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628A - 포충 장치 - Google Patents

포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628A
KR20190120628A KR1020180044037A KR20180044037A KR20190120628A KR 20190120628 A KR20190120628 A KR 20190120628A KR 1020180044037 A KR1020180044037 A KR 1020180044037A KR 20180044037 A KR20180044037 A KR 20180044037A KR 20190120628 A KR20190120628 A KR 20190120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attraction
attracting
insect repellen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현
엄훈식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4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0628A/ko
Publication of KR20190120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6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포충 장치는 내부로 유입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 케이스, 포집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 인자를 방출하는 유인부 및 포집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며, 측벽으로 해충이 이동하는 통로를 이루는 유인 통로를 포함한다. 유인부의 유인 인자는 유인 통로를 통해 포집 케이스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유인 통로는 포집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한 입구에서 포집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한 출구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좁아지는 구조이다.

Description

포충 장치{INSECT TRAP DEVICE}
본 발명은 포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와 친환경 정책 등의 기후적 영향 및 사회적 영향에 의해, 해충이 증가하고 있다. 해충은 농작물 및 가축에 피해를 끼치는 것은 물론, 말라리아, 뎅기열, 일본 뇌염 등의 병원균을 옮김으로써, 인간에게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최근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ZIKV)의 감염 공포 확산으로, 모기 살충 관련 방법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살충 방법으로 살충제를 이용하는 화학적 방제법 및 미꾸라지 등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제법이 있다. 또한, 살충 방법으로 유문등 또는 이산화탄소 등으로 해충을 유인한 다음 고전압 등을 인가하여 해충을 퇴치시키는 물리적 방제법이 있다. 또한, 살충 방법으로 물웅덩이를 없애거나 해충의 유충이 살 수 없도록 주위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적 방제법 등이 있다. 그러나 화학적 방제법의 경우 2차 오염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생물학적 방제법 또는 환경적 방제법 등은 상대적으로 큰 비용, 처리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살충 장치 또는 포충 장치를 이용하는 물리적 방제법 등의 경우 장치 구성이 복잡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지거나 고전압 장치가 수반하는 위험을 내포하는 문제가 있다.
다른 살충 방법으로는 광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흡입 팬에 의해 포획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흡입 팬을 이용한 포충 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다. 또한, 흡입 팬이 적용된 포충 장치는 흡입 팬에 모기 등 해충의 사체가 부착되어 고장 또는 팬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흡입 팬의 속도 제어가 부적절하여 해충의 포획 효율이 낮거나, 과다한 전력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 하고자 하는 과제는 해충을 흡입하는 팬을 사용하지 않아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전력 소비를 감소할 수 있는 포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 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팬을 사용하지 않는 단순한 구조의 포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해충 사체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포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로 유입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 케이스, 포집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 인자를 방출하는 유인부 및 포집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며, 측벽으로 해충이 이동하는 통로를 이루는 유인 통로를 포함하는 포충 장치가 제공된다. 유인부의 유인 인자는 유인 통로를 통해 포집 케이스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유인 통로는 포집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한 입구에서 포집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한 출구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좁아지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는 흡입 팬을 사용하지 않아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는 포집 케이스, 유인 통로 및 유인부만 포함하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제작 비용 및 제작 시간이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는 팬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해충 사체에 의한 팬이 고장 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제7 실시 예 및 제8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또는 "상에" 있다고 기재된 경우 각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상부" 또는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각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고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포충 장치는 내부로 유입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 케이스, 상기 포집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 인자를 방출하는 유인부 및 상기 포집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며, 측벽으로 상기 해충이 이동하는 통로를 이루는 유인 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유인부의 상기 유인 인자는 상기 유인 통로를 통해 상기 포집 케이스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상기 유인 통로는 상기 포집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한 입구에서 상기 포집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한 출구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좁아지는 구조이다.
상기 유인 인자는 자외선 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인 통로는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인부는 상기 유인 통로의 출구 및 상기 측벽으로 상기 자외선을 방출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유인 통로의 내벽은 자외선을 반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인부는 상기 유인 통로의 출구로 상기 자외선을 방출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유인 통로는 상기 출구의 일부에서 상기 포집 케이스의 내부로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는 자외선을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인부는 상기 연장부의 내벽으로 자외선을 방출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유인 통로는 상기 측벽에 밀선 구조인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벽 및 상기 가이드는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형성된다.
또는 상기 측벽 및 상기 가이드는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다.
또는 상기 가이드는 자외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측벽은 상기 가이드보다 자외선 투과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유인 통로의 출구에서 입구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는 상기 유인 통로의 출구에서 입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유인부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인 인자는 해충을 유인하는 향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100)는 포집 케이스(110), 유인부(130) 및 유인 통로(120)를 포함한다.
포집 케이스(110)는 유인 통로(120)를 통해 내부로 유인된 해충을 가둔다.
유인 통로(120)는 포집 케이스(11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이다. 유인 통로(120)는 측벽(121)으로 해충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유인 통로(120)를 통해서 해충이 포집 케이스(110)의 내부로 들어올 수 있다. 유인 통로(120)의 입구는 포집 케이스(110)의 외부에 위치하며, 유인 통로(120)의 출구는 포집 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한다.
유인 통로(120)는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좁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유인 통로(120)의 입구가 넓기 때문에 해충이 유인 통로(120) 내부로 쉽게 들어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인 통로(120)의 출구가 좁기 때문에 포집 케이스(110)의 내부에 포집된 해충이 유인 통로(120)를 통해 포충 장치(10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인 통로(120)의 내벽은 자외선을 반사시킨다. 여기서, 유인 통로(120)의 내벽은 측벽(121)에서 유인 통로(120)의 내부 공간을 감싸는 면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유인 통로(120)의 내벽에는 반사층(미도시)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유인 통로(120)가 반사 물질로 이루어진 것 일 수 있다. 또는 유인 통로(120)의 내벽에는 반사 물질이 코팅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포충 장치(100)는 자외선이 유인 통로(120)의 내벽에 흡수되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자외선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포충 장치(100)는 자외선 발광 효율 향상으로 해충 유인 능력 향상되며, 포충 기능 역시 향상될 수 있다.
유인부(130)는 포집 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한다. 유인부(130)는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 인자를 방출한다. 예를 들어, 유인부(130)는 발광 모듈이며, 해충을 유인하는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유인부(130)는 기판(131) 및 발광 다이오드(132)를 포함한다. 기판(131)은 발광 다이오드(132)의 동작을 위해서 발광 다이오드(132)로 전원을 공급한다. 발광 다이오드(132)는 기판(131)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면 자외선을 방출한다.
유인부(130)는 유인 통로(120)의 출구를 향해 유인 인자를 방출한다. 즉, 유인부(130)는 유인 통로(120)로 자외선을 방출한다. 그리고 유인부(130)의 자외선은 유인 통로(120)를 통해 포충 장치(100)의 외부로 방출된다.
해충은 포충 장치(100)의 외부에서 방출된 자외선에 유인되어 유인 통로(120)를 통해 유인부(130)를 향하게 된다. 유인부(130)를 향해 이동하던 해충이 유인 통로(120)의 출구를 빠져나오면, 포집 케이스(110)의 내부에 포집된다. 또한, 유인 통로(120)의 출구가 좁기 때문에 포집 케이스(110)에 포집된 해충이 유인 통로(120)를 통해 포충 장치(10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은 어렵다. 이와 같이 포집 케이스(110)에 포집된 해충은 먹이가 없어 아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충 장치(100)의 유인부(130)가 자외선을 방출하는 광원 모듈인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포충 장치(100)의 유인부(130)가 광원 모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포충 장치(100)의 유인부(130)는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향을 방출할 수도 있다. 또는 포충 장치(100)의 유인부(130)는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자외선 및 향을 모두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100)는 해충을 흡입하기 위한 팬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전력 소비가 감소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100)는 종래에 이용되던 해충을 흡입하기 위한 팬 사용을 하지 않으므로, 해충의 사체에 의해서 팬이 고장 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포충 장치(100)는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유인부(130)와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 케이스(110) 및 해충을 포집 케이스(110)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인 통로(120)만으로 이루어진다. 즉, 포충 장치(100)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적은 시간과 적은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후, 다른 실시 예에 대한 설명 중에서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생략된 설명은 이전 실시 예를 참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200)는 포집 케이스(110), 유인부(130) 및 유인 통로(220)를 포함한다.
유인 통로(220)는 연장부(123)를 포함한다. 연장부(123)는 유인 통로(220)의 출구의 일부에서 포집 케이스(110)의 내부로 연장된다. 연장부(123)의 내벽은 자외선을 반사한다. 예를 들어, 연장부(123)는 반사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연장부(123)의 내벽은 반사 물질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123)의 내벽은 유인 통로(220)의 내벽에서 연장된 면이다.
유인부(130)는 연장부(123)의 내벽으로 자외선을 조사한다. 자외선은 연장부(123)의 내벽에서 반사되어 유인 통로(220)를 통해 포충 장치(200)의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유인 통로(220)의 내벽은 연장부(123)의 내벽과 마찬가지로 자외선을 반사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유인부(130)가 유인 통로(220)의 출구를 마주하지 않으며, 유인 통로(220)의 출구를 벗어나 위치하고 있다. 유인부(130)가 유인 통로(220)의 출구를 벗어나 위치하므로, 해충이 유인부(130)에 도달하면 유인 통로(220)의 출구를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포집 케이스(110) 내부로 유인된 해충은 유인 통로(220)의 출구를 통해 포충 장치(200)의 외부로 벗어나기 어려워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포충 장치(300)는 포집 케이스(110), 유인부(330) 및 유인 통로(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유인부(330)는 기판(131) 및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32)를 포함한다. 유인부(33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32)를 포함하므로, 자외선이 방출 범위가 넓다. 이와 같이 넓은 범위로 방출되는 자외선은 유인 통로(120)의 출구를 포함한 유인 통로(120)의 외벽으로 조사된다.
유인 통로(120)는 자외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자외선은 유인 통로(120)를 투과하여 포충 장치(300)의 외부로 방출된다.
본 실시 예의 포충 장치(300)는 넓은 범위로 자외선을 방출하므로, 해충을 더 효율적으로 유인할 수 있다.
넓은 범위로 방출된 자외선에 유인된 해충은 유인 통로(120)의 넓은 입구를 통해 포집 케이스(11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포집 케이스(110)의 내부로 들어온 해충은 유인 통로(120)의 좁은 출구에 의해서 포충 장치(300)의 외부로 빠져나가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300)는 자외선이 유인 통로(120)의 내부 공간만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아니라 유인 통로(120)의 측벽(121)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포충 장치(300)는 유인 통로(120)의 출구 크기와 상관없이 일정한 광량의 자외선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충 장치(300)는 외부로 방출되는 자외선의 광량을 고려하지 않고 유인 통로(120)의 출구의 크기를 더 작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유인 통로(120)의 출구의 크기가 작아지는 만큼 포집 케이스(110)에 포집된 해충이 다시 포충 장치(30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300)는 유인 통로(120)의 출구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어, 해충의 포집 능력이 향상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40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400)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제4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400)는 포집 케이스(110), 유인부(130) 및 유인 통로(42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유인 통로(420)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125)를 포함한다. 가이드(125)는 유인 통로(420)의 측벽(121)에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가이드(125)는 유인 통로(420)의 출구에서 입구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가이드(125)는 유인 통로(420)의 내벽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유인 통로(420)가 입구에서 출구 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는 구조이므로, 복수의 가이드(125)는 유인 통로(420)의 입구에서 출구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구조가 된다. 즉, 가이드(125)는 유인 통로(420)의 측벽(121)에 밀선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밀선은 꽃, 줄기, 잎 등에서 곤충이나 새를 유인하는 점액을 분비하는 기관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400)는 가이드(125)를 밀선 구조로 형성하여, 해충이 가이드(125)를 식물의 밀선으로 착각하도록 한다. 즉, 포충 장치(400)는 가이드(125)를 이용하여 해충이 유인 통로(420)를 꽃, 줄기, 잎 등으로 착각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포충 장치(400)는 가이드(125)를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 통로(420)를 향하도록 유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유인 통로(420)는 측벽(121) 및 가이드(125)가 모두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모두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유인 통로(420)의 측벽(121) 및 가이드(125)가 모두 자외선을 투과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다면, 유인부(130)의 자외선은 유인 통로(420)의 내부를 통해서 포충 장치(400)의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유인 통로(420)의 측벽(121) 및 가이드(125)가 모두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형성된다면, 유인부(130)의 자외선은 유인 통로(420)의 측벽(121) 및 가이드(125)를 통과하여 넓은 범위로 포충 장치(400)의 외부로 방출된다.
이 경우 모두 해충은 포충 장치(400)의 외부로 방출된 자외선에 의해서 포충 장치(400) 근처로 유인된다. 또한, 포충 장치(400) 근처로 유인된 해충은 유인 통로(420)에 형성된 밀선 구조의 가이드(125)에 의해서 유인 통로(420)의 출구 방향으로 유인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400)는 자외선으로 포충 장치(400) 근처로 해충을 유인한다. 또한, 포충 장치(400)는 밀선 구조의 가이드(125)로 근처의 해충을 유인 통로(420)를 통과하도록 하여 포집 케이스(110)에 포집한다. 즉, 포충 장치(400)는 자외선과 밀선 구조의 가이드(125)를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포집 능력 역시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500)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5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500)는 포집 케이스(110), 유인부(130) 및 유인 통로(52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유인 통로(520)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126)를 포함한다. 가이드(126)는 유인 통로(520)의 측벽(121)에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가이드(126)는 유인 통로(520)의 출구에서 입구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가이드(126)는 유인 통로(520)의 내벽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유인 통로(520)가 입구에서 출구 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는 구조이므로, 복수의 가이드(126)는 유인 통로(520)의 입구에서 출구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구조가 된다. 즉, 가이드(126)는 유인 통로(520)의 측벽(121)에 밀선 구조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유인 통로(520)의 측벽(121)은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거나 자외선 투과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유인 통로(520)의 가이드(126)는 자외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된다.
유인부(130)는 유인 통로(520)로 자외선을 방출한다. 유인부(130)는 유인 통로(520)의 출구뿐만 아니라 출구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로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유인 통로(520)의 가이드(126)만 자외선을 투과하는 재질이므로 자외선은 가이드(126)를 따라 유인 통로(520)의 내부 및 포충 장치(500)의 외부로 방출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500)는 복수의 자외선이 유인 통로(520)의 입구에서 출구 방향으로 점점 모아지는 형태로 방출된다. 따라서, 포충 장치(500)는 해충이 자외선을 따라 더 확실하게 유인 통로(520)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600)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6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600)는 포집 케이스(110), 유인부(130) 및 유인 통로(62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유인 통로(620)의 측벽에는 가이드(127)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가이드(127)는 유인 통로(620)의 출구에서 입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 구조이다. 유인 통로(620)의 측벽(121)에는 이와 같은 구조의 가이드(127)가 복수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가이드(127)는 유인 통로(620)의 출구로 갈수록 점점 가까워지는 구조가 된다. 즉, 가이드(127)는 유인 통로(620)의 측벽(121)에 다른 형태의 밀선 구조로 형성된다.
해충은 밀선 구조의 가이드(127)에 의해서 유인 통로(620)를 식물로 오인하여 유인 통로(620)로 모여든다. 이때, 해충을 유인하는 자외선이 가이드(127)를 투과하여 가이드(127)를 따라 포충 장치(60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제5 실시 예 및 제6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도 7의 500 및 도 8의 600)는 밀선 구조로 자외선을 방출하여 해충을 유인 통로(620)를 통과하도록 더 확실하게 유인하며, 포집 케이스(110)에 포집할 수 있다.
제5 실시 예 및 제6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도 7의 500 및 도 8의 600)에서 유인 통로(620)의 가이드(127)는 자외선을 투과시키며, 측벽(121)은 가이드(127)보다 낮은 자외선 투과율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포충 장치(600)는 유인 통로(620)의 측벽(121)은 자외선을 투과시키며, 가이드(127)가 측벽(121)보다 자외선 투과율이 낮거나 자외선을 투과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해충은 자외선이 방출되는 형태를 통해서 가이드(127)의 밀선 구조를 인지하여, 유인 통로(620)를 통과하도록 유인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제7 실시 예 및 제8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제7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700)는 유인 통로(120)가 포집 케이스(110)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때, 유인 통로(120)는 입구가 포집 케이스(110)의 상부 방향을 향한다.
유인 통로(120)의 입구가 포집 케이스(110)의 상부 방향을 향하면, 유인부(130)에서 방출된 자외선이 포집 케이스(110)의 상부 방향으로 방출된다. 이 경우, 해충은 포충 장치(700)의 어느 방향에서도 자외선에 유인될 수 있다. 따라서, 제7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700)는 방향에 관계없이 주변의 해충을 유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고하면, 제8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800)는 유인 통로(120)가 포집 케이스(110)의 측면에 형성된다. 이때, 유인 통로(120)는 입구가 포집 케이스(110)의 측부 방향을 향한다.
유인 통로(120)의 입구가 포집 케이스(110)의 측부 방향을 향하면, 유인부(130)에서 방출된 자외선이 포집 케이스(110)의 측부 방향으로 방출된다. 이 경우, 유인 통로(120)가 포집 케이스(110)의 상부에 형성될 때보다 더 먼 거리까지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특히, 제8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800)는 천장과 가까운 높은 위치에 있을 때, 멀리까지 자외선을 방출하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제8 실시 예에 따른 포충 장치(800)는 먼 거리에 있는 해충을 유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유인 통로(120)가 포집 케이스(110)의 상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유인 통로(120)가 형성되는 위치는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하지 않았지만, 유인 통로(120)에 이전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밀선 구조의 가이드가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유인 통로(120)가 이전 실시 예에서 설명한대로 자외선을 반사시키거나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예의 포충 장치(700, 800)는 유인부(130)가 자외선을 방출하는 것이 아니라 해충을 유인하는 향을 방출하거나 자외선과 향을 모두 방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충 장치가 하나의 유인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포충 장치에는 복수의 유인 통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유인 통로가 형성되는 위치 역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 및 특징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포충 장치
110: 포집 케이스
120, 220, 420, 520, 620: 유인 통로
121: 측벽
123: 연장부
125, 126, 127: 가이드
130, 330: 유인부
131: 기판
132: 발광 다이오드

Claims (17)

  1. 내부로 유입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 케이스;
    상기 포집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 인자를 방출하는 유인부; 및
    상기 포집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며, 측벽으로 상기 해충이 이동하는 통로를 이루는 유인 통로;
    를 포함하고,
    상기 유인부의 상기 유인 인자는 상기 유인 통로를 통해 상기 포집 케이스 외부로 방출되며,
    상기 유인 통로는 상기 포집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한 입구에서 상기 포집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한 출구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좁아지는 구조인 포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인 인자는 자외선인 포충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인 통로는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형성된 포충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인부는 상기 유인 통로의 출구 및 상기 측벽으로 상기 자외선을 방출하는 포충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인 통로의 내벽은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포충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인부는 상기 유인 통로의 출구로 상기 자외선을 방출하는 포충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인 통로는 상기 출구의 일부에서 상기 포집 케이스의 내부로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포충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포충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인부는 상기 연장부의 내벽으로 자외선을 방출하는 포충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인 통로는 상기 측벽에 밀선 구조인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포충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측벽 및 상기 가이드는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형성된 포충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측벽 및 상기 가이드는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 포충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자외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측벽은 상기 가이드보다 자외선 투과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된 포충 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유인 통로의 출구에서 입구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된 구조인 포충 장치.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유인 통로의 출구에서 입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 구조인 포충 장치.
  1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인부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포충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인 인자는 해충을 유인하는 향인 포충 장치.
KR1020180044037A 2018-04-16 2018-04-16 포충 장치 KR201901206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037A KR20190120628A (ko) 2018-04-16 2018-04-16 포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037A KR20190120628A (ko) 2018-04-16 2018-04-16 포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628A true KR20190120628A (ko) 2019-10-24

Family

ID=6842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037A KR20190120628A (ko) 2018-04-16 2018-04-16 포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06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7019B1 (en) Radiating systems for affecting insect behavior
US200301510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sipating and amplifying natural emissions from a resonant cavity
TW202021463A (zh) 捕蟲器
US20100088948A1 (en) Device for catching phototaxis flying insects
KR20160008284A (ko)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KR20190032921A (ko) 살균 효과를 제공하는 uv led 장치
KR20150124766A (ko) 해충 트랩 장치
KR20190120628A (ko) 포충 장치
MXPA05006570A (es) Trampa para insectos.
JP2008154519A (ja) 害虫防除装置
JP2013165653A (ja) ゾウムシ類の捕獲方法
US11968971B2 (en) Trapping method, light source device, and trapping device for adult moths belonging to indoor Phycitinae subfamily
JP6073760B2 (ja) 捕虫装置
KR101608345B1 (ko) 해충 포획 장치
KR20210123563A (ko) 포충기
KR102574929B1 (ko) 포충기
KR101681699B1 (ko) 해충 포획 장치
KR101041708B1 (ko) 해충포획장치
CN113784617A (zh) 捕虫器
JP3246344U (ja) 飛翔及び歩行害虫の捕虫器
KR20190110165A (ko) 포충 장치
JP2005058050A (ja) 捕獲殺虫装置
KR102550057B1 (ko) 비래해충 포획장치
KR102112058B1 (ko) 해충 포집기
KR101959170B1 (ko) 해충 퇴치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