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191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191A
KR20190122191A KR1020190131047A KR20190131047A KR20190122191A KR 20190122191 A KR20190122191 A KR 20190122191A KR 1020190131047 A KR1020190131047 A KR 1020190131047A KR 20190131047 A KR20190131047 A KR 20190131047A KR 20190122191 A KR20190122191 A KR 20190122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um brush
lever
cas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8892B1 (ko
Inventor
윤민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1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89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2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57Suction cleaners adapted for cleaning of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드럼브러쉬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업라이트 청소기를 개시한다. 업라이트 청소기는 흡입구가 마련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회전되도록 마련되어 이물질을 쓸어 상기 흡입구로 유도하는 드럼브러쉬와, 일측이 상기 드럼브러쉬에 접촉하는 제1위치와 일측이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먼지제거유닛과, 상기 먼지제거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먼지제거유닛을 작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드럼브러쉬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실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결하게 하는 기구로서, 가정에서는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가 많이 사용된다. 진공청소기는 송풍장치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빨아들인 후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 등과 같은 장치로 분리해냄으로써 실내를 청결하게 하는데,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크게 캐니스터형(canister type)과 업라이트(upright type)으로 구분된다.
이 중 캐니스터 청소기는 송풍장치와 집진장치 등이 내장되는 본체와, 바닥의 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되는 흡입체와, 본체와 흡입체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결관에 설치되는 핸들을 잡고 흡입체를 청소하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하게 된다.
반면, 업라이트 청소기는 직립형의 본체와, 본체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흡입체를 가지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체 위쪽에 설치된 핸들을 잡고 업라이트 청소기 전체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하게 된다.
특히, 업라이트 청소기는 청소효율을 높이기 위해 드럼브러쉬를 흡입체 내에 장착한다. 이러한 드럼브러쉬는 고속으로 회전하며 피청소면과 접촉함으로써 피청소면 상에 부착된 이물질을 피청소면으로부터 분리하며, 분리된 이물질은 흡입체로 흡인된 후 본체에 구비된 집진장치로 유입된다.
이 경우, 흡입체로 흡입된 이물질의 일부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드럼브러쉬의 회전력에 의해 드럼브러쉬에 부착된 채로 드럼브러쉬를 따라 회전하고, 이는 청소 효율을 저하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드럼브러쉬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진공청소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는 흡입구가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되도록 마련되어 이물질을 쓸어 상기 흡입구로 유도하는 드럼브러쉬;와 일측이 상기 드럼브러쉬에 접촉하는 제1위치와 일측이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먼지제거유닛;과 상기 먼지제거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먼지제거유닛을 작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먼지제거유닛은 막대 형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에 접촉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에서 이격되는 더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절곡부를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다르게 상기 레버는 일측은 상기 케이스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고, 타측은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 돌출되어 있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장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연장부를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를 덮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연장부를 가압하는 작동위치와 상기 연장부를 가압하지 않고 이격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작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연장부의 전면에 마련된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단에서 연결되어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판의 상부에 상기 케이스에 힌지결합되는 록킹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작동위치에 안착되면 상기 록킹유닛이 상기 상부판을 고정하여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작동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힌지축에서 하향 연장되며 배면이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는 탄성지지부와, 끝단이 상기 지지부의 끝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힌지축에서 하향 연장되는 걸림부와, 상기 힌지축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발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판의 일단에는 상기 케이스와 이격되어 형성된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상부판을 하향으로 눌러서 고정하고,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삽입홈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의 내면에 상기 연장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연장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스팅부는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스팅부는 하나 이상의 브러쉬 다발이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어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는 흡입체, 본체 및 핸들을 포함하는 업라이트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드럼브러쉬;와 상기 드럼브러쉬의 먼지를 제거하는 작동단계와 상기 드럼브러쉬의 먼지 제거 동작이 없는 해제단계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 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먼지제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제거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단계와 상기 해제단계 중 하나의 단계로 상기 먼지제거유닛을 조절하는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는 모터, 집진장치를 포함하는 본체;와 본체에서 연장되어 마련되며, 모터를 구동하게 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핸들;과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흡입된 공기를 본체로 전달하는 배출구가 마련된 흡입체;와 상기 흡입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이물질을 쓸어 상기 흡입구로 유도하는 드럼브러쉬;와 상기 드럼브러쉬에 접촉하는 제1위치와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흡입체 내부에 마련된 먼지제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제거유닛은 막대 현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에 접촉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에서 이격되는 더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모터 및 집진장치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를 포함하는 흡입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마련되어 이물질을 상기 집진장치를 향해 쓸어내는 드럼브러쉬, 상기 드럼브러쉬에 접촉하는 제1위치와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먼지제거유닛, 상기 먼지제거유닛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흡입체에 결합되는 작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제1 부분을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먼지제거유닛이 상기 드럼브러쉬와 접촉하고 있는 작동위치와 상기 먼지제거유닛이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먼지제거유닛은 막대 형상의 바디 및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더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스팅부는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에 접촉하고,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제1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흡입체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록킹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작동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작동유닛을 상기 작동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진공청소기는 상기 제1 부분을 탄성 바이어스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청소기는 상기 작동유닛 내에 마련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레버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회전 가능한 드럼브러쉬,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도록 상기 드럼브러쉬와 접촉하는 작동동작과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되는 해제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먼지제거유닛, 상기 작동동작 또는 상기 해제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먼지제거유닛을 제어하도록 상기 먼지제거유닛에 연결되는 레버, 및 상기 작동동작 동안 상기 레버가 가압되는 작동위치와 상기 해제동작 동안 상기 레버가 해제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작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진공청소기는 상기 작동유닛을 탄성 바이어스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청소기는 상기 작동유닛의 밑에 마련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레버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먼지제거유닛은 막대 형상의 바디 및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더스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스팅부는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에 접촉하고,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드럼브러쉬를 분리하지 않고 드럼브러쉬에 엉킨 머리카락이나 드럼브러쉬에 부착된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드럼브러쉬의 먼지 제거작업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드럼브러쉬의 먼지 제거동작없이 일반 청소 동작만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흡입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흡입체의 각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
도 4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먼지제거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먼지제거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흡입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흡입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흡입체의 각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라이트 청소기는 직립형의 본체(2)와, 실내의 바닥으로부터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본체(2)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는 흡입체(1)와, 사용자가 청소하려는 방향으로 청소기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본체(2)의 상부에 마련되는 핸들(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2)의 내부에는 이물질의 흡입을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와 흡입된 이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집진장치가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흡입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흡입체의 각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체(1a)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a)와, 실내의 바닥으로부터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케이스(10a)의 전방 하부에 마련된 흡입구(60)와, 케이스(10a) 내부의 전방 하단에 회전하도록 마련되어 이물질을 쓸어 흡입구(60)로 유도하는 드럼브러쉬(50)와, 드럼브러쉬(50)를 회전하게 하는 모터(501)와, 모터(501)의 구동력을 드럼브러쉬(50)로 전달하기 위한 벨트(502)와, 드럼브러쉬(50)에 존재하는 머리카락 또는 먼지 등을 제거하도록 케이스(10a) 내부에 마련된 먼지제거유닛(20)와, 먼지제거유닛(20)을 회동하게 하는 레버(3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드럼브러쉬(50)는 긴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는 외주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브러쉬가 나선형으로 마련되어 있다.
청소과정에서 브러쉬는 이물질을 바닥에서 쓸어 흡입구(60)로 유도하는데 이 과정에서 브러쉬에 머리카락 또는 먼지 등이 엉킨다.
케이스(10a)는 케이스본체(112a)와, 케이스본체(112a)의 상단을 덮는 상부케이스(111a)와, 드럼브러쉬(50)를 지지하며 흡입구(60)가 마련되어 있는 하부케이스(11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지제거유닛(20)은 먼지제거유닛(20)을 케이스(10a)에 지지하는 막대 형상의 바디(201)와, 바디(201)에서 연장되어 드럼브러쉬(50)에 접촉하는 더스팅부(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버(30a)는 일측이 상부케이스(111a)의 상부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연장부(301a)와, 연장부(301a)의 끝단에서 케이스(10a)의 전면부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302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레버(30a)의 타측은 먼지제거유닛(20)의 바디(201)에 연결된다.
업라이트 청소기는 상부케이스(111a)와 레버(30a)의 절곡부(302a) 사이에 마련되어 절곡부(302a)를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탄성부(40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성부(40a)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40a)는 스프링 외에도 탄성력을 가져 절곡부(302a)를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30a)의 하단에는 탄성부(40a)가 고정될 수 있게 하향으로 돌기(303a)가 마련되어 탄성부(40a)의 상단이 고정된다.
탄성부(40a)의 하단은 상부케이스(111a)에 지지된다.
도 4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먼지제거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먼지제거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지제거유닛(20)은 막대형상의 바디(201)와, 바디(201)에서 연장된 더스팅부(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더스팅부(202a)는 바디(201a) 전체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브러쉬로 구성된다.
반면에 도 4b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의 먼지제거유닛(20b)은 막대형상의 바디(201b)는 동일하나, 바디(201b)에서 연장된 더스팅부(202b)가 하나 이상의 브러쉬 다발이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어 구성된다.
이하 모든 실시예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스팅부(202b)가 하나 이상의 브러쉬 다발로 구성된 먼지제거유닛(20b)으로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의 더스팅부(202a, 202b)는 ABS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로 구성될 수 있으며, 드럼브러쉬(50)의 먼지를 털어내기 위한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흡입체(1a)의 단면도로서 드럼브러쉬(50)에 마련되어 있는 브러쉬는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a) 상부에 마련된 탄성부(40a)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의 절곡부(302a)가 상측으로 밀려 올려지고, 절곡부(302a)에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301a)를 포함하여 레버(30a) 전체가 상향으로 회동한다.
레버(30a)가 회동하면 레버(30a)의 타측에 연결된 먼지제거유닛(20b)의 바디(201b)가 회동하면서 바디(201b)에서 연장되어 마련되는 더스팅부(202b) 역시 회동하여 드럼브러쉬(50)와 분리된다.
모터(501)가 동작하면 그 회전력을 벨트(502)가 드럼브러쉬(50)에 전달하여 드럼브러쉬(50)가 회전한다.
따라서, 드럼브러쉬(50)는 더스팅부(202b)에 의한 간섭없이 작동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2) 내부에 마련된 송풍장치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된다.
드럼브러쉬(50)가 실내의 바닥과 맞닿으면서 회전하여 이물질을 실내의 바닥에서 분리하고, 분리된 이물질은 송풍장치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에 의하여 공기와 함께 흡입체(1a)의 케이스(10a) 전방 하부에 마련된 흡입구(60)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와 공기 내에 포함된 이물질은 배출구(70)를 통과하여 집진장치(미도시)로 유입된다.
집진장치에서 이물질은 집진장치에 모아지고 공기는 흡입체(1a)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라이트 청소기의 사용자가 발 또는 손으로 레버(30a)의 절곡부(302a)를 가압하면, 절곡부(302a)에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301a)를 포함하여 레버(302a) 전체가 하향으로 회동한다.
레버(302a)가 회동하면 먼지제거유닛(20b)의 바디(201b) 및 바디(201b)에서 연장되어 마련되는 더스팅부(202b)가 회동하여 더스팅부(202b)가 드럼브러쉬(50)와 접촉한다.
모터(501)의 회전 및 드럼브러쉬(50)의 회전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드럼브러쉬(50)가 회전하면 드럼브러쉬(50)에 접촉된 더스팅부(202b)와 간섭에 의해 드럼브러쉬(50)에 엉킨 머리카락이나 드럼브러쉬(50)에 부착된 먼지 등이 드럼브러쉬(50)에서 분리된다.
송풍장치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은 흡입구(60)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분리된 머리카락과 먼지는 흡입력에 의해 공기와 함께 배출구(70)를 통과하여 집진장치로 유입된다.
집진장치에서 머리카락과 먼지는 집진장치에 모아지고 공기는 흡입체(1a)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사용자가 레버(30a)의 절곡부(302a)의 가압을 해제하면 도 5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부(40a)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의 절곡부(302a)가 상측으로 밀려 올려지고, 절곡부(302a)에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301a)를 포함하여 레버(30a) 전체가 상향으로 회동한다.
레버(30a)가 회동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먼지제거유닛(20b)의 바디(201b)가 회동하면서 더스팅부(202b)가 드럼브러쉬(50)에서 분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흡입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체(1b)는 케이스(10b), 흡입구(60), 배출구(70), 드럼브러쉬(50), 모터(미도시), 벨트(미도시), 먼지제거유닛(20b) 및 레버(3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은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케이스(10b)는 케이스 상단을 구성하는 상부케이스(111b)와 드럼브러쉬(50)를 지지하여 흡입구(60)가 마련되어 있는 하부케이스(11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지제거유닛(20b)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막대형상의 바디(201b)와 하나 이상의 브러쉬 다발이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형성된 더스팅부(202b)로 구성된다.
레버(30b)는 일측이 상부케이스(111b)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연장부(301b)를 형성하고, 타측은 먼지제거유닛(20b)의 바디(201b)에 연결된다.
상부케이스(10)의 전면에 연장부(301b)의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부(41b)가 마련된다.
레버(30b)의 연장부(301b)와 상부케이스(11b)의 지지부(41b) 사이에 탄성부(40b)가 마련되어 연장부(301b)를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40b)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나, 스프링 외에도 탄성력을 가져 연장부(301b)를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할 수 있는 수단은 탄성부(40b)에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30b) 및 먼지제거유닛(20b)이 상부케이스(111b)의 전면으로 배치되어 상부케이스(111b)의 상단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드럼브러쉬(50)를 감싸는 상부케이스(111b)의 형태가 반원 형상을 이루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이물질의 흡입 및 배출이 원활하다.
이하에서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에 의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흡입체(1b)의 단면도로서 드럼브러쉬(50)에 마련되어 있는 브러쉬는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탄성부(40b)의 탄성력에 의해 연장부(301b)가 상측으로 밀려 올려지고, 그에 따라 레버(30b) 전체가 상향으로 회동한다.
레버(30b)가 회동하면 레버(30b)의 타측에 연결된 먼지제거유닛(20b)의 바디(201b)가 회동하면서 더스팅부(202b)가 드럼브러쉬(50)와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업라이트 청소기의 작동 원리는 도 5a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라이트 청소기의 사용자가 발 또는 손으로 연장부(301b)를 가압하면, 레버(30b)가 하향으로 회동한다.
레버(30b)가 회동하면 먼지제거유닛(20b)의 바디(201b)도 회동하면서 바디(201b)에서 연장되어 마련되는 더스팅부(202b)가 드럼브러쉬(50)와 접촉한다.
드럼브러쉬(50)에 접촉된 더스팅부(202b)와 간섭에 의해 드럼브러쉬(50)가 회전하면서 드럼브러쉬(50)에 엉킨 머리카락이나 드럼브러쉬(50)에 부착된 먼지 등이 드럼브러쉬(50)에서 분리된다.
흡입구(60)에서 공기가 흡입되고, 분리된 머리카락과 먼지는 흡입력에 의해 공기와 함께 배출구(70)를 통과하여 집진장치로 유입된다.
집진장치에서 머리카락과 먼지는 집진장치에 모아지고 공기는 흡입체(1b) 외측으로 배출된다.
사용자가 연장부(301b)의 가압을 해제하면 도 7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부(40b)의 탄성력에 의해 연장부(301b)가 상측으로 밀려 올려지고, 레버(30b) 전체가 상향으로 회동한다.
레버(30b)가 회동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더스팅부(202b)가 드럼브러쉬(50)에서 분리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흡입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청소기의 흡입체의 각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체(1c)는 케이스(10c), 흡입구(60), 드럼브러쉬(50), 먼지제거유닛(20b) 및 레버(30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은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드럼브러쉬(50)의 외주면에 마련된 브러쉬에 머리카락 또는 먼지 등이 엉키는 점은 앞서 살펴본 바와 동일하다.
케이스(10c)는 케이스 상단을 구성하는 상부케이스(111c)와 상부케이스(111c) 하단에 체결되며 드럼브러쉬(50)를 지지하고 흡입구(60)가 마련되어 있는 하부케이스(11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먼지제거유닛(20b)은 막대형상의 바디(201b)와 바디(201b)에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브러쉬 다발이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어 형성된 더스팅부(202b)로 구성된다.
레버(30c)는 일측이 상부케이스(111c)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연장부(301c)를 형성하고, 레버(30c)의 타측은 먼지제거유닛(20b)의 바디(201b)에 연결된다.
연장부(301c)의 하단에는 상부케이스(111c)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부(41c)가 마련된다.
연장부(301c)와 상부케이스(111c)의 지지부(41c) 사이에 탄성부(40c)가 마련되어 연장부(301c)를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한다.
연장부(301c)의 전면에는 연장부(301c)를 덮는 형태로 작동유닛(800)이 마련된다.
작동유닛(800)은 전면판, 상부판 및 측면판으로 구성된다.
연장부(301c)의 전면에 좌우로 긴 직사각형의 전면판이 마련되고, 상부판은 전면판의 상단에서 연결되어 후방으로 절곡되어 마련되고, 측면판은 전면판과 상부판의 측면에 결합된다.
작동유닛(800)의 내측으로 상기 연장부(301c)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압부(801)가 전면판의 내면에 결합된다.
작동유닛(800)은 측면판의 일측에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부케이스(111c)의 옆면과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록킹유닛(900)은 상부판의 상부에 상부케이스(111c)와 힌지 결합된다.
록킹유닛(900)의 힌지축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발판부(903)가 상하로 면을 향하도록 마련되고, 힌지축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탄성지지부(902)가 발판부(903)와 연결된다.
탄성지지부(902)는 그 배면이 상부케이스(111c)에 맞닿아 록킹유닛(900)을 정방으로 탄성 바이어스한다.
한 쌍의 걸림부(901)는 걸림부(901)의 끝단이 탄성지지부(902)의 끝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힌지축에서 하향 연장되어 마련된다.
이하에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에 의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흡입체(1b)의 단면도로서 드럼브러쉬(50)에 마련되어 있는 브러쉬는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작동유닛(800)을 발이나 손으로 가압하여 작동위치에 안착하게 하면, 가압부(801)가 연장부(301c)를 가압하여 하향으로 회동하게 한다.
연장부(301c)가 하향으로 회동하면서 먼지제거유닛(20b)이 회동하고, 그에 따라 더스팅부(202b)가 드럼브러쉬(50)에 접촉하는 제1위치에 위치한다.
드럼브러쉬(50)가 회전하면 드럼브러쉬(50)와 더스팅부(202b)의 간섭에 의해 드럼브러쉬(50)에 엉킨 머리카락이나 드럼브러쉬(50)에 부착된 먼지 들이 드럼브러쉬(50)에서 분리된다.
흡입구(60)에서 흡입된 공기와 함께 분리된 머리카락과 먼지는 흡입력에 의해 배출구(70)를 통과하여 집집장치로 유입된다.
머리카락과 먼지는 집진장치에 모아지고, 공기는 흡입체(1c) 외측으로 배출된다.
탄성지지부(902, 도 9참고)의 재료적 탄성에 의 록킹유닛(900) 전체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걸림부(901)는 전방으로 돌출되고, 걸림부(901) 하단이 상부판의 상면을 하향으로 눌러 작동유닛(800)이 작동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작동유닛(800)의 가압을 해제하더라도, 작동유닛(800)은 작동위치를 유지하고 먼지제거유닛(20b) 역시 제1위치를 유지하여, 먼지제거유닛(20b)이 작동을 멈추지 않는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유닛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록킹유닛(900)의 발판부(903)를 가압하면, 탄성지지부(902, 도9참고)의 탄성에도 불구하고 록킹유닛(9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걸림부(901)의 돌출정도는 줄어들어 끝단이 상부케이스(111c) 측으로 접근하고, 걸림부(901)의 일단은 삽입홈(804)에 수용된다.
걸림부(901)의 일단이 삽입홈(804)에 수용되면서, 상부판을 하향으로 누르는 힘도 제거된다.
탄성부(40c)의 탄성력에 의해 연장부(301c)가 상측으로 밀려 올려지고, 레버(30c)전체가 상향으로 회동한다.
연장부(301c)는 가압부(801)를 위로 밀어 올리고, 작동유닛(800) 전체가 상향으로 회동한다.
레버(30c)가 회동하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먼지제거유닛(20b)은 더스팅부(202b)가 드럼브러쉬에서 이격되는 제2위치로 이동한다.
1a, 1b, 1c : 흡입체
2 : 본체 3 : 핸들
10a, 10b, 10c : 케이스 111a, 111b, 111c : 상부케이스
112a : 케이스본체 113a, 113b, 113c : 하부케이스
20, 20a, 20b : 먼지제거유닛 201, 201a, 201b : 바디
202, 202a, 202b : 더스팅부
30a, 30b, 30c :레버 301a, 301b, 301c : 연장부
302a : 절곡부 303a, 303b, 303c : 돌기
40a, 40b, 40c : 탄성부 41b, 41c : 지지부
50 : 드럼브러쉬 60 : 흡입구
70 : 배출구
800 : 작동유닛 801 : 가압부
802 : 전면판 803 : 상부판
804 : 삽입홈
900 : 록킹유닛 901 : 걸림부
902 : 탄성지지부 903 : 발판부

Claims (13)

  1. 본체; 및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본체로 안내하는 흡입체; 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체는,
    흡입구가 형성된 케이스;
    이물질을 쓸어 상기 흡입구로 유도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브러쉬;
    상기 드럼브러쉬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드럼브러쉬에 접촉하는 제1위치와,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먼지제거유닛;
    상기 먼지제거유닛을 회동시키도록 상기 먼지제거유닛과 연결되는 레버;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작동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레버를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먼지제거유닛이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제거유닛은 일측에 더스팅부가 연결되는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더스팅부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에 접촉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드럼브러쉬로부터 이격되는 진공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바디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레버에 가해진 힘이 상기 바디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상기 작동유닛이 가압되면,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레버를 가압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먼지제거유닛에 힘을 전달하여 상기 먼지제거유닛이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진공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작동유닛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작동유닛을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닛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레버를 가압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먼지제거유닛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진공청소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은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작동유닛이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레버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진공청소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체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록킹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제1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작동유닛을 상기 제1위치에 고정하는 진공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힌지축에서 하향 연장되며 배면이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는 탄성지지부와, 끝단이 상기 지지부의 끝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힌지축에서 하향 연장되는 걸림부와, 상기 힌지축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발판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의 일단에는 상기 케이스와 이격되어 형성된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상부판을 하향으로 눌러서 고정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삽입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팅부는 브러쉬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팅부는 하나 이상의 브러쉬 다발이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제거유닛이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면 회전하는 상기 드럼 브러쉬에 접촉하여 상기 드럼브러쉬에 엉킨 머리카락이나 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작동유닛을 발 또는 손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190131047A 2019-10-22 2019-10-22 진공청소기 KR102228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047A KR102228892B1 (ko) 2019-10-22 2019-10-22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047A KR102228892B1 (ko) 2019-10-22 2019-10-22 진공청소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191A Division KR102037074B1 (ko) 2018-10-26 2018-10-26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191A true KR20190122191A (ko) 2019-10-29
KR102228892B1 KR102228892B1 (ko) 2021-03-17

Family

ID=68424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047A KR102228892B1 (ko) 2019-10-22 2019-10-22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8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6526A1 (ko) 2019-10-02 2021-04-08 코아스템 주식회사 중간엽줄기세포의 전신홍반루푸스 치료효과 예측용 바이오 마커 조성물
WO2022019417A1 (ko) * 2020-07-23 2022-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2066A (ja) * 2006-07-11 2006-11-1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JP2006334084A (ja) * 2005-06-01 2006-12-14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用吸込口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4084A (ja) * 2005-06-01 2006-12-14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用吸込口体
JP2006312066A (ja) * 2006-07-11 2006-11-1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6526A1 (ko) 2019-10-02 2021-04-08 코아스템 주식회사 중간엽줄기세포의 전신홍반루푸스 치료효과 예측용 바이오 마커 조성물
WO2022019417A1 (ko) * 2020-07-23 2022-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892B1 (ko)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5135A (ko) 업라이트 청소기
KR102452480B1 (ko) 진공 청소기
KR100474083B1 (ko) 다용도 진공청소기
JP4913879B2 (ja) 床用ツール
KR101119615B1 (ko) 진공청소기
KR100478650B1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KR20070100895A (ko) 표면 처리 장치
KR20060082900A (ko) 진공청소기용 핸들
KR102228892B1 (ko) 진공청소기
KR102037074B1 (ko) 진공청소기
KR100968335B1 (ko) 청소기
KR101208556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JP4713958B2 (ja) 電気掃除機
KR20090121655A (ko)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이를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
JP7035446B2 (ja) 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JP2004057365A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KR10093319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19980013972U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력 조절스위치
KR20110047597A (ko) 진공청소기
KR101199662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200145065A (ko) 조립식 청소기
JP2021186552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23079282A (ja) 吸込口体及び電気掃除機
KR20060116998A (ko) 공기분사장치가 구비되는 진공청소기
KR20060067143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