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435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435A
KR20190122435A KR1020180046204A KR20180046204A KR20190122435A KR 20190122435 A KR20190122435 A KR 20190122435A KR 1020180046204 A KR1020180046204 A KR 1020180046204A KR 20180046204 A KR20180046204 A KR 20180046204A KR 20190122435 A KR20190122435 A KR 20190122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duct
inner case
air outle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5546B1 (ko
Inventor
김동휘
강성희
송민호
조용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6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546B1/ko
Priority to EP21181311.8A priority patent/EP3916322A3/en
Priority to EP18192842.5A priority patent/EP3557164B1/en
Priority to US16/249,595 priority patent/US11047608B2/en
Publication of KR20190122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435A/ko
Priority to US17/339,642 priority patent/US1169821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2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along the inside of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25D2317/0671Inlet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와,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을 둘러싸는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인너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저장실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며, 냉기를 상기 저장실로 토출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실의 상측부에 위치되는 냉기 덕트; 및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냉기 덕트와 연통되며, 상기 저장실 도어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냉기 덕트로부터 공급받은 냉기를 상기 저장실 도어 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안내 덕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으로 보관하는 가전 기기로서, 저장실이 항상 일정한 저온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현재 가정용 냉장고의 경우, 저장실이 설정 온도를 기준으로 상한 범위와 하한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즉, 저장실 온도가 상한 온도로 상승하면 냉동 사이클을 구동하여 저장실을 냉각하고, 저장실 온도가 하한 온도에 도달하면 냉동 사이클을 정지하는 방법으로 냉장고를 제어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7-0022182호(공개일 1997년5월28일)에는 냉장고의 저장실을 일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정온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선행문헌에 따르면, 저장실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으면 압축기와 팬을 구동하고, 이와 동시에 저장실 댐퍼를 완전히 개방하며, 저장실 온도가 설정 온도로 냉각되면 압축기 및/또는 팬의 구동을 정지함과 동시에 저장실 댐퍼를 닫는다.
이와 같은 선행문헌의 경우, 냉장고의 저장실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여 압축기를 구동한 이후에, 저장실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냉각되면 압축기 구동을 중지하는 과정을 반복하기 때문에, 압축기를 재구동할 때 전력 소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의 경우, 저장실을 냉각하기 위하여 댐퍼를 완전 개방하는 경우, 댐퍼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저장실 쪽으로 냉기가 과도하게 공급될 가능성이 높아, 저장실이 과냉각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저장실의 정온 상태 유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실 내에서의 온도 편차가 최소화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실 도어 측으로 냉기를 안내하는 안내 덕트에 의해서 저장실 내의 용적이 줄어드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실 내에 위치되는 냉기 덕트의 냉기가 저장실 외측에 위치되는 안내 덕트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너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 사이에 위치되는 안내 덕트가 단열재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저장실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며, 냉기를 상기 저장실로 토출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실에 위치되는 냉기 덕트; 및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냉기 덕트와 연통되며, 상기 냉기 덕트로부터 공급받은 냉기를 상기 저장실 도어 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안내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저장실에서 상측 및 후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 덕트는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인너 케이스를 둘러싸는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내 덕트는 상기 단열재와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과 냉동실을 포함하고,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냉장실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 도어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일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는, 냉기 입구와, 상기 냉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기 중 일부를 상기 저장실로 토출시키기 위한 제 1 냉기 출구와, 상기 냉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기 중 다른 일부를 상기 안내 덕트 측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제 2 냉기 출구를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냉기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기 출구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에는 상기 냉기 덕트에서 토출된 냉기를 상기 저장실로 배출시키기 위한 토출 덕트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덕트는 상기 냉기 덕트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토출 덕트와 연통되는 제 3 냉기 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기 출구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 중 제1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냉기 출구는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저장실 도어를 바라보는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냉기 출구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기 출구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서 상기 양측면 중 제2면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면은 좌측면이고, 상기 제2면은 우측면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냉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기를 상기 제 1 냉기 출구로 안내하는 제 1 냉기 유로와, 상기 제 1 냉기 유로의 냉기 중 일부를 상기 제 2 냉기 출구로 안내하는 제 2 냉기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냉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기를 상기 제 3 냉기 출구로 안내하는 제 3 냉기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1 냉기 유로와 상기 제 3 냉기 유로를 구획하는 유로 구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구획부는 상기 냉기 입구와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기 중 일부는 상기 제 1 냉기 유로로 유동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 3 냉기 유로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유로 구획부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기 유로와 제 3 냉기 유로는 전후 방향을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 유로의 냉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냉기 입구에서 직선 유동하여 상기 제 2 냉기 유로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2 냉기 유로의 냉기를 상기 제 2 냉기 출구로 가이드하기 위한 라운드진 가이드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1 냉기 유로에서 냉기가 상기 제 1 냉기 출구를 통해 상향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냉기 유로의 바닥에서 상기 제 1 냉기 출구를 향하여 상방으로 라운드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 1 냉기 출구를 제 1 전면 출구와 제 2 전면 출구로 구획하는 구획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 리브는 상기 유로 구획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리브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구획 리브를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의 상측벽에는 상기 제 1 냉기 출구와 연통되는 제 1 개구와, 상기 제 1 개구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 2 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 덕트는 상기 제 1 개구와 상기 제 2 개구를 연통시킨다.
상기 제 2 개구는 상기 저장실 도어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 덕트는, 상기 제 1 개구와 연통되는 냉기 입구부와, 상기 제 2 개구와 연통되는 냉기 출구부와, 상기 냉기 입구부와 상기 냉기 출구부를 연결하는 통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로부의 적어도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통로부에서 마주보는 두 면에 보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통로부의 일면이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일 수 있다.
상기 통로부는, 상기 냉기 입구부에 연결되며 상기 인너 케이스의 측면부와 제 1 거리 만큼 이격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분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후에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인너 케이스의 측면부와 제 2 거리 만큼 이격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거리는 제 2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부 및 상기 냉기 출구부 각각에는 상기 인너 케이스의 상측벽에 접촉하기 위한 플랜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의 상측벽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2 개구가 형성되는 그릴 설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릴 설치부에 토출홀을 구비하는 토출 그릴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홀이 상기 토출 그릴에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토출홀은 상기 저장실 도어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안내 덕트에 의해서 냉기가 저장실 도어의 상방으로 토출될 수 있어, 저장실 도어에 수납된 피보관물과 저장실 내에 수납된 피보관물 간의 온도 편차가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내 덕트에 의해서 냉기가 저장실 및 저장실 도어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저장실 내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내 덕트가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안내 덕트에 의해서 저장실의 용적이 줄어드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냉기 덕트에서 냉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기 중 일부가 제 1 냉기 유로를 지나 제 2 냉기 유로를 유동하고, 제 2 냉기 유로의 냉기가 라운드진 가이드부에 의해서 제 2 냉기 출구로 유동하므로, 냉기가 저장실 외측에 위치되는 안내 덕트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냉기 덕트의 통로부가 하나 이상의 보강부를 포함하므로, 인너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 사이에 단열재를 구비하는 과정에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캐비닛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실에 배치된 냉기 덕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너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된 안내 덕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기 덕트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기 덕트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하부 프레임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너 케이스의 상측에 안내 덕트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은 안내 덕트가 인너 케이스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인너 케이스의 상측벽에 토출 그릴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안내 덕트의 냉기 출구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인너 케이스의 상측벽에서 토출 그릴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안내 덕트의 냉기 출구부가 인너 케이스의 상측벽에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기 덕트에서의 냉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냉기 덕트의 제 2 냉기 유로에서 냉기가 유동하는 모습을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내 덕트에서 냉기가 냉장실 도어 측으로 토출되는 모습을 개략적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캐비닛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실에 배치된 냉기 덕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너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된 안내 덕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저장실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은, 인너 케이스(11a)와 아우터 케이스(11b)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너 케이스(11a)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b) 사이에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에는 음식물과 같은 피보관물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1a)가 상기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은 구획벽(113)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냉동실(111)과 냉장실(112)이 상기 구획벽(113)에 의해서 좌우로 구획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저장실 도어는, 상기 냉동실(111)을 개폐하기 위한 냉동실 도어(15)와, 상기 냉장실(112)을 개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냉장실 도어(16)는 상기 냉장실 도어(16)를 열지 않고, 상기 냉장실 도어(16)에 보관된 피보관물을 인출하기 위한 서브 도어(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벽(113)에는 냉기를 상기 냉장실(112)로 공급하기 위한 냉기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 유로(114)가 구비된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연결 유로(114)로부터 냉기를 공급받는 냉기 덕트(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6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내부 공간인 상기 냉장실(112)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냉기 덕트(60)는 상기 냉장실(112)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후측벽(130)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 덕트(60)는 상기 냉장실(112)에서 상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냉기 덕트(60)는 상기 냉장실(112)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상측벽(120)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60)는 상기 연결 유로(114)를 유동한 냉기를 상기 냉장실(112)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로(114) 및 상기 냉기 덕트(60) 중 하나 이상에는 냉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댐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댐퍼 구동부(미도시)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댐퍼의 개방 각도에 따라서 상기 연결 유로(114)에서 상기 냉기 덕트(60)로 인입되는 냉기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냉기 덕트(60)와 연통되며, 상기 냉장실(112)로 냉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 덕트(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덕트(90)는 상기 냉기 덕트(60)의 하방에서 상기 냉기 덕트(60)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덕트(9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토출구를 포함하여 상기 냉장실(112)에서 냉기가 상하로 골고루 토출되도록 한다.
상기 토출 덕트(90)는 일 예로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후측벽(13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냉기 덕트(60)와 연통되며, 상기 냉기 덕트(60)로 공급된 냉기 중의 일부를 상기 저장실 도어 측으로 안내하는 안내 덕트(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안내 덕트(7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 덕트(70)는 상기 냉장실(112)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 덕트(70)는 일 예로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상측벽(1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 덕트(7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상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기 덕트(60)로부터 공급받는 냉기를 상기 냉장실 도어(16)의 상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냉장실(112) 내에서 상기 냉기 덕트(60)를 커버하는 덕트 커버(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 커버(50)는 적어도 상기 냉기 덕트(60)의 전면 및 하면을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덕트 커버(50)는 적어도 전면부와 하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하면부가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덕트 커버(50)는 상기 냉기 덕트(60)를 커버한 상태에서 일 예로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후측벽(13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 커버(50)의 하면부에는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후측벽(130)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512)가 구비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설치부(512)는 상기 후측벽(130)에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덕트 커버(50)의 좌우 폭은 상기 냉장실(112)의 좌우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상기 덕트 커버(50)의 전후 폭은 상기 냉기 덕트(60)의 전후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 커버(50)가 상기 냉기 덕트(60)를 커버한 상태에서 냉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덕트 커버(50)는, 냉기 개구(5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개구(514)는 일 예로 상기 덕트 커버(50)의 전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것이나, 상기 냉기 덕트(60)에 복수의 전면 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전면 출구와 대응되도록 상기 덕트 커버(50)에는 상기 냉기 개구(514)를 복수의 개구로 구획하기 위한 구획부(5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냉동실(111) 및/또는 냉장실(112)을 냉각하기 위한 냉동 사이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동 사이클은,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로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부재와, 상기 팽창 부재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는 냉동실용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기 덕트(6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기 덕트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기 덕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하부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냉기 덕트(60)는,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00)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대략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00)은, 하부 프레임(601)과, 상기 하부 프레임(601)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6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60)는, 냉기가 인입되는 냉기 입구(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610)는 상기 프레임(600)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610)는 상기 연결 유로(114)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냉기 입구(610)는 일 예로 상기 프레임(600)의 좌측면(또는 양측면중 제1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601) 및 상부 프레임(661)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냉기 입구(610)를 형성하거나, 상기 하부 프레임(601) 및 상부 프레임(661) 각각이 상기 냉기 입구(61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60)는, 상기 냉기 입구(610)를 통하여 인입된 냉기가 토출되기 위한 복수의 냉기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냉기 출구는, 상기 냉장실(112)로 냉기를 직접 토출하기 위한 제 1 냉기 출구(620)와, 상기 안내 덕트(70)로 냉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 2 냉기 출구(624)와, 상기 토출 덕트(90)로 냉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 3 냉기 출구(6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1 냉기 출구 내지 제 3 냉기 출구(620, 621, 625)는 상기 냉기 덕트(60)에서 서로 다른 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냉기 출구(620)는 상기 프레임(600)의 전면(냉장실 도어를 바라보는 면임)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2 냉기 출구(624)는 상기 프레임(60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냉기 출구(625)는 상기 프레임(60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냉기 출구(624)는 상기 상부 프레임(661)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3 냉기 출구(626)는 상기 하부 프레임(60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00)은, 상기 냉기 입구(610)와 상기 제 1 냉기 출구(620)를 연결하는 제 1 냉기 유로(6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 출구(620)는, 구획 리브(644)에 의해서 구획되어, 제 1 전면 출구(621)와, 제 2 전면 출구(642)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 출구(620)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프레임(600)의 전면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 출구(620)는 상기 프레임(600)의 전면에 형성되되, 하면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냉기 입구(610)는 상기 프레임(600)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냉기 입구(610)를 통해 유입된 냉기가 상기 제 1 냉기 출구(620) 측으로 원활히 유동하여야 하므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의 바닥에는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의 냉기가 상기 제 1 냉기 출구(620)로 원활히 유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641, 6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641, 642)는 일 예로 상기 하부 프레임(60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641, 642)는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의 바닥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1 냉기 출구(620)를 향하여 상향 라운드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 리브(644)는 상기 가이드부(641, 642)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 1 냉기 출구(620)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리브(644)는 상기 제 1 냉기 출구(620)를 대략적으로 이등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부 프레임(661)에서 상기 구획 리브(644)와 대응되는 위치에 추가적인 구획 리브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전면 출구(621)와 상기 제 2 전면 출구(622)는 좌우로 배열되며, 상기 제 1 전면 출구(621)가 상기 제 2 전면 출구(622)에 비하여 상기 냉기 입구(610)에 가깝게 위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이드부(641, 642)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냉기 입구(610)를 통해 유입된 냉기는 상기 가이드부(641, 642)에 의해서 방향 전환되어 상기 제 1 냉기 출구(620)로 유동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제 1 전면 출구(621)가 상기 제 2 전면 출구(622)에 비하여 상기 냉기 입구(610)에 가깝게 위치되므로, 상기 구획 리브(63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냉기의 관성 유동에 의해서 상기 제 1 전면 출구(621) 보다 상기 제 2 전면 출구(622) 측으로 배출되는 냉기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구획 리브(644)가 상기 가이드부(641, 642)에서 상기 제 1 냉기 출구(620) 측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의 냉기가 상기 제 2 전면 출구(622)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 리브(644)는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 내에서 유동 저항으로 작용하여, 상기 제 2 전면 출구(622) 측으로 유동하는 냉기의 양을 줄인다.
따라서,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의 냉기는 상기 구획 리브(644)에 의해서 상기 제 1 전면 출구(621)와 상기 제 2 전면 출구(622)로 나뉘어 유동하게 될 수 있다.
냉기는 상기 제 1 냉기 출구(620)에서 토출되면 하방으로 유동되려는 특성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 제 1 냉기 출구(620)에서 토출된 냉기가 상기 냉장실 도어(16)의 상측부로 유동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가이드부(641, 642)가 상향 라운드지면서 상기 제 1 냉기 출구(620)로 연장되므로,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의 냉기가 상기 제 1 냉기 출구(620) 측으로 유동하면서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제 1 냉기 출구(620)에서의 냉기 쳐짐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구획 리브(644)는 상기 가이드부(641, 642)를 대략적으로 이등분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641, 642)는 상기 구획 리브(644)에 의해서 제1가이드부(641)와, 제2가이드부(642)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641)와 상기 제2가이드부(642)는 상기 구획 리브(644)를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00)은,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를 형성하고, 후술할 제 3 냉기 유로(636)와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를 구획하는 유로 구획부(6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구획부(638)는, 상기 하부 프레임(601) 및 상기 상부 프레임(661) 각각에 형성되거나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 구획부(638)는 상기 프레임(600)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은 상기 냉기 입구(610)와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유로 구획부(638)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600)에서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와 상기 제 3 냉기 유로(636)가 전후로 배열된다.
그래서, 상기 냉기 입구(610)를 통해 유입된 냉기 중 일부는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로 유동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 3 냉기 유로(636)로 유동한다.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의 냉기가 상기 제 2 전면 출구(622)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획 리브(644)는 상기 유로 구획부(638)와 이격된다.
상기 프레임(600)은,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의 냉기의 일부를 상기 제 2 냉기 출구(624)로 안내하는 제 2 냉기 유로(6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기 유로(634)는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 냉기 출구(624)와 연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냉기 입구(610)와 상기 제 2 냉기 유로(634) 사이에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기 입구(610)를 통해 유입된 냉기 중에서 일부는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를 지나 상기 제 2 냉기 유로(634)로 바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의 냉기가 상기 제 2 냉기 유로(634)로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641, 642)는 상기 유로 구획부(638)와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기 입구(610)를 통해 유입된 냉기 중 일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에서 직선 유동하여, 상기 제 2 냉기 유로(634)로 유동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추가적인 유로 구획부에 의해서 상기 냉기 입구(610)를 통해 유입된 냉기가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를 지나지 않고 바로 상기 제 2 냉기 유로(634)로 유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냉기 유로(634)로 유동된 냉기는 방향 전환되어 상기 프레임(600) 상면의 제 2 냉기 출구(624)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기 출구(624)는 상기 프레임(600)의 상면에 위치되되 일 예로 우측면(또는 양측면중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과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00)에는 상기 제 2 냉기 유로(634) 상의 냉기가 상기 제 2 냉기 출구(624)로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라운드진 가이드면(6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기 유로(634) 상의 냉기는 상기 가이드면(635)에 의해서 수평 유동에서 상하 유동으로 변환되면서 상기 제 2 냉기 출구(624)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6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기 입구(610)의 냉기를 상기 제 3 냉기 출구(625)로 안내하는 제 3 냉기 유로(636)를 더 포함할 수수 있다.
상기 제 3 냉기 출구(625)는 상기 프레임(600)의 하면에 위치되되, 상기 프레임(600)의 후면과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너 케이스의 상측에 안내 덕트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안내 덕트가 인너 케이스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인너 케이스의 상측벽에 토출 그릴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안내 덕트의 냉기 출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인너 케이스의 상측벽에서 토출 그릴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안내 덕트의 냉기 출구부가 인너 케이스의 상측벽에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인너 케이스(11a)는, 상기 제 2 냉기 출구(624)와 연통되는 제 1 개구(122)와, 상기 제 1 개구(122)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2 개구(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122) 및 상기 제 2 개구(126)는 일 예로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상측벽(1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122)는 상기 제 2 냉기 출구(625)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개구(126)는 상기 제 1 개구(12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개구(126)는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상측벽(120)에서 전단부(120a)에 가깝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60)의 제 1 냉기 출구(620)에서 토출된 냉기는 상기 냉장실 도어(16) 측을 항하여 유동하는데, 냉기의 특성 상 상기 냉장실(112)로 토출된 냉기가 상기 냉장실 도어(16) 측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16) 중에서 상측부에는 냉기가 직접 도달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냉기가 상기 냉장실 도어(16)의 상측으로 바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개구(126)는 상기 냉장실 도어(16)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실 도어(16)와 상하 방향으로 중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 덕트(70)는 상기 제 1 개구(122)와 상기 제 2 개구(126)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안내 덕트(70)는 상기 제 1 개구(122)를 통해 상기 인너 케이스(11a) 외부로 토출된 냉기를 상기 제 2 개구(126)를 통해 상기 인너 케이스(11a) 내부로 인입되도록 한다.
상기 냉기 덕트(70)는, 상기 제 1 개구(122)와 연통되는 냉기 입구부(710)와, 상기 제 2 개구(126)와 연통되는 냉기 출구부(716)와, 상기 냉기 입구부(710)와 상기 냉기 출구부(715)를 연결하는 통로부(7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부(710)는 상기 제 1 개구(122)를 통과한 공기가 전방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일부가 전방으로 라운드질 수 있다.
상기 통로부(711)는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측면벽(121)에서 제1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부분(712)과, 상기 제 1 부분(712)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개구(126)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부분(7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714)은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측면벽(121)에서 제2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거리는 상기 제2거리 보다 크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너 케이스(11a)와 아우터 케이스(11b) 사이에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통로부(711)와 상기 측면벽(121)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안내 덕트(70)의 단열 성능의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상측벽(120)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따라서 상기 통로부(711)의 배치가 달라질 수 있으나, 상기 통로부(711)는 상기 구조물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측면벽(121)과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너 케이스(11a)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b) 사이에 단열재가 구비되면, 상기 단열재는 상기 냉기 덕트(70)를 둘러싸게 된다.
상기 인너 케이스(11a)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b) 사이에 고온의 발포액을 주입하고, 발포액이 경화되면 상기 단열재가 완성된다.
이때, 고온의 발포액에 의해서 상기 통로부(711)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통로부(711)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719, 719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719, 719a)는, 상기 통로부(711)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됨에 따라서 형성되는 함몰부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통로부(711)의 하나의 면 또는 복수의 면에 상기 보강부(719, 719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일 예로 상기 통로부(711)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보강부(719)가 구비되고, 상기 통로부(711)의 하면에 하나 이상의 보강부(719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로부(711)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 복수의 보강부(719, 719a)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보강부(719, 719a)는 상기 통로부(711)의 길이 방향(일 예로 냉장고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통로부(711)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 복수의 보강부(719, 719a)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면의 보강부(719)가 하면의 보강부(719a)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로부(711)에서 냉기의 유동이 원활해지도록 상기 각 보강부(719, 719a)는 상기 통로부(711)의 양측면과는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719, 719a)에 의해서 유동 저항이 증가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상면의 보강부(719)와 하면의 보강부(719a)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통로부(711)의 하면은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상측벽(120)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로부(711)의 하면과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상측벽(120) 사이 공간에 상기 단열재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122)와 상기 냉기 유입부(710) 간의 틈새로 냉기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냉기 유입부(710)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7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711)는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상측벽(12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기 출구(625)가 상기 프레임(600)의 상측면에서 우측면에 가깝게 위치되므로, 상기 제 1 개구(122)도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측면부(121)(일 예로 우측면임)에 가깝게 위치된다.
상기 통로부(711)의 길이가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 2 개구(126)도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측면부(121)(일 예로 우측면임)에 가깝게 위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개구(126)의 좌우 폭은 상기 제 1 개구(122)의 좌우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개구(12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개구(122) 보다 상기 측면부(121)에서 멀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기 출구부(715)는 상기 냉기 입구부(710) 보다 좌우 방향 폭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통로부(711)를 따라 전방으로 유동한 냉기의 방향을 측방향으로 변화시킨다.
상기 냉기 출구부(715)는 상기 통로부(711)를 통해 유동한 냉기가 상기 제 2 개구(126) 측으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도록, 경사진 가이드면(718)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면(718)은 상기 측면부(121)와 멀어질수록(일 예로 상기 측면부(121)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면(718)에 의해서 상기 측면벽(121)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통로부(711)를 따라 유동한 냉기가 상기 냉장실(112)의 중앙부 측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기 출구부(715)에는 상기 냉기 출구부(715)와 상기 제 1 개구(126) 사이 틈새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플랜지(71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716)의 일부는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상측벽(120)과 접촉할 수 있고, 다른 일부(716)는 상기 상측벽(120)과 측면벽(121)의 연결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상측벽(120)과 상기 측면벽(121)의 연결부는 라운드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상기 플랜지(716)의 다른 일부도 라운드질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상측벽(120)에는, 토출 그릴(135)이 설치되기 위한 그릴 설치부(1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 그릴(135)은 상기 제 2 개구(126)를 통과한 냉기를 상기 냉장실(112)로 토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토출홀(1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토출 그릴(135)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토출홀(1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토출홀(136)에 의해서 상기 냉장실(112)의 좌우 방향으로 냉기가 골고루 분배될 수 있다.
상기 그릴 설치부(124)는 일 예로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상측벽(120)의 일부가 상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릴 설치부(124)는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상측벽(120)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그릴 설치부(124)에 상기 제 2 개구(12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 출구부(715)는 상기 그릴 설치부(124)를 감싸면서 상기 제 2 개구(126)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토출 그릴(135)은 상기 그릴 설치부(124)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그릴 설치부(124)에 체결부재(133)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토출 그릴(135)에 의해서 상기 제 2 개구(126)가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 설치부(124)가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상측벽(120)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그릴 설치부(124)에 상기 토출 그릴(135)이 수용됨에 따라서, 상기 토출 그릴(135)에 의해서 상기 냉장실(112)의 용적이 줄어드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 덕트(70)가 상기 인너 케이스(11a)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상기 냉기 덕트(70) 내에서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기 덕트 및 상기 안내 덕트에서의 냉기 유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기 덕트에서의 냉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7은 냉기 덕트의 제 2 냉기 유로에서 냉기가 유동하는 모습을 도면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내 덕트에서 냉기가 냉장실 도어 측으로 토출되는 모습을 개략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냉동실(111)의 냉기는 상기 연결 유로(114)를 지난 후 상기 냉기 덕트(60)의 냉기 입구(610)를 통해 상기 냉기 덕트(6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60)로 유입된 냉기 중 일부는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를 따라 유동한다.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를 따라 유동하는 냉기 중 일부는 상기 제 1 전면 출구(621)를 통해 상기 냉장실(112)로 토출된다(화살표 A1 참조).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를 따라 유동하는 냉기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전면 출구(622)를 통해 상기 냉장실(112)로 토출된다(화살표 A2 참조).
또한, 상기 제 1 냉기 유로(632)를 따라 유동하는 냉기 중 또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냉기 유로(634)를 통해 상기 제 2 냉기 출구(624)로 유동된다.
상기 제 2 냉기 출구(624)를 통해 상기 냉기 덕트(610)에서 배출된 냉기는 상기 제 1 개구(122)를 통과한 후에 상기 안내 덕트(70)의 냉기 입구부(71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입구부(710)를 통해 유입된 냉기는 상기 통로부(711)를 통해 전방으로 유동되고, 상기 냉기 출구부(715)를 통해 상기 안내 덕트(70)에서 배출된다.
상기 안내 덕트(70)에서 배출된 냉기는 상기 제 2 개구(126)를 통해 상기 그릴 설치부(124)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토출 그릴(135)의 토출홀(136)을 통해 상기 냉장실(112)로 공급된다.
상기 토출홀(136)은 일 예로 상기 냉장실 도어(16)와 상방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냉기가 상기 냉장실 도어(16)의 상측으로 직접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 덕트(60)로 유입된 냉기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 3 냉기 유로(636)를 따라 유동한다.
상기 제 3 냉기 유로(636)를 따라 유동한 냉기는 상기 제 3 냉기 출구(625)를 통해 상기 냉기 덕트(60)에서 하측으로 배출되고, 상기 토출 덕트(90)에 의해서 상기 냉장실(112)로 토출된다(화살표 A4 참조).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안내 덕트에 의해서 냉기가 저장실 도어의 상방으로 토출될 수 있어, 저장실 도어에 수납된 피보관물과 저장실 내에 수납된 피보관물 간의 온도 편차가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내 덕트에 의해서 냉기가 저장실 및 저장실 도어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저장실 내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해지는 장점이 있다.
11: 캐비닛 111: 냉동실
112: 냉장실 60: 냉기 덕트
610: 냉기 입구 620: 제 1 냉기 출구
624: 제 2 냉기 출구 625: 제 3 냉기 출구
70: 안내 덕트 710: 냉기 입구부
711: 통로부 715: 냉기 출구부
90: 토출 덕트

Claims (20)

  1.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와,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을 둘러싸는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인너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저장실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며, 냉기를 상기 저장실로 토출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실의 상측부에 위치되는 냉기 덕트; 및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냉기 덕트와 연통되며, 상기 저장실 도어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냉기 덕트로부터 공급받은 냉기를 상기 저장실 도어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덕트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과 냉동실을 포함하고,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냉장실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 도어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인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는, 내부로 유로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냉기 입구와, 상기 냉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기 중 일부를 상기 저장실로 토출시키기 위한 제 1 냉기 출구와, 상기 냉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기 중 다른 일부를 상기 안내 덕트 측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제 2 냉기 출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입구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 중 제1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냉기 출구는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저장실 도어를 바라보는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냉기 출구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구비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냉기 출구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서 상기 양측면 중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에 가깝게 위치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냉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기를 상기 제 1 냉기 출구로 안내하는 제 1 냉기 유로와,
    상기 제 1 냉기 유로의 냉기 중 일부를 상기 제 2 냉기 출구로 안내하는 제 2 냉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냉기 유로의 냉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냉기 입구에서 직선 유동하여 상기 제 2 냉기 유로로 유동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2 냉기 유로의 냉기를 상기 제 2 냉기 출구로 가이드하기 위한 라운드진 가이드면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1 냉기 유로에서 냉기가 상기 제 1 냉기 출구를 통해 상향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냉기 유로의 바닥에서 상기 제 1 냉기 출구를 향하여 상방으로 라운드지는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 1 냉기 출구를 제 1 전면 출구와 제 2 전면 출구로 구획하는 구획 리브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의 상측벽에는 상기 제 1 냉기 출구와 연통되는 제 1 개구와,
    상기 제 1 개구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 2 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 덕트는 상기 제 1 개구와 상기 제 2 개구를 연통시키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는 상기 저장실 도어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덕트는, 상기 제 1 개구와 연통되는 냉기 입구부와,
    상기 제 2 개구와 연통되는 냉기 출구부와,
    상기 냉기 입구부와 상기 냉기 출구부를 연결하는 통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의 적어도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가 구비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통로부의 일면이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인 냉장고.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상기 냉기 입구부에 연결되며 상기 인너 케이스의 측면부와 제 1 거리 만큼 이격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분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후에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인너 케이스의 측면부와 제 2 거리 만큼 이격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거리는 제 2 거리 보다 큰 냉장고.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입구부 및 상기 냉기 출구부 각각에는 상기 인너 케이스의 상측벽에 접촉하기 위한 플랜지가 구비되는 냉장고.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의 상측벽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2 개구가 형성되는 그릴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그릴 설치부에 토출홀을 구비하는 토출 그릴이 설치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복수의 토출홀이 상기 토출 그릴에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냉장고.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홀은 상기 저장실 도어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KR1020180046204A 2018-04-20 2018-04-20 냉장고 KR102365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204A KR102365546B1 (ko) 2018-04-20 2018-04-20 냉장고
EP21181311.8A EP3916322A3 (en) 2018-04-20 2018-09-06 Refrigerator
EP18192842.5A EP3557164B1 (en) 2018-04-20 2018-09-06 Refrigerator
US16/249,595 US11047608B2 (en) 2018-04-20 2019-01-16 Refrigerator
US17/339,642 US11698217B2 (en) 2018-04-20 2021-06-04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204A KR102365546B1 (ko) 2018-04-20 2018-04-20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435A true KR20190122435A (ko) 2019-10-30
KR102365546B1 KR102365546B1 (ko) 2022-02-21

Family

ID=63524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204A KR102365546B1 (ko) 2018-04-20 2018-04-20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047608B2 (ko)
EP (2) EP3557164B1 (ko)
KR (1) KR102365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8311A1 (ko) * 2021-09-10 2023-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537A (ja) * 1997-05-28 1999-02-26 Lg Electron Inc 冷蔵庫の冷気供給構造
KR20020014094A (ko) * 2000-08-16 2002-02-25 구자홍 양측 개방형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의 도어냉각장치
KR100614317B1 (ko) * 2005-02-23 2006-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70096377A (ko) * 2006-03-23 2007-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1048222B1 (ko) * 2010-01-06 201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8989A (en) * 1975-12-22 1977-11-22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including air wall separating the freezer and fresh food portions
JPH03221774A (ja) * 1990-01-29 1991-09-30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冷蔵庫
KR100189103B1 (ko) 1995-10-20 1999-06-01 윤종용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KR0159699B1 (ko) * 1996-06-12 1999-01-15 김광호 냉장고
TW422331U (en) * 1997-04-25 2001-02-11 Mitsubishi Electric Corp Refrigerator
TW522213B (en) * 2000-07-21 2003-03-01 Fujitsu General Ltd Electric refrigerator
CA2355155C (en) * 2000-08-16 2009-10-13 Lg Electronics Inc. Door cool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with double-acting door
KR100821709B1 (ko) * 2002-01-23 2008-04-1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냉기 공급구조
JP4082954B2 (ja) * 2002-08-05 2008-04-30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TR200704187T1 (tr) * 2004-12-22 2007-08-21 Arçeli̇k Anoni̇m Şi̇rketi̇ Bir soğutucu.
AU2007227891B2 (en) * 2006-03-23 2010-10-21 Lg Electronics Inc.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US8161766B2 (en) * 2007-01-03 2012-04-2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ce bin with thermal storage member
CN104160227B (zh) * 2012-03-07 2016-08-31 松下健康医疗控股株式会社 药用保冷库
CN203286836U (zh) 2013-05-02 2013-11-13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104019598A (zh) 2014-06-11 2014-09-03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风冷电冰箱
KR102246442B1 (ko) * 2016-12-15 2021-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080052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7120905A (zh) 2017-06-14 2017-09-01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风冷冰箱的风道组件及风冷冰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537A (ja) * 1997-05-28 1999-02-26 Lg Electron Inc 冷蔵庫の冷気供給構造
KR20020014094A (ko) * 2000-08-16 2002-02-25 구자홍 양측 개방형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의 도어냉각장치
KR100614317B1 (ko) * 2005-02-23 2006-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70096377A (ko) * 2006-03-23 2007-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1048222B1 (ko) * 2010-01-06 201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8311A1 (ko) * 2021-09-10 2023-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57164B1 (en) 2021-07-07
EP3916322A3 (en) 2022-03-02
EP3916322A2 (en) 2021-12-01
US11047608B2 (en) 2021-06-29
EP3557164A1 (en) 2019-10-23
US20190323758A1 (en) 2019-10-24
US11698217B2 (en) 2023-07-11
KR102365546B1 (ko) 2022-02-21
US20210293466A1 (en)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240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frigerator compartment
KR102320766B1 (ko) 냉장고
KR102483212B1 (ko) 냉장고
KR102320765B1 (ko) 냉장고
US11698217B2 (en) Refrigerator
US20220011035A1 (en) Refrigerator
KR20070031721A (ko) 냉장고
CN112013605B (zh) 冰箱
JP4118210B2 (ja) 冷蔵庫
KR100398497B1 (ko) 병립형 냉장고
KR20140019595A (ko) 3도어 타입 냉장고
CN112074699A (zh) 冰箱
KR101132554B1 (ko) 냉장고
KR20080010599A (ko) 냉장고
US20220221213A1 (en) Refrigerator
KR100441011B1 (ko) 냉장고
US20230204275A1 (en) Refrigerator
KR100596524B1 (ko) 냉장고
KR200292004Y1 (ko) 냉장고
KR100528290B1 (ko) 냉장고
KR100549079B1 (ko) 냉장고
JP2023039235A (ja) 冷蔵庫
KR20150114722A (ko) 냉장고
KR100757944B1 (ko) 냉장고
KR200207423Y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