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744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송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송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744A
KR20190117744A KR1020197028164A KR20197028164A KR20190117744A KR 20190117744 A KR20190117744 A KR 20190117744A KR 1020197028164 A KR1020197028164 A KR 1020197028164A KR 20197028164 A KR20197028164 A KR 20197028164A KR 20190117744 A KR20190117744 A KR 20190117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resource set
terminal
transmiss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4625B1 (ko
Inventor
강성용
서한별
김영태
채혁진
김희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17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차량 단말이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송신 자원 풀에 대한 센싱에 기반하여 제한 자원 집합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제한 자원 집합 내에서 유보 자원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자원 풀에서 상기 제한 자원 집합을 제외한 가용 자원 집합에서 선택된 송신 자원을 이용하여 제 1 시점에서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2 시점에서 상기 유보 자원 집합은 상기 가용 자원 집합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송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송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라 함) 통신 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은 기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서, 현재 3GPP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E-UMT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단말(User Equipment; UE)과 기지국(eNode B; eN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한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한다.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돼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하향링크(Downlink; D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한, 상향링크(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핵심망(Core Network; CN)은 AG와 단말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G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무선 통신 기술은 WCDMA를 기반으로 LTE까지 개발되어 왔지만, 사용자와 사업자의 요구와 기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으므로 향후 경쟁력을 가지기 위하여는 새로운 기술 진화가 요구된다. 비트당 비용 감소, 서비스 가용성 증대, 융통성 있는 주파수 밴드의 사용, 단순구조와 개방형 인터페이스, 단말의 적절한 전력 소모 등이 요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이하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송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차량 단말이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은, 송신 자원 풀에 대한 센싱에 기반하여 제한 자원 집합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제한 자원 집합 내에서 유보 자원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자원 풀에서 상기 제한 자원 집합을 제외한 가용 자원 집합에서 선택된 송신 자원을 이용하여 제 1 시점에서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2 시점에서 상기 유보 자원 집합은 상기 가용 자원 집합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로서,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송신 자원 풀에 대한 센싱에 기반하여 제한 자원 집합을 구성하고, 상기 제한 자원 집합 내에서 유보 자원 집합을 결정하며, 상기 송신 자원 풀에서 상기 제한 자원 집합을 제외한 가용 자원 집합에서 선택된 송신 자원을 이용하여 제 1 시점에서 상기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제 2 시점에서 상기 유보 자원 집합은 상기 가용 자원 집합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자원 풀에서 센싱 결과값이 임계치 이상인 하나 이상의 자원이 상기 제한 자원 집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한 자원 집합 내에서 센싱 결과값이 상기 제 2 시점에 상기 임계치 이하일 것으로 예측되는 하나 이상의 자원이 상기 유보 자원 집합으로 결정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 결과값이 상기 제 2 시점에 상기 임계치 이하일 것으로 예측되는지 여부는, 다른 차량 단말의 이동 방향, 상기 다른 차량 단말의 이동 속도 및 상기 다른 차량 단말의 송신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시점에서 상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상기 가용 자원 집합의 자원이 부족한 경우, 상기 유보 자원 집합에서 상기 송신 자원을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하여 송신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단말 간 직접 통신의 개념도이다.
도 8는 자원 풀 및 자원 유닛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종래의 V2X 모드 4 UE가 자원을 제한하는 상황을 예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 단말이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예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다른 특징들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3GPP 시스템에 적용된 예들이다.
본 명세서는 LTE 시스템 및 LTE-A 시스템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정의에 해당되는 어떤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FDD 방식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H-FDD 방식 또는 TDD 방식에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기지국의 명칭은 RRH(remote radio head), eNB, TP(transmission point), RP(reception point), 중계기(relay)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평면은 단말(User Equipment; UE)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제1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전송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물리채널은 하향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된다.
제2계층의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계층의 PDCP(Packet 데이터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3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베어러(Radio Bearer; RB)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은 서로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ed)이 있을 경우, 단말은 RRC 연결 상태(Connected Mode)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 휴지 상태(Idle Mode)에 있게 된다. RRC 계층의 상위에 있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eNB)을 구성하는 하나의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되어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전송채널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방송 Channel),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 SCH(Shared Channel) 등이 있다. 하향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 메시지의 경우 하향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의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방송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도 3은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은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경우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한다(S301).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주 동기 채널(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 및 부 동기 채널(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SCH)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셀 ID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방송 Channel)를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초기 셀 탐색 단계에서 하향링크 참조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 DL RS)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셀 탐색을 마친 단말은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상기 PDCCH에 실린 정보에 따라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을 수신함으로써 좀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02).
한편, 기지국에 최초로 접속하거나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 대해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 RACH)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303 내지 단계 S306). 이를 위해, 단말은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통해 특정 시퀀스를 프리앰블로 전송하고(S303 및 S305), PDCCH 및 대응하는 PDSCH를 통해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304 및 S306). 경쟁 기반 RACH의 경우, 추가적으로 충돌 해결 절차(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단말은 이후 일반적인 상/하향링크 신호 전송 절차로서 PDCCH/PDSCH 수신(S307)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전송(S308)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은 PDCCH를 통하여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한다. 여기서 DCI는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를 포함하며,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포맷이 서로 다르다.
한편, 단말이 상향링크를 통해 기지국에 전송하는 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상향링크 ACK/NACK 신호,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ex), RI(Rank Indicator) 등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의 경우, 단말은 상술한 CQI/PMI/RI 등의 제어 정보를 PUSCH 및/또는 PU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ms(327200×Ts)의 길이를 가지며 10개의 균등한 크기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슬롯은 0.5ms(15360×Ts)의 길이를 가진다. 여기에서, Ts는 샘플링 시간을 나타내고, Ts=1/(15kHz×2048)=3.2552×10-8(약 33ns)로 표시된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자원블록은 12개의 부반송파×7(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시간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단위로 정해질 수 있다. 상술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에 포함되는 제어 채널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어 있다. 서브프레임 설정에 따라 처음 1 내지 3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영역으로 사용되고 나머지 13~11개의 OFDM 심볼은 데이터 영역으로 사용된다. 도면에서 R1 내지 R4는 안테나 0 내지 3에 대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RS) 또는 Pilot Signal)를 나타낸다. RS는 제어 영역 및 데이터 영역과 상관없이 서브프레임 내에 일정한 패턴으로 고정된다. 제어 채널은 제어 영역 중에서 RS가 할당되지 않은 자원에 할당되고, 트래픽 채널도 데이터 영역 중에서 RS가 할당되지 않은 자원에 할당된다. 제어 영역에 할당되는 제어 채널로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이 있다.
PCFICH는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로서 매 서브프레임 마다 PDCCH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를 단말에게 알려준다. PCFICH는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며 PHICH 및 PDCCH에 우선하여 설정된다. PCFICH는 4개의 REG(Resource Element Group)로 구성되고, 각각의 REG는 셀 ID(Cell IDentity)에 기초하여 제어 영역 내에 분산된다. 하나의 REG는 4개의 RE(Resource Element)로 구성된다. RE는 하나의 부반송파×하나의 OFDM 심볼로 정의되는 최소 물리 자원을 나타낸다. PCFICH 값은 대역폭에 따라 1 내지 3 또는 2 내지 4의 값을 지시하며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로 변조된다.
PHICH는 물리 HARQ(Hybrid -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지시자 채널로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HARQ ACK/NACK을 나르는데 사용된다. 즉, PHICH는 UL HARQ를 위한 DL ACK/NACK 정보가 전송되는 채널을 나타낸다. PHICH는 1개의 REG로 구성되고, 셀 특정(cell-specific)하게 스크램블(scrambling) 된다. ACK/NACK은 1 비트로 지시되며,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로 변조된다. 변조된 ACK/NACK은 확산인자(Spreading Factor; SF) = 2 또는 4로 확산된다. 동일한 자원에 매핑되는 복수의 PHICH는 PHICH 그룹을 구성한다. PHICH 그룹에 다중화되는 PHICH의 개수는 확산 코드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PHICH (그룹)은 주파수 영역 및/또는 시간 영역에서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해 3번 반복(repetition)된다.
PDCCH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로서 서브프레임의 처음 n개의 OFDM 심볼에 할당된다. 여기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로서 PCFICH에 의해 지시된다. PDCCH는 하나 이상의 CCE로 구성된다. PDCCH는 전송 채널인 PCH(Paging channel) 및 DL-SCH(Downlink-shared channel)의 자원할당과 관련된 정보,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 HARQ 정보 등을 각 단말 또는 단말 그룹에게 알려준다. PCH(Paging channel) 및 DL-SCH(Downlink-shared channel)는 PDSCH를 통해 전송된다. 따라서, 기지국과 단말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제어 정보 또는 특정한 서비스 데이터를 제외하고는 PDSCH를 통해서 데이터를 각각 전송 및 수신한다.
PDSCH의 데이터가 어떤 단말(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에게 전송되는 것이며, 상기 단말들이 어떻게 PDSCH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코딩(decoding)을 해야 하는 지에 대한 정보 등은 PDCCH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예를 들어, 특정 PDCCH가 "A"라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로 CRC 마스킹(masking)되어 있고, "B"라는 무선자원(예, 주파수 위치) 및 "C"라는 DCI 포맷 즉, 전송 형식 정보(예, 전송 블록 사이즈, 변조 방식, 코딩 정보 등)를 이용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특정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셀 내의 단말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RNTI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영역에서 PDCCH를 모니터링, 즉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A" RNTI를 가지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단말이 있다면, 상기 단말들은 PDCCH를 수신하고, 수신한 PDCCH의 정보를 통해 "B"와 "C"에 의해 지시되는 PDSCH를 수신한다.
도 6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제어정보를 나르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할당되는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를 나르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중간 부분이 PUSCH에 할당되고, 주파수 영역에서 데이터 영역의 양측 부분이 PUCCH에 할당된다. PUCCH 상에 전송되는 제어정보는 HARQ에 사용되는 ACK/NACK,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MIMO를 위한 RI(Rank Indicator), 상향링크 자원 할당 요청인 SR(Scheduling Request) 등이 있다. 한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 내의 각 슬롯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를 차지하는 하나의 자원블록을 사용한다. 즉, PUCCH에 할당되는 2개의 자원블록은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된다. 특히 도 6은 m=0인 PUCCH, m=1인 PUCCH, m=2인 PUCCH, m=3인 PUCCH가 서브프레임에 할당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7은 단말 간 직접 통신의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UE가 다른 UE와 직접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D2D(device-to-device) 통신, 즉, 단말 간 직접 통신에서는 eNB가 D2D 링크 신호의 송수신을 지시하기 위한 스케줄링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UE 사이에 직접 연결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링크, 즉 D2D 링크를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이드링크 (Sidelink; SL)라고 지칭한다.
사이드링크 통신에 참여하는 UE는 eNB로부터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메시지를 수신하고,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메시지가 지시하는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UE는 사용자의 단말을 의미하지만 eNB와 같은 네트워크 엔티티가 UE 사이의 통신 방식에 따라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역시 일종의 UE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UE가 송신한 사이드링크 신호를 eNB가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며, 사이드링크 송신을 위해 설계된 UE의 신호 송수신 방법을 UE가 eNB에게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사이드링크 동작의 수행을 위하여, UE는 우선 자신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상대 UE가 사이드링크 통신이 가능한 근접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파악하는 디스커버리(discovery)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디스커버리 과정은 각 UE가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고, 인접한 UE가 이를 검출하는 경우에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 UE가 인접한 위치에 있다는 것을 파악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각 UE는 자신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상대 UE가 인접한 위치에 존재하는지를 디스커버리 과정을 거쳐서 확인한 후, 실제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UE1은 일련의 자원의 집합을 의미하는 자원 풀 (resource pool) 내에서 특정한 자원에 해당하는 자원 유닛을 선택하고 해당 자원 유닛을 사용하여 사이드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자원 풀은 UE1이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경우 기지국이 알려줄 수 있으며, UE1이 기지국의 커버리지 밖에 있는 경우에는 다른 UE가 알려주거나 혹은 사전에 정해진 자원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자원 풀은 복수의 자원 유닛으로 구성되며 각 UE는 하나 혹은 복수의 자원 유닛을 선정하여 자신의 사이드링크 신호 전송에 사용할 수 있다.
도 8는 자원 풀 및 자원 유닛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체 주파수 자원이 NF개로 분할되고, 전체 시간 자원이 NT개로 분할되어, 총 NF*NT 개의 자원 유닛이 정의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특히, 해당 자원 풀이 NT 서브프레임을 주기로 반복된다고 할 수 있다. 특징적으로, 하나의 자원 유닛은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나타날 수 있다. 혹은 시간이나 주파수 차원에서의 다이버시티 (diversity) 효과를 얻기 위하여 하나의 논리적인 자원 유닛이 맵핑되는 물리적 자원 유닛의 인덱스가 시간에 따라서 사전에 정해진 패턴으로 변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자원 유닛 구조에 있어서, 자원 풀이란 사이드링크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UE가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 유닛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자원 풀은 여러 종류로 세분화될 수 있다. 먼저 자원 풀에서 전송되는 사이드링크 신호의 컨텐츠에 따라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아래 1) 내지 3)과 같이 사이드링크 신호의 컨텐츠는 SA,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 및 디스커버리 신호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 컨텐츠에 따라서 별도의 자원 풀이 설정될 수 있다.
1) SA(Scheduling assignment): SA는 전송 UE가 후행하는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의 자원 위치 정보 및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의 복조를 위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나 MIMO 전송 방식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지칭한다. 상기 SA는 동일 자원 유닛 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와 함께 다중화되어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SA 자원 풀이란 SA가 사이드링크 데이터와 다중화되어 전송되는 자원의 풀을 의미할 수 있다.
2)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은 전송 UE가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채널을 지칭한다. 만약 SA가 동일 자원 유닛 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와 함께 다중화되어 전송된다면, SA 자원 풀의 특정 자원 유닛 상에서 SA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었던 RE(resource element)를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 자원 풀에서도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3)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UE가 자신의 ID등의 정보를 전송하여 인접 UE로 하여금 자신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위한 자원 풀을 의미한다.
4) 동기 신호: 송신 UE가 동기 신호 및 동기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수신 UE가 송신 UE에게 시간/주파수 동기를 맞추는 목적을 달성하는 신호/채널을 위한 자원 풀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송신 데이터를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선택하는 장치 (즉, UE)의 자원 선택에 있어서, 사용이 제한된 자원을 일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사용 가능한 자원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의 지시 없이 V2X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 4 UE는 센싱을 통해 송신 자원을 선택할 때, 다른 UE들이 점유한 자원을 후보 자원에서 제외하여 선택하지 못하도록 자가 제한 (self-restriction)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한된 자원을 일정한 조건하에 활용 가능한 자원으로 인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V2X 모드 4와 같이 동작하는 단말이 자신이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자원을 선택함에 있어서, 다른 단말이 점유한 자원을 센싱하거나 센서 데이터 및 (전달받은) 공유 데이터 등을 통해 파악한 자신 혹은 다른 단말의 위치/일정 시점 이후의 위치/이동 방향/속도/가속도/빔의 방향/점유 자원/ 등과 같은 정보를 기반하여, 일정 조건을 만족 시 해당 자원을 활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현존하는 V2X 기술의 용어 등을 차용하여 서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적용범위를 현존하는 V2X 기술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NR (New Rat)-V2X와 같이 새롭게 정의하고 있는 차량간 통신 기술을 포함하여 다른 형태의 통신 기술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송신 데이터를 위한 자원을 선택하는 기기의 동작의 예로 센싱 동작을 수행하는 UE를 제시하였으나, 이는 한가지 예시일 뿐 시간/주파수 자원의 선택에 있어서 사용이 제한된 자원을 일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사용 가능한 자원으로 인식하도록 동작하는 차량/차량에 탑재된 UE/eNB/RSU (Road Side Unit)등 모든 통신 기기를 예로 들 수 있다.
V2X 모드 4 UE와 같이, 단말이 기지국의 도움 없이 센싱 기반의 자원 선택 동작을 할 경우, 차량의 위치, 속도, 가속도, 빔의 방향 등과 같이 추가적인 정보에 관계없이, 검출된 SA를 기반으로 유보 (reserved) 자원을 우선적으로 제외한다. 그 후 PSSCH (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RSRP (Reference Signals Received Power)가 일정한 임계치를 넘지 않는 사용할 시간/주파수 자원을 자신이 사용할 자원으로 결정한다. 이때, 도로에서 검출되는 SA는 센싱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의 센싱 수행 동안 유효한 센싱 반경 내에 있는 모든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것이다. 따라서 UE는 자신 혹은 다른 차량의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수신한 SA를 기반으로 모든 유보 자원을 제한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도 9는 종래의 V2X 모드 4 UE가 송신 자원을 제한하는 상황을 예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종래의 자원 제한은, A에 속한 차량들이 반대차선 B에 위치한 차량들이나 교차 구간의 다른 도로 C에 위치한 차량들이 점유한 자원을 제한하여 시간/주파수 자원을 선택할 때 활용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B와 C에 속한 차량들의 진행방향은 A에 속한 차량과 반대 방향이거나 직교하는 방향이므로 상대적인 속도, 가속도에 따라 일정한 시간 뒤에는 A 와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와 B를 고속도로로 가정한다면 100 km/h 일때, 각각 A와 B에 속하며 거리가 0m인 두 차량이 1초 뒤에는 약 55m의 거리 차이가 발생한다. 일반 도로를 가정하더라도 60km/h의 속도를 가정하면 1초 뒤에는 약 33m의 거리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달리고 있는 서로 다른 차량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같은 방향의 도로에서 같은 방향의 빔을 사용하는 차량보다 즉시 혹은 일정 시점 이후 더 낮은 PSSCH-RSRP값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같은 방향의 도로에 속한 차량의 자원/자원 풀 재선택 시점에 대한 정보가 있다면, 변경 시점에 해당 자원 사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파악하는 것이, 자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센싱으로 파악된 유보 자원 중 일정 시간 이후에는 사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식하는 동작이 필요하다. 여기서 상기 일정 시간은 반대 차선이나 다른 도로에 존재하는 차량들이 유보한 자원들은 속도, 가속도, 빔의 방향, 자원 변경 시점 등을 따라 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자율 주행 서비스와 같이 서비스 신뢰성 (reliability) 또는 연속성 (continuity) 보장이 필수적인 V2X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이 강조됨에 따라, 서비스 요구 사항 (service requirement)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단말(들)의 현 시점 측정 정보 공유 뿐 아니라, QoS (Quality of Service) 예측 및 예측한 QoS의 대한 다른 차량/기지국/RSU/보행자 (Pedestrian)로의 제공 등이 V2X 통신 주체들 간에 수행되어야 한다.
이 때, QoS는 데이터 레이트/레이턴시/신뢰도 (reliability) 품질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가령 GBR (guaranteed bit rate), 또는/및 PDB (packet delay budget), 및/또는 PER (pecket error rate) 와 같은 파라미터로 표현될 수 있다. 이는 QoS 저하가 예측된 다는 것을 이벤트 발생 보다 특정 시점 이전에 알 수 있다면, 자율 주행 레벨을 조정하거나 수동 주행으로의 전환을 해당 이벤트 발생 전에 앞서 결정할 수 있는 이득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QoS 예측을 위해서는, (1) 위에서 언급한 다른 V2X 통신 주체 (예를 들어, UE/eNB/RSU/보행자)의 운행 의도 (driving intention) 및 경로와 관련된 정보, 및/또는 (2) 네트워크 상황, 및/또는 (3) 물리적인 채널 상황(예를 들어, 페이딩 (fading) 효과, 차단체 (blocker)의 등장) 과 같은 정보가 요구될 수 있다.
상술한 제안 기법이 QoS 예측을 위해 적용되어야 하는 중요한 이유는, (1) QoS 예측의 경우 주로 자신과 인접한 (그리고 앞으로 특정 유효 시간 동안 자신의 QoS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차량에 대한 정보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2) QoS 예측이 반드시 필요한 단말이라면, QoS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나/QoS 예측 결과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메시지의 경우, 기존의 자원 할당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더 높은 우선순위로, 더 좋은 채널 상황 (예를 들어, 페이딩, CBR 등)을 보장할 수 있는 자원을 통해 전송해야 할 필요성이 생기기 때문이다. 즉, QoS 예측 관련 메시지라는 조건 또한 위에서 설명한 제한이 있는 자원을 활용 가능한 자원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일정한 조건의 일례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원 선택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다른 단말이 점유한 자원을 하나 이상의 수단 (센싱/센서 데이터/(전달받은)공유 데이터 등)을 통해 파악한 자신 혹은 다른 단말의 하나 이상의 측정 정보 (위치/일정 시점 이후의 위치/이동 방향/속도/가속도/빔의 방향/점유 자원/ 등)를 이용하여, 일정 조건을 만족할 때 해당 자원을 선택이 가능한 서브셋에 포함하거나 선택이 불가능한 제한 서브셋 (restricted subset)에서 제외하여 활용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다.
다른 단말이 점유한 자원을 파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단 중, 센싱 데이터는 센싱 과정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모든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LTE-V2X 에 정의된 것과 같이 데이터에 포함된 SA (Scheduling assignment) 를 통해 다른 차량의 유보 자원을 파악할 수 있으며, 세이프티 메시지 (safety message) 를 통해 단말의 속도, 도로, 방향,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정의된 LTE-V2X를 기준으로 얻을 수 있는 데이터를 통한 정보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새롭게 정의될 V2X를 포함한 모든 통신 기술에서 포맷에 관계없이 센싱 수행 동안 검출된 데이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단말들의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센서 데이터는 자신의 차량 혹은 차량에 탑재된 기기들이 가지고 있는 센서를 기반한 모든 검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레이더, Lidar (laser radar), GPS, 네비게이터 (Navigator), 블랙 박스(black box), 카메라 (camera),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 차량이 셀룰러 통신과 관계없이 직간접적으로 얻을 수 있는 프로세싱된 (processed) 데이터를 포함한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공유 데이터는 공유의 주체 (UE, RSU, eNB)나 포맷에 관계없이 직간접적으로 전달받은 모든 다른 차량의 정보를 의미한다.
여기서, 다른 단말이 점유한 자원을 파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부터 얻은 하나 이상의 측정 정보는 프로세싱된 데이터 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위치 정보나 이동 방향 정보는 단말의 센서나 GPS 등을 통한 직접적인 데이터 뿐 아니라, 사전에 정의된 지시자 값을 얻거나 주변 셀이 RSU의 ID를 기반으로 추정된 프로세싱된 데이터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이동 방향 정보는 RRC 연결 (connected) 상태인 UE의 경우 셀 간에 핸드오버를 수행할 시 그리고 RRC 휴지 (idle) 상태인 UE의 경우에는 셀 재선택를 수행할 때 셀 ID가 변경되는 것을 추적하여 파악할 수도 있다. 그러나, 위의 예시는 자원 선택 방법에 활용하기 위한 측정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대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측정 정보를 얻는 방법에 무관하게 적용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자원 선택 방법을 설명한다.
(1) 우선, 첫 번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수단을 통해 파악한 자신 혹은 다른 단말의 하나 이상의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한 자원 로 분류된 다른 차량들의 유보 자원을 즉시 혹은 일정 시간 뒤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A에 속한 차량의 단말 X가 시점 t에서 자원 선택을 수행할 때, 자신과 A 혹은 B 혹은 C 에 속한 차량의 단말 Y의 하나 이상의 정보 (위치/이동방향/속도/가속도/빔의 방향 등)를 고려하여 특정 시점, 즉 t+n 이후에 해당 자원에서 관측되는 에너지/수신전력/수신신호의 품질 등 (예를 들어, PSSCH-RSRP)이 임계치 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측될 경우, Y의 유보 자원을 t+n 이후부터 사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식한다.
- 이 경우, 제한 자원을 제외한 자원을 우선적으로 자원 선택에 사용을 하되, 자원 가 부족할 경우에 한해서 Y의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X가 속한 자원 풀 내의 가용 자원이 부족할 경우 단말 Y가 속한 자원 풀의 Y의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모드 4 UE의 자원 선택 동작에서 PSSCH-RSRP의 임계치가 일정한 값 이상이 되는 경우 Y의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 또는, 단말 X 자신과 A 혹은 B 혹은 C 에 속한 차량의 단말 Y의 하나 이상의 정보 (위치/이동방향/속도/가속도/빔의 방향 등)를 고려할 때, 특정 정보 혹은 특정 정보들의 조합 혹은 특정 정보를 바탕으로 한 파라미터 값 등 (이하 특정 정보들)을 우선하여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정보들의 우선순위는 정의되지 않거나, 정의가 고정적으로 정해져 있거나, 정의가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또한 우선순위가 사전에 정해져 있거나, 네트워크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해 결정되거나 단말 자체적인 판단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시점 t+n의 n은 단수로 존재할 수도 복수로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한 자원에서 제외하기 위해, 특정 정보들 중 우선적으로 방향을 고려하여 A의 유보 자원을 제외하고, 현재 속력를 고려하여 B 혹은 C 의 유보 자원 중 일정 속력 이하의 자원을 제외하여 시점 t+0 (n=0) 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어서, 남은 유보 자원 에 대해 다음 우선 순위의 정보를 고려하여 t+n (n>=0) 시점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특정 정보들 중 위치 기반 정보를 우선하여 같은 진행 방향 단말의 유보 자원만 자원 선택에서 제외하거나 같은 속도의 단말의 유보 자원만 자원 선택에서 제외하는 등 특정 정보만 우선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식할 수 있다.
- 또는, 특정 시점 t+n 전후로 추가적인 센싱을 통해 얻은 측정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적인 센싱 결과, t+n 시점 전후에 측정된 Y 가 유보 한 자원의 PSSCH-RSRP가 임계치 보다 낮은 경우 Y의 유보 자원을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식한다. 다른 예로서, 추가적인 센싱 결과, 1에서 t+n 시점 전후에 측정된 Y 가 유보 한 자원의 PSSCH-RSRP가 예측 값과 일정 수준 이하의 오차를 가질 경우 Y의 자원을 t+n 이후부터 사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식한다.
(2) 두 번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수단을 통해 파악한 자신 혹은 다른 단말의 하나 이상의 측정 정보 중, 자원/자원 풀 재선택 시점 정보를 이용하여, 제한 자원으로 분류된 다른 차량들의 유보 자원을 즉시 혹은 일정 시간 뒤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단말 X가 자원 선택을 할 때, 다른 차량의 단말 Y의 자원을 자원/자원 풀 재선택 시점 t+N 이후부터 사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식한다.
- 이 경우, 제한 자원을 제외한 자원을 우선적으로 자원 선택 에 사용을 하되, 자원 가 부족할 경우에 한해서 Y의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X가 속한 자원 풀 내의 가용 자원이 부족할 경우 단말 Y가 속한 자원 풀의 Y의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모드 4 UE의 자원 선택 동작에서 PSSCH-RSRP의 임계치가 일정한 값 이상이 되는 경우 Y의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 또는, 특정 시점 t+N 전후로 추가적인 센싱을 통해 얻은 측정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적인 센싱 결과, 1에서 t+N 시점 전후에 측정된 Y 가 유보 했던 자원의 PSSCH-RSRP가 임계치 보다 낮은 경우 Y의 유보 자원을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식한다.
상기 첫 번째 방법 및 두 번째 방법은 서로 조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추가적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해당 유보 자원 혹은 자원 풀을 점유하지 못하도록 미리 설정하거나 별도로 지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알려줄 수도 있다.
상술한 방법들이 기능적으로 적용된 모든 단말이 해당 동작을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전체 단말이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도, 일부 단말만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해당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시점이나 온/오프 타이밍 혹은 해당 동작에 필요한 파라미터 값 등은 단말이 자체적으로 수행/판단 할 수도 있고, 다른 단말이나 eNB, RSU 등 네트워크를 통해서 다양한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말은 본 발명이 적용된 방법을 수행한 결과 혹은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가공한 정보를 다른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그 정보를 전달 받은 단말은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동작을 혹은 동작 일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에 속한 UE들이 X, Y, Z 일 때, X UE만 상술한 방법들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제한 서브셋에서 제외하거나 제외하지 않아야 하는 자원 혹은 자원 풀 및 그 시점에 대한 직간접적인 정보나 상술한 방법들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다른 UE Y, Z 에게 전달할 수 있다. Y, Z는 해당 정보를 무시하거나, 해당 정보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거나, 이 정보를 공유 데이터로 여기고 상술한 방법들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Y, Z는 상술한 방법들에 해당하는 동작 중 일부 파라미터만 선택적으로 취사하여 동작하거나, 제한 서브셋에서 해당 정보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제한 해제가 필요한 일부 자원 혹은 자원 풀을 제외하는 것과 같은 일부 동작만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 단말이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예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1001에서 차량 단말은 송신 자원 풀에 대한 센싱에 기반하여 제한 자원 집합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 자원 풀에서 센싱 결과값이 임계치 이상인 하나 이상의 자원을 상기 제한 자원 집합으로 구성한다.
다음으로, 단계 1003에서 차량 단말은 상기 제한 자원 집합 내에서 유보 자원 집합을 결정한다. 특히, 상기 제한 자원 집합 내에서 센싱 결과값이 상기 제 2 시점에 상기 임계치 이하일 것으로 예측되는 하나 이상의 자원을 상기 유보 자원 집합으로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싱 결과값이 상기 제 2 시점에 상기 임계치 이하일 것으로 예측되는지 여부는, 다른 차량 단말의 이동 방향, 상기 다른 차량 단말의 이동 속도 및 상기 다른 차량 단말의 송신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계속하여, 단계 1005에서 차량 단말은 상기 송신 자원 풀에서 상기 제한 자원 집합을 제외한 가용 자원 집합에서 선택된 송신 자원을 이용하여 제 1 시점에서 상기 신호를 송신하고, 단계 1007에서 차량 단말은 제 1 시점 이후의 제 2 시점에서 상기 유보 자원 집합을 상기 가용 자원 집합으로 설정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시점에서 상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상기 가용 자원 집합의 자원이 부족한 경우,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유보 자원 집합에서 상기 송신 자원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1100)는 프로세서(1110), 메모리(1120), RF 모듈(1130), 디스플레이 모듈(11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50)을 포함한다.
통신 장치(11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으로서 일부 모듈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100)는 필요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100)에서 일부 모듈은 보다 세분화된 모듈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10)의 자세한 동작은 도 1 내지 도 10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프로세서(1110)에 연결되며 오퍼레이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RF 모듈(1130)은 프로세서(1110)에 연결되며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 신호를 변환하거나 무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F 모듈(1130)은 아날로그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상향 변환 또는 이들의 역과정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140)은 프로세서(1110)에 연결되며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140)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잘 알려진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50)은 프로세서(1110)와 연결되며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잘 알려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필드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송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3GPP LTE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3GPP LTE 시스템 이외에도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차량 단말이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 자원 풀에 대한 센싱에 기반하여 제한 자원 집합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제한 자원 집합 내에서 유보 자원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자원 풀에서 상기 제한 자원 집합을 제외한 가용 자원 집합에서 선택된 송신 자원을 이용하여 제 1 시점에서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2 시점에서 상기 유보 자원 집합은 상기 가용 자원 집합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자원 집합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자원 풀에서 센싱 결과값이 임계치 이상인 하나 이상의 자원을 상기 제한 자원 집합으로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보 자원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한 자원 집합 내에서 센싱 결과값이 상기 제 2 시점에 상기 임계치 이하일 것으로 예측되는 하나 이상의 자원을 상기 유보 자원 집합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결과값이 상기 제 2 시점에 상기 임계치 이하일 것으로 예측되는지 여부는,
    다른 차량 단말의 이동 방향, 상기 다른 차량 단말의 이동 속도 및 상기 다른 차량 단말의 송신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점에서 상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상기 가용 자원 집합의 자원이 부족한 경우, 상기 유보 자원 집합에서 상기 송신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로서,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송신 자원 풀에 대한 센싱에 기반하여 제한 자원 집합을 구성하고, 상기 제한 자원 집합 내에서 유보 자원 집합을 결정하며, 상기 송신 자원 풀에서 상기 제한 자원 집합을 제외한 가용 자원 집합에서 선택된 송신 자원을 이용하여 제 1 시점에서 상기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 2 시점에서 상기 유보 자원 집합은 상기 가용 자원 집합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자원 풀에서 센싱 결과값이 임계치 이상인 하나 이상의 자원을 상기 제한 자원 집합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한 자원 집합 내에서 센싱 결과값이 상기 제 2 시점에 상기 임계치 이하일 것으로 예측되는 하나 이상의 자원을 상기 유보 자원 집합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결과값이 상기 제 2 시점에 상기 임계치 이하일 것으로 예측되는지 여부를,
    다른 차량 단말의 이동 방향, 상기 다른 차량 단말의 이동 속도 및 상기 다른 차량 단말의 송신 빔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시점에서 상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상기 가용 자원 집합의 자원이 부족한 경우, 상기 유보 자원 집합에서 상기 송신 자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97028164A 2017-04-10 2018-04-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송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04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83931P 2017-04-10 2017-04-10
US62/483,931 2017-04-10
PCT/KR2018/004177 WO2018190604A1 (ko) 2017-04-10 2018-04-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송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744A true KR20190117744A (ko) 2019-10-16
KR102204625B1 KR102204625B1 (ko) 2021-01-19

Family

ID=63792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164A KR102204625B1 (ko) 2017-04-10 2018-04-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송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95298B2 (ko)
EP (1) EP3611975B1 (ko)
JP (1) JP6937841B2 (ko)
KR (1) KR102204625B1 (ko)
CN (1) CN110495227B (ko)
WO (1) WO20181906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431A1 (ko) * 2018-07-02 2020-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사이드링크의 품질에 대한 로깅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700108B1 (en) 2019-02-20 2023-08-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supporting a first mobile station to predict the channel quality for a planned decentralized wireless communication to a communication partner station und mobile station
CA3108542A1 (en) * 2018-08-07 2020-02-13 Idac Holding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utonomous resource selection in new radio vehicle to everything (nr v2x)
EP3886514A4 (en) * 2018-11-22 2021-12-29 Fujitsu Limited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71091B2 (en) * 2019-01-10 2021-07-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ntention level signaling for resource pools
US11259214B2 (en) * 2019-05-13 2022-02-22 Qualcomm Incorporated Guaranteed packet delay budget
CN112105084A (zh) * 2019-06-18 2020-12-18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CN111885619B (zh) * 2020-06-24 2023-01-17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信道侦听方法、终端设备
CN111901881B (zh) * 2020-08-12 2022-08-26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传输方法及装置
CN112153602B (zh) * 2020-09-24 2024-05-14 中信科智联科技有限公司 一种资源选择方法及终端
CN116326067A (zh) * 2020-10-15 2023-06-23 苹果公司 Ue间协调消息的触发和信令
WO2022147215A1 (en) 2020-12-30 2022-07-07 Ofinno, Llc Selection window determination for sidelink inter-ue coordin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4147A1 (ko) * 2015-03-12 2016-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V2x 통신 시스템에서 차량에 설치된 단말의 통신 방법 및 단말
US20160295624A1 (en) * 2015-04-02 2016-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source pool design for vehicular communications
WO2017048100A1 (ko) * 2015-09-17 201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5297B2 (en) * 2013-12-02 2018-09-25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supporting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107344B1 (en) * 2014-02-16 2019-01-02 LG Electronics Inc.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control signal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057076B2 (en) * 2014-05-19 2018-08-2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JP6501905B2 (ja) 2015-04-01 2019-04-1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v2x端末が信号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US10420119B2 (en) * 2015-05-15 2019-09-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vice-to-device priority pool configuration
CN106470483B (zh) * 2015-08-17 2019-12-1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信息发送与控制信息发送的方法及装置
KR20170034023A (ko) * 2015-09-18 201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V2x 통신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
WO2017052426A1 (en) 2015-09-22 2017-03-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source selection and reselection for direct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WO2017061913A1 (en) * 2015-10-08 2017-04-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vice to device operation in out of network coverage
US10142957B2 (en) * 2016-04-06 2018-11-27 Sharp Kabushiki Kaisha Resource selection for vehicle (V2X) communications
KR20180132712A (ko) 2016-04-11 2018-12-12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유저장치 및 신호 송신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4147A1 (ko) * 2015-03-12 2016-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V2x 통신 시스템에서 차량에 설치된 단말의 통신 방법 및 단말
US20160295624A1 (en) * 2015-04-02 2016-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source pool design for vehicular communications
WO2017048100A1 (ko) * 2015-09-17 201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TR, R1-163128, Resource allocation and selection enhancement for V2V communications, 3GPP TSG RAN WG1 #84bis, 3GPP 서버공개일(2016.04.01.) *
CATT, R1-156608, Consideration on design for eNB scheduling PC5 V2V, 3GPP TSG RAN WG1 #83, 3GPP 서버공개일(2015.11.07.) *
CATT, R1-1608720, Measurement metric for the congestion level in LTE V2X, 3GPP TSG RAN WG1 #86bis, 3GPP 서버공개일(2016.10.03.) *
Intel Corporation, R1-1611923, Partial sensing for P2V communication, 3GPP TSG RAN WG1 #87, 3GPP 서버공개일(2016.11.06.) *
Sony, R1-160678, Location based resource selection on LTE sidelink for V2V services, 3GPP TSG RAN WG1 #84, 3GPP 서버공개일(2016.02.06.) *
ZTE et al., R2-1703073, CR for the V2X sidelink communication in 36.300, 3GPP TSG_RAN WG2_RL2, 3GPP 서버공개일(2017.03.2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95298B2 (en) 2022-07-19
EP3611975A4 (en) 2020-12-09
KR102204625B1 (ko) 2021-01-19
EP3611975B1 (en) 2021-09-08
WO2018190604A1 (ko) 2018-10-18
JP2020517162A (ja) 2020-06-11
JP6937841B2 (ja) 2021-09-22
CN110495227B (zh) 2023-03-28
US20200037307A1 (en) 2020-01-30
EP3611975A1 (en) 2020-02-19
CN110495227A (zh) 201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8563B2 (en)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220462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송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032799B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9891802B (zh) 无线通信系统中执行用于v2x通信的harq的方法及其装置
KR10228437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센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59936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間の直接通信のためのディスカバリー信号の中継方法及びこのための装置
CN110383743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分配ack/nack资源的方法及其装置
US11122542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for V2X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220589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우선 순위 기반 간섭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514211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01131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이동 차량을 위한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0651521B (zh) 无线通信系统中由终端为信号分配资源的方法及用于其的装置
US10492200B2 (e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