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331A -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331A
KR20190122331A KR1020180045933A KR20180045933A KR20190122331A KR 20190122331 A KR20190122331 A KR 20190122331A KR 1020180045933 A KR1020180045933 A KR 1020180045933A KR 20180045933 A KR20180045933 A KR 20180045933A KR 20190122331 A KR20190122331 A KR 20190122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put
processor
word
recomm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9637B1 (ko
Inventor
김철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5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637B1/ko
Priority to US17/048,321 priority patent/US11501069B2/en
Priority to PCT/KR2019/004280 priority patent/WO2019203494A1/ko
Publication of KR20190122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4Converting codes to words; Guess-ahead of partial word inpu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35Query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operative)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를 감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로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도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 및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문자 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정보를 전자 장치에 저장하거나, 문자 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입력된 메시지를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문자 입력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입력 단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입력 문자의 정정, 또는 문자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의 단축을 위해, 입력 단어와 연관된 추천 단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추천 단어를 표시하는 방식은, 다양한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입력 단어에 관련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operative)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를 감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로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로 표시하도록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operative)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연관된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단어 입력 감지 시, 입력된 단어에 관련된 다양한 카테고리의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추가적인 검색 동작 없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입력 메시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단어에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를 연관시켜 저장 및/또는 전송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쉽게 추천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추천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 단어에 추천 컨텐츠를 연관시켜 저장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선택된 추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복수 개의 추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추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편집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추천 컨텐츠의 표시 영역을 나타내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선택된 단어에 연관된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선택된 단어에 연관된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문자 입력 이벤트를 감지하고, 문자 입력 이벤트 감지에 대한 응답으로, 가상 키보드(또는 가상 키패드)가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예: 표시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가상 키보드(또는 가상 키패드)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입력 버튼, 적어도 하나의 숫자 입력 버튼, 적어도 하나의 기호 입력 버튼, 또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모드 전환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문자 입력 이벤트는, 문자 입력이 가능한 영역(또는 문자 입력 창)에 대한 사용자 입력(예: 터치) 이벤트, 메모 작성(또는 메모 추가 이벤트), 또는 검색어 입력 영역(또는 검색어 입력 창)에 대한 사용자 입력(예: 터치)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가상 키보드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단어(예: 단어, 또는 어구(phrase)) 입력이 감지되면,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관련된 추천 컨텐츠를 결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카테고리들은, 다양한 컨텐츠들에 대한 분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카테고리들은, 텍스트 카테고리(또는 단어 카테고리),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또는 기기 카테고리), 서버로부터 획득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서버 카테고리), 이미지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또는 이미지 카테고리),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또는 동영상 카테고리),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또는 음악 카테고리), 연락처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또는 연락처 카테고리), 광고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또는 광고 카테고리), 또는 위치 관련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또는 위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열된 카테고리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복수의 카테고리들 각각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복수의 카테고리들 각각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카테고리들 각각의 우선순위는, 각 카테고리의 추천 적합도, 각 카테고리에 대한 전체 프로파일(profile), 각 카테고리에 대한 사용자 프로파일, 또는 광고 비용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각 카테고리의 추천 적합도는 현재 입력 중인 단어, 현재 입력 중인 단어가 포함된 전체 문장 및/또는 문단 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입력 단어, 또는 미리 설정된 컨텍스트(context)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현재 입력 중인 단어는, 현재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가 표시된 위치에 표시된 단어, 또는 커서가 표시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표시된 단어일 수 있다. 각 카테고리에 대한 전체 프로파일은, 각 카테고리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들의 사용률(또는 선호도), 각 카테고리 내 컨텐츠 항목들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들의 사용률(또는 선호도), 또는 필요 컨텐츠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각 카테고리에 대한 전체 프로파일을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각 카테고리에 대한 사용자 프로파일은, 각 카테고리에 대한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의 사용률(또는 선호도), 단어 입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각 카테고리에 대한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의 사용률(또는 선호도), 각 카테고리 내에서 입력 단어에 관련된 컨텐츠의 개수, 또는 서버를 통한 컨텐츠 이용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각 카테고리의 추천 적합도를 결정하고, 각 카테고리의 추천 적합도, 각 카테고리의 전체 프로파일, 또는 각 카테고리의 사용자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복수의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카테고리들 중에서 특정 카테고리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광고 카테고리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도록 결정하고, 그 외 카테고리들에 대해서는, 추천 적합도, 각 카테고리의 전체 프로파일, 또는 각 카테고리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 및 복수의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대한 추천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추천 카테고리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텍스트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를 결정하고, 추천 단어의 정확도(또는 유사도)에 기반하여 추천 카테고리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는 단어 추천 엔진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의 정확도와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 가능한 컨텐츠의 최대 개수에 기반하여,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며, 컨텐츠 추천창, 단어 추천 영역, 또는 단어 추천창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컨텐츠 추천 영역의 위치,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는, 설계자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또는 변경될 수 있다.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 가능한 컨텐츠의 최대 개수는 설계자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의 정확도가 제1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예: 추천 단어의 정확도가 지정된 정확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추천 단어의 개수를 제1 값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추천 단어의 개수를 기반으로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는 텍스트 카테고리를 포함한 개수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의 정확도가 제2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예: 추천 단어의 정확도가 지정된 정확도보다 작은 경우), 추천 단어의 개수를 제2 값으로 결정하고, 추천 단어의 개수에 기반하여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값은 제2 값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추천 단어의 개수가 작은 값을 가질수록,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는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 가능한 컨텐츠의 최대 개수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술한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를 결정하는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방식을 이용하여 추천 카테고리 개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 결정 시, 컨텐츠 추천 영역에 고정적으로 표시되도록 지정된 카테고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추천 영역에 텍스트 카테고리 및/또는 광고 카테고리의 컨텐츠가 고정적으로 표시되도록 지정된 경우, 컨텐츠 추천 영역에 텍스트 카테고리 및/또는 광고 카테고리의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도록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 및 복수의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대한 추천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가 N개 인 경우, 우선순위가 높은 N개의 카테고리들을 추천 카테고리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가 N개 이고, 텍스트 카테고리 및 광고 카테고리가 고정적으로 표시되도록 지정된 카테고리인 경우, 텍스트 카테고리 및 광고 카테고리를 추천 카테고리로 결정하고, 텍스트 카테고리 및 광고 카테고리를 제외한 나머지 카테고리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N-2개의 카테고리들을 추천 카테고리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추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추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추천 카테고리 별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추천 카테고리 별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추천 컨텐츠로 결정하고, 추천 컨텐츠가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된 추천 카테고리가 텍스트 카테고리, 광고 카테고리, 및 이미지 카테고리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 적어도 하나의 광고 컨텐츠, 및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컨텐츠가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정된 추천 카테고리가 텍스트 카테고리, 기기 카테고리, 및 서버 카테고리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 기기 내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및 서버로부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각 카테고리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관련된 복수개의 컨텐츠들이 검색된 경우, 복수개의 컨텐츠들의 우선순위, 또는 복수개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입력 단어와의 연관성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관련된 추천 컨텐츠들이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영역에 대한 제1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제1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특정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추천 컨텐츠들이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컨텐츠 추천 영역,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가 표시된 영역, 및 키보드가 표시된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은, 드래그, 더블 터치, 롱 터치, 또는 압력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영역에 대한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추천 카테고리들 중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의 속성(예: 드래그 방향, 터치 횟수, 터치 시간, 또는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선택된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추천 컨텐츠들이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추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추천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또는 위치)과 제1 사용자 입력의 드래그 방향에 기반하여, 추천 카테고리들 중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선택된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추천 컨텐츠들이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관련된 추천 컨텐츠들이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영역에 대한 제2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제2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컨텐츠 추천 영역을 확장하고, 확장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추천 컨텐츠들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영역은, 컨텐츠 추천 영역 확장에 관련된 제1 기호(예: 확장 아이콘)가 표시된 영역, 또는 지정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은, 터치, 더블 터치, 롱 터치, 또는 압력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 영역은, 가상 키보드가 표시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된 영역은 가상 키보드가 표시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2 영역에 대한 제2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컨텐츠 추천 영역을 확장하고, 확장 이전의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의 카테고리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추천 컨텐츠가 확장된 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확장 이전의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식별하고, 식별된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추천 컨텐츠가 확장 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확장 이전의 컨텐츠 추천 영역에 추천 단어, 추천 광고, 및 추천 이미지가 표시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텍스트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어, 광고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광고, 및 이미지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이미지가 확장된 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확장 이전의 컨텐츠 추천 영역에 기기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추천 컨텐츠들만 표시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기기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추천 컨텐츠가 확장된 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추천 영역이 확장된 상태에서, 제2 영역에 대한 제3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컨텐츠 추천 영역을 축소시켜 원래대로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추천 영역이 확장된 상태에서, 제2 영역에 대한 제3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확장된 영역의 표시를 제거하여 확정 이전의 컨텐츠 추천 영역만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입력은, 터치, 더블 터치, 롱 터치, 또는 압력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추천 영역 또는 확장된 영역에 표시된 추천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상세 정보는, 이미지, 텍스트, 위치 정보,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또는 추천 컨텐츠에 관련된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열된 정보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세 정보는 다양한 다른 정보(또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팝업창은, 입력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 가상 키보드 영역, 또는 컨텐츠 추천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팝업창은,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 기호(또는 편집 버튼), 추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연관시키기 위한 입력(enter) 기호(또는 입력 버튼), 또는 제1 팝업창의 표시를 제거하기 위한 취소 기호(또는 취소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팝업창에 포함된 편집 기호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편집(예: 삭제, 추가, 또는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팝업창에 포함된 입력 기호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연관시켜 저장하고, 제1 팝업창의 표시를 제거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가 표시된 영역 또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가 표시된 영역의 주변 영역에, 연관된 추천 컨텐츠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2 기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팝업창에 포함된 취소 기호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1 팝업창의 표시를 제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또는 메모)를 메모리(130)에 저장하거나,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또는 전자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또는 메모)를 메모리(130) 또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또는 전자 장치(104))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메시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어가 표시된 영역,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어가 표시된 영역의 주변 영역에, 제1 단어에 연관된 추천 컨텐츠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2 기호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단어, 또는 제2 기호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제1 단어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팝업창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팝업창은, 제1 단어에 인접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팝업창의 표시 영역은 설계자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또는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operative)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를 감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로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컨텐츠, 광고 컨텐츠, 동영상 컨텐츠, 음악 컨텐츠, 연락처 컨텐츠, 또는 위치 관련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각 카테고리에 대한 사용률, 각 카테고리에 대한 선호도, 광고 비용, 미리 설정된 컨텍스트, 또는 각 카테고리 내 컨텐츠들 중 입력 단어에 관련된 컨텐츠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에 대한 정확도에 기반하여 추천 카테고리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추천 카테고리 개수 및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입력이 감지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 중 상기 제1 입력의 속성에 대응되는 제1 추천 컨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입력의 속성은, 드래그 방향, 터치 횟수, 터치 시간, 또는 터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2 입력이 감지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추천 컨텐츠를 추가적으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를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추천 컨텐츠를 제2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제2 영역은, 가상 키보드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제3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3 입력이 감지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4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4 입력이 감지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4 입력이 감지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가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가 연관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시각적 효과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5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5 입력이 감지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의 편집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와 연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연관된 상기 추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operative)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연관된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추천 컨텐츠는, 이미지 컨텐츠, 광고 컨텐츠, 동영상 컨텐츠, 음악 컨텐츠, 연락처 컨텐츠, 또는 위치 관련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흐름도(200)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의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이하에서,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의 적어도 일부 동작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201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어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가상 키보드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단어(예: 단어, 어구, 또는 문자열)가 입력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203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복수의 카테고리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카테고리들은, 텍스트 카테고리(또는 단어 카테고리),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또는 기기 카테고리), 서버로부터 획득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서버 카테고리), 이미지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또는 이미지 카테고리),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또는 동영상 카테고리), 음악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또는 음악 카테고리), 연락처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또는 연락처 카테고리), 광고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또는 광고 카테고리), 또는 위치 관련 컨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또는 위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열된 카테고리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각 카테고리의 추천 적합도, 각 카테고리에 대한 전체 프로파일(profile), 각 카테고리에 대한 사용자 프로파일, 또는 광고 비용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복수의 카테고리들 각각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의 추천 적합도를 결정하고, 각 카테고리의 추천 적합도, 각 카테고리의 전체 프로파일, 또는 각 카테고리의 사용자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복수의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카테고리들 중에서 특정 카테고리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광고 카테고리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도록 결정하고, 그 외 카테고리들에 대해서는, 추천 적합도, 각 카테고리의 전체 프로파일, 또는 각 카테고리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205에서 복수의 카테고리들에 대한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추천 카테고리 개수와 복수의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복수의 카테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추천 카테고리 개수는, 설계자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의 정확도(또는 유사도)에 기반하여 추천 카테고리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추천 영역에 고정적으로 표시되도록 지정된 카테고리의 개수에 기초하여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와 복수의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대한 추천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가 N개 인 경우, 우선순위가 높은 N개의 카테고리들을 추천 카테고리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가 N개 이고, 텍스트 카테고리 및 광고 카테고리가 고정적으로 표시되도록 지정된 카테고리인 경우, 텍스트 카테고리 및 광고 카테고리를 추천 카테고리로 결정하고, 텍스트 카테고리 및 광고 카테고리를 제외한 나머지 카테고리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N-2개의 카테고리들을 추천 카테고리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207에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추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추천 카테고리 별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 3의 첫 번째 화면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추천 영역(310)에 제1 카테고리, 제2 카테고리, 및 제3 카테고리 각각의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도 3의 두 번째 화면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추천 영역(320)에 제1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두 개의 컨텐츠들과 제2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도 3의 세 번째 화면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추천 영역(330)에 제1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세 개의 컨텐츠들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도 3의 네 번째 화면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추천 영역(340)에 제1 카테고리에 대항하는 두 개의 컨텐츠들과 제2 카테고리 또는 제 3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하나의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기호가 컨텐츠 추천 영역에 추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컨텐츠 추천 영역(410)에 기기 카테고리, 텍스트 카테고리, 및 서버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고, 기기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기호(411)와 서버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기호(413)를 추가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pizz"라는 입력 단어(500)에 대해, 다양한 추천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도 5의 첫 번째 화면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pizz"라는 입력 단어(또는 문자열)(500)이 감지되면, 컨텐츠 추천 영역(510)에 전자 장치(101)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피자 가게의 명칭 및/또는 위치(511), "Pizza"라는 추천 단어(512), 서버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피자 가게의 명칭 및/또는 위치(513)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도 5의 두 번째 화면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pizzs"라는 입력 단어(또는 문자열)(501)가 감지되면, 컨텐츠 추천 영역(520)에 전자 장치(101)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피자 가게의 명칭 및/또는 위치(521), "Pizza"라는 추천 단어(522), 피자에 관련된 광고 컨텐츠(523)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도 5의 세 번째 화면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pizza"라는 입력 단어(502)가 감지되면, 컨텐츠 추천 영역(530)에 전자 장치(101)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피자 가게의 명칭 및/또는 위치(531), "Pizza"라는 추천 단어(532),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에 저장된 피자 관련 이미지(533)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추천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위한 흐름도(600)이다. 이하 설명되는 도 6의 동작들은, 도 2의 동작 203 및 동작 205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6의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601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에 미리 설치된 단어 추천 엔진(또는 단어 추천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603에서 추천 단어에 대한 정확도(또는 유사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와 추천 단어에 대한 정확도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605에서 고정된 추천 카테고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고정된 추천 카테고리는, 컨텐츠 추천 영역에 고정적으로 표시되도록 지정된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된 추천 카테고리는 설계자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또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카테고리들 중에서 광고 카테고리, 또는 텍스트(또는 단어)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가, 컨텐츠 추천 영역에 고정적으로 표시되도록 지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된 추천 카테고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607에서 추천 단어의 정확도에 기반하여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의 정확도와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 가능한 컨텐츠의 최대 개수에 기반하여,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며, 컨텐츠 추천창, 단어 추천 영역, 또는 단어 추천창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컨텐츠 추천 영역의 위치,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는, 설계자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또는 변경될 수 있다.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 가능한 컨텐츠의 최대 개수는 설계자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의 정확도가 제1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예: 추천 단어의 정확도가 지정된 정확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추천 단어의 개수를 제1 값으로 결정하고, 추천 단어의 개수에 기초하여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는 추천 단어에 대응되는 텍스트 카테고리를 포함한 개수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의 정확도가 제2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예: 추천 단어의 정확도가 지정된 정확도보다 작은 경우), 추천 단어의 개수를 제2 값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추천 단어의 개수에 기반하여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값은 제2 값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추천 단어의 개수가 작은 값을 가질수록,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는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 가능한 컨텐츠의 최대 개수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술한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를 결정하는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된 추천 카테고리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613에서 추천 단어의 정확도 및 고정된 추천 카테고리에 기반하여 추천 카테고리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의 정확도,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 가능한 컨텐츠의 최대 개수, 및 고정된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에 기반하여,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의 정확도가 제1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예: 추천 단어의 정확도가 지정된 정확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추천 단어의 개수를 제3 값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추천 단어의 개수와 고정된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에 기반하여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의 정확도가 제2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예: 추천 단어의 정확도가 지정된 정확도보다 작은 경우), 추천 단어의 개수를 제4 값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추천 단어의 개수 및 고정된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에 기반하여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3 값은 제4 값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추천 단어의 개수가 작은 값을 가질수록,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는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 가능한 컨텐츠의 최대 개수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는 고정된 카테고리의 개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609에서 복수의 카테고리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카테고리들에 대한 우선순위는 도 2의 동작 203에서 설명한 바와 적어도 일부 같은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611에서 결정된 우선순위 및 결정된 추천 카테고리 개수에 기반하여 추천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가 N개 인 경우, 우선순위가 높은 N개의 카테고리들을 추천 카테고리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추천 카테고리의 개수가 N개 이고, 2개의 고정된 추천 카테고리(예: 텍스트 카테고리, 및 광고 카테고리)가 존재하는 경우, 2개의 고정된 추천 카테고리를 추천 카테고리로 결정하고, 그 외 나머지 카테고리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N-2개의 카테고리들을 추천 카테고리로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7의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의 동작들은 도 2의 동작들이 수행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의 적어도 일부 동작은 도8a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8a 내지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701에서 제1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관련된 추천 컨텐츠들이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영역에 대한 제1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컨텐츠 추천 영역,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가 표시된 영역, 및 키보드가 표시된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은, 드래그, 더블 터치, 롱 터치, 또는 압력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제1 입력이 감지되면, 동작 703에서 제1 입력의 속성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입력의 속성은, 드래그 방향, 터치 횟수, 터치 시간, 또는 터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1 입력의 드래그 방향에 기반하여,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된 컨텐츠들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중에서 하나의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제1 입력의 터치 횟수 및 터치 위치에 기반하여,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된 컨텐츠들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중에서 하나의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705에서 컨텐츠 추천 영역에 결정된 카테고리의 추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1 입력이 감지된 것에 대한 응답으로, 결정된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추천 컨텐츠들이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hoes"라는 단어가 입력된 상태에서 컨텐츠 추천 영역 상에서 좌측에서 우측로 진행하는 드래그 입력(801)이 감지되면, 컨텐츠 추천 영역의 좌측에 표시된 컨텐츠 "기기1"과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복수의 다른 추천 컨텐츠들 "기기2, 기기3, 기기4"(810)가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hoes"라는 단어가 입력된 상태에서 컨텐츠 추천 영역 상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진행하는 드래그 입력(831)이 감지되면, 컨텐츠 추천 영역의 우측에 표시된 컨텐츠 "서버1"과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복수의 다른 추천 컨텐츠들 "서버2, 서버3, 서버4"(840)가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shoes"라는 단어가 입력된 상태에서 컨텐츠 추천 영역 상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진행하는 드래그 입력(861)이 감지되면, 컨텐츠 추천 영역의 가운데에 표시된 컨텐츠 "단어1"과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복수의 다른 추천 컨텐츠들 "단어2, 단어3, 단어4"(870)가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707에서 제4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영역에 대한 제4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4 입력은, 드래그, 더블 터치, 롱 터치, 또는 압력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4 입력은, 제1 입력의 드래그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드래그되는 입력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제4 입력이 감지되면, 동작 709에서 컨텐츠 추천 영역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의 표시 상태를 이전 표시 상태로 복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4 입력이 감지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컨텐츠 추천 영역의 표시 상태를 제1 입력이 감지되기 이전의 표시 상태로 복구(또는 변경)할 수 있다. 표시 상태 복구에 의해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들은, 제1 입력이 감지되기 이전에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된 컨텐츠들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추천 영역에 특정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복수의 다른 추천 컨텐츠들(8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우측에서 좌측로 진행하는 드래그 입력(805)이 감지되면, 컨텐츠 추천 영역(820)의 표시 상태를 이전 드래그 입력(801)이 감지되기 이전의 표시 상태로 복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추천 영역에 특정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복수의 다른 추천 컨텐츠들(840)이 표시된 상태에서 좌측에서 우측로 진행하는 드래그 입력(833)이 감지되면, 컨텐츠 추천 영역(850)의 표시 상태를 이전 드래그 입력(831)이 감지되기 이전의 표시 상태로 복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추천 영역에 특정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복수의 다른 추천 컨텐츠들(870)이 표시된 상태에서 하측에서 상측로 진행하는 드래그 입력(863)이 감지되면, 컨텐츠 추천 영역(880)의 표시 상태를 이전 드래그 입력(861)이 감지되기 이전의 표시 상태로 복구할 수 있다. 도 8a, 도 8b, 도 8c 각각의 네 번째 화면 구성의 컨텐츠 추천 영역(820, 850, 880)에 표시되는 컨텐츠들은 도 8a, 도 8b, 도 8c 각각의 첫 번째 화면 구성의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된 컨텐츠들과 동일한 컨텐츠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제1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동작 711에서 제2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관련된 추천 컨텐츠들이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영역에 대한 제2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영역은, 컨텐츠 추천 영역의 확장에 관련된 제1 기호(예: 확장 아이콘)가 표시된 영역, 또는 지정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입력은, 터치, 더블 터치, 롱 터치, 또는 압력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제2 입력이 감지되면, 동작 713에서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된 추천 컨텐츠에 기반하여 추가 표시될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식별하고, 식별된 카테고리를 추가 표시될 카테고리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추천 영역에 두 개의 추천 단어와 하나의 광고 컨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입력이 감지되면, 텍스트 카테고리와 광고 카테고리를 추가 표시될 카테고리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추천 영역에, 세 개의 추천 단어만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입력이 감지되면, 텍스트 카테고리를 추가 표시될 카테고리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715에서 컨텐츠 추천 영역의 확장 영역에 결정된 카테고리의 다른 추천 컨텐츠를 추가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추천 영역을 확장하고, 추가 표시될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추천 컨텐츠들이 확장된 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추천 영역은, 가상 키보드가 표시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된 영역은 가상 키보드가 표시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 9a 내지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추천 영역(901, 911, 921, 931)에 표시된 확장 아이콘(903, 913, 923, 933)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컨텐츠 추천 영역(901, 911, 921, 931)을 확장하고, 컨텐츠 추천 영역(901, 911, 921, 931)에 포함된 컨텐츠들과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한 복수의 컨텐츠들을 확장된 영역(905, 915, 925, 935)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추천 영역(901)에 기기 카테고리의 컨텐츠 "기기1", 텍스트 카테고리의 컨텐츠 "단어1", 서버 카테고리의 컨텐츠 "서버1"이 표시된 상태에서 확장 아이콘(903)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추천 영역(901)의 확장된 영역(905)에 기기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텐츠들 "기기2, 기기3, 기기 4", 텍스트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텐츠들 "단어2, 단어3, 단어 4", 및 서버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텐츠들 "서버2, 서버3, c서버 4"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추천 영역(911)에 기기 카테고리의 컨텐츠들 "기기2, 기기3, 기기4"가 표시된 상태에서 확장 아이콘(913)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추천 영역(911)의 확장된 영역(915)에 기기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텐츠들 "기기 5, 기기6, 기기7, 기기8, 기기9, 기기1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추천 영역(921)에 기기 카테고리의 컨텐츠들 "서버2, 서버3, 서버4"가 표시된 상태에서 확장 아이콘(923)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추천 영역(921)의 확장된 영역(925)에 서버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텐츠들 "서버5, 서버6, 서버7, 서버8, 서버9, 서버1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추천 영역(931)에 텍스트 카테고리의 컨텐츠들 "단어2, 단어3, 단어4"가 표시된 상태에서 확장 아이콘(933)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추천 영역(931)의 확장된 영역(935)에 텍스트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텐츠들 "단어5, 단어6, 단어7, 단어8, 단어9, 단어1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717에서 제3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추천 컨텐츠 영역이 확장된 상태에서, 제2 영역에 대한 제3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입력은, 터치, 더블 터치, 롱 터치, 또는 압력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제3 입력이 감지되면, 동작 709에서 컨텐츠 추천 영역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의 표시 상태를 이전 표시 상태로 복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다르면, 프로세서(120)는 제3 입력이 감지되면, 확장된 추천 컨텐츠 영역이 원래대로 축소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추천 컨텐츠 영역이 확장된 상태에서, 제2 영역에 대한 제3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확장된 영역의 표시를 제거하여 확정 이전의 추천 컨텐츠 영역만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2 영역에 대한 제2 입력이 감지되면,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된 컨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한 컨텐츠들만을 확장된 영역에 표시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2 영역에 대한 제2 입력이 감지되면,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된 컨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한 컨텐츠들, 및 다른 카테고리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확장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추천 영역(1001)에 텍스트 카테고리의 컨텐츠들 "단어2, 단어3, 단어4"가 표시된 상태에서 확장 아이콘(1003)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추천 영역(1001)의 확장된 영역(1005)에 텍스트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텐츠들 "단어5, 단어6, 단어7"을 표시하면서, 다른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텐츠들 "category1-1, category1-2, category1-3, category2-1, category2-1, category3-1"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추천 영역(1021)에 텍스트 카테고리의 컨텐츠들 "shoemaker, shoe, shoelace"가 표시된 상태에서 확장 아이콘(1023)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추천 영역(1001)의 확장된 영역(1025, 1031)에 텍스트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텐츠들 "she, sheet, sheep, shop, shove, show"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면서, 광고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컨텐츠(1027, 1033)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 단어에 추천 컨텐츠를 연관시켜 저장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1의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11의 동작들은 도 2의 동작들이 수행된 이후에 수행되거나, 도 7의 적어도 일부 동작이 수행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의 적어도 일부 동작은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선택된 추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복수 개의 추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추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편집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추천 컨텐츠의 표시 영역을 나타내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101에서 추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대한 추천 컨텐츠들이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된 상태에서,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1103에서 추천 컨텐츠에 관련된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관련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상세 정보는, 이미지, 텍스트, 위치 정보,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또는 추천 컨텐츠에 관련된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열된 정보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팝업창은,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 기호(또는 편집 버튼), 추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연관시키기 위한 입력(enter) 기호(또는 입력 버튼), 또는 제1 팝업창의 표시를 제거하기 위한 취소 기호(또는 취소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단어 "shoes"에 대한 추천 컨텐츠들 "기기1, 단어1, 서버1"이 컨텐츠 추천 영역(12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서버1"에 대한 사용자 입력(1201)이 감지된 경우, 서버1에 관련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팝업창(1203)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프로세서(120)는 도 12b의 첫 번째 화면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단어 "shoes"에 대한 추천 컨텐츠들이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된 상태에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입력(1221)이 감지된 경우, 광고 상품 이미지, 및 광고 상품 구매를 위한 URL를 포함하는 제1 팝업창(1223)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도 12b의 두 번째 화면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단어 "market"에 대한 추천 컨텐츠들이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된 상태에서 위치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입력(1231)이 감지된 경우,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 및 위치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제1 팝업창(1233)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도 12b의 세 번째 화면 구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단어 "picture"에 대한 추천 컨텐츠들이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된 상태에서 이미지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입력(1241)이 감지된 경우,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1 팝업창(1243)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1105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추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관련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팝업창이 표시된 상태에서, 컨텐츠 추천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추천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1107에서 선택된 다른 추천 컨텐츠에 관련된 상세 정보를 추가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동작 1103에서 표시된 제1 팝업창에 선택된 다른 추천 컨텐츠에 관련된 상세 정보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tegory 2"에 관련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팝업창(1303)이 표시된 상태에서 "category1"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1301)이 감지된 경우, "category2"에 관련된 상세 정보와 "category1"에 관련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팝업창(1305)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1109에서 추천 컨텐츠의 상세 정보와 관련하여 편집, 입력, 및 취소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가 감지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추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팝업창 내 편집 기호, 입력 기호, 또는 취소 기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편집 이벤트, 입력 이벤트, 또는 취소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편집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동작 1111에서 상세 정보에 대한 편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팝업창에 포함된 편집 기호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편집(예: 삭제, 추가, 또는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단어 "chulsoo"에 대한 연락처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1401)이 감지되는 경우, 이에 대한 응답으로 "chulsoo kim"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팝업창(1403)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팝업창(1403) 내에 포함된 편집 기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1405)이 감지되는 경우, 편집 가능한 팝업창(1407)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편집 가능한 팝업창(1407)은 팝업창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삭제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정보를 팝업창에 추가하거나, 편집된 팝업창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상세 정보에 대한 편집 완료가 감지되면, 편집이 완료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팝업창을 표시하고, 동작 1105로 되돌아가 이하 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입력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동작 1113에서 추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입력 단어에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팝업창에 포함된 입력 기호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연관시켜 저장하고, 제1 팝업창의 표시를 제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1115에서 입력 단어에 연관된 추천 컨텐츠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기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가 표시된 영역 또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가 표시된 영역의 주변 영역에, 연관된 추천 컨텐츠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2 기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tegory2"에 관련된 상세 정보와 "category1"에 관련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팝업창(1305)이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 기호 "enter"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1307)이 감지되는 경우, 입력 단어 "shoes"와 "category2"에 관련된 상세 정보와 "category1"에 관련된 상세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하고, "shoes"에 연관된 추천 컨텐츠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2 기호(1321)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취소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동작 1117에서 표시된 상세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팝업창에 포함된 취소 기호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1 팝업창의 표시를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 팝업창이 입력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 팝업창은 가상 키보드 영역, 또는 컨텐츠 추천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추천 컨텐츠에 관련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팝업창은 입력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1501), 가상 키보드 영역(1503), 또는 컨텐츠 추천 영역(1505)에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추천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선택된 추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팝업창이 표시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선택된 추천 컨텐츠가 텍스트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컨텐츠인 경우, 제1 팝업창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추천 컨텐츠가 텍스트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추천 단어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 팝업창을 표시하지 않고, 추천 컨텐츠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를 선택된 추천 컨텐츠인 추천 단어로 교체할 수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선택된 단어에 연관된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6의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이하에서,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의 적어도 일부 동작은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7 및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선택된 단어에 연관된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구성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1601에서 메시지 표시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표시 이벤트는, 전자 장치의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이벤트일 수 있다. 메모리(130)에 저장된 메시지는, 메모 어플리케이션, 스케줄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작성 및/또는 저장된 메시지(또는 메모)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표시 이벤트는,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이벤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1603에서 메시지에 추천 컨텐츠가 연관된 제1 단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시지에 포함된 단어들 중에서 광고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또는 연락처 컨텐츠 등과 같은 추천 컨텐츠가 연관된 제1 단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메시지에 추천 컨텐츠가 연관된 제1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동작 1605에서 메시지 표시 및 제1 단어에 연관된 추천 컨텐츠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기호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단어에 연관된 추천 컨텐츠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기호는, 제1 단어가 표시된 영역,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어가 표시된 영역의 주변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There was a shoes."라는 메시지, 및 "shoes"에 연관된 추천 컨텐츠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기호(1700)가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1 단어에 연관된 추천 컨텐츠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기호를 표시하는 대신, 제1 단어를 강조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어가, 추천 컨텐츠가 연관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어와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제1 단어의 색상, 크기, 굵기, 또는 글씨체를 조절하거나, 제1 단어에 다른 시각적인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1607에서 기호 또는 제1 단어에 대한 선택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There was a shoes."라는 메시지에서 "shoes"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1701)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From David, There was a shoes"라는 수신 메시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shoes"에 연관된 추천 컨텐츠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기호(1801)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1609에서 제1 단어에 연관된 추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단어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팝업창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팝업창은, 제1 단어에 인접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팝업창의 표시 영역 및/또는 크기는 설계자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또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1 단어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것에 대한 응답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제1 단어인 "shoes"에 연관된 추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팝업창(1711, 1713)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shoes"에 연관된 추천 컨텐츠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기호(1801)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것에 대한 응답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shoes"에 연관된 광고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팝업창(1811, 1813)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로 표시하도록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컨텐츠, 광고 컨텐츠, 동영상 컨텐츠, 음악 컨텐츠, 연락처 컨텐츠, 또는 위치 관련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입력이 감지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추가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추가 입력이 감지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와 연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대한 입력 감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연관된 상기 추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operative)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를 감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복수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로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컨텐츠, 광고 컨텐츠, 동영상 컨텐츠, 음악 컨텐츠, 연락처 컨텐츠, 또는 위치 관련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각 카테고리에 대한 사용률, 각 카테고리에 대한 선호도, 광고 비용, 미리 설정된 컨텍스트, 또는 각 카테고리 내 컨텐츠들 중 입력 단어에 관련된 컨텐츠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단어에 대한 정확도에 기반하여 추천 카테고리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추천 카테고리 개수 및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를 결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입력이 감지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 중 상기 제1 입력의 속성에 대응되는 제1 추천 컨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의 속성은, 드래그 방향, 터치 횟수, 터치 시간, 또는 터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2 입력이 감지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추천 컨텐츠를 추가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를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추천 컨텐츠를 제2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제2 영역은, 가상 키보드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제3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3 입력이 감지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4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4 입력이 감지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4 입력이 감지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가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가 연관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시각적 효과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5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5 입력이 감지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의 편집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와 연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연관된 상기 추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4.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기반하여, 복수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결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로 표시하도록 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컨텐츠, 광고 컨텐츠, 동영상 컨텐츠, 음악 컨텐츠, 연락처 컨텐츠, 또는 위치 관련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입력이 감지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추가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추가 입력이 감지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와 연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단어에 대한 입력 감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연관된 상기 추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operative)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연관된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컨텐츠는, 이미지 컨텐츠, 광고 컨텐츠, 동영상 컨텐츠, 음악 컨텐츠, 연락처 컨텐츠, 또는 위치 관련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80045933A 2018-04-20 2018-04-20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19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933A KR102519637B1 (ko) 2018-04-20 2018-04-20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7/048,321 US11501069B2 (en) 2018-04-20 2019-04-10 Electronic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method of operation of same
PCT/KR2019/004280 WO2019203494A1 (ko) 2018-04-20 2019-04-10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933A KR102519637B1 (ko) 2018-04-20 2018-04-20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331A true KR20190122331A (ko) 2019-10-30
KR102519637B1 KR102519637B1 (ko) 2023-04-10

Family

ID=68239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933A KR102519637B1 (ko) 2018-04-20 2018-04-20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01069B2 (ko)
KR (1) KR102519637B1 (ko)
WO (1) WO201920349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403A1 (ko) * 2021-01-12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816137B2 (en) 2021-01-12 202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search wor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377B1 (ko) * 2020-12-22 2023-11-27 주식회사 카카오 컨텐츠 추천 방법 및 사용자 단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4089A (ko) * 2012-11-19 2014-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터치 입력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89751A (ko) * 2013-01-07 2014-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황 인지를 이용한 지능형 검색 서비스 방법 및 그 단말기
KR20150125287A (ko) * 2014-04-30 2015-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미디어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160042610A (ko) * 2014-10-10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21316A (ko) * 2016-08-19 2018-03-02 네이버 주식회사 문자 입력 및 컨텐츠 추천을 위한 통합 키보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90106A1 (en) 2012-03-08 2013-10-31 Augm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ions to items of interest
KR101946886B1 (ko) 2012-04-26 2019-02-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정보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2130796B1 (ko) 2013-05-20 2020-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04794122B (zh) * 2014-01-20 2020-04-17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位置信息推荐方法、装置和系统
KR20160021524A (ko) 2014-08-18 2016-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100195A (ko)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팔락성 온라인 사이트 링크방법
KR102462365B1 (ko) 2016-02-29 2022-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데모그래픽 정보 및 콘텍스트 정보에 기초한 텍스트 입력 예측 방법 및 장치
US10229427B2 (en) * 2017-04-10 2019-03-12 Wildfire Systems, Inc. Virtual keyboard trackable referral system
KR102567003B1 (ko) * 2018-05-08 2023-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4089A (ko) * 2012-11-19 2014-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터치 입력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89751A (ko) * 2013-01-07 2014-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황 인지를 이용한 지능형 검색 서비스 방법 및 그 단말기
KR20150125287A (ko) * 2014-04-30 2015-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미디어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160042610A (ko) * 2014-10-10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21316A (ko) * 2016-08-19 2018-03-02 네이버 주식회사 문자 입력 및 컨텐츠 추천을 위한 통합 키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403A1 (ko) * 2021-01-12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816137B2 (en) 2021-01-12 202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search wor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01069B2 (en) 2022-11-15
WO2019203494A1 (ko) 2019-10-24
KR102519637B1 (ko) 2023-04-10
US20210374342A1 (en)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6584B2 (en)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r content associated with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carrying out same
KR102599383B1 (ko) 분할된 화면 상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00067567A (ko)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490426B1 (ko)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25254B1 (ko) 입력기를 통해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657519B1 (ko) 음성을 기반으로 그래픽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200919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pplication list by electronic device
KR102652984B1 (ko) 전자 장치 및 그 폴더 구성 방법
US11501069B2 (en) Electronic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method of operation of same
KR20200017263A (ko)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 정보와 관련된 키워드를 제공하기위한 전자 장치
US10929085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virtual input interface in environment of a plurality of output screen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90227705A1 (en)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f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9016334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input into input field
US20200264750A1 (en) Method for displaying visual object regarding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539578B1 (ko)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매핑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567368B1 (ko) 사용 이력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527892B1 (ko) 예측 단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20413685A1 (en) Electronic device for folder oper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19007662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방송 콘텐트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KR102666045B1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43104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34867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ly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contents indicating time interval
KR20210085159A (ko) 서버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KR102529190B1 (ko)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133945A (ko) 전자 장치 및 페이지를 고속 스크롤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