러한 설명 또는 의견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작성되어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업로드 받은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GPS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추출한 GPS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이미지 데이터가 사전에 지정한 범위 안에서 촬영된 이미지인지를 판별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범위를 벗어난 이미지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미지 데이터의 GPS 정보 내의 위도 및 경도 값이 사전에 지정한 범위 안에 위치하는지 파악하여 사전에 지정한 범위를 벗어난 이미지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전에 지정한 범위 안에 들어온 이미지 데이터의 위도, 경도 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원에서의 이미지 데이터는 사진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원에서 이미지 데이터는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모든 데이터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데이터는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EXIF는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할 때 사진을 찍은 휴대폰의 종류, GPS 정보 등을 확인하는 모듈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이하, '본 제공 방법'이라 함)은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 중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하는 단계(S10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는 촬영 등을 통해 이미지를 획득한 이미지 획득 기기에서 파악된 위치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는 카메라나 휴대폰을 통해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해당 카메라 또는 휴대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GPS 모듈을 통해 획득된 위치정보가 촬영된 이미지와 연관되어 저장되는 형태로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는 이미지가 촬영된 실제 위치로부터 소정의 오차 범위(GPS 모듈과 같은 위치 획득 모듈이 가진 오차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위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위치정보는 GPS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위치정보는 주소 정보, 위도 및 경도 정보와는 다른 형태의 위치 좌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 받은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삭제 요청을 받아 해당 이미지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삭제 요청을 한 사용자 단말(200)과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200)이 동일한 경우,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이미지 데이터를 바로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삭제 요청을 한 사용자 단말(200)과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200)이 다른 경우,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이미지에 대한 삭제 요청 사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전자 앨범을 만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선택 요청을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선택받은 이미지들에 대한 전자 앨범 생성 요청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선택 받은 이미지들을 포함하도록 전자 앨범을 생성할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성한 전자 앨범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앨범은,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이미지에 대한 설명 및 사용자 커멘트(댓글)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커멘트(댓글)은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업로더가 작성한 것이 아닌, 해당 이미지 데이터를 목적지로 하여 특정 장소에 방문한 사용자의 방문 후기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받는 이미지 데이터의 개수를 사용자 단말(200) 별로, 또는 사용자 별로 제한할 수 있다. 이처럼 이미지 데이터의 업로드 가능 개수를 소정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무차별적인 정보 생성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당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만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만 이미지 데이터를 업로드 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 받는 이미지 데이터의 형식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 받은 이미지 데이터의 형식에 EXIF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 받는 이미지 데이터의 형식을 제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이미지 형식의 데이터만 전송 받을 수 있다. 이미지 형식은 jpeg, jpg, png, gif, psd, pdf, tiff, tif, raw, ai, eps, mkv, avi, mp4, wm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미지 데이터의 GPS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이 획득한 단말 위치정보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위치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획득한 GPS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입력한 입력 위치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입력한 위치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또는 임의로 입력한 위치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보다 정확한 자신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자신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사용자가 관심이 있거나 파악하고자 하는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가 위치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은 주소, 경도, 위도, GPS 정보 등을 직접 입력하는 방식 또는 지도 상에서 소정의 위치를 선택하는 방식 등일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선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를 참조하면, S101 단계는,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231)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영역(232) 내의 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233)를 선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미리 설정된 영역(232)은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231)를 중심으로 한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의 영역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영역(232)은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231)를 중점으로 100m, 300m, 500m 등의 일정한 반경을 가진 원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영역(232)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영역(232)은 다각형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영역(232)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임의로 설정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영역(232)은 사용자가 지도상에 임의로 그린 도형(직선 및 곡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형)일 수 있다. 참고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미리 설정된 영역(232)을 수신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미리 설정된 영역(232)에 해당하는 GPS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도3a에는 미리 설정된 영역(232)과 관련한 지도 상의 표시(예를 들면, 점선 형태의 경계 표시)가 되어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제공 방법은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및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는 단계(S1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는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GPS 정보일 수 있다. 참고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미지 데이터 및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동시에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신하면,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하여 사용자 행동 정보 기반으로 랭크를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10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이미지 데이터(233)에 대한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행동 정보는 이미지 데이터(233)를 선택하는 정보일 수 있다. 달리 말해, 사용자 행동 정보는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 중 특정 이미지 데이터(233)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행동에 관한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랭크(234)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랭크(234)는 각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부가된 점수의 연산의 결과물일 수 있다. 또한, 도 3a를 참조하면, 랭크(234)는 랭크가 높은 이미지 데이터(233) 상에, 또는 랭크가 높은 이미지 데이터(233)와 이웃하게 지도 상에 표시될 수 있으나, 랭크(234)의 표시 방법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분야에서 고려될 수 있는 다양한 표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랭크(234)의 표시는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전술한 S101단계는 랭크를 고려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영역(232) 내의 랭크(234)가 높은 이미지 데이터(233)일수록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되도록 우선 순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우선 순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S102 단계는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랭크와 관련된 우선 순위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랭크와 관련된 우선 순위 정보는 랭크(234)가 클수록 높은 순위가 부여되도록 설정된 정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각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랭크가 가장 높은 이미지 데이터부터 순서대로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화면에 표출되는 지도 상에서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233) 중 어느 하나의 지도 마커와 다른 하나의 지도 마커가 서로 적어도 일부 겹쳐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적으로 표시할 지도 마커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랭크와 관련된 우선 순위 정보에 포함된 랭크(234)에 기초하여 우선적으로 표시할 지도 마커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 받은 이미지 데이터 및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지도 상에 표시할 지도 마커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도 상의 위치에 지도 마커를 생성하고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 받아 Google Maps JavaScript API V3를 이용하여 화면에 지도를 나타내고 전송 받은 이미지 데이터를 토대로 지도 마커를 매쉬업할 수 있다. 또한, 지도 마커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마커는 지도 상에 해당 위치의 풍경이 찍힌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지도 마커는 지도 상에 해당 위치의 풍경을 녹화한 동영상일 수 있다. 참고로, 지도 마커의 크기 또는 모양은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마커의 크기는 사용자가 설정한 가로 및 세로의 길이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길이는 밀리미터, 센티미터, 미터, 킬로미터, 인치, 피트, 야드, 마일, 자, 간, 정, 리, 해리 등을 포함하는 길이 단위일 수 있다. 또한, 지도 마커의 모양은 사용자가 설정한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각형 또는 원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그린 도형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지도 마커의 겹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 및 3c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지도 상에 표시된 지도 마커의 겹침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지도 상에 지도 마커를 매쉬업 할 때 각 이미지 데이터마다 검사를 하여 이미 생성되어 있는 지도 마커의 겹침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지도 마커의 겹침이란, 어느 하나의 지도 마커(235)(이하, '제1지도 마커'라 함)와 다른 하나의 지도 마커(236)(이하, '제2지도 마커'라 함)가 지도 상(예를 들면 평면 뷰[plan view] 관점)에서 적어도 일부 겹칠 경우, 이를 지도 마커의 겹침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지도상에 표시된 지도 마커 중 겹쳐진 지도 마커 각각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 각각의 랭크(234)를 비교하여 우선적으로 표시(예를 들면 상위 레이어에 표시)할 지도 마커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제1지도 마커(235)의 제1랭크(236)와 제2지도 마커(237)의 제2 랭크(238)를 비교하여 랭크가 높은 지도 마커를 우선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제1지도 마커(235)의 제1랭크(236)가 11이고, 제2지도 마커(237)의 제2랭크(238)가 2라면, 사용자 단말(200)은 랭크가 더 높은 제1지도 마커(235)를 지도 상에 우선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우선적으로 표시한다는 것은, 도 3b와 같이, 제1지도 마커(235)를 제외한 나머지 지도 마커를 표시하지 않거나, 또는, 도 3c와 같이, 제1지도 마커(235)를 맨 위에 표시하고 나머지 지도 마커는 하위에 표시하는 것을 모두 포괄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나머지 지도 마커를 표시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미 생성되어 있는 지도 마커에 겹쳐지는 나머지 마커는 매쉬업 되지 않고 우선적으로 표시할 지도 마커인 대표 마커에 나머지 지도 마커가 귀속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도 마커(235)에 나머지 지도 마커가 귀속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나머지 지도 마커를 하위에 표시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하위에서 우선적으로 표시할 지도 마커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지도 마커에 이벤트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지도 마커에 대한 입력을 수신 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200)은 지도 마커에 대한 입력을 수신 받으면 해당 지도 마커에 속한 이미지를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지도 마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도 상에 표시되는 대표 마커(우선적으로 표시되는 마커)를 의미하고, 지도 마커에 속한 이미지는, 대표 마커에 귀속된 지도 마커에 대응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나열한 이미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입력을 수신 받으면 해당 이미지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200)은 확대하여 표시한 이미지와 함께 해당 이미지에 대한 설명 또는 사용자의 커멘트(댓글)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대표 마커에 귀속된 지도 마커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최근에 업데이트된 이미지를 우선하여 나열할 수 있다. 여기서, 지도 마커 및 이미지에 대한 입력은, 지도 마커 및 이미지의 클릭을 포함한다.
또한,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지도의 확대 또는 축소를 입력 받으면, 이에 기초하여 지도 상에 지도 마커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이, 지도 상에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241), 제1지도 마커(242) 내지 제5지도 마커(246)가 표시되어 있다고 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지도의 축소를 입력 받아 지도를 축소함에 따라 제1지도 마커(242) 내지 제5지도 마커(246)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 상의 지도를 축소함에 따라, 제1지도 마커(242)와 제2지도 마커(243)가 겹쳐지게 된다. 또한, 제3지도 마커(244)와 제4지도 마커(245)가 겹쳐지게 된다. 제1지도 마커(242)의 우선 순위가 제2지도 마커(243)의 우선 순위보다 높고, 제3지도 마커(245)의 우선 순위가 제4지도 마커(244)의 우선 순위보다 높다고 가정하면, 도 4b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전술한 우선적으로 표시할 지도 마커 결정 방법에 따라 제1지도 마커(242)와 제3지도 마커(244)를 우선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지도 마커(243)은 제1지도 마커(242)에 귀속되고, 제4지도 마커(245)는 제3지도 마커(244)에 귀속될 수 있다.
이에 따른 본 제공 방법에 의하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영역 내의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하고, 이미지 데이터 및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전송 받은 이미지 데이터를 지도 상에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에 해당 장소의 시각적 이미지를 가진 지도 마커를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지도 마커에 대한 선택 입력을 받아 선택 입력은 받은 지도 마커의 확대한 이미지 및 이미지에 대한 설명 또는 사용자 커멘트(댓글)을 표시함으로써, 지도상에서 위치정보를 가지고 해당 장소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이미지와 함께 해당 지역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S103 단계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신하면,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하여 사용자 행동 정보 기반으로 랭크를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랭크는 복수의 사용자 행동 정보의 레벨을 고려하여 갱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동일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다른 레벨의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행동 정보는 복수의 레벨로 분류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행동 레벨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이미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사용자 행동 정보로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S501). 제2 사용자 행동 레벨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택 이미지 중 선택된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길 안내 요청을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S502). 제3 사용자 행동 레벨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획득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S503).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레벨별로 분류된 사용자 행동 정보에 대응하는 점수를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각 레벨에 대응하는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신한 경우 실시간으로 이미지에 부여된 점수를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각 레벨에 대응하는 사용자 행동 정보를 모두 수신한 후 이미지에 부여된 점수를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미지에 부여된 점수를 주기적으로 특정 시간마다(예를 들어, 10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S501단계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제1 사용자 행동 레벨). 예시적으로 도4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선별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242 내지 246)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선별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242 내지 246)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의 이미지 데이터의 입력 받을 수 있다. 선택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242 내지 246)를 선택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선택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는 것은,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를 북마크, 보관함 등 사용자의 개인 폴더에 수집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제1지도 마커(242), 제2지도 마커(243)를 선택 이미지로 입력 받을 수 있다. 달리 말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지도 마커(242), 제2지도 마커(243)를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선택된 이미지에는 제1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1점수가 부가될 수 있다. 추가로 부가는 합산 개념으로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점수가 부여된 값들을 합산한 것일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랭크를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점수를 부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점수의 갱신에 있어서, 수신된 사용자 행동 정보를 고려한 랭크갱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S052 단계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택 이미지 중 선택된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길 안내 요청을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제2사용자 행동 레벨). 길 안내 요청 이미지는 앞서 S501 단계에서 선택된 선택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4a를 참조하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1지도 마커(242), 제3지도 마커(244) 및 제4지도 마커(245)를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지도 상에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241)와 근접한 순으로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는 제2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2점수가 부가될 수 있다. 달리 말해, 길 안내 요청 이미지로 수신된 제1지도 마커(242), 제3지도 마커(244) 및 제4지도 마커(245)에는 제2 점수가 부가될 수 있다. 단계 S502에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길 안내 요청 이미지가 복수개인 경우, 단말 위치정보에서 가장 먼 위치정보를 목적지 정보로 설정하고, 단말 위치정보에서 근접한 순으로 경유지 정보를 설정하여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사용자는 길 안내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이동 중에 신규 길 안내 요청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신규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길 안내 요청을 기반으로 제2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2 점수를 부가하고, 신규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제2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2 점수는 S501 단계에서 제1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1 점수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된 점수일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행동 레벨의 가중치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제1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1 점수가 제2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2점수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된 것은, 제1사용자 행동 레벨에서 수신한 사용자 행동 정보가 사용자가 가려고 하는 장소의 이미지일 수도 있으나, 단순한 궁금증으로 선택된 이미지 일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 행동 레벨이 높아질수록 대응하는 점수의 가중치를 달리하여 랭크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기 위함일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길 안내 요청이 수신되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목적지 정보로 설정하여 생성한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길 안내 정보는 단말 위치정보 또는 입력 위치정보를 출발지로 설정하여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길 안내 요청을 수신 받은 이미지 데이터(251)의 점수(252)를 자동으로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점수의 갱신에 있어서, 수신된 사용자 행동 정보를 고려한 랭크 갱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S503 단계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획득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제3 사용자 행동 레벨).. 사용자 획득 이미지 데이터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촬영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신 받은 사용자 획득 이미지 데이터(251)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획득 이미지 데이터(251)에 대한 위치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된 이미지 데이터 각각의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신 받은 사용자 획득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일치할 경우,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는 제3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3 점수가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502 단계에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1지도 마커(242), 제2지도 마커(243)에 대한 길 안내 요청을 사용자 행동 정보로 수신한 경우, 제1지도 마커(242), 제2지도 마커(243)를 기반으로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된 길 안내 정보를 기반으로 제1지도 마커(242)의 장소에 도착한 경우, 해당 장소를 촬영할 수 있고, 제1지도 마커(242)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로 해당 사진을 업로드 할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지도 마커(242)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획득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길 안내 요청 이미지인 제1 지도 마커(242)의 이미지에 제3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3 점수를 부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도 마커(242)에는 제1사용자 행동 레벨 내지 제3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점수가 모두 부가될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3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점수를 부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점수의 갱신에 있어서, 수신된 사용자 행동 정보를 고려한 랭크갱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제2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3 점수는 S502 단계에서 제2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2 점수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된 점수일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행동 레벨의 가중치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제2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2점수가 제3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3점수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된 것은, 제2사용자 행동 레벨에서 수신한 사용자 행동 정보가 사용자가 길 안내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하였으나, 변심으로 해당 장소를 방문하지 않고 거쳐 지나간 경우일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행동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 행동 레벨이 높아질수록 대응하는 점수의 가중치를 달리하여 랭크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 이미지에 대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단계적으로 높아지는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 에 대한 관심이 실제 행동으로 옮겨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단계 S501 내지 단계 S503 (제1 사용자 행동 레벨 내지 제3사용자 행동 레벨) 각 단계별로 상이한 가중치를 부가하여 선택 이미지의 랭크를 갱신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 이미지의 랭크를 올리기 위해서는 각 단계에 대응하는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대한 점수가 부가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랭크 조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랭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확대하여 표시한 이미지와 함께 해당 이미지에 대한 설명 또는 사용자의 커멘트(댓글)을 제공할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미지 데이터에 연관된 사용자의 커멘트(댓글)을 복수의 사용자 행동 정보의 레벨을 고려하여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1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신한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200)에 부여된 제1 점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커멘트(댓글)의 순위를 위치시킬 수 있다. 달리 말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행동 레벨에서 제3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사용자 행동 정보를 모두 수신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에 제1 점수 내지 제3점수가 부가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1 점수가 부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커멘트(댓글)를 제1사용자 단말 및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 제1사용자 단말에서 수신한 사용자의 커멘트(댓글)를 우선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행동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행동 레벨이 높을수록 해당 이미지를 기반으로 실제 행동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신뢰성이 높은 커멘트(댓글)을 우선하여 제공함으로써 실제 행동을 수행한 사용자의 커멘트(댓글)을 강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내지 6c를 참조하여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선택된 길 안내 요청 이미지(262)에 대응하는 길 안내 요청을 수신하면, 길 안내 요청 이미지(262)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목적지 정보로 설정하여 생성한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S502)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지도 마커의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선택 받은 지도 마커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S502단계는 길 안내 정보의 생성시 단말 위치정보 또는 입력 위치정보를 출발지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술한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길 안내 요청을 수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클릭 입력, 터치 입력 등)을 받은 후 길 찾기 기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길 안내 요청을 수신 받은 길 안내 요청 이미지(262)의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획득한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기초로 해당 이미지와 연관된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예를 들면, 해당 이미지가 획득된 실제 위치로부터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의 위치)를 목적지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에 저장된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출발지(261)를 설정하여 출발지(261)로부터 설정한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 정보(265)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출발지는, 상술한 단말 위치정보 또는 입력 위치정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에 기초하여 출발지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길 안내 정보(265)는, 출발지(261)로부터 설정한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길 안내 정보(265)는 서버에 저장된 도보 데이터를 통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걸어갈 수 있는 도보의 최단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보 데이터란, 사용자가 실제로 걸어갈 수 있는 도보의 최단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도보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성한 길 안내 정보(265)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 받은 길 안내 정보(265)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S502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선택된 경유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경유 요청을 수신하면, 경유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경유지로 설정하여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술한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경유 요청을 수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길 안내 요청을 수신 받기 전에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경유 요청을 수신 받을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경유 안내 요청을 수신 받은 경유 요청 이미지(263)의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획득한 경유 요청 이미지(263)의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기초로 해당 경유 요청 이미지(263)에 대응하는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경유지로 설정할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경유지를 경유한 길 안내 정보(266)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출발지로부터 경유지를 경유한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 정보(266)를 생성할 수 있다. 경유지를 경유한 길 안내 정보(266)는, 경유지를 경유해서 가는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경유지를 경유한 길 안내 정보(266)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경유지를 경유한 길 안내 정보(266)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6c를 참조하면, 단계 S502 단계는, 길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267)에 포함되는 어느 한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268) 이내에 설정된 랭크 이상의 랭크와 연관된 이미지 데이터의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추천 위치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길 안내 정보를 하나 이상의 추천 위치를 경유하도록 갱신하여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길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267)에 포함되는 어느 한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268) 이내의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범위(268)는 길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265)에 포함되는 어느 한 위치에서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범위(268)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범위(268)는 다각형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그린 도형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범위(268) 이내의 이미지 데이터의 랭크를 추출할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랭크와 설정된 랭크를 비교할 수 있다.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랭크가 설정된 랭크 이상일 경우,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해당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추천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추천 위치를 경유지로 추가하여 추천 위치를 경유한 길 안내 정보(267)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6c를 참조하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길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265)의 어느 한 지점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268)의 제1이미지 데이터(263) 및 제2이미지 데이터(264)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이미지 데이터(263) 및 제2이미지 데이터(264)의 랭크를 추출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랭크가 5라고 가정하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랭크가 6인 제2이미지 데이터(264)의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2이미지 데이터(264)의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제2이미지 데이터(264)에 대응하는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추천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전술한 추천 위치를 경유지로 추가하여 추천 위치를 경유한 길 안내 정보(267)를 새로 생성할 수 있다. 참고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추천 위치를 경유한 길 안내 정보(267)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 받은 추천 위치를 경유한 길 안내 정보(267)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 받은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여 길 안내를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고정밀 지도를 사용하여 길 안내를 할 수 있다. 이처럼, 고정밀 지도를 사용하여 길 안내를 하는 경우 세밀한 도로 정보 및 주변 지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추천수를 고려하여 우선적으로 표시할 지도 마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추천 요청은 복수의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동일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다른 타입의 추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천 요청 타입은 단순 추천 요청, 경로 생성 추천 요청, 실제 추천 요청, 이미지 획득 추천 요청 등의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추천 요청 타입에 따른 추천 요청을 수신 받아 해당 이미지 데이터와 연관하여 추천 요청 타입에 따른 추천수를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참고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비추천 요청을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 받는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추천 또는 비추천 요청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추천 요청 타입에 대해 설명한다.
추천수를 고려하여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따른 추천 요청은, 단말 위치정보와 무관하게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추천되는 단순 추천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단순 추천 요청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단순 추천 요청이란,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와는 독립적으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입력 받는 추천 요청일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단순 추천요청을 받아 단순 추천 요청을 받은 이미지 데이터(251)의 추천수를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번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단순 추천 요청을 받은 경우,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추천수를 하나 증가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추천수를 고려하여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따른 추천 요청은, 이미지 데이터 중 길 안내 정보 생성시 목적지 또는 경유지로 고려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추천되는 경로 생성 추천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길 안내 요청을 수신 받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길 안내 요청을 수신 받은 이미지 데이터의 추천수를 자동으로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추천수의 갱신에 있어서, 추천 요청 타입을 고려한 추천수 갱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추천수를 고려하여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따른 추천 요청은, 단말 위치정보가 이미지 데이터의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추천되는 실제 추천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위치정보가 이미지 데이터의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매칭된다는 것은,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된 GPS 모듈을 통해 획득된 위치정보와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예를 들면, 해당 이미지가 획득된 실제 위치로부터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범위 안에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추천 요청이란, 사용자 단말(200)이 전술한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해당 이미지에 대해 입력 받는 추천 요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미지에 대한 추천 요청을 하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미지 데이터의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획득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참고로,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는 이미지가 실제 촬영된 위치로부터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에 해당하는 위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획득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에 위치할 경우,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이미지대응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에 위치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추천 요청을 수신 받고, 사용자 단말(200)이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에 위치해 있다고 판단할 경우,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추천수를 하나 증가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추천수의 갱신에 있어서, 추천 요청 타입을 고려한 추천수 갱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추천 요청의 타입을 구분하여 이미지에 대한 추천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S103 단계는 상술한 추천 요청 타입을 고려하여 추천수를 갱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각 추천 요청 타입 별로 해당되는 추천수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전체 추천수를 갱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각 추천 요청 타입 별로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한 단순 합산 방식으로 전체 추천수를 갱신할 수 있다. 다만, 추천 요청 타입을 고려한 추천수 갱신 방식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상이한 타입, 중요도 등이 고려될 수 있는 다양한 통계적 처리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른 본 제공 방법에 의하면,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추천 타입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추천 요청을 입력 받고, 추천 요청에 따른 추천수를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미지 데이터 각각의 추천수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200)로 이를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 받은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적으로 표시할 지도 마커를 결정하여 지도 상에 표시함으로써, 해당 장소에 대한 신뢰성을 제고하여 방문 가치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고, 이를 통해 방문객을 유치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홍보와 활성화를 유도하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앞서 살핀 본원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각각에 대한 것으로서, 앞서 살핀 본원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는 발명이라 할 것이므로,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 하기로 한다.
도7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이하, '본 서비스 제공 장치'라 함)는, 이미지 데이터 선별부(110), 데이터 전송부(120), 사용자 행동 정보 수신부(130), 이미지 랭크 저장부(140) 및 경로 안내부(150)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서버, 데이터베이스 및 기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 선별부(110)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 중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를 참조하면, 이미지 데이터 선별부(110)는 전술한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231)를 포함하는 전술한 미리 설정된 영역(232) 내의 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233)를 선별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부(120)는,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및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는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GPS 정보일 수 있다. 참고로, 데이터 전송부(120)는 이미지 데이터 및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동시에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행동 정보 수신부(13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이미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선택 이미지에는 제1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1 점수가 부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행동 정보 수신부(13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 이미지 중 선택된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길 안내 요청을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행동 정보 수신부(13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획득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 받은 사용자 획득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일치할 경우,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제3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3 점수가 부가될 수 있다.
이미지 랭크 저장부(14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신하면,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하여 사용자 행동 정보 기반으로 랭크를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이미지 랭크 저장부(140)는 랭크가 높은 이미지 데이터(233)의 랭크(234)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3a를 참조하면, 랭크(234)는 랭크가 높은 이미지 데이터(233) 상에, 또는 랭크가 높은 이미지 데이터(233)와 이웃하게 지도 상에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데이터 선별부(110)는, 랭크를 고려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 선별부(110)는 미리 설정된 영역(232) 내의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233) 중 랭크(234)가 높은 이미지 데이터(233)일수록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되도록 우선 순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부(120)는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랭크와 관련된 우선 순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랭크와 관련된 우선 순위 정보는 랭크가 클 수록 높은 순위가 부여되도록 설정된 정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데이터 전송부(120)는 각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랭크가 가장 높은 이미지 데이터부터 순서대로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이미지 랭크 저장부(140)는 사용자 행동 정보의 레벨을 고려하여 랭크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랭크 저장부(140)는 동일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다른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사용자 행동 정보는 복수의 레벨로 분류될 수 있다. 복수의 레벨은 제1사용자 행동 레벨, 제2사용자 행동 레벨 및 제3 사용자 행동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행동 레벨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이미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사용자 행동 정보로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S501). 제2 사용자 행동 레벨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택 이미지 중 선택된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길 안내 요청을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S502). 제3 사용자 행동 레벨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획득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S503). 이미지 랭크 저장부(140)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행동 레벨에 따른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신 받아 해당 이미지 데이터와 연관하여 행동 레벨에 따른 랭크를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랭크 저장부(140)는 주기적으로 특정 시간마다 해당 이미지 데이터와 연관하여 행동 레벨에 따른 랭크를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서비스 제공 장치는, 경로 안내부(150) 포함할 수 있다. 경로 안내부(15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선택된 길 안내 요청 이미지(262)에 대응하는 길 안내 요청을 수신하면, 길 안내 요청 이미지(262)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목적지 정보로 설정하여 생성한 길 안내 정보(265)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지도 마커의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경로 안내부(150)는 선택 받은 지도 마커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안내부(150)는 길 안내 정보(265)의 생성시 단말 위치정보 또는 입력 위치정보를 출발지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로 안내부(15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술한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길 안내 요청을 수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안내부(150)는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클릭 입력, 터치 입력 등)을 받은 후 길 찾기 기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경로 안내부(150)는 길 안내 요청을 수신 받은 길 안내 요청 이미지(262)의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안내부(150)는 획득한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기초로 해당 이미지와 연관된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예를 들면, 해당 이미지가 획득된 실제 위치로부터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의 위치)를 목적지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에 저장된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다. 경로 안내부(150)는 출발지(261)를 설정하여 출발지(261)로부터 설정한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 정보(265)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출발지는, 상술한 단말 위치정보 또는 입력 위치정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에 기초하여 출발지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길 안내 정보(265)는, 출발지(261)로부터 설정한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길 안내 정보(265)는 서버에 저장된 도보 데이터를 통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걸어갈 수 있는 도보의 최단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보 데이터란, 사용자가 실제로 걸어갈 수 있는 도보의 최단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경로 안내부(150)는 상기 도보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경로 안내부(15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선택된 경유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경유 요청을 수신하면, 경유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경유지로 설정하여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로 안내부(15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술한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경유 요청을 수신 받을 수 있다. 경로 안내부(150)는 경유 안내 요청을 수신 받은 경유 요청 이미지(263)의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안내부(150)는 획득한 경유 요청 이미지(263)의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기초로 해당 경유 요청 이미지(263)에 대응하는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경유지로 설정할 수 있다. 경로 안내부(150)는 는 경유지를 경유한 길 안내 정보(266)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안내부(150)는 출발지로부터 경유지를 경유한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 정보(266)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안내부(150)는 출발지로부터 경유지를 경유한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 정보(266)를 생성할 수 있다. 경유지를 경유한 길 안내 정보(266)는, 경유지를 경유해서 가는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경로 안내부(150)는 경유지를 경유한 길 안내 정보(266)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경유지를 경유한 길 안내 정보(266)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6c를 참조하면, 경로 안내부(150)는 길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에 포함되는 어느 한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에 미리 설정된 랭크 이상의 랭크와 연관된 이미지 데이터의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추천 위치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길 안내 정보를 하나 이상의 추천 위치를 경유하도록 갱신하여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안내부(150)는 길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267)에 포함되는 어느 한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268) 이내의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경로 안내부(150)는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랭크와 설정된 랭크를 비교할 수 있다.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랭크가 설정된 랭크 이상일 경우, 경로 안내부(150)는 해당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해당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한 장소를 추천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안내부(150)는 상기 추천 위치를 경유지로 추가하여 추천 위치를 경유한 길 안내 정보(267)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6c를 참조하면, 경로 안내부(150)는 길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265)의 어느 한 지점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268)의 제1이미지 데이터(263) 및 제2이미지 데이터(264)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안내부(150)는 제1 이미지 데이터(263) 및 제2이미지 데이터(264)의 랭크를 추출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랭크가 5라고 가정하면, 경로 안내부(150)는 랭크가 6인 제2이미지 데이터(264)의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안내부(150)는 제2이미지 데이터(264)의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제2이미지 데이터(264)에 대응하는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추천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경로 안내부(150)는 전술한 추천 위치를 경유지로 추가하여 추천 위치를 경유한 길 안내 정보(267)를 새로 생성할 수 있다. 참고로, 경로 안내부(150)는 추천 위치를 경유한 길 안내 정보(267)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 받은 추천 위치를 경유한 길 안내 정보(267)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미지 추천수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추천수 저장부(미도시)는 추천 요청의 타입을 고려하여 추천수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추천수 저장부(미도시)은 동일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다른 타입의 추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추천 요청 타입은 단순 추천 요청, 경로 생성 추천 요청, 실제 추천 요청, 이미지 획득 추천 요청 등의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추천수 저장부(미도시)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추천 요청 타입에 따른 추천 요청을 수신 받아 해당 이미지 데이터와 연관하여 추천 요청 타입에 따른 추천수를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참고로, 이미지 추천수 저장부(미도시)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비추천 요청을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추천수 저장부(미도시)는 특정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 받는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추천 또는 비추천 요청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이러한 추천수의 갱신에 있어서, 추천 요청 타입을 고려한 추천수 갱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추천수 저장부(미도시)는 추천 요청의 타입을 구분하여 이미지에 대한 추천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추천수 저장부(미도시)는 상술한 추천 요청 타입을 고려하여 추천수를 갱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미지 추천수 저장부(미도시)는 각 추천 요청 타입 별로 해당되는 추천수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전체 추천수를 갱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 추천수 저장부(미도시)는 각 추천 요청 타입 별로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한 단순 합산 방식으로 전체 추천수를 갱신할 수 있다. 다만, 추천 요청 타입을 고려한 추천수 갱신 방식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상이한 타입, 중요도 등이 고려될 수 있는 다양한 통계적 처리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시스템
100: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200: 사용자 단말
110: 이미지 데이터 선별부
120: 데이터 전송부
130: 사용자 행동 정보 수신부
140: 이미지 랭크 저장부
150: 경로 안내부
300: 복수의 사용자 단말

Claims (24)

  1.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 중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하는 단계; 및
    (b)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는 사용자 단말이 획득한 단말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입력한 입력 위치정보인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영역 내의 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하는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은, 상기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한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의 영역인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c)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하여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 기반으로 랭크를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랭크를 고려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하는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랭크와 관련된 우선 순위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은, 화면에 표출되는 지도 상에서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지도 마커와 다른 하나의 지도 마커가 서로 적어도 일부 겹쳐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적으로 표시할 지도 마커를 결정하는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는 복수의 레벨로 분류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의 레벨을 고려하여 랭크를 갱신하는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이미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상기 선택 이미지 에는 제1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1 점수가 부가되는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 이미지 중 선택된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길 안내 요청을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는 제2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2점수가 부가 되는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점수는 상기 제1 점수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된 점수인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는, 상기 길 안내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목적지 정보로 설정하여 생성한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길 안내 정보는, 상기 단말 위치정보 또는 상기 입력 위치 정보를 출발지 정보로 설정하여 생성되는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3)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획득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수신 받은 사용자 획득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상기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일치할 경우, 상기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는 제3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3 점수가 부가되는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점수는 상기 제1 점수 및 상기 제2 점수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된 점수인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3.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 중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하는 이미지 데이터 선별부; 및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는 사용자 단말이 획득한 단말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입력한 입력 위치정보인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 선별부는, 상기 사용자 연관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영역 내의 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하는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하여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 기반으로 랭크를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이미지 랭크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 선별부는 상기 랭크를 고려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하는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랭크와 관련된 우선 순위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은, 화면에 표출되는 지도 상에서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지도 마커와 다른 하나의 지도 마커가 서로 적어도 일부 겹쳐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적으로 표시할 지도 마커를 결정하는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는 복수의 레벨로 분류되고,
    상기 이미지 랭크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의 레벨을 고려하여 랭크를 갱신하는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이미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는 사용자 행동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상기 선택 이미지에는 제1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1 점수가 부가되는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 수신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 이미지 중 선택된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길 안내 요청을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고,
    상기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는 제2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2 점수가 부가되는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길 안내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를 목적지 정보로 설정하여 생성한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경로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길 안내 정보는, 상기 단말 위치정보 또는 상기 입력 위치 정보를 출발지 정보로 설정하여 생성되는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 수신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획득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행동 정보로서 수신하되,
    수신 받은 사용자 획득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상기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와 일치할 경우, 상기 길 안내 요청 이미지에는 제3 사용자 행동 레벨에 대응하는 제3 점수가 부가되는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별된 이미지 데이터 중 선택된 경유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경유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경유 요청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경유지로 설정하여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부는, 상기 길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에 포함되는 어느 한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에 미리 설정된 랭크 이상의 랭크와 연관된 이미지 데이터의 이미지 대응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추천 위치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길 안내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위치를 경유하도록 갱신하여 생성하는 것인,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2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80079728A 2018-04-26 2018-07-10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252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48323 2018-04-26
KR1020180048323 2018-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619A true KR20190124619A (ko) 2019-11-05
KR102125258B1 KR102125258B1 (ko) 2020-06-22

Family

ID=6857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728A KR102125258B1 (ko) 2018-04-26 2018-07-10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25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7013A (ja) * 2002-11-06 2004-06-03 Nissan Motor Co Ltd 地図画像表示装置及び地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08033755A (ja) * 2006-07-31 2008-02-14 Yafoo Japan Corp 位置情報を付加されたデータを検索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3101125A (ja) * 2012-12-20 2013-05-23 Zenrin Datacom Co Ltd 案内情報提供装置、プログラム、案内情報提供方法、案内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JP2016051381A (ja) * 2014-09-01 2016-04-11 株式会社オオボリ 地域情報表示システム、地域情報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114654B2 (ja) * 2013-07-19 2017-04-12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場所推薦装置及び場所推薦方法
KR101825423B1 (ko) * 2017-01-13 2018-03-22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관광 지도 추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7013A (ja) * 2002-11-06 2004-06-03 Nissan Motor Co Ltd 地図画像表示装置及び地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08033755A (ja) * 2006-07-31 2008-02-14 Yafoo Japan Corp 位置情報を付加されたデータを検索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3101125A (ja) * 2012-12-20 2013-05-23 Zenrin Datacom Co Ltd 案内情報提供装置、プログラム、案内情報提供方法、案内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JP6114654B2 (ja) * 2013-07-19 2017-04-12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場所推薦装置及び場所推薦方法
JP2016051381A (ja) * 2014-09-01 2016-04-11 株式会社オオボリ 地域情報表示システム、地域情報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825423B1 (ko) * 2017-01-13 2018-03-22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관광 지도 추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258B1 (ko)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9038B2 (en) Rank-based image piling
US9279685B1 (en) Indicators for off-screen content
KR101786737B1 (ko) 사용자 동선 기반 지도데이터 부분 업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기록 매체
US9672240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update geographic database
US8768625B2 (en) Personalized route generation
US9239246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visual disambiguation for directions queries
JP5053283B2 (ja) 分散型地理情報システムのエンティティ表示の優先順位付け
US9282161B1 (en) Points of interest recommendations
US20170328730A1 (en) Dynamic map synchronization
US10234299B2 (en) Geo-loca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20240027217A1 (en) Displaying Personalized Landmarks in a Mapping Application
US11448516B2 (en) Scenic route-based navigation directions
US8051077B2 (en) Geo-trip notes
KR102398601B1 (ko) 내비게이션 기동과 연계할 관심지점(poi)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40044665A1 (en) Navigation directions with a familiar location as an intermediate destination
US9817907B1 (en) Using place of accommodation as a signal for ranking reviews and point of interest search results
US9888356B2 (en) Logistic discounting of point of interest relevance based on map viewport
KR102125258B1 (ko) 이미지를 활용한 o2o 기반의 지역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63341B1 (ko) 실시간 지도데이터 업데이트 방법
JP616135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109759A (ko) 차량용 컨텐츠 기반 경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1404222B1 (ko) 지도 서비스 시스템 및 지도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