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840A -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6840A
KR20210056840A KR1020190143786A KR20190143786A KR20210056840A KR 20210056840 A KR20210056840 A KR 20210056840A KR 1020190143786 A KR1020190143786 A KR 1020190143786A KR 20190143786 A KR20190143786 A KR 20190143786A KR 20210056840 A KR20210056840 A KR 20210056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ne
gear
power generation
belt
ge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철호
원유진
Original Assignee
그린한국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한국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한국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3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6840A/ko
Publication of KR20210056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F03B13/083The generator rotor being mounted as turbine rotor ri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 to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B2260/402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friction drives
    • F05B2260/402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friction drives through belt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B2260/403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 F05B2260/403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as in toothed g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상에 배치되어 수압을 인가받아 회전에너지를 발생하는 복수의 터빈, 상기 터빈들을 상호 연결하여 어느 한 터빈의 회전 에너지를 다른 터빈에 전달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터빈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 에너지를 인가받아 발전하도록 된 발전수단을 포함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는 하천 보의 수로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소수력발전기를 가동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수로에 흐르는 물의 운동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발전 효율이 우수한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Small Scale Hydropower Comprising Multi-Turbine}
본 발명은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터빈, 상기 터빈들을 상호 연결하여 어느 한 터빈의 회전 에너지를 다른 터빈에 전달하는 연결수단 및 발전수단을 포함하는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방법은 열에너지 또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시설 및설비를 갖추고 생산된 전력을 가정, 산업시설, 공공시설 등에 공급하는데, 발전에 사용하는 에너지원으로는 물, 기름, 석탄, 천연가스, 원자력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즉, 상기 에너지원들을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키고 터빈과 연결된 발전기를 통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이때, 이용되는 에너지원의 종류와 그에 따른 발전방식에 따라 수력발전소, 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등으로 구분된다.
한편, 근자에는, 조수(潮水)의 에너지를 이용하는 조력발전소, 바람의 에너지를 이용하는 풍력발전소, 지열(地 熱)을 이용하는 지열발전소, 태양열을 이용하는 태양열발전소 등도 미래의 발전소로 실용화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수력발전은 물의 흐름을 이용한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여 발전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천의 물을 막거나 댐을 건설하여 유수를 이용한 낙차 현상으로 발전하는 대용량 수력발전설비 또는, 소하천과 농수로 및 각종 수처리 시설에 적용되어 설비 용량이 15,000kw 미만의 소수력발전설비를 구분되고 있다.
이러한 수력발전설비 중에 소수력발전은 대용량 수력발전설비와 원리 면에서 차이가 없으나 대용량 수력발전설비의 부정적 요인(대규모 설비에 의한 환경파괴, 시설 가능 지역의 제한 등등)을 해결할 수 있으며, 소수력발전은 다른 발전설비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단위 용량당 에너지 생산량이 많으며, 원자재의 해외의존도가 없어 광범위하게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소수력발전을 이용한 소수력발전소는, 소하천 급류, 저 낙차에 의한 풍부한 청정에너지 발전과 지구촌 각국의 지형, 기후에 적합한 친환경 에너지 설비장치에 의한 전기 발생 및 응용고안의 특성 중 터빈과 소수력발전 장치의 설치 방법 등의 소수력발전장치의 효율 증대와 초기 투자비용 절감 방안이 도출의 배경이며. 소수력 발전의 장점으로는 대수력 발전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연 유지비가 아주 낮으며, 비교적 설계 및 시공기간이 짧고, 주위의 인력이나 자재를 이용하기가 쉬우며, 민간 주도의 반영구적 공익사업으로서 지역 개발의 촉진과 이로 인한 경제적 파급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소수력발전 기술과 관련하여 종래 등록특허공보 제10-1369522호를 살펴보면,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 상에서 설치된 터빈 및 상기 터빈의 회전에 따라 발전하는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터빈은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에 각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날개, 상기 복수의 날개 측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날개 회전축을 구비하며, 각 날개 회전축의 일단에는 각 날개가 결합되고, 각 날개 회전축의 타단에는 날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가 연결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에는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 변동에 대응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날개의 각도를 가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종래 등록특허공보 제10-1503727호를 살펴보면, 러너에서 수압이 인가되는 측에는, 수압이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러너로 배출하는 출구를 가지는 '관' 형상의 유입관이 배치되되, 상기 유입관은 입구가 출구에 비하여 그 직영이 크게 형성되어 입구에서 출구 측으로 갈수록 수압이 증대되도록 되고, 상기 러너는 상기 유입관의 출구에 접속된 연결관의 내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러너에 대하여 상기 유입관 측의 상기 연결관에는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되 수압이 중앙을 중심으로 와류 형태로 이동하도록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 날개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소수력 발전장치들은, 수압이 발생하는 공간(이송관로) 상에서, 수압을 효율적으로 증대시 키지 못하여 발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하천 보의 수로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소수력발전기를 가동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수로에 흐르는 물의 운동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발전 효율이 개선된 소수력발전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복수의 터빈, 상기 터빈들을 상호 연결하여 어느 한 터빈의 회전 에너지를 다른 터빈에 전달하는 연결수단 및 발전수단을 포함하여 멀티 터빈이 하나의 발전수단에 연동된 소수력발전장치를 제조할 경우 하천 보의 수로 사이즈에 맞춰 설치되는 터빈의 수를 가감할 수 있어 설치가 간편한 것은 물론, 어느 한 터빈에서 발생한 회전 에너지를 다른 터빈들이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발전 효율이 우수하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소수력발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하천 보의 수로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소수력발전기를 가동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수로에 흐르는 물의 운동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발전 효율이 개선된 소수력발전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복수의 터빈, 상기 터빈들을 상호 연결하여 어느 한 터빈의 회전 에너지를 다른 터빈에 전달하는 연결수단 및 발전수단을 포함하여 멀티 터빈이 하나의 발전수단에 연동된 소수력발전장치를 제조할 경우 하천 보의 수로 사이즈에 맞춰 설치되는 터빈의 수를 가감할 수 있어 설치가 간편한 것은 물론, 어느 한 터빈에서 발생한 회전 에너지를 다른 터빈들이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발전 효율이 우수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로상에 배치되어 수압을 인가받아 회전에너지를 발생하는 복수의 터빈, 상기 터빈들을 상호 연결하여 어느 한 터빈의 회전 에너지를 다른 터빈에 전달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터빈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 에너지를 인가받아 발전하도록 된 발전수단을 포함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베벨기어’는 두 축이 교차하는 원추마찰차의 접촉면을 피치원으로 하는 기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스퍼기어’는 두 축에 평행하게 절삭한 이를 가지는 기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벨트기어’는 벨트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일체의 기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터빈을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터빈을 복수로 설치할 경우 물의 위치에너지를 최대한 이용하여 발전기를 가동할 수 있는데, 상기 터빈을 연결수단에 의해 각각 연결할 경우 각각의 터빈에 발전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흐르는 물의 유량이 증가할 경우 터빈의 높이를 넘쳐 흘러버려 최초의 터빈을 회전시키는데 이용되지 않은 물을 상기 최초의 터빈 다음에 배치된 터빈들을 회전시키는데 이용하여 발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터빈은 바람직하게는 원통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 또는 결합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터빈은 바람직하게는 양 단부에 결합된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터빈 결합용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양 단부에 결합된 회전축 중 어느 한 회전축에는 바람직하게는 연결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연결수단은 바람직하게는 기어방식, 벨트기어방식 또는 기어 및 벨트기어의 혼합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연결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전수단과 기어방식, 벨트기어방식 또는 기어 및 벨트기어의 혼합방식을 이용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연결수단은 제1 베벨기어이고, 상기 제1 베벨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제1 베벨기어의 회전력을 수직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2 베벨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벨기어가 결합된 축의 타 단부에 스퍼기어 또는 벨트기어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어느 한 상기 스퍼기어 또는 벨트기어는 바람직하게는 다른 스퍼기어 또는 벨트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터빈들의 회전력을 상기 발전수단에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베벨기어 및 제2 베벨기어를 이용하여 터빈의 회전력을 수직 방향으로 전환한 다음, 상기 터빈의 상측에 별도로 설치된 스퍼기어 또는 벨트기어를 상호 연동하여 발전수단을 가동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터빈을 계단식 수로에 설치해야 할 경우 계단의 구조적 특성상 연결수단의 설치가 난해한 문제가 있는데, 베벨기어들을 이용하여 터빈의 회전력을 수직 방향으로 전한한 다음, 터빈의 상측에 별도의 기어들을 배치할 경우 계단식 수로에도 연결수단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호간 연결된 상기 스퍼기어 또는 벨트기어들은 바람직하게는 기어 결합용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계단식 수로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수로상에 배치되어 수압을 인가받아 회전에너지를 발생하는 복수의 터빈, 상기 터빈들을 상호 연결하여 어느 한 터빈의 회전 에너지를 다른 터빈에 전달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터빈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 에너지를 인가받아 발전하도록 된 발전수단을 포함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를 제공한다.
(b) 본 발명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는 하천 보의 수로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소수력발전기를 가동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수로에 흐르는 물의 운동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발전 효율이 우수한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계단식 수로에 설치된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계단식 수로에 설치된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연결수단이 벨트기어 방식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의 측면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연결수단이 벨트기어 방식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의 정면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연결수단이 벨트기어 방식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의 정면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1) 중 베벨기어를 채택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1) 중 벨트기어를 채택한 발전장치의 측면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1) 중 벨트기어를 채택한 발전장치의 정면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1)는 터빈몸체(11), 블레이드(12), 제1 회전축(13) 및 터빈 결합용 본체(14)를 포함하는 터빈(10), 제1 베벨기어(21), 제2 베벨기어(22), 벨트기어(23), 벨트(24), 스퍼기어(25) 및 제2 회전축(26)을 포함하는 연결수단(20) 기어 결합용 본체(30) 및 발전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터빈(10)은 터빈몸체(11), 블레이드(12), 제1 회전축(13) 및 터빈 결합용 본체(14)를 포함한다.
상기 터빈몸체(11)는 금속, 합성수지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제작될 수 있고, 원통형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터빈몸체(11)의 양 단부에는 후술하는 제1 회전축(13) 결합을 위한 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2)는 금속, 합성수지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제작될 수 있고, 상기 터빈몸체(11)의 외주면에 복수로 형성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2)의 형상은 당업계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상의 블레이드 형상을 채택할 수 있으나, 수로의 형상, 유량 및 유속의 세기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접합한 형상의 블레이드를 채택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13)은 금속, 합성수지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제작될 수 있고, 상기 터빈몸체(11)의 양 단부에 결합 또는 형성되며, 후술하는 터빈 결합용 본체(14)에 결합하며, 상기 제1 회전축(13)의 양 단부 중 어느 한 단부에는 후술하는 연결수단(20)이 결합된다.
상기 터빈 결합용 본체(14)는 금속, 합성수지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제작될 수 있고, 상기 터빈(10)이 복수로 결합된다. 상기 터빈 결합용 본체(14)는 수로의 형상, 유량 및 유속의 흐름에 맞춰 적합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터빈 결합용 본체(14)는 상기 터빈(10)이 1 단위씩 결합된 모듈식 본체일 수 있다. 상기 모듈식 본체에는 힌지 또는 경첩 형식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수로의 크기, 경사도, 유량 및 유속을 고려하여 수로에 설치하는 모듈식 본체의 수, 모듈식 본체 상호간의 결합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20)은 제1 베벨기어(21), 제2 베벨기어(22), 벨트기어(23), 벨트(24), 스퍼기어(25) 및 제2 회전축(26)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베벨기어(21) 및 제2 베벨기어(22)는 상기 터빈(10)의 회전력을 수직 방향으로 전환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빈(10)의 회전력을 수직 방향으로 전환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는 수로의 형상이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터빈(10)을 연결하는 연결수단(20)을 직접 연결할 수 없는 경우를 의미하거나, 수로 중간에 장애물 등이 있어, 터빈의 회전력열 수직 방향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터빈(10)의 회전력을 수직 방향으로 전환할 경우 상기 제2 베벨기어(22)가 일 단부에 결합된 제2 회전축(26)의 타 단부에는 벨트기어(23) 또는 스퍼기어(25)가 연결되어, 각각의 터빈(10)에서 발생한 수직 방향의 회전력을 다시 수평 방향으로 전환하여 발전수단(40)을 가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벨트기어(23) 또는 스퍼기어(25)는 기어 결합용 본체(30)에 설치되어 상호 연결되어, 상기 터빈(10)에서 발생시킨 회전력을 후술하는 발전수단(40)에 전달할 수 있다.
수로가 계단식으로 형성되지 않았거나, 계단식 수로인 경우라도 계단의 높이가 낮아 상기 터빈(10)의 회전력을 수직 방향으로 전환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회전축(13)에 벨트기어(23) 또는 스퍼기어(25)를 직접 연결하여 상기 터빈(10)들에서 발생한 회전 에너지를 후술하는 발전수단(4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터빈(10)은 상기 연결수단(20)으로 벨트기어(23)와 벨트(40)를 채택하고 있다.
상기 터빈(10)들을 직접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20)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퍼기어(25)를 채택할 수 있으나, 연결수단(20)을 직접 연결하는 과정에 스퍼기어(25)가 사용될 경우 기어의 크기 및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사이즈의 스퍼기어를 보유해야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상기 터빈(10)들을 직접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20)으로는 스퍼기어(25) 보다는 벨트기어(23)와 벨트(40)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전수단(40)은 상기 연결수단(20)인 제1 베벨기어(21), 제2 베벨기어(22), 벨트기어(23), 벨트(24) 또는 스퍼기어(25) 등의 연결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수단으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발전기를 이용할 수 있다.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 1 터빈 10
터빈몸체 11 블레이드 12
제1 회전축 13 터빈 결합용 본체 14
연결수단 20 제1 베벨기어 21
제2 베벨기어 22 벨트기어 23
벨트 24 스퍼기어 25
제2 회전축 26 기어 결합용 본체 30
발전수단 40 계단식 수로 60

Claims (10)

  1. 수로상에 배치되어 수압을 인가받아 회전에너지를 발생하는 복수의 터빈,
    상기 터빈들을 상호 연결하여 어느 한 터빈의 회전 에너지를 다른 터빈에 전달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터빈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 에너지를 인가받아 발전하도록 된 발전수단을 포함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은 원통 형상의 터빈몸체와 상기 터빈몸체에 형성 또는 결합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은 양 단부에 결합된 제1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터빈 결합용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양 단부에 결합된 회전축 중 어느 한 회전축에는 연결수단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기어방식, 벨트기어방식 또는 기어 및 벨트기어의 혼합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발전수단과 기어방식, 벨트기어방식 또는 기어 및 벨트기어의 혼합방식을 이용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제1 베벨기어이고, 상기 제1 베벨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제1 베벨기어의 회전력을 수직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2 베벨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벨기어가 결합된 제2 회전축의 타 단부에 스퍼기어 또는 벨트기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어느 한 상기 스퍼기어 또는 벨트기어는 다른 스퍼기어 또는 벨트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터빈들의 회전력을 상기 발전수단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호간 연결된 상기 스퍼기어 또는 벨트기어들은 기어 결합용 본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는 계단식 수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
KR1020190143786A 2019-11-11 2019-11-11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 KR202100568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786A KR20210056840A (ko) 2019-11-11 2019-11-11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786A KR20210056840A (ko) 2019-11-11 2019-11-11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840A true KR20210056840A (ko) 2021-05-20

Family

ID=76143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786A KR20210056840A (ko) 2019-11-11 2019-11-11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68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547A1 (ko) 2020-05-14 2021-11-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강화된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547A1 (ko) 2020-05-14 2021-11-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강화된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ri et al. Recent innovations and trends in in-conduit hydropower technologies and their application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US20100301609A1 (en) River-Flow Electricity Generation
KR100867547B1 (ko) 조력발전과 해류발전을 겸하는 통합발전시스템
KR101202678B1 (ko) 하수방류관용 수력발전장치
CN107435612A (zh) 水力发电设备
KR101189764B1 (ko) 배관용 수력발전장치
WO2010104475A1 (en) Device and system for extracting tidal energy
WO2009119934A1 (en) Complex ocean power system combining sluice power and ocean current power
GB2436857A (en) two-way tidal barrage with one-way turbines
CN102261302A (zh) 一种基于海面波浪层和深海稳定区海洋波浪能差动能量提取的波浪能发电系统
KR101503727B1 (ko) 소수력발전장치
KR101567263B1 (ko) 소수력 발전장치
CN102628419B (zh) 随潮位自动升降的跃浪叶轮式波能发电装置
KR20210056840A (ko)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장치
KR20110026069A (ko) 풍과 수력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
CN202579023U (zh) 随潮位自动升降的跃浪叶轮式波能发电装置
KR20040033160A (ko) 임펠러식 수차를 이용한 조류력 발전장치
US201900326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ydroelectric systems incorporating artificial barriers with cross-flow turbines
KR20150140057A (ko) 수차를 이용한 수력발전기
CN105332358B (zh) 双收缩波道发电防波堤
KR20130114557A (ko) 수로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장치
KR101642444B1 (ko) 소수력 발전장치
MX2013006448A (es) Generador hidroelectrico instalado en agua que fluye.
KR20100112450A (ko) 수력발전장치
KR20140061204A (ko) 수로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