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705A -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 - Google Patents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705A
KR20190121705A KR1020190045026A KR20190045026A KR20190121705A KR 20190121705 A KR20190121705 A KR 20190121705A KR 1020190045026 A KR1020190045026 A KR 1020190045026A KR 20190045026 A KR20190045026 A KR 20190045026A KR 20190121705 A KR20190121705 A KR 20190121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m ring
ring member
mounting module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훈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21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6Templates for marking the position of apertures in fittings of wings or frames;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a locks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4Ca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6Clutches, couplings or bra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공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간소화된 구성으로 간편하게 손잡이 축의 클러치를 연결하거나 단락할 수 있는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설치공에 장착되는 장착 모듈; 상기 장착 모듈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장착 모듈 내에서 회전하는 캠링 부재; 상기 장착 모듈의 중심을 관통하며 동일 축선상에 서로 연결되고 손잡이 축과 연동되는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탄성지지되고 상기 캠링 부재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연결시키는 클러치 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Driving assembly for connecting clutch of lever type door lock}
본 발명은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형 도어락에 설치되는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 마련된 공간(예를 들어 방이나 욕실 등)에는 출입구를 임의로 통제하고자 하는 경우에 레버형 도어락이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락은 실내측 레버(in lever) 또는 실외측 레버(out lever) 중 어느 하나를 회동시켜 도어락의 래치 작동체에 구비된 래치볼트를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스트라이크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시켜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함으로써 잠금장치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레버형 도어락은 크게 나누어 내측에서만 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킬수 있는 도어락과, 내측에서 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키며 외측에서도 열쇠에 의해 잠금 및 해제시키는 도어락으로 나눌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도어를 개폐시키는 래치 및 레버와는 다른 잠금장치를 별도로 구성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며, 내측에서만 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전자의 경우는 도어를 개폐시키는 래치볼트 및 레버의 부품들과 서로 맞물려 작동된다.
도 1은 종래의 레버형 도어락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레버형 도어락은 문(D)에 대략 직경 54mm 정도의 설치공(H)을 타공하고, 그 타공된 설치공(H)에 래치 작동체(1)가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래치 작동체(1)의 선단측으로는 래치 볼트(1a)가 문(D)에서 인출됨으로써 문(D)의 잠금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래치 작동체(1)의 말단측에는 래치 볼트(1a)를 구동하기 위한 핸들축 샤프트(미도시)가 삽입되는 장착공(1b)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레버형 도어락은 문(D)에 54mm정도의 타공을 해야만 하고, 그 설치공(H) 내부에는 래치 작동체(1)가 설치되는데, 이때 형성된 설치공(H)은 내부에 설치된 래치 작동체(1)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이 불필요한 공간(빈공간)이 되고, 이는 문(D)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취약 영역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레버형 도어락은 래치 작동체(1)와 외부의 구동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체가 문(D)의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를 저해하며, 일반적으로 구동부는 도어락에 일부에 전용(제품 모델에 따라 전용으로 구성)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도어락 모델에 따라 구동부를 달리하고, 또한 이는 서로 호환될 수 없어 범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16983호(공개일: 2016년 02월 15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설치공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간소화된 구성으로 간편하게 손잡이 축의 클러치를 연결하거나 단락할 수 있는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설치공에 장착되는 장착 모듈; 상기 장착 모듈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장착 모듈 내에서 회전하는 캠링 부재; 상기 장착 모듈의 중심을 관통하며 동일 축선상에 서로 연결되고 손잡이 축과 연동되는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탄성지지되고 상기 캠링 부재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연결시키는 클러치 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캠링 부재의 외측면의 일부에는, 상기 모터부와 기어 연결된 외치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캠링 부재의 내측면의 일부에는, 상기 클러치 핀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면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의 단부끼리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샤프트의 단부에는 상기 클러치 핀부재가 상하로 삽입되며, 상기 클러치 핀 부재는 상기 제2 샤프트의 단부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상기 클러치 핀부재는 원래의 위치에서 하강하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의 단부 모두를 관통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모터부는, 케이스의 내부에 모터와 모터에 연결된 다수의 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장착 모듈에 모듈로서 장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모터부에는 작동 중에 상기 캠링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반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 해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해제 부재는, 모터와 기어로 연결되고 일측방향으로 회전축이 연장형성된 제1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의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기어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상기 회전축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웜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캠링 부재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상기 웜기어와 맞물리는 외치 기어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장착 모듈의 외주면은 상기 모터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설치공을 메우기 충분한 면적과 형상을 갖는 장착 모듈;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장착 모듈 내에서 회전하는 캠링 부재; 상기 장착 모듈의 중심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며 동일 축선상에서 서로 연결되고 손잡이 축과 연동되는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연결하거나 단락하는 클러치 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장착모듈의 내부에는 환형의 이동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캠링 부재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이동 채널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캠링 부재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상기 모터부와 기어 연결된 외치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캠링 부재의 내주면의 일부에는 상기 내주면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는 캠면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공된 설치공 내에 컴팩트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간편한 구조 및 소형화된 구조이면서 손잡이 축의 클러치 연결 및 단락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버형 도어락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를 나타내는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가 래치 조립체에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의 연결 해제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의 작동 상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의 작동시 클리치 핀부재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9a 및 도 9b는 손잡이 축의 좌우수 세팅에 따른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의 작동 상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의 연결 해제 부재의 작동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의 장착모듈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의 캠링 부재를 부여주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100)는 문(D)에 타공된 설치공(H; 도 1 참조)의 내부에 설치된다. 래치 조립체(20)의 선단에 장착 플레이트(30)가 장착되고, 래치 조립체(20)는 문(D)의 일측으로 래치 볼트(21)가 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한편 래치 조립체(20)는 장착 모듈(50)에 결합되고, 이 장착 모듈(50)은 문(D)에 타공된 설치공(H)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예를 들어 원형판의 형상을 갖는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장착 모듈(50)에는, 모터부(10), 캠링 부재(60), 제1 샤프트(41), 제2 샤프트(42), 및 핀 클러치 부재(도면번호 미부여)를 포함한다.
여기서 장착 모듈(50)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제1 샤프트(41)와 제2 샤프트(42)가 설치된다. 또한 장착 모듈(50)의 상부에는 모터부(10)가 장착되고, 모터부(10)는 장착 모듈(50) 내에 설치된 캠링 부재(60)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캠링 부재(60)는 내부에 원형의 내주면(64)이 형성되고, 내주면(64)의 일부에는 내주면(64)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는 캠면(63)이 형성되며, 캠링 부재(60)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외치기어(61)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캠링 부재(60)의 외치 기어(61)는 모터부(10)와 기어 연결되어 모터부(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이때 캠링 부재(60)는 제2 샤프트(42)의 선단부(42a)의 외측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제2 샤프트(42)의 선단부(42a) 내에는 제1 샤프트(41)의 단부의 일부가 삽입되고, 이때 제1 샤프트(41)와 제2 샤프트(42)는 클러치 핀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핀부재는 캠링 부재(60)의 회전에 의해 눌러져 제1 및 제2 샤프트(41,42) 모두를 관통하도록, 이들 샤프트(41,42)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장착 모듈(50)의 내부에는 PCB(P)가 장착되고, 상기한 내부 구성들이 내장 설치된 상태에서 장착 모듈(50)의 개방된 외부를 덮도록 커버판(51)이 장착된다. 이때 커버판(51)의 관통공(51h)으로 제1 샤프트(41)가 돌출된 상태를 이룬다.
한편 예를 들어 제1 샤프트(41)가 손잡이 축과 연결되면, 제2 샤프트(42)는 래치 조립체(20)의 작동 회전체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캠링 부재(60)가 작동되어 제1 샤프트(41)와 제2 샤프트(42)가 서로 연결된 상태(클러치 온(0n)상태)에서 손잡이 축이 회동되면 이들 샤프트(41,42)가 연결되어 그 구동력이 래치 조립체(20)의 작동 회전체에 전달되고, 이를 통해 래치의 해정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모터부(10)는, 제1 케이스(10a)과 제2 케이스(10b)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그의 내부에 모터(M)가 수용되고, 이 모터(M)의 구동기어(M1)에는 제2 기어(13)가 기어 연결되고, 제2 기어(13)에 제1 기어(11)가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이들 기어들(13 및 11)은 감속비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11)에는 일측으로 연장된 회전축(11a)이 형성되고, 이 회전축(11a)에는 스프링(11s)이 삽입된 상태로 웜기어(12)가 장착된다. 이때 회전축(11a)에는 스플라인이 형성되고, 웜기어(12)는 이 스플라인에 맞춰 장착되어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모터(M)의 구동에 따라 제1 기어(11)가 회전하고 웜기어(12)를 통해 캠링 부재(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클러치 핀부재는 제2 샤프트(42)의 선단부(42a)의 상부측에 인출공(42h)이 형성되고, 선단부(42a)의 내측 바닥면에는 걸림홈(h)이 형성된다. 또한 인출공(42h)에는 제1 핀(71)이 삽입되고, 제1 핀(71)의 하부에는 제2 핀(72)이 위치된다.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경우에 따라 복수의 핀이 아닌 이 핀(71,72)들은 일체로 형성된 단일의 클러치 핀부재의 형태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샤프트(41)에는 스프링(S)의 장착홈(41s)이 형성되고, 핀 부재(72)는 스프링(S)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제1 샤프트(41)가 제2 샤프트(42)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 샤프트(42)의 선단부(42a) 내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제2 샤프트(42)의 인출공(42h)을 통해 제1 핀(71)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제1 핀(71)의 하부에는 제2 핀(72)이 스프링(S)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 핀(71)은 제2 핀(72)에 의해 받쳐진 상태로 위치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장착 모듈(50)의 내부에는 캠링 부재(60)가 제2 샤프트(42)의 선단부(42a)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한다. 이 캠링 부재(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치 기어(61)에는 모터부(10)의 제1 기어(11)에 연결된 웜기어(12)에 기어 연결됨으로써 모터(M)의 회전력에 의해 캠링 부재(60)는 제2 샤프트(42)의 선단부(42a)의 외측에서 일정반경 회전된다. 이때 캠링 부재(60)의 외주면에는 인식편(62)이 돌출형성되는데, 이 인식편(62)은 PCB(P)에 형성된 제1 센서(P1)와 제2 센서(P2)에 의해 그 위치가 감지된다. 예를 들어 캠링 부재(60)가 일정각도로 회전하면 제1 센서(P1)에 위치한 인식편(62)이 제2 센서(P2)로 이동하여 감지됨으로써 제어부가 캠링 부재(60)의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장착 모듈(50)의 내부에 설치된 캠링 부재(60)의 내주면(64)은 제2 샤프트(42)의 선단부(42a)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캠링 부재(60)의 내주면(64)의 상부측에는 선단부(42a)의 외주면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도록 캠면(63)이 형성된다. 즉 캠면(63)은 제2 샤프트(42)의 외주면에서 인출된 제1핀(71)을 누르지 않는 정도의 여유를 갖도록 캠링 부재(60)의 내주면(64)의 일부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모터(M)의 회전에 의해 웜기어(12)가 캠링 부재(60)를 회전시키면 도 7a의 위치에서 도 7b의 위치로 캠링 부재(6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캠링 부재(60)의 캠면(63)이 시계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인출된 상태의 제1 핀(71)은 캠링 부재(60)의 내주면(64)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핀(71)은 제2 핀(72)을 함께 하강시키고, 제1 샤프트(41)와 제2 샤프트(42)에 모두 걸린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클러치 온(on)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도 8a는 도 7a에서 제1 핀(71)과 제2 핀(72)의 위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의 상태에서는 제1 핀(71)이 인출된 상태(원래 위치)에 있어 제2 샤프트(42)의 선단부(42a)에 내에 위치할 뿐 제1 샤프트(41)에는 간섭(삽입)되지 않는다. 또한 제2 핀(72)도 제1 샤프트(41)의 내부에 위치(원래 위치)될 뿐 선단 또는 말단이 제2 샤프트(42)의 선단부(42a)에 간섭되지 않는다. 즉 이 상태에서 손잡이 축을 회전시켜 제1 샤프트(41)를 회전시키더라도 제2 샤프트(42)로 그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클러치 오프 상태).
한편, 도 8b와 같이 캠링 부재(60)가 회전하여 캠링 부재(60)의 내주면(64)이 제1 핀(71)을 누르는 경우 제1 핀(71)은 하강하고, 제1 핀(71)의 하부에 위치한 제2 핀(72)도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1 핀(71)의 선단은 제2 샤프트(42)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1 핀(71)의 말단은 제1 샤프트(4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탄성력에 반하여 하강된 상태의 제2 핀(72)은 말단이 제2 샤프트(42)의 걸림홈(42h)에 위치되고 그 나머지 부분들은 제1 샤프트(41)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1 샤프트(41)와 제2 샤프트(42)는 단부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이룬다. 즉 이 상태에서 손잡이 축을 회전시켜 제1 샤프트(41)를 회전시키면 제2 샤프트(42)도 같이 회전되어, 그 구동력을 통해 래치 조립체(20)를 구동시킬 수 있다(클러치 온 상태).
반대로 캠링 부재(60)가 원상태로 복귀되면 탄성력에 의해 제2 핀(72)이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핀(71)을 밀어 올려서 도 7a 및 도 8a와 같이 클러치 오프 상태를 이루게 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캠링 부재(60)가 좌우측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캠링 부재(60)의 내주면(64)이 제1 핀(71)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별도로 좌우수 변경에 따른 구조적인 변경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손잡이 축이 축의 걸림 현상 등에 의해 작동 중간에 캠링 부재(60)의 구동이 중간에 중단되고, 그로 인해 캠링 부재(60)의 멈춤으로 인해 전달되는 반력이 모터부(10)로 전달됨으로써 모터(M)의 손상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모터부(10)에 연결 해제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제공되는 연결 해제 부재는 제1 기어(11)의 일측으로 일정길이만큼 회전축(11a)이 연장되고, 이 회전축(11a)에는 스프링(11s)이 삽입되고, 회전축(11a)의 말단에는 스프링(11s)에 의해 탄성지지된 웜기어(12)가 장착된다.
이에 다라 모터(M)가 작동되어 제1 기어(11)가 구동되면 웜기어(12)는 제1 기어(11)의 회전축(11a)의 스플라인으로 연결되어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경우에 따라 손잡이 축 등의 걸림형상에 의해 캠링 부재(60)가 회전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웜기어(12)는 모터(M)의 구동력에 의해 계속회전하지만 걸린 상태의 캠링 부재(60)를 회전시키지지 못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웜기어(12)는 캠링 부재(60)의 외치기어(61)를 따라 도 10b와 같이 스프링(11s)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일종의 랙과 피니언 작동으로 이동).
이와 같이 캠링 부재(60)가 정지된 상태에서 웜기어(12)가 회전하면 제1 기어(11)의 회전축(11a)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즉 외치기어의 기어이를 따라 이동)하고, 도 10b와 같이 웜기어(12)가 회전축(11a)의 가장 좌측으로 이동하면 캠링 부재(60)의 외치기어(61)에서 웜기어(12)가 기어연결이 단락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그 반력이 모터부(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를 통해 모터(M)의 구동을 정지하는 기능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작동 중에 걸림 현상 등으로 인해 캠링 부재(60)가 정지된 상태에서 모터(M)가 계속 구동됨으로써 장치 고장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장착모듈(50)은 모듈 본체(52)의 내부에는 핸들축공(Ho)을 주변으로 이동 채널(55)이 형성된다. 또한 모듈 본체(52)의 상부에는 모터부(10)의 장착을 위한 모터 장착 포스트(52a,52b)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모터부(10)가 장착모듈(50)의 모터 장착 포스트(52a,52b)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모듈(50)와 모터부(10)의 조립체는 설치공을 메우기 충분한 크기를 갖도록 원판형상을 이루게 된다.
한편, 캠링 부재(60)는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하나에는 환형의 가이드 단턱(65)이 돌출형성된다. 이에 따라 캠링 부재(60)는 장착모듈(50)의 내부에서 회전되는데, 구체적으로 장착모듈(50)의 이동채널(55)을 따라 캠링 부재(60)의 가이드 단턱(65)이 안내됨으로써, 캠링 부재(60)가 장착모듈(50) 내에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모터부
10a: 제1 케이스
10b: 제2 케이스
11: 제1 기어
12: 웜기어
13: 제2 기어
20: 래치 조립체
21: 래치 볼트
30: 장착 플레이트
41: 제1 샤프트
42: 제2 샤프트
50: 장착 모듈
51: 커버판
52: 모듈 본체
55: 이동 채널
60: 캠링 부재
61: 외치 기어
62: 인식편
63: 캠면
64: 내주면
65: 가이드 단턱
71: 제1 핀
72: 제2 핀

Claims (8)

  1. 설치공에 장착되는 장착 모듈;
    상기 장착 모듈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장착 모듈 내에서 회전하는 캠링 부재;
    상기 장착 모듈의 중심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며 동일 축선상에서 서로 연결되고 손잡이 축과 연동되는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상기 캠링 부재의 회전에 의해 하강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연결시키는 클러치 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링 부재는,
    상기 캠링 부재의 외주면의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부와 기어 연결된 외치기어, 및
    상기 캠링 부재의 내주면의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 핀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
  3. 제2항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의 각 단부끼리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샤프트의 단부에는 상기 클러치 핀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클러치 핀부재는 상기 제2 샤프트의 단부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그리고
    상기 캠링 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캠면에 의해 상기 클러치 핀부재가 원래의 위치에서 하강되면, 상기 클러치 핀 부재는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의 단부 모두를 관통하여 간섭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모터, 상기 모터를 보호하는 케이스,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된 다수의 기어들을 포함하는 모듈체로 구성되어 상기 장착 모듈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에는 작동 중에 상기 캠링 부재를 통해 반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 해제 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해제 부재는,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고 일측방향으로 회전축이 연장형성된 제1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의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기어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상기 회전축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웜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캠링 부재는, 상기 캠링 부재의 외주면의 일부에 상기 웜기어와 맞물리는 외치 기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
  7. 모터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설치공을 메우기 충분한 면적과 형상을 갖는 장착 모듈;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장착 모듈 내에서 회전하는 캠링 부재;
    상기 장착 모듈의 중심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며 동일 축선상에서 서로 연결되고 손잡이 축과 연동되는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를 연결하거나 단락하는 클러치 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모듈의 내부에는 환형의 이동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캠링 부재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이동 채널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캠링 부재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상기 모터부와 기어 연결된 외치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캠링 부재의 내주면의 일부에는 상기 내주면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는 캠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
KR1020190045026A 2018-04-18 2019-04-17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 KR201901217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801 2018-04-18
KR1020180044801A KR20180114861A (ko) 2018-04-18 2018-04-18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705A true KR20190121705A (ko) 2019-10-28

Family

ID=641022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801A KR20180114861A (ko) 2018-04-18 2018-04-18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
KR1020190045026A KR20190121705A (ko) 2018-04-18 2019-04-17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801A KR20180114861A (ko) 2018-04-18 2018-04-18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801148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650A (ko) * 2020-01-20 2021-07-28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박형 도어락의 구동모듈조립체
WO2021189737A1 (zh) * 2020-03-26 2021-09-30 肇庆市志盛门控五金有限公司 门锁及门系统
KR20220031267A (ko) * 2020-09-04 2022-03-11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오프 감지기능을 갖는 도어락용 구동모듈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650A (ko) * 2020-01-20 2021-07-28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박형 도어락의 구동모듈조립체
WO2021189737A1 (zh) * 2020-03-26 2021-09-30 肇庆市志盛门控五金有限公司 门锁及门系统
KR20220031267A (ko) * 2020-09-04 2022-03-11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오프 감지기능을 갖는 도어락용 구동모듈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861A (ko) 2018-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1705A (ko)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
AU2019202691B2 (en) Clutch engagement assembly of door lock and driving device thereof
EP2994586B1 (en) Electromechanical cylinder lock with key override
US10246906B2 (en) Method for correctly mounting an electronic door lock on a left-handed or right-handed door
EP1746225A2 (en) Lock device
US801193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inear actuator
US10890019B2 (en) Reversible electric door lock
JP2019090255A (ja) ドアラッチ装置
KR200476224Y1 (ko) 도어락의 기어 클러치 구조체
KR20190115395A (ko)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2318848B1 (ko) 도어락의 클러치 모듈조립체
EP3550099B1 (en) A driving assembly for a lever-type door lock
KR200490256Y1 (ko) 도어락의 구동 모듈 조립체
KR102088947B1 (ko) 레버형 도어락의 구동 조립체
KR102558852B1 (ko) 도어락의 클러치 구동 조립체
NZ752711B (en) Clutch engagement assembly of door lock and driving device thereof
JP2013108308A (ja) ドアラッチ装置
KR102060741B1 (ko) 구동 모듈에 의해 자동으로 해정되는 도어락의 자동 해정 조립체
US20050235565A1 (en) Device for actuating the doors of vehicles
KR101497680B1 (ko) 강화 유리도어의 기계식 겸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20180114862A (ko) 도어락의 핀 클러치 조립체
KR102374681B1 (ko) 박형 도어락의 구동모듈조립체
NZ752008B (en) A driving assembly for a lever-type door lock
JP2019023401A (ja) ロック装置
KR200468707Y1 (ko) 안티패닉구조의 기어박스의 클러치 연결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