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963A -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963A
KR20190117963A KR1020180040951A KR20180040951A KR20190117963A KR 20190117963 A KR20190117963 A KR 20190117963A KR 1020180040951 A KR1020180040951 A KR 1020180040951A KR 20180040951 A KR20180040951 A KR 20180040951A KR 20190117963 A KR20190117963 A KR 20190117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rainage
soil
ground
c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6783B1 (ko
Inventor
원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군장종합건설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군장종합건설,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군장종합건설
Priority to KR1020180040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78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7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에서 채취한 함수율이 높고 저렴한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제방 구축이나 옹벽의 뒤채움용 등으로 구축되는 성토지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원지반의 상부에 형성된 배수유도층과, 상기 배수유도층의 상부에 형성된 배수층과, 상기 배수층의 상부에 형성된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층을 포함하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및 그 시공방법{EMBANKMET GROUND STRUCTURED USING HIGH WATER CONTENT DREDGED COHESIVE SOI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연약지반에서 채취한 함수율이 높고 저렴한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제방 구축이나 옹벽의 뒤채움용 등으로 구축되는 성토지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의 안정화 공사 및 해안이나 간척지 제방 또는 옹벽 등 사면보호공사시에는 성토지반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성토지반을 구축하는 데 쓰이는 토공재료로는 압축, 다짐 및 배수성이 우수한 사질토가 적당하며, 일정수준 이상의 압축강도를 갖도록 사질토를 적당히 건조시켜 함수비를 낮춘 후에 시멘트와 같은 고화제를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질토를 성토지반 구축용 토공재료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질토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혼합되는 고화제, 채취장이 공사현장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조달의 불편함과 더불어 운송비의 증가 및 공기지연 등을 초래하게 되므로 경제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질토를 성토지반 구축용 토공재료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야산을 채취장으로 개발하여야 하므로 환경파괴 및 민원의 발생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도 발생된다.
나아가, 시멘트 교반의 경우 고함비의 점성토와 교반이 어렵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희석되는 효과, 즉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함은 물론, 유해성 물질이 지반에 침투되어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물량확보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준설토를 성토지반 구축용 토공재료로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준설토는 함수비가 높기 때문에 침강, 탈수, 고화 등의 복잡한 전처리 과정을 거쳐야 하고, 압축, 다짐 및 배수성이 불량하므로 지반의 안정적 측면에서 불안정성이 매우 높아 지반 조성 후에는 추가적인 지반보강공사가 요구된다.
이와 같이, 준설토를 성토지반 구축용 토공재료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들을 수반하게 되므로 물량확보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큰 이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널리 보급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KR 10-1666074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한 전처리 과정이 요구되지 않으면서 압축, 다짐 및 배수성이 우수한 함수율이 높은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지반의 상부에 형성된 배수유도층과, 상기 배수유도층의 상부에 형성된 배수층과, 상기 배수층의 상부에 형성된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층을 포함하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수유도층은 토목섬유매트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수층은 쇄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유도층의 양측단에 배수용 톤마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톤마대는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배수유도층의 양단에 의해 감싸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지반은 양측으로의 물빠짐이 용이하도록 양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수유도층의 상부에는 상기 배수층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배수유도층을 구획하는 유동방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된 복수의 수직지지대와, 인접하는 수직지지대끼리를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는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는 와이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원지반이 옹벽과 경사면 사이에 형성된 뒤채움부인 경우, 상기 배수유도층의 양측단에 배수용 유공관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층의 상부에는 단위성토지반부가 적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위성토지반부는 배수유도층과, 배수층과,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위성토지반부의 양측에 보조배수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배수층은 쇄석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원지반을 다지는 단계와, 상기 원지반 상부에 배수유도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수유도층의 상부에 배수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수층의 상부에 고함수비 준설점성토를 포설하여 준설점성토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지반 상부에 배수유도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원지반의 상부에 토목섬유매트를 덮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수유도층의 상부에 배수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배수유도층의 양측에 톤마대를 올려 놓는 단계와, 상기 배수유도층의 양측단으로 톤마대를 감싸는 단계를 거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유도층의 상부에 배수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배수유도층의 상부에 쇄석을 포설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원지반을 다지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원지반의 양측으로 물빠짐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원지반의 양측을 하향경사지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유도층의 상부에 배수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배수유도층을 구획하는 유동방지부재를 상기 배수유도층의 상부에 설치하는 단계를 거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원지반이 옹벽과 경사면 사이에 형성된 뒤채움부인 경우, 상기 배수유도층의 상부에 배수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이전에, 배수유도층의 양측에 배수용 유공관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층의 상부에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층의 상부에 목표높이까지 단위성토지반부를 적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위성토지반부를 적층시키는 단계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층의 상부에 배수유도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수유도층의 상부에 배수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수층을 다지는 단계와, 상기 배수층의 상부에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층의 상부에 목표높이까지 단위성토지반부를 적층시키는 단계는, 상기 원지반이 옹벽과 경사면 사이에 형성된 뒤채움부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단위성토지반부의 양측에 보조배수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배수층은 상기 단위성토지반부와 옹벽 및 상기 단위성토지반부와 경사면 사이의 공간부를 메꾸도록 상기 단위성토지반부의 양측에 쇄석을 포설하여 형성되는 것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기 때문에 조달이 용이하고 시공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준설점성토층에 함유된 물을 비롯하여 우천시 지면으로부터 흡수된 물이 준설점성토층을 거쳐 배수층으로 배출되며 배수층을 통과한 물은 하부의 배수유도층을 따라 양측으로 유도되고 톤마대를 통과하여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므로, 종래와 같이 준설점성토의 함수비를 낮추기 위하여 복잡한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압축, 다짐 및 배수성이 우수한 성토지반을 시공할 수 있으며, 지반 조성 후에도 별도의 지반보강공사가 전혀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쇄석과 토목섬유의 혼합에 의하여 배수효율이 향상되고 특히 토목섬유에 의한 강도개선 효과가 크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의 단면도;
도 2 내지 도 7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의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의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의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의 단면도로서, 단위성토지반부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수직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의 단면도; 및
도 14는 와이어에 경사측정모듈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은 원지반(10)의 상부에 형성된 배수유도층(110)과, 상기 배수유도층(110)의 상부에 형성된 배수층(120)과, 상기 배수층(120)의 상부에 형성된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층(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원지반(10)은 물빠짐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양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원지반(10)이 과격한 급경사를 이루게 되면 물빠짐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시공 후 토사의 유출 및 지반침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상기 원지반(10)은 5°이하의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지반(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배수유도층(110)은 배수성이 우수한 토목섬유매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유도층(110)은 원지반(10)의 전표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상부로부터 내려오는 물이 원지반(10)의 양측으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수유도층(110)의 상부에 형성된 배수층(120)은 물빠짐이 우수한 쇄석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층(120)은 상부로부터 내려오는 물을 하부의 배수유도층(110)으로 신속하게 유입되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층(120)의 상부에 형성된 준설점성토층(130)은 조달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준설점성토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배수유도층(110)의 양측단에는 톤마대(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톤마대(140)는 직물을 이용하여 자루 형태로 제작되며 내부에는 쇄석과 같은 배수부재로 채워진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톤마대(140)는 고리가 달려 있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이 매우 유리하고 특정형상을 갖지 않아 설치장소에 구애됨 없이 인접한 부재와의 밀착성이 매우 뛰어나다. 이와 같은 톤마대(140)는 배수유도층(110)의 양측단에 놓여져서 배수유도층(110)과 배수층(120)을 경유한 물을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동시에 배수유도층(110)과 배수층(120)이 원지반(10)의 양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톤마대(140)는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배수유도층(110)의 양단에 의해 감싸져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톤마대(140)를 감싼 배수유도층(110)의 양단은 고정핀(150)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핀(150)은 톤마대(140)의 단부를 관통하여 원지반(10)에 박아 고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원지반(10)을 다지게 되는데, 이때 원지반(10)의 양측으로 물빠짐이 용이하도록 양측이 하향경사지게 원지반(10)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다짐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지반(10)의 다짐이 완료되면, 상기 원지반(10)의 상부에 토목섬유매트를 덮어 배수유도층(110)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토목섬유매트의 양측으로 톤마대(140)를 올려 놓은 다음 토목섬유매트의 양측단으로 톤마대(140)를 감싼 후에 톤마대(140)를 감싼 토목섬유의 양측단에 고정핀(150)을 박아 톤마대(14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톤마대(14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유도층(110)의 상부에 쇄석을 포설하여 배수층(120)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배수층(120)의 상부에 고함수비 준설점성토를 포설하여 준설점성토층(130)을 형성시키고, 준설점성토층(130)의 상부에 압축, 다짐 및 배수성이 우수한 쇄석 또는 사질토와 같은 배수토(160)를 포설한 후 다짐하여 마감처리를 하면 도 1과 같은 성토지반(100)이 완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완성된 성토지반(100)이 목표로 하는 높이까지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준설점성토층(130)의 상부에 단위성토지반부(180)가 적층될 수도 있다.
상기 단위성토지반부(18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성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설점성토층(130)의 상부에 토목섬유매트를 덮어 배수유도층(181)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배수유도층(181)의 상부에 쇄석을 포설하여 배수층(182)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배수층(182)을 다진다.
배수층(182)을 다진 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유도층(181)의 양측으로 톤마대(184)를 올려 놓고 배수유도층(181)의 양측단으로 톤마대(184)를 감싼 후에 톤마대(184)를 감싼 토목섬유의 양측단에 고정핀(185)을 박아 톤마대(184)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배수층(182)의 상부에 준설토와 같은 고함수비 준설점성토를 포설하여 준설점성토층(183)을 형성시키면 단위성토지반부(180)가 완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단위성토지반부(180)를 차례로 적층해가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높이에 도달하면 최상층의 단위성토지반부(180)의 상부에 압축, 다짐 및 배수성이 우수한 쇄석 또는 사질토와 같은 배수토(160)를 포설한 후 다짐하여 마감처리를 한다.
이와 같이 시공된 성토지반(100)은 준설점성토층(130,183)에 함유된 물을 비롯하여 우천시 지면으로부터 흡수된 물이 준설점성토층(130,183)을 거쳐 배수층(120,182)으로 배출되며, 배수층(120,182)을 통과한 물은 하부의 배수유도층(110,181)을 따라 양측으로 유도되고 톤마대(140,184)를 통과하여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유도층(110)의 상부에는 상기 배수층(1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17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동방지부재(170)는 배수유도층(110)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된 복수의 수직지지대(171)와, 인접하는 수직지지대(171)끼리를 연결하는 지지부재(173)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지지대(171)는 배수유도층(110)을 관통하여 원지반(10)에 박아 고정할 수 있도록 첨예한 하부를 가지며, 상부에는 상기 지지부재(173)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공(172)이 형성된다(도 12 참조).
상기 지지부재(173)는 와이어가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관통공(172)을 통과하거나 양단이 고정되어 인접하는 수직지지대(171)끼리를 연결한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가 상하로 교차하도록 설치하면, 상기 와이어에 배수층(120)을 이루는 쇄석들이 간섭되면서 배수층(120)의 유동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73)는 토목섬유를 망 형태로 엮어서 제작된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와이어에 비하여 배수층(120)과의 간섭면적이 증가하므로 배수층(120)의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물빠짐이 용이하도록 원지반(10)의 양측을 하향경사지게 형성시킨 경우에는 배수층(120)의 유동이 더욱 심화되므로 이와 같은 유동방지부재(170)의 설치는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이 유동방지부재(170)를 통해 배수층(120)가 유동하지 않게 되면 배수층(120)가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게 되므로 전구간에 걸쳐 고른 물빠짐성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동방지부재(1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톤마대(140)의 설치가 완료되면 배수유도층(110) 위에 수직지지대(171)를 일정간격으로 박아서 고정한 다음 지지부재(173)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수직지지대(171)끼리 연결하여 설치한다. 상기 지지부재(173)가 와이어인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를 수직지지대(171)에 형성된 관통공(172)으로 통과시키거나 양단을 고정하면 매우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가 상하로 교차하도록 설치하면 상기 와이어가 보다 많은 쇄석과 쉽게 간섭될 수 있으므로 배수층(120)의 유동 방지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방지부재(170)의 상부에 쇄석을 포설하여 배수층(120)을 형성시키고, 배수층(120)의 상부에 준설점성토를 포설하여 준설점성토층(130)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준설점성토층(130)의 상부에 배수토(160)를 포설한 후 다짐하여 마감처리를 하면 도 8과 같은 유동방지부재(170)가 구비된 성토지반(100)이 완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방지부재(170)는 단위성토지반부(18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성토지반(100)은 옹벽의 뒤채움부를 시공할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 우천시 지면으로부터 흡수된 물이 옹벽과 경사면에 막혀 양측으로 배출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배수유도층(110)의 양측단에는 배수용 유공관(19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층(120) 및 보조배수층(195)은 옹벽과 경사면에 지지되어 양측으로 유출될 염려가 없으므로 배수용 톤마대(140)는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공된다.
먼저, 원지반(10)을 다진 후에 상기 원지반(10)의 상부에 토목섬유매트를 덮어 배수유도층(110)을 형성시킨 다음 배수유도층(110)의 양측에 배수용 유공관(190)을 설치하고 상기 배수유도층(110)의 상부에 쇄석을 포설하여 배수층(120)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배수층(120)의 상부에 고함수비 준설점성토를 포설하여 준설점성토층(130)을 형성시키고, 준설점성토층(130)의 상부에 압축, 다짐 및 배수성이 우수한 쇄석 또는 사질토와 같은 배수토(160)를 포설한 후 다짐하여 마감처리를 하면 성토지반(100)이 완성된다.
한편, 뒤채움부는 통상 상당한 깊이를 갖기 때문에 상기 준설점성토층(130)의 상부가 목표높이인 지면까지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준설점성토층(130)의 상부에 단위성토지반부(180)를 적층시킨다.
그리고, 상기 단위성토지반부(180)의 양측에 쇄석을 포설하여 보조배수층(195)을 형성시킨다. 상기 보조배수층(195)은 단위성토지반부(180)와 경사면 사이 빈공간과 단위성토지반부(180)와 옹벽 사이의 빈 공간을 메꾸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단위성토지반부(180)를 차례로 적층해가면서 목표 높이에 도달하면 최상층의 단위성토지반부(180)의 상부에 압축, 다짐 및 배수성이 우수한 쇄석 또는 사질토와 같은 배수토(160)를 포설한 후 다짐하여 마감처리를 하면 된다.
이와 같이 시공된 성토지반(100)은 우천시 지면으로부터 흡수된 물이 준설점성토층(130)을 거쳐 배수층(120)으로 배출되며, 배수층(120)을 통과한 물은 하부의 배수유도층(110)을 따라 양측으로 유도되고 보조배수층(195)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여 배수용 유공관(190)을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보조배수층(195) 및 배수용 유공관(190) 측으로 신속하게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원지면(10)을 양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배수유도층(110)의 상부에 배수층(1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17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침강, 탈수, 고화 등의 복잡한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압축, 다짐 및 배수성이 우수한 성토지반(100)을 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시공비용과 시공기간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지반 조성 후에 별도의 지반보강공사도 요구되지 않는다.
도 14는 와이어에 경사측정모듈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173)에 연결되는 경사측정모듈(3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측정모듈(300)은 와이어(173)가 삽입되는 삽입홈부(310)가 구비된 도르레부(320)와, 상기 도르레부(320)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330) 및 상기 연결부(330) 하측에 구비되는 중량부(3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사측정모듈(300)은 상기 수직지지대(171)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 즉, 도 12를 기준으로 두 개의 관통공(172)인 경우 상측 관통공만을 연결하는 형태로 와이어(173)를 설치한 후 와이어(1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를 따라서 상기 도르레부가 회전하며 이동가능하게 경사측정모듈(300)을 배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경사측정모듈(300)의 이동정도에 따라서 지반의 경사정도를 파악하여 상술한 성토지반 구축 작업에 있어서 경사각 조절 정도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성토지반 110; 배수유도층
120; 배수층 130; 준설점성토층
140; 배수용 톤마대 180; 단위성토지반부
190; 배수용 유공관 195; 보조배수층

Claims (18)

  1. 원지반의 상부에 형성된 배수유도층;
    상기 배수유도층의 상부에 형성된 배수층; 및
    상기 배수층의 상부에 형성된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층;
    를 포함하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도층은 토목섬유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층은 쇄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도층의 양측단에 배수용 톤마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지반은 양측으로의 물빠짐이 용이하도록 양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지반이 옹벽과 경사면 사이에 형성된 뒤채움부인 경우,
    상기 배수유도층의 양측단에 배수용 유공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7. 제 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준설점성토층의 상부에는 단위성토지반부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성토지반부의 양측에 보조배수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수층은 쇄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10. 원지반을 다지는 단계;
    상기 원지반의 상부에 배수유도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배수유도층의 상부에 배수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수층의 상부에 고함수비 준설점성토를 포설하여 준설점성토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지반의 상부에 배수유도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원지반의 상부에 토목섬유매트를 덮어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도층의 상부에 배수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배수유도층의 양측에 톤마대를 올려 놓는 단계; 및
    상기 배수유도층의 양측단으로 톤마대를 감싸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시공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도층의 상부에 배수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배수유도층의 상부에 쇄석을 포설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시공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지반을 다지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원지반의 양측으로 물빠짐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원지반의 양측을 하향경사지게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시공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원지반이 옹벽과 경사면 사이에 형성된 뒤채움부인 경우,
    상기 배수유도층의 상부에 배수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이전에,
    배수유도층의 양측에 배수용 유공관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시공방법.
  16. 제1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층의 상부에 준설점성토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준설점성토층의 상부에 목표높이까지 단위성토지반부를 적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시공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성토지반부를 적층시키는 단계는
    준설점성토층의 상부에 배수유도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수유도층의 상부에 배수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수층을 다지는 단계와, 상기 배수층의 상부에 준설점성토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시공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준설점성토층의 상부에 목표높이까지 단위성토지반부를 적층시키는 단계는,
    상기 원지반이 옹벽과 경사면 사이에 형성된 뒤채움부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단위성토지반부의 양측에 보조배수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시공방법.
KR1020180040951A 2018-04-09 2018-04-09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시공방법 KR102146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51A KR102146783B1 (ko) 2018-04-09 2018-04-09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51A KR102146783B1 (ko) 2018-04-09 2018-04-09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963A true KR20190117963A (ko) 2019-10-17
KR102146783B1 KR102146783B1 (ko) 2020-08-24

Family

ID=6842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951A KR102146783B1 (ko) 2018-04-09 2018-04-09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78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639Y1 (ko) * 2001-02-26 2001-09-28 (주)신성엔지니어링 도로용 성토구조물 보호구조
JP2003278132A (ja) * 2002-03-20 2003-10-02 Hideyuki Yasumoto 自然石ハケ構造
KR20050110996A (ko) * 2004-05-20 2005-11-24 강수용 보강토목섬유매트 및 이를 사용한 성토시공법
KR101525827B1 (ko) * 2014-04-01 2015-06-0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옹벽 구축용 패널모듈
KR101666074B1 (ko) 2016-01-15 2016-10-14 한국경량혼합토 주식회사 고함수비의 점성준설토를 이용하여 준설과 동시에 급속부지 조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급속부지 조성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급속부지 조성방법
JP2017137729A (ja) * 2016-02-05 2017-08-10 鹿島建設株式会社 地盤の締固め状態測定装置、締固め状態測定方法、及び締固め機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639Y1 (ko) * 2001-02-26 2001-09-28 (주)신성엔지니어링 도로용 성토구조물 보호구조
JP2003278132A (ja) * 2002-03-20 2003-10-02 Hideyuki Yasumoto 自然石ハケ構造
KR20050110996A (ko) * 2004-05-20 2005-11-24 강수용 보강토목섬유매트 및 이를 사용한 성토시공법
KR101525827B1 (ko) * 2014-04-01 2015-06-0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옹벽 구축용 패널모듈
KR101666074B1 (ko) 2016-01-15 2016-10-14 한국경량혼합토 주식회사 고함수비의 점성준설토를 이용하여 준설과 동시에 급속부지 조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급속부지 조성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급속부지 조성방법
JP2017137729A (ja) * 2016-02-05 2017-08-10 鹿島建設株式会社 地盤の締固め状態測定装置、締固め状態測定方法、及び締固め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783B1 (ko)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238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основания мачты
CN109797769A (zh) 一种湿陷性黄土地区地下综合管廊地基结构及其施工方法
CN211200426U (zh) 一种微型钢管桩挡墙抗滑支挡结构
HU226433B1 (en) Foundation slab of underground passage for road
KR100406874B1 (ko) 흙 댐의 숭상 축조공법
RU2337205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земля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на слабых природных основаниях
CN100396854C (zh) 柱锤强夯置换基坑支护工法
CN2892973Y (zh) 强夯置换挡墙结构
CN110144871A (zh) 一种暗浜处理施工方法
KR102146783B1 (ko) 고함수비의 준설점성토를 이용하여 구축된 성토지반 시공방법
KR100467282B1 (ko) 수직 배수재를 이용한 건축물 연약지반 기초개량용 배수처리 구조
CN115467360A (zh) 一种沼泽或泥泞地带的铁塔基础施工方法
KR100394433B1 (ko) 연약지반 개량구역의 간극수 처리용 수평 배수공법
CN108677999A (zh) 一种淤泥质袋装土挡墙结构及施工方法
CN211228563U (zh) 一种装配式地下水排渗盲沟排水系统
CN106836264A (zh) 一种杆塔基础施工方法
CN107700500B (zh) 边坡支护结构及边坡支挡排水一体化系统
JP2004204524A (ja) 圧密促進埋立工法および圧密促進埋立構造
KR100976277B1 (ko) 파이프앵커와 pc블록을 통한 친환경 생태옹벽 시공방법
KR100857922B1 (ko) 불필요한 단면 축소를 통해 모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도로성토용 샌드 매트 시공방법
CN111622203B (zh) 一种软质地基结构及其处理方法
CN211340744U (zh) 一种软土地基处理结构
CN211312041U (zh) 受洪水浸淹路堤边坡防护构造
CN108252303A (zh) 一种基于锚杆静压桩技术的多层建筑基础设计方法
CN220202717U (zh) 高聚物注浆快速加固高填方边坡的施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