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029A -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029A
KR20190117029A KR1020180039530A KR20180039530A KR20190117029A KR 20190117029 A KR20190117029 A KR 20190117029A KR 1020180039530 A KR1020180039530 A KR 1020180039530A KR 20180039530 A KR20180039530 A KR 20180039530A KR 20190117029 A KR20190117029 A KR 20190117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receiving
fuselage
operation signal
recei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2030B1 (ko
Inventor
김효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탬
Priority to KR1020180039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030B1/ko
Publication of KR20190117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8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 G06M1/1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6M1/101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electro-optical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에 있어서,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구비되는 동체출입 감지신호의 발광수단 및 수광수단으로 구성되며, 수광수단에 구비된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를 통해서 감지되는 동체출입 감지신호의 수광시간이 소정시간차 이상을 가질 때에만, 정상적인 동체출입 감지신호로 인식하여, 발생할 수 있는 동체출입 감지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 {WIRELESS SENSING APPARATUS FOR INCOMING AND OUTGOING MOVING BODY}
본 발명은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구비되는 동체출입 감지신호의 발광수단 및 수광수단으로 구성되며, 수광수단에 구비된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를 통해서 감지되는 동체출입 감지신호의 수광시간이 소정시간차 이상을 가질 때에만, 정상적인 동체출입 감지신호로 인식하여, 발생할 수 있는 동체출입 감지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대상공간 내에 구비된 전기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공간으로의 무단 침입을 알리기 위해서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는 여러 형태의 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들은 특정대상공간의 출입 구간에서 이동하는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서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수광수단 및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발광하는 발광수단이 각각 상기 출입 구간의 좌우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출입 구간을 동체가 통과할 때에 상기 동체에 의해 상기 수광수단에 수광되던 동체출입 감지신호가 차단되는 것을 이용하여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광수단은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가 차단되는 것을 이용하여 동체의 출입 방향까지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동체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서, 상기 발광수단은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지속적으로 발광시켜야 하고 상기 수광수단 역시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항시 수광할 수 있도록 동작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상기 발광수단 및 수광수단이 유선을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는 형태인 경우에는 전원 공급상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발광수단과 수광수단을 무선 장치로 구성되어 각각 구비된 배터리를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는 배터리 소모전력을 줄이기 위한 절전 기능이 필요하다.
더불어,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수광수단에서, 동작을 시작하는 순간에, 개별 동작이 이루어지는 두 개의 수신센서가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시간차로 인해, 동체의 출입으로 인식하는 오류가 발생하여 동체의 진, 출입 카운트의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2-0069466호(공개일 : 2002.09.04)
본 발명은 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구비되는 동체출입 감지신호의 발광수단 및 수광수단으로 구성되며, 동체의 실제 출입 여부와 상관없이, 수광수단의 수광 오류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동체의 출입 감지상의 오류를 해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는,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센서를 포함하는 발광수단과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를 포함하는 수광수단이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한 쌍으로 구비된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로서, 상기 수광수단의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에서의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의 수광시간이 기설정된 소정시간차 이상을 가질 때에만, 유효한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는 유효한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동체 출입 구간의 진, 출입 카운팅 횟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발광수단과 수광수단 각각은,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기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계속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모션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내부 구성들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비동작 모드에 진입하며, 비동작 모드에 진입한 후,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수광수단은 상기 비동작 모드로 진입할 때, 이를 알리는 비동작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비동작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수단은 상기 비동작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된 상기 비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비동작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수단은 상기 비동작신호 수신부에서 상기 비동작 신호가 수신될 경우, 함께 상기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발광수단 또는 수광수단에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수단 또는 수광수단에 포함된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기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계속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발광수단또는 수광수단에 포함된 상기 모션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내부 구성들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비동작 모드에 진입하며, 비동작 모드에 진입한 후, 상기 발광수단 또는 수광수단에 포함된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모션 센서를 포함한 상기 발광수단 또는 수광수단은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때에 이를 알리는 동작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동작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션 센서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발광수단 또는 수광수단은 상기 동작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된 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동작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션 센서를 포함하지 않은 상기 발광수단 또는 수광수단은 상기 동작신호 수신부에서 상기 동작 신호가 수신될 경우,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모션 센서를 포함한 상기 발광수단 또는 수광수단은 비동작 모드로 진입할 때, 이를 알리는 비동작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비동작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션 센서를 포함하지 않은 상기 발광수단 또는 수광수단은 상기 비동작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된 상기 비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비동작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션 센서를 포함하지 않은 상기 발광수단 또는 수광수단은 상기 비동작 신호가 수신될 경우, 함께 상기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는 비동작 모드로 진입한 후, 동작 모드로 진입 시, 소정시간 내에 수신되는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는 동체의 움직임으로는 도저히 감지될 수 없는 시간차를 미리 설정하고, 두 개의 수광센서에서의 동체출입 감지신호의 수광시간차, 다시 말하자면, 수광수단의 외측 수광센서A와 내측 수광센서B의 A-B 또는 B-A의 수광시간차가 미리 설정된 시간차 이상을 가질 경우에만, 유효한 동체출입 감지신호로 설정하여, 정확도 높게 동체 출입 감지상의 오류를 해소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는 동체의 움직임으로는 도저히 감지될 수 없는 시간차를 갖는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제외시킴으로써, 무의미한 비정상 동체의 움직임에 의한 감지상의 오류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구비된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비동작 모드로 동작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정확한 동체 출입 감지 카운트를 수행할 뿐 아니라, 최소한의 배터리를 소모하면서 동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가 동체 출입 구간에 구비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는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센서를 포함하는 발광수단과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를 포함하는 수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발광수단과 수광수단이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대한 개수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2개의 발광수단, 2개의 수광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2개의 발광수단, 1개의 수광수단 또는, 1개의 발광수단, 2개의 수광수단을 통해서, 동체 출입 구간의 동체 출입 카운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도 1의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가 동체 출입 구간에 구비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을 참고로 하자면, 일 예로, 창문에서의 동체 출입 감지를 위해서 창문의 좌우에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발광하는 발광수단(100)과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수광수단(200)이 한 쌍으로 구비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발광수단(100)과 수광수단(200)은 동체가 창문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진입 또는 창문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진출하는지 여부를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의 발광 및 수광을 통해서 감지하며, 그 감지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장치(미도시)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발광수단(100)은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광수단(200)은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수광수단(200)에서 상기 수신센서들이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순서에 의해 동체의 이동 방향(움직임 방향)을 판단할 수 있어, 동체가 동체 출입 구간으로 진입하는지, 진출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더불어, 동체 출입 구간 내의 출입 동체의 수를 카운팅하여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자면, 외부장치는 보안 경비업체와의 연계를 통해서 무단 침입을 방지하거나, 대상 공간의 조명 시스템/전기 시스템 등과 연계되어 조명 시스템/전기 시스템 등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광수단에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수신센서 자체의 오류 또는, 상기 발광수단과 수광수단이 일직선상에 정확히 설치되지 않을 경우의 오류로 인해, 실제 동체의 출입과는 무관하게 동체 출입 구간 내의 출입 동체의 수가 카운팅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수단에서 발광하는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상기 수광수단의 예측할 수 없는 특수한 상황에서 두 개의 수신센서의 수광시간 차로 인해, 출입 카운팅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는 이러한 오류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수광수단의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에서의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의 수광시간을 각각 측정하여, 수광시간차가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차 이상을 가질 경우에만, 유효한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차로는 0.02초인 것이 바람직하며, 소정시간은 인간이 동체 출입 구간에 설치된 상기 발광수단과 수광수단의 사이를 지나갈 수 있는 가장 빠른 속도로 기반으로 연산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는 측정한 상기 수광수단의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에서의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의 수광시간차가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차 이상일 경우에만, 유효한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유효한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만을 이용하여 상기 동체 출입 구간의 진, 출입 카운팅 횟수를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실제 출입과는 무관하게 오류로 인한 카운팅을 제거할 수 있어, 본 발명의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의 상기 발광수단(100)과 수광수단(200) 각각은 무선으로 동작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배터리(150, 250)를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발광수단(100)과 수광수단(200) 각각은 배터리 소모가 최소가 되도록 동작하거나 구성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자면, 동체의 움직임이 소정 시간동안 감지되지 않을 경우,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모션 센서의 구성에 따른 실시예를 후술하도록 한다.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수단(100)과 수광수단(200) 각각에 모션 센서(110, 21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수단(100)과 수광수단(200)은 각각 구비된 모션 센서(110, 210)를 통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소정 시간동안 감지되지 않을 경우,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자면,
상기 발광수단(100)은 모션 센서(110), 발광센서(수광 다이오드)(120), 전원 제어부(140) 및 배터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광수단(200)은 모션 센서(210),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수광 다이오드)(220a, 220b), 전원 제어부(240) 및 배터리(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발광수단(100)과 수광수단(200)에 각각 포함된 상기 모션센서들(110, 210)은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저전력 모션 센서가 바람직하며, 일 예를 들자면, PIR 센서(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일 수 있다.
상기 발광수단(100)의 발광센서(120)는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발광하는 구성으로, IR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로 발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광수단(200)의 수신센서(220a, 220b)는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수광하는 구성으로,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220a, 220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동체가 출입 구간에서 상기 발광수단(100)과 수광수단(200) 사이로 진입 또는 진출하는 경우, 진입 또는 진출하는 동체에 의해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의 수광이 차단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센서(220a, 220b)에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가 수광되는 동안에는 하이(H) 레벨의 신호가 감지되다가 동체가 진입 또는 진출하면서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의 수광이 차단되는 동안에는 로우(L) 레벨의 신호가 감지된다. 이 후, 동체가 상기 발광수단(100)과 수광수단(200) 사이를 완전히 빠져나가면 다시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가 수광되면서 하이(H) 레벨의 신호가 감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신센서(220a, 220b)를 통해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그리고 다시 하이 레벨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수광수단(200)에서는 상기 발광수단(100)과 수광수단(200) 사이에 동체가 진입 또는 진출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외부 장치에 무선 모듈(미도시)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수광수단(200)의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220a, 220b) 중 어떠한 순서로 로우(L) 레벨의 신호가 감지되는지에 의해, 동체가 진입하는지 진출하는지 결정되게 되며, 그 결정 결과 역시 외부 장치에 무선 모듈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발광수단(100) 및 수광수단(200) 각각에 포함된 상기 전원 제어부(140, 240)는 배터리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원 제어부들(140, 240)은 각각의 모션 센서들(110, 210)을 통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포함된 상기 발광수단(100) 또는 수광수단(200)이 각각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배터리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발광수단(100)과 수광수단(200)이 비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모션 센서들(110, 210)을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각각 개별적으로 비동작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 제어부들(140, 240)을 통해서, 상기 발광수단(100) 및 수광수단(200)이 비동작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는, 각각 구비된 모션 센서들(110, 210)을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해놓은 일정 시간동안 계속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발광수단(100)과 수광수단(200) 각각은 모션 센서들(110, 210)을 통해서 일정 시간동안 동체의 움직임이 계속해서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전원 제어부들(140, 240)을 통해서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발광수단(100)과 수광수단(200) 각각에서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미리 설정해놓은 일정시간을 발광측 비동작 진입 시간 및 수광측 비동작 진입 시간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즉,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발광수단(100) 및 수광수단(200)은 각각 설정된 발광측 비동작 진입 시간 및 수광측 비동작 진입 시간 동안에 상기 모션 센서들(110, 210)을 통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계속해서 감지되지 않을 경우,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수광수단(200)에서 상기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수광측 비동작 진입 시간이 상기 발광수단(100)에서 상기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발광측 비동작 진입 시간보다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는 상기 수광수단(200)의 수신센서들(220a, 220b)에서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가 수광 또는 수광 차단됨에 따라 감지되는 신호의 하이/로우 레벨을 통해 동체의 출입 여부와 출입 방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렇지만, 동체의 출입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발광수단(100) 및 수광수단(200)이 각각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였다가 다시 동작 모드로 전환되어 진입할 경우, 상기 발광수단(100)의 발광센서(110)에서 동체출입 감지신호의 발광 동작이 멈추었다가 다시 수행되기 때문에, 상기 수광수단(200)의 수신센서들(220a, 220b)에서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가 수광되는 상태에 변동이 발생할 수 있어, 이로 인해 실제 동체의 출입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동체의 출입이 있는 것으로 출입 감지상에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동체의 출입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발광수단(100) 및 수광수단(200) 각각이 비동작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진입하거나, 다시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출입 감지상의 오류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수광측 비동작 진입 시간을 상기 발광측 비동작 진입 시간보다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수광수단(200)이 비동작 모드로 동작할 경우에는, 상기 발광수단(100)이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거나, 다시 동작 모드로 진입하면서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의 발광 상태에 변경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수광수단(200)이 비동작 모드이기 때문에, 이를 감지하지 않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는 좀 더 정확하게 상기 발광수단(100) 및 수광수단(200) 각각의 비동작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진입하거나, 다시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출입 감지상의 오류를 해소하기 위하여, 즉, 수광측 비동작 진입 시간을 발광측 비동작 진입 시간보다 짧게 설정하더라도 발생 가능한 동체 출입 감지상의 오류까지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수광수단(200)에 비동작신호 발생부(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수단(100)에 비동작신호 수신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동작신호 발생부(230)는 상기 수광수단(200)이 상기 비동작 모드로 진입할 때, 이를 알리는 비동작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비동작신호 수신부(130)는 상기 비동작신호 발생부(230)에서 출력된 상기 비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발광수단(100)은 상기 수광수단(200)의 비동작신호 발생부(230)로부터 상기 비동작 신호가 수신될 경우, 함께 상기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비동작신호 발생부(230)는 상기 전원 제어부(240)의 동작을 통해 상기 수광수단(200)이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때에, 이를 알리는 비동작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수광수단(200)의 전원 제어부(240)는 미리 설정해놓은 수광측 비동작 진입 시간동안 동체의 움직임이 계속해서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수광수단(200)이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전원 제어를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전원 제어부(240)는 상기 수광수단(200)이 비동작 모드로 진입할 때에, 상기 비동작신호 발생부(230)에서 상기 비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은 허용하고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동작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수단(100)의 비동작신호 수신부(130)는 상기 비동작신호 발생부(230)에서 출력된 비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수단(100)의 전원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해놓은 발광측 비동작 진입 시간 동안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발광수단(100)이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전원 제어를 수행할 뿐 아니라, 상기 발광수단(100)이 동작 모드일지라도, 상기 비동작신호 수신부(130)에 비동작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도 상기 발광수단(100)이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발광수단(100)과 수광수단(200)은 비동작 신호 송수신을 통해서, 상기 수광수단(200)이 비동작 모드로 진입할 때, 상기 발광수단(100)도 함께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비동작신호 수신부(130), 비동작신호 발생부(230)는 각각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와는 다른 IR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비동작 신호로 발생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에서 2개의 무선 신호인 동체출입 감지신호 및 비동작 신호를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서로 간에 주파수 간섭이 발생되어 동체 출입을 감지하는데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이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수단(100)과 수광수단(200) 비동작 모드에 진입한 후, 상기 모션 센서들(110, 210)을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 상기 발광수단(100)에서 발광되는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상기 수광수단(200)의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들(220a, 220b)에서 수광한 수광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차 미만일 경우, 유효하지 않은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차 이상일 경우에만, 유효한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로 인식하여, 진, 출입 카운팅 횟수를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효하지 않은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로 인해, 실제 동체의 출입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동체의 출입의 방향성이 판단되어 출입 감지상 오류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수광수단(200)의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들(220a, 220b)에서의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의 수광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차 이상일 경우에만, 유효한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로 인식하고, 동체의 진/출입 여부 결정값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수단(100)과 수광수단(200) 각각 상기 모션 센서들(110, 120)을 포함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 모드로 진입함으로써, 나타날 수 있는 출입 감지상에 오류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의 제 2 실시예는 발광수단(10) 또는 수광수단(20) 중 하나에만 모션 센서(30)를 포함하여, 순차적으로 동작 모드로 진입함으로써, 출입 감지상의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경우, 제 1 실시예에 비해, 적은 모션 센서 개수로 인해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가 좁아지는 것은 불가피하지만, 동체출입 감지의 정확도는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광수단에 모션 센서를 포함한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 2 실시예 역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동체 출입 감지를 위해 동체 출입 감지 공간의 좌우에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발광하는 발광수단(10)과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수광수단(20)이 한 쌍으로 구비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수단(10)과 수광수단(20)은 동체가 동체 출입 감지 공간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진입하는지, 내측에서 외측으로 진출하는지 여부를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의 발광 및 수광을 통해서 감지하며, 그 감지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장치(미도시)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발광수단(10)은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광수단(20)은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수광수단(20)에서 상기 수신센서들이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순서에 의해 동체의 이동 방향(움직임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외부장치는 보안 경비업체와의 연계를 통해서 무단 침입을 방지하거나, 대상 공간의 조명 시스템/전기 시스템 등과 연계되어 조명 시스템/전기 시스템 등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수단(10)과 수광수단(20) 각각은 무선으로 동작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배터리(13, 23)를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발광수단(10)과 수광수단(20) 각각은 배터리 소모가 최소가 되도록 동작하거나 구성될 필요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의 제 2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수단(10)에만 모션 센서(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수단(10)은 구비된 상기 모션 센서(30)를 통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소정 시간동안 감지되지 않을 경우,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자면,
상기 발광수단(10)은 모션 센서(30), 발광센서(수광 다이오드)(11), 전원 제어부(12) 및 배터리(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광수단(20)은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수광 다이오드)(21a, 21b), 전원 제어부(22) 및 배터리(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발광수단(10)에 포함된 상기 모션 센서(30)는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저전력 모션 센서가 바람직하며, 일 예를 들자면, PIR 센서(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일 수 있다.
상기 발광수단(10)의 발광센서(11)는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발광하는 구성으로, IR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로 발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광수단(20)의 수신센서들(21a, 22b)은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수광하는 구성으로, 적어도 두 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동체가 출입 구간에서 상기 발광수단(10)과 수광수단(20) 사이로 진입 또는 진출하는 경우, 진입 또는 진출하는 동체에 의해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의 수광이 차단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센서(21a, 21b)에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가 수광되는 동안에는 하이(H) 레벨의 신호가 감지되다가 동체가 진입 또는 진출하면서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의 수광이 차단되는 동안에는 로우(L) 레벨의 신호가 감지된다. 이 후, 동체가 상기 발광수단(10)과 수광수단(20) 사이를 완전히 빠져나가면 다시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가 수광되면서 하이(H) 레벨의 신호가 감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신센서(21a, 21b)를 통해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그리고 다시 하이 레벨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수광수단(200)에서는 상기 발광수단(10)과 수광수단(20) 사이에 동체가 진입 또는 진출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외부 장치에 무선 모듈(미도시)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수광수단(20)의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21a, 21b) 중 어떠한 순서로 로우(L) 레벨의 신호가 감지되는지에 의해, 동체가 진입하는지 진출하는지 결정되게 되며, 그 결정 결과 역시 외부 장치에 무선 모듈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발광수단(10) 및 수광수단(20) 각각에 포함된 상기 전원 제어부(12, 22)는 배터리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원 제어부들(12, 22)은 상기 모션 센서(30)를 통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발광수단(10)과 수광수단(20)이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배터리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발광수단(10)과 수광수단(20)이 비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모션 센서(30)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비동작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 제어부들(12, 22)을 통해서, 상기 발광수단(10) 및 수광수단(20)이 비동작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는, 상기 발광수단(10)의 모션 센서(30)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해놓은 일정 시간동안 계속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발광수단(10)과 수광수단(20)은 상기 모션 센서(30()를 통해서 일정 시간동안 동체의 움직임이 계속해서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전원 제어부들(12, 22)을 통해서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본 발명의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의 제 2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수단(10)에만 상기 모션 센서(30)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수단(10)에 동작신호 발생부(40), 비동작신호 발생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광수단(20)에 동작신호 수신부(50), 비동작신호 수신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작신호 발생부(40)는 상기 모션 센서(30)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발광수단(10)이 상기 동작 모드로 진입할 때, 이를 알리는 동작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동작신호 수신부(50)는 상기 수광수단(20)이 상기 발광수단(10)의 동작신호 발생부(40)에서 출력된 상기 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발광수단(10)에만 상기 모션 센서(30)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상기 수광수단(20)은 상기 발광수단(10)의 동작신호 발생부(40)로부터 상기 동작 신호가 수신될 경우, 함께 상기 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반대로, 상기 비동작신호 발생부(60)는 상기 모션 센서(30)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발광수단(10)이 상기 비동작 모드로 진입할 때, 이를 알리는 비동작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비동작신호 수신부(70)는 상기 비동작신호 발생부(60)에서 출력된 상기 비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모션 센서(30)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상기 수광수단(20)은 상기 모션 센서(30)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발광수단(10)의 비동작신호 발생부(6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비동작 신호를 이용하여, 즉, 다시 말하자면, 상기 발광수단(10)에만 상기 모션 센서(30)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상기 수광수단(20)은 상기 발광수단(10)의 비동작신호 발생부(60)로부터 상기 비동작 신호가 수신될 경우, 함께 상기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비동작신호 발생부(60)는 상기 전원 제어부(12)의 동작을 통해 상기 발광수단(10)이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때에, 이를 알리는 비동작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수광수단(20)의 전원 제어부(22)는 상기 비동작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수광수단(20)이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전원 제어를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전원 제어부(12)는 상기 발광수단(10)이 비동작 모드로 진입할 때에, 상기 비동작신호 발생부(60)에서 상기 비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은 허용하고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동작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광수단(20)의 비동작신호 수신부(70)는 상기 비동작신호 발생부(60)에서 출력된 비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수광수단(20)이 동작 모드일지라도, 상기 비동작신호 수신부(70)에 비동작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수광수단(20)이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발광수단(10)과 수광수단(20)은 비동작 신호 송수신을 통해서, 상기 모션 센서(30)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발광수단(10)이 비동작 모드로 진입할 때, 상기 모션 센서(30)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상기 수광수단(20) 역시 함께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동작신호 발생부(40), 동작신호 수신부(50), 비동작신호 발생부(60), 비동작신호 수신부(70)는 각각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와는 다른 IR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비동작 신호로 발생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에서 3개의 무선 신호인 동체출입 감지신호, 동작 신호 및 비동작 신호를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서로 간에 주파수 간섭이 발생되어 동체 출입을 감지하는데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수단(10)과 수광수단(20)이 비동작 모드에 진입한 후, 상기 모션 센서(30)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광수단(20)은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21a, 21b)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기계적인 오류로 인해, 실제 동체의 출입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동체의 출입의 방향성이 판단되어 출입 감지상 오류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수광수단(20)의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들(21a, 21b)에서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수광한 수광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차 미만일 경우, 유효하지 않은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광수단(20)의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들(21a, 21b)에서의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의 수광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차 이상일 경우에만, 유효한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로 인식하고, 동체의 동체의 진/출입 여부 결정값을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실시예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의 제 3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와는 상이하게 수광수단에 모션 센서를 포함한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의 제 3 실시예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자면,
상기 발광수단(10)은 발광센서(수광 다이오드)(11), 전원 제어부(12) 및 배터리(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광수단(20)은 모션 센서(30),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수광 다이오드)(21a, 21b), 전원 제어부(22) 및 배터리(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구성의 역할은 제 2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상기 모션 센서(30)가 상기 수광수단(20)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광수단(20)에 동작신호 발생부(40), 비동작신호 발생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수단(10)에 동작신호 수신부(50), 비동작신호 수신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작신호 발생부(40)는 상기 모션 센서(30)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수광수단(20)이 상기 동작 모드로 진입할 때, 이를 알리는 동작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동작신호 수신부(50)는 상기 발광수단(10)이 상기 수광수단(20)의 동작신호 발생부(40)에서 출력된 상기 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수광수단(20)에만 상기 모션 센서(30)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상기 발광수단(10)은 상기 수광수단(20)의 동작신호 발생부(40)로부터 상기 동작 신호가 수신될 경우, 함께 상기 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반대로, 상기 비동작신호 발생부(60)는 상기 모션 센서(30)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수공수단(20)이 상기 비동작 모드로 진입할 때, 이를 알리는 비동작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비동작신호 수신부(70)는 상기 비동작신호 발생부(60)에서 출력된 상기 비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모션 센서(30)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상기 발광수단(10)은 상기 모션 센서(30)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수광수단(20)의 비동작신호 발생부(6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비동작 신호를 이용하여, 즉, 다시 말하자면, 상기 수광수단(20)에만 상기 모션 센서(30)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상기 발광수단(10)은 상기 수광수단(20)의 비동작신호 발생부(60)로부터 상기 비동작 신호가 수신될 경우, 함께 상기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비동작신호 발생부(60)는 상기 전원 제어부(22)의 동작을 통해 상기 수광수단(20)이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때에, 이를 알리는 비동작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발광수단(10)의 전원 제어부(12)는 상기 비동작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발광수단(10)이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전원 제어를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수광수단(20)의 전원 제어부(22)는 상기 수광수단(20)이 비동작 모드로 진입할 때에, 상기 비동작신호 발생부(60)에서 상기 비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은 허용하고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동작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수단(10)의 비동작신호 수신부(70)는 상기 비동작신호 발생부(60)에서 출력된 비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수단(10)이 동작 모드일지라도, 상기 비동작신호 수신부(70)에 비동작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발광수단(10)이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도록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발광수단(10)과 수광수단(20)은 비동작 신호 송수신을 통해서, 상기 모션 센서(30)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수광수단(20)이 비동작 모드로 진입할 때, 상기 모션 센서(30)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상기 발광수단(10) 역시 함께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제 3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수단(10)과 수광수단(20)이 비동작 모드에 진입한 후, 상기 모션 센서(30)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광수단(20)은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21a, 21b)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기계적인 오류로 인해, 실제 동체의 출입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동체의 출입의 방향성이 판단되어 출입 감지상 오류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수광수단(20)의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들(21a, 21b)에서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수광한 수광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차 미만일 경우, 유효하지 않은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광수단(20)의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들(21a, 21b)에서의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의 수광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차 이상일 경우에만, 유효한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로 인식하고, 동체의 동체의 진/출입 여부 결정값을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는 상기 발광수단(100, 10)과 수광수단(200, 20)이 상기 모션 센서(110, 210, 30)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작 모드로 진입할 경우, 소정시간 내에 수신되는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제외하고, 동체의 움직임 정보(카운팅, 방향, 진입, 진출 정보 등)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발광수단(100, 10)과 수광수단(200, 20)이 상기 모션 센서(110, 210, 30)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작 모드로 진입하면서, 소정시간 내에 동체의 카운팅 횟수로 연산하기 위한 신호로 수신되는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제외하고, 소정시간 이후의 동체의 움직임 정보(카운팅, 방향, 진입, 진출 정보 등)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소정시간을 감지하고자 하는 동체가 상기 발광수단(100, 10)과 수광수단(200, 20) 사이를 지나갈 수 없는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람에 의한 이물질이 통과하거나, 감지하고자 하는 동체 외의 다른 동체(일 예를 들자면,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고자 하였으나, 동물의 움직임이 감지) 등으로 인한 감지상 오류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구비되는 발광수단과 수광수단으로 구성되는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과 수광수단 각각이 모션 센서를 구비하고 있거나, 상기 발광수단 또는 수광수단 어느 하나에만 모션 센서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모션 센서를 통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비동작 모드로 진입시켜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감지하고자 하는 동체가 실제 동체 출입 구간의 출입 여부와 무관하게 발생될 수 있는 동체 출입 감지상에 오류가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보다 정확한 동체 출입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제 1 실시예
100 : 발광수단 110 : 모션 센서
120 : 발광센서 130: 비동작신호 수신부
140 : 전원 제어부 150 : 배터리
200 : 수신수단 210 : 모션 센서
220 : 수신센서(220a, 220b) 230 : 비동작신호 발생부
240 : 전원 제어부 250 : 배터리
제 2 실시예, 제 3 실시예
10 : 발광수단 20 : 수광수단
30 : 모션 센서 40 : 동작신호 발생부
50 : 동작신호 수신부 60 : 비동작신호 발생부
70 : 비동작신호 수신부
11 : 발광센서 12 : 전원 제어부
13 : 배터리
21 : 수신센서(21a, 21b) 22 : 전원 제어부
23 : 배터리

Claims (8)

  1.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센서를 포함하는 발광수단과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수광하는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를 포함하는 수광수단이 동체 출입 구간의 좌우에 한 쌍으로 구비된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광수단의 적어도 두 개의 수신센서에서의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의 수광시간이 기설정된 소정시간차 이상을 가질 때에만, 유효한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는
    유효한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동체 출입 구간의 진, 출입 카운팅 횟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과 수광수단 각각은,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기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계속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모션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내부 구성들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비동작 모드에 진입하며,
    비동작 모드에 진입한 후,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수단은 상기 비동작 모드로 진입할 때, 이를 알리는 비동작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비동작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수단은 상기 비동작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된 상기 비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비동작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수단은 상기 비동작신호 수신부에서 상기 비동작 신호가 수신될 경우, 함께 상기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 또는 수광수단에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수단 또는 수광수단에 포함된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기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계속해서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발광수단또는 수광수단에 포함된 상기 모션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내부 구성들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비동작 모드에 진입하며,
    비동작 모드에 진입한 후, 상기 발광수단 또는 수광수단에 포함된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동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를 포함한 상기 발광수단 또는 수광수단은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때에 이를 알리는 동작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동작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션 센서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발광수단 또는 수광수단은 상기 동작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된 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동작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션 센서를 포함하지 않은 상기 발광수단 또는 수광수단은 상기 동작신호 수신부에서 상기 동작 신호가 수신될 경우,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를 포함한 상기 발광수단 또는 수광수단은 비동작 모드로 진입할 때, 이를 알리는 비동작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비동작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션 센서를 포함하지 않은 상기 발광수단 또는 수광수단은 상기 비동작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된 상기 비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비동작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션 센서를 포함하지 않은 상기 발광수단 또는 수광수단은 상기 비동작 신호가 수신될 경우, 함께 상기 비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
  8.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는
    비동작 모드로 진입한 후, 동작 모드로 진입 시, 소정시간 내에 수신되는 상기 동체출입 감지신호를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

KR1020180039530A 2018-04-05 2018-04-05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 KR102062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530A KR102062030B1 (ko) 2018-04-05 2018-04-05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530A KR102062030B1 (ko) 2018-04-05 2018-04-05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029A true KR20190117029A (ko) 2019-10-16
KR102062030B1 KR102062030B1 (ko) 2020-01-06

Family

ID=6842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530A KR102062030B1 (ko) 2018-04-05 2018-04-05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0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466A (ko) 2001-07-12 2002-09-04 김재영 조명등용 인체감지센서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466A (ko) 2001-07-12 2002-09-04 김재영 조명등용 인체감지센서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030B1 (ko) 202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9919B2 (en) Additional function-expandable fire detector
GB2526072B (en) A method of operating an automatic door installation
US11391669B2 (en) Gas detection system
KR101212630B1 (ko) 송전선로 모바일 감시시스템
CN106650704B (zh) 手势识别模组、手势识别方法、装置和用电设备
EP2405413B1 (en) Passive infrared ray sensor
CN110915101A (zh) 用于光无线供电的灵活管理系统
US20130181132A1 (en) Intrusio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062030B1 (ko) 무선 동체출입 감지장치
US9922543B2 (en) Battery-powered security sensor system
US9356695B2 (en) Automatically aligning photobeam arrangement
JP2003091784A (ja) 多段式能動型赤外線センサ
KR101931797B1 (ko)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EP289742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347274B1 (ko) 하이패스 차량감지장치를 감시하는 감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03033B1 (ko) 무선 열선감지기에 있어서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저전력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전력 동작 시스템
KR101044925B1 (ko) 적외선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45644B1 (ko) 적외선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WO2021084770A1 (ja) 状態通知装置、状態通知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200042784A (ko) 원격 무선 누수 감지 시스템
KR20230032991A (ko) 태양광을 활용한 전기설비 감시 시스템
TWM561300U (zh) 車位檢測系統
JP5713862B2 (ja) 光電式分離型煙感知器
KR102110277B1 (ko) 적외선 감지 장치
KR20150100985A (ko) 무선 열선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보안 경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