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245A - 초점 확대 및 축소를 이용한 안구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초점 확대 및 축소를 이용한 안구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245A
KR20190123245A KR1020190047598A KR20190047598A KR20190123245A KR 20190123245 A KR20190123245 A KR 20190123245A KR 1020190047598 A KR1020190047598 A KR 1020190047598A KR 20190047598 A KR20190047598 A KR 20190047598A KR 20190123245 A KR20190123245 A KR 20190123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lens
image providing
provid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범
Original Assignee
손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범 filed Critical 손영범
Publication of KR20190123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61H5/005Exercisers for training the stereoscopic vi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은 초점을 이용한 원근 안구운동장치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안구운동장치는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원방시 구현 안경 및 사용자의 양안시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원방시 구현 안경과 결합되고, 원근 표현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하며, 사용자의 초점이 객체를 일정 시간 향하면 객체가 앞뒤 방향으로 이동하여 초점 확대 및 축소를 유도하는 영상제공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점 확대 및 축소를 이용한 안구운동장치{EYE TRAINING APPARATUS USING FOCUS ENLARGEMENT AND REDUCTION}
본 발명은 안구운동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초점이 기 설정된 객체를 향하면 객체가 앞뒤 방향으로 이동되어 안구운동을 유도하는 초점 확대 및 축소를 이용한 안구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화가 되면서 생활 속에서 눈이 나빠지는 요인들이 많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요즘 들어 가장 많이 눈이 나빠지는 이유를 살펴보면 요즘 현대인들의 필수품이 되어버린 스마트폰과 PC, TV 등이 있다. 잠을 자며 휴식을 취하여야 할 시간에도 TV시청이나 장시간 컴퓨터 사용, 스마트폰 사용 등 한시도 눈을 쉬게 하지 않는데 이처럼 현대사회에서의 눈은 장시간 가혹한 일을 반복적으로 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이 되었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길거리에서 지하철에서도 스마트폰 사용자를 찾아보기란 어렵지 않다. 그런데 이런 스마트폰 보급과 함께 근시 환자 또한 상당히 높아진 것으로 조사한 결과 드러났다.
사실 직장인은 근무 시 하루 종일 컴퓨터를 보고 있는데, 그 결과 눈이 피로해지고 안구건조증, 흐림 증상 등을 느끼고 있다. 퇴근 후에도 버스나 지하철 심지어 길을 걸을 때도 스마트폰을 쳐다보고 더구나 스마트폰의 글자는 작기 때문에 쉽게 시력이 저하되게 된다. 이에, 전문가들은 시력을 보호하기 위해서 적당한 휴식을 취하면서 안구운동을 하도록 조언하고 있다.
따라서, 안구운동을 통하여 시력을 개선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82691호(2011.11.1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입력신호 없이 사용자의 초점이 기 설정된 객체를 향하면 객체가 앞뒤 방향으로 이동되어 안구운동을 유도하는 초점 확대 및 축소를 이용한 안구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객체에 표현되는 원근감을 극대화시키는 초점 확대 및 축소를 이용한 안구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는 원근 표현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의 초점이 상기 객체를 일정 시간 향하면 상기 객체가 앞뒤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초점 확대 및 축소를 유도하는 영상제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제공장치에 결합하여 상기 영상제공장치의 영상에 대해 원방시를 구현하는 원방시 구현 안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방시 구현 안경은, 일측에 한 쌍의 렌즈 하우징와 결합하는 한 쌍의 렌즈 하우징 설치 구멍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영상제공장치과 결합하는 케이스; 상기 한 쌍의 렌즈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중 볼록 렌즈 조립체의 한 쌍의 내부 볼록 렌즈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객체가 앞으로 이동하면 상기 객체의 이동속도에 맞춰 상기 내부 볼록 렌즈를 앞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객체가 뒤로 이동하면 상기 객체의 이동속도에 맞춰 상기 내부 볼록 렌즈를 뒤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제공장치는, 상기 영상이 두 개의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객체 중 제1 객체를 영상의 중앙에 고정하고, 제1 객체보다 큰 제2 객체를 상기 사용자의 초점에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1 객체가 포함되도록 하며, 상기 제2 객체가 상기 제1 객체를 일정 시간 포함하는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앞뒤 방향으로 반복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제공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초점을 감지하는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초점이 일정 시간 상기 객체를 주시하면 상기 객체를 앞뒤 방향으로 반복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점 확대 및 축소를 이용한 안구운동장치는 사용자의 초점이 기 설정된 객체를 일정 시간 향하면 객체가 앞뒤 방향으로 이동되어 초점의 확대 및 축소시킴으로써, 안구의 모양체 및 수정체에 대한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입력신호 없이 사용자의 초점이 객체를 일정 시간 향하면 객체가 앞뒤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객체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렌즈를 이동시켜 객체의 확대 및 축소를 극대화함으로써, 원근감이 효과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방시 구현 안경의 렌즈를 A-A‘선으로 단면 처리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내부 렌즈가 외부 렌즈에 대해서 이동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방시 구현 안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두 개의 객체가 분리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두 개의 객체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두 개의 객체가 앞뒤로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 상의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가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는 것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되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방시 구현 안경의 렌즈를 A-A‘선으로 단면 처리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내부 렌즈가 외부 렌즈에 대해서 이동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방시 구현 안경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 및/또는 원방시 구현 안경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안구운동장치(300)는 원방시 구현 안경(100) 및 영상제공장치(200)을 포함할 수 있다.
안구운동장치(300)는 원방시 구현 안경(100) 및 영상제공장치(200)를 구비할 수 있다. 원방시 구현 안경(100) 및 영상제공장치(200)은 서로 결합하여, 사용자가 원방시 구현 안경(100)을 통해 영상제공장치(200)의 영상을 볼 수 있다.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이중 볼록 렌즈를 이용하여 원방시(遠方視)를 구현하여 눈의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기구이다. 원방시는 사물이 멀리 보이도록 하는 효과를 의미할 수 있다. 원방시 일종의 줌 아웃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하드웨어적으로 영상제공장치(200)의 영상을 줌인 및 줌아웃되도록 할 수 있다.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케이스(10), 한 쌍의 렌즈 하우징(20), 및 한 쌍의 이중 볼록 렌즈(31, 33)를 구비하는 이중 볼록 렌즈 조립체(30) 및 구동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기본 프레임이며 하우징 기능을 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일측에 한 쌍의 렌즈 하우징(20)와 결합하고 타측에 영상제공장치(200)과 결합할 수 있다. 결합된 케이스(10), 한 쌍의 렌즈 하우징(20), 및 영상제공장치(200)는 내부에 암실이 생성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렌즈 하우징(20)은 케이스(10)의 타측에 형성된 한 쌍의 렌즈 하우징 설치 구멍(13)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이중 볼록 렌즈(31, 33)는 렌즈 하우징(20)의 일단에 배치되는 외부 볼록 렌즈(31)와 렌즈 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볼록 렌즈(33)를 구비할 수 있다.
외부 볼록 렌즈(31)는 렌즈 하우징(20)에 고정되고, 렌즈 하우징(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볼록 렌즈(33)는 앞뒤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원방시를 구현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한 쌍의 렌즈 하우징(20) 사이에 배치되어 이중 볼록 렌즈 조립체(30)의 한 쌍의 내부 볼록 렌즈(33)를 이동시킬 수 있다.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고정된 외부 볼록 렌즈(31)에 대한 내부 볼록 렌즈(33)가 앞뒤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내부 볼록 렌즈(33)의 앞뒤 이동에 따른 원방시 구현 안경(100)의 무게 중심 이동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VR(virtual reality) 및 MR(mixed reality)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원방시 구현 안경(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이중 볼록 렌즈를 이용하여 원방시를 구현하여 눈의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외부 볼록 렌즈(31)와 내부 볼록 렌즈(3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원방시는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기존의 단일 뉴턴 렌즈가 장착된 영상표시용 고글과 원방시 구현 안경(100)으로 객체를 볼 때의 원방시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 때, 객체의 세로 길이는 15mm이다. 사용자의 눈과 객체 간의 거리는 60mm이다. 기존의 고글과 원방시 구현 안경(100)을 착용하지 않고, 해당 객체를 보면 35mm 정도로 확대되어 보인다.
기존의 고글과 원방시 구현 안경(100)을 착용한 후, 원거리로 보기 위해서 단일 뉴턴 렌즈 및 내부 볼록 렌즈(33)를 눈에서 15mm 앞으로 이동시켰다. 이 때, 단일 뉴턴 렌즈의 경우, 해당 객체가 30mm로 축소되어 보인다. 반면에 이중 볼록 렌즈는 27mm 축소되어 보인다.
이는 동일한 굴절도를 갖는다고 할지라도, 이중 볼록 렌즈가 단일 뉴턴 렌즈보다 원방시 효과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기존의 고글이 원방시 효과를 얻기 위해서 단일 뉴턴 렌즈를 눈에서 15mm 앞으로 이동할 경우, 대략 80g의 무게 이동이 감지된다. 반면에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내부 볼록 렌즈(33)의 이동으로 대략 30g의 무게 이동이 감지된다.
즉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외부 볼록 렌즈(31)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 볼록 렌즈(33)가 앞뒤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렌즈의 전후 이동에 따른 무게 중심의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내부 볼록 렌즈(33)의 이동에 따른 무게 이동이 작기 때문에, 내부 볼록 렌즈(33)의 이동에 필요한 모터는 기존의 고글에 비해서 저출력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볼록 렌즈(33)의 앞뒤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부품의 무게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렌즈의 앞뒤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원방시 구현 안경(100) 및 영상제공장치(200)는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200)에 대한 블럭도이지만,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원방시 구현 안경(100)의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원방시 구현 안경(100)의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본 원방시 구현 안경(100)의 설명에 갈음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영상제공장치(2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A/V 입력부(130), 조작부(140), 출력부(150), 센싱부(160), 저장부(170), 인터페이스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근거리 통신 모듈(121), 무선 인터넷 모듈(123), GPS 모듈(125), 이동통신 모듈(127), 및 방송 수신 모듈(129)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21)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2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23)은 영상제공장치(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25)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통신 모듈(127)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방송수신 모듈(129)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통신부(120)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설정값이 포함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여기서, 설정값은 출력되는 영상에 포함된 객체정보, 명도정보, 재생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3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31)와 마이크(13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3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3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7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2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31)는 영상제공장치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3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3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조작부(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가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14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4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 출력 모듈(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영상제공장치(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영상제공장치(2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영상제공장치(2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영상제공장치(2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전송하여, 제어부(11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 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영상제공장치(2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영상제공장치(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제공장치(2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부(12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3)은 영상제공장치(2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5)은 영상제공장치(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영상제공장치(2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5)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5)은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 출력 모듈(155)은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 출력 모듈(155)이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영상제공장치(2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c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영상제공장치(2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160)는 영상제공장치(200)의 개폐 상태, 영상제공장치(2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영상제공장치(2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영상제공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영상제공장치(2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8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60)는 압력 센서 모듈(161), 모션 센서 모듈(163), 및 근접 센서 모듈(165)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 모듈(161)은 영상제공장치(2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 센서 모듈(161)은 사용환경에 따라 영상제공장치(2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 센서 모듈(161)이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 센서 모듈(16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 모듈(16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 모듈(163)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영상제공장치(2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 모듈(163)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근접 센서 모듈(165)은 영상제공장치(200)로 접근하는 물체나, 영상제공장치(2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 센서 모듈(165)은,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 센서 모듈(165)은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뇌파 센서 모듈(167)은 인체의 뇌파를 측정한다. 뇌파는 어디에서 어떤 형태로 측정하는가에 따라, LPF, EcoG, EEG 신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뇌파 센서 모듈(167)은 인체의 두피에서 발생하는 EEG(Electroencephalogram)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센싱부(160)는 영상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한 눈 깜박임을 감지한다. 센싱부(160)는 좌안 및 우안의 눈 깜박임에 대한 발생횟수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60)는 사용자 좌안 및 우안에 따른 초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60)는 사용자가 영상제공장치의 화면 어디를 주시하는 지 또는 영상제공장치의 어떤 객체를 주시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센싱부(160)는 카메라,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제어부(1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제공장치(2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저장부(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cloud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영상제공장치(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영상제공장치(2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영상제공장치(2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영상제공장치(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영상제공장치(2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영상제공장치(2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영상제공장치(2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영상제공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12)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12)은 제어부(11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10)와 별도의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영상제공장치(2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영상제공장치(200)의 센싱부(160)와 같은 구성 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카메라가 사용자의 좌안 및/또는 우안을 촬영할 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영상제공장치(200)의 통신부(120)와 같은 구성 요소를 구비하여 영상제공장치(200)나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 외에 원방시 구현 안경(100)은 조작부, 인터페이스부, 저장부,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원방시 구현 안경(100)의 조작부 중 일부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영상제공장치(200)의 터치스크린 기능의 디스플레이모듈(151)에 터치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원방시 구현 안경(100)의 조작으로 영상제공장치(200)의 입력을 구현할 수 있다.
영상제공장치(200)는 사용자의 양안시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원방시 구현 안경(100)과 결합할 수 있다. 영상제공장치(200)는 원근 표현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영상제공장치(200)는 사용자의 초점이 객체를 일정 시간 향하면 객체가 앞뒤 방향으로 이동하여 안구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정 시간은 2초 내지 5초일 수 있다. 즉 영상제공장치(200)는 별도의 입력 신호가 없더라도 사용자의 초점을 감지하여 객체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제공장치(200)는 사용자의 초점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 적외선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도형, 글자, 회사로고, 퍼즐 및 캐릭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영상제공장치(200)는 다양한 객체가 포함된 콘텐츠를 광고, 교육, 영화 및 게임 중 적어도 하나의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영상제공장치(200)는 가상현실 및 혼합현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이 출력될 수 있는 단말로써,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한편, 영상제공장치(200)에서 출력되는 객체가 이동하는 경우, 원방시 구현 안경(100)의 구동부(50)는 객체의 이동에 따라 내부 볼록 렌즈(33)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구동부(50)는 객체가 앞으로 이동하면 객체의 이동속도에 맞춰 내부 볼록 렌즈(33)를 앞으로 이동시키고, 객체가 뒤로 이동하면 객체의 이동속도에 맞춰 내부 볼록 렌즈(33)를 뒤로 이동시킨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객체의 크기가 더 작거나 더 크게 느껴 극대화된 원근감을 체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300)는 사용자의 초점이 기 설정된 객체를 일정 시간 향하면 객체가 앞뒤 방향으로 이동되어 안구의 모양체 및 수정체에 대한 운동을 유도한다. 즉, 안구운동장치(300)는 초점 확대 및 축소를 하여 안구운동을 시킨다. 안구운동장치(300)는 별도의 입력신호 없이 사용자의 초점이 객체를 일정 시간 향하면 객체가 앞뒤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두 개의 객체가 분리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두 개의 객체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두 개의 객체가 앞뒤로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영상출력장치(200)는 원근 표현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한다. 이를 통해, 영상출력장치(200)는 사용자에게 객체의 원근효과를 통한 안구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출력장치(200)는 사용자의 초점을 이용하여 별도의 입력신호 없이 객체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영상출력장치(200)가 두 개의 객체(210, 230)를 포함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영상출력장치(200)는 두 개의 객체 중 제1 객체(210)를 영상의 중앙에 고정하고, 제1 객체(210)보다 큰 제2 객체(230)를 사용자의 초점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영상출력장치(200)는 제2 객체(230)가 제1 객체(210)를 일정 시간 포함하는 상태를 유지하면 제1 객체(210) 및 제2 객체(230)를 앞뒤 방향으로 반복 이동시킬 수 있다.
영상출력장치(200)는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제2 객체(2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고개가 움짐이에 대응하여 제2 객체(230)가 영상제공장치(200)의 영상 중에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영상제공장치(200)는 사용자의 초점에 대응하여 제2 객체(2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제공장치(200)의 사용자 시선을 감지하는 영상제공장치(200)의 센싱부(160), 또는 원방시 구현 안경(100)에 설치된 센싱부를 통해, 사용자 시선에 대응하여 제2 객체(230)가 영상제공장치(200)의 영상 중에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출력장치(200)는 제1 객체(210) 및 제2 객체(230)가 겹쳐지지 않으면 사용자의 초점이 영상의 중앙을 향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도 8과 같이 제1 객체(210) 및 제2 객체(230)가 겹쳐지면 사용자의 초점이 영상의 중앙을 향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영상출력장치(200)는 사용자의 초점이 영상의 중앙을 향한다고 판단하면 별도의 입력 신호 없이 도 9와 같이 제1 객체(210) 및 제2 객체(230)를 앞뒤 방향으로 반복 이동시켜 안구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안구운동장치(10')는 HMD 형태로 형성되어 가상현실 , 증강현실 및 혼합현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 때, 안구운동장치(10')는 명도가 조절되는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한 안구운동을 유도한다. 안구운동장치(10')는 프레임의 역할을 하는 본체(100') 및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제공장치(200)를 포함한다. 영상제공장치(200)는 도 1 및 도 6의 설명을 참조한다.
본체(100')는 몸통부(110'), 접안부(120'), 고정부(130') 및 결합부(140')를 포함한다.
몸통부(110')는 일단과 타단 사이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타단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몸통부(110')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하여 직육면체, 원기둥, 원반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몸통부(110')는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가 5㎝ 내지 20㎝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 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24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몸통부(110')의 일 단과 타단 사이에 대한 거리는 영상의 크기가 크면 길이가 길어지고, 영상의 크기가 작으면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접안부(120')는 몸통부(110')의 일단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얼굴과 접하고,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한 시선이 서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접안부(120')는 사용자의 얼굴과 접하는 테두리가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밀착시 발 생될 수 있는 마찰, 압박 등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접안부(120')는 안경을 쓴 사람도 사용가능하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접안부(120')는 좌안 접안부(121') 및 우안 접안부(123')를 포함한다. 좌안 접안부 (121')는 사용자의 좌안이 밀착되어 접안되는 부분으로써,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이 좌안으로 들어오지 않게 차단 한다. 우안 접안부(123')는 사용자의 우안이 밀착되어 접안되는 부분으로써,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이 우안으로 들어오지 않게 차단한다.
고정부(130')는 접안부(120')의 양측면으로부터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접안부(120') 및 사용 자의 얼굴이 밀착되게 고정을 시킨다. 고정부(130')는 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밴드의 길이는 사용자의 두부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고정부(130')가 밴드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체(100')가 헬멧 형상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고정부(130')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결합부(140')는 몸통부(110')의 타단에 형성되어 영상제공장치(200)를 결합시킨다. 이 때, 결합부(140')는 디스플 레이부(240')가 형성된 면의 반대되는 면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결합부 (140')와 영상제공장치(200)가 결합된 면의 후면에 덮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는 영상제공장치 (200)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이 영상제공장치(200)와 몸통부(110')가 결합된 틈으로 들어오지 않게 차단할 수 있다.
영상제공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40')가 접안부(120')와 대향하도록 몸통부(110')와 결합된다. 영상제공장치 (200)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명도가 조절되는 영상(300')을 출력한다. 이 때, 영상제공장치(200)는 제1 객체(310') 및 제2 객체(320')를 출력하고, 제1 객체(310') 및 제2 객체가 각각 좌안 접안부(121') 및 우안 접안부 (123')에서만 볼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이 이격되도록 출력한다. 또한 영상제공장치(200)는 영상(300')의 전체적인 명도를 조절하는 배경화면(310')도 출력한다. 이 때, 영상제공장치(200)는 명도가 상반되는 영상(300')을 번갈아 가며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안시로 영상(300')을 보는 경우, 좌안으로 제1 객체(310') 및 배경화면(330')을 볼 수 있고, 우안으로 제2 객체(320') 및 배경화면(330')을 볼 수 있으며, 양안시로 영상(300')을 보는 경우, 배경화면(330')을 배경으로 좌안 및 우안으로 제1 객체(310') 및 제2 객체(320')가 하나의 객체로 겹쳐지는 형태의 영상(300')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눈 깜박임의 발생횟수를 늘려 안구건조증을 개선하고, 동공에서 망막의 시세포 까지에 대한 광각 트레이닝을 수행하여 시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양안시를 통해 제1 객체(310') 및 제2 객체(320')를 봄으로써, 내측사시를 개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00')는 사용자가 좌안과 우안이 각각 별개의 영상(310', 320')을 볼 수 있도록 구현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체(100')는 좌안으로 제1 및 제2 객체(310', 320') 모두를 볼 수 있으며, 이는 우안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는 도 7 내지 도 9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될 수 있다. 구현은 상기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데이터 등 정보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서 구현된 모든 저장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휘발성/비휘발성/하이브리드형 메모리 여부, 분리형/비분리형 여부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저장 매체 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 또는 전송 메커니즘,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원방시 구현 안경 200: 영상제공장치

Claims (5)

  1. 원근 표현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의 초점이 상기 객체를 일정 시간 향하면 상기 객체가 앞뒤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초점 확대 및 축소를 유도하는 영상제공장치;를 포함하는 초점 확대 및 축소를 이용한 안구운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공장치에 결합하여 상기 영상제공장치의 영상에 대해 원방시를 구현하는 원방시 구현 안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방시 구현 안경은,
    일측에 한 쌍의 렌즈 하우징와 결합하는 한 쌍의 렌즈 하우징 설치 구멍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영상제공장치과 결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한 쌍의 렌즈 하우징 설치 구멍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렌즈 하우징과, 상기 한 쌍의 렌즈 하우징에 착용자의 양 눈의 전면 일직선상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이중 볼록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이중 볼록 렌즈 중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볼록 렌즈는 상기 렌즈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렌즈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볼록 렌즈는 앞뒤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방시를 구현하는 이중 볼록 렌즈 조립체; 및
    상기 한 쌍의 렌즈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중 볼록 렌즈 조립체의 한 쌍의 내부 볼록 렌즈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안구운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객체가 앞으로 이동하면 상기 객체의 이동속도에 맞춰 상기 내부 볼록 렌즈를 앞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객체가 뒤로 이동하면 상기 객체의 이동속도에 맞춰 상기 내부 볼록 렌즈를 뒤로 이동시키는, 안구운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공장치는, 상기 영상이 두 개의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객체 중 제1 객체를 영상의 중앙에 고정하고, 제1 객체보다 큰 제2 객체를 상기 사용자의 초점에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1 객체가 포함되도록 하며, 상기 제2 객체가 상기 제1 객체를 일정 시간 포함하는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앞뒤 방향으로 반복 이동시키는, 안구운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공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초점을 감지하는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초점이 일정 시간 상기 객체를 주시하면 상기 객체를 앞뒤 방향으로 반복 이동시키는, 이용한 안구운동장치.
KR1020190047598A 2018-04-23 2019-04-23 초점 확대 및 축소를 이용한 안구운동장치 KR201901232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46593 2018-04-23
KR1020180046593 2018-04-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245A true KR20190123245A (ko) 2019-10-31

Family

ID=6842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598A KR20190123245A (ko) 2018-04-23 2019-04-23 초점 확대 및 축소를 이용한 안구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324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89749A (zh) * 2020-06-29 2020-10-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视力矫正仪的控制方法、视力矫正仪和计算机存储介质
CN113325581A (zh) * 2021-04-29 2021-08-31 付静 一种基于5g云渲染的vr眼镜
KR20220109720A (ko) * 2021-01-29 2022-08-05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구현기기를 이용한 양안시 훈련용 교정 디바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691B1 (ko) 2009-12-22 2011-11-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홍채 시선 검출을 통한 안구 운동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691B1 (ko) 2009-12-22 2011-11-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홍채 시선 검출을 통한 안구 운동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89749A (zh) * 2020-06-29 2020-10-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视力矫正仪的控制方法、视力矫正仪和计算机存储介质
KR20220109720A (ko) * 2021-01-29 2022-08-05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구현기기를 이용한 양안시 훈련용 교정 디바이스
CN113325581A (zh) * 2021-04-29 2021-08-31 付静 一种基于5g云渲染的vr眼镜
CN113325581B (zh) * 2021-04-29 2023-07-21 江苏洪旭德生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5g云渲染的vr眼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3250B2 (en) Wearable glasse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via the wearable glasses
US10175753B2 (en) Second screen devices utilizing data from ear worn device system and method
JP6158317B2 (ja) 眼鏡用アダプタ
US2018036549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wearable computing device
US20170111723A1 (en) Personal Area Network Devices System and Method
US10032313B2 (en) Head-mounted device and method of enabling non-stationary user to perform 3D drawing interaction in mixed-reality space
US20130241927A1 (en) Computer device in form of wearable glasses and user interface thereof
US20130265300A1 (en) Computer device in form of wearable glasses and user interface thereof
CN104160320A (zh) 具有输入和输出结构的可佩戴设备组合件
KR20190018518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70021546A (ko) 가상현실 헤드셋을 이용한 안경 렌즈 비교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350412A (zh) 具有输入和输出结构的可佩戴装置
CN103324309A (zh) 可穿戴计算机
CN104969115A (zh) 用于头部可安装显示器的模块化框架构造
KR20190123245A (ko) 초점 확대 및 축소를 이용한 안구운동장치
KR20170006058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03921B1 (ko) 안구 추적과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장치
US11662692B2 (en) Electronic devices and systems
US11360587B1 (en) Deployment systems for computer system finger devices
KR20220137115A (ko)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과신장 힌지
CN111830712B (zh) 智能眼镜、组装式的眼镜、控制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KR20220137117A (ko) 안경류를 위한 코스메틱 트림을 갖는 과신장 힌지
KR20220137116A (ko) 안경류를 위한 fpc 서비스 루프들을 갖는 과신장 힌지
CN203490651U (zh) 可穿戴计算机
US115797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input thresho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