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171A -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171A
KR20190117171A KR1020180040358A KR20180040358A KR20190117171A KR 20190117171 A KR20190117171 A KR 20190117171A KR 1020180040358 A KR1020180040358 A KR 1020180040358A KR 20180040358 A KR20180040358 A KR 20180040358A KR 20190117171 A KR20190117171 A KR 20190117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information
emotion
unit
emotion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섭
Original Assignee
오토아이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아이티(주) filed Critical 오토아이티(주)
Priority to KR1020180040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7171A/ko
Priority to PCT/KR2018/007753 priority patent/WO2019194364A1/ko
Publication of KR20190117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1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sola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G06K9/005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설정한 감성정보에 따라 자동차 실내의 난방 또는 냉방 조절 및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며, 사용자의 체질, 바이오리듬, 건강정보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자동차에서 제공하는 부가기능을 제어하는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 for automotive with emotion recognition}
본 발명은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설정한 감성정보에 따라 자동차 실내의 난방과 냉방 및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자동으로 가변시키는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정(emotion)은 어떤 일이나 현상, 사물에 대하여 느끼어 나타나는 심정이나 기분을 의미한다. 감성(Sensibility)은 마음 또는 감각(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을 통해 감정을 일으키는 능력을 의미한다. 사람의 주변 기기 예컨대 조명의 밝기나 색, 음원 재생장치의 볼륨 크기나 재생되는 음원의 장르 등을 달리하면 사람의 감성에 따라 감정이 외부로 발현된다.
감성공학은 최근 산업과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대상이 되고 있다. 감성공학은 물리적 또는 감각적인 자극을 통해 사람의 감성에 의해 발현되는 감정을 인식하는 기술이다. 감성공학은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 과학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았다. 최근에는 얼굴 표정 및 몸동작을 인식해 인간의 감성 상태를 탐지하는 기술과 수학적인 기법을 활용해 감성공학 분야의 기초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생체측정기술의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공조장치는 실내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자동차에는 난방 및 냉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공조장치가 필수적으로 탑재된다. 종래 공조장치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맞춰 동작할 뿐, 사용자의 감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향후에는 자동차의 모든 기능이 사람에 맞춰 동작하는 자율주행자동차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이에 사용자의 감성을 고려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기술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감성정보에 따라 자동차 실내의 난방 또는 냉방 조절 및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질, 바이오리듬, 또는 건강정보에 따라 자동차 실내의 난방 또는 냉방 조절 및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은, 운전석과 승객 좌석 주변에 설치되며 조작부와 공조기와 내부 온도센서와 일사량 센서와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는 정보 수집부와; 좌석별 조작부로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감정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감정설정정보 수신부와; 좌석별 내부 온도센서 및 좌석별 일사량 센서로부터 내부온도 및 일사량 정보를 수신하는 센서정보 수신부와;
좌석별 적외선 카메라에서 촬영된 화상 이미지와 상기 내부온도 및 일사량 정보를 이용하여 사람의 감정을 인식하는 좌석별 감정 인식부와; 상기 감정설정정보 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좌석별 감정 설정정보와 좌석별 내부온도 및 일사량 정보를 상기 좌석별 감정 인식부로 전달하며 상기 좌석별 감정 인식부로부터 좌석별 감정 인식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처리부와;
상기 정보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좌석별 감정 설정정보와 감정 인식 정보와 내부온도 및 일사량 정보를 이용하여 좌석별 공조기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좌석별 공조제어부와; 상기 좌석별 공조제어부로부터 좌석별 공조기 제어정보를 입력받아 에어컨 또는 히터를 구동하고, 송풍팬을 구동하며, 바람의 방향을 변경하는 엑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좌석별 장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부는 감성 설정을 위한 모드(MODE) 키와 디스플레이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모드(MODE) 키가 눌리면 디스플레이 화면 중 감성 표시 영역에 감정설정정보와, 에어컨 또는 히터의 세기 표시 영역과 바람의 세기 표시 영역과 환기 표시 영역에 각각 에어컨 또는 히터의 세기와 바람의 세기와 환기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좌석별 감정 인식부는 좌석별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사람의 눈 영상으로부터 홍채패턴 추출하고 홍채패턴을 이용하여 승객을 인식하며, 정보 처리부는 날짜 및 시간별로 신원 확인된 승객정보와 승객이 설정한 감성 설정정보와 좌석별 감정 인식 정보와 내부온도 및 일사량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처리부는 승객이 소지한 스마트폰으로부터 승객의 체질, 바이오리듬, 또는 건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좌석별 감정 인식부 또는 좌석별 공조제어부로 전달하며, 좌석별 감정 인식부는 바이오리듬을 감정 인식을 위한 가중치 정보로 이용하고, 좌석별 공조제어부는, 승객의 체질에 따라 강하고 약한 신체 부위를 판별하고,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변경한다.
본 발명의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운전자 또는 승객은 온도설정이 아닌 감성설정정보를 통해, 자신만의 공조 환경을 형성하여 감성만족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자동차가 스스로 운전자 또는 승객의 체질, 바이오리듬 또는 건강에 적합한 공조 환경을 형성함으로써, 자동차에 대한 인간의 친밀감과 편안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부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감성을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감성 설정을 위한 조작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5), 입출력 제어보드부(110), 트립 제어부(115), 입력 선택부(120), AVM 시스템(125), 스마트폰(130), DMB/DVI(135), 네비게이션(145), 코덱(150), 통신인터페이스(155), 적외선 카메라(160), 온도센서(165), 일사량 센서(170), 및 공조기(17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5)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와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영상 표시부는 액정디스플레이(LCD) 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HUD)로 구현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보드부(110)는 차량에 장착된 기기와 통신, 제어, 및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입출력 제어보드부(110)는 CVBS 통신부, MHL/HDMI 통신부, RGB 통신부, DVI 통신부, 오디오 통신부, 무선 통신부, 전원 인가부를 포함한다.
CVBS 통신부는 CVBS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기기, 예컨대 카메라 및 AVM 시스템(125)과의 접속을 위한 것으로 이에 해당하는 접속 커넥터를 구비한다. MHL/HDMI 통신부는 스마트폰(130)과의 HML/HDMI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해당하는 접속 커넥터를 구비한다. RGB 통신부는 RGB 케이블을 통해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기기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RGB 통신부는 DMB 영상이나 Divx 영상을 제공받고, 이와 같은 영상을 제공하는 기기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DVI 통신부는 DVI 케이블을 통해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기기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오디오 통신부는 전자 기기와의 오디오 통신을 담당한다. 오디오 통신부는 오디오 접속 커넥터를 구비한다. 오디오 통신부를 통해 오디오 신호만을 제공하는 기기와 접속되거나 다른 통신부를 통해 접속된 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외부 무선 통신기기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무선 통신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RF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하다.
전원 인가부는 각 통신부에 연결된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공급되는 전원은 해당 전자기기의 사용 전원으로 차량내부의 전원인 DC전원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원 인가부는 다양한 레벨의 전압과 전류를 제어하여 해당 기기의 동작 전원에 맞는 전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립 제어부(115)는 OBD 통신부, K-Line 통신부, GPIO 통신부, 네비게이션 통신부, 터치신호 통신부, 외장 메모리 통신부, 트립 통신부 및 진단 USB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립 제어부(115)를 통해 차량 내부의 기기와 차량 운행 및 주행을 위한 정보들과 점검 및 진단을 위한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OBD 통신부는 차량점검을 위한 내부 시스템 및 센서와 점검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이에 해당하는 접속 커넥터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OBD 통신부를 통해 차량의 상태 이상을 알 수 있다. K-line 통신부는 캔통신을 통해 진단기의 각종 센서의 입력 및 액츄에이터의 출력값을 제공받을 수 있다. K-line 통신부를 통해 캔 통신을 통해 차량 내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GPIO 통신부는 외부 칩셋과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이에 해당하는 접속 커넥터 즉, 입출력 단자를 구비한다. 네비게이션 통신부는 차량에 장착된 네비게이션과 통신을 위한 것으로, 네비게이션으로 부터 수집된 정보를 제공받고, 네비게이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통신부를 통해 네비게이션의 화면을 미러링 형태로 투영할 수도 있다. 네비게이션이 차량내의 AVM과 일체화되는 경우, 입출력 제어보드부(110)에 의해 네비게이션 통신부의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터치신호 통신부는 디스플레이부(105)의 터치스크린에 의해 터치된 좌표값을 제공받는다. 외장 메모리 통신부는 외부 메모리(SD 카드 포함)와 접속되어 해당 메모리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드릴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트립 통신부는 차량 내부에 장착된 트립 컴퓨터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진단 USB 통신부는 차량 진단을 위한 USB 통신을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별도의 접속 단자가 마련된다. 진단 USB 통신부를 통해 차량 자가 진단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입력 선택부(120)는 트립 제어부(115) 및 입출력 제어보드부(110)를 통해 입력된 전자 기기의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전송되도록 한다. 입력 선택부(120)는 선택된 입력 신호만을 전송하는 것으로 스위치 또는 먹스가 사용될 수 있다.
통신인터페이스(155)는 OBD 인터페이스, K-Line 인터페이스, 및 GPIO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적외선 카메라(160)는 사람의 안면을 촬영한 화상 이미지를 제공한다. 적외선 카메라(160)에서 촬영된 화상 이미지는 사람의 감정 상태를 판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에서 사용된다. 온도센서(165)는 자동차의 내부 온도와 외기 온도를 감지한다. 일사량 센서(170)는 1㎠ 넓이에 1분 동안 복사되는 태양 에너지의 양을 측정한다. 공조기(175)는 에어컨, 히터, 송풍팬,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는 바람의 방향을 변경한다.
적외선 카메라(16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운전자를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161)와 보조석에 앉은 승객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162)와 좌측 승객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163)와 우측 승객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164)를 포함한다. 자동차의 운적석, 보조석,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차량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내부 온도 센서(1651 내지 1654)와 일사량 센서(171 내지 174)가 설치된다. 자동차의 운적석, 보조석,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공조기의 바람의 세기와 방향을 변경하는 액추에이터가 설치된다. 자동차의 운적석, 보조석, 좌측, 및 우측에는 사용자 감성 설정을 위한 조작부(181, 812, 183, 184)가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조작부는 사용자 감성 설정을 위한 모드(MODE)(311) 키와 디스플레이와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모드(MODE)(311) 키가 눌리면 디스플레이 화면 중 감성 표시 영역(312)에 따뜻함(warmth), 포근함(Comfort), 시원함(coolness)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한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화면 중 에어컨 또는 히터의 세기 표시 영역(313)과 바람의 세기 표시 영역(314)과 환기 표시 영역(315)에 각각 에어컨 또는 히터의 세기와 바람의 세기와 환기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설정한 감성 모드가 입력되면, 미리 기본적으로 설정된 에어컨 또는 히터의 세기와 바람의 세기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은 적외선 카메라에서 촬영된 화상 이미지로부터 사람의 감정 상태를 판정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미리 기본적으로 설정된 에어컨 또는 히터의 세기와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운전자 정보 수집부(411)와 보조석승객 정보 수집부(412)와 좌측승객 정보 수집부(413)와 우측승객 정보 수집부(414)와 감정설정정보 수신부(415)와 센서정보 수신부(416)와 좌석별 감정 인식부(417)와 정보 처리부(418)와 좌석별 공조제어부(419)와 좌석별 장치 제어부(420)를 포함한다.
운전자 정보 수집부(411)와 보조석승객 정보 수집부(412)와 좌측승객 정보 수집부(413)와 우측승객 정보 수집부(414)는 모두 조작부와 공조기와 내부 온도센서와 일사량 센서와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한다.
감정설정정보 수신부(415)는 좌석별 조작부로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감성 모드, 예컨대 따뜻함(warmth), 포근함(Comfort), 시원함(coolness)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감성 모드는 쾌적함(hospitableness), 쾌활함(liveliness)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종래 감정설정정보 수신부(415)는 운전자가 히터 온도 또는 에어컨 온도를 설정한 정보를 수신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좌석별로 감성 설정정보를 수신한다.
센서정보 수신부(416)는 좌석별 내부 온도센서 및 좌석별 일사량 센서로부터 내부온도 및 일사량 정보를 수신한다. 도 4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자동차에는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센서와 자동차 앞유리에 습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센서정보 수신부(416)는 외기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부터 외기온도와 습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좌석별 감정 인식부(417)는 운전자 정보 수집부(411)와 보조석승객 정보 수집부(412)와 좌측승객 정보 수집부(413)와 우측승객 정보 수집부(414)에 설치된 적외선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화상 이미지를 수신하여 감정을 인식한다.
좌석별 감정 인식부(417)는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사람의 눈 영상으로 눈의 상태를 측정해 피로도를 측정, 예를 들어, 1분 동안에 눈을 얼마나 자주 깜빡이는가와 동공의 변화를 이용하여 피로도를 판단한다. 동공을 조절하는 홍채 근육은 눈이 피로해지면 그 조절 속도가 느려지는데, 이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좌석별 감정 인식부(417)는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사람의 눈 영상으로부터 홍채패턴을 이용한 신원인식도 가능하다. 좌석별 감정 인식부(417)는 홍채무늬 분석을 통해 사람의 건강을 진단할 수 있다. 좌석별 감정 인식부(417)는 동공 중심을 쫓아가는 시선추적, 예컨대 동공을 좌측 위로 움직여다가 우측 위로 움직이는 변화를 통해 사람의 불안한 감정을 인식할 수 있다.
좌석별 감정 인식부(417)는 좌석별 적외선 영상정보 외에 좌석별 내부온도 및 일사량 정보와 외기 온도와 습기정보를 이용하여 사람의 감정을 인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사량이 높으면 사람의 눈이나 안면은 찡그리게 된다. 반면에 일사량이 높더라도 사람에 따라 표정이나 생체 변화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좌석별 감정 인식부(417)는 실외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감정 인식 에러정보를 생성하고 그러한 에러정보를 제거한 후 사람의 감정을 인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감정 인식 에러정보는 예컨대 자동차에 탑재된 충격 센서로부터 외부 충격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상황에서 사람의 표정이나 생체 변화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정보 처리부(418)는 감정설정정보 수신부(415)로부터 좌석별로 설정된 감성 모드와 센서정보 수신부(416)로부터 좌석별 내부온도 및 일사량 정보와 외기 온도와 습기정보를 입력받아 좌석별 감정 인식부(417)로 전달한다. 정보 처리부(418)는 좌석별 감정 인식부(417)로부터 좌석별 감정 인식 정보를 입력받아 좌석별 공조제어부(419)로 전달한다. 정보 처리부(418)는 감정설정정보 수신부(415)와 센서정보 수신부(416)와 좌석별 감정 인식부(417)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정보 처리부(418)에 의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는 날짜 및 시간별로 신원 확인된 승객정보와 승객이 설정한 감성 모드와 내부온도 및 일사량 정보와 외기 온도와 습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통해 승객별로 감성 모드에 대응하는 최적의 공기 제어 정보를 도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정보 처리부(418)는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통해 도출된 승객이 설정한 감성 모드에 대응하는 최적의 공조기 제어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해당 승객이 설정한 감성 모드가 입력되면 저장부에 저장된 공조기 제어정보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좌석별 공조제어부(419)는 정보 처리부(418)로부터 승객이 설정한 감성 모드와 좌석별 감정 인식 정보와 내부온도 및 일사량 정보와 외기 온도와 습기정보를 이용하여 좌석별 공조기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좌석별 공조기 제어정보는 에어컨 또는 히터 동작 제어정보, 바람의 세기와 방향에 관한 정보, 및 환기 정보를 포함한다. 좌석별 공조제어부(419)는 좌석별 감정 인식 정보가 사용자가 설정한 감성 모드와 예컨대 90% 이상 유사해질 때까지 에어컨 또는 히터를 동작시키며, 바람의 세기와 방향, 및 환기를 제어하도록 구현된다.
좌석별 장치 제어부(420)는 좌석별 공조제어부(419)로부터 좌석별 공조기 제어정보를 입력받아 에어컨 또는 히터를 구동하고, 송풍팬을 구동하며,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변경하는 엑추에이터를 구동한다.
정보 처리부(418)는 승객이 소지한 스마트폰으로부터 승객의 체질, 바이오리듬, 또는 건강정보를 입력받아 좌석별 감정 인식부(417) 또는 좌석별 공조제어부(419)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좌석별 감정 인식부(417)는 바이오리듬을 감정 인식을 위한 가중치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바이오리듬은 신체(physical) 리듬, 감정(sensitivity) 리듬, 지성(intellectual) 리듬을 포함한다. 좌석별 감정 인식부(417)는 감정(sensitivity) 리듬이 저조기인지 또는 고조기인지에 따라 좌석별 적외선 영상정보와 내부온도 및 일사량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사람의 감정 지수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사람의 체질은 심장, 췌장, 폐, 신장의 5장(臟)과 쓸개, 위, 소장, 대장, 방광의 5부(腑)의 강하고 약함을 기준으로 8가지 체질로 구분된다. 일례로, 좌석별 공조제어부(419)는 승객의 체질에 따라 강하고 약한 신체 부위를 판별하고,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변경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석별 공조제어부(419)는 건강정보를 이용하여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변경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승객이 평상시 기관지나 코가 안 좋은 이비인후과 환자인 경우 바람의 방향을 승객의 안면이 아닌 옆으로 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5 : 디스플레이부
110 : 입출력 제어보드부
115 : 트립 제어부
120 : 입력 선택부
125 : AVM 시스템
130 : 스마트폰
135 : DMB/DVI
145 : 네비게이션
150 : 코덱
155 : 통신인터페이스
160 : 적외선 카메라
165 : 온도센서
170 : 일사량 센서
175 : 공조기

Claims (7)

  1. 운전석과 승객 좌석 주변에 설치되며, 조작부와 공조기와 내부 온도센서와 일사량 센서와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는 정보 수집부와;
    좌석별 조작부로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감정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감정설정정보 수신부와;
    좌석별 내부 온도센서 및 좌석별 일사량 센서로부터 내부온도 및 일사량 정보를 수신하는 센서정보 수신부와;
    좌석별 적외선 카메라에서 촬영된 화상 이미지와 상기 내부온도 및 일사량 정보를 이용하여 사람의 감정을 인식하는 좌석별 감정 인식부와;
    상기 감정설정정보 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좌석별 감정 설정정보와 좌석별 내부온도 및 일사량 정보를 상기 좌석별 감정 인식부로 전달하며 상기 좌석별 감정 인식부로부터 좌석별 감정 인식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처리부와;
    상기 정보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좌석별 감정 설정정보와 감정 인식 정보와 내부온도 및 일사량 정보를 이용하여 좌석별 공조기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좌석별 공조제어부와;
    상기 좌석별 공조제어부로부터 좌석별 공조기 제어정보를 입력받아 에어컨 또는 히터를 구동하고, 송풍팬을 구동하며, 바람의 방향 및 세기를 변경하는 엑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좌석별 장치 제어부;
    를 포함하는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감성 설정을 위한 모드(MODE) 키와 디스플레이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모드(MODE) 키가 눌리면 디스플레이 화면 중 감성 표시 영역에 감정설정정보와, 에어컨 또는 히터의 세기 표시 영역과 바람의 세기 표시 영역과 환기 표시 영역에 각각 에어컨 또는 히터의 세기와 바람의 세기와 환기 정보를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센서정보 수신부는,
    자동차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센서와 자동차 앞유리에 설치되는 습도센서로부터 외기온도와 습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 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좌석별 감정 인식부는,
    좌석별 적외선 카메라에서 촬영된 화상 이미지와 상기 정보 처리부로부터 좌석별 내부온도 및 일사량 정보와 외기 온도와 습기정보를 이용하여 사람의 감정을 인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좌석별 감정 인식부는 좌석별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사람의 눈 영상으로부터 홍채패턴 추출하고 홍채패턴을 이용하여 승객을 인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날짜 및 시간별로 신원 확인된 승객정보와 승객이 설정한 감성 설정정보와 좌석별 감정 인식 정보와 내부온도 및 일사량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승객이 소지한 스마트폰으로부터 승객의 체질, 바이오리듬, 또는 건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좌석별 감정 인식부 또는 좌석별 공조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좌석별 감정 인식부는 바이오리듬을 감정 인식을 위한 가중치 정보로 이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좌석별 공조제어부는, 승객의 체질에 따라 강하고 약한 신체 부위를 판별하고,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변경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

KR1020180040358A 2018-04-06 2018-04-06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 KR2019011717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358A KR20190117171A (ko) 2018-04-06 2018-04-06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
PCT/KR2018/007753 WO2019194364A1 (ko) 2018-04-06 2018-07-09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358A KR20190117171A (ko) 2018-04-06 2018-04-06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171A true KR20190117171A (ko) 2019-10-16

Family

ID=6810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358A KR20190117171A (ko) 2018-04-06 2018-04-06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17171A (ko)
WO (1) WO201919436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205B1 (ko) * 1999-08-06 2002-02-25 이계안 차량의 공기 조화 제어 방법
US7272944B2 (en) * 2003-02-24 2007-09-25 Denso Corporation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KR20080055267A (ko) * 2006-12-15 2008-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부의 쾌적도 제어방법
KR101477233B1 (ko) * 2013-09-16 2014-12-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맞춤형 공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5196A (ko) * 2015-07-01 2017-01-12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착시효과노면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4364A1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9232B2 (en) Vehicle climate control
KR101659027B1 (ko) 이동 단말기 및 차량 제어 장치
US11623065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4014862A2 (en) Vehicle climate control
US11260879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112602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rmining line of sight, and wearable eye movement device
CN110774996B (zh) 车内环境的调节方法、装置和系统
JP2009143373A (ja) 車両用操作入力装置
CN111105594A (zh) 车辆及驾驶员疲劳驾驶的识别方法、装置
US11279204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3858915A (zh) 一种车辆座舱空调的控制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20190117171A (ko) 감정 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조 제어 시스템
CN110406347A (zh) 一种车载空调的控制方法及系统
EP4029716A1 (en) Vehicle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storage medium, and vehicle
CN103793681B (zh) 使用者识别和确认装置、方法及使用该装置的车用中央控制系统
CN114084145A (zh) 车辆及其控制方法
CN114627539A (zh) 一种热舒适度预测方法、系统及空调调节方法、装置
US20200094014A1 (en) Wakefulness maintaining apparatus, wakefulness maintain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203732100U (zh) 基于微处理器stm32f103的车内温湿度监控装置
WO2023105700A1 (ja) 更新判定装置及び更新判定方法
US20220024459A1 (en) Motion sickness re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occupants
CN114415926B (zh) 一种智能座舱显示触摸屏的应用布局显示方法及装置
KR20230064644A (ko) 이동 장치의 탑승자에게 수면 케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2190590A1 (ja) 温冷感推定装置、空調装置、チャイルドシート、温冷感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4177852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in-cabin environment for passenger and system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