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121B1 -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121B1
KR102652121B1 KR1020220003813A KR20220003813A KR102652121B1 KR 102652121 B1 KR102652121 B1 KR 102652121B1 KR 1020220003813 A KR1020220003813 A KR 1020220003813A KR 20220003813 A KR20220003813 A KR 20220003813A KR 102652121 B1 KR102652121 B1 KR 102652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size
specific individual
virtual space
metaverse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8430A (ko
Inventor
이병일
변시섭
진재선
Original Assignee
(주)헬스허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헬스허브 filed Critical (주)헬스허브
Priority to KR1020220003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121B1/ko
Publication of KR20230108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1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정 개인이 가상공간에서 사용하는 객체(예: 아바타(분신))의 식별(identification)을 상기 특정 개인에 대한 의료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신체사이즈와 매칭하여 수행함으로써,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을 심리스하게 연계할 수 있도록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ERSONAL IDENTIFICATION IN METAVERSE ENVIRONMENT WHERE VIRTUAL SPACE AND REAL SPACE COEXIS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개인이 가상공간에서 사용하는 객체(예: 아바타(분신))의 식별(identification)을 상기 특정 개인에 대한 의료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신체사이즈와 매칭하여 수행함으로써,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을 심리스하게 연계할 수 있도록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실세계에서의 생활이나 활동을 가상세계와 연결하여 분담하거나 대행할 수 있다면 많은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가상세계에서 자신의 아바타를 활용하여 현실세계의 생활이나 활동에 대한 상당 부분을 대행할 수 있는 메타버스(metaverse) 시스템이 활발하게 도입되고 있다.
메타버스(metaverse)라고 하는 것은, 가상이나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나 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를 합성한 조어이다. 즉, 웹상에서 아바타를 이용하여 사회, 경제, 문화적 활동을 하는 것처럼 가상세계와 현실세계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상기 메타버스는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을 자유롭게 오가면서 생활을 영위하는 개념으로, 본 발명은 특정 개인이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을 자유롭게 오가면서 활동할 수 있도록, 가상공간에서의 아바타와 현실공간에서의 특정 개인이 상호 동일인으로 식별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그러나 아바타를 활용한 대부분의 메타버스 시스템은 가상공간의 아바타와 현실공간의 인물이 동일인인지를 식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메타버스 시스템은 현실공간의 개인이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이용한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에 로그인을 수행하고, 현실공간의 개인이 가상공간에서의 자신을 대행하는 아바타를 조작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상기 가상공간에서의 아바타가 현실세계의 누구의 것인지 식별할 수 없어 현실세계의 생활이나 활동을 대행할 수 있는 메타버스 시스템을 적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상공간에서 특정 개인이 사용하는 객체(즉 아바타)의 식별을 상기 특정 개인에 대한 의료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신체사이즈를 통해 수행함으로써,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 개인식별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발명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발명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0812314호(2008.03.11.)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아바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를 3차원 스캔하여 생성한 아바타 정보와 인터넷 쇼핑을 위한 개인 정보를 인증 서버에 미리 등록하여 두고, 인터넷 쇼핑몰 회원 가입 및 로그인 시에 비밀번호나 주민등록 번호 등의 중요 개인 정보를 입력받는 대신 인증 서버에 기 등록된 아바타 정보와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회원 가입 및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성과 회원 가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아바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에 관한 선행발명이다.
즉,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0812314호는 인터넷 쇼핑몰 회원 가입 및 로그인 과정에서 요구되는 사용자 인증을 비밀번호 입력 방식이 아닌 아바타 전송 방식으로 수행하여 주민등록번호나 비밀번호와 같은 개인 정보를 해킹당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특정 개인에 대한 의료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신체사이즈를 이용하여 특정 개인이 가상공간에서 사용하는 객체와 실제 인물 간의 동일성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0812314호와 본 발명은 현저한 구성상 차이점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4-0024142호(2014.02.28.)는 모바일기기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기기 등록절차에서 상기 모바일기기로부터 모바일기기 고유식별자와 이메일주소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난수값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난수값을 상기 이메일주소로 전송하는 1차기기등록부와; 상기 모바일기기 등록절차에서 상기 모바일기기로부터 모바일기기 고유식별자와 난수값과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모바일기기 고유식별자와 난수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값과 비교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2차기기등록부와; 기기 사용자 인증절차에서 상기 모바일기기로부터 모바일기기 고유식별자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모바일기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기사용자인증부를 포함한 모바일기기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선행발명이다.
즉,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2014-0024142호는 모바일기기를 통한 온라인서비스 이용시 인증서버가 사용자가 정당사용자인지를 인증하고 사용자의 온라인서비스 이용내역을 저장하여 추후 해당 온라인 서비스 이용을 부인하지 못하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가상공간의 객체와 현실공간의 인물 간의 동일성을 식별하기 위해서, 특정 개인에 대한 의료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신체사이즈를 이용하여 특정 개인이 가상공간에서 사용하는 객체와 실제 인물 간의 동일성을 식별하는 것이므로,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2014-0024142호와 본 발명은 기술적 구성의 차이점이 분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가상공간의 객체(아바타)와 현실공간의 인물 간에 활동이 연계되고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식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개인의 신체부위별 사이즈를 활용하여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의 동일성 식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식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개인의 의료영상을 분석하여 머리, 목, 가슴, 팔, 다리, 복부 등 신체의 각 부분에 대한 정확한 수치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특정 개인이 가상공간에서 사용하는 객체와 매칭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식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의 일생에 걸친 헬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시계열적으로 하나의 시퀀스로 생성한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된 각 신체부위별 신체사이즈를 이용하여, 현실공간의 사람을 대행하는 가상공간의 객체를 식별함으로써, 각 개인이 가상공간의 객체를 통해 건강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행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식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상황에서, 각 개인의 신체부위별 신체사이즈를 통해서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와 현실공간의 인물을 식별하여 건강관리는 물론, 보안, 쇼핑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식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는, 특정 개인의 신체부위별 의료영상을 토대로 상기 특정 개인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추출하는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부; 및 상기 추출한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통해 상기 특정 개인이 제시한 신체사이즈 식별자와 가상공간에서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매칭하여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를 식별하는 가상공간 객체 식별부;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개인의 신체사이즈 정보로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객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식별 장치는, 상기 특정 개인과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를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통해서 연계하는 연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계부는,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가 상기 가상공간에서 수행한 활동에 대한 기록과 상기 특정 개인이 현실공간에서 수행한 활동에 대한 기록을 동기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는,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추출한 추출시간정보를 포함한 헤더; 및 상기 특정 개인의 각 신체부위별 식별자 및 상기 각 신체부위별 사이즈를 조합한 코드정보를 포함한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개인의 신체부위별 의료영상의 추가나 변경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식별 장치는,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부에서 추출한 특정 개인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상기 특정 개인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공유하는 신체사이즈 식별자 공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유한 신체사이즈 식별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접속을 수행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자동으로 제공되어,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식별 장치는, 개인의 일생에 걸친 헬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시계열적으로 하나의 시퀀스로 인코딩한 라이프 시퀀스를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는 라이프 시퀀스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부는, 상기 라이프 시퀀스 수신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특정 개인의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된 각 신체부위별 신체사이즈를 토대로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상공간 객체 식별부는, 상기 추출한 특정 개인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상기 특정 개인에게 생성된 가상공간의 객체에 매핑하는 신체사이즈 식별자 매핑부; 및 메타버스 플랫폼 접속 시, 상기 특정 개인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신체사이즈 식별자와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에 매핑된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비교하여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가 상기 특정 개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동일 여부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특정 개인에 대해서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과 상호 연동하여 개인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개인의 라이프 시퀀스를 가져올 수 있으며, 상기 라이프 시퀀스에 포함된 신체사이즈 정보를 통해서 상기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특정 개인이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에서 라이프 시퀀스를 생성한 사용자와 실제 동일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한 후, 각 개인별 식별코드를 발행하여 공유하여 등록해 두고, 이후 상기 특정 개인의 라이프 시퀀스에 접근할 때, 상기 특정 개인이 제시하는 개인정보는 물론, 상기 등록해둔 식별코드를 활용하여 시스템간의 2차 개인인증에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차 개인인증을 기반으로 가져온 라이프 시퀀스를 바탕으로 상기 특정 개인의 신체사이즈 정보를 메타버스 환경에 적용하며, 상기 신체사이즈 정보만으로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특정 개인의 가상공간에서의 활동에 따라 헬스데이터를 포함한 라이프 시퀀스를 업데이트할 경우, 상기 특정 개인의 시계열적인 신체사이즈가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에 저장된 것과 매칭되어 동일인임이 확인되어야 상기 헬스데이터를 상기 라이프 시퀀스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과 연동한 상태에서,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에 라이프 시퀀스를 요청할 때, 상기 신체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라이프 시퀀스에 액세스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방법은,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에서, 특정 개인의 신체부위별 의료영상을 토대로 상기 특정 개인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추출하는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통해 상기 특정 개인이 제시한 신체사이즈 식별자와 가상공간에서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매칭하여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를 식별하는 가상공간 객체 식별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개인의 신체사이즈 정보로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객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식별 방법은, 상기 특정 개인과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를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통해서 연계하는 연계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계 단계는,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가 상기 가상공간에서 수행한 활동에 대한 기록과 상기 특정 개인이 현실공간에서 수행한 활동에 대한 기록을 동기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식별 방법은,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 단계에서 추출한 특정 개인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상기 특정 개인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공유하는 신체사이즈 식별자 공유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유한 신체사이즈 식별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접속을 수행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자동으로 제공되어,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식별 방법은, 개인의 일생에 걸친 헬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시계열적으로 하나의 시퀀스로 인코딩한 라이프 시퀀스를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는 라이프 시퀀스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 단계는, 라이프 시퀀스 수신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특정 개인의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된 각 신체부위별 신체사이즈를 토대로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상공간 객체 식별 단계는, 상기 추출한 특정 개인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상기 특정 개인에게 생성된 가상공간의 객체에 매핑하는 신체사이즈 식별자 매핑 단계; 및 메타버스 플랫폼 접속 시, 상기 특정 개인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신체사이즈 식별자와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에 매핑된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비교하여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가 상기 특정 개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동일 여부 판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가상공간에서의 객체와 현실공간에서의 개인이 서로 동일인임을 상기 개인의 의료영상에 기반한 복수의 신체사이즈를 활용하여 식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와 현실공간의 개인 간의 동일성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상공간에서 각 개인이 자신의 분신인 객체를 통해 건강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행위는 물론, 보안, 쇼핑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를 포함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플랫폼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이용한 개인식별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 개인별 신체사이즈 식별자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라이프 시퀀스의 일 예(데이터 스트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수행하는 각 개인별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과 공유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수행하는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이용한 개인식별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플랫폼을 실현하는 컴퓨터(서버)의 하드웨어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를 포함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타버스 플랫폼(100),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복수의 의료기관 시스템(300), 데이터베이스(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사업자 측에서 운용하는 서버 컴퓨터로서,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 각 사용자들이 가상공간에서 사용하는 객체(즉 아바타)를 해당 사용자의 의료영상으로부터 추출한 각 신체부위별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현재 운영되고 있는 대부분의 인터넷 서비스는 서비스 이용을 위해 접속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때, 사용자가 입력하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한 인증방식으로는 특정 사용자의 가상공간의 객체가 현실세계의 누구의 것인지 식별하는데 한계가 있고, 이에 따라 가상공간의 객체와 현실공간의 인물간에 활동을 연계하여 이용할 수 있는 메타버스 시스템에 적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타버스 환경에서 가상공간의 객체와 현실공간의 인물이 서로 동일인임을 식별하기 위해 각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사이즈 정보를 활용한다. 즉 각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촬영한 의료영상으로부터 머리, 목, 가슴, 팔, 다리, 복부 등의 다양한 신체부위별로 신체사이즈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마다 고유한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추출하여 개인식별에 사용한 것이다.
특히, 각 사용자의 신체부위별 의료영상으로부터 신체사이즈를 측정하는 것은 mm 단위의 고정밀 사이즈 정보이고, 각 사용자마다 모두 다르기 때문에 개인식별을 위한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는 매우 유용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의료영상으로부터 신체사이즈를 측정하는 방식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공개된 공개번호 제2021-0099408호(2021.08.12.공개)를 참조하면 보다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는 특정 사용자의 각 신체부위별 식별자 및 상기 각 신체부위별 사이즈를 조합한 코드정보로서,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해당 사용자의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된 각 신체부위별 신체사이즈를 추출하여 생성할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과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은 특정 사용자에 대해서 상호 연동하여 개인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이 신체사이즈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에서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500)으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라이프 시퀀스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500)에서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을 이용하는 사용자와 라이프 시퀀스를 생성한 사용자가 실제 동일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한 후 각 개인별 식별코드를 발행하여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과 공유하여 등록해 두고, 이후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에서 해당 사용자 개인의 라이프 시퀀스에 접근할 때, 사용자가 제시하는 개인정보는 물론, 상기 등록해둔 식별코드를 활용하여 시스템간의 2차 개인인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2차 개인인증을 기반으로 가져온 라이프 시퀀스를 바탕으로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에서는 각 사용자의 신체사이즈 정보를 메타버스 환경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에서는 신체사이즈 정보만으로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에서 특정 사용자의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활동에 따라 헬스데이터를 포함한 라이프 시퀀스를 업데이트할 경우, 특정 사용자의 신체사이즈와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500)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시계열적인 신체사이즈가 서로 매칭되어 동일인임이 확인되어야 상기 헬스데이터를 상기 라이프 시퀀스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단순히 개인인증뿐만 아니라 해당 라이프 시퀀스에 대한 콘텐츠인 신체사이즈도 동일해야 상기 해당 라이프 시퀀스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과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500)의 제어하에서,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에서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500)으로부터 라이프 시퀀스를 요청할 때, 신체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라이프 시퀀스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개인인증이 확립된 상태에서 두 개의 플랫폼간에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외부에서 제3자가 끼어들 여지가 없게 된다.
상기 라이프 시퀀스는 각 사용자로부터 일생에 걸친 헬스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헬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시계열적으로 하나의 시퀀스로 인코딩한 것으로서, 상기 헬스데이터는 각 사용자의 신체정보(예: 신장, 체중 등), 생체정보, 건강검진결과(예: 검사결과, 의사 소견 등), 신체의 각 부위를 촬영한 의료영상(예: 크기, 촬영일시, 장소, 압축방식, 모달리티, 어노테이션 여부 등), 의사의 진단정보, 투약정보, 가족력을 포함한 가족사항, 임상정보 등의 의료정보는 물론, 각 사용자의 식사량, 운동량 등의 건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참조)
한편,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각 신체부위별 신체사이즈를 통해 식별한 가상공간의 객체를 이용한 가상공간에서의 활동과 해당 사용자의 현실공간에서의 활동을 연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의 활동에 대한 기록을 동기화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공간은 각 사용자들이 건강관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각종 병원은 물론, 정부기관이나 기업에서 운영하는 시설 등을 배치한 맵으로서,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 측에서 임의로 가상공간을 만들어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이외에 실제 현실공간을 그대로 재현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에서 실제 이용하는 병원 대신에 상기 가상공간에 배치된 자신을 나타내는 가상공간의 객체를 다른 병원으로 이동시켜 현재 건강상태의 진단을 의뢰하여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제 오프라인 상에서 병원을 이리저리 방문할 필요없이,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에서 제공하는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객체를 이용하여 다른 병원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상병원에 배치된 다른 병원에서는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에 매핑된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라이프 시퀀스를 토대로 해당 객체의 실제 인물이 누구인지를 확인하고,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된 검사기록, 영상 등의 의료정보를 토대로 현재 건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특정 사용자의 가상공간의 객체에 개인식별정보(이름, 주소, 연락처 등) 및 해당 사용자의 일생에 걸친 헬스데이터의 속성을 시계열적으로 하나의 시퀀스로 인코딩한 라이프 시퀀스를 동기화하여 매칭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가상공간의 객체를 이용한 가상공간에서의 활동과 해당 사용자의 현실공간에서의 활동을 연계하기 위하여,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가 상기 가상공간에서 수행한 활동에 대한 기록을 현실공간의 사용자의 활동에 대한 기록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향후 상기 사용자의 현실공간에서의 활동에 대한 기록을 상기 가상공간에서 수행한 활동과 동기화하는 경우, 현실공간에서의 활동에 대한 기록을 바탕으로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가 상기 가상공간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메타버스 환경에서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이용한 개인식별을 통해서 가상공간에서의 활동과 현실공간에서의 활동을 상호간에 연계하여 통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통해 개인식별을 수행한 사용자가 가상공간의 객체를 활용하여 의료와 관련된 활동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것 이외에, 쇼핑이나 보안 등의 다양한 형태로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각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유무선 통신 단말로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각종 의료영상을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으로부터 가상공간의 객체의 식별을 위하여 추출한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제공받아 저장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에 접속을 수행할 때 기 저장된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에 전송하여, 해당 사용자의 객체에 매핑된 신체사이즈 식별자와의 매칭을 통해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와 상기 사용자가 동일인임을 판별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300)은 상기 사용자와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간의 계약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각종 의료영상 등을 포함한 헬스데이터를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으로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는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의료기관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한 각종 의료영상을 저장하고, 개인식별에 사용되는 각 사용자별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저장하며,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가 매핑된 각 사용자별 가상공간의 객체 및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에 매핑된 개인식별정보와 라이프 시퀀스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는 맵 형태로 구현한 가상공간에 대한 정보는 물론, 각 사용자가 가상공간의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공간에서 수행한 활동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에서 사용되는 각종 동작프로그램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500)은 각 사용자가 제공한 헬스데이터에서 이름, 주민번호, 연락처, 주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개인별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식별정보를 제거하여 비식별화한다. 그리고 개인별 식별정보와 각 개인별 라이프 시퀀스의 식별정보를 매칭하여 관리하는데, 각 개인별 식별정보와 라이프 시퀀스의 식별정보는 식별번호나 식별이 가능한 이름이나 코드가 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500)은 비식별화된 헬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시계열적으로 하나의 시퀀스로 인코딩하여 라이프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라이프 시퀀스를 상기 라이프 시퀀스 제공부(11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500)은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과 별개로 구성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 내에 설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플랫폼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라이프 시퀀스 수신부(110),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부(120), 신체사이즈 식별자 공유부(130), 가상공간 객체 식별부(140), 연계부(150), 웹서버(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사용자가 가상공간의 객체를 통해서 가상공간에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맵 형태의 가상공간을 구현하는 가상공간 구현부 등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라이프 시퀀스 수신부(110)는 각 사용자의 일생에 걸친 헬스데이터(신체부위별 의료영상 포함)에 대한 속성을 시계열적으로 하나의 시퀀스로 인코딩하여 생성한 라이프 시퀀스를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500)으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부(12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과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500)은 상호간에 특정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어 있으므로,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500)은 상기 라이프 시퀀스 수신부(110)의 요청에 따라 특정 사용자의 라이프 시퀀스를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서 추출하여 상기 라이프 시퀀스 수신부(110)로 제공한다.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부(120)는 특정 개인의 신체부위별 의료영상을 토대로 상기 특정 개인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부(120)는 상기 라이프 시퀀스 수신부(110)로부터 제공받은 특정 사용자의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된 각 신체부위별 신체사이즈를 토대로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추출하는 것이다.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 공유부(130)는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특정 사용자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상기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여,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서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으로부터 접속을 수행할 때, 상기 공유한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으로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가상공간의 객체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상공간 객체 식별부(140)는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특정 사용자의 신체사이즈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사용자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매칭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상공간 객체 식별부(140)는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특정 사용자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상기 특정 사용자를 나타내는 가상공간의 객체에 매핑하는 신체사이즈 식별자 매핑부(141)와,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서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에 접속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신체사이즈 식별자와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에 매핑된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비교하여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가 상기 특정 사용자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동일 여부 판별부(14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는 각 신체부위에 따른 실제 신체사이즈가 많이 포함될수록,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의 개인식별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부위에 대한 의료영상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상기 연계부(150)는 상기 특정 사용자와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를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통해서 연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특정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통해 식별한 가상공간의 객체를 이용한 가상공간에서의 활동과 해당 사용자의 현실공간에서의 활동을 상호간에 연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연계부(150)는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가 상기 가상공간에서 수행한 활동에 대한 기록과 상기 특정 개인이 현실공간에서 수행한 활동에 대한 기록을 동기화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계부(150)는 특정 사용자의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활동에 따라 헬스데이터의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상기 헬스데이터를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500)으로 제공하여 특정 사용자의 라이프 시퀀스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500)은 특정 사용자의 신체사이즈와 기 저장되어 있는 특정 사용자의 시계열적인 신체사이즈를 매칭하여 서로 동일인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결과 동일인인 경우 상기 헬스데이터를 해당 사용자의 라이프 시퀀스에 업데이트한다.
상기 웹서버(16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서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에 접속하고자 할 때, 웹 기반으로 접속하여 가상공간에서의 객체를 이용한 의료활동과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이용한 개인식별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서비스의 이용이 신청되면, 가상공간에서 해당 사용자의 행위를 대행할 수 있는 객체(최초 생성되는 객체는 디폴트 형태의 공통된 객체임)를 생성한다.
이어서,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500)을 통해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해당 사용자의 라이프 시퀀스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라이프 시퀀스가 존재하면 상기 라이프 시퀀스에 신체사이즈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한 결과 상기 라이프 시퀀스에 신체사이즈가 기록되어 있으면,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된 신체사이즈를 추출하여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생성한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메타버스 서비스 이용신청시 생성한 사용자의 가상공간의 객체에 매핑(해당 사용자 고유의 가상공간의 객체가 생성됨)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생성한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여 공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해당 사용자의 가상공간의 객체에 매핑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여 공유한 이후,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접속이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전에 공유된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신체사이즈 식별자와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에 매핑된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판별한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신체사이즈 식별자와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에 매핑된 신체사이즈 식별자가 일치하면,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특정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가상공간의 객체를 이용한 가상공간에서의 활동과 해당 사용자의 현실공간에서의 활동을 연계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 개인별 신체사이즈 식별자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600)는 헤더(610)와 바디(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더(610)에는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추출한 추출시간정보가 포함된다. 즉 상기 추출시간정보의 확인을 통해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추출한 시점이 언제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디(620)에는 상기 특정 개인의 각 신체부위별 식별자 및 상기 각 신체부위별 사이즈를 조합한 코드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신체부위별 식별자는 머리, 목, 가슴, 팔, 다리, 복부 등의 각 신체부위에 따라 고유하게 지정되는 식별자이며, 상기 신체부위별 식별자 뒤에는 실제 신체사이즈 정보가 기록된다.
이때 상기 바디(620)에 기록되는 코드정보는 하나의 예시일 뿐,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600)는 해당 사용자의 신체부위별 의료영상이 추가되거나, 혹은 변경되는 경우 업데이트된다.
이때 신체부위별 정보가 많으면 많을수록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통한 가상공간의 객체에 대한 개인식별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에서는 각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의료영상의 업데이트를 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라이프 시퀀스의 일 예(데이터 스트림)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에서 사용하는 각 사용자별 라이프 시퀀스는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 형태로 생성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라이프 시퀀스를 데이터 구조체(data struct)나 데이터 프레임(data frame) 형태로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생성하는 경우, 헤더코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헬스데이터 정보코드로 구성된다.
상기 헤더코드는 라이프 시퀀스 식별자(life sequence identifier), 헤더의 길이(header length), 개인별 라이프 시퀀스의 불변 속성정보(permanent attributes)(예: 성별, 인종, 머리색, 눈색, 혈액형 등), 개인별 각 헬스데이터의 공통 속성정보(common attributes)(예: 나이, 나이에 따른 신체 사이즈 몸무게 등), 각 헬스데이터 식별자(health data identifier), 예비 필드(reserved field)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헬스데이터 정보코드는 헬스데이터 식별자(health data identifier), 헬스데이터 정보코드 길이(health data information code length), 메타데이터 길이정보(metadata length), 메타데이터(metadata), 헬스데이터 요약(health data summary), 비식별화된 헬스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정보(location path)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헬스데이터 정보코드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필요에 따라 이와 동등한 방식으로 정보를 추가로 정의하여 포함시킬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이때 상기 메타데이터는 헬스데이터의 속성(크기, 촬영일시, 촬영장소, 압축알고리즘, 모달리티 등), 헬스데이터의 신체의 각 부위(머리, 몸통, 팔, 다리 등), 헬스데이터의 진단 정보(진단, 의사소견 등), 헬스데이터의 어노테이션(annotation)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헬스데이터 정보코드는 사용자에 의해 헬스데이터가 추가될 때마다 시계열 순서로 추가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수행하는 각 개인별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과 공유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메타버스 서비스가 요청되면,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500)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라이프 시퀀스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사용자의 라이프 시퀀스를 제공받는다(S110).
이어서,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500)으로부터 제공받은 해당 사용자의 라이프 시퀀스에서 신체부위별 신체사이즈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120).
상기 S120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해당 사용자의 라이프 시퀀스에 신체부위별 신체사이즈가 기록되어 있으면,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된 신체사이즈를 추출하여 상기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추출한다(S130).
또한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S130 단계에서 추출한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해당 사용자의 가상공간의 객체에 매핑하고(S140), 이와 동시에 상기 추출한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여 공유하도록 한다(S15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수행하는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이용한 개인식별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도 6에서와 같이 각 사용자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공유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접속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한다(S210).
상기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수신한다(S220).
이어서,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신체사이즈 식별자와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에 매핑된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비교하고(S230), 상기 비교한 결과 신체사이즈 식별자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240).
상기 S24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신체사이즈 식별자와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에 매핑된 신체사이즈 식별자가 일치하면,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통한 해당 사용자의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에 대한 개인식별을 완료하여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의 접속을 수행하고(S250), 해당 사용자의 현실공간에서의 활동과 가상공간의 객체를 이용한 가상공간에서의 활동을 연계할 수 있도록 한다(S260).
그러나, 상기 S24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신체사이즈 식별자와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에 매핑된 신체사이즈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가상공간의 객체를 통한 접속을 에러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S241).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플랫폼을 실현하는 컴퓨터(서버)의 하드웨어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의 하드웨어 구조는, 중앙처리장치(1000), 메모리(2000), 사용자 인터페이스(3000),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40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00), 웹서버(60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300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입력과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4000)는 데이터베이스와 하드웨어 구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00)는 사용자가 보유한 장치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한다.
상기 웹 서버(6000)는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하드웨어 구조로 액세스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원격에서 웹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100)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 또는 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로 구현되거나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로는 데이터베이스, ROM, RAM, CD-ROM, DVD,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학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송매체는 인터넷 또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가 분산 방식으로 저장되고, 실행되도록 네트워크 결합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분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구성요소 중 둘 이상은 하나의 단일 구성요소로 결합되어 결합된 둘 이상의 구성요소에 대한 모든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일부는, 이들 구성요소 중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은 버스(미도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가상공간에서의 객체와 현실공간에서의 개인이 서로 동일인임을 상기 개인의 의료영상에 기반한 복수의 신체사이즈를 활용하여 식별하기 때문에,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와 현실공간의 개인 간의 동일성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상공간에서 각 개인이 자신의 분신인 객체를 통해 건강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행위는 물론, 보안, 쇼핑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메타버스 플랫폼 110 : 라이프 시퀀스 수신부
120 :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부 130 : 신체사이즈 식별자 공유부
140 : 가상공간 객체 식별부 141 : 신체사이즈 식별자 매핑부
142 : 동일 여부 판별부 150 : 연계부
160 : 웹서버 200 : 사용자 단말
300 : 의료기관 시스템 400 : 데이터베이스
500 :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 600 : 신체사이즈 식별자
610 : 헤더 620 : 바디

Claims (22)

  1. 특정 개인의 신체부위별 의료영상을 토대로 상기 특정 개인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추출하는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부;
    상기 추출한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통해 상기 특정 개인이 제시한 신체사이즈 식별자와 가상공간에서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매칭하여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를 식별하는 가상공간 객체 식별부; 및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가 상기 가상공간에서 수행한 활동에 대한 기록과 상기 특정 개인이 현실공간에서 수행한 활동에 대한 기록을 동기화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특정 개인과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를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통해서 연계하는 연계부;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개인의 신체사이즈 정보로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객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는,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추출한 추출시간정보를 포함한 헤더; 및
    상기 특정 개인의 각 신체부위별 식별자 및 상기 각 신체부위별 사이즈를 조합한 코드정보를 포함한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개인의 신체부위별 의료영상의 추가나 변경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인식별 장치는,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부에서 추출한 특정 개인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상기 특정 개인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공유하는 신체사이즈 식별자 공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유한 신체사이즈 식별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접속을 수행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자동으로 제공되어,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인식별 장치는,
    개인의 일생에 걸친 헬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시계열적으로 하나의 시퀀스로 인코딩한 라이프 시퀀스를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는 라이프 시퀀스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부는, 상기 라이프 시퀀스 수신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특정 개인의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된 각 신체부위별 신체사이즈를 토대로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상공간 객체 식별부는,
    상기 추출한 특정 개인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상기 특정 개인에게 생성된 가상공간의 객체에 매핑하는 신체사이즈 식별자 매핑부; 및
    상기 가상공간 접속 시, 상기 특정 개인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신체사이즈 식별자와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에 매핑된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비교하여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가 상기 특정 개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동일 여부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개인에 대해서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과 상호 연동하여 개인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개인의 라이프 시퀀스를 가져올 수 있으며, 상기 라이프 시퀀스에 포함된 신체사이즈 정보를 통해서 상기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개인이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에서 라이프 시퀀스를 생성한 사용자와 실제 동일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한 후, 각 개인별 식별코드를 발행하여 공유하여 등록해 두고, 이후 상기 특정 개인의 라이프 시퀀스에 접근할 때, 상기 특정 개인이 제시하는 개인정보는 물론, 상기 등록해둔 식별코드를 활용하여 시스템간의 2차 개인인증에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2차 개인인증을 기반으로 가져온 라이프 시퀀스를 바탕으로 상기 특정 개인의 신체사이즈 정보를 메타버스 환경에 적용하며, 상기 신체사이즈 정보만으로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개인의 가상공간에서의 활동에 따라 헬스데이터를 포함한 라이프 시퀀스를 업데이트할 경우, 상기 특정 개인의 시계열적인 신체사이즈가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에 저장된 것과 매칭되어 동일인임이 확인되어야 상기 헬스데이터를 상기 라이프 시퀀스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과 연동한 상태에서,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에 라이프 시퀀스를 요청할 때, 상기 신체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라이프 시퀀스에 액세스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12.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에서, 특정 개인의 신체부위별 의료영상을 토대로 상기 특정 개인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추출하는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 단계;
    상기 추출한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통해 상기 특정 개인이 제시한 신체사이즈 식별자와 가상공간에서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매칭하여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를 식별하는 가상공간 객체 식별 단계; 및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가 상기 가상공간에서 수행한 활동에 대한 기록과 상기 특정 개인이 현실공간에서 수행한 활동에 대한 기록을 동기화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특정 개인과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를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통해서 연계하는 연계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개인의 신체사이즈 정보로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객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방법.
  13. 삭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는,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추출한 추출시간정보를 포함한 헤더; 및
    상기 특정 개인의 각 신체부위별 식별자 및 상기 각 신체부위별 사이즈를 조합한 코드정보를 포함한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개인의 신체부위별 의료영상의 추가나 변경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개인식별 방법은,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 단계에서 추출한 특정 개인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상기 특정 개인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공유하는 신체사이즈 식별자 공유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유한 신체사이즈 식별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접속을 수행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자동으로 제공되어,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개인식별 방법은,
    개인의 일생에 걸친 헬스데이터에 대한 속성을 시계열적으로 하나의 시퀀스로 인코딩한 라이프 시퀀스를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는 라이프 시퀀스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 추출 단계는, 라이프 시퀀스 수신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특정 개인의 라이프 시퀀스에 기록된 각 신체부위별 신체사이즈를 토대로 상기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방법.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가상공간 객체 식별 단계는,
    상기 추출한 특정 개인의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상기 특정 개인에게 생성된 가상공간의 객체에 매핑하는 신체사이즈 식별자 매핑 단계; 및
    메타버스 플랫폼 접속 시, 상기 특정 개인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신체사이즈 식별자와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에 매핑된 신체사이즈 식별자를 비교하여 상기 가상공간의 객체가 상기 특정 개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동일 여부 판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개인에 대해서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과 상호 연동하여 개인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개인의 라이프 시퀀스를 가져올 수 있으며, 상기 라이프 시퀀스에 포함된 신체사이즈 정보를 통해서 상기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개인이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에서 라이프 시퀀스를 생성한 사용자와 실제 동일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한 후, 각 개인별 식별코드를 발행하여 공유하여 등록해 두고, 이후 상기 특정 개인의 라이프 시퀀스에 접근할 때, 상기 특정 개인이 제시하는 개인정보는 물론, 상기 등록해둔 식별코드를 활용하여 시스템간의 2차 개인인증에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2차 개인인증을 기반으로 가져온 라이프 시퀀스를 바탕으로 상기 특정 개인의 신체사이즈 정보를 메타버스 환경에 적용하며, 상기 신체사이즈 정보만으로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개인의 가상공간에서의 활동에 따라 헬스데이터를 포함한 라이프 시퀀스를 업데이트할 경우, 상기 특정 개인의 시계열적인 신체사이즈가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에 저장된 것과 매칭되어 동일인임이 확인되어야 상기 헬스데이터를 상기 라이프 시퀀스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방법.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과 연동한 상태에서, 상기 라이프 시퀀스 관리 플랫폼에 라이프 시퀀스를 요청할 때, 상기 신체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라이프 시퀀스에 액세스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방법.
KR1020220003813A 2022-01-11 2022-01-11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및 그 방법 KR102652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813A KR102652121B1 (ko) 2022-01-11 2022-01-11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813A KR102652121B1 (ko) 2022-01-11 2022-01-11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430A KR20230108430A (ko) 2023-07-18
KR102652121B1 true KR102652121B1 (ko) 2024-03-29

Family

ID=8742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813A KR102652121B1 (ko) 2022-01-11 2022-01-11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121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A41117A (fr) * 2014-12-05 2017-10-10 Myfiziq Ltd Imagerie d'un cor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430A (ko) 202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5943B2 (ja) Bcn(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を使用したデータ利用方法、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763827B1 (ko) 블록체인 기반 의료데이터전송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170892B1 (ko) 블록체인 기반의 phr 플랫폼 서버 운영 방법 및 phr 플랫폼 서버 운영 시스템
CN111243690A (zh) 分享电子医疗健康记录的方法与系统
JP5669250B2 (ja) 情報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とそのサーバ装置及び情報アクセス制御方法
US8752149B2 (en) Device for sharing anonymized information, and method for sharing anonymized information
KR101917043B1 (ko) AI를 활용한 IoT 기반 u-Health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N105844175A (zh) 一种基于云服务端的诊疗病历存储及调用方法和系统
BRPI0717818A2 (pt) Sistema de segurança para registros médicos; método para acesso seguro dos registros médicos; e sistema para acesso seguro dos registros médicos.
US201200659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records
KR102113806B1 (ko) 개인의료정보데이터 관리방법 및 시스템
US201301791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toring, and Exchanging Healthcare Information and Medical Images
CN108682447A (zh) 基于二维码的健康信息访问方法及系统
JP4871991B2 (ja) 情報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とそのサーバ装置、情報アクセス制御方法、アクセス制御ルール設定制御方法
CN107004048A (zh) 记录访问和管理
CN110419043A (zh) 个人医疗信息数据管理方法及系统
US201103139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ources of health information and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s
KR102110388B1 (ko) 지역적 블록체인 기반의 cPHR 서비스 운용 방법
Yongjoh et al. Development of an internet-of-healthcare system using blockchain
KR102652121B1 (ko)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공존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개인식별 장치 및 그 방법
CN110120254B (zh) 一种医疗数据存储和共享方法
KR101919236B1 (ko) 스마트 요양간호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714332B1 (ko) 스마트 전자건강보험증 관리시스템
CN111554368B (zh) 公共卫生系统与医疗系统互通系统及方法
JP5499148B1 (ja) データアクセス制御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