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973A - 맞춤형 임플란트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맞춤형 임플란트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973A
KR20190120973A KR1020180044390A KR20180044390A KR20190120973A KR 20190120973 A KR20190120973 A KR 20190120973A KR 1020180044390 A KR1020180044390 A KR 1020180044390A KR 20180044390 A KR20180044390 A KR 20180044390A KR 20190120973 A KR20190120973 A KR 20190120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main body
implant
inclination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화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4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0973A/ko
Publication of KR20190120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0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raw data to produce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형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임플란트는, 치아의 치관부분을 재현하기 위한 보철물에 어버트먼트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그 보철물과 함께 인공치아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치아의 뿌리부분을 재현하기 위하여 발치와 부분에 식립될 수 있도록, 외면에 나사산 모양이 형성되어 있고, 치아의 치관부분과 뿌리부분 간의 3차원 공간상에서 기울어진 정도에 따른 기울기를 갖는 스크류홈이,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및 상기 스크류홈의 기울어진 방향 인식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있는 방향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맞춤형 임플란트 및 이의 제조 방법{Customized implant and the customized implant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맞춤형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의 배열 상태나 형성 각도 등을 반영한 맞춤형 제작이 가능하고, 다양한 재질에 의해 구현할 수 있으며, 시술의 편리성과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상된 치아의 수복을 위해 사용되는 인공치아는,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abutment)와 보철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임플란트는, 결손된 치아의 수복을 위한 보철물을 치조골에 지지시켜 줄 수 있도록, 그 치조골에 식립되는 고정체를 의미하고,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임플란트와 보철물 간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임플란트에 결합되는 기둥을 의미하며, 상기 보철물은 환자의 치아와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상술한 구조의 인공치아를 3D 프린터로 제작하는 기술이 널리 사용됨으로써, 환자 맞춤형 인공치아의 제작이 용이해진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종래의 인공치아 제작 방법에 의하면, 환자 맞춤형 구조 설계에만 연구개발이 집중됨에 따라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보철물의 개별적인 제작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임플란트 제작시에 기존 표준 규격의 어버트먼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 설계가 가능한지 여부와 같은 부품 상호간 호환성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즉, 임플란트를 3D 프린터로 성형하는 종래의 제작 방법에 의하면, 치아의 뿌리 부분과 치관 부분이 XYZ 3차원 공간 상에서 어떻게 위치하고 있는지에 대한 면밀한 데이터를 반영하지 않고, 단순히, 임플란트에, 어버트먼트와의 결합될 스크류홈을 천편 일률적으로 형성시키고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어버트먼트와 보철물 모양의 조절을 통해 구성품 간 교합과 각도 구현을 함으로써, 상용화된 기성 어버트먼트와 스크류를 사용할 수 없게 되고, 새로운 규격의 어버트먼트와 스크류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등록번호 제10-174447호와 같은 기술을 개발한 바 있으나, 3D 프린팅에 의한 임플란트 제작시에는 그 재료 선정의 한계가 있어서 다양한 재질의 임플란트 제작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의 형상 정보와 함께, 치관 부분과 뿌리 부분 간의 상대적인 기울기 정보를 획득하고, 그 기울기 정보에 따라 임플란트의 스크류홈을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게 하여, 자연치아의 뿌리 부분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게 하고, 시술시 스크류홈의 기울어진 방향 인식을 가능하게 하여 시술의 편리성과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재질에 의해 제작할 수 있게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임플란트는, 치아의 치관부분을 재현하기 위한 보철물에 어버트먼트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그 보철물과 함께 인공치아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치아의 뿌리부분을 재현하기 위하여 발치와 부분에 식립될 수 있도록, 외면에 나사산 모양이 형성되어 있고, 치아의 치관부분과 뿌리부분 간의 3차원 공간상에서 기울어진 정도에 따른 기울기를 갖는 스크류홈이,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및 상기 스크류홈의 기울어진 방향 인식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있는 방향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임플란트 제조 방법은, CT 촬영에 의해 치조골과 치아 영상에 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되, 치아의 치관부분과 뿌리부분이 XYZ 3차원 공간 상에서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생성되는 기울기 정보를, 임플란트가 식립될 치아의 뿌리모양 정보와 같은 영상 정보와 함께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치아의 발치와 부분에 식립될 본체부에, 상기 기울기 정보가 반영된 스크류홈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홈이 형성된 출력용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류홈이 형성된 본체부를 상기 출력용 모델링 데이타에 근거하여 제작하되, 상기 스크류홈의 기울어진 방향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방향표시부를 함께 형성시켜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임플란트는, 본체부의 스크류홈에 치관 부분과 뿌리 부분 간의 기울기 정보가 반영되게 함으로써, 치아의 형성 각도 또는 배열 상태에 따른 제작을 가능하게 하고 기성 어버트먼트와 스크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치료시간 및 치료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하고,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실제의 자연치아 재현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과, 시술자가, 환자 맞춤형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된 스크류홈의 기울어진 방향을, 다른 인식수단 없이도 방향표시부에 의해 육안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시술의 편리성과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사람마다 서로 다른 치아의 배열 상태를 보여 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의 장점 및 다른 구성과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방향표시부의 다양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방향표시부의 다양한 구조가 채용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식립시 사용되는 마운터와 핸드피스를 설명하기 도면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사람마다 서로 다른 치아의 배열 상태를 보여 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의 장점 및 다른 구성과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방향표시부의 다양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10)는, 치아의 치관부분을 재현하기 위한 보철물(30)에 어버트먼트(20)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그 보철물(30)과 함께 인공치아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부(12)와 방향표시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인공치아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치아의 잇몸에 대한 배열상태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즉,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마다 턱 관절의 형태나 구강 구조 등이 다르기 때문에, 치아의 잇몸에 대한 배열상태가 다를 수 밖에 없다. 예컨대, 도 1의 (a)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사람은 일부 치아에 있어서 그 치아의 치관 부분(H)이 XY 평면 상에서 Y축에 대해 기울어지지 않고 똑바로 배열될 수 있고, 다른 사람은 도 1의 (b)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의 치관 부분(H)이 Y축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사람마다 다른 치아의 배열 상태에 대하여 좀 더 세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의 배열 상태는 크게 (a)(b)(c)(d)와 같은 상태로 나뉠 수 있는데, (a)는 치아의 치관 부분과 뿌리 부분이 Y축을 기준으로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작된 임플란트(10)를, 그 임플란트(10)와 함께 인공치아를 형성시키는 어버트먼트(20) 및 보철물(30)과 분리하여 도면이고, (b)는 치아의 치관 부분과 뿌리 부분이 Y축과 평행한 축선 상에 위치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작된 인공치아에 관한 것이며, (c)는 치아의 뿌리 부분은 Y축과 평행한 축선 상에 위치하고, 치관 부분은 Y축에 대해 기울어진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작된 인공치아에 관한 것이며, (d)는 치아의 뿌리 부분은 Y축에 대해 기울어져 위치하고 치관 부분은 Y축과 평행하게 위치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작된 인공치아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10)는, 치아의 뿌리 부분을 재현하기 위한 발치와 부분이 식립되는 본체부(12)와, 상기 본체부(12)에 형성되어 있는 방향표시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2)는, 요구되는 강성 기준에 부합할 수 있도록, 재질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가공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본체부(12)는 3D 프린팅 방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밀링 가공에 의한 제작도 가능하여 3D 프린팅시 초래되는 재질의 제약 없이 다양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체부(12)의 외면에는, 상기 본체부(12)가 발치와 부분에 식립될 수 있도록, 예컨대 나사산(121) 모양와 같이 결합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2)의 내측에는 상기 인공치아를 형성하는 어버트먼트(20)와의 체결을 위한 스크류홈(122a)(122b)(122c)(122d)이 형성되되, 치아의 치관부분과 뿌리부분 간의 3차원 공간상에서 기울어진 정도에 따른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스크류홈(122a)(122b)(122c)(122d)은, 치아의 치관부분과 뿌리부분 간의 3차원 공간 상에서 기울어진 정도에 따른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도2의 (a)(b)(c)(d)와 같이, 차이의 형성 각도 또는 배열 상태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10)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치아의 제작을 가능하게 하고, 기성 어버트먼트(20)와 스크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방향표시부(14)는, 상기 본체부(12)의 일부를 가공함으로써 형성되는 부분으로, 시술자가 상기 스크류홈(122a)(122b)(122c)(122d)의 기울어진 방향을 영상장치와 같은 다른 인식수단 없이도 원활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10)는, 본체부(12)의 스크류홈(122a)(122b)(122c)(122d)에 치관 부분과 뿌리 부분 간의 기울기 정보가 반영되게 함으로써, 치아의 형성 각도 또는 배열 상태에 따른 제작을 가능하게 하고 기성 어버트먼트(20)와 스크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치료시간 및 치료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하고,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실제의 자연치아 재현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과, 시술자가, 환자 맞춤형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된 스크류홈(122a)(122b)(122c)(122d)의 기울어진 방향을, 다른 인식수단 없이도 방향표시부(14)에 의해 육안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시술의 편리성과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방향표시부(14)는, 시술자가 상기 스크류홈(122a)(122b)(122c)(122d)의 기울어진 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부(12)를 형성하는 면들 중 어느 하나에 다른 부분보다 함몰 형성된 표식홈으로 구현되었다.
이러한 표식홈 구조의 방향표시부(14)(14')(14")가 채택된 본 실시예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2)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121)을 단절시키는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됨으로써, 그 홈이 형성된 나사산(121)의 개수에 따라 상기 기울기 각도를 가늠할 수 있게 하여, 시술의 편리성과 정밀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 즉, 도 4의 (a)의 경우보다 도 4의 (c)의 경우가 홈이 형성된 나사산(121)의 개수가 더 많기 때문에, 시술자는 이러한 나사산(121)의 개수를 확인하고 스크류홈(122a)(122b)(122c)(122d)의 각도가 대략 몇 도로 기울어져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표식홈 및 상기 본체부(12)는, 정밀도와 강도 및 내구성의 제한이 없도록, 밀링 가공 방식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크류홈(122a)(122b)(122c)(122d)의 기울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하여 임플란트(10) 제작에 반영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CT와 같은 촬영 수단에 의해 치조골과 치아 영상에 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그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크류홈(122a)(122b)(122c)(122d)의 임플란트(10)에 대한 형성 각도(기울기)는, 치조골과 치아 영상에 관한 영상 정보와 함께, 치아의 치관부분과 뿌리부분이 XYZ 3차원 공간 상에서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생성되는 기울기 정보에 의해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10)와 보철물(30)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그 임플란트(10)와 보철물(30)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스크류홈(122a)(122b)(122c)(122d)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보철물(30)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이다.
그리고, 미설명부호 30은, 치아의 치관부분을 재현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어버트먼트(20)를 통해 상기 임플란트(10)에 연결되는 보철물이며, S는 보철물(30)을 어버트먼트(20)에 체결시켜 주기 위한 스크류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방향표시부의 다양한 구조가 채용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방향표시부(44)에 해당하는 표식홈이 본체부의 외면이 아니라 내측 스크류홈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방향표시부(54)를, 본체부를 형성하는 면들 중 어느 일부분이 다른 부분과 구별되게 표면처리됨으로써 형성된 표식층으로 구현하였고,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방향표시부(64)를, 본체부의 상단의 일부분을 레이저 조사와 같은 방식으로 다른 색깔로 구별되게 함으로써 구현하였다.
앞에서 설명한 맞춤형 임플란트(10)는, CT와 같은 촬영 수단에 의해 치조골과 치아 영상에 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그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용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모델링 데이터에 근거하여 임플란트(10)를 제작하되, 스크류홈(122a)(122b)(122c)(122d)의 기울어진 방향을 식별케 하는 방향표시부(14)를 함께 형성시켜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는, 치조골과 치아 영상에 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되, 치아의 치관부분과 뿌리부분이 XYZ 3차원 공간 상에서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생성되는 기울기 정보를, 상기 영상 정보와 함께 획득하게 된다.
상기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의 영상 정보와 기울기 정보에 기초하여, 치아의 발치와 부분에 식립될 가상의 임플란트(10)에 상기 기울기 정보가 반영된 스크류홈(122a)(122b)(122c)(122d)을 형성시키고, 그 스크류홈(122a)(122b)(122c)(122d)이 형성된 임플란트(10)에 관한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상기 모델링 데이터 생성시에, 상기 기울기 정보와 함께 미리 설정된 상용화된 기성 어버트먼트에 관한 규격 정보를 반영하여 모델링 데이터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10) 제조 방법은, 발치와 부분에 식립되는 본체부(12)에, 환자마다 서로 다른 치아의 형성 각도 또는 배열 상태에 따른 기울기 정보를 가진 스크류홈(122a)(122b)(122c)(122d)을 정밀하게 형성시킬 수 있게 하고, 그 스크류홈(122a)(122b)(122c)(122d) 뿐만 아니라 스크류홈(122a)(122b)(122c)(122d)의 기울어진 방향을 표시시켜 주는 방향표시부(14)를 함께 형성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환자 맞춤형으로 편리하고 정밀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임플란트(10)의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식립시 사용되는 마운터와 핸드피스를 설명하기 도면들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마운터(80)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70)의 스크류홈의 기울기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맞춤형 임플란트(70)를 발치와 부분에 식립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홈의 기울기 방향을 알 수 있게 하는 표식층(74)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표식층(8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핸드 피스(90)를 이용하여 마운터(80)로 맞춤형 임플란트(70)를 발치와 부분에 식립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마운터(80)의 표식층(84)을, 도 9와 같이 임플란트(70)의 표식층(74)과 동축 상에 위치시켜 놓은 상태에서 식립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맞춤형 임플란트(70)를 스크류홈의 기울기 각도가 정확하게 반영된 상태로 발치와 부분에 식립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임플란트 12:본체부
121:나사산 122a,122b,122c,122d:스크류홈
14:방향표시부 20:어버트먼트
30:보철물

Claims (8)

  1. 치아의 치관부분을 재현하기 위한 보철물에 어버트먼트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그 보철물과 함께 인공치아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치아의 뿌리부분을 재현하기 위하여 발치와 부분에 식립될 수 있도록, 외면에 나사산 모양이 형성되어 있고, 치아의 치관부분과 뿌리부분 간의 3차원 공간상에서 기울어진 정도에 따른 기울기를 갖는 스크류홈이,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및
    상기 스크류홈의 기울어진 방향 인식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있는 방향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밀링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표시부는, 상기 본체부를 형성하는 면들 중 어느 하나에 다른 부분보다 함몰 형성된 표식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홈은, 그 홈이 형성된 나사산의 개수에 따라 상기 기울기 각도를 가늠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산을 단절시키는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표시부는, 상기 본체부를 형성하는 면들 중 어느 일부분이 다른 부분과 구별되게 표면처리됨으로써 형성된 표식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표시부는, 그 방향표시부를 제외한 상기 본체부의 나머지 부분과 다른 색깔로 표현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7. CT 촬영에 의해 치조골과 치아 영상에 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되, 치아의 치관부분과 뿌리부분이 XYZ 3차원 공간 상에서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생성되는 기울기 정보를, 임플란트가 식립될 치아의 뿌리모양 정보와 같은 영상 정보와 함께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치아의 발치와 부분에 식립될 본체부에, 상기 기울기 정보가 반영된 스크류홈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홈이 형성된 출력용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류홈이 형성된 본체부를 상기 출력용 모델링 데이타에 근거하여 제작하되, 상기 스크류홈의 기울어진 방향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방향표시부를 함께 형성시켜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밀링 가공에 의해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제조 방법.
KR1020180044390A 2018-04-17 2018-04-17 맞춤형 임플란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120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390A KR20190120973A (ko) 2018-04-17 2018-04-17 맞춤형 임플란트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390A KR20190120973A (ko) 2018-04-17 2018-04-17 맞춤형 임플란트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973A true KR20190120973A (ko) 2019-10-25

Family

ID=6842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390A KR20190120973A (ko) 2018-04-17 2018-04-17 맞춤형 임플란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09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8722B2 (en) Method for manipulating a dental virtual model, method for creating physical entities based on a dental virtual model thus manipulated, and dental models thus created
US11510761B2 (en) Scan post, bite pillar, reference pillar and related methods for recording dental implant position
KR102114015B1 (ko) 맞춤형 치료용 지대치의 가상 설계
US9504533B2 (en) Edentulous surgical guide
EP2103276B1 (en) Repositioning of components related to cranial surgical procedures in a patient
KR101444727B1 (ko) 임플란트용 가이드 스탠트 제조방법
TWI394560B (zh) 植牙手術導板及其製作方法
KR10179715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2246985B1 (ko)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
KR101631258B1 (ko) 디지털 스캔바디를 이용한 3차원 구강컨펌모델 제조방법
US11766169B2 (en) Apparatus for facilitating acquisition of a scan and intraoral scanning procedures
US202101376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and verifying the anatomic position of a full-arch dental prosthetics
KR102133002B1 (ko)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
KR20110074186A (ko) 보철물을 설계하는 방법
KR20120081578A (ko) 구강 모델을 형성하는 방법
US10285786B2 (en) Customized dental abutment formed of two customized parts
KR20190120973A (ko) 맞춤형 임플란트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00397540A1 (en) Denture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ure
CN110099650A (zh) 假牙
KR102129526B1 (ko) 3d 데이터로 형성된 교합정보를 실물 교합기에 옮기기 위한 3d 프린팅 커넥터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KR20220005874A (ko) 환자 맞춤형 어버트먼트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CN111888028A (zh) 用于口内扫描的扫描杆
KR20140096013A (ko) 구강 모델을 형성하는 방법
KR20180072623A (ko) 맞춤형 인공치아
KR20190117069A (ko) 가공장치에 대한 가공 보정값을 제공하는 동기화용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