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156A -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156A
KR20190123156A KR1020180046956A KR20180046956A KR20190123156A KR 20190123156 A KR20190123156 A KR 20190123156A KR 1020180046956 A KR1020180046956 A KR 1020180046956A KR 20180046956 A KR20180046956 A KR 20180046956A KR 20190123156 A KR20190123156 A KR 20190123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electronic medical
request data
electronic
medical re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4454B1 (ko
Inventor
장동진
노영정
권형구
한재형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6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454B1/ko
Priority to PCT/KR2019/004767 priority patent/WO2019208976A1/ko
Publication of KR20190123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원은 전자의무기록 서버로 전자의무기록의 기록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의무기록의 기록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기록 결과 데이터는 외부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의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의 내용이 반영된 것인,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은,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에서, 환자의 휴대 기기로부터 상기 환자의 환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진료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환자정보 및 상기 진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의 가능상태 또는 불능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가능상태인 경우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판단 결과 불능상태인 경우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휴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는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의 불능상태일 때, 상기 휴대 기기에서 상기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 전달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ELECTRONIC MEDICAL RECORD TRANSMISSION AND RECEPTION}
본원은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IT-BT를 결합한 의료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헬스케어는 항상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다양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의료기관에 도입된 의료정보 시스템은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처방전달시스템(OCS, order communication system),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등이 있다. 이들 의료정보 시스템은 병원 등 의료기관에 전산시스템에 도입되면서, 의료기관에서 작성되고 전달되던 의료기록들이 디지털화된 것이다. 즉, 예전에 의사 등 의료진에 의해 수기로 작성 보관되던 의무기록들이 전자문서로 디지털화 되고, 의료정보 시스템에서 기록되어 영구 보관되고 있다.
전자의무기록(EMR)은 과거에 의사 등 의료진이 환자의 진료내용을 수기로 기록한 종이문서의 차트를 디지털화한 것이고, 처방전달시스템(OCS)는 과거에 의사가 수기로 작성한 종이문서의 처방전을 디지털화한 것이다. 또한,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은 과거에 CT나 MRI 등 의료영상 장비에 의해 촬영된 영상 필름을 디지털화한 것이다. 따라서 이들 환자의 진료내용, 의사의 처방전, 의료영상 자료들은 모두 디지털화되어, 의료기관 내 의료정보시스템에 저장되어 영구 보존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필요한 곳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의사나 환자는 PC 나 스마트폰 등 인터넷과 연결된 컴퓨팅 단말에서 필요할 때마다 해당 의료기관의 서버에 접속하여 환자의 의료기록을 쉽게 열람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의료정보시스템은 하나의 병원 등 단일한 의료기관 내에서 근거리 내지 원거리와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것이므로 사물간의 네트워크 또는 서버와 게이트웨이 내지 라우터와의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데이터를 수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1965(공개일: 2009.01.0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의무기록 서버와 통신 단절된 상황에서의 전자의무기록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할 수 있는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병원 내부의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 단절 상황에서도 실시간으로 전자의무기록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의무기록 서버로 전자의무기록의 기록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의무기록의 기록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기록 결과 데이터는 외부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의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의 내용이 반영된 것인,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은,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에서, 환자의 휴대 기기로부터 상기 환자의 환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진료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환자정보 및 상기 진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의 가능상태 또는 불능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가능상태인 경우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판단 결과 불능상태인 경우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휴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는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의 불능상태일 때, 상기 휴대 기기에서 상기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 전달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은, 소정 시간 간격 내에 상기 통신의 불능상태가 가능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기록 결과 데이터와 상기 휴대 기기에서 상기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 전달된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 결과 데이터와 상기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기록 결과 데이터 및 상기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 중 늦은 시간정보를 갖는 것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록 결과 데이터는 이전 시간에 요청된 이전 기록 요청 데이터가 반영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휴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가능 상태인 경우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 및 상기 휴대 기기 모두로 전송하되, 상기 판단 결과 불능상태인 경우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휴대 기기로만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와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 사이의 네트워크 통신은 상기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병원의 내부 기기들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내부 네트워크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기기가 소정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의 가능상태 또는 불능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가 병원의 접수 및 수납 영역에 위치하는 제 1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의 가능상태 또는 불능상태의 판단 결과가 상기 가능상태인 경우,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판단 결과 불능상태인 경우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제 1디바이스로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의무기록 서버로 전자의무기록의 기록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의무기록의 기록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기록 결과 데이터는 외부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의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의 내용이 반영된 것인,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는, 환자의 휴대 기기로부터 상기 환자의 환자정보를 수신하는 휴대 기기 통신부, 상기 환자의 진료정보를 입력받는 진료정보 입력부, 상기 환자정보 및 상기 진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록 요청 데이터 생성부,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의 가능상태 또는 불능상태를 판단하는 통신 상태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가능상태인 경우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판단 결과 불능상태인 경우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휴대 기기로 전송하는 전자의무기록 서버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는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의 불능상태일 때, 상기 휴대 기기에서 상기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 전달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기기는 제 1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부터 환자의 환자정보를 수신하는 환자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환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환자정보를 제 2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환자정보 전송부 및 상기 제 2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부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는 상기 제 2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와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이 불능상태일 때 수신되는 기록 요청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기기는 상기 제 1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와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이 불능상태일 때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제 1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기록 요청 데이터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이 불능상태일 때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와 휴대기기의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제 1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부터 환자의 환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환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환자정보를 제 2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부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는 상기 제 2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와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이 불능상태일 경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이 불능상태일 때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와 휴대기기의 송수신 방법은 상기 제 1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와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이 불능상태일 때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제 1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전자의무기록 서버와 통신 단절된 상황에서의 전자의무기록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할 수 있는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병원 내부의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 단절 상황에서도 실시간으로 전자의무기록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가능상태의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불능상태의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의 불능상태가 가능상태로 전환된 경우의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의 가능상태 또는 불능상태의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기록 요청 데이터를 전자의무기록 서버 또는 휴대 기기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의무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시스템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를 설명의 편의상 디바이스(100)라 하기로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설명에서 제1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 제2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 제3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는 제3 디바이스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전자의무기록 서버(200) 및 휴대 기기(300)와 전자의무기록의 기록 요청 데이터, 전자의무기록의 기록 결과 데이터,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 및 환자의 환자정보 등 각종 통신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전자의부기록 서버(200)로 전자의무기록의 기록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로부터 전자의무기록의 기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기록 결과 데이터는 외부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의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의 내용이 반영된 것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와 전자의무기록 서버(200) 및 휴대 기기(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의무기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휴대 기기(300)로부터 환자의 환자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1)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무선 통신 및 유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면, Wi-Fi,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는 통신 네트워크 (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Internet),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병원 내부에 위치하는 디바이스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 Pad),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TV와 같은 고정용 단말기일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병원 내부의 접수 및 수납 영역에 위치하는 접수 및 수납 디바이스(제 1 디바이스) 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병원 내부의 검사실에 위치하는 검사 디바이스(제 2디바이스) 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은 병원 내부의 진료실에 위치하는 진료 디바이스(제3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달리 말해, 디바이스(100)는 병원 내부에 위치하는 단말으로서, 환자가 병원에 방문하고 접수, 검사, 진료, 수납 과정 중 생성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는 병원 내부의 접수 및 수납 영역에 위치하는 접수 및 수납 디바이스(제 1 디바이스) 일 수 있다. 외부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는 병원 내부의 검사실에 위치하는 검사 디바이스(제 2디바이스) 일 수 있다. 외부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는 병원 내부의 진료실에 위치하는 진료 디바이스(제3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달리 말해, 디바이스(100)는 병원 내부에 위치하는 단말으로서, 환자가 병원에 방문하고 접수, 검사, 진료, 수납 과정 중 생성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가 제 1 디바이스일 경우, 제 2 디바이스 및 제 3 디바이스는 외부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와 연결되는 NFC 리더기 및 디바이스(100)에 설치되는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는 병원에서 발생하는 의료 정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환자의 의무 기록 관련 정보 데이터(예를 들어, 진료 기록, 처방 기록 등)를 포함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는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는, 환자의 인적 사항, 병력, 건강상태, 진찰, 입/퇴원기록, 이전 진료, 처방, 검사 이력 정보 등 환자의 모든 정보를 전산화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와 전자의무기록 서버(200) 사이의 네트워크의 통신은 디바이스(100)를 포함하는 병원의 내부 기기들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내부 네트워크일 수 있다. 병원의 내부 기기들은 병원 내부에 설치되고,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는 단말들일 수 있다. 내부 네트워크는 병원 내부에서의 통신되는 병원 네트워크일 수 있다.
휴대 기기(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디바이스(100)와 연동되는 디바이스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 (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휴대 기기(300)는 포터블 단말으로서, 사용자가 병원 내부의 접수, 검사, 진료 및 수납 과정을 거치면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휴대 기기(300)이 다운로드 하여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환자의 환자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휴대 기기(300)는 생체인식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고, 생체 인식 정보가 확인된 환자에 기반하여 환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달리 말해, 휴대 기기(300)는 생체인식 (예를 들어, 지문 인식)에 기반하여, 환자를 파악하고, 환자 정보를 획득하며, 디바이스(100)로 환자의 환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휴대 기기(300)로부터 환자의 환자 정보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는 NFC(Near Field Communicataion)이고, 수신되는 환자 정보는 환자 식별 번호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기기(300)는 휴대 가능한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휴대 기기(300)는 병원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휴대 기기(300)는 환자의 휴대폰(스마트폰)일 수 있다. 환자는 휴대 기기(300)를 소지하고, 병원을 방문한 후 생성되는 의료기록 정보들을 휴대 기기(300)로 전송 받을 수 있다. 일예로, 환자는 휴대 기기(300)를 소지하고, 접수처에 들러, 휴대 기기(300)를 접수처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접수 디바이스)와 접촉하면, 휴대 기기(300)는 접수 디바이스로 환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달리 말해, 휴대 기기(300)에서 전송되는 환자 정보는 휴대 기기(300)가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NFC 리더기에 근접 또는 접촉됨에 따라, 환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1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휴대 기기 통신부(110), 진료정보 입력부(120), 기록 요청 데이터 생성부(130), 통신 상태 판단부(140) 및 전자의무기록 서버 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기기 통신부(110)는 환자의 휴대 기기(300)로부터 환자의 환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정보는 환자 본인의 인적 사항 정보일 수 있다. 인적 사항 정보는 환자의 이름, 나이, 성별, 연령, 주민번호, 전화번호, 주소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환자정보는 병원에 첫 방문 시 수기로 작성하는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환자정보는 환자의 이전 의료기록 정보일 수 있으며, 이전 의료기록 정보는 환자의 진료 내역, 처방 내역, 이력 내역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료정보 입력부(120)는 환자의 진료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진료정보는 의사가 환자의 건강에 대해 진료업무를 보고 질병에 대한 내역이나 그 결과에 대한 의사 소견을 작성한 정보일 수 있다. 달리 말해, 진료정보 입력부(120)는 의사가 환자에 대한 진료확인사항에 대하여 작성한 환자의 진료정보를 외부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진단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 받을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진료정보는 환자가 검사실(예를 들어, CT, MRI 등)에서 검사를 받고 난 후 생성된 검사정보일 수 있다.
기록 요청 데이터 생성부(130)는 환자정보 및 진료정보에 기초하여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기록 요청 데이터는 환자가 진료 및 검사 과정에서 생성된 새로운 의료기록 정보일 수 있다. 달리 말해, 기록 요청 데이터 생성부(130)는 의사가 환자를 진료한 후 생성한 진료 기록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기록 요청 데이터일 수 있다.
통신 상태 판단부(140)는 전자의무기록 서버(200)와의 통신의 가능상태 또는 불능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상태 판단부(140)는 디바이스(100)와 전자의무기록 서버(200)와의 네트워크 단절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 상태 판단부(140)는 휴대 기기(300)가 소정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전자의무기록 서버(200)와의 통신의 가능상태 또는 불능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상태 판단부(140)는 디바이스(100)와 휴대 기기(200)간의 통신의 가능상태 또는 불능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 상태 판단부(140)는 휴대 기기(200)가 병원 내부의 기 설정 영역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디바이스(100)와 휴대 기기(200)간의 통신 가능상태로 판단하고, 디바이스(100)와 휴대 기기(200)간의 전자의무기록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병원 내부의 기 실정 영역은 병원 건물 내부의 영역일 수 있으며, 환자가 휴대 기기(200)를 가지고 병원 건물 외부로 나간 경우, 통신 상태 판단부(140)는 통신의 불능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의무기록 서버 통신부(150)는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기록 요청 데이터를 전자의무기록 서버(200) 또는 휴대 기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의무기록 서버 통신부(150)는 판단 결과 가능상태인 경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전자의무기록 서버 통신부(150)는 판단 결과 불능상태인 경우 기록 요청 데이터를 휴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의무기록 서버 통신부(150)는 소정 시간 간격 내에 통신의 불능상태가 가능상태로 전환된 경우,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기록 결과 데이터와 휴대 기기(300)에서 디바이스(100)로 전달된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를 비교하여, 기록 요청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자의무기록 서버 통신부(150)는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기록 결과 데이터와 디바이스(100)로 전달된 위부 기록 요청 데이터를 비교하고, 최신의 데이터를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로 동기화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의무기록 서버 통신부(150)는 통신이 불안정한 상황, 예를 들면 통신의 불능상태와 가능상태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휴대 기기(300)와 디바이스(100)가 접촉되는 경우, 지속적으로 기록 요청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전자의무기록 서버 통신부(150)는 기록 결과 데이터와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시간과 가까운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해당 데이터를 우선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전자의무기록 서버 통신부(150)는 기록 결과 데이터가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가 제 2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제 1 시간 정보가 제 2 시간 정보다 이전 시간인 경우, 제 2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를 우선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전자의무기록 서버(200)에 실시간으로 기록되는 의무기록은 기록 결과 데이터들의 내용이 반영된 것으로서, 기록 결과 데이터는 이전 시간에 요청된 이전 기록 요청 데이터가 반영된 데이터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의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는 전자의무기록 서버(200)와의 통신의 불능상태일 때, 휴대 기기(300)에서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에 도시된 방법은 앞선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설명된 디바이스(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디바이스(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3에도 적용된다.
단계 S301에서, 디바이스(100)는 환자의 휴대 기기(300)로부터 환자의 환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병원 내부의 접수처에 구비된 접수 디바이스(제1디바이스)일 수 있다. 휴대 기기(300)는 병원에 구비되어 환자가 접수 과정을 수행할 때 제공되는 기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휴대 기기(300)는 사용자 개인의 휴대 단말(스마트폰)일 수 있다. 휴대 기기(300)에 설치되는 생체인식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라 환자의 인적 정보를 확인하고, 환자의 환자정보를 디바이스(100)로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02에서, 디바이스(100)는 환자의 진료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검사실에 구비된 검사 디바이스(제 2디바이스)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검사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환자의 진료정보로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진료실에서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고 작성한 진료 데이터를 의사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단계 S303에서, 디바이스(100)는 환자정보 및 진료정보에 기초하여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기록 요청 데이터는, 전자의무기록 서버(200)에 실시간 의무기록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단계 S304에서, 디바이스(100)는 전자의무기록 서버(200)와의 통신의 가능상태 또는 불능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의 불능상태는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로 실시간 의무기록을 전송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300)가 소정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전자의무기록 서버(200)와의 통신의 가능상태 또는 불능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소정 영역은 병원 내부 영역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휴대 기기(300)가 병원 외부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전자의무기록 서버(200)와의 통신의 불능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05에서, 디바이스(100)는 통신의 불능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기록 요청 데이터를 휴대 기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 기기(300)는 통신의 불능상태가 가능상태로 전환되기 이전까지 기록 요청 데이터를 휴대 기기(300)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306에서, 디바이스(100)는 통신의 가능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는 기록 요청 데이터의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기록 요청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시간 간격 내에 통신의 불능상태가 가능상태로 전환된 경우,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기록 결과 데이터와 휴대 기기(300)에서 디바이스(100)로 전달된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를 비교하여, 기록 요청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는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와 전자의무기록 서버(200)에 저장된 기록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기록 요청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즉,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가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전자의무기록 서버(200)에 저장된 기록 결과 데이터가 제 2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때, 제 1 시간이 제 2 시간보다 이전 시간인 경우, 전자 의무기록 서버(200)는 전자의무기록 서버(200)에 저장된 기록 결과 데이터를 기록 요청 데이터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는 실시간 의무기록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송되는 데이터들의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정보들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다만, 도 3을 통해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가 더 존재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기기(300)는 환자정보수신부(미도시), 저장부(미도시), 환자정보 전송부(미도시), 기록 요청 데이터 수신부(미도시) 및 기록 요청 데이터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휴대기기(300)는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된 휴대기기(30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해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앞서 설명된 휴대기기(30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휴대기기(300)에도 적용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정보 수신부(미도시)는 제 1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부터 환자의 환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미도시)는 수신된 환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정보 전송부(미도시)는 저장된 환자정보를 제 2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록 요청 데이터 수신부(미도시)는 제 2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부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기록 요청 데이터 수신부는 제 2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와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이 불능상태일 때 제 2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부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기록 요청 데이터 전송부(미도시)는 제 1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와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이 불능상태일 때 기록 요청 데이터를 제 1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b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 1 디바이스는 병원 내부의 접수 및 수납 영역 위치하는 단말로서, 접수 및 수납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는 병원 내부의 검사실에 위치하는 단말로서, 환자의 검사 정보를 전송하는 검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제 3 디바이스는, 병원 내부의 진료실에 위치하는 단말로서, 환자의 진료 정보를 전송하는 진료 디바이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300), 제 1 디바이스(101), 제 2 디바이스(102), 제 3디바이스(103) 및 전자의무기록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가 병원 내에서 접수, 검사, 진료, 수납 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가능상태의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휴대 기기(300)는 생체 정보 인식을 통해 환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일예로, 생체 정보 인식은 지문검사, 홍채검사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휴대 기기(300)는 환자를 인식하고 제 1 디바이스(101)로 환자의 환자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1)는 접수 영역에 구비된 접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단계 S402에서 제 1 디바이스(101)는 환자정보를 제 1 동기화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1)는 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1)는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로 환자정보를 제 1 동기화할 수 있다. 제 1 동기화는 제 1 디바이스(101) 즉, 접수 및 수납 디바이스에 포함된 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와의 동기화 일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제 1디바이스(101)는 환자정보를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로 제 2동기화할 수 있다.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는 제 2 동기화를 통해, 실시간 의무기록을 생성하기 위한 환자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단계 S404에서 제 1 디바이스(101)는 인식된 환자정보에 기반하여, 환자식별 번호 및 기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는 병원 방문 후 접수를 하기 위해 수기로 작성했던 본원의 환자정보(예를 들어, 개인정보)를 휴대 기기의 생체인식을 통한 환자정보 요청과정을 통해 전자의무기록 서버(300)로부터 빠르게 환자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휴대 기기(300)는 제 2 디바이스(102)로 환자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환자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01)에서 제공한 환자식별번호 및 기본정보 등이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단계 S406에서 제 2디바이스(102)는 휴대 기기(300)와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로 환자의 검사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02)는 검사실에 구비된 검사실 디바이스 일 수 있다. 검사정보는 CR, MRI, X-ray 등 환자가 검사를 받고 난 후 생성된 검사정보 데이터일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02)는 환자 정보에 검사 정보를 매칭하여 휴대 기기(300) 및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로 전송함으로써, 휴대 기기(300) 및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는 해당 환자의 실시간 의무기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는 휴대 기기(300)를 소지하고 다니며, 건강진단을 위한 검사실에 방문하고, 검사실에서 생성된 검사정보를 환자가 소지한 휴대 기기(300)로 전송 받음으로써, 보다 빠르게 검사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병원 네트워크의 통신 두절 상황에서 휴대 기기(300)에 검사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검사 정보가 손실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 S407에서 휴대 기기(300)는 제 3 디바이스(103)로 환자정보 및 검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103)는 진료실에 구비된 진료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달리 말해, 제 3 디바이스(103)는 의사가 사용하는 디바이스로서, 환자의 검사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진료 기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디바이스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408에서 전자의무기록 서버(300)는 제 3 디바이스(103)로 의료 이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의료 이력 정보는 환자의 이전 의료 이력 정보일 수 있다. 의료 이력 정보는 진료 이력, 처방 이력, 검사 이력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단계 S409에서, 제 3 디바이스(103)는 의사가 사용자의 검사 정보 및 이전 의료 이력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한 현재의 진료 및 처방 내역을 입력 받고, 휴대 기기(300) 와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 기기(300) 와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는 현재의 진료 및 처방 내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는 생성된 진료 및 처방 내역 정보를 실시간 의무기록 정보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휴대 기기(300)는 제 1 디바이스(101)로 진료 내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의 제 1 디바이스(101)는 수납 영역에 구비된 수납 디바이스 일 수 있다. 즉, 단계 S410은 환자가 진료를 모두 마치고 수납하기 위해 휴대 기기(300)에서 제 1 디바이스(101)로 진료 내역을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 S411에서, 제 1 디바이스(101)는 휴대 기기(300)로부터 전송 받은 진료 내역을 제 1 동기화할 수 있다. 이때, 제 1 동기화는 제 1 디바이스에 포함된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와의 동기화일 수 있다.
단계 S412에서, 제 1 디바이스(101)는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로 진료 내역을 제 2 동기화할 수 있다. 제 2 동기화는 전자의무기록 서버(200)와의 동기화이며,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는 진료 내역을 실시간 의무기록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 S413에서, 제 1 디바이스(101)는 진료 내역 제 2 동기화가 완료된 후 휴대 기기(300)로 삭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삭제 명령은 S401에서 S412까지의 정보들이 휴대 기기(300)에 저장된 정보들을 삭제하는 명령일 수 있다.
단계 S414에서, 휴대 기기(300)는 삭제 명령을 판단하고, 저장된 의료 기록 정보들을 삭제하고, 초기화할 수 있다.
도 5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불능상태의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5a에 도시된 방법은 앞선 도 4를 통해 설명된 통신 가능상태에서의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에서 수행되는 과정과 일부 동일한 과정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앞서 설명된 도 4를 통해 휴대 기기(300), 제 1 디바이스(101), 제 2 디바이스(102), 제 3디바이스(103) 및 전자의무기록 서버(200)와의 네트워크 통신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5a에도 적용된다.
단계 S501에서 휴대 기기(300)는 생체 정보 인식을 통해 환자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휴대 기기(300)는 환자를 인식하고 제 1 디바이스(101)로 환자의 환자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1)는 접수 영역에 구비된 접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단계 S502에서 제 1 디바이스(101)는 제 1 디바이스(101)에 포함된 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요청된 환자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전자의무기록 서버(200)와의 통신 불능상태이기 때문에, 제 1 디바이스(101)에 포함된 환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 환자 정보 조회를 확인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의무기록 서버(200)와의 통신 불능 상태가 발생할 경우, 전자의무기록 서버(200)에 실시간으로 기록된 의무기록을 휴대 기기(300)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제 1 디바이스(101)는 조회가 완료된 환자의 환자식별번호 및 기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504에서, 휴대 기기(300)는 제 2 디바이스(102)로 환자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환자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01)에서 제공한 환자식별번호 및 기본정보 등이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단계 S505에서, 제 2 디바이스(102)는 검사 정보를 휴대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02)는 검사실에 구비된 검사실 디바이스 일 수 있다. 검사정보는 CR, MRI, X-ray 등 환자가 검사를 받고 난 후 생성된 검사정보 데이터일 수 있다.
단계 S506에서, 휴대 기기(300)는 제 3 디바이스(103)로 환자정보 및 검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103)는 진료실에 구비된 진료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달리 말해, 제 3 디바이스(103)는 의사가 사용하는 디바이스로서, 환자의 검사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진료 기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디바이스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507에서, 제 3 디바이스(103)는 의사가 사용자의 검사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한 현재의 진료 및 처방 내역을 입력 받고, 휴대 기기(300)로 현재의 진료 및 처방 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휴대 기기(300)는 현재의 진료 및 처방 내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508에서 휴대 기기(300)는 제 1 디바이스(101)로 진료 내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08에서의 제 1 디바이스(101)는 수납 영역에 구비된 수납 디바이스 일 수 있다. 즉, 단계 S508은 환자가 진료를 모두 마치고 수납하기 위해 휴대 기기(300)에서 제 1 디바이스(101)로 진료 내역을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 S509에서, 제 1 디바이스(101)는 휴대 기기(300)로부터 전송 받은 진료 내역을 동기화할 수 있다. 이때, 동기화는 제 1 디바이스에 포함된 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와의 동기화일 수 있다.
단계 S510에서, 제 1 디바이스(101)는 진료 내역 동기화가 완료된 후 휴대 기기(300)로 삭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삭제 명령은 S501에서 S508까지의 정보들이 휴대 기기(300)에 저장된 정보들을 삭제하는 명령일 수 있다.
단계 S511에서, 휴대 기기(300)는 삭제 명령을 판단하고, 저장된 의료 기록 정보들을 삭제하고, 초기화할 수 있다.
도 5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의 불능상태가 가능상태로 전환된 경우의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S520은 통신의 불능상태에서 가능상태로 전환된 경우,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로 실시간 의무기록을 동기화하기 위한 과정이다. 제 1 디바이스(101)는 앞서 설명된 단계 S509에서, 휴대 기기(300)로부터 전송 받은 진료 내역을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로 갱신할 수 있다.
통신의 불능상태에서 가능상태로 전환된 경우, 진료 내역 갱신 과정에서는 전자의무기록 서버(200)에 저장된 기록 요청 데이터와 제 1 디바이스(101)에 저장된 기록 요청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비교한 후 전자의무기록 서버(200)로 진료 내역을 갱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이 불능상태일 때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와 휴대기기의 송수신 방법은 앞서 설명된 도 1 내지 도 b를 통해 설명된 휴대기기(300)의 동작과 일부 동일한 과정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앞서 설명된 휴대기기(300)와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의 송수신 방법에 설명된 내용은 이하의 방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예시적으로, 휴대기기(300)는 제 1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부터 환자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휴대기기(300)는 수신된 환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휴대기기(300)는 저장된 환자정보를 제 2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기기(300)는 제 2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부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기록 요청 데이터는 제 2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와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이 불능상태일 경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휴대기기(300)는 제 1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와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이 불능상태일 때 기록 요청 데이터를 제 2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
110: 휴대 기기 통신부
120: 진료정보 입력부
130: 기록 요청 데이터 생성부
140: 통신 상태 요청부
150: 전자의무기록 서버 통신부
200: 전자의무기록 서버
300: 휴대 기기

Claims (10)

  1. 전자의무기록 서버로 전자의무기록의 기록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의무기록의 기록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기록 결과 데이터는 외부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의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의 내용이 반영된 것인,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에서, 환자의 휴대 기기로부터 상기 환자의 환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진료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환자정보 및 상기 진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의 가능상태 또는 불능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가능상태인 경우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판단 결과 불능상태인 경우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휴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는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의 불능상태일 때, 상기 휴대 기기에서 상기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것인,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 간격 내에 상기 통신의 불능상태가 가능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기록 결과 데이터와 상기 휴대 기기에서 상기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 전달된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 결과 데이터와 상기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기록 결과 데이터 및 상기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 중 늦은 시간정보를 갖는 것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업데이트하는 것인,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결과 데이터는 이전 시간에 요청된 이전 기록 요청 데이터가 반영된 것인,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휴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가능 상태인 경우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 및 상기 휴대 기기 모두로 전송하되, 상기 판단 결과 불능상태인 경우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휴대 기기로만 전송하는 것인,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와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 사이의 네트워크 통신은 상기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병원의 내부 기기들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내부 네트워크인 것인,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기기가 소정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의 가능상태 또는 불능상태를 판단하는 것인,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가 병원의 접수 및 수납 영역에 위치하는 제 1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의 가능상태 또는 불능상태의 판단 결과가 상기 가능상태인 경우,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판단 결과 불능상태인 경우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제 1디바이스로 저장하는 것인,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
  9. 전자의무기록 서버로 전자의무기록의 기록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의무기록의 기록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기록 결과 데이터는 외부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의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의 내용이 반영된 것인,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환자의 휴대 기기로부터 상기 환자의 환자정보를 수신하는 휴대 기기 통신부;
    상기 환자의 진료정보를 입력받는 진료정보 입력부;
    상기 환자정보 및 상기 진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록 요청 데이터 생성부;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의 가능상태 또는 불능상태를 판단하는 통신 상태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가능상태인 경우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판단 결과 불능상태인 경우 상기 기록 요청 데이터를 상기 휴대 기기로 전송하는 전자의무기록 서버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기록 요청 데이터는 상기 전자의무기록 서버와의 통신의 불능상태일 때, 상기 휴대 기기에서 상기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것인,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디바이스.
  10. 제 1 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80046956A 2018-04-23 2018-04-23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054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956A KR102054454B1 (ko) 2018-04-23 2018-04-23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PCT/KR2019/004767 WO2019208976A1 (ko) 2018-04-23 2019-04-19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956A KR102054454B1 (ko) 2018-04-23 2018-04-23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156A true KR20190123156A (ko) 2019-10-31
KR102054454B1 KR102054454B1 (ko) 2019-12-10

Family

ID=6829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956A KR102054454B1 (ko) 2018-04-23 2018-04-23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4454B1 (ko)
WO (1) WO20192089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109A (ko) * 2020-03-24 2021-10-05 주식회사 인포랩 안면 인식을 이용한 무인 접수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1561A (ko) * 2008-03-24 2009-09-2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및 그에따른 시스템
KR20160086123A (ko) * 2015-01-09 2016-07-19 유선용 전자 의무기록 제공 장치
JP2017163541A (ja) * 2017-03-02 2017-09-1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969A (ko) * 2003-04-14 2004-10-20 장일규 분산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의 데이터 일치성을 통한점포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96172B1 (ko) * 2004-05-29 2005-06-17 주식회사 티나루 P2p 환경의 웹서버에서 중앙서버를 이용한 듀얼웹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9280636B2 (en) * 2010-05-13 2016-03-08 Qsi Management, Llc Electronic medical record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KR20130136891A (ko) * 2012-06-05 2013-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1561A (ko) * 2008-03-24 2009-09-2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및 그에따른 시스템
KR20160086123A (ko) * 2015-01-09 2016-07-19 유선용 전자 의무기록 제공 장치
JP2017163541A (ja) * 2017-03-02 2017-09-1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109A (ko) * 2020-03-24 2021-10-05 주식회사 인포랩 안면 인식을 이용한 무인 접수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454B1 (ko) 2019-12-10
WO2019208976A1 (ko)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34383A1 (en) Mobile device-based system for automated, real time health record exchange
US202201888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payment requests within a health care network
US20160180045A1 (en) Wireless beacon devices used to track medical information at a hospital
EP2946323B1 (en) Secure real-time health record exchange
US20170068785A1 (en) Secure real-time health record exchange
US20140337053A1 (en) "Meaningful-Use"-Compliant, Single Login, Federated Patient Portal System and Methods
JP201310158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91831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mobile-based patient centric medical data
US201903045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erver-based patient centric medical data
KR20130001500A (ko)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95443A (ko) 휴대용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의료 정보 시스템
Wiweko et al. Overview the development of tele health and mobile health application in Indonesia
KR102054454B1 (ko) 전자의무기록 송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502544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advice
KR101093050B1 (ko) 의료 영상 데이터 공유 장치, 의료 영상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의료 영상 데이터 공유 방법
WO2014156901A1 (ja) 医用情報表示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可搬型端末
US20170169166A1 (en) Collaborative charting system with device integration
JP2016076767A (ja) 電子医療情報の近距離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140019159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atient charting
KR20160098610A (ko) 애완 동물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460174B1 (ko) 영상검사자료 통합검색기능이 구비된 병원진료검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86123A (ko) 전자 의무기록 제공 장치
US20140236624A1 (en) Management system for personal health record
JP6202152B2 (ja) 情報取得端末装置および方法、情報管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652121B1 (ko)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