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639A -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639A
KR20190118639A KR1020197027771A KR20197027771A KR20190118639A KR 20190118639 A KR20190118639 A KR 20190118639A KR 1020197027771 A KR1020197027771 A KR 1020197027771A KR 20197027771 A KR20197027771 A KR 20197027771A KR 20190118639 A KR20190118639 A KR 20190118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device
data
terminal device
uplink
uplink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닝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18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127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해당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캐싱된 제 2 상향 데이터가 있는 경우,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제 2 상향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캐싱된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나타내고, 해당 제 2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향 리소스 및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나타내고, 해당 제 2 상향 데이터는 해당 제 1 상향 데이터 이외의 상향 데이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시스템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장기 진화(LTE :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 대부분의 데이터 채널은 모두 스케줄링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리소스를 요청한 후에 새로운 상향 데이터가 발생하거나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보고한 데이터 량이 단지 송신 대기하는 것의 일부인 경우, 보고하지 않은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전송되지 않으므로 인해, 이 부분의 데이터의 전송 지연을 증가시켜, 시스템의 전송 성능을 저하시킨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스템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 1 양태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였고, 해당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향 리소스에서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캐싱된 제 2 상향 데이터가 있는 경우,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상향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캐싱된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2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향 리소스 및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나타내고, 상기 제 2 상향 데이터는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 이외의 상향 데이터이다.
단말기 디바이스에 별도의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캐싱된 보고하지 않은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므로, 시스템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제어 시그널링에 별도의 정보를 사용하여 예비 상향 리소스의 필요 여부를 나타낼 필요가 없고,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제어 시그널링에 상향 리소스의 요구가 있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에 예비 상향 리소스를 자발적으로 할당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예비 리소스를 요청하는 정보를 별도로 송신할 수도 있고, 즉 반드시 캐싱된 데이터가 있는 경우 예비 리소스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예비 리소스를 먼저 요구한 다음 캐싱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캐싱된 데이터가 있는 경우, 예비 리소스를 사용하여 전송을 진행한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향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후에 캐싱된 상향 데이터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전에 캐싱된 상향 데이터이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한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제 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포맷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한다.
전송 포맷은 제 1 제어 시그널링에 포함된 비트 수, 또는 제 1 제어 시그널링에 포함된 내용 등일 수 있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해당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스케줄링 요청(SR : scheduling request) 또는 버퍼 상태 보고(BSR : buffer status report)일 수 있다. 해당 SR는 복수의 비트를 포함할 수 있고, 일 비트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예비 상향 데이터의 요구가 있음을 나타낸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기대하는 상기 예비 리소스의 크기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예비 리소스의 위치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안한 크기 및 / 또는 위치에 의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당 예비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안한 크기 및 / 또는 위치에 의하지 않고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당 예비 리소스를 할당할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신에 의해 결정된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 이외의 상향 데이터를 캐싱하지 않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3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지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3 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예비 리소스에서 상향 데이터 전송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상향 데이터 전송이 있는 경우에는 수신하고, 상향 데이터 전송이 없는 경우에는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 Medium Access Control) 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 운반된다.
선택 가능하게, 해당 제 3 정보는 데이터 채널에 의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MAC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고, 물리 제어 채널에 의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물리 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다.
제 2 양태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 해당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향 리소스에서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캐싱된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2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향 리소스 및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나타낸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제 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포맷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스케줄링 요청 SR 또는 버퍼 상태 보고 BSR이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기대하는 상기 예비 리소스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크기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데이터 전송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향 데이터 전송을 모니터링하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제 2 상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상향 데이터는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 이외의 상향 데이터이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향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후에 캐싱된 상향 데이터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전에 캐싱된 상향 데이터이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3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MAC 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 운반된다.
제 3 양태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 4 양태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 5 양태는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에 의해 연결된다. 해당 메모리는 명령어를 기억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 6 양태는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에 의해 연결된다. 해당 메모리는 명령어를 기억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 7 양태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의 방법 또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의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기억하는 컴퓨터 기억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양태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 또는 다른 양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알기 쉽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하나의 응용 장면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스케줄링에 따른 상향 데이터 전송 방식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다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다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다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을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술 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SM : 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 Genera1 Packet Radio Service), 장기적 진화형(LTE :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복신(FDD : 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복신(TDD : Time Division Duplex),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와이맥스(WiMAX :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통신 시스템 또는 미래 5G 시스템 등에 응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은 각종 비 직교 다중 접속 기술의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스파스 코드 다중 접속(SCMA : Sparse Code Multiple Access) 시스템, 저밀도 사인(LDS : Low Density Signature) 시스템 등에 응용될 수 있고, 물론, SCMA 시스템 및 LDS 시스템은 통신 분야에서 다른 이름으로 부를 수도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은 비 직교 다중 접속 기술에 의한 다중 반송파 전송 시스템, 예를 들어, 비 직교 다중 접속 기술에 의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필터 뱅크 멀티 캐리어(FBMC : Filter Bank Multi-Carrier), 일반적인 주파수 분할 다중화(GFDM : 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필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F-OFDM : Filtered-OFDM) 시스템 등에도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UE : User Equipment),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이동 기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휴대 전화, 이동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 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휴대용 기기, 컴퓨팅 기기,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다른 처리 기기, 자동차 기기, 웨어러블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의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미래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의 단말기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GSM 또는 CDMA의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 WCDMA 시스템의 기지국(NB : NodeB), LTE 시스템의 진화형 기지국(eNB 또는 eNodeB : Evolutional NodeB),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RAN : Cloud Radio Access Network)의 무선 컨트롤러,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자동차 기기 또는 웨어러블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형 PLMN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하나의 응용 장면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의 통신 시스템은 단말기 디바이스(10)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20)는 단말기 디바이스(10)에 통신 서비스 및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1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20)에 의해 송신된 동기화 신호, 브로드캐스트 신호 등을 검색하여 네트워크와 통신을 진행한다. 도 1에 나타낸 화살표는 단말기 디바이스(10)와 네트워크 디바이스(20) 사이의 셀룰러 링크에서 상향 / 하향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스케줄링에 따른 상향 데이터 전송 방식(100)을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해당 방법(100)은 S110단계~ S140단계를 포함한다.
S110단계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스케줄링 요청(SR : scheduling request)을 개시하여, 단말기에 전송 대기하는 데이터가 있음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통지한다.
S120단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스케줄링 요청에 의하여 대응하는 물리 하향 제어 채널(PDCCH :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서 하향 제어 정보(DCI :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송신하고, 그중에 상향 리소스 권한 부여가 포함된다.
S130단계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향 리소스 권한 부여에 의하여 대응하는 상향 리소스에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고, 여기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버퍼에 데이터가 남아 있으면, 해당 데이터 채널에서 버퍼 상태 정보(BSR : buffer status report)를 계속해서 전송한다.
S140단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BSR에 의하여 상향 리소스 권한 부여를 진일보로 송신한다.
상기 단계를 단말기가 요청을 재개시하지 않을 때까지 반복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에서 일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상향으로 데이터 송신이 있고, 이미 캐싱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데이터를 위해 상향 리소스를 요구하여 송신에 사용할 필요가 있다. SR 제어 채널에 의하여 스케줄링 요청을 송신하거나, 또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에 의하여 경합 방식으로 스케줄링 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일정한 스케줄링 규칙에 의하여 가능한 경우 일부 리소스를 할당하여 BSR 정보의 송신에 사용하고, 상향 리소스 권한 부여에 의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에 통지하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BSR를 송신하여 대응하는 논리 채널 그룹에 송신이 필요한 데이터가 어느 정도 있는지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통지하고, 상향 스케줄링은 하나의 무선 베어러가 아니라 논리 채널 그룹에 대한 것이고, 그리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요청하는 리소스의 상황에 의하여 대응하는 리소스를 할당하고, 그리고 상향 리소스 권한 부여에 의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에 통지하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자신의 논리 채널에서 일정한 우선 순위 규칙에 의하여 상향 데이터를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가 요구하는 리소스의 크기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통지한 데이터 량만 전송할 수 있고, 실제상으로 다른 부분의 데이터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캐싱되어 있는 것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모른다. 따라서 이 부분의 데이터 량은 일반적으로 다음번에 보고할 필요가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이 부분의 데이터에 리소스를 다시 할당하는 경우, 이 부분의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전송되지 않아, 지연을 증가시키고, 특히, 저지연의 서비스에 있어서 전송 성능을 저하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 방법(2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과 같이 해당 방법(200)은 S210단계~ S240단계를 포함한다.
S210단계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해당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캐싱된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요청한다.
S220단계에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향 리소스 및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나타낸다.
S230단계에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향 리소스에서 해당 제 1 상향 데이터를 전송한다.
S240단계에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캐싱된 제 2 상향 데이터가 있는 경우,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제 2 상향 데이터를 송신하고, 해당 제 2 상향 데이터는 해당 제 1 상향 데이터 이외의 상향 데이터이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송신해야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향 리소스를 요구하고, 예를 들어, 물리 상향 제어 채널(PUCCH :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 의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SR를 송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PUCCH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로부터의 SR 보고가 있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보고한 상향 데이터에 리소스를 할당해야 하고, 또한 보고하지 않은 상향 데이터에 리소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여야 하고,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보고한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향 리소스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지시하여야 하고, 보고하지 않은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예비 상향 리소스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지시하여야 하므로, 단말기 디바이스가 보고한 데이터에 할당한 상향 리소스를 사용하여 보고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보고한 상향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가 캐싱된 경우,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사용하여 보고하지 않은 상향 데이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시스템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에 할당한 예비 상향 리소스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는 별도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는 일시적으로 송신하여야하는 데이터가 없지만, 자신의 상태에 의하여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요구할 수 있고, 송신하는 상향 데이터가 일단 존재하면, 요구한 예비 상향 리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송 대기하는 데이터가 반드시 있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상향 데이터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후에 캐싱된 상향 데이터이거나, 또는 해당 제 2 상향 데이터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전에 캐싱된 상향 데이터이다.
또한,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전에 보고하지 않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후에 도달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에 데이터 1 및 데이터 2가 도달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데이터 1만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할당한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데이터 2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에 데이터 1만이 도달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데이터 1을 보고 한 후, 또한 데이터 3이 단말기 디바이스에 도달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는 마찬가지로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3을 전송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제 1 정보는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해당 제 2 정보는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한다. 예를 들어, 해당 제 1 정보는 1 bit일 수 있고, 상향 리소스가 필요되지 않는 것을 "0"으로 나타내고, 상향 리소스가 필요되는 것을 "1"로 나타낸다. 해당 제 2 정보는 1 bit일 수 있고,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지 않는 것을 "0"으로 나타내고,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1"로 나타낸다. 또한 복수의 비트를 사용하여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의 할당 여부 또는 상향 리소스의 필요 여부를 지시하는 것을 미리 약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제어 시그널링의 어느 몇개의 비트를 제 1 정보로 하고, 어느 몇개의 비트를 제 2 정보로 할지를 미리 약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제어 시그널링이 5 bit인 경우, 앞의 3 개의 bit를 제 1 정보로, 뒤의 2 개의 bit를 제 2 정보로 약속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제 1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제 1 정보는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해당 제 1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포맷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제 1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포맷을 사용하여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하여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해당 전송 포맷은 제어 시그널링에 포함된 비트 수를 가르킬 수 있고, 제어 시그널링에 포함된 내용 등을 가르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고정 비트 수를 포함하는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가 필요되는 것으로 볼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기 디바이스는 미리 약속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5 비트가 포함된 해당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한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각종 전송 포맷을 구비할 수 있고, 3 비트 또는 다른 것일 수도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스케줄링 요청 SR 또는 버퍼 상태 보고 BSR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각 단말기 디바이스에 하나의 전용 SR 리소스를 할당하여 SR를 송신하고, 해당 SR 리소스는 주기적인 것이며, n 개의 서브 프레임에 1 회 출현한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향 리소스의 필요 여부를 SR에 의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통지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R를 수신한 후, 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어도 BSR를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를 할당한다.
또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SR에 의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향 리소스를 요청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송신할 필요가 있는 상향 데이터의 유무만을 나타내지만, 어느 정도의 상향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는지는 나타내지 않는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그 상향 buffer에 송신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가 어느 정도 있는지를 BSR에 의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통지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어느 정도의 상향 리소스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할당할지를 결정하도록 한다. 즉, 단말기 디바이스는 적어도 일부 논리 채널의 버퍼 상태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통지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했을 경우, BSR 보고를 트리거한다. 1.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데이터 buffer가 비어 있고, 또한 새로운 데이터가 도달하고,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향 데이터를 처음으로 송신한다. 해당 BSR를 "Regular BSR"라 하고, 높은 우선 순위의 데이터가 도달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하나의 BSR를 송신하고, 상향 권한 부여를 대기하는 경우, 이때 더 높은 우선 순위의 데이터를 송신해야하면, 단말기 디바이스는 BSR 보고를 트리거한다. 해당 BSR를 "Regular BSR"라 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자신의 buffer 상태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하나의 timer를 배치하고, 해당 timer가 타임아웃될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BSR 보고를 트리거한다. 해당 BSR를 "Periodic BSR"라 하고, 4.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하나의 timer를 배치하고, 해당 timer가 타임아웃되고 또한 UE의 어느 하나의 논리 채널에 송신 가능한 데이터가 있는 경우, BSR를 트리거 한다. 해당 BSR를 "Regular BSR '라 한다. 상기 임의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BSR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여기서 SR 또는 BSR는 기존의 SR 또는 BSR와 다르고, 여기서 SR는 하나의 비트뿐이 아닐 수 있고, 복수의 비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R는 2 bit를 사용하여 적어도 일부 논리 채널의 버퍼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BSR는 적어도 하나의 bit를 포함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안하는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의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안하는 크기에 의하여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안하는 크기에 의하지 않고, 해당 상향 리소스의 크기, 위치를 스스로 할당할 수도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상향 데이터 이외의 상향 데이터가 캐싱하지 않은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3 정보를 송신하고, 해당 제 3 정보는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지시한다.
이상과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하지 않은 상향 데이터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있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사용하여 이 부분의 상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하지 않은 상향 데이터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없는 경우,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모니터링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단말기 디바이스에 통지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로부터의 통지가 필요되지 않고, 데이터 전송 여부를 스스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는 물리 채널 또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 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의 데이터 채널을 사용하여,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보고하는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동시에 보고하지 않은 상향 데이터에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여, 일단 보고하지 않은 데이터가 존재하면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때문에, 이 부분의 데이터의 지연을 초래하지 않고, 시스템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 방법(3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와 같이 해당 방법(300)은 S310단계~ S330단계를 포함한다.
S310단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해당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캐싱된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한다.
S320단계에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해당 제 2 제어 시그널링은 해당 제 1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향 리소스 및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나타낸다.
S330단계에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향 리소스에서 해당 제 1 상향 데이터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제어 시그널링, 예를 들어 BSR를 수신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종래와 같이 보고한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이외에, 단말기 디바이스에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할 수도 있다. 또한 정상적으로 할당한 상향 리소스와 함께 단말기 디바이스에 지시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사용하여 보고하지 않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시스템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제 1 정보는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해당 제 2 정보는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해당 방법은 또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정보에 의하여 해당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 및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제 2 정보에 의하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해당 제 1 정보는 1bit일 수 있고, 상향 리소스가 필요되지 않음을 "0"으로 나타내고, 상향 리소스가 필요됨을 "1"로 나타낸다. 해당 제 2 정보도 1bit일 수 있고,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할 필요가 없음을 "0"으로 나타내고,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함을 "1"로 나타낸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제어 시그널링의 제 1 정보가 1이고, 제 2 정보가 1인 것을 해석한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정상적인 리소스뿐만아니라 예비 리소스도 단말기 디바이스에 할당할 필요가 있음을 확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제 1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제 1 정보는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해당 방법은 또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정보에 의하여 해당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 및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포맷에 의하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해당 전송 포맷은 제어 시그널링이 포함하는 비트 수를 가르킬 수 있고, 제어 시그널링이 포함하는 내용을 가르킬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단말기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제어 시그널링이 포함하는 비트 수가 5이면 예비 상향 리소스가 필요된다고 약정한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5 개의 비트라고 해석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확정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스케줄링 요청 SR 또는 버퍼 상태 보고 BSR이다.
또한, 여기서 SR 또는 BSR는 기존의 SR 또는 BSR와 다르고, 여기서 SR는 하나의 비트만이 아닐 수 있고, 복수의 비트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SR는 2bit를 사용하여 적어도 일부 논리 채널의 버퍼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BSR도 적어도 하나의 bit를 포함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또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해당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기대하는 해당 예비 리소스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단계는,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크기 정보에 의하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데이터 전송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향 데이터 전송을 모니터링하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제 2 상향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제 2 상향 데이터는 해당 제 1 상향 데이터 이외의 상향 데이터이다.
이상과 같이, 해당 제 2 상향 데이터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 캐싱된 상향 데이터이거나, 또는 해당 제 2 상향 데이터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전에 캐싱된 상향 데이터이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또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3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해당 제 3 정보는 해당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상향 데이터를 전송 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3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MAC 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 운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보고한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동시에, 보고하지 않은 상향 데이터에도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여, 일단 보고하지 않은 데이터가 있으면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때문에, 이 부분의 데이터의 지연을 초래하지 않으며, 시스템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설명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기 디바이스의 인터렉션 및 관련 특성, 기능 등은 단말기 디바이스의 관련 특성, 기능 등에 대응된다. 즉,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어떠한 정보를 송신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대응되게 그러한 정보를 수신한다.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는 실행 순서의 전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재적 논리에 의해 확정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행 과정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디바이스(4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와 같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400)는 제 1 송신 유닛(410), 수신 유닛(420) 및 제 2 송신 유닛(430)을 포함한다.
제 1 송신 유닛(41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캐싱된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한다.
수신 유닛(420)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향 리소스 및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나타낸다.
제 2 송신 유닛(430)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향 리소스에서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캐싱된 제 2 상향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상향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상향 데이터는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 이외의 상향 데이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스템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향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에 캐싱된 상향 데이터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전에 캐싱된 상향 데이터이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제 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포맷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스케줄링 요청 SR 또는 버퍼 상태 보고 BSR이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기대하는 상기 예비 리소스의 크기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유닛(410)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 이외의 상향 데이터를 캐싱하지 않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3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지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MAC 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 운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디바이스(400)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되고, 단말기 디바이스(400)의 각 유닛의 조작 및 / 또는 기능은 도 3에 나타내는 방법(200)의 단말기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과 같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는 제 1 수신 유닛(510), 송신 유닛(520) 및 제 2 수신 유닛(530)을 포함한다.
제 1 수신 유닛(510)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캐싱된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한다.
송신 유닛(520)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향 리소스 및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나타낸다.
제 2 수신 유닛(530)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향 리소스에서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스템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확정 유닛(540) 및 제 2 확정 유닛(550)을 더 포함하고, 제 1 확정 유닛(540)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제 2 확정 유닛(550)은 상기 제 2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제 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제 3 확정 유닛(560) 및 제 4 확정 유닛(570)을 포함하고, 제 3 확정 유닛(560)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제 4 확정 유닛(570)은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포맷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스케줄링 요청 SR 또는 버퍼 상태 보고 BSR이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할당 유닛(580)을 포함하고, 할당 유닛(580)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기대하는 상기 예비 리소스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할당 유닛(580)은 구체적으로, 상기 크기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모니터링 유닛(590)을 더 포함하고, 모니터링 유닛(590)은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데이터 전송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유닛(520)은 또한 상향 데이터 전송을 모니터링하면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제 2 상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상향 데이터는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 이외의 상향 데이터이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향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에 캐싱된 상향 데이터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전에 캐싱된 상향 데이터이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 유닛(510)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3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MAC 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 운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되고,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의 각 유닛의 조작 및 / 또는 기능은 도 4에 나타내는 방법(300)의 단말기 디바이스의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디바이스(600)를 제공하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600)는 도 5의 단말기 디바이스(400)일 수 있고, 도 3의 방법(100)에 대응하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내용을 실행할 수 있다.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600)는 입력 인터페이스(610), 출력 인터페이스(620), 프로세서(630) 및 메모리(640)를 포함하고,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610), 출력 인터페이스(620), 프로세서(630) 및 메모리(640)는 버스 시스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640)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기억한다. 상기 프로세서(630)는 상기 메모리(640)의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실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610)가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620)가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조작을 실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시스템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630)는 중앙 처리 유닛(CPU : Central Processing Unit),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 Digital Signal Processor), 전용 집적 회로(ASIC :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고,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해당 메모리(640)는 읽기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있고, 프로세서(630)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640)는 또한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640)는 또한 디바이스 유형의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실현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630)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어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개시되는 방법의 내용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완성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그룹 사이의 조합에 의해 실행되어 완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본 분야에서 성숙된 기억 매체에 존재한다. 해당 기억 매체는 메모리(640)에 존재하고, 프로세서(630)는 메모리(640) 내의 정보를 읽고, 그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내용을 완성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400)의 수신 유닛(420)은 도 7의 입력 인터페이스(610)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400)의 제 1 송신 유닛(410) 및 제 2 송신 유닛(430)은 도 7의 출력 인터페이스(620)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700)를 제공하였고,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700)는 도 6의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일 수 있고, 도 4의 방법(300)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내용을 실행할 수 있다.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700)는 입력 인터페이스(710), 출력 인터페이스(720), 프로세서(730) 및 메모리(740)를 포함하고,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710), 출력 인터페이스(720), 프로세서(730) 및 메모리(740)는 버스 시스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740)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기억한다. 상기 프로세서(730)는 상기 메모리(740)의 프로그램, 명령어 및 코드를 실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710)가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720)가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조작을 실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시스템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730)는 중앙 처리 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 Digital Signal Processor), 전용 집적 회로(ASIC :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해당 메모리(740)는 읽기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730)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740)는 또한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740)는 디바이스 유형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현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730)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어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개시되는 방법의 내용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완성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그룹 사이의 조합에 의해 실행되어 완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본 분야에서 성숙된 기억 매체에 존재할 수 있다. 해당 기억 매체는 메모리(740)에 존재하고, 프로세서(730)는 메모리(740) 내의 정보를 읽고, 그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내용을 완성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의 제 1 확정 유닛(540), 제 2 확정 유닛(550), 제 3 확정 유닛(560), 제 4 확정 유닛(570), 할당 유닛(580) 및 모니터링 유닛(590)은 도 8의 프로세서(730)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송신 유닛(520)은 도 8의 출력 인터페이스(720)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제 1 수신 유닛(510) 및 제 2 수신 유닛(530)은 도 8의 입력 인터페이스(710)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되는 실시예에 설명되어 있는 각 예시적인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고,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드웨어의 형식이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식으로 실시할지에 대해서는 기술 방안의 특정 응용 및 설계 제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당업자는 각 특정된 응용에 의하여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되어 있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실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당업자는 상기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하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공개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언급 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순한 로직 기능 구분이며, 실제적으로 실현할 때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고,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를 다른 시스템에 결합하거나 집적할 수 있고, 또는 일부 특징을 생략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명시되거나 검토되고 있는 서로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상기에서 분리 컴포넌트로 설명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것일 수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 유닛으로 나타내는 컴포넌트는 물리적 유닛일 수 있고,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고, 즉 한 곳에 배치될수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의하여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의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방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시킬 수 있고, 각 유닛은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유닛일 수 있고, 두 개 이상의 유닛을 하나의 유닛에 집적시킬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을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방식으로 실현하고, 또한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실질적으로, 바꾸어 말하면 선행 기술에 대해 공헌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 방안의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기억 매체에 기억되고, 컴퓨터 장치(PC,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복수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기 기억 매체는 USB 메모리, 이동 기억 매체, 읽기 전용 메모리(ROM :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기억 장치(RAM :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콤팩트 디스크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것은 단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되어 있는 범위내에서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변형 또는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특허 청구 범위에 준하여야 한다.

Claims (36)

  1.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향 리소스에서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캐싱된 제 2 상향 데이터가 있는 경우,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상향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캐싱된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2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기 상향 리소스 및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나타내고,
    상기 제 2 상향 데이터는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 이외의 상향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향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후에 캐싱된 상향 데이터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전에 캐싱된 상향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기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제 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기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포맷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스케줄링 요청 SR 또는 버퍼 상태 보고 BS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기대하는 상기 예비 리소스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 이외의 상향 데이터를 캐싱하지 않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3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MAC 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향 리소스에서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캐싱된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2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기 상향 리소스 및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제 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포맷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스케줄링 요청 SR 또는 버퍼 상태 보고 BS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기대하는 상기 예비 리소스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크기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5.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데이터 전송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향 데이터 전송을 모니터링하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제 2 상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상향 데이터는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 이외의 상향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향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후에 캐싱된 상향 데이터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전에 캐싱된 상향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7. 제 9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3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MAC 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9.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송신 유닛,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제 1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향 리소스에서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캐싱된 제 2 상향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상향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 2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캐싱된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2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기 상향 리소스 및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나타내고,
    상기 제 2 상향 데이터는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 이외의 상향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향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에 캐싱된 상향 데이터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전에 캐싱된 상향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1. 제 19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2. 제 19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제 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포맷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3. 제 19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스케줄링 요청 SR 또는 버퍼 상태 보고 BS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4. 제 19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기대하는 상기 예비 리소스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5. 제 19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 이외의 상향 데이터를 캐싱하지 않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3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MAC 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7.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수신 유닛,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및
    제 1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향 리소스에서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2 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캐싱된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2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할당한 상향 리소스 및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제 1 확정 유닛 및 제 2 확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확정 유닛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확정 유닛은 상기 제 2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제 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제 3 확정 유닛 및 제 4 확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확인 유닛은 상기 제 1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에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4 확인 유닛은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포맷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0. 제 2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스케줄링 요청 SR 또는 버퍼 상태 보고 BS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1. 제 27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할당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할당 유닛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기대하는 상기 예비 리소스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할당 유닛은 상기 크기 정보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3. 제 27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하고,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데이터 전송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향 데이터 전송을 모니터링하면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제 2 상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상향 데이터는 상기 제 1 상향 데이터 이외의 상향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향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에 캐싱된 상향 데이터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전에 캐싱된 상향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5. 제 27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3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예비 상향 리소스에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MAC 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KR1020197027771A 2017-02-24 2017-02-24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KR201901186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74830 WO2018152788A1 (zh) 2017-02-24 2017-02-24 一种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639A true KR20190118639A (ko) 2019-10-18

Family

ID=63253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771A KR20190118639A (ko) 2017-02-24 2017-02-24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52746B2 (ko)
EP (1) EP3589043B1 (ko)
JP (1) JP6882502B2 (ko)
KR (1) KR20190118639A (ko)
CN (1) CN110291825B (ko)
TW (1) TW201832589A (ko)
WO (1) WO2018152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20068A (zh) * 2017-06-15 2023-12-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数据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EP3949627A4 (en) * 2019-03-28 2023-02-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TERMINAL DEVICE AND BASE STATION USED FOR RESOURCE ALLOCATION
CN115190622A (zh) * 2021-04-06 2022-10-14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上行数据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649B1 (ko) 2004-11-09 201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속의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채널의 제어정보송수신 방법
US8155067B2 (en) * 2008-03-24 2012-04-1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the release of a persistent resource
CN103796320B (zh) * 2010-01-08 2018-01-16 华为技术有限公司 调度请求的方法及装置
CN104579547B (zh) 2013-10-28 2017-12-22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
WO2015127627A1 (zh) 2014-02-27 2015-09-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管理方法及装置
US10251191B2 (en) * 2014-08-25 2019-04-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reques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783755B2 (ja) 2015-05-15 2020-11-11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基地局、及びプロセッサ
CN108347784B (zh) * 2017-01-23 2023-10-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调度方法以及无线接入网设备和终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11066A (ja) 2020-04-09
CN110291825A (zh) 2019-09-27
EP3589043A1 (en) 2020-01-01
JP6882502B2 (ja) 2021-06-02
EP3589043B1 (en) 2021-04-07
US11252746B2 (en) 2022-02-15
TW201832589A (zh) 2018-09-01
US20200236695A1 (en) 2020-07-23
WO2018152788A1 (zh) 2018-08-30
CN110291825B (zh) 2023-05-05
EP3589043A4 (en) 202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5247C1 (ru) Способ и компонов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запроса планирования
EP3566368B1 (en) Signaling, procedures,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s for uplink 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
US10904903B2 (en) Scheduling UEs with mixed TTI length
CN103069906B (zh) 在无线网络中使用基于竞争的资源区域发射数据的方法和装备
CN110583074B (zh) 使用两个无线电资源池的urllc支持
US10869328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1373821A (zh) 资源分配
EP3440882B1 (en) Semi-persistent resource allocation enhancement for v2x communication
AU2018284889B2 (en) Bandwidth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RU2763775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EP36031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data units
CN111263448B (zh) 信息传输的方法和设备
KR20190118639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N111917524B (zh) 一种发送和接收harq-ack消息的方法及装置
JP2021512518A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端末装置
EP3498012B1 (en) Ul scheduling timing with short ttis in tdd
CN112788747B (zh) Harq-ack反馈信息的传输方法和设备
CN112584532A (zh) 上行信道的信息确定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KR20180087229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KR20220013028A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CN113966641B (zh) 用于确定信道接入优先级的方法、装置和介质
RU2763504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CN117835439A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系统
CN112136337A (zh) 下行控制信令传输方法及相关产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