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085A - Finger anti-pinching type swing door - Google Patents

Finger anti-pinching type swing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085A
KR20190121085A KR1020180044594A KR20180044594A KR20190121085A KR 20190121085 A KR20190121085 A KR 20190121085A KR 1020180044594 A KR1020180044594 A KR 1020180044594A KR 20180044594 A KR20180044594 A KR 20180044594A KR 20190121085 A KR20190121085 A KR 20190121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rc surface
door frame
door body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5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4708B1 (en
Inventor
강윤구
Original Assignee
강윤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윤구 filed Critical 강윤구
Priority to KR1020180044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708B1/en
Publication of KR20190121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0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7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2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being constructed in a way to remain too small or too wide to cause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2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being constructed in a way to remain too small or too wide to cause injury
    • E06B2007/365Rounded shape at gap, e.g. cylindrical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ger anti-pinching type swing door, which can prevent a finger from pinching as a clearance space in which a finger may be pinched is not generated between a door frame and a door body when a door body rotates to be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ger anti-pinching type swing door comprises: a door frame formed in a wall to form a door space, and enabling a first arc surface to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at one side; and a door bod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space of the door frame while rotating about a rotating shaft at one side in the door frame, and forming a second arc surface configured to form a concentric arc surface with the firrst arc surface of the door frame about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in one side surface adjacent to the rotationg shaft.

Description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FINGER ANTI-PINCHING TYPE SWING DOOR}Fingertip prevention swing door {FINGER ANTI-PINCHING TYPE SWING DOOR}

개시된 내용은 벽체에 형성되어 출입공간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에 대해 도어본체가 일단부 측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출입공간을 개폐하는 스윙도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swing door that opens and closes an access space while the door body is rotated about a rotation shaft of one end side with respect to a door frame formed on a wall to form an access space.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identification are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the description in this identification is not admitted to be prior art.

일반적으로 다수의 구획공간이 분리형성되는 주택이나 건물 내에는 사람들이 각각의 구획공간 내외로 출입 가능하도록 도어가 설치된다.Generally, a door is installed in a house or a building in whic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re separated so that people can enter and exit each compartment.

이러한 도어는 개폐방식에 따라 미닫이문으로 통칭되는 슬라이딩도어와, 여닫이문으로 통칭되는 힌지도어 또는 스윙도어와, 일명 접이문으로 통칭되는 폴딩되어 등으로 분류된다.These doors are classified into sliding doors, commonly referred to as sliding doors, hinge doors or swing doors, commonly referred to as sliding doors, and folding and so-called folding doors.

이중에서 힌지도어는 도어프레임과 도어본체의 일측면 사이에 경첩이 개재되어 도어본체가 경첩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개폐되는 구조를 가지는 반면에, 스윙도어는 도어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된 회동축에 도어본체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개폐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hinge doo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inge is interposed between the door frame and one side of the door body so that the door body is opened and closed while being rotated around the hinge axis of the hinge, whereas the swing door is a pivot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frame. The door body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around the pivot axis.

힌지도어의 경우에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경첩이 부착되는 도어프레임의 내측면과 도어본체의 일측면 사이 공간이 개방되므로, 이 사이 공간에 손가락이 위치된 상태에서 도어가 폐쇄되면 손가락이 경첩 사이 또는 도어프레임의 내측면과 도어본체의 일측면 사이에서 짓눌려지면서 손가락 끼임 사고가 발생된다.In the case of the hinge door,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frame to which the hinge is attached and one side of the door body is opened while the door is open. Alternatively, the finger pinching accident occurs while being crush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frame and one side of the door body.

이러한 손가락 끼임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손가락 끼임방지형 힌지도어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06946호(2014.08.18. 공개)에는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여닫히는 도어의 일측 선단에 배치되고, 경첩이 결합되는 모서리부와,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상기 모서리부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모서리부가 일부 또는 전부 삽입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안전홈이 형성된 문설주와, 상기 모서리부와 탄력적으로 간섭되도록 상기 안전홈 내부에 마련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도어가 개시된다.As an example of the finger pinching-type hinged door for preventing the finger pinching phenomen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06946 (2014.08.18. Disclosure)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door to rot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hinge portion coupled to the hinge, a door post having a safety groov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edge portion is partially or completely inserted to prevent the user's body part from being pressed by the edge portion, and elastic interference with the edge portion Safety do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portion provided in the safety groove so as to.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76156호(2017.09.08. 공고)에는 벽체에 마련된 문설주 상에서 도어가 회전하여 여닫히도록 연결하는 여닫이문용 끼임방지 안전경첩에 있어서, 상기 문설주 상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도어의 일 측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재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회동부재를 구비하는 경첩부와, 상기 고정부재 또는 회동부재의 회동축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경첩부가 접철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여닫이문용 끼임방지 안전경첩이 개시된다.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76156 (2017.09.08. Notification) in the anti-jamming safety hinge for the door to connect so that the door is rotated to open and close on the door post provided on the wall, the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door post, In the process of the hinge portion is fixed to one end of the door having a rotating member hinged to be rotatable on the fixing member, the hinge memb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of the fixing member or the rotating member in the process of folding the hinge portion Disclosed is a jam-proof safety hinge for a swinging door including a shield fixed to the fixing member.

한편 스윙도어의 경우에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137956호 (2015.12.09. 공개)에 내측과 외측 양방향으로 모두 개폐가 가능한 스윙도어와, 상기 스윙도어를 장착하기 위해 고정 설치된 문틀에 적용되는 스윙도어 및 스윙도어 측면 문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윙도어 및 스윙도어 측면 문틀의 구조는, 좌측문틀과 우측문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중심부분에 각각 음각 형상으로 형성된 요홈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윙도어의 좌측프레임과 우측프레임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모헤야가 각각 장착되어, 스윙도어가 닫혔을 때 스윙도어의 측면과 측면 문틀 사이를 밀폐해 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도어 및 스윙도어 측면 문틀의 구조가 개시된다.Meanwhile, in the case of a swing door, a swing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n both inner and outer direction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37956 (published on December 9, 2015) and a door frame fixed to install the swing door is applied. In the structure of the swing door and the swing door side door frame, the structure of the swing door and the swing door side door frame is provided with grooves formed in an intaglio shape in the center portion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left door frame and the right door frame, The left and right frames of the swing door are equipped with mohairs along the height direction, so that the swing door and the swing door side door frame are configured to seal between the side and side door frames of the swing door when the swing door is closed. The structure of is disclosed.

스윙도어의 경우에는 도어본체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틈새가 없어 손끼임이 미연에 방지되지만 도어본체가 회동되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과정에서 도어프레임과 도어본체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swing door, there is no gap in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body, so pinching is prevented. However, a finger may be caught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door body in the process of opening or closing the door body.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윙도어의 경우에는 도어본체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모헤야(또는 가스켓)가 측면 문틀과 스윙도어 사이에 생긴 틈새의 기밀을 유지시킴에 따라 틈새를 통한 열손실이 차단됨과 동시에 틈새를 통해 외부의 소음과 미세먼지 등의 유입이 차단될 뿐, 도어본체의 개방시에 발생가능한 손가락 끼임사고와 관련하여 그 어떠한 안전조치도 강구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wing door as described above, the heat loss through the gap is blocked as the mohair (or gasket) mounted on the frame of the door body maintains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side door frame and the swing door. At the same time, the inflow of external noise and fine dust is blocked through the gap,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no safety measures are taken in relation to the finger pinching accident that may occur when the door body is opened.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06946호(2014.08.18. 공개)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06946 (released August 18, 2014)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76156호(2017.09.08. 공고)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76156 (August 08, 2017)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137956호 (2015.12.09. 공개)Patent Document 3: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37956 (December 9, 2015 published)

도어본체의 회동에 따른 개방 또는 폐쇄시에 도어프레임과 도어본체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수 있는 여유공간이 발생되지 않아 손가락 끼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When the door body is opened or closed due to the rotation of the door body, there is no free space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door body to provide a one-finger pinch-type swing door to prevent finger pinching. .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t is obvious that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개시된 내용은, 벽체에 형성되어 출입공간을 형성하고 일측 내면에는 제 1 원호면이 형성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 내에서 일측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도어프레임의 출입공간을 개폐하되, 상기 회동축에 인접되는 일측면에는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프레임의 제 1 원호면과 동심의 원호면을 형성하는 제 2 원호면이 형성되는 도어본체를 포함하는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Disclosed is a door frame formed on a wall to form an access space and a first circular arc surface is formed on one inner surface thereof, and the door frame is opened and closed while being rotated around the pivot shaft of one side within the door frame. And a door body having a door body having a second arc surface forming a concentric arc surface with a first arc surface of the door frame around the pivot shaft on one side thereof adjacent to the pivot shaft. Is presented as an example.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어본체의 회동 개폐시에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본체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수 없도록,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본체는 서로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제 1 원호면과 상기 도어본체의 제 2 원호면은 상기 도어본체의 폐쇄 시에 0.1 내지 5.0 mm의 간격으로 이격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door frame and the door body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fingers are not caught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door body when the door body is rotated open and close,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and the second circular arc surface of the door body are spaced apart at an interval of 0.1 to 5.0 mm when the door body is closed.

또한 개시된 내용은, 벽체에 형성되어 출입공간을 형성하고 일측 내면에는 제 1 원호면이 형성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스윙힌지브래킷과, 상기 스윙힌지브래킷에 일측 상,하단이 각각 결합되어 회동되면서 도어프레임의 출입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본체와, 상기 도어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제 1 원호면과 동심의 원호면을 형성하는 제 2 원호면이 형성되는 손가락끼임방지대를 포함하는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를 포함하는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를 다른 실시예로 제시한다.In addition, the disclosed content is formed on the wall to form an access space,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is formed with a first arc surface, a swing hinge bracket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oor frame, and the upper side of the swing hinge bracket The lower end is coupled to each other, the door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space opening and closing, and the second arc surfac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oor body to form an arc surface concentric with the first arc surface of the door frame is formed. An anti-fingerprint swing door including an anti-finger swing door including an anti-finger pin is provided in another embodiment.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어본체의 회동 개폐시에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본체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수 없도록, 상기 도어프레임의 제 1 원호면과 상기 손가락끼임방지대의 제 2 원호면은 상기 도어본체의 폐쇄 시에 0.1 내지 5.0 mm의 간격으로 이격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s,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of the door frame and the second circular arc surface of the finger pinching prevention member so that a finger is not pinched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door body during the rotation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body. Is spaced at intervals of 0.1 to 5.0 mm at the time of closing the door body.

개시된 내용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는, 도어본체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도어프레임의 제 1 원호면과 도어본체의 제 2 원호면 또는 손가락끼임방지대의 제 2 원호면이 손가락의 삽입이 불가능한 정도로 이격된 동심의 원호면을 형성함에 따라, 도어본체의 회동에 따른 개방 또는 폐쇄시에 도어프레임과 도어본체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수 있는 여유공간이 발생되지 않아 손가락 끼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nger pinch type sw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of the door frame and the second circular arc surface of the door body or the second circular arc surface of the finger pinch bar is to insert the finger around the pivot axis of the door body By forming the concentric arcs spaced to an impossible degree, free space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door body can be prevented when the door body is opened or closed due to the rotation of the door body. There are advantages to it.

또한 도어프레임의 제 1 원호면 상에는 단턱부가 함입 형성되고 단턱부에는 도어본체의 회동 개방시에 도어본체에 접하는 완충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도어본체가 90도 이상의 각도로 회동되어 개방 가능하면서 충격이 완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 stepped portion is formed on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of the door frame, and the stepped portion is provided with a buffer member contacting the door body when the door body is rotated to open, so that the door body is rotated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and the shock is allevi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의 단면구조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의 작동단면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의 사시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의 단면구조도.
도 6은 도 5의 스윙힌지브래킷의 사시도.
도 7은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의 작동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nch type swing door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the pinch type sw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pinch type swing doo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nch type swing door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nch type swing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wing hinge bracket of FIG.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anti-finger swing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ooks at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inch-type swing do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reference, in the drawings, each component is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reflect the actual size.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and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individual drawings will be omitted.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nch-type sw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는, 다수의 구획공간이 분리형성되는 주택이나 건물 내에서 각각의 구획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사람들이 각각의 구획공간 내외로 출입 가능하도록 한다.An anti-finger sw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installed between each compartment in a house or building in whic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re separated to allow people to enter and exit each compartment.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벽체(3)에 형성되어 출입공간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110)의 내측면에 도어본체(12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프레임(110)의 내측면 내에 위치된 회동축(7)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출입공간을 개폐하는 구조로 형성된다.Finger pinch type sw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shown in Figure 1, the door body 12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frame 110 is formed on the wall (3) as a whole to form an access space ) Is rotatably coupled to form a structure that opens and closes the access space while being rotated about the pivot 7 locat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frame 110.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의 단면구조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a pinch type swing do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s.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체(3)에 형성되어 출입공간을 형성하고 일측 내면에는 제 1 원호면(110a)이 형성되는 도어프레임(110)과, 도어프레임(110) 내에서 일측의 회동축(7)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도어프레임(110)의 출입공간을 개폐하되, 회동축(7)에 인접되는 일측면에는 회동축(7)을 중심으로 도어프레임(110)의 제 1 원호면(110a)과 동심의 원호면을 형성하는 제 2 원호면(120a)이 형성되는 도어본체(1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finger pinch type swing do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formed in the wall 3 to form an access space, and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110a may be formed at one inner surface thereof. The door frame 110 and the door frame 110 are rotated about the pivot shaft 7 on one side in the door frame 110 to open and close the access space of the door frame 110, and one side surface adjacent to the pivot shaft 7. The door body 120 includes a second circular arc surface 120a forming a concentric circular arc surface with a first circular arc surface 110a of the door frame 110 around the pivot shaft 7.

여기서, 도어프레임(110)은 벽체(3)에 형성되어 출입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직사각형 또는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채널 형상의 틀로 형성된다. 도어프레임(110)은 벽체(3)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체(3)의 출입공간 둘레에 결합되는 내부틀(5) 내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oor frame 110 is formed in the wall (3) to form an access space, is formed in a frame of a channel shape opened in a rectangular or downward direction. The door frame 11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wall 3, but is coupled by a fastening member in the inner frame 5 coupled to the entrance space of the wall 3, as shown in FIGS. 2 and 3. It is preferable.

도어본체(120)에 대향되는 도어프레임(110)의 일측에는 도어본체(120)의 제 2 원호면(120a)에 이격되게 형성되어 도어본체(120)의 제 2 원호면(120a)과 동심의 원호면을 형성하는 제 1 원호면(110a)이 형성된다.One side of the door frame 110 facing the door body 12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arc surface (120a) of the door body 120 concentric with the second arc surface (120a) of the door body 120 A first arc surface 110a forming an arc surface is formed.

또한 도어프레임(110)은 벽체(3)의 출입공간 둘레에 결합되는 내부틀(5)에 체결부재의 체결을 위한 체결홈(111a)이 내부틀(5)에 면접되도록 함입형성되는 프레임본체(111)와, 프레임본체(111) 상에 결합되어 체결홈(111a)을 커버하되 외측면이 제 1 원호면(110a)의 일부를 형성하는 커버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frame 110 is a frame body which is formed to be recessed so that the fastening groove 111a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to the inner frame 5 coupled to the inner frame 5 coupled to the entrance space of the wall 3 to be interviewed with the inner frame 5 ( 111 and a cover member 113 coupled to the frame main body 111 to cover the fastening groove 111a but having an outer surface forming a part of the first arc surface 110a.

이 경우에 벽체(3)의 출입공간 둘레에 결합되는 내부틀(5)의 내측면에 프레임본체(111)를 위치시킨 후, 개방된 체결홈(111a)을 통해 채결부재를 내부틀(5) 내로 체결시킨 다음, 프레임본체(111)의 체결홈(111a)에 커버부재(113)를 결합시키기만 하면, 체결부재가 커버부재(113)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도어프레임(110)이 내부틀(5)의 내측면에 미려하게 체결고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after placing the frame body 111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5 coupled around the access space of the wall 3, the locking member through the open fastening groove 111a to the inner frame 5 After fastening to the inside, simply coupling the cover member 113 to the fastening groove 111a of the frame body 111, the fastening member is covered by the cover member 113, the door frame 110 is the inner frame ( 5) can be fastened and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eautiful.

전술한 도어프레임(110) 내에는 도어본체(120)가 일측의 회동축(7)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도어본체(120)는 회동축(7)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범위로 회동되면서 도어프레임(110)의 출입공간을 개폐하는 것으로, 도어프레임(110)의 출입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In the door frame 110 described above, the door body 120 is rotated around the pivot shaft 7 on one side. The door body 120 opens and closes the access space of the door frame 110 while being rotated 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around the pivot shaft 7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ccess space of the door frame 110.

도어본체(120)의 회동축(7)은 도어본체(120)의 일측 상부과 하부에 각각 1개씩 결합된다. 도어프레임(110)이 직사각형의 틀로 형성될 경우에 회동축(7)은 도어프레임(110)의 내측면의 상부 일측과 하부 일측으로부터 각각 1개씩 상하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프레임(110)이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채널 형상의 틀로 형성될 경우에 회동축(7)은 도어프레임(110)의 내측면의 상부 일측으로 1개가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고 나머지 1개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방형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도어본체(120)의 설치를 위해 회동축(7) 중 적어도 1개는 홈 내부로 삽입가능하되 스프링에 의해 탄성편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otating shaft 7 of the door body 120 is coupled to on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oor body 120, respectively. When the door frame 1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the pivot shaft 7 may be formed to protrude one by one from the upper one side and the lower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frame 110, respectively. In addition, when the door frame 110 is formed in a channel-shaped frame open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ne pivot shaft 7 protrudes downward toward the upper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frame 110 and the other one is bottomed. It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face.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rotating shafts 7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door body 120, but is formed to be elastically deflected by the spring.

이러한 도어본체(120)의 회동축(7)의 구성은 스윙도어 분야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ng shaft 7 of the door body 120 is already known in the swing door art, and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simplicity of the specification.

도어본체(120)는 회동축(7)에 인접되는 일측면에 회동축(7)을 중심으로 도어프레임(110)의 제 1 원호면(110a)과 동심의 원호면을 형성하는 제 2 원호면(120a)이 형성된다.The door body 120 has a second circular arc surface forming a concentric circular arc surface with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110a of the door frame 110 around the rotary shaft 7 on one side adjacent to the rotating shaft 7. 120a is formed.

도어본체(120)는 전체적으로 목재로 형성되고 도어본체(120)의 일측에 제 2 원호면(120a)이 형성된 측면마감재(121)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마감재(121)는 도어본체(120)의 일측에 도어본체(120)와 동일한 두께로 결합되어 제 2 원호면(120a)을 형성하되 제 2 원호면(120a) 상에는 체결부재의 체결을 위한 체결홈(123a)이 도어본체(120)의 일측면에 면접되도록 함입형성되는 마감재본체(123)와, 마감체본체(123)의 체결홈(123a) 내로 결합되어 체결홈(123a)을 커버하되 외측면이 제 2 원호면(120a)의 일부를 형성하는 커버부재(12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oor body 120 is preferably formed of a wood as a whole and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side finish material 121 having the second circular arc surface 120a formed on one side of the door body 120 is coupled. Side finisher 121 is coupled to the same thickness as the door body 120 on one side of the door body 120 to form a second arc surface (120a) on the second arc surface (120a) fastening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The finishing material main body 123 formed to be recessed to be interviewed on one side of the door body 120 and the groove 123a are coupl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23a of the closing body 123 to cover the fastening groove 123a. The side surface preferably includes a cover member 125 that forms part of the second circular arc surface 120a.

이 경우에 도어본체(120)의 일측에 마감재본체(123)를 위치시킨 후, 개방된 체결홈(123a)을 통해 채결부재를 도어본체(120) 내로 체결시킨 다음, 마감재본체(123)의 체결홈(123a)에 커버부재(125)를 결합시키기만 하면, 체결부재가 커버부재(125)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측면마감재(121)가 도어본체(120)의 일측에 미려하게 체결고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after placing the finishing material body 123 on one side of the door body 120,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into the door body 120 through the open fastening groove 123a, and then the closing material body 123 is fastened. Only by coupling the cover member 125 to the groove 123a, the fastening member is covered by the cover member 125 so that the side finish material 121 can be fastened and secured to one side of the door body 120. .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는 도어본체(120)의 회동 개폐시에 도어프레임(110)과 도어본체(120)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수 없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nger pinch type sw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referably formed so as not to pinch the fingers between the door frame 110 and the door body 120 when the door body 120 rotates.

이를 위해 도어프레임(110)과 도어본체(120)는 서로 대응되는 폭을 가지되, 도어프레임(110)의 제 1 원호면(110a)과 도어본체(120)의 제 2 원호면(120a)은 도어본체(120)의 폐쇄 시에 0.1 내지 5.0 mm의 간격, 특히 3.0 mm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the door frame 110 and the door body 120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110a of the door frame 110 and the second circular arc surface 120a of the door body 120 When the door body 120 is closed, it is preferable to be spaced apart at an interval of 0.1 to 5.0 mm, in particular at an interval of 3.0 mm.

도어프레임(110)의 제 1 원호면(110a)과 도어본체(120)의 제 2 원호면(120a)이 0.1 mm 보다 작은 간격으로 이격될 경우에는 도어본체(120)의 회동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도어프레임(110)의 제 1 원호면(110a)과 도어본체(120)의 제 2 원호면(120a)이 5 mm 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될 경우에는 도어프레임(110)과 도어본체(120)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수 있는 공간이 발생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110a of the door frame 110 and the second circular arc surface 120a of the door body 120 are spaced apart by less than 0.1 mm,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door body 120 is made stable. When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110a of the door frame 110 and the second circular arc surface 120a of the door body 120 are spaced apart by more than 5 mm, the door frame 110 and the door body are not supported. A space where a finger may be pinched between the 120 may be generated.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는 도어본체(120)가 90도 이상의 각도로 회동되어 개방 가능하면서 도어본체(120)가 도어프레임(110)에 접할 때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nger pinch type sw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opened by rotating the door body 120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while the door body 120 is in contact with the door frame 110 to reduce the impact It is desirable to be formed to be.

이를 위해 도어프레임(110)의 제 1 원호면(110a) 상에는 단턱부(110b)가 함입 형성되고, 단턱부(110b)에는 변형을 통해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130)가 고정된다.To this end, the stepped portion 110b is recessed and formed on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110a of the door frame 110, and the buffer member 130 that mitigates the impact through deformation is fixed to the stepped portion 110b.

완충부재(130)는 도어본체(120)의 회동 개방시에 도어본체(120)에 접하여 변형되면서 도어본체(120)의 90도 이상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어프레임(110)의 단턱부(110b)에 접합 또는 부착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고정된다.The shock absorbing member 130 is deformed in contact with the door body 120 when the door body 120 is rotated and opened to allow the door body 120 to rotate more than 90 degrees, and serves to mitigate impact. The stepped portion 110b of the 110 is fix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bonding or attachment.

완충부재(130)는 자체 탄성을 통해 변형 및 그에 따른 충격흡수가 가능하도록 고무재, 실리콘재 및 우레탄재 등 다양한 탄성재 또는 발포재로 제조될 수 있다.The shock absorbing member 130 may be made of various elastic materials or foams such as rubber, silicone, and urethane to allow deformation and shock absorption through the elasticity thereof.

또한 도어프레임(110)의 제 1 원호면(110a)에 탄턱부가 형성되더라도 제 1 원호면(110a)이 도어프레임(110)의 일측면에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완충부재(130)의 일면에는 도어프레임(110)의 제 1 원호면(110a)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 3 원호면(13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ven if a stepped portion is formed on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110a of the door frame 110, the doo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uffer member 130 so that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110a is maintained on one side of the door frame 110. It is preferable that a third circular arc surface 130a having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as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110a of the frame 110 is formed.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의 작동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anti-finger sw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어본체(120)의 회동축(7)을 중심으로 도어프레임(110)의 제 1 원호면(110a)과 도어본체(120)의 제 2 원호면(120a)이 손가락의 삽입이 불가능한 정도로 이격된 동심의 원호면을 형성함에 따라, 도어본체(120)의 회동에 따른 개방 또는 폐쇄시에 도어프레임(110)과 도어본체(120)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수 있는 여유공간이 발생되지 않아 손가락 끼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The pinch type swing doo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have a first circular arc surface of the door frame 110 around the pivot shaft 7 of the door body 120 as illustrated in FIGS. 1 to 3. As the 110a and the second circular arc surface 120a of the door body 120 form concentric circular arc surfa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inability to insert a fing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when the door body 120 is rotated. Since a free space for pinching fingers is not generated between the frame 110 and the door body 120, finger pinching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개시된 내용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는, 도어프레임(110)의 제 1 원호면(110a) 상에는 단턱부(110b)가 함입 형성되고 이 단턱부(110b)에 도어본체(120)의 회동 개방시에 도어본체(120)에 접하는 완충부재(130)가 구비됨에 따라, 도어본체(120)가 90도 이상의 각도로 회동되어 개방 가능하면서도 도어본체(20)의 회동 개방으로 인한 충격과 그로 인한 충격소음이 완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nger pinch type sw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epped portion (110b) is formed on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110a) of the door frame 110, the rotation of the door body 120 in the stepped portion (110b) As the shock absorbing member 130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door main body 120 at the time of opening, the door main body 120 is rotated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and can be opened while the shock caused by the rotational opening of the door main body 20 and Shock noise can be alleviated.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nch type swing door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는, 다수의 구획공간이 분리형성되는 주택이나 건물 내에서 각각의 구획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사람들이 각각의 구획공간 내외로 출입 가능하도록 한다.An anti-finger sw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installed between each compartment in a house or building in whic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re separated to allow people to enter and exit each compartment.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벽체(3)에 형성되어 출입공간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210)의 내측면에 도어본체(230)가 스윙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프레임(210)의 내측면 내에 위치된 회동축(7)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출입공간을 개폐하는 구조로 형성된다.Finger pinch type sw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shown in Figure 4, the door body 23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frame 210 is formed on the wall 3 as a whole to form an access space ) Is swingably coupled so as to rotate about the pivot 7 locat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frame 210 to open and close the access space.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의 단면구조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a pinch type swing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체(3)에 형성되어 출입공간을 형성하고 일측 내면에는 제 1 원호면(210a)이 형성되는 도어프레임(210)과, 도어프레임(210)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스윙힌지브래킷(220)과, 스윙힌지브래킷(220)에 일측 상,하단이 각각 결합되어 회동되면서 도어프레임(210)의 출입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본체(230)와, 도어본체(230)의 일측에 결합되고 도어프레임(210)의 제 1 원호면(210a)과 동심의 원호면을 형성하는 제 2 원호면(240a)이 형성되는 손가락끼임방지대(2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and FIG. 5, the finger pinch type swing do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formed in the wall 3 to form an access space, and a first circular arc surface 210a is formed at one inner surface thereof. The door frame 210 is formed, the swing hinge bracket 220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oor frame 210,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wing hinge bracket 220 are coupled to the door frame 210, respectively. Door body 2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ccess space of the), and the second arc surface coupled to one side of the door body 230 and to form a concentric arc surface with the first arc surface (210a) of the door frame 210 ( 240a) includes a finger pinch protector 240 is formed.

여기서, 도어프레임(210)은 벽체(3)에 형성되어 출입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직사각형 또는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채널 형상의 틀로 형성된다. 도어프레임(210)은 벽체(3)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체(3)의 출입공간 둘레에 결합되는 내부틀(5) 내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oor frame 210 is formed in the wall (3) to form an entrance space, and is formed in a frame of a channel shape opened in a rectangular or downward direction. Although the door frame 21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wall 3, it is preferable to be integrally coupled in the inner frame 5 which is coupled around the access space of the wall 3, as shown in FIGS. Do.

손가락끼임방지대(240)에 대향되는 도어프레임(210)의 일측에는 손가락끼임방지대(240)의 제 2 원호면(240a)에 이격되게 형성되어 손가락끼임방지대(240)의 제 2 원호면(240a)과 동심의 원호면을 형성하는 제 1 원호면(210a)이 형성된다.One side of the door frame 210 facing the finger pinch 24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ircular arc surface (240a) of the pinch pin 240, the second arc surface of the pinch pin 240 A first arc surface 210a is formed to form a concentric arc surface with 240a.

또한 도어프레임(210)은 벽체(3)의 출입공간 둘레에 결합되는 내부틀(5)에 면접고정되고 일측에는 체결홈(211a)이 함임형성되며 중앙에는 스윙힌지브래킷(220)이 면접고정되는 직각단턱부(211b)가 형성되는 프레임본체(211)와, 프레임본체(211)의 측면에 결합되어 스윙힌지브래킷(220)을 커버하되 일측에는 체결홈(211a)에 결합되는 체결돌기(213a)가 돌출형성되는 커버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frame 210 is interview fixed to the inner frame (5) coupled around the access space of the wall (3), one side of the fastening groove 211a is formed impregnated in the center and the swing hinge bracket 220 is interview fixed The frame main body 211 and the right angled stepped portion 211b are formed and coupled to the side of the frame main body 211 to cover the swing hinge bracket 220, but one sid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213a coupled to the fastening groove 211a. The cover member 213 may include a protrusion.

이 경우에 벽체(3)의 출입공간 둘레에 결합되는 내부틀(5)의 내측면에 프레임본체(211)를 위치시킨 후, 프레임본체(211)의 상,하단 측에 스윙힌지브래킷(220)이 고정시킨 다음, 측면에서 체결홈(211a)과 체결돌기(213a)의 결합을 통해 커버부재(213)를 결합시키기만 하면, 스윙힌지브래킷(220)이 커버부재(213)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스윙힌지브래킷(220)가 도어프레임(210)에 미려하게 체결고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after placing the frame body 211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5 coupled around the access space of the wall 3, the swing hinge bracket 220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ame body 211 After the fixing, only the cover member 213 is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of the fastening groove 211 a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213 a at the side, and the swing hinge bracket 220 is covered by the cover member 213. Swing hinge bracket 220 may be fastened to the door frame 210 beautifully.

전술한 도어프레임(210)의 상,하단에는 스윙힌지브래킷(220)이 결합된다. 스윙힌지브래킷(220)은 그 자체에 관통결합되는 힌지축(7)을 중심으로 도어본체(230)가 개방 또는 폐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도어본체(230)를 힌지축(7)의 개재하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부재로, 도 6은 이러한 스윙힌지브래킷의 사시도를 도시한다.The swing hinge bracket 220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bove-described door frame 210. The swing hinge bracket 220 has the door body 230 interposed between the hinge shaft 7 so that the door body 230 can be rotated in the opening or closing direction about the hinge shaft 7 which is penetrated therethrough. With a rotatably supporting component, FIG. 6 shows a perspective view of such a swing hinge bracket.

스윙힌지브래킷(220)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210)의 직각단턱부(211b)에 면접되어 예를 들어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앵글부(221)와, 고정앵글부(221)의 일단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도어본체(230)가 회동축(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윙힌지플레이트(22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윙힌지플레이트(223)는 도어프레임(210)에 대한 스윙힌지브래킷(220)의 설치위치에 따라 고정앵글부(221)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다.As shown in FIG. 6, the swing hinge bracket 220 is interviewed with a right angle stepped portion 211b of the door frame 210 and fixed angle part 221 fixed by, for example, a fastening member, and a fixed angle par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wing hinge plate 223 which is bent and extended at an angle from one end of the 221 and the door body 230 is rotatably coupled by the pivot shaft 7. The swing hinge plate 223 is bent and extended at right angles from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fixed angle part 221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wing hinge bracket 220 with respect to the door frame 210.

전술한 스윙힌지브래킷(220)에는 도어본체(230)의 일측 상,하단이 회동축(7)을 매개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본체(230)의 회동축(7)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범위로 회동되면서 도어프레임(210)의 출입공간을 개폐하는 것으로, 도어프레임(210)에 의해 형성되는 출입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oor body 230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swing hinge bracket 220 by the rotation shaft 7. Opening and closing the access space of the door frame 210 while being rotated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round the pivot shaft 7 of the door body 230,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ccess space formed by the door frame 210. .

도어본체(230)의 회동축(7)은 스윙힌지브래킷(220)을 관통하여 도어본체(230)의 일측 상부과 하부에 각각 1개씩 결합된다. 이러한 도어본체(230)의 회동축(7)의 구성은 스윙도어 분야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pivot shaft 7 of the door body 230 penetrates through the swing hinge bracket 220 and is coupled to on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oor body 230, respectively.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ng shaft 7 of the door body 230 is already known in the swing door art, and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for the sake of simplicity.

전술한 도어본체(230)의 일측에는 손가락끼임방지대(240)가 결합된다. 손가락끼임방지대(240)는 도어본체(230)의 일측에 도어프레임(210)의 제 1 원호면(210a)과 동심의 원호면을 형성하여 도어본체(230)의 회동 개폐시에 도어프레임(210)과 도어본체(230)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수 없도록 하는 것으로, 도어프레임(210)의 제 1 원호면(210a)과 동심의 원호면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원호면(240a)이 형성된다.One side of the door body 230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the finger pinch protector 240. Finger pinch protector 240 forms a concentric arc surface with the first arc surface 210a of the door frame 210 on one side of the door body 230 when the door frame 230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ody ( The second circular arc surface 240a is formed to form a concentric circular arc surface with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210a of the door frame 210 by preventing the fingers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210 and the door body 230. .

손가락끼임방지대(240)는 도어본체(230)의 일측에 결합되어 도어본체(230)의 일측을 도어본체(230)의 회동축(7)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둘러싸는 프레임으로 형성가능하다. 또한 손가락끼임방지대(240)는 경질의 합성수지재, 금속재 뿐만 아니라 연질의 합성수지재로도 형성 가능하다.Finger pinching prevention 24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oor body 230 may be formed as a frame surrounding one side of the door body 230 in a circular shape around the pivot shaft 7 of the door body 230. In addition, the finger pinching prevention 240 may be formed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as well as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metal material.

손가락끼임방지를 위해 도어프레임(210)의 제 1 원호면(210a)과 손가락끼임방지대(240)의 제 2 원호면(240a)은 0.1 내지 5.0 mm의 간격, 특히 3.0 mm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210a of the door frame 210 and the second circular arc surface 240a of the finger pinch 240 are spaced at intervals of 0.1 to 5.0 mm, particularly at intervals of 3.0 mm to prevent pinching. It is preferable.

도어프레임(210)의 제 1 원호면(210a)과 손가락끼임방지대(240)의 제 2 원호면(240a)이 0.1 mm 보다 작은 간격으로 이격될 경우에는 도어본체(230)의 회동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도어프레임(210)의 제 1 원호면(210a)과 손가락끼임방지대(240)의 제 2 원호면(240a)이 5 mm 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될 경우에는 도어프레임(210)과 손가락끼임방지대(240)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수 있는 공간이 발생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210a of the door frame 210 and the second circular arc surface 240a of the pinch bar 240 are spaced at intervals smaller than 0.1 mm,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door body 230 is stable. When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210a of the door frame 210 and the second circular arc surface 240a of the finger pincer 240 are spaced apart by more than 5 mm, the door frame 210 is not formed. ) And the finger pinch protector 240 may be a space that can be pinched fingers.

도 7은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의 작동단면도이다.7 is an operation cross-sectional view of a pinch-type swing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어본체(230)의 회동축(7)을 중심으로 도어프레임(210)의 제 1 원호면(210a)과 손가락끼임방지대(240)의 제 2 원호면(240a)이 손가락의 삽입이 불가능한 정도로 이격된 동심의 원호면을 형성함에 따라, 도어본체(230)의 회동에 따른 개방 또는 폐쇄시에 도어프레임(210)과 손가락끼임방지대(240)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수 있는 여유공간이 발생되지 않아 손가락 끼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Finger pinch type swing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of the door frame 210 around the pivot 7 of the door body 230, as shown in FIGS. 210a and the second circular arc surface 240a of the pinch bar 240 to form a concentric circular arc surface spaced to the extent that the fingers can not be inserted, when opening or closing the door body 230 by rotation There is no free space between the door frame 210 and the finger pinch protector 240 to pinch the finger pinch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in place of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an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3 : 벽체
5 : 내부틀
7 : 회동축
110 : 도어프레임
110a : 제 1 원호면
110b : 단턱부
111 : 프레임본체
111a : 체결홈
113 : 커버부재
120 : 도어본체
120a : 제 2 원호면
121 : 측면마감재
123 : 마감재본체
123a : 체결홈
125 : 커버부재
130 : 완충부재
130a : 제 3 원호면
210 : 도어프레임
210a : 제 1 원호면
211 : 프레임본체
211a : 체결홈
211b : 직각단턱부
213 : 커버부재
213a : 체결돌기
220 : 스윙힌지브래킷
221 : 고정앵글부
223 : 스윙힌지플레이트
230 : 도어본체
240 : 손가락끼임방지대
240a : 제 2 원호면
3: wall
5: inner frame
7: rotating shaft
110: door frame
110a: first arc surface
110b: stepped portion
111: frame body
111a: Fastening groove
113: cover member
120: door body
120a: second arc surface
121: side finish material
123: finishing material
123a: Tightening groove
125: cover member
130: buffer member
130a: third arc surface
210: door frame
210a: first arc surface
211: frame body
211a: Fastening groove
211b: right angled step
213: cover member
213a: fastening protrusion
220: swing hinge bracket
221: fixed angle portion
223 swing hinge plate
230: door body
240: finger pinch
240a: second arc surface

Claims (10)

벽체에 형성되어 출입공간을 형성하고 일측 내면에는 제 1 원호면이 형성되는 도어프레임; 및
상기 도어프레임 내에서 일측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도어프레임의 출입공간을 개폐하되, 상기 회동축에 인접되는 일측면에는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프레임의 제 1 원호면과 동심의 원호면을 형성하는 제 2 원호면이 형성되는 도어본체를 포함하는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A door frame formed on a wall to form an access space and having a first arc surface formed at one inner surface thereof; And
The door frame opens and closes the door frame while being rotated around the rotational shaft on one side, and a circle concentric with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of the door frame on the rotational shaft on one side adjacent to the rotational shaft. A pinch type swing door comprising a door body having a second arc surface forming an arc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본체의 회동 개폐시에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본체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수 없도록,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본체는 서로 대응되는 폭을 가지되, 상기 도어프레임의 제 1 원호면과 상기 도어본체의 제 2 원호면은 상기 도어본체의 폐쇄 시에 0.1 내지 5.0 mm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frame and the door main body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a finger is not caught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door main body when the door body is rotated and opened, and the first arc surface of the door frame and the door The second circular arc surface of the main body is pinch type swing door,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at intervals of 0.1 to 5.0 mm when the door body is clos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의 제 1 원호면 상에는 단턱부가 함입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에는 상기 도어본체의 회동 개방시에 상기 도어본체에 접하여 변형되면서 상기 도어본체의 90도 이상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epped portion is formed on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of the door frame, and the stepped portion is de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door body when the door body is rotated and opened to allow rotation of the door body by 90 degrees or more, thereby alleviating impact. Finger pinching type swing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buffer member is fix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제 1 원호면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 3 원호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Finger grip type swing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urface of the buffer member is formed with a third arc surface having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as the first arc surface of the door fr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본체는 목재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원호면이 형성된 측면마감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body is made of wood and one side of the door body pinch type swing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finish material is formed with the second arc surface is couple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면마감재는 상기 도어본체의 일측에 상기 도어본체와 동일한 두께로 결합되어 상기 제 2 원호면을 형성하되 상기 제 2 원호면 상에는 상기 도어본체에 대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홈이 상기 도어본체의 일측면에 면접되도록 함입형성되는 마감재본체와, 상기 마감체본체의 체결홈 내로 결합되어 상기 체결홈을 커버하되 외측면이 상기 제 2 원호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side finishing material is coupled to the same thickness as the door body on one side of the door body to form the second arc surface, the fastening groove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for the door body on the second arc surface is the door body Finishing body formed to be recessed to be interviewed on one side of the,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closing body to cover the coupling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includes a cover member for forming a part of the second arc surface Finger swing prevention door.
벽체에 형성되어 출입공간을 형성하고 일측 내면에는 제 1 원호면이 형성되는 도어프레임; 및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스윙힌지브래킷;
상기 스윙힌지브래킷에 일측 상,하단이 각각 결합되어 회동되면서 도어프레임의 출입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본체;
상기 도어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제 1 원호면과 동심의 원호면을 형성하는 제 2 원호면이 형성되는 손가락끼임방지대를 포함하는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A door frame formed on a wall to form an access space and having a first arc surface formed at one inner surface thereof; And
Swing hinge bracket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oor frame;
A door body which opens and closes an access space of the door frame whil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wing hinge bracket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pinching prevention fing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door body and having a second circular arc surface forming a circular arc surface concentric with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of the door fram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도어본체의 회동 개폐시에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본체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수 없도록, 상기 도어프레임의 제 1 원호면과 상기 손가락끼임방지대의 제 2 원호면은 0.1 내지 5.0 mm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first circular arc surface of the door frame and the second circular arc surface of the finger pinch protector are spaced at an interval of 0.1 to 5.0 mm so that a finger is not caught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door body when the door body is rotated. Finger pinch type swing door,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은 직각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윙힌지브래킷은 상기 도어프레임의 직각단턱부에 면접고정되는 고정앵글부와, 상기 고정앵글부의 일단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도어본체가 회동축에 의해 결합되는 스윙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door frame is formed with a right angled step portion, the swing hinge bracket is a fixed angle portion that is interviewed and fixed to the right angled step portion of the door frame, and is bent and extended at a right angle from one end of the fixed angle portion extending the door body to the pivot axis Finger pinch type swing do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wing hinge plate coupled by.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끼임방지대는 상기 도어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본체의 일측을 상기 도어본체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둘러싸는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끼임방지형 스윙도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pinch bar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oor body is finger pinch type swing do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rame surrounding one side of the door body in a circular shape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door body.
KR1020180044594A 2018-04-17 2018-04-17 Finger anti-pinching type swing door KR1020847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594A KR102084708B1 (en) 2018-04-17 2018-04-17 Finger anti-pinching type swing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594A KR102084708B1 (en) 2018-04-17 2018-04-17 Finger anti-pinching type swing d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085A true KR20190121085A (en) 2019-10-25
KR102084708B1 KR102084708B1 (en) 2020-03-04

Family

ID=6842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594A KR102084708B1 (en) 2018-04-17 2018-04-17 Finger anti-pinching type swing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70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587U (en) * 1999-03-19 2000-10-25 정대헌 Supporter structure a door opening and shutting
JP2007092425A (en) * 2005-09-29 2007-04-12 Benitsukusu Kk Finger nipping preventive structure in door body
JP2010163833A (en) * 2009-01-19 2010-07-29 Komatsu Wall Ind Co Ltd Edge apparatus for door
KR20140106946A (en) 2013-02-27 2014-09-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 unit
KR20150137956A (en) 2014-05-29 2015-12-09 김순석 Sideframe structure of swing door
KR101776156B1 (en) 2017-03-10 2017-09-08 주식회사 제오메이드 Safety Hinge for a Hinged Do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587U (en) * 1999-03-19 2000-10-25 정대헌 Supporter structure a door opening and shutting
JP2007092425A (en) * 2005-09-29 2007-04-12 Benitsukusu Kk Finger nipping preventive structure in door body
JP2010163833A (en) * 2009-01-19 2010-07-29 Komatsu Wall Ind Co Ltd Edge apparatus for door
KR20140106946A (en) 2013-02-27 2014-09-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 unit
KR20150137956A (en) 2014-05-29 2015-12-09 김순석 Sideframe structure of swing door
KR101776156B1 (en) 2017-03-10 2017-09-08 주식회사 제오메이드 Safety Hinge for a Hinged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708B1 (en)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0339A (en) Sealing apparatus for a swing-in type door of a bus
KR101861845B1 (en) Prefabricated Door
KR102084708B1 (en) Finger anti-pinching type swing door
EP2940236B1 (en) Damper, striker assembly and vehicle
RU2494211C2 (en) System of solid glass door with protection against jamming of fingers
KR102287492B1 (en) safety device in the door
KR200438164Y1 (en) Door lock keeping device
KR200380544Y1 (en) Door system with externally hidden hinge
KR102287496B1 (en) Preventing device for hand pinching in door gap
KR20190033232A (en) Sliding Door
KR102113880B1 (en) Door with finger pinch prevention function
KR102282213B1 (en) Hinge device with finger pinch protector for windows and doors
KR102038854B1 (en) Protection Hinge
KR102027221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a finger from inserting in hinged door
KR102170543B1 (en) Finger anti-pinching type swing door
KR102085314B1 (en) Edge covering device for hinged door
KR102623560B1 (en) PVC turning door with built-in type door closer
KR100596455B1 (en) Structural of fittings for building
JP6888198B2 (en) End holding members for glass panels, shoji, manufacturing methods and fittings for shoji
KR102382839B1 (en) Stopper device on the door with hand protection
KR102517976B1 (en) A cover assembly for a door edge
JP5086722B2 (en) Anti-finger structure for hinged door
KR101467546B1 (en) Window
KR102319247B1 (en)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JP2003321967A (en) Ope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