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771A - 피뢰 시스템에 접지되는 접지장치, 이를 이용한 설비 구조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피뢰 시스템에 접지되는 접지장치, 이를 이용한 설비 구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771A
KR20190116771A KR1020180039779A KR20180039779A KR20190116771A KR 20190116771 A KR20190116771 A KR 20190116771A KR 1020180039779 A KR1020180039779 A KR 1020180039779A KR 20180039779 A KR20180039779 A KR 20180039779A KR 20190116771 A KR20190116771 A KR 20190116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ing device
protection system
lightning protection
reinforcing bar
light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0910B1 (ko
Inventor
이상옥
Original Assignee
이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옥 filed Critical 이상옥
Priority to KR1020180039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910B1/ko
Publication of KR20190116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Landscapes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뢰 시스템에 접지되는 접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비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 옥상의 내부에 설비되는 철근(11)의 끝단에 결합되는 결합부(110)와, 일측이 상기 결합부(110)와 연결되고 타측이 피뢰 시스템의 피뢰도선(20)과 결합되는 연결부(120)를 포함하는 접지장치를 이용하여 설비하기 때문에, 작업 단계, 시간 및 비용이 줄고, 미관상 깔끔하게 설치할 수 있는 피뢰 시스템에 접지되는 접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비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뢰 시스템에 접지되는 접지장치, 이를 이용한 설비 구조 및 방법{GROUND APPARATUS GROUNDED AT LIGHTNING PROTECTION SYSTEM, GROUND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피뢰 시스템에 접지되는 접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비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설비 단계가 단순하여 설비 공정 비용이 절감되는 피뢰 시스템에 접지되는 접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비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운이 접근하면 지표에 있는 도전성이 있는 물체 등이 뇌운을 향해 방전하기 시작하고, 뇌운도 도전성이 있는 물체 등을 향해 방전하기 시작한다.
뇌운과 전도성이 있는 물체 사이의 기상조건이 좋아지면 공기의 절연이 소실되어 각각의 방전이 연결되는 현상을 낙뢰라고 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피뢰침은 낙뢰에 의한 충격전류를 대지로 안전하게 유도함으로써 낙뢰로 인하여 생기는 건물의 화재, 파손 및 인축에 대한 상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최근 건축물의 피뢰 시스템은 옥상 난간에 피뢰도선을 설치하고, 피뢰도선을 건축물의 뼈대인 철근에 연결하여 낙뢰를 대지로 유도한다.
도1을 참조하여 종래의 피뢰 시스템의 접지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건축물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옥상에는 건축물 주변 테두리에 난간(10)이 설치된다. 상기 난간(10)은 내부에 철근(11)이 설비된다. 종래의 피뢰 시스템은 난간(10)의 상부에 피뢰도선(20)이 설치된다. 상기 피뢰도선(20)은 지지부(30)에 의해 난간(10) 상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피뢰도선(20)은 난간(10) 내부의 철근(11)과 접지장치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접지장치는 접지 클램프(70), 접지선(60), 본딩 블록(80) 및 T자형 슬리브(40)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접지장치는 양측의 거푸집이 설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철근(11) 중간 부분에 접지 클램프(70)가 결합되며, 상기 접지 클램프(70)는 접지선(Grounding Cable)(60)과 연결된다. 상기 접지선(60)은 본딩 블록(80)과 C형 슬리브에 의해 연결되어 철근(11)에 고정된다. 상기 C형 슬리브는 압착기를 통해 상기 접지선(60)과 본딩 블록(80)을 압착 연결시킨다. 이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난간(10) 측면에 노출된 본딩 블록(80)에 또 다른 접지선(60)을 연결한다. 상기 접지선(60)은 T 자형 슬리브(40)를 이용하여 피뢰도선(20)에 연결한다.
이러한, 종래의 접지 장치는 피뢰도선(40)에 결합하기 위한 부품이 많이 필요하며, 여러 작업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지 설비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접지선이 외부로 많이 나와 있어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5604호(2013.07.08. 등록)
본 발명은 구성 부품이 적어 접지 설비가 단순하여 작업 시간이 줄일 수 있는 접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뢰 시스템에 접지되는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 옥상의 내부에 설비되는 철근(11)의 끝단에 결합되는 결합부(110)와, 일측이 상기 결합부(110)와 연결되고 타측이 피뢰 시스템의 피뢰도선(20)과 결합되는 연결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장치(100)는 상기 연결부(120)가 상기 결합부(11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장치(100)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설되며, 상기 연결부(120)를 통해 구조물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수막 방지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막 방지부(130)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막 방지부(130)는 양측에 형성되는 돌출부(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피뢰 시스템의 접지 장치를 이용한 접지 설비 구조는 철근 끝단에 접지장치의 결합부(110)가 결합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설되되, 연결부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피뢰 시스템의 접지 장치를 이용한 설비 방법은 건축물 옥상 난간의 철근(11) 양측에 거푸집(50)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철근(11)의 상부 끝단에 접지장치의 결합부(110)를 결합하는 단계; 수막 방지부(130) 양측의 돌출부(131)를 거푸집(50)에 밀착시켜 접지장치를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거푸집(5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연결부(120)의 일부를 노출하는 단계; 및 노출된 상기 연결부(120)를 슬리브(40)를 이용하여 피뢰도선(20)에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근의 끝단에 설치하고, 바로 피뢰도선에 연결하는 접지 장치에 의해 작업 단계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지 장치의 연결부가 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됨으써 피뢰 도선의 재질과 대응되는 재질의 연결부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막 방지부의 구성에 의해 연결부를 통해 콘크리트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더 이상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 간의 간격에 따라 수막방지부의 돌출부를 꺾어 접지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도1은 건축물에 설비되는 종래의 접지장치의 개념도
도2는 건축물에 설비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장치의 개념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장치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장치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장치의 단면도
도6은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장치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뢰 시스템에 접지되는 접지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최상부 즉, 옥상에는 건축물 주변 테두리에 난간(10)이 설치된다. 최근 피뢰 시스템은 난간(10)의 상부에 피뢰도선(20)이 설치된다. 상기 피뢰도선(20)은 난간(10)과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피뢰도선(20)에는 피뢰침(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난간(10)의 내부 철근(11)과 피뢰도선(20)은 접지장치(100)에 의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장치는 난간(10) 내부의 철근(11) 끝단에 결합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 상부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연결부를 슬리브(40)를 이용하여 피뢰도선에 연결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접지장치는 철근 끝단에 결합되는 결합부(110)와, 피뢰도선에 연결되는 연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110)는 난간 내부의 철근(11)의 상부 끝단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110)는 일측에 철근(11)의 끝단이 삽입되는 철근 삽입부(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111)를 이용하여 상기 철근(11)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110)는 철근(11)의 삽입 길이를 조절하여, 접지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2에서, 접지장치(100)는 피뢰도선(20)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접지장치(100)의 상부 끝단이 일정한 높이로 철근(11)에 결합되어야 한다. 만약, 철근(11)에 결합된 접지장치(100)의 상부 끝단(연결부(120))이 너무 낮게 결합될 경우, 상기 철근삽입부(113)에 삽입되는 철근(11)의 길이를 조절하여 접지장치(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철근(11)에 결합된 접지장치(100)의 상부 끝단이 너무 높을 경우, 접지장치(100)의 상부 끝단 즉, 연결부(120)을 피뢰도선(20)의 높이와 대응되게 절단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연결부(120)는 일측이 상기 결합부(110)와 결합되고, 타측이 피뢰 시스템의 피뢰도선(20)과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결합부(110)의 상부에 구비되는데, 상기 결합부(110)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부(120)의 경우, 연결부(120)의 하단에 나사부(121)이 형성되어, 결합부(110)의 상단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결부(120)와 결합부(110)의 결합은 나사 결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결합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부(120)의 경우, 피뢰도선의 재질과 대응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뢰도선(20)은 재질이 알루미늄(Al),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구리(cu) 중 하나의 재질을 사용한다. 이때, 접지장치(100)의 연결부(120)는 피뢰도선(20)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한다. 그러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120)가 결합부(110)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피뢰도선(20)의 재질이 알루미늄(Al) 재질일 경우, 상기 연결부(120)도 피뢰도선(20)의 재질과 동일하게 알루미늄(Al) 재질로 사용한다. 또한, 피뢰도선(20)의 재질이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이나 구리(cu) 재질인 경우, 상기 연결부(120)도 피뢰도선(20)의 재질과 동일하게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구리 재질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120)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은 접지장치의 설치 작업 오류를 줄일 수 있으며,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게 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접지장치를 설비할 때, 피뢰도선(20)의 재질과 연결부(120)의 재질이 다를 경우, 결합부(110)에서 연결부(120)을 상기 피뢰도선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장치는 연결부(120)를 통해 콘크리트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더 이상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수막 방지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막 방지부(130)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설되는데, 상기 연결부(120)를 통해 콘크리트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더 이상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수분은 미량의 수분일 수 있다.
상기 수막 방지부(130)는 결합부(110)와 연결부(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막 방지부(13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 또는 다격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막 방지부(130)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판 형상의 수막 방지부(130)는 수분이 수평으로 이동하여, 아래로 흐를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막 방지부(130)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목한 형상의 중심부에 수분이 모여, 더 이상 아래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막 방지부(130)는 연결부(120)와 결합부(130)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오링(11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무 오링(112)은 수막 방지부(130)의 상단과 연결부(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 오링(112)은 결합부(110)의 상단에 고무 오링(112)이 삽입되는 홈에 끼워질 수도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막 방지부(130)는 양측에 돌출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31)는 접지장치를 철근(11)에 설치할 때, 양측의 거푸집(50)에 밀착되어 접지장치를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축물 옥상의 난간은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 철근(11)의 양측에 거푸집(50)을 설치한다. 이때, 접지장치는 철근(11)의 끝단에 결합부(110)을 결합시킨 후, 돌출부(131)을 거푸집(50)에 밀착시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기 돌출부(131)에 의해 접지장치의 연결부(120)는 피뢰도선(20)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131)는 양측의 거푸집(50)의 간격에 따라 한쪽 방향으로 꺾어 거푸집 간의 간격에 맞게 접지장치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상기 거푸집(50) 간의 간격은 120mm 로 동일하게 설치하지만, 120mm 보다 더 작게 설치할 수도 있다. 거푸집(50) 간의 간격이 120 mm 미만일 경우, 작업자는 상기 돌출부(131)를 양측의 거푸집의 간격에 따라 한쪽 방향으로 꺾어 거푸집 간의 간격에 맞게 고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지장치가 설비된 구조를 설명하면, 건축물 옥상 난간(10)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난간(10)은 내부에 철근(11)이 매설되며, 접지장치(100)는 결합부(110)가 철근(11)의 상부 끝단에 결합되고, 연결부(120)의 일부가 난간(10)의 상부 방향으로 노출된다. 즉, 결합부(110)와 수막 방지부(130)는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외관상으로 보이지 않으며, 연결부(120)는 하부 일부만 콘크리트에 매설되고, 나머지 부분은 난간(10)의 상부 방향으로 노출된다. 이렇게 노출된 연결부(120)는 슬리브(40)에 의해 피뢰도선(20)에 연결된다. 최종적으로 접지장치가 설비된 난간(10)을 보면, 난간(10) 상부로 연결부(120)만 일부 노출되어 피뢰도선(20)에 연결되기 때문에, 깔끔하게 설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장치를 이용한 설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건축물 옥상 난간(10)에 철근(11)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철근(1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거푸집(50)을 설치한다. 이때, 양측 거푸집(50) 간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120mm 로 설치하지만, 상황에 따라서 120mm 미만으로 설치되기도 한다.
이후, 상기 철근(11)의 상부 끝단에 접지장치의 결합부(110)를 결합하고, 돌출부(131)를 양측의 거푸집에 밀착시켜 고정한다. 그리고, 거푸집(5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부(120)에 콘크리트가 묻지 않도록 비닐을 둘러쌀 수도 있다.
이후, 난간(10) 상부로 노출된 연결부(120)를 슬리브(40)를 이용하여 피뢰도선(20)에 연결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장치를 이용한 설비 방법은 종래의 접지장치 설비 방법보다 작업 단계가 단순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 및 인건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고, 부속자재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난간
11 : 철근
20 : 피뢰도선
30 : 지지부
40 : 슬리브
50 : 거푸집
60 : 접지선
70 : 접지 클램프
80 : 본딩 블럭
100 : 접지장치
110 : 결합부
111 : 나사
112 : 오링
113 : 철근삽입부
120 : 연결부
121 : 나사부
130 : 수막 방지부
131 : 돌출부

Claims (7)

  1. 건축물 옥상의 내부에 설비되는 철근(11)의 끝단에 결합되는 결합부(110)와, 일측이 상기 결합부(110)와 연결되고 타측이 피뢰 시스템의 피뢰도선(20)과 결합되는 연결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 시스템에 접지되는 접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장치(100)는
    상기 연결부(120)가 상기 결합부(11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 시스템의 접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장치(100)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설되며, 상기 연결부(120)를 통해 구조물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수막 방지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 시스템의 접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막 방지부(130)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 시스템의 접지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막 방지부(130)는 양측에 형성되는 돌출부(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 시스템의 접지 장치.
  6. 철근 끝단에 접지장치의 결합부(110)가 결합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설되되, 연결부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 시스템의 접지 장치를 이용한 접지 설비 구조.
  7. 건축물 옥상 난간의 철근(11) 양측에 거푸집(50)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철근(11)의 상부 끝단에 접지장치의 결합부(110)를 결합하는 단계;
    수막 방지부(130) 양측의 돌출부(131)를 거푸집(50)에 밀착시켜 접지장치를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거푸집(5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연결부(120)의 일부를 노출하는 단계; 및
    노출된 상기 연결부(120)를 슬리브(40)를 이용하여 피뢰도선(20)에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 시스템의 접지 장치를 이용한 설비 방법.
KR1020180039779A 2018-04-05 2018-04-05 피뢰 시스템에 접지되는 접지장치, 이를 이용한 설비 구조 및 방법 KR102110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779A KR102110910B1 (ko) 2018-04-05 2018-04-05 피뢰 시스템에 접지되는 접지장치, 이를 이용한 설비 구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779A KR102110910B1 (ko) 2018-04-05 2018-04-05 피뢰 시스템에 접지되는 접지장치, 이를 이용한 설비 구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771A true KR20190116771A (ko) 2019-10-15
KR102110910B1 KR102110910B1 (ko) 2020-05-14

Family

ID=68209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779A KR102110910B1 (ko) 2018-04-05 2018-04-05 피뢰 시스템에 접지되는 접지장치, 이를 이용한 설비 구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391A1 (en) * 2019-11-22 2021-05-27 Øglænd System As Grounding system for a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for arranging the grounding system in the concrete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5976U (ko) * 1986-05-31 1987-12-12
KR101285604B1 (ko) * 2012-01-13 2013-07-12 주식회사 티지오 피뢰 시스템의 이종 금속 부식 방지용 접속장치
KR101748170B1 (ko) * 2017-01-05 2017-06-16 주식회사 에스디 절연 수막처리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5976U (ko) * 1986-05-31 1987-12-12
KR101285604B1 (ko) * 2012-01-13 2013-07-12 주식회사 티지오 피뢰 시스템의 이종 금속 부식 방지용 접속장치
KR101748170B1 (ko) * 2017-01-05 2017-06-16 주식회사 에스디 절연 수막처리봉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391A1 (en) * 2019-11-22 2021-05-27 Øglænd System As Grounding system for a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for arranging the grounding system in the concrete structure
EP4062063A4 (en) * 2019-11-22 2023-12-13 Øglænd System AS GROUNDING SYSTEM FOR A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FOR ARRANGING THE GROUNDING SYSTEM IN THE CONCRET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910B1 (ko)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6771A (ko) 피뢰 시스템에 접지되는 접지장치, 이를 이용한 설비 구조 및 방법
KR101906778B1 (ko) 적층 조립식 거푸집 지지장치
KR102024302B1 (ko) 외단열 시공구조
CN216892000U (zh) 一种简易的桥梁混凝土护栏浇筑的安全防护装置
CN108080716A (zh) 一种便捷稳定的建筑管材切割固定装置
KR20150033137A (ko) 노출 콘크리트 패널 어셈블리
CN106049849B (zh) 一种可调拉杆附板支座装置及施工方法
KR101836936B1 (ko) 거치구가 구비된 갱폼의 하부 케이지
KR101766453B1 (ko) 측뇌용 피뢰침
CN210067479U (zh) 建筑配管安装设备
CN207079838U (zh) 一种铝合金玻璃护栏固定装置
CN207079837U (zh) 一种嵌入式玻璃护栏固定装置
KR20180082768A (ko) 측뇌용 피뢰침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40329Y1 (ko) 경량 천장틀의 설치구조
CN220652888U (zh) 一种耐蚀钢质电缆桥架
CN219973860U (zh) 一种钢框结构外墙吊篮固定安装装置
CN214543562U (zh) 一种明装避雷带固定支架
CN215520087U (zh) 洞口预埋防护装置
CN211239277U (zh) 一种避雷线固定装置
CN217807894U (zh) 一种敷设电缆用滑轮放线架
CN109334435A (zh) 一种水箱盖板左护板
CN215635406U (zh) 一种滑移式混凝土泵管托座
CN211647445U (zh) 一种用于建筑工程中的装配式建筑支撑座
KR100885731B1 (ko)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KR20130006231U (ko) 커넥터 일체형 배선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