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407A -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407A
KR20190117407A KR1020190047021A KR20190047021A KR20190117407A KR 20190117407 A KR20190117407 A KR 20190117407A KR 1020190047021 A KR1020190047021 A KR 1020190047021A KR 20190047021 A KR20190047021 A KR 20190047021A KR 20190117407 A KR20190117407 A KR 20190117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igh voltage
manufacturing
fuse
voltage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정
장국환
Original Assignee
강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정 filed Critical 강민정
Priority to KR1020190047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7407A/ko
Publication of KR20190117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2Manufacture of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2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high voltage fuses, i.e. above 1000 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5Electric connections to contacts on the base
    • H01H2085/2055Connections to bus bars in an installation with screw in type fuses or knife blade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 및 부하 측 회로에 연결되는 고전압 퓨즈용 버스 바(단자)를 일체로 형성하기 위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라인 및 부하 측 회로에 연결되는 고전압 퓨즈용 버스 바를 구성하는 터미널과,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과, 고정 플레이트를 단조 공정을 이용한 프레스 압착 공정으로 일체로 제조함으로써 고전압 퓨즈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고, 전기적 특성과 열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INTEGRATED BUS BAR FOR HIGH-VOLTAGE FUSE AND METHOD MANUFACTURING HIGH-VOLTAGE FUSE FOR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라인 및 부하 측 회로에 연결되는 고전압 퓨즈용 버스 바(단자)를 일체로 형성하기 위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전기 자동차(BEV),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PHEV) 등과 같은 전기 자동차에서는 기존의 자동차용 전력 분배 시스템보다 높은 전압에서 작동하는 고전압 전력 분배 시스템을 구비함에 따라 고전압 시스템에서 회로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고전압 퓨즈를 필요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10)는 하우징(11)과, 라인 및 부하 측 회로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버스 바(12, 13)와, 한 쌍의 버스 바(12, 13) 사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퓨즈 엘리먼트들(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퓨즈 엘리먼트들은 정해진 한계 전류가 흐르는 경우 용융되거나, 혹은 구조적으로 파손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 한 쌍의 버스 바(12, 13)의 접속을 차단한다. 이처럼 퓨즈 엘리먼트들이 용융 또는 파손으로 인해 개방되면, 부하 측 회로가 라인 측 회로로부터 절연되어 전기적 이상으로 인해 과전류가 라인 측에서 부하 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부하 측의 부품들과 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 쌍의 버스 바(12, 13)는 각각 라인 또는 부하 측 회로에 접속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의 단부에 형성되고 하우징(11)이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타측부에 결합되어 퓨즈 엘리먼트들이 용접 체결되는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을 포함한다.
하우징(11)은 관 형상으로, 양측부가 고정핀(14)에 의해 버스 바(12, 13)의 고정 플레이트의 측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 고정된다. 이에 따라, 개방된 하우징(11)의 양측부는 고정 플레이트에 의해 밀봉된다. 그리고, 하우징(11)의 내부에는 퓨즈 엘리먼트들의 파손시 발생되는 아크를 소화하기 위해 충전제(미도시)가 충진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10)에서는 버스 바(12, 13)의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을 고정 플레이트와 별도로 독립적으로 제작한 후 납땜이나 용접을 통해 고정 플레이트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10)는 버스 바(12, 13)의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과 고정 플레이트를 각각 별도로 제작한 후 이들을 납땜이나 용접을 통해 체결하여 조립함에 따라 제조 및 조립 공정이 번거롭고 복잡하였다.
둘째,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10)는 버스 바(12, 13)의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이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납땜과 용접을 통해 체결됨에 따라 접촉 저항이 증가하여 라인 측에서 부하 측 회로 간의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안정적인 전류 흐름을 방해하여 불필요한 전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셋째,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10)는 버스 바(12, 13)의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이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납땜과 용접을 통해 체결됨에 따라 이들 간에 접촉 특성이 낮아 열적 흐름이 원활하지않으며, 이로 인해 퓨즈(10) 내부의 온도를 외부로 빠르게 배출하지 못하는 등의 안전성에 문제가 될 수 있다.
KR 20-2014-0004270 U, 2014. 07. 11. KR 10-2016-0116425 A, 2016. 10. 10. KR 10-1262815 B1, 2013. 05. 03.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퓨즈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고, 전기적 특성과 열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라인 및 부하 측 회로에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전압 퓨즈용 버스 바를 구성하는 터미널과,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과, 고정 플레이트를 일체로 제조할 수 있는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상기한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환봉 또는 각봉으로 이루어진 금속 재질의 모재를 준비하는 단계; (b)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단조공정을 통해 상기 모재의 일측부를 압착하여 터미널을 형성하는 단계; (c)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단조공정을 통해 상기 모재의 타측부를 압착하여 상기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체결홀과 충전제 주입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모재의 일측부를 1차 압착하는 단계; (b-2) 1차 압착된 상기 모재의 일측부를 원하는 두께로 2차 압착하는 단계; 및 (b-3) 2차 압착된 상기 모재의 일측부를 트리밍하여 상기 터미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 사이에 상기 터미널에 터미널 접속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에 터미널 접속홀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터미널에 대해 트리밍을 추가로 실시하여 상기 터미널을 원하는 크기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의 중앙에 나사홈을 더 형성하고, 상기 (d) 단계 후, 상기 나사홈에 아크나 스파크 발생시 발생되는 충격 전류를 흡수하는 니들을 나사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한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한 쌍의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를 각각 제조하되, 상기 한 쌍의 일체형 버스 바 중 어느 하나에만 상기 충전제 주입홀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한 쌍의 일체형 버스 바의 각 상기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에 상기 퓨즈 엘리먼트를 납땜 또는 용접으로 접속하는 단계; (c) 고정핀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일체형 버스 바의 고정 플레이트에 하우징을 고정하는 단계; (d) 상기 충전제 주입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충전제를 주입하는 단계; 및 (e) 상기 충전제 주입홀을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체결홀에 쉽게 박히도록 길이방향으로 양측부가 외측으로 볼록한 볼록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홀에 박힌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을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안정적으로 압착 고정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외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인 및 부하 측 회로에 연결되는 고전압 퓨즈용 버스 바를 구성하는 터미널과,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과, 고정 플레이트를 단조 공정을 이용한 프레스 압착 공정으로 일체로 제조함으로써 고전압 퓨즈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고, 전기적 특성과 열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퓨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전압 퓨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전압 퓨즈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고전압 퓨즈의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바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공정 흐름도.
도 8 내지 도 14는 각 공정별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핀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버스 바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퓨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전압 퓨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전압 퓨즈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고전압 퓨즈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퓨즈(20)는 하우징(21)과, 라인 및 부하 측 회로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버스 바(22, 23)와, 한 쌍의 버스 바(22, 23) 사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퓨즈 엘리먼트들(24)을 포함한다.
한 쌍의 버스 바(22, 23)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라인 및 부하 측 회로에 각각 접속되고, 퓨즈 엘리먼트들(24)에 의해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된다. 일례로, 버스 바(22)는 라인 측 회로에 접속되고, 버스 바(23)는 부하 측 회로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버스 바(22, 23)는 하우징(21)이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222, 232)와, 고정 플레이트(222, 232)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라인 또는 부하 측 회로에 접속되는 터미널(221, 231)과, 고정 플레이트(222, 232)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퓨즈 엘리먼트(24)가 접속되는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223, 233)을 포함한다.
버스 바(22, 23)는 각각 터미널(221, 231), 고정 플레이트(222, 232) 및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223, 233)이 동일 금속으로 일체로 제조됨에 따라 조립형 구조에 비해 고전압 퓨즈(20)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고 전기적 특성과 열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하우징(21)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관 형상, 예를 들면 원형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우징(21)의 양측부는 고정핀(25)을 통해 고정 플레이트(222, 232)의 측부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21)의 양측부와 고정 플레이트(222, 232)의 측부에는 고정핀(25)이 관통 체결되는 체결홀(21a, 222a, 22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6과 같이, 하우징(21)과 고정 플레이트(222, 232)에 의해 밀봉되는 고전압 퓨즈(20)의 내부(퓨즈 엘리먼트들(24)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에는 과전류로 인해 퓨즈 엘리먼트들(24)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소화하기 위해 충전제(26)가 충전된다.
충전제(26)는 도 3과 같이, 한 쌍의 버스 바(22, 23) 중 어느 하나, 예를 들면, 버스 바(22)의 고정 플레이트(222)에 형성된 충전제 주입홀(222b)을 통해 내부로 주입된다. 충전제(26)의 주입이 완료되면, 충전제 주입홀(222b)은 별도의 부재, 예를 들면, 볼트 부재이거나, 봉 형상의 핀 부재, 합성수지 부재, 고무 부재로 의해 밀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제(26)는 석영 모래나 석영 실리카 모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혹은 높은 열전도와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석영 모래나 석영 실리카 모래에 액체 상태의 규산나트륨 용액을 첨가한 후 건조시키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퓨즈 엘리먼트들(24)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적어도 하나가 한 쌍의 버스 바(22, 23)의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223, 233)에 납땜 또는 용접 공정을 통해 접속된다. 이때, 상기 용접 공정은 레이저 용접 또는 초음파 용접(융착) 공정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터미널(221, 231), 고정 플레이트(222, 232) 및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223, 233)이 일체로 이루어진 버스 바(22, 23)는 가공이 어려운 NC 기계가공(절삭 가공) 대신에 단일 모재를 이용하여 금형 프레스를 이용한 단조 공법으로 제조한다. 예를 들어, 단일 모재를 일정 온도로 예열한 후 금형 프레스로 형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바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공정 흐름도이고, 도 8 내지 도 14는 각 공정별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4에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평면도, (d)는 배면도이다.
도 7과 같이, 모재(1)를 준비한다. 이때, 모재(1)는 환봉 또는 각봉으로, 구리, 황동, 아연, 또는 니켈 등과 같은 전기 도전성 금속 재료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후, 도 7 및 도 8과 같이, 터미널을 형성하기 위해 단조공정을 통해 모재(1)의 일부를 1차 압착한다(ST1). 예를 들어, 상기 단조공정은 프레스 금형, 즉,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내에 모재(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일정 온도로 모재(1)를 예열한 후 모재(1)의 일측부, 즉 터미널이 형성될 부위(1a)를 프레스 금형으로 평평하게 압착한다.
이후, 도 9와 같이, 1차 압착된 부위(1a)를 2차 압착하여 원하는 두께로 형성한다. 이때, 2차 압착공정은 1차 압착공정과 마찬가지로, 단조공정으로 실시한다. 그리고, 2차 압착된 부위(1a')의 두께(t2)는 1차 압착된 부위(1a)의 두께(t1)보다 작다.
물론, 도 9에 도시된 2차 압착공정은 형성하고자 하는 터미널의 두께에 따라 생략가능하다. 즉, 1차 압착공정만으로도 원하는 두께의 터미널을 한 번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후, 도 7 및 도 10과 같이, 2차 압착된 부위(1a')를 1차 트리밍하여 불필요한 부위(a)를 제거하여 터미널을 형성할 수 있다(ST2). 이때, 상기 1차 트리밍 공정은 단조 또는 절단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a'는 트리밍에 의해 제거된 부위를 나타내고, 1a''는 트리밍 후 불필요한 부위가 제거된 상태의 터미널을 나타낸다.
이후, 도 7 및 도 11과 같이,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단조공정을 실시하여 1차 트리밍이 완료된 모재(1)의 타측부를 압착하여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2)과 고정 플레이트(3)를 동시에 형성한다(ST3). 이때, 상기 단조공정은 금형 프레스를 이용하여 1차 압착된 부위(1a'')의 반대측 모재(1)를 압착하여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을 갖는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2)을 형성함과 동시에 고정 플레이트(3)를 형성한다.
이후, 도 7, 도 12 및 도 13과 같이, 피어싱(펀칭) 공정을 통해 터미널(4)에 라인 및 부하 측 회로와 접속되는 터미널 접속홀(4a)을 형성한다(ST4). 이때, 2차 트리밍 공정을 통해 터미널을 완성기 위해 불필요한 부위(b)를 추가로 제거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2차 트리밍 공정은 도 7 및 도 10에서 실시된 1차 트리밍 공정을 통해 터미널이 원하는 크기(최종 크기)로 형성된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다.
이후, 도 7 및 도 14와 같이, 하우징이 체결되는 체결홀(3a)과 충전제가 주입되는 충전제 주입홀(3b)을 형성하여 버스 바를 완성한다(ST5). 이때, 각 면을 면취하는 한편, 버스 바의 경량화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살빼기 홈(3c)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충전제 주입홀(3b)은 한 쌍의 버스 바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한다.
도 7 내지 도 14와 같이,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단조공정을 통해 터미널, 고정 플레이트 및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이 일체로 이루어진 한 쌍의 버스 바를 완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퓨즈(20)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 내지 도 14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한 쌍의 버스 바(22, 23)를 제조한다.
이후, 한 쌍의 버스 바(22, 23)의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223, 233)에 퓨즈 엘리먼트(24)를 납땜이나 레이저 용접 또는 초음파 용접을 통해 접속한다.
이후, 고정핀(25)을 이용하여 하우징(21)을 고정 플레이트(222, 232)에 체결한다.
이후, 한 쌍의 버스 바(22, 23) 중 어느 하나의 버스 바(22)의 고정 플레이트(222)에 형성된 충전제 주입홀(22b)을 통해 내부로 충전제(26)를 주입하여 절연한다.
이후, 충전제 주입홀(22b)을 밀봉하여 고전압 퓨즈(20)를 완성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핀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와 같이, 고정핀(25)은 하우징(21)과 한 쌍의 버스 바(22, 23)의 고정 플레이트(222, 232)에 형성된 체결홀(21a, 222a, 232a)에 망치 부재로 박아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핀(25)은 체결홀(21a, 222a, 232a)에서 쉽게 박히도록 길이방향으로 양측부가 외측으로 볼록한 볼록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체결홀(21a, 222a, 232a)에 박힌 상태에서 하우징(21)을 고정 플레이트(222, 232)에 안정적으로 체결 고정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외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요철(25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버스 바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16은 버스 바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17은 버스 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버스 바(32)는 터미널(321), 고정 플레이트(322),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323) 및 니들(324)을 포함한다.
터미널(321), 고정 플레이트(322) 및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323)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버스 바(22)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323)의 중앙에는 니들(324)이 결합되기 위한 나사홈(323a)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홈(323a)은 도 7 및 도 14에서, 체결홀(3a), 살빼기 홈(3c), 충전제 주입홀(3b)을 형성할 때 함께 형성할 수 있다.
니들(324)은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323)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홈(323a)에 나사 체결되어 피뢰침과 같이, 아크나 스파크 발생시 발생되는 충격 전류 등을 흡수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모재
1a, 1a', 1a'' : 터미널이 형성될 부위
10, 20 : 고전압용 퓨즈
11, 21 : 하우징
12, 13, 22, 23, 32 : 버스 바
24 : 퓨즈 엘리먼트
14, 25 : 고정핀
26 : 충전제
4, 221, 231, 321 : 터미널
3, 222, 232, 322 : 고정 플레이트
2, 223, 233, 323 :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
3a, 21a, 222a, 223a : 체결홀
4a : 터미널 접속홀
3b : 충전제 주입홀
3c : 살빼기 홈
25a : 요철
324 : 니들
232a : 나사홈

Claims (5)

  1. 하우징이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라인 또는 부하 측 회로에 접속되는 터미널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퓨즈 엘리먼트가 접속되는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을 포함하는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환봉 또는 각봉으로 이루어진 금속 재질의 모재를 준비하는 단계;
    (b)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단조공정을 통해 상기 모재의 일측부를 압착하여 터미널을 형성하는 단계;
    (c)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단조공정을 통해 상기 모재의 타측부를 압착하여 상기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체결홀과 충전제 주입홀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프레스 금형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내에 상기 모재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모재를 예열하는 단계;
    (b-2) 상기 터미널이 형성될 부위를 프레스 금형으로 평평하게 1차 압착하는 단계;
    (b-3) 1차 압착된 상기 모재의 일측부를 원하는 두께로 2차 압착하는 단계; 및
    (b-4) 2차 압착된 상기 모재의 일측부를 트리밍하여 상기 터미널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 사이에 상기 터미널에 터미널 접속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에 터미널 접속홀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터미널에 대해 트리밍을 추가로 실시하여 상기 터미널을 원하는 크기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의 중앙에 나사홈을 더 형성하고,
    상기 (d) 단계 후, 상기 나사홈에 아크나 스파크 발생시 발생되는 충격 전류를 흡수하는 니들을 나사 결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의 제조방법.
  4. (a)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한 쌍의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를 각각 제조하되, 상기 한 쌍의 일체형 버스 바 중 어느 하나에만 상기 충전제 주입홀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한 쌍의 일체형 버스 바의 각 상기 퓨즈 엘리먼트 접속블록에 상기 퓨즈 엘리먼트를 납땜 또는 용접으로 접속하는 단계;
    (c) 고정핀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일체형 버스 바의 고정 플레이트에 하우징을 고정하는 단계;
    (d) 상기 충전제 주입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충전제를 주입하는 단계; 및
    (e) 상기 충전제 주입홀을 밀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체결홀에 쉽게 박히도록 길이방향으로 양측부가 외측으로 볼록한 볼록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홀에 박힌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을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안정적으로 압착 고정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외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
KR1020190047021A 2019-04-23 2019-04-23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 KR20190117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021A KR20190117407A (ko) 2019-04-23 2019-04-23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021A KR20190117407A (ko) 2019-04-23 2019-04-23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559 Division 2018-04-06 2018-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407A true KR20190117407A (ko) 2019-10-16

Family

ID=6842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021A KR20190117407A (ko) 2019-04-23 2019-04-23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740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815B1 (ko) 2012-07-19 2013-05-09 주식회사 알피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퓨즈
KR20140004270U (ko) 2013-01-03 2014-07-11 (주)도닉스 터미널단자 통형상 퓨즈
KR20160116425A (ko) 2015-03-30 2016-10-1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퓨즈를 구비한 단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815B1 (ko) 2012-07-19 2013-05-09 주식회사 알피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퓨즈
KR20140004270U (ko) 2013-01-03 2014-07-11 (주)도닉스 터미널단자 통형상 퓨즈
KR20160116425A (ko) 2015-03-30 2016-10-1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퓨즈를 구비한 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9629B1 (ko) 소형 고전압 전력 퓨즈 및 그 제조 방법
US11075048B2 (en) Compact high voltage power fuse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101889242B1 (ko) 엔드벨 조립체를 가진 고전류 퓨즈
CN101453089B (zh) 电连接器
US9812278B2 (en) Complex type fusible link, fuse box,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483069B2 (en) High-current fuse with endbell assembly
EP2564411B1 (en) Fuse
KR101748845B1 (ko) 퓨즈용 버스바 및 그 용단부 제조방법
US10734629B2 (en) Busbar interconnect assembly for vehicle traction battery
CN112292746B (zh) 端子汇流条
KR20190117407A (ko)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
KR102280596B1 (ko) 이차전지용 대전류 보호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720617B1 (ko) 인터락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70071936A (ko) 고전압 퓨즈
WO2019194368A1 (ko) 고전압 퓨즈용 일체형 버스 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
CN219017571U (zh) 一种带安装座的激励保护装置
CN220753354U (zh) 一种新型熔断器
MXPA01008741A (es) Rectificador de puente para generadores de corriente rotatorios.
CN118053714A (zh) 一种带安装座的激励保护装置
CN108963172A (zh) 一种导体单元的固定结构
US20180122607A1 (en) Fuse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use unit
CN105655535A (zh) 热保护组件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