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869A -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 - Google Patents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17869A KR20190117869A KR1020180040645A KR20180040645A KR20190117869A KR 20190117869 A KR20190117869 A KR 20190117869A KR 1020180040645 A KR1020180040645 A KR 1020180040645A KR 20180040645 A KR20180040645 A KR 20180040645A KR 20190117869 A KR20190117869 A KR 201901178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mbar
- main
- auxiliary
- pair
- cei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supporting beams having a folded cross-se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2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passing through the other member, both members laying at least partly in the same plane
- E04B9/125—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passing through the other member, both members laying at least partly in the same plane both members being continuous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 마감재가 결합될 수 있는 평평한 면을 구비한 제1면부, 이러한 제1면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수직상방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향성된 한 쌍의 제2면부, 이러한 한 쌍의 제2면부의 각 상단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후 다시 밑판부를 향해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한 쌍의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천정 슬라브에 고정되되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주 엠바(M-bar)들에 가로질러 설치될 수 있는 보조 엠바로서, 하판부와 이러한 하판부의 양단에서 상부로 수직상방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한 쌍의 측면판부를 구비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되 상기 주 엠버가 아래에서 위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상호 이격된 다수의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천장 마감재의 견고한 지지 및 처짐 방지가 가능한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 마감재를 지지하는 엠바에 추가적으로 간편하게 설치되어, 천장 마감재를 보다 견고히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실내공간의 천정에 노출된 것은 통상 마감재인 경우가 많다. 마감재는 천장의 슬라브의 거친면을 감추는 것과 동시에, 슬라브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전기 배선, 배관 등의 여러 설비를 외부 노출 없이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천장의 마감재를 천정에 고정시키는 방안으로, 통상 캐리어바(carrier bar)와 엠바(M-bar)가 사용된다.
캐리어바는, 별도의 부재인 달대를 이용하여 천장 슬라브에 고정된다. 달대의 상단부는 슬라브에 고정되고, 달대의 하단부는 캐리어바에 고정된다. 다수의 캐리어바는 천장의 면적에 따라 필요한 개수만큼 구비되고,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엠바는 캐리어바에 고정된다. 다수의 엠바는 마감재의 크기에 대응되는 개수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고정된다. 엠바의 하측면은 평평한 면으로 되어 있다. 엠바의 하측면에 마감재가 고정된다.
캐리어바와 달대의 결합, 엠바와 캐리어바의 결합 및 마감재와 엠바의 결합 등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방법에 의한다.
이러한 종래 캐리어바 및 엠바를 이용하는 천장 마감재 지지 방식에 의하면, 마감재가 고정될 수 있는 엠바가 충분하지 않에 마감재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어렵다는 문제가 있어 왔다. 또한 시공 초기에는 문제가 없어 보인다고 하여도, 지지되는 곳의 간격이 너무 넓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마감재가 아래로 처지는 문제가 있어왔다.
단순히 생각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같은 천장의 면적에 있어서, 종래보다 달대, 캐리어바 및 엠바의 개수를 모두 늘여, 종래 보다 촘촘하게 구비하게 되면, 문제가 해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각 부재의 소요 개수 증가 및 무엇보다 시공 인력의 증가가 발생하게 되어, 현실적으로 채용되기 어렵다.
한편,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엠바를 구비하여 지지력을 증가시키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추가적으로 필요한 부재의 개수가 많을 뿐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여 이를 시공하기 위한 인력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천장 마감재의 견고한 지지 및 처짐방지가 가능한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는, 천장 마감재가 결합될 수 있는 평평한 면을 구비한 제1면부, 이러한 제1면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수직상방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향성된 한 쌍의 제2면부, 이러한 한 쌍의 제2면부의 각 상단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후 다시 밑판부를 향해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한 쌍의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천정 슬라브에 고정되되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주 엠바(M-bar)들에 가로질러 설치될 수 있는 보조 엠바로서, 하판부와 이러한 하판부의 양단에서 상부로 수직상방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한 쌍의 측면판부를 구비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되 상기 주 엠버가 아래에서 위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상호 이격된 다수의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측면판부의 높이는 상기 주 엠바의 높이보다 크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하판부 및 한 쌍의 측면판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의 높이는 상기 주 엠바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그 삽입부에 상기 주 엠바가 삽입되어 고정된 경우, 상기 하판부의 하측면과 상기 주 엠바의 제1면부의 하측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에 있어서, 각 측면판의 관통된 부분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부분에는 아래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주 엠바의 한 쌍의 걸이부의 사이에 삽입된 후 그 걸이부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돌기부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삽입부는 상기 다수의 주 엠바가 이격된 거리만큼 상호 이격되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들은, 길이방향으로 차례대로 구비된 제1 내지 제5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제1삽입부로부터 30cm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3삽입부는 상기 제2삽입부로부터 15cm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4삽입부는 상기 제3삽입부로부터 15cm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5 삽입부는 상기 제4삽입부로부터 30cm 이격되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천장 마감재의 견고한 지지 및 처짐 방지가 가능한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의 개략적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도 1의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가 시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6-6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의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통상 사용되는 엠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도 1의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가 시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6-6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의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통상 사용되는 엠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1)는, 몸체부(10)와 삽입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1)는 통상 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주 엠바(100)들에 가로질러 설치고정되는 건축자재이다.
상기 주 엠바(100)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8 및 9을 참조하면, 제1면부(110), 제2면부(120) 및 걸이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제1면부(110)는, 천장 마감재(200, 도 5와 6 참고)가 결합될 수 있도록 그 하측에 평평한 면을 구비한다. 상기 제2면부(120)는 제1면부(110)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수직상방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된 부재이다. 제2면부(120)는 모두 2개 한쌍으로 구비된다.
걸이부(130)는, 한 쌍의 제2면부(120)의 각 상단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후 다시 밑판부를 향해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하나의 걸이부(130)는 수평한 부분(131)과 수직한 부분(132)로 구성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다수의 주 엠바(100)들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천정 슬라브(미도시)에 고정된다. 각 주 엠바(100)는 캐리어바(102)에 고정되고 캐리어바(102)는 다시 달대(110)에 의해 천정 슬라브에 고정된다. 주 엠바(100)와 캐리어바(102)의 결합, 캐리어바(102)와 달대(110)의 결합 및 달대(110)와 천장 슬라브의 결합은 통상 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한다.
상기 몸체부(10)는, 하판부(12)와 한 쌍의 측면판부(14)를 구비한다. 몸체부(10)는 일측에서 보면(도 4 참조), 위로 개방된 “ㄷ ”자 형상으로서, 이러한 측면형상을 가지고 길게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부재이다.
하판부(12)는, 판재형 부재가 성형된 것으로서, 하측은 평평한 면으로 되어 있다. 시공 후, 하판부(12)에는 그 하측면에 마감재가 접하여 고정된다. 한 쌍의 측면판부(14)는, 하판부(12)의 양단에서 상부로 수직상방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부분이다.
몸체부(10)의 전체 길이는, 시공될 천장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사전 결정된다. 또한 제작시 길게 생산된 후, 필요한 길이로 잘라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삽입부(20)는, 몸체부(10)의 하판부(12)와 한 쌍의 측면판부(14)에 걸쳐 형성된 일부분이다. 삽입부(20)에는 주 엠버(100)가 아래에서 위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아래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시공자는 주 엠바(100)를 간편하게 보조엠바(1)의 삽입부(20)에 끼워 시공을 완성할 수 있다. 실제로는, 주 엠바(100)가 시공이 완성된 상태에서, 보조엠바(1)의 삽입부(20) 아래에 주 엠바(100)를 위치시킨 후, 보조 엠바(1)를 위에서 아래로 이동시키며 삽입부(20)에 주 엠바(100)를 끼워넣게 된다.
삽입부(20)는 몸체부(10)에 다수개 구비되어 있으며, 주 엠바(100)들이 상호 이격된 거리만큼 상호 이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통상 사용되는 천장 마감재의 크기를 고려하여, 삽입부(20)들 사이의 간격은 45cm로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삽입부들 사이의 간격은 30cm 로 될 수 있다. 천장 마감재의 폭은 통상 30cm 혹은 45cm 인 것을 고려한 값이다. 한편, 이 간격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측면판부(14)의 높이(h1, 도 2참조)는 설치가 예정된 주 엠바(100)의 높이(h5; 도 9 참조)보다 크다. 삽입부(20)를 포함하는 측면판부(14)가 주 엠바(100) 보다 높이가 커야, 주 엠바(100)가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20)는, 하판부(12) 및 한 쌍의 측면판부(14)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즉, 한편 하판부(12)에는 일부분이 제거되어 관통 형성된 관통부(22)가 구비되고, 각 측면판부(14)에는 관통부(22)에 연결된 일부분이 제거되어 관통 형성된 관통부(24)가 구비되어, 이들 관통부들(22, 24)이 연합하여 결국 삽입부(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부(20)의 높이(h3)는 주 엠바(100)의 높이(h5)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즉 2개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삽입부(20)에 주 엠바(100)가 삽입되어 고정된 경우, 하판부(12)의 하면과 주 엠바(100)의 제1면부(110)의 하측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도 6 참조).
측면판부(14)에 있어서, 삽입부(20)의 높이(h3)를 제외한 부분의 높이(h2)는 전체 몸체부(10)의 충분한 강성이 보장되도록 홈부(27)의 높이(h4) 보다는 같거나 큰 값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삽입부(20)의 전체 폭(w1)은 결합될 주 엠바(100)의 폭(w3)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주 엠바(100)가 삽입부(20)에 삽입될 때, 제2면(120)들이 돌기부(26)에 의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약간의 탄성 변형이 일어날 수 있어서, 삽입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부(20)에는 돌기부(26)가 구비된다.
돌기부(26)는, 도 2를 참조하면, 각 측면판(14)의 관통된 부분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부분에 아래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돌기부(26)는, 결합될 주 엠바(100)의 한 쌍의 걸이부(130)의 사이에 삽입된 후 그 걸이부에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돌기부(26)는 하부의 폭이 크고, 그 하부의 위로는 직경이 축소된 부분인 홈부(27)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6)의 하부의 가장 넓은 폭(w2)은, 결합될 주 엠바(100)의 한 쌍의 걸이부(130) 들의 이격된 폭(w4) 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돌기부(26)의 하부의 가장 넓은 폭 부분은 턱부(28) 이다.
따라서, 돌기부(26)를 작업자가 걸이부(130) 들의 사이로 억지로 끼어넣으면, 걸이부(130)들 혹은 제2면부(120)들은 약간 탄성 변형되면서 돌기부(26)가 삽입되고, 홈부(27)에 걸이부(130)가 삽입되는 순간, 탄성변형되었던 부분이 복원되면서, 돌기부(26)의 턱부(28)에 걸이부(120)의 단부가 걸려 견고한 결합이 완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의 작용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1)에 의하면, 삽입부(20)들이 다수개 형성된 몸체부(10)가 일체의 부재로서 형성되고 그 구조도 단순하여, 주 엠바들을 가로 질러 결합시키는 것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주 엠바(100)들을 가로 질러 고정되는 보조 엠바가, 서로 분리된 여러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지 않고, 전체 구성이 일체의 부재로 이루어지게 되어, 제작, 취급 및 시공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통상의 주 엠바(100)들이 설치된 구성에 보조 엠바(1)들을 가로 질러 결합시키고 나면, 주 엠바(100)들 및 보조 엠바(1) 들의 밑면에 천장 마감재(200)를 고정시키는 것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천장 마감재(200)들이 주 엠바(100) 및 보조 엠바(1)들의 밑면에 적절한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시간이 경과하여도 천장 마감재들의 처짐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삽입부에 돌기부(26)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주 엠바(100)와의 걸이부(130)와의 결합은 숙련된 기술이 없이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1a)가 예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1a)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비교하며, 삽입부들의 상호 이격된 간격의 구성이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며, 설명되지 아니한 부분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것이 그대로 혹은 적절하게 변형되어 적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삽입부들은, 모두 5개의 삽입부를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5 삽입부((21a, 22a, 23a, 24a, 25a)들은 길이방향으로 차례대로 구비된다. 제1삽입부(21a)와 제2삽입부(22a) 사이의 거리(L1)는 30cm이고, 제2삽입부(22a)와 제3삽입부(23a) 사이의 거리(L2)는 15cm 이고, 제4삽입부(24a)와 제3삽입부(23a) 사이의 거리(L3)는 15cm 이고, 제5삽입부(25a)와 제4삽입부(24a) 사이의 거리(L4)는 30cm이다.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1a)는 이러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주 엠바(100)들이 30cm 간격으로 설치된 경우는 물론 45cm 간격으로 설치된 경우에도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즉 어떤 한 경우를 위한 전용이 아니고 두가지 경우에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
10 : 몸체부 12 : 하판부
14 : 측면판부 20 : 삽입부
26 : 돌기부 27 : 홈부
10 : 몸체부 12 : 하판부
14 : 측면판부 20 : 삽입부
26 : 돌기부 27 : 홈부
Claims (6)
- 천장 마감재가 결합될 수 있는 평평한 면을 구비한 제1면부, 이러한 제1면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수직상방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향성된 한 쌍의 제2면부, 이러한 한 쌍의 제2면부의 각 상단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후 다시 밑판부를 향해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한 쌍의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천정 슬라브에 고정되되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주 엠바(M-bar)들에 가로질러 설치될 수 있는 보조 엠바로서,
하판부와 이러한 하판부의 양단에서 상부로 수직상방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한 쌍의 측면판부를 구비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되 상기 주 엠버가 아래에서 위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상호 이격된 다수의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판부의 높이는 상기 주 엠바의 높이보다 크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하판부 및 한 쌍의 측면판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높이는 상기 주 엠바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그 삽입부에 상기 주 엠바가 삽입되어 고정된 경우, 상기 하판부의 하측면과 상기 주 엠바의 제1면부의 하측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 있어서, 각 측면판의 관통된 부분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부분에는 아래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주 엠바의 한 쌍의 걸이부의 사이에 삽입된 후 그 걸이부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돌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삽입부는 상기 다수의 주 엠바가 이격된 거리만큼 상호 이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들은, 길이방향으로 차례대로 구비된 제1 내지 제5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제1삽입부로부터 30cm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3삽입부는 상기 제2삽입부로부터 15cm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4삽입부는 상기 제3삽입부로부터 15cm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5 삽입부는 상기 제4삽입부로부터 30cm 이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0645A KR20190117869A (ko) | 2018-04-06 | 2018-04-06 |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0645A KR20190117869A (ko) | 2018-04-06 | 2018-04-06 |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7869A true KR20190117869A (ko) | 2019-10-17 |
Family
ID=68424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0645A KR20190117869A (ko) | 2018-04-06 | 2018-04-06 |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117869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5289B1 (ko) | 2017-03-07 | 2017-08-04 | 상명엔프라(주) | 천정 마감재 지지용 엠바 연결구 |
-
2018
- 2018-04-06 KR KR1020180040645A patent/KR2019011786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5289B1 (ko) | 2017-03-07 | 2017-08-04 | 상명엔프라(주) | 천정 마감재 지지용 엠바 연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622415C2 (ru) | Фиксатор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несущего прогона решетки с полоской, расположенной по периметру | |
RU2504625C2 (ru) | Потолок со скрытой подвесной системой со снимаемыми вниз панелями | |
US3677589A (en) | Field installation clip for exposed grid systems | |
US3034609A (en) | Building partition structure | |
US2873828A (en) | Illuminated electric ceiling fixture construction | |
BRPI0610925A2 (pt) | grampo de perfil em tê principal emparelhado | |
CA2487764A1 (en) | Installation method of panel and rail-type fixing apparatus | |
KR101997081B1 (ko) | 케이블의 다층 포설 및 고정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 |
JP2019028780A (ja) | ラック固定装置及びサーバラック | |
KR20090003854U (ko) | 천장 구조 | |
KR101352058B1 (ko) | 개별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 천장판의 설치구조 | |
KR101234678B1 (ko) | 천정재 설치구조 | |
CN1938486A (zh) | 板和用于例如悬挂的天花板的板组件 | |
KR20190117869A (ko) | 천장 마감재 지지용 보조엠바 | |
JP6334941B2 (ja) | 面状物品の屋根上支持固定構造及び方法 | |
KR200436794Y1 (ko) | 천장용 패널 | |
KR20200048077A (ko) |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벽 패널 조립체 | |
RU2721058C1 (ru) | Соединитель поперечной направляющей и система соединителя поперечной направляющей для подвесной потолочной системы | |
CN211114329U (zh) | 拼接式吊顶 | |
KR200450017Y1 (ko) | 메쉬트레이 고정장치 | |
EP0485923A1 (en) | Movable wall structure | |
KR101990476B1 (ko) | 천정설비 집합형 모듈 바,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실내의 천정 마감구조 | |
US3400506A (en) | Suspended ceiling of removable panels | |
KR102299632B1 (ko) | 기능성 단열재 고정클립 | |
CN211450246U (zh) | 一种盲挂自动导向壁挂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