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952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952A
KR20190117952A KR1020180040927A KR20180040927A KR20190117952A KR 20190117952 A KR20190117952 A KR 20190117952A KR 1020180040927 A KR1020180040927 A KR 1020180040927A KR 20180040927 A KR20180040927 A KR 20180040927A KR 20190117952 A KR20190117952 A KR 20190117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compartment
cold air
dew cond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Priority to KR1020180040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7952A/ko
Publication of KR20190117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9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획하는 사절부,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부, 및 냉장실과 냉동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마련되되, 사절부의 길이방향으로 사절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도어부와 상기 냉장실과 상기 냉동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틈새를 차단하는 이슬 맺힘 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획하는 사절부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이슬 맺힘 방지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식품(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하여 신선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냉장고 본체의 내부에는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획되는 저장공간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의 상하측 혹은 양측에는 냉동실과 냉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냉동실도어와 냉장실 도어가 그 일단을 중심으로 선단이 본체의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0)의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한 냉동실 도어(11)과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13)가 설치된다. 냉장고 본체(10)의 내부에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와 같은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구비된다.
냉동실 또는 냉장실과 실내의 온도차에 의하여 냉동실 도어(11) 또는 냉장실 도어(13)의 이면이 밀착되는 사절부(미도시)나 냉동실 도어(11)의 일측 또는 냉동실 도어(13)의 일측에 이슬 맺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슬 맺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기술은 냉장고 본체(10)의 전면 테두리에 핫라인(hot-line)을 설치하여 응축기에서 응축되어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냉매의 일부를 상기 핫라인으로 전달한다.
이에, 종래기술은 냉장고의 냉장효율이 저하될 뿐 아니라, 핫라인으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므로 냉장고의 동작을 위하여 소모되는 전력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5494호(2010.01.0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냉장실 내부와 냉동실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되, 사절부의 길이방향으로 사절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도어부와 사절부와의 틈새를 차단함으로써, 사절부나 도어부에서의 이슬 맺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획하는 사절부;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부; 및 상기 냉장실과 상기 냉동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사절부의 길이방향으로 사절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부와 상기 사절부와의 틈새를 차단하는 이슬 맺힘 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슬 맺힘 방지부는, 상기 사절부의 측면에 고정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부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기 틈새를 차단 또는 차단해제하는 냉기보호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이슬 맺힘 방지부는, 상기 도어부의 개폐에 연동되어 상기 냉기보호 가이드를 후진 또는 전진 동작시키는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상기 냉기보호 가이드와 상기 지지부는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냉기보호 가이드의 타단의 출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도어부의 닫힘 시 상기 냉기보호 가이드가 90도 이하의 각도로 꺾이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도어부 내부에는 도어 가스켓과 인접하여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와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는 각 지지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도어 누름판이 마련된다.
상기 이슬 맺힘 방지부는 상기 사절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절부와 도어부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냉동실의 냉기와 외부 공기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절부와 도어부에서의 이슬 맺힘을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슬 맺힘 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히터를 없애거나 히터를 설치하더라도 히터의 동작시간을 줄일 수 있어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이슬 맺힘 방지부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이슬 맺힘 방지부가 설치되는 도어와 사절부 주변공간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이슬 맺힘 방지부를 확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이슬 맺힘 방지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이슬 맺힘 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이슬 맺힘 방지부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이슬 맺힘 방지부가 설치되는 도어와 사절부 주변공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이슬 맺힘 방지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이슬 맺힘 방지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이슬 맺힘 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사절부(3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마련되어 도어부(50, 60)의 개폐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이슬 맺힘 방지부(10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좌측에 냉동실(20)을 구비하고 우측에 냉장실(40)을 구비하며, 냉동실(20)과 냉장실(40)은 사절부(30)에 의해 구획되도록 예시하였다. 그러나, 미도시 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슬 맺힘 방지부는, 상부에 냉동실(미도시)을 구비하고 하부에 냉장실(미도시)을 구비하는 냉장고 구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에 냉동실(20)과 냉장실(40)이 구비된 경우, 사절부(30)는 냉장고의 길이방향인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냉동실(20)과 냉장실(40)을 구획한다.
이 경우, 이슬 맺힘 방지부(100)는 사절부(30)의 전방의 측면에 마련되되, 냉동실(20)과 냉장실(4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형성되며, 이슬 맺힘 방지 부(100)는 수직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부에 냉동실을 구비하고 하부에 냉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의 경우, 사절부는 냉장고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슬 맺힘 방지부는 사절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 마련되되 냉동실과 냉장실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형성되며, 수평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슬 맺힘 방지부(100)는 냉장실(40) 내부와 냉동실(20)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마련되되, 사절부(30)의 길이방향으로 사절부(30)의 측면에 구비되어 도어부(50, 60)와 사절부(30)와의 틈새를 차단하는 것이다.
이슬 맺힘 방지부(100)는 냉장실(40) 내부와 냉동실(20)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지만, 이하 설명의 편의상 냉동실(20)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틈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틈새는 도 4와 같이 냉동실 도어(50)의 닫힘 시 사절부(30)와 도어 바스켓 지지부(51)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슬 맺힘 방지부(100)는 냉동실 도어(50)의 닫힘 시 사절부(30)의 측면에서 냉기보호 가이드(120)를 소정의 길이와 소정의 각도로 인출함으로써 상기 틈새를 차단하여 냉동실의 냉기와 외부 공기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절부(30)나 도어부(50, 60)에서의 이슬 맺힘을 억제한다.
이슬 맺힘 방지부(100)는 사절부(30)에 고정설치될 수 있으나, 접착부재(미도시)에 의해 사절부(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슬 맺힘 방지부(100)는 사절부(30)의 폭 보다 좁은 폭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어 가스켓(53)의 폭과 같거나 좁도록 마련되어, 냉동실(20)이나 냉장실(40)의 부피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슬 맺힘 방지부(100)는 케이스(110), 냉기보호 가이드(120), 도어 누름판(130), 지지부(140) 및 스프링(150)을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이슬 맺힘 방지부(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절부(30)의 일측에 결합한다. 케이스(1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냉기보호 가이드(120), 지지부(140) 및 스프링(150)을 수용한다.
냉기보호 가이드(120)의 일부는 냉동실 도어(50)의 닫힘에 따라 케이스(1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며, 지지부(140)의 일부는 냉동실 도어(50)의 닫힘에 따라 케이스(11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인입된다.
냉기보호 가이드(120)는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며, 냉동실 도어(50)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기 틈새를 차단 또는 차단해제하는 것이다.
냉기보호 가이드(120)의 일단은 지지부(140)와 연결되며, 냉동실 도어(50)의 닫힘에 의해 지지부(140)가 밀리면 케이스(110) 외부로 인출되고 냉동실 도어(50)의 열림에 의해 케이스(110)의 내부로 인입된다.
냉기보호 가이드(120)의 타단은 자유단이며, 케이스(100)의 일측에 마련된 가이드부(113)에 의해 가이드 되어 케이스(110)의 외부로 소정의 각도와 소정의 길이로 인출된다.
가이드부(113)가 도어 바스켓 지지부(51)의 단부와 인접하여 설치될 경우 냉기보호 가이드(120)는 90도의 이하의 각도로 꺾이면서 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113)는 냉기보호 가이드(120)의 재질, 꺾임각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케이스(110)에 세팅된다.
미도시하였지만, 가이드부(113)가 도어 바스켓 지지부(51)의 단부 보다 냉장고의 전방측이나 후방측으로 설치될 경우에도 냉기보호 가이드(120)가 90도 미만의 각도로 꺾이면서 인출될 수 있다.
냉기보호 가이드(120)는 유연한(flexible) 재질을 가지며, 예를 들어 연질의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40)는 냉동실 도어(50)의 개폐에 연동 되어 냉기보호 가이드(110)를 후진 또는 전진 동작시키는 것이다.
지지부(140)의 타단은 냉기보호 가이드(110)의 일단과 연결되며, 지지부(140)의 일단은 직접 냉동실 도어(50)에 마련된 돌출부(55)와 접촉하거나 도 6과 같이 도어 누름판(130)을 통해 간접적으로 돌출부(55)와 접촉할 수 있다.
돌출부(55)는 도어 가스켓(53)과 인접하여 냉동실 도어(50)에 마련되는 것으로, 냉동실 도어(50)의 닫힘 시 이슬 맺힘 방지부(100)와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냉동실 도어(50)를 닫을 경우, 돌출부(55)는 지지부(140)의 일단과 직접 접촉하거나 도어 누름판(130)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지지부(140)를 밀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냉기보호 가이드(120)는 케이스(110)의 외부로 인출된다.
지지부(140)의 타단이 케이스(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경우에는, 냉동실 도어(50)가 닫힘 시 돌출부(55)와 직접 접촉하여 냉기보호 가이드(120)를 케이스(110) 외부로 인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지지부(140)의 타단이 케이스(110)의 길이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되도록 마련될 경우, 지지부(140)의 일단으로 갈수록 지지부는 폭이 점점 넓게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140)의 타단은 도어 누름판(130)과 결합하여 돌출부(55)와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지지부(140)는 냉기보호 가이드(120)과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며, 예를 들어 지지부(140)는 경질의 실리콘으로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150)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지지부(140)를 탄성 지지하는 것이다.
스프링(150)은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지지부(140)와 평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일단이 지지부(140)의 브라켓(141)과 연결되며 타단은 스프링 고정부(111)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14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해 스프링(150)은 지지부(140)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스프링(150)의 설치구조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슬 맺힘 방지부(100)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부(140)의 일단에 도어 누름판(130)이 결합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도어 누름판(130)이 없는 경우에도 동작은 동일하다.
도 5의 (a)와 같이 냉동실 도어(50)가 열린 상태로서 냉동실 도어(50)의 돌출부(55)와 도어 누름판(130)이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140)가 냉장고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지지부(140)의 전방 이동에 의해 냉기보호 가이드(120)는 케이스(110)의 내부로 인입하게 된다.
도 5의 (b)와 같이 냉동실 도어(50)가 닫히는 상태에서 돌출부(55)는 도어 누름판(130)을 누르게 되고 지지부(140)는 스프링(150)을 압축하면서 냉기보호 가이드(120)를 케이스(110)의 외부로 인출하게 된다.
케이스(110)의 외부로 인출된 냉기보호 가이드(120)는 소정의 각도로 꺾이면서 사절부(30)와 도어 바스켓 지지부(51)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단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사절부와 도어 바스켓 지지부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냉동실의 냉기와 외부 공기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절부와 도어부에서의 이슬 맺힘을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슬 맺힘 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히터를 없애거나 히터를 설치하더라도 히터의 동작시간을 줄일 수 있어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0: 냉동실
30: 사절부
40: 냉장실
50: 냉동실 도어
51: 바스켓 지지부
53: 도어 가스켓
60: 냉장실 도어
100: 이슬 맺힘 방지부
110: 케이스
111: 스프링 고정부
113: 가이드부
120: 냉기 보호 가이드
130: 도어 누름판
140: 지지부
150: 스프링

Claims (10)

  1.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획하는 사절부;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부; 및
    상기 냉장실과 상기 냉동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사절부의 길이방향으로 사절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부와 상기 사절부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이슬 맺힘 방지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 맺힘 방지부는,
    상기 사절부의 측면에 고정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부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기 틈새를 차단 또는 차단해제하는 냉기보호 가이드;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 맺힘 방지부는, 상기 도어부의 개폐에 연동되어 상기 냉기보호 가이드를 후진 또는 전진 동작시키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냉장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보호 가이드와 상기 지지부는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냉장고.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냉기보호 가이드의 타단의 출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도어부의 닫힘 시 상기 냉기보호 가이드가 90도 이하의 각도로 꺾이도록 가이드하는 냉장고.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 내부에는 도어 가스켓과 인접하여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와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돌출부가 형성된 냉장고.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는 각 지지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도어 누름판이 마련된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 맺힘 방지부는 상기 사절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냉장고.
KR1020180040927A 2018-04-09 2018-04-09 냉장고 KR20190117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27A KR20190117952A (ko) 2018-04-09 2018-04-09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27A KR20190117952A (ko) 2018-04-09 2018-04-09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952A true KR20190117952A (ko) 2019-10-17

Family

ID=68424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927A KR20190117952A (ko) 2018-04-09 2018-04-09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795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494B1 (ko) 2002-05-07 2010-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494B1 (ko) 2002-05-07 2010-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5304B2 (en) Refrigerator
US10145604B2 (en) Refrigerator
CN107110593B (zh) 冰箱及其真空绝热板
US11768027B2 (en) Refrigerator
EP2843326B1 (en) Refrigerator
KR102312682B1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140060431A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US10429121B2 (en) Refrigerator
KR20140060429A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US8033623B2 (en) Refrigerator
US10197327B2 (en) Refrigerator and basket assembly thereof
KR20190117952A (ko) 냉장고
KR20130103944A (ko) 분리판을 구비하는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WO2011147899A2 (en) Low-pressure storage unit for refrigeration appliance and refrigeration appliance
JP2016118313A (ja) 冷蔵庫
JP4309334B2 (ja) 貯蔵庫
JP2016166694A (ja) 冷蔵庫
WO2017183645A1 (ja) 冷蔵庫
WO2016203761A1 (ja) 冷蔵庫
KR101902247B1 (ko) 분리바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592564B1 (ko) 냉장고
KR20050094300A (ko) 냉장고용 선반보강구조
KR100786256B1 (ko) 김치저장고의 저장실 구조
JP2015140985A (ja) 冷蔵庫
KR20220064815A (ko) 드로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