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386A -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386A
KR20190120386A KR1020197029445A KR20197029445A KR20190120386A KR 20190120386 A KR20190120386 A KR 20190120386A KR 1020197029445 A KR1020197029445 A KR 1020197029445A KR 20197029445 A KR20197029445 A KR 20197029445A KR 20190120386 A KR20190120386 A KR 20190120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resin
spherical polyester
spherical
resin particles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178B1 (ko
Inventor
료스케 하라다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0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Explicitly spheroidal or spheric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88Post-polymeris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5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articulate/core
    • A61K2800/654The particulate/core comprising macromolecular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56Non-aqueous solutions or disper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14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polymeric 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 C08L2205/18Sphe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고, 결정화도 20% 이하, 평균 원형도가 0.9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본 발명에 관한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는 파운데이션, 제한제, 스크럽제 등의 화장료용 배합제, 도료용 광택 제거제, 레올로지 개질제, 블로킹 방지제, 윤활성 부여제, 광확산제, 도전제, 의료용 진단 검사제 등의 각종 제제, 자동차 재료, 건축 재료 등의 성형품에 대한 첨가제 등으로서 바람직한 수지 입자군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지 입자는 큰 비표면적 및 입자의 구조를 이용하여, 각종 재료의 개질 및 개량에 사용되고 있다. 주요 용도로는, 파운데이션, 제한제, 스크럽제 등의 화장료용 배합제, 도료용 광택 제거제, 레올로지 개질제, 블로킹 방지제, 윤활성 부여제, 광확산제, 도전제, 의료용 진단 검사제 등의 각종 제제, 자동차 재료, 건축 재료 등의 성형품에 대한 첨가제 등의 용도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미세 입자를 용융시켜 구형상화하는 구형상화 처리 공정을 갖고 있는 광확산 시트용 비즈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44745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투명성이 높은 입자가 얻어지고 있어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입자의 결정화도가 충분히 낮다고는 하기 어렵고, 추가적인 개량이 요구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투명성이 우수한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1]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고, 결정화도 20% 이하, 평균 원형도가 0.9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2] [1]에 기재된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고유 점도가 0.6㎗/g 이하인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를 당해 입자의 융점보다 80℃ 이상 높은 온도에서 용융시켜 구형상화하는 용융 공정과, 구형상화 후의 입자를 상기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고화하는 냉각 공정을 갖는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
[3] [1]에 기재된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와,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가 분산질로서 상기 바인더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액,
[4] [1]에 기재된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 및
[5] [1]에 기재된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성이 우수한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2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3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사진이다.
도 4는 비교예 1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사진이다.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고, 이하의 각종 물성을 갖는다.
(1) 각종 물성
(a) 결정화도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결정화도는 투명성의 관점에서, 2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8%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이하이다. 결정화도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결정화도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결정화도는 JIS K7122:2012 「플라스틱의 전이열 측정 방법」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측정한다. 단, 샘플링 방법·온도 조건에 관해서는 이하와 같이 행한다. 시차 주사 열량계 장치 DSC6220형(에스아이아이 나노테크놀로지사 제조)을 이용하여 알루미늄제 측정 용기의 바닥에 빈틈없이 시료를 약 10㎎ 충전하고, 질소 가스 유량 20㎖/min 하 30℃에서 2분간 유지하고, 속도 10℃/min로 30℃에서 290℃까지 승온했을 때의 DSC 곡선을 얻는다. 이 때의 기준 물질은 알루미나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산출되는 결정화도란, 융해 피크의 면적으로부터 구해지는 융해 열량(J/g)과 결정 피크의 면적으로부터 구해지는 결정화 열량(J/g)의 차를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완전 결정의 이론 융해 열량(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 140.1J/g,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 145.5J/g)으로 나누어 구해지는 비율이다. 융해 열량 및 결정화 열량은 장치 부속의 해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융해 열량은 저온측의 베이스 라인으로부터 DSC 곡선이 분리되는 지점과, 그 DSC 곡선이 다시 고온측의 베이스 라인으로 되돌아가는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DSC 곡선으로 둘러싸이는 부분으로부터 산출된다. 결정화 열량은 저온측의 베이스 라인으로부터 DSC 곡선이 분리되는 지점과, 그 DSC 곡선이 다시 고온측으로 되돌아가는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DSC 곡선으로 둘러싸이는 부분의 면적으로부터 산출된다.
즉, 결정화도는 다음 식으로부터 구해진다.
결정화도(%)=((융해 열량(J/g)-결정화 열량(J/g))/완전 결정의 이론 융해 열량(J/g))×100
부분 융해 열량에 대해서는, 얻어지는 융해 피크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피크가 존재하는 경우는, 융해 피크 중에 존재하면서 볼록한 피크 톱 온도를 기준으로 경계선을 형성하고, 그 경계선으로부터 고온측 및 저온측에 융해 열량을 분할한 각각의 면적(부분 융해 열량)을 판독한다.
(b) 원형도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평균 원형도는 광확산성, 유동성, 내손상성의 관점에서, 0.96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97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98 이상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는 광확산성, 유동성, 내손상성의 관점에서, 원형도가 0.90 이하인 입자의 비율이 바람직하게는 10개수%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개수%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개수%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개수%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원형도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원형도는 플로우식 입자 화상 분석 장치(상품명 「FPIA(등록상표)-3000S」, 시스멕스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으로는, 이온 교환수 20㎖에 분산제로서 알킬벤젠술폰산염 0.05g을 첨가하여 계면 활성제 수용액을 얻는다. 그 후, 상기 계면 활성제 수용액에 측정 대상의 수지 입자군 0.2g을 첨가하고, 분산기로서 BRANSON사 제조의 초음파 분산기 「BRANSON SONIFIER 450」(출력 400W, 주파수 20kHz)을 이용하여 초음파를 5분간 조사하여, 수지 입자군을 계면 활성제 수용액 중에 분산시키는 분산 처리를 행하여 측정용 분산액을 얻는다.
측정에는, 표준 대물 렌즈(10배)를 탑재한 상기 플로우식 입자 화상 분석 장치를 이용하고, 상기 플로우식 입자 화상 분석 장치에 사용하는 시스액으로는, 파티클 시스(상품명 「PSE-900A」, 시스멕스사 제조)를 사용한다. 상기 순서에 따라 조정한 측정용 분산액을 상기 플로우식 입자 화상 분석 장치에 도입하고, 하기 측정 조건에서 측정한다.
측정 모드: LPF 또는 HPF 측정 모드(입경에 의해 적절히 선택한다. 기준으로서 8㎛ 이하의 입경인 경우는 HPF 측정 모드, 8㎛ 이상의 입경인 경우는 LPF 측정 모드를 선택한다)
입자의 측정 개수: 10000개
측정에 있어서는, 측정 개시 전에 표준 폴리머 입자군의 현탁액(예를 들면, Thermo Fisher Scientific사 제조의 「5200A」(표준 폴리스티렌 입자군을 이온 교환수로 희석한 것))을 사용하여 상기 플로우식 입자 화상 분석 장치의 자동 초점 조정을 행한다. 한편, 원형도는 수지 입자를 촬상한 화상과 동일 투영 면적을 갖는 진원의 직경으로부터 산출한 둘레를 수지 입자를 촬상한 화상의 둘레로 나눈 값이다. 평균 원형도는 개개의 입자의 원형도의 합계를 개수 기준의 빈도의 합계로 나눈 값이다. 원형도가 0.90 이하인 입자의 개수의 비율에 대해서는, 상기 측정에 의해 측정된 0.010의 간격(예를 들면, 0.980 이상 0.990 미만)에 있어서의 개수 기준의 빈도의 데이터로부터 산출한다.
데이터 분석에 있어서, 다음의 범위를 설정하여 측정을 행한다.
입자 직경의 측정 범위: 0.5㎛∼200㎛
입자의 원형도의 측정 범위: 0.2∼1.0
(c) 체적 평균 입자 직경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코팅에 사용한 경우 광확산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을 얻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3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쿨터 MultisizerTM 3(벡크만 쿨터사 제조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한다. 측정은 벡크만 쿨터사 발행의 MultisizerTM 3 사용자 매뉴얼에 따라 교정된 애퍼처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측정에 사용되는 애퍼처는 측정하는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선택한다. Current(애퍼처 전류) 및 Gain(게인)은 선택한 애퍼처의 사이즈에 따라 적절히 설정한다. 예를 들면, 50㎛의 사이즈를 갖는 애퍼처를 선택했을 경우, Current(애퍼처 전류)는 -800, Gain(게인)은 4로 설정한다.
측정용 시료로는,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0.1g을 0.1질량%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수용액 10㎖ 중에 터치 믹서(야마토 과학사 제조, 「TOUCHMIXER MT-31」) 및 초음파 세정기(벨보 클리어사 제조, 「ULTRASONICCLEANER VS-150」)를 이용하여 분산시켜, 분산액으로 한 것을 사용한다. 측정 중에는 비커 내를 기포가 들어가지 않을 정도로 천천히 교반하고,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를 10만개 측정한 시점에서 측정을 종료한다.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10만개의 입자의 체적 기준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이다.
(d) 굴절률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굴절률은 코팅에 사용한 경우에 광확산성이 높은 광학 필름을 얻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60∼1.59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65∼1.58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70∼1.580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굴절률은 액침법에 의해 측정된다.
우선, 슬라이드 글라스 상에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를 재치하고, 굴절액(CARGILLE사 제조: 카길 표준 굴절액, 굴절률 nD25 1.560∼1.600의 굴절액을 굴절률차 0.002마다 복수 준비)을 적하한다. 그리고,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와 굴절액을 충분히 혼합한 후, 아래로부터 이와사키 전기사 제조 고압 나트륨 램프 NX35(중심 파장 589㎚)의 광을 조사하면서, 상부로부터 광학 현미경에 의해 입자의 윤곽을 관찰한다. 그리고, 윤곽이 보이지 않는 경우를 굴절액과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굴절률이 동등하다고 판단한다.
한편, 광학 현미경에 의한 관찰은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윤곽을 확인할 수 있는 배율에서의 관찰이면 특별히 문제 없지만, 입자 직경 5㎛의 입자이면 500배 정도의 관찰 배율이 적당하다. 상기 조작에 의해,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와 굴절액의 굴절률이 근접할수록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윤곽이 보이기 어려워지는 점에서,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윤곽을 판별하기 어려운 굴절액의 굴절률을 그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굴절률과 동등하다고 판단한다.
또한, 굴절률차가 0.002인 2종류의 굴절액 사이에서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외견에 차이가 없는 경우는, 이들 2종류의 굴절액의 중간값을 당해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굴절률로 판단한다. 예를 들면, 굴절률 1.554와 1.556의 굴절액 각각에서 시험을 했을 때, 양 굴절액에서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외견에 차이가 없는 경우는, 이들 굴절액의 중간값 1.555를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굴절률로 판정한다.
한편, 상기 측정에 있어서는 시험실 기온 22℃∼24℃의 환경하에서 측정을 실시한다.
(e) 질량 감소율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는 수지 입자 중에 포함되는 휘발 성분의 도공면에 대한 블리드 아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200℃에서 2시간 가열 후의 질량 감소율이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고, 나아가서는 1% 이하이다.
(f) 수분
또한,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는 수지 입자 중에 포함되는 수분이 용제 중에 대한 균일 분산성의 관점에서, 0.01질량%∼0.5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질량%∼0.3질량%의 범위이다. 한편, 수분은 칼 피셔법으로 측정한다.
(2)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이 중, 광학 필름용 배합제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투명성이 높은 구형상 폴리에스테르 수지 입자를 얻는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파운데이션, 스크럽, 제한제 등의 화장료용 배합제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화장료 중의 액체 성분과의 굴절률차가 작은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를 얻는 관점에서,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호모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디카르복실산 성분이나 글리콜 성분 등 다른 성분을 사용한 공중합 폴리머여도 되고, 다른 축합 수지를 혼합시킨 블렌드 폴리머여도 된다.
(3) 기타 첨가제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에는,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면 필요에 따라, 기타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기타 첨가제로는, 가소제, 난연제, 난연 보조제, 대전 방지제, 전착제, 기포 조정제, 충전제, 착색제, 내후제, 노화 방지제, 윤활제, 방담제,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광학 필름용 배합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염료나 안료 등의 착색제를 포함하지 않는 투명 입자가 바람직하다.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은 고유 점도가 0.6㎗/g 이하인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를 당해 입자의 융점보다 80℃ 이상 높은 온도에서 용융시켜 구형상화하는 용융 공정과, 구형상화 후의 입자를 상기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고화하는 냉각 공정을 갖는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투명성이 우수한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가 얻어지는 메커니즘은 확실하지 않지만, 상기 고유 점도의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를 융점보다 80℃ 이상 높은 온도에서 용융함으로써, 분자쇄의 운동이 격렬해진다. 추가로 표면 장력이 작용함으로써 구형상화한다. 그 후, 융점 이하의 온도로 함으로써 분자쇄가 결정을 형성하기 전에 고화함으로써 결정화도를 낮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용융 공정)
용융 공정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는 용융 후의 입자의 결정화도를 낮추는 관점 및 원형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고유 점도가 0.6㎗/g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5㎗/g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g 이하이고, 용융 후의 입자의 강도를 충분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2㎗/g 이상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고유 점도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의 고유 점도는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 0.5g을 테트라클로로에탄/페놀=50/50(질량비) 혼합 용액 100㎖ 중에 가열 용해한 후, 냉각하여 25℃에서 측정된 용액 점도로부터 산출한다.
용융 공정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의 결정화도는 원형도가 높은 입자를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45%이다.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의 결정화도는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된다.
용융 공정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의 평균 원형도는 원형도가 높은 입자를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50∼1.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60∼1.00이다.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의 원형도는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된다.
용융 공정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수지 입자에 충분한 열량을 부여하기 쉽고, 원형도가 높은 입자를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이다.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된다.
한편, 용융 공정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의 조제예)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를 글리콜에테르계 용제와 접촉시키는 공정과, 접촉시킨 후 분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접촉 공정에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를 글리콜에테르계 용제의 존재하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의 결정화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온하고, 그 후에 냉각된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로는, 상기 예시한 것과 동일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로는, 3-메톡시-3-메틸-1-부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분쇄 공정에서는, 공지의 각종 밀을 사용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크러셔, 해머 밀, 페더 밀, 라보 밀서와 같은 분쇄기로 조분쇄한 후, 추가로 예를 들면, 크립트론 시스템(카와사키 중공업사 제조), 슈퍼 로터(닛신 엔지니어링사 제조), 터보 밀(터보 공업 제조), 펄버라이저(호소카와 미크론사 제조) 등의 기계식 분쇄기나, 커런트 제트 밀, 슈퍼 제트 밀(닛신 엔지니어링사 제조) 등의 에어 제트 방식에 의한 미분쇄기로 미분쇄할 수 있다. 그 후, 추가로 필요에 따라 관성 분급 방식의 엘보 제트(닛테츠 광업사 제조), 원심력 분급 방식의 터보플렉스(호소카와 미크론사 제조), TSP 세퍼레이터(호소카와 미크론사 제조), 패컬티(호소카와 미크론사 제조) 등의 분급기나 사분기를 이용하여 분급할 수도 있다.
용융 공정은 용융 후의 입자의 결정화도를 낮추는 관점 및 원형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를 입자의 융점보다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높은 온도에서 용융시켜 구형상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용융 공정의 온도는 수지 입자의 열화에 의한 강도 저하나 투명성을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입자의 융점보다 300℃ 높은 온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로서 융점이 25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330∼550℃에서 용융시켜 구형상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의 융점은 DSC에 의해 얻어지는 승온 과정(승온 속도: 20℃/min)에 있어서의 융점이며, JIS K-7121(1999)에 기초한 방법에 의해, 25℃에서 300℃까지 20℃/분의 승온 속도로 가열(1st RUN), 그 상태로 5분간 유지하고, 이어서 25℃ 이하가 되도록 급냉하고, 재차 실온으로부터 20℃/분의 승온 속도로 300℃까지 승온을 행하여 얻어진 2nd Run의 결정 융해 피크에 있어서의 피크 톱의 온도를 수지 입자의 융점으로 한다.
용융 공정에 있어서의 처리 시간으로는, 수지 입자의 열화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초 이하이다.
용융 공정에서는, 공지의 열풍 표면 개질 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메테오레인보우 MR Type(닛폰 뉴매틱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용융 공정에서 열풍 표면 개질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처리 온도는 열풍의 온도이며, 열풍의 풍량으로는 원형도가 높은 입자를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150L/g,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20L/g, 더욱 바람직하게는 15∼100L/g이다.
(냉각 공정)
냉각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용융 공정에 있어서 구형상화 후의 입자를 입자의 융점 이하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입자의 융점보다 100℃ 이상 낮은 온도에서 고화한다. 냉각 온도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냉각 수단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온 분위기에서의 고화 외, 냉각 자켓을 구비한 배관 내를 통과시켜 고화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는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파운데이션, 제한제, 스크럽제 등의 화장료용 배합제, 도료용 광택 제거제, 레올로지 개질제, 블로킹 방지제, 윤활성 부여제, 광확산제, 도전제, 의료용 진단 검사제 등의 각종 제제, 자동차 재료, 건축 재료 등의 성형품에 대한 첨가제 등의 용도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는 분산액의 양태로서도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이러한 분산액으로는,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와, 바인더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가 분산질로서 바인더에 분산되어 있는 것이다.
바인더로는, 아크릴 수지, 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염소화 폴리올레핀 수지, 아몰퍼스 폴리올레핀 수지, 자외선 경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분산액에는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추가로 가교제, 용제, 도면 조정제, 유동성 조정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경화 촉매, 체질 안료, 착색 안료, 금속 안료, 마이카 분말 안료, 염료 등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액은 광확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광확산 시트 등의 광학용 필름, 광택 제거 도료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면, 광학용 기재 필름 상에 상기 분산액을 도포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광학용 필름을 조제할 수 있고, 이러한 광학용 필름은 광확산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광학용 필름의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분산액 중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와 바인더의 질량비(입자/바인더)는 광확산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을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10∼1/1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1/2이다.
〔광학 필름〕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는 광학 필름용 광확산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기재 필름이 적어도 한쪽의 면에 상기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도공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방현 필름, 광확산 필름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의 재질로는, 투명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화장료〕
추가로,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는 화장료의 배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본 발명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고 있다. 화장료에 있어서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함유량은 화장료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1∼80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5∼70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장료로는, 상기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함유에 의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프리 쉐이브 로션, 바디 로션, 화장수, 크림, 유액, 바디 샴푸, 제한제 등의 액체계 화장료; 비누, 스크럽 세안료 등의 세정용 화장품; 팩류; 면도용 크림; 분류; 파운데이션; 립스틱; 립크림; 블러셔; 눈화장용 화장품; 매니큐어 화장품; 모발 세정용 화장품; 염모료; 헤어 스타일링제; 방향성 화장품; 치약; 욕용제; 자외선 차단 제품; 선탠 제품; 바디 파우더, 베이비 파우더 등의 바디용 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액체계 화장료나 세정용 화장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화장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주제(主劑) 또는 첨가물을 목적에 따라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주제 또는 첨가제로는, 예를 들면 물, 저급 알코올(탄소수 5 이하의 알코올), 유지 및 왁스류, 탄화수소, 고급 지방산(탄소수 12 이상의 지방산), 고급 알코올(탄소수 6 이상의 알코올), 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2-에틸헥산산세틸 등), 금속 비누, 보습제, 계면 활성제(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등), 고분자 화합물, 점토 광물류(체질 안료 및 흡착제 등의 여러 종류의 기능을 겸비한 성분; 탤크, 마이카 등), 색재 원료(산화티탄, 적색 산화철, 황색 산화철, 흑색 산화철 등), 향료, 방부·살균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실리콘계 입자, 폴리스티렌 입자 등의 그 밖의 수지 입자, 특수 배합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의 제조예 1
접촉 공정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Honam Petrochemical Corp.사 제조 상품명 GLOBIO BCB80)의 펠렛 50g,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로서 3-메톡시-3-메틸-1-부탄올(쿠라레사 제조 상품명; 솔피트) 100g을 교반기가 부착된 용량 300㎖의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185℃의 조건하에서 2시간 교반했다. 2시간 후 신속하게 실온까지 냉각하고, 내용물을 여별, 수세, 80℃의 오븐에서의 건조를 거쳐, 용제와 접촉된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의 펠렛 49g을 얻었다.
분쇄 공정
상기 접촉된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를 라보 밀서(오사카 케미컬사 소형 분쇄기 라보 밀서 PLUS LMPLUS)로 조분쇄한 후, 닛신 엔지니어링사 제조 커런트 제트 밀 CJ-10(분쇄 공기압 0.5MPa)으로 미분쇄 처리를 행한 결과, 체적 평균 입자 직경 7.5㎛, 결정화도 38%, 평균 원형도 0.89, 고유 점도 0.4㎗/g의 미세한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의 제조예 2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로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도레이사 제조 상품명 트레콘 PBT 1401X06)를 사용하여, 접촉 공정에 있어서 오토클레이브로 190℃의 조건하에서 2시간 교반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체적 평균 입자 직경 14.5㎛, 결정화도 41%, 평균 원형도 0.88, 고유 점도 0.45㎗/g의 미세한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의 제조예 3
접촉 공정을 행하지 않고, 접촉된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대신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The Far Eastern Industry사 제조, 상품명 「CH611」)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체적 평균 입자 직경 30㎛, 결정화도 39%, 평균 원형도 0.87, 고유 점도 1.05㎗/g의 미세한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를 얻었다.
실시예 1∼3, 비교예 1
표 1에 기재한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를 열풍 표면 개질 장치(닛폰 뉴매틱사 제조 메테오레인보우 MR-10)를 이용하여 표 1에 기재한 조건으로 용융시켜 구형상화 처리를 행하고, 실온(25℃) 분위기에서 고화시켜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를 얻었다. 한편, 용융 처리 시간은 1초 이하였다. 얻어진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에 대해, 주사형 전자 현미경(니혼 덴시 주식회사 제조, 형식: JSM-6360LV)으로 촬영했다. 사진을 도 1∼4에 나타낸다.
각 실시예, 비교예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에 대해, 결정화도, 평균 원형도, 원형도가 0.90 이하인 입자의 비율 및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각 물성의 측정 방법은 상기와 같다.
Figure pct00001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의 결정화도 및 평균 원형도는 모두 동일한 것을 사용했지만, 고유 점도 0.6㎗/g 이하의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를 사용한 실시예 1∼3에서는, 얻어진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결정화도가 낮고, 원형도도 높은 것이었다. 한편, 고유 점도가 1.05인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를 사용한 비교예 1에서는, 얻어진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결정화도가 높고, 원형도도 낮은 것이었다.
또한, 실시예 1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에 대해 액침법으로 굴절률을 확인한 결과, 1.572의 굴절액에서 입자 윤곽이 보이지 않게 되고, 입자 침지액도 투명했다. 한편, 비교예 1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에 대해 액침법으로 1.56∼1.60 사이에서 0.02마다 확인했지만, 입자 윤곽이 보이지 않게 되는 액은 없었다. 따라서, 실시예 1은 비교예 1에 비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 2, 3에 대해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투명성이 우수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에 대해, 수분 및 질량 감소율을 측정했다. 질량 감소율의 측정에는, TGA 장치(세이코 인스트루사 제조 TG/DTA6200)를 이용하여, 공기 분위기 중에서 40∼200℃까지는 10℃/min로 승온하고, 200℃에 달한 후 2시간 유지하여 질량 감소율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PET 필름용 코팅 재료 제조예 1)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7.5질량부와, 아크릴 수지(DIC사 제조, 제품명 아크리딕 A811) 30질량부, 가교제(DIC사 제조, 제품명 VM-D) 10질량부, 용제로서 초산부틸 50질량부를 교반 탈포 장치를 이용하여 3분간 혼합하고 1분간 탈포함으로써,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을 클리어런스 50㎛의 블레이드를 세트한 도공 장치를 이용하여 두께 125㎛의 PET 필름 상에 도포한 후, 70℃에서 10분 건조함으로써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헤이즈는 78.6%, 전광선 투과율은 90.8%였다.
헤이즈 및 전광선 투과율의 측정은 헤이즈미터(니혼 전색 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NDH4000」)를 사용하여, JIS K 7361-1에 따라 측정했다.
(도료 제조예)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각각의 수지 입자 2질량부와, 시판의 아크릴계 수성 유광 도료(칸페 하피오사 제조, 상품명 슈퍼 히트) 20질량부를 교반 탈포 장치를 이용하여, 3분간 혼합하고 1분간 탈포함으로써 도료를 얻었다.
얻어진 도료를 클리어런스 75㎛의 블레이드를 세트한 도공 장치를 이용하여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판 상에 도포한 후, 건조함으로써 도막을 얻었다. 얻어진 도막을 HORIBA사 제조 GLOSS CHECKER IG-330을 이용하여 측정한 글로스(60°)는 14였다.
(화장료 제조예)
화장 유액의 제조
·제조법
우선, 스테아르산, 세틸알코올, 바셀린, 유동 파라핀, 폴리에틸렌모노올레산에스테르를 가열 용해하고, 여기에 수지 입자를 첨가·혼합하여 70℃로 보온한다(유상). 또한, 정제수에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고, 가열 용해하여 70℃로 보온한다(수상). 수상에 유상을 첨가하여 예비 유화를 행하고, 그 후 호모 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유화 후 교반하면서 30℃까지 냉각시킴으로써 화장 유액을 얻는다.
·배합량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수지 입자 10.0질량부
스테아르산 2.5질량부
세틸알코올 1.5질량부
바셀린 5.0질량부
유동 파라핀 10.0질량부
폴리에틸렌(10몰)모노올레산에스테르 2.0질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3.0질량부
트리에탄올아민 1.0질량부
정제수 64.5질량부
향료 0.5질량부
방부제 적당량
본 발명에 관한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는 파운데이션, 제한제, 스크럽제 등의 화장료용 배합제, 도료용 광택 제거제, 레올로지 개질제, 블로킹 방지제, 윤활성 부여제, 광확산제, 도전제, 의료용 진단 검사제 등의 각종 제제, 자동차 재료, 건축 재료 등의 성형품에 대한 첨가제 등으로서 바람직한 수지 입자군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고, 결정화도 20% 이하, 평균 원형도가 0.9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2. 제 1 항에 있어서,
    200℃에서 2시간 가열 후의 질량 감소율이 3% 이하인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형도가 0.90 이하인 입자의 비율이 10개수% 이하인 구형상 폴리에스테르 수지 입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학 필름용 배합제인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료용 배합제인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료용 배합제인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고유 점도가 0.6㎗/g 이하인 폴리에스테르계 원료 수지 입자를 당해 입자의 융점보다 80℃ 이상 높은 온도에서 용융시켜 구형상화하는 용융 공정과, 구형상화 후의 입자를 상기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고화하는 냉각 공정을 갖는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와,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가 분산질로서 상기 바인더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액.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20197029445A 2017-03-31 2018-03-20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82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71628 2017-03-31
JP2017071628 2017-03-31
PCT/JP2018/010927 WO2018180738A1 (ja) 2017-03-31 2018-03-20 球状ポリエステル系樹脂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386A true KR20190120386A (ko) 2019-10-23
KR102382178B1 KR102382178B1 (ko) 2022-04-01

Family

ID=63675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445A KR102382178B1 (ko) 2017-03-31 2018-03-20 구형상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32572B2 (ko)
JP (2) JP7106524B2 (ko)
KR (1) KR102382178B1 (ko)
CN (1) CN110461912B (ko)
TW (1) TWI757462B (ko)
WO (1) WO20181807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067A (ko) * 2020-06-05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색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5492A (ja) * 2004-01-30 2005-08-11 Sekisui Chem Co Ltd 球状トナー
KR20080108471A (ko) * 2006-03-13 2008-12-15 우데 인벤타-피쉬에르 아게 폴리에스테르 물질을 포함하는 비점착성 과립 제조방법 및 제조된 과립의 가공 방법
KR20130043240A (ko) * 2011-01-31 2013-04-29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폴리락트산계 수지 미립자의 제조 방법, 폴리락트산계 수지 미립자 및 그것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화장품
JP2013144745A (ja) 2012-01-13 2013-07-25 Keiwa Inc 光拡散シート用ビーズ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8753A (en) * 1975-08-05 1977-02-12 Toray Ind Inc Chips for molding composed of a polyester-polyether block copolymer an d a process for preparing them
JPS6031856B2 (ja) * 1983-05-23 1985-07-24 株式会社東芝 熱可塑性粒子の球型化方法
JPH10204162A (ja) * 1997-01-22 1998-08-04 Mitsubishi Chem Corp ポリエステル粒状体及びこれを用いた容器の製造方法
CA2337955C (en) 2000-03-15 2006-07-25 Hoya Corporation Plastic lenses for spectacles
ITTO20020714A1 (it) * 2002-08-09 2004-02-10 Giuliano Cavaglia Procedimento per la polimerizzazione continua di
US20060047102A1 (en) * 2004-09-02 2006-03-02 Stephen Weinhold Spheroidal polyester polymer particles
EP2305739B1 (en) 2008-05-23 2012-09-19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Resin P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03140540B (zh) * 2010-09-28 2014-07-23 东丽株式会社 聚合物微粒的制造方法
JP6543920B2 (ja) 2014-11-28 2019-07-17 東レ株式会社 ポリマー微粒子
EP3375608B1 (en) * 2017-03-17 2021-05-05 Ricoh Company, Ltd. Resin powder for solid freeform fabrication and device for solid freeform fabrication objec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5492A (ja) * 2004-01-30 2005-08-11 Sekisui Chem Co Ltd 球状トナー
KR20080108471A (ko) * 2006-03-13 2008-12-15 우데 인벤타-피쉬에르 아게 폴리에스테르 물질을 포함하는 비점착성 과립 제조방법 및 제조된 과립의 가공 방법
KR20130043240A (ko) * 2011-01-31 2013-04-29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폴리락트산계 수지 미립자의 제조 방법, 폴리락트산계 수지 미립자 및 그것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화장품
JP2013144745A (ja) 2012-01-13 2013-07-25 Keiwa Inc 光拡散シート用ビーズ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Nanoparticles(J. APPL. POLYM. SCI. 2014, DOI: 10.1002/APP.40909)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178B1 (ko) 2022-04-01
CN110461912A (zh) 2019-11-15
JPWO2018180738A1 (ja) 2019-12-26
JP7331210B2 (ja) 2023-08-22
JP7106524B2 (ja) 2022-07-26
CN110461912B (zh) 2022-11-01
TW201843217A (zh) 2018-12-16
US20200131306A1 (en) 2020-04-30
TWI757462B (zh) 2022-03-11
JP2022159278A (ja) 2022-10-17
US11332572B2 (en) 2022-05-17
WO2018180738A1 (ja)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8995B2 (en) Porous resin microparticle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JP5439102B2 (ja) 中空粒子、その製造法及びその用途
EP2302465A1 (en) Method for producing electrophotographic toner
JP2014092579A (ja) 液体現像剤
JP7331210B2 (ja) 球状ポリエステル系樹脂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7759037B2 (en) Release agent, to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6522135B2 (ja) 複合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JP2022135891A (ja) 多糖類含有粒子、該粒子の製造方法、及び該粒子の用途
JP6645944B2 (ja) 複合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CA2887965C (en) Toner comprising colorant wax dispersion
KR102022254B1 (ko)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KR20190090336A (ko) 보안 토너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474387B1 (k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입자
RU2775238C2 (ru) Защитный тонер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TWI619747B (zh) 由熱塑性樹脂所構成之大致呈球狀之樹脂粒子、其製造方法及其用途
KR20100115148A (ko) 토너의 제조방법
JP6831233B2 (ja) 液体現像剤
JP2007232862A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内部の顔料分散性測定方法
US20240174873A1 (en) Inkjet ink and injket ink production method
DE102019128961A1 (de) Toner
JP2020177190A (ja) 液体現像剤
WO2019107381A1 (ja) 液体現像剤
KR20130053054A (ko) 토너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