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085A - 배관용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용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085A
KR20190122085A KR1020180045774A KR20180045774A KR20190122085A KR 20190122085 A KR20190122085 A KR 20190122085A KR 1020180045774 A KR1020180045774 A KR 1020180045774A KR 20180045774 A KR20180045774 A KR 20180045774A KR 20190122085 A KR20190122085 A KR 20190122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ing
fluid
rotary shaft
piping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5589B1 (ko
Inventor
최상진
최무성
Original Assignee
최상진
최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진, 최무성 filed Critical 최상진
Priority to KR1020180045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589B1/ko
Publication of KR20190122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 to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2Blades; Blade-carrying rotors
    • F03B3/121Blades, their form or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23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urbines or similar eng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02E10/22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가 유동되는 배관에 장착되어 유체의 유동력에 의하여 전기를 발전시키는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발전기와 연결되는 회전축이 배관유닛의 유로를 가로지르며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가이드가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에는 유체의 유동력을 주되게 전달받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구비된 가이드링이 체결되는 배관용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용 발전장치{Power generator for piping}
본 발명은 유체가 유동되는 배관에 장착되어 유체의 유동력에 의하여 전기를 발전시키는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발전기와 연결되는 회전축이 배관유닛의 유로를 가로지르며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가이드가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에는 유체의 유동력을 주되게 전달받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구비된 가이드링이 체결되는 배관용 발전장치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화력발전 및 원자력발전 등과 같이 주로 화석연료나 인체에 유해한 방사능물질을 발생시키는 원자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였다.
이러한 발전방식은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부득이하게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범인 매연 및 방사선 폐기물 등과 같은 해로운 결과물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화석연료의 경우 지구상에 매장된 매장량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채굴하여 사용할 경우 지구상에서 고갈되어 무한정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수력, 풍력, 조력 및 태양열 등과 같이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자연상태에서 발생하는 무한대의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방식이 제시되고 있다.
그 중 수력발전방식의 경우 물이 흐르는 운동에너지를 유체기기의 회전동력으로 전환하여 전기를 발전하는데, 일반적으로 댐에 저장된 물이 갖는 위치 에너지를 이용하는데 주로 치중되었다.
이와 같은 수력발전의 경우 대형의 발전설비가 필요하여 초기에 막대한 설치비용이 소요되며, 가뭄이 잦고 강수량이 일정하지 않으면 전력생산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수돗물을 비롯하여 연료공급관 또는 오수배수관 등의 각종 배관계통 내부에 다양하게 흐르고 있는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그대로 낭비해 버리지 않고, 이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전력생산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며, 몇몇 중소형의 발전장치들이 개시되고 있다.
다음은 배관에 장착되는 발전장치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4628호는 배관용 수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직관형 배관 사이에 플랜지접합 되는 플랜지관과, 플랜지관에 길이방향으로 플랜지관의 내부에 위치하되, 중심축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 지지대에 의해 플랜지관의 내경에 고정되며, 일단에 제1베벨기어가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한 스크류 터빈 및 플랜지관의 외부에 위치하되, 플랜지관의 외경에 설치된 보스(boss)를 관통한 피동축과, 피동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제1베벨기어와 기어물림되는 제2베벨기어를 구비하며 피동축의 타단에 연결되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배관용 수력발전장치를 제시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발전장치는 배관 사이에 탈착이 용이하게 플랜지접합 됨으로써, 기 설치된 다양한 형태의 배관에 설치할 수 있어 기존 시설물을 해체하지 않으면서 저비용으로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실현시켰으나, 유체에 대한 임펠러(스크류 터빈)의 저항이 크게 작용하여 유체의 유동성이 다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4628호(2011.09.2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4722호(2013.07.0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7658호(2015.02.2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5433호(2015.09.17.)
본 발명은 배관용 발전장치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발전장치는 유체가 유동되는 배관의 유로에 발전기와 연결된 임펠러가 내입되는 단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유체에 대한 임펠러의 저항이 크게 작용하여 유체의 유동이 지나치게 저해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특히, 배관의 유로에 장착되는 임펠러의 구조가 복잡하고, 임펠러의 회전축과 발전기의 회전축이 웜기어에 의하여 수직교차하는 형태로 연결되는 구성을 하기때문에 발전 효율이 낮고, 유체의 저항이 크게 발생하여 유체의 유동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길이방향 일측에 발전기의 회전축이 연결되고, 배관의 유로를 가로지르며 회전 가능하도록 배관에 장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기준하여 수직한 상태로 길이를 가지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며 회전축에 일단이 체결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상기 복수 개 가이드의 타단들에 체결되는 원형의 가이드링 및; 상기 가이드링에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용 발전장치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발전장치는 회전축이 배관의 유로를 가로지르며 배관유닛에 장착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발전기의 회전축과 발전장치의 회전축이 웜기어와 같은 별도의 구성품 없이 직접 연결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유체의 유동력을 주되게 전달받아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블레이드가 일방향으로 유동되는 유체의 유동력을 크게 받을 수 있되, 유체의 저항은 최소한으로 받으며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유체의 유동성을 저해하지 않으며 발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발전장치가 배관유닛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발전장치가 배관유닛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발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발전장치가 배관유닛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발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발전장치를 나타내는 수직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발전장치에 보조 블레이드가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발전장치에 보조 블레이드가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
본 발명은 유체가 유동되는 배관유닛(60)에 장착되어 유체의 유동력에 의하여 전기를 발전시키는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방향 일측에 발전기의 회전축이 연결되고, 배관유닛(60)의 유로를 가로지르며 회전 가능하도록 배관유닛(60)에 장착되는 회전축(10); 상기 회전축(10)의 길이방향을 기준하여 수직한 상태로 길이를 가지고, 회전축(10)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며 회전축(10)에 일단이 체결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20); 상기 복수 개 가이드(20)의 타단들에 체결되는 원형의 가이드링(30) 및; 상기 가이드링(30)에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용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발전장치(이하, ‘발전장치’라 칭함.)는 물, 기름 또는 가스 등과 같은 유체가 유동되는 배관유닛(60)에 장착되어, 유체의 유동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물인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고, 본 발명에 의한 발전장치는 상수도관과 같은 배관에 장착되는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발전장치는 기설치된 상수도관과 같은 배관에 직접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상기 배관과 연결될 수 있는 별도의 배관유닛(60)에 장착된 이후 발전장치가 장착된 별도의 배관유닛(60)이 기설치된 배관에 장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발전장치가 장착되는 상기 별도의 배관유닛(60)은 길이방향 양단에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는 기설치된 배관에 구비된 다른 플랜지와 상호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발전장치가 기설치된 배관과 연결되는 별도의 배관유닛(60)에 장착되고, 도 1의 전방에서 후방 및 도 4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유체가 유동되는 경우를 기준하여 발전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발전장치는 거시적으로 회전축(10), 복수 개의 가이드(20), 원형의 가이드링(30) 및 복수 개의 블레이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축(10)은 길이방향 일측에 발전기의 회전축이 연결되고, 배관유닛(60)의 유로를 가로지르며 회전 가능하도록 배관유닛(60)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일정의 길이를 가지는 환봉 형태의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0)은 배관유닛(60) 유로의 직경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배관유닛(60)의 유로를 가로지르고, 길이방향 양단 각각이 배관유닛(6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구성을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회전축(10)이 배관유닛(60)의 유로를 가로지르는 것의 의미는 상기 회전축(10)이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유로에 수직하게 세워짐을 의미한다.
더불어 상기 회전축(10)의 일측은 배관유닛(60)의 외부에 위치되는 상태를 가지고, 상기 회전축(10)의 일측은 발전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발전장치 회전축(10)의 회전력이 발전기로 전달되어 전기를 발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10)과 배관유닛(60)의 연결부분은 배관유닛(60)에서 회전축(10)은 회전 가능하되, 유로에서 유동되는 유체가 배관유닛(6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기밀성을 가져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20)는 상기 회전축(10)의 길이방향을 기준하여 수직한 상태로 길이를 가지고, 회전축(10)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며 회전축(10)에 일단이 체결되는 복수 개의 구성으로서, 회전축(10)과 하기 원형의 가이드링(30)을 상호 연결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20) 각각은 길이방향 일단이 회전축(10)에 체결되고, 타단은 회전축(10)에서 멀어져 배관유닛(60) 유로의 내주면에 인접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20)는 회전축(10)을 중심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방사형으로 수평하게 배열되는 구성을 하여, 회전축(10)이 어느 한쪽 수평방향으로 편심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회전축(10)의 회전력은 하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40)에 의하여 발생되는데,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20)는 유체의 유동력에 의하여 부가적인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20)는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이 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은 뾰족하고 후방은 벌어진 상태인 “
Figure pat00001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의 “
Figure pat00002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도 4와 같이 가이드(20a)가 회전축(10)을 중심으로 ⅰ) 유체의 유동방향과 동일한 회전방향을 가지며 위치되는 유로의 영역(A)에서는 “
Figure pat00003
”형태의 파여진 후방으로 유체가 내입되며 넓은 면적에 유동력을 가할 수 있고, 상기와 반대로 가이드(20b)가 ⅱ) 유체의 유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방향을 가지며 위치되는 유로의 영역(B)에서는 “
Figure pat00004
”형태의 뾰족한 전방으로 유체의 유동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유체와 가이드(20) 간의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유로 내에서 변화되는 가이드(20)의 위치에 따라 유체의 유동력을 크게 받거나 적게 받으며 회전축(10)을 중심으로 빠르게 회전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링(30)은 상기 복수 개 가이드(20)의 타단들에 체결되는 원형의 구성으로서, 하기의 복수 개의 블레이드(40)를 가이드링(30)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가이드링(30)은 일정의 내경을 가지는 링형태의 구성으로서, 중심이 상기 회전축(10)의 중심에 위치되어 회전축(10)을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가이드링(30)의 외경은 배관유닛(60) 유로의 내주면과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20)는 가이드링(30)의 내주에 가이드(20)의 길이방향 타단이 연결되는 구성을 함으로써 가이드링(30)이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복수 개의 가이드(20) 역시 각각의 가이드(20) 일단이 체결된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회전축(10)을 회전시킨다.
아울러 상기 원형의 가이드링(3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40)는 상기 가이드링(30)의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배관유닛(60) 유로에서 유동되는 유체의 유동력을 주되게 받아 가이드링(30)을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40)는 수평방향으로 판상을 이루는 가이드링(30)의 상부 및 하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높이를 형성함으로써 유체의 유동력을 보다 크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40)는 유체의 유동력으로 배관유닛(60) 유로에서 가이드링(30)의 중심인 회전축(10)의 중심을 기준하여 회전하며 회전축(1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이 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은 뾰족하고 후방은 벌어진 상태인 “
Figure pat00005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Figure pat00006
”형태의 블레이드(40)는 중간부분(31)은 가이드링(30)에 체결되고, 상부는 가이드링(30)의 상부에 위치되며, 하부는 가이드링(3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의 블레이드(40)는 도 3과 같이 “
Figure pat00007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되되, “
Figure pat00008
”형태의 중간부분(31)은 상기 가이드링(30)에 체결되고, 중간부분(31)의 상부는 가이드링(30)의 상부에 위치되어 가이드링(30)의 상부로 유동되는 유체의 유동력을 전달받고, 중간부분(31)의 하부는 가이드링(30)의 하부에 위치되어 가이드링(30)의 하부로 유동되는 유체의 유동력을 전달받아 가이드링(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
Figure pat00009
”형태의 블레이드(40)는 도 4와 같이 블레이드(40a)가 회전축(10)을 중심으로 ⅲ) 유체의 유동방향과 동일한 회전방향을 가지며 위치되는 유로의 영역(A)에서는 “
Figure pat00010
”형태의 파여진 후방으로 유체가 내입되며 넓은 면적에 유동력을 가할 수 있고, 상기와 반대로 블레이드(40b)가 ⅳ) 유체의 유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방향을 가지며 위치되는 유로의 영역(B)에서는 “
Figure pat00011
”형태의 뾰족한 전방으로 유체의 유동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유체와 가이드(20) 간의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유로 내에서 변화되는 블레이드(40)의 위치에 따라 유체의 유동력을 크게 받거나 적게 받으며 회전축(10)을 중심으로 빠르게 회전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
Figure pat00012
”형태의 블레이드(40)는 중간부분(31)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일체의 것으로 구성되며 가이드링(30)에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중간부분(31)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분리된 상태로 가이드링(30)에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중간부분(31)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분리된 블레이드(40)는 상부와 하부의 전방이 서로 일치한 위치를 이루며 가이드링(30)에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상부와 하부가 가이드링(30) 상에서 일정의 이격간격을 가지며 서로 엇갈린 상태로 가이드링(3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블레이드(40)가 구비되는 가이드링(30)은 내측과 외측이 일직선을 이루는 수직단면을 가지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6과 같이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중간부분(31)이 내측부분(32) 및 외측부분(33)보다 더 두꺼운 형태의 수직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가이드링(30)은 수직단면의 중간부분(31)이 더 내측부분(32)과 외측부분(33)보다 더 두꺼운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가이드링(30)의 회전시에 가이드링(30)의 내측부분(32)의 상하부면, 외측부분(33)의 상하부면 쪽으로 유동된 유체가 가이드링(30)의 상부와 하부로 갈라질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유체와 가이드링(30) 및 유체와 가이드(20) 간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회전축(1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링(30)은 가이드링(30)이 회전축(10)의 길이방향 중간부분(31)에 위치될 때, 길이방향의 상단은 회전축(10)의 상부에 체결되고, 길이방향의 하부는 회전축(10)의 하부에 체결되며, 길이방향의 중간부분(51)은 가이드링(30)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보조 블레이드(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조 블레이드(50)는 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길이방향 전방은 뾰족하고 후방은 벌어진 상태인 “
Figure pat00013
” 형태의 곡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블레이드(50)는 상기 블레이드(40)와 더불어 유체의 유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축(10)을 더욱 빠르고 강한 회전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길이방향 양단은 회전축(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체결되고, 중간부분(51)은 가이드링(30)에 체결되는 구성을 한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보조 블레이드(50)는 가이드링(30)과 체결되는 중간부분(51)이 길이방향 양단보다 전방에 위치된 “
Figure pat00014
” 형태의 곡선형을 가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
Figure pat00015
” 형태의 수직단면을 가지는 블레이드(40)와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회전축(10)을 보다 빠르고 강력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상기 구성의 보조 블레이드(50)는 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의 중간부분(31)은 가이드링(30)에 체결된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 양단은 회전축(10)에 체결된 상태로 후방에 위치되는 곡선형의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유로 내에서 위치변화되는 보조 블레이드(50)의 위치에 따라 유체의 유동력을 크게 받거나 적게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구성의 보조 블레이드(50)는 “
Figure pat00016
”형태를 가지는 블레이드(40)와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도 8와 같이 보조 블레이드(50)(a)가 회전축(10)을 중심으로 ⅲ) 유체의 유동방향과 동일한 회전방향을 가지며 위치되는 유로의 영역(A)에서는 “
Figure pat00017
”형태의 파여진 후방으로 유체가 내입되며 넓은 면적에 유동력을 가할 수 있고, 상기와 반대로 보조 블레이드(50b)가 ⅳ) 유체의 유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방향을 가지며 위치되는 유로의 영역(B)에서는 “
Figure pat00018
”형태의 뾰족한 전방으로 유체의 유동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유체와 가이드(20) 간의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유로 내에서 변화되는 블레이드(40)의 위치에 따라 유체의 유동력을 크게 받거나 적게 받으며 회전축(10)을 중심으로 빠르게 회전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회전축 20 : 가이드
30 : 가이드링 31 : 중간부분
32 : 내측부분 33 : 외측부분
40 : 블레이드 50 : 보조 블레이드
51 : 중간부분 60 : 배관유닛

Claims (5)

  1. 길이방향 일측에 발전기의 회전축이 연결되고, 배관유닛(60)의 유로를 가로지르며 회전 가능하도록 배관유닛(60)에 장착되는 회전축(10);
    상기 회전축(10)의 길이방향을 기준하여 수직한 상태로 길이를 가지고, 회전축(10)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며 회전축(10)에 일단이 체결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20);
    상기 복수 개 가이드(20)의 타단들에 체결되는 원형의 가이드링(30) 및;
    상기 가이드링(30)에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20)는,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이 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은 뾰족하고 후방은 벌어진 상태인 “
    Figure pat00019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발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0)는,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이 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은 뾰족하고 후방은 벌어진 상태인 “
    Figure pat00020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Figure pat00021
    ”형태의 블레이드(40)는,
    중간부분(31)은 가이드링(30)에 체결되고, 상부는 가이드링(30)의 상부에 위치되며, 하부는 가이드링(3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발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30)은,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중간부분(31)이 내측부분(32) 및 외측부분(33)보다 더 두꺼운 형태의 수직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발전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30)은,
    가이드링(30)이 회전축(10)의 길이방향 중간부분(31)에 위치될 때, 길이방향의 상단은 회전축(10)의 상부에 체결되고, 길이방향의 하부는 회전축(10)의 하부에 체결되며, 길이방향의 중간부분(51)은 가이드링(30)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보조 블레이드(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조 블레이드(50)는,
    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길이방향 전방은 뾰족하고 후방은 벌어진 상태인 “
    Figure pat00022
    ” 형태의 곡선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발전장치.
KR1020180045774A 2018-04-19 2018-04-19 배관용 발전장치 KR102145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774A KR102145589B1 (ko) 2018-04-19 2018-04-19 배관용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774A KR102145589B1 (ko) 2018-04-19 2018-04-19 배관용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085A true KR20190122085A (ko) 2019-10-29
KR102145589B1 KR102145589B1 (ko) 2020-08-18

Family

ID=68423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774A KR102145589B1 (ko) 2018-04-19 2018-04-19 배관용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58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104A (ko) * 2007-09-07 2009-03-11 박종원 나비 블레이드를 가진 휠
US20110018277A1 (en) * 2009-07-24 2011-01-27 Michael Wayne Brace Hydrokinetic electrical power generation system
KR20110104628A (ko) 2010-03-17 2011-09-23 송명섭 배관용 수력발전장치
KR20130074722A (ko) 2011-12-26 2013-07-04 실버레이 주식회사 발전기능을 갖춘 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EP2713043A1 (en) * 2012-09-28 2014-04-02 WFPK Beheer B.V. Device for generating energy from flowing water
KR101497658B1 (ko) 2013-09-11 2015-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체발전이 가능한 신축성 배관조인트
KR101555433B1 (ko) 2014-03-24 2015-10-06 백지현 건물배관의 유체 운동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설비
KR20160025848A (ko) * 2014-08-28 2016-03-09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송수관 설치형 소수력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104A (ko) * 2007-09-07 2009-03-11 박종원 나비 블레이드를 가진 휠
US20110018277A1 (en) * 2009-07-24 2011-01-27 Michael Wayne Brace Hydrokinetic electrical power generation system
KR20110104628A (ko) 2010-03-17 2011-09-23 송명섭 배관용 수력발전장치
KR20130074722A (ko) 2011-12-26 2013-07-04 실버레이 주식회사 발전기능을 갖춘 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EP2713043A1 (en) * 2012-09-28 2014-04-02 WFPK Beheer B.V. Device for generating energy from flowing water
KR101497658B1 (ko) 2013-09-11 2015-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체발전이 가능한 신축성 배관조인트
KR101555433B1 (ko) 2014-03-24 2015-10-06 백지현 건물배관의 유체 운동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설비
KR20160025848A (ko) * 2014-08-28 2016-03-09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송수관 설치형 소수력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589B1 (ko)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9764B1 (ko) 배관용 수력발전장치
RU268485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и система, включающая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296759B1 (ko) 유속을 이용한 발전장치
US8123457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improved turbine pressure and pressure drop control using turbine head potential
CN106089552A (zh) 一种水力发电装置
KR101533055B1 (ko) 관로용 수력 발전장치
JP2010031791A (ja) 水力発電装置
JP2018508709A (ja) 河川用水力発電装置
KR101692166B1 (ko) 수력발전장치
KR101567263B1 (ko) 소수력 발전장치
KR101772017B1 (ko) 무축 배관형 발전기
EP2487362A1 (en) Underground watermill
KR101959887B1 (ko) 노 형상을 갖는 블레이드를 구비한 관로형 소수력 발전장치
KR102145589B1 (ko) 배관용 발전장치
KR20190070599A (ko) 소수력 발전 장치에 이용되는 배관
RU2347935C2 (ru) Русловая 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KR101782055B1 (ko) 소수력 발전장치
CN111749838B (zh) 一种河流发电装置
CN110168215A (zh) 发电装置
KR101649872B1 (ko) 관로 유동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모듈
KR100955083B1 (ko) 유체 배관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1320636B1 (ko) 유수관용 수력발전장치
KR101944805B1 (ko) 관로 내장형 소수력 발전기
KR20210056840A (ko)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
KR101642444B1 (ko) 소수력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