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650A - 볏짚을 이용한 상토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볏짚을 이용한 상토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650A
KR20190116650A KR1020180039559A KR20180039559A KR20190116650A KR 20190116650 A KR20190116650 A KR 20190116650A KR 1020180039559 A KR1020180039559 A KR 1020180039559A KR 20180039559 A KR20180039559 A KR 20180039559A KR 20190116650 A KR20190116650 A KR 20190116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traw
straw
expanded
present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바이오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바이오,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바이오
Priority to KR1020180039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6650A/ko
Publication of KR20190116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f granular or aggregated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볏짚을 이용한 상토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a) 볏짚을 분쇄시키는 단계; (b) 상기 분쇄된 볏짚의 함수율을 20 내지 50%로 조절하는 단계; (c) 상기 함수율 조절된 볏짚을 팽연화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팽연화된 볏짚을 분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볏짚상토는 공극률과 투수도가 높아 배수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식물 생장의 에너지원으로 활용되는 탄수화물 함량이 높아 본 발명의 볏짚상토를 이용하여 파종하면 발아율이 높고 발아된 싹의 초장과 엽면적이 커서 식물의 생산성과 수확량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볏짚을 이용한 상토 제조방법{Method of preparing bed soil using rice straw}
본 발명은 볏짚을 이용한 상토(床土)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볏짚을 팽연(膨軟)화시켜 공극률과 투수도를 높임으로써 식물 생육에 적합한 상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토(床土)는 모종을 가꾸는 온상에 쓰는 토양으로, 일반적으로 흙을 볏짚ㆍ낙엽 등과 혼합하여 몇 달을 퇴적해서 유기물을 부숙(腐熟)시키고, 화학비료를 첨가하여 질소ㆍ인산ㆍ칼륨 등의 양분을 보충한 다음에 혼합하는 방법이 쓰이고 있다.
근래에는 흙 대신에 열대용 코코넛(coconut) 과실의 껍질에서 섬유질을 빼고 난 부위에서 추출한 무공해 유기성 부산물인 코코피트와, 안정된 물이끼 퇴적물로 보수력이 우수한 피트모스를 주재료로 하는 상토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코코피트와 피트모스를 주재료로 하고 작물의 육묘에 이로운 다양한 물질을 첨가한 작물 육묘용 상토가 개발되고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849664호에 코코피트, 고령토, 식물성 섬유질(볏짚, 톱밥, 파인애플 섬유, 건초, 펄프 중 1종 이상), 무기질 재료(제올라이트, 마사토, 황토, 규조토, 질석 중 1종 이상), 인산, 칼륨, 질소 비료 및 살균제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작물 육모형 압축 판형 상토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5653호에 경량 세라믹, 유기물(피트모스, 코코피트, 낙엽, 볏짚, 왕겨 중 1종), 유기질 혼합물(흙과, 부엽토, 피트모스, 코코피트, 볏짚, 왕겨, 커피 찌꺼기, 녹차 찌꺼기 중 1종 이상과 액비의 혼합물), 무기물(견운모 또는 일라이트)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보습성, 통기성, 항균성 등의 기능을 가진 기능성 상토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상토를 제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물질들을 첨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볏짚만을 이용하여 식물 생육에 적합한 상토를 개발하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한국특허등록 제849664호(2008.07.25) 한국공개특허 제2012-5653호(2012.01.17)
본 발명의 목적은 볏짚을 이용한 상토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볏짚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상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볏짚을 분쇄시키는 단계;
(b) 상기 분쇄된 볏짚의 함수율을 20 내지 50%로 조절하는 단계;
(c) 상기 함수율 조절된 볏짚을 팽연화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팽연화된 볏짚을 분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볏짚상토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볏짚을 6 mm 이하로 분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팽연화는 80 내지 140℃에서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팽연화된 볏짚을 1 내지 5분 동안 분쇄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볏짚상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볏짚상토의 투수도는 10 ml/분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볏짚을 이용한 상토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볏짚상토는 공극률과 투수도가 높아 배수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식물 생장의 에너지원으로 활용되는 탄수화물 함량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볏짚상토를 이용하여 파종하면 발아율이 높고 발아된 싹의 초장과 엽면적이 커서 재배식물의 생산성과 수확량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볏짚을 이용한 상토 제조공정도이다.
도 2는 팽연화 온도별 볏짚의 사진이다.
도 3은 팽연화 온도별 볏짚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4는 팽연화 온도별 볏짚의 공극률, 수분보유율 및 투수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무처리 볏짚에 함유된 탄수화물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Chromatogram)이다.
도 6은 100℃ 팽연화 볏짚에 함유된 탄수화물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7은 피트모스에 함유된 탄수화물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8은 상토 종류별 상추 발아 사진이다.
도 9는 상토 종류별 오이 발아 사진이다.
도 10은 상토 종류별 블루베리 발아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볏짚을 이용한 상토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볏짚을 분쇄시키는 단계;
(b) 상기 분쇄된 볏짚의 함수율을 20 내지 50%로 조절하는 단계;
(c) 상기 함수율 조절된 볏짚을 팽연화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팽연화된 볏짚을 분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볏짚을 이용한 상토 제조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볏짚을 이용한 상토 제조공정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볏짚을 절단한다. 볏짚 절단 시 2 내지 6 cm의 크기로 절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한 크기는 3 내지 5 cm이다. 본 발명에서는 볏짚을 절단하는 과정 없이 진행할 수 있다.
이어, 상기에서 절단된 볏짚을 분쇄한다((a) 단계). 절단된 볏짚을 6 mm 이하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mm를 초과할 경우에는 추후 팽연화 과정에서 팽연화장치의 배럴(barrel)과 스크루(screw) 사이에 막힐 우려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볏짚을 5 mm 이하로 분쇄시키는 것이다.
이어, 상기에서 분쇄된 볏짚의 함수율을 20 내지 50%로 조절한다((b) 단계). 함수율은 볏짚 전체 중량에 함유된 수분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볏짚 100g에 20 내지 50g의 수분이 함유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어 있을 팽연화 과정에서 가열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볏짚의 수분함유량이 20% 미만이면 팽연화 정도가 낮아 공극률 증가율이 미비하고 또한 글루코스 증가율도 저조한 문제점이 있고, 수분함유량이 50%를 초과하면 볏짚이 탄화될 우려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수분함유량은 35 내지 45%이다.
이어, 상기에서 함수율 조절된 볏짚을 팽연화시킨다((c) 단계). 볏짚 팽연화란 볏짚의 조직을 팽창시켜 공극률을 높이는 것이다. 즉 볏짚을 고온에서 가열하고 기계적 압력으로 압축한 후 급속히 해압하면 볏짚 조직이 팽창되어 볏짚의 공극률이 커지고 볏짚에 함유된 단당류의 량이 증가된다. 팽연화 온도는 80 내지 140℃인 것이 바람직하다. 팽연화 온도가 80℃ 미만이면 증기 발생량이 충분하지 않아 볏짚 조직의 팽창도가 미비한 문제점이 있고, 140℃를 초과하면 볏짚이 탄화될 우려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팽연화 온도는 90 내지 110℃이다. 팽연화 시간은 2 내지 10분이 바람직하다. 팽연화 시간이 2분 미만이면 볏짚 조직의 결착도 약화 효과가 미비한 문제점이 있고, 10분을 초과하면 상승되는 잇점없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보다 바람직한 팽연화 시간은 3 내지 5분이다.
상기 팽연화 과정에서 1.0~15 kg/cm2의 압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 팽연화된 볏짚을 분쇄시킨다((d) 단계). 이는 앞서 고온에서의 팽연화 과정에서 일부 결착된 볏짚의 조직을 해체하는 과정이다. 이때 팽연화된 볏짚을 1 내지 5분 동안 분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팽연화된 볏짚을 1분 미만으로 분쇄시키면 결착된 볏짚의 조직 해체 효율이 미비한 문제점이 있고, 5분을 초과하면 볏짚이 미세하게 분쇄됨으로써 오히려 볏짚의 공극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팽연화된 볏짚의 보다 바람직한 분쇄 시간은 2 내지 3분이다.
상기에서 분쇄된 팽연화 볏짚은 20 내지 50 메시(mesh)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는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볏짚상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볏짚상토의 공극률은 72% 이상이다. 본 발명의 볏짚상토의 투수도는 10 ml/분 이상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볏짚상토는 공극률과 투수도가 높음으로써 배수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볏짚상토의 밀도는 초경량 상토 규격치인 0.3 Mg/㎥ 미만을 충족시킨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볏짚을 이용한 상토 제조방법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볏짚상토 제조
전라남도 담양군에서 수거된 보석찰벼 볏짚을 사용하였다. 수거된 볏짚을 4 cm 내외로 절단하고 절단된 볏짚을 4 mm 체(sieve)가 장착된 해머밀(hammer mill)을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된 볏짚을 압출식 증기폭쇄기를 이용하여 볏짚의 수분을 40% 내외로 조절하였다. 수분 조절된 볏짚을 연속식 압출형 팽연화장치(내쇼날이엔지(주))를 이용하여 각각의 압출다이 온도(80, 100, 120, 140℃)에서 4분 동안 팽연화시켰다. 팽연화된 볏짚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3분 동안 분쇄하여 30 메시 내외의 볏짚상토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전라남도 담양군에서 수거된 보석찰벼 볏짚을 사용하였다. 수거된 볏짚을 4 cm 내외로 절단하고 절단된 볏짚을 4 mm 체가 장착된 해머밀을 이용하여 분쇄하여 분쇄된 볏집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탑블루베리에서 구입한 라트비아(Latvia)산 화이트피트모스를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볏짚상토 특성 분석
1-1. pH 측정
pH 측정은 토양산도측정법을 준용하였고, pH 미터(Model:AS-218), 볼텍스믹서(vortex mixer, J-MF), 50 ml 원심분리관(centrifuge tube)을 이용하였다. 표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볏짚을 팽연화시킴으로써 pH 값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01
1-2. 조직구조
도 2에 무처리 분쇄 볏짚과 팽연화 온도별 볏짚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팽연화 처리됨에 따라 무처리 볏짚의 그물망 형태의 망상 구조가 해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다 면밀하게 조직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TESCAN VEGA3)을 이용하여 조직구조를 확대 촬영하였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무처리 볏짚의 경우 그물망 형태의 망상 구조의 세포조직이 결합되어 있음이 관찰되었고, 100℃ 팽연화 볏짚은 볏짚의 망상 구조가 해체되어 조직 구성의 집적도가 저하된 형태가 관찰되었으며, 피트모스의 경우 볏짚과 달리 잘게 부서져 있는 조각들이 군집을 이루고 있는 형태가 관찰되었다.
1-3. 공극률 측정
250 ml 용량의 메스실린더에 시료 50 ml를 충진하고 150 ml 물을 시료가 들어 있는 상기 메스실린더에 붓고 물이 시료의 공극 틈을 완전히 채워 부피화가 더 이상 없을 때 섞은 후 시료의 부피와 물과 시료의 전체부피를 측정하여 공극률을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2
도 4 및 표 2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극율은 무처리 볏짚 70.7%, 80℃ 팽연화 볏짚 80.0%, 100℃ 팽연화 볏짚 84.0%, 120℃ 팽연화 볏짚 72.0%로 100℃ 처리군까지는 팽연화 온도 상승에 비례하여 공극률이 증가하다가 120℃ 처리구에서는 오히려 공극률이 감소하였다.
Figure pat00003
1-4. 투수도 및 수분보유율 측정
투수도 및 수분보유율 측정은 하부가 좁은 망의 천으로 감싸진 지름 5 cm의 원통관을 이용하였다. 투수도는 눈금이 표시된 지름 5 cm의 원통관 밑을 간격이 좁은 망의 천으로 감싼 후 50 cm 높이로 시료를 충진하고 원통관에 일정한 수면을 유지시키면서 물을 계속 유입시켜 1,000 ml의 물이 빠져 나오는 동안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수분보유율은 유입된 총 물의 중량에서 빠져나온 물의 중량을 차감하여 산정하였다.
Figure pat00004
투수도는 무처리 볏짚 0.69 ml/min, 80℃ 팽연화 볏짚 19.04 ml/min, 100℃ 팽연화 볏짚 19.72 ml/min, 120℃ 팽연화 볏짚 20.81 ml/min로, 팽연화 처리시 무처리군에 비해 투수도가 증가하였고 또한 팽연화 온도 상승에 비례하여 투수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도 4 및 표 2).
수분보유율은 무처리군 70.0%, 80℃ 팽연화 볏짚 52.0%, 100℃ 팽연화 볏짚 58.0%, 120℃ 팽연화 볏짚 49.0%로, 모든 팽연화 처리군이 무처리군 대비 감소하였다(도 4 및 표 2).
1-5. 탄수화물 분석
분석기기는 HPAEC (High Performance Anion-Exchange Chromatography), 검출기는 PAD (Pulsed Amperometric Detector)를 사용하였다. ㈜당분석기술센터에 의뢰하여 무처리 볏짚, 100℃ 팽연화 볏짚, 피트모스 각각이 함유하고 있는 단당류(rhamnose, arabinose, galactose, glucose, mannose, xylose)를 분석하였다. 전처리방법은 산가수분해법에 의해 실시하였으며, 측정치는 3회 반복 분석하여 평균값으로 산정하였다.
도 5에 무처리 볏짚에 함유된 탄수화물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에 100℃ 팽연화 볏짚에 함유된 탄수화물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 피트모스에 함유된 탄수화물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표 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람노스(rhamnose)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100℃ 팽연화 볏짚이 무처리 볏짚과 피트모스에 비해 아라비노스(arabinose), 글루코스(glucose), 마노스(mannose) 및 자일로스(xylose) 함량이 높았다. 갈락토스(galactose)만이 피트모스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무처리 볏짚과 100℃ 팽연화 볏짚을 비교하면 측정 단당류 모두에 있어 당함유량이 12.5%에서 최고 35.3%까지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생육의 에너지원으로 가장 활발히 활용되는 글루코스가 볏짚 팽연화에 의해 32.4% 제고됨으로써 팽연화에 의한 볏짚의 상토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pat00005
1-6. 밀도 측정
밀도분석을 위한 용기는 내경 360 mm, 높이 491 mm, 부피 50 리터의 원형 형태의 용기를 이용하였다. 밀도측정방법은 목재펠릿규격품질기준(국립산림과학원고시 제2013-5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겉보기밀도 측정방법을 준용하였다. 즉 용기의 상부 테두리로부터 200∼300 mm 떨어진 곳으로부터 재료를 부어 산을 이루게 하고 이를 150 mm의 높이로부터 평평하고 딱딱한 바닥 위에 놓여진 15 mm 두께의 나무판 위에 수직으로 떨어뜨려 3회 다진 후 용기 위에 남는 재료는 50 mm 정각재를 이용하여 제거한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6
표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무처리 볏짚, 100℃ 팽연화 볏짚, 피트모스의 모든 시료 밀도가 비료공정규격 및 설정(농촌진흥청고시 제2014-13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상토2호 규격 중 초경량 상토 규격치 0.3 Mg/㎥ 미만을 충족하였다.
Figure pat00007
1-7. 탄질비(C/N ratio) 비교 분석
분석기기는 자동원소분석기(MICRO cube/elementar, 독일)를 사용하였다. 시료의 C, H, N, S 구성비율을 분석하였으며, 탄질비 계산은 탄소구성비를 질소구성비로 나눈 값으로 산정하였다.
Figure pat00008
표 5에 무처리 볏짚, 100℃ 팽연화 볏짚, 피트모스 각각에 함유되어 있는, 식물성장의 에너지원인 탄소함유율과 식물증체량에 영향을 미치는 질소함유율이 제시되어 있다. 피트모스의 탄소함유율과 질소함유율이 무처리 볏짚 및 100℃ 팽연화 볏짚보다 높았지만 피트모스의 탄질비가 무처리 볏짚 및 100℃ 팽연화 볏짚보다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볏짚을 팽연화 처리함으로써 볏짚에 함유된 탄소량과 질소량이 많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무처리 볏짚의 탄질비는 76.27%인데 반해 100℃ 팽연화 볏짚의 탄질비는 73.64%로 감소하여 볏짚을 팽연화 처리함으로써 볏짚의 최적 탄질비(50~70%)에 근접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9
실험예 2. 볏짚상토를 이용한 육묘 실험
2-1. 상추 육묘 실험
상추 육묘용 상토로 무처리 볏짚, 100℃ 팽연화 볏짚, 및 탑블루베리에서 구입한 라트비아산 화이트피트모스를 각각 사용하였다. 상추씨앗은 아시아종묘(주)에서 구입한 청하청치마 품종을 사용하였다. 16구 육묘포트에 무처리 볏짚, 100℃ 팽연화 볏짚, 화이트피트모스를 각각 세 포트씩 충진하고 각각의 포트에 10립씩 상추씨앗을 파종하였으며, 25℃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육묘하였다. 급수는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매일 1회 실시하였다. 발아율은 발아한 개체수를 파종한 개체수로 나누어 산정하였으며, 버니어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초장과 엽면적을 측정하였다.
도 8에 상토 종류별 상추 발아 사진이 제시되어 있고, 표 6에 상토 종류별 상추 발아율, 초장, 엽면적이 제시되어 있다. 무처리 볏짚과 100℃ 팽연화 볏짚은 육묘 3일째 100% 발아하였고, 피트모스는 육묘 3일째 40% 발아하였다. 무처리 볏짚과 100℃ 팽연화 볏짚의 발아율은 동일하였으나, 초장은 무처리 볏짚의 경우 육묘 3일째 15 cm였고, 4일째 20 cm, 100℃ 팽연화 볏짚은 육묘 3일째 19 cm, 4일째 34 cm로, 100℃ 팽연화 볏짚의 경우 무처리 볏짚의 경우보다 성장성이 월등히 우수하였다. 이와 같은 육묘 실험 결과를 볼 때 상추 육묘용 상토로 팽연화 볏짚을 이용할 경우 상추의 생산성 및 수확량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Figure pat00010
2-2. 오이 육묘 실험
오이 육묘용 상토로 무처리 볏짚, 100℃ 팽연화 볏짚, 및 탑블루베리에서 구입한 라트비아산 화이트피트모스를 각각 사용하였다. 오이씨앗은 아람종묘에서 구입한 노각오이 품종을 사용하였다. 16구 육묘포트에 무처리 볏짚, 100℃ 팽연화 볏짚, 화이트피트모스를 각각 세 포트씩 충진하고 각각의 포트에 10립씩 오이씨앗을 파종하였으며, 25℃ 인큐베이터에서 육묘하였다. 급수는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매일 1회 실시하였다. 발아율은 발아한 개체수를 파종한 개체수로 나누어 산정하였으며, 버니어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초장과 엽면적을 측정하였다.
도 9에 상토 종류별 오이 발아 사진이 제시되어 있고, 표 7에 상토 종류별 오이 발아율, 초장, 엽면적이 제시되어 있다. 무처리 볏짚과 100℃ 팽연화 볏짚은 육묘 3일째 100% 발아하였고, 피트모스는 육묘 3일째 80% 발아하였다. 무처리 볏짚과 100℃ 팽연화 볏짚의 발아율은 동일하였으나, 초장은 무처리 볏짚의 경우 육묘 3일째 15 cm, 4일째 32 cm였고, 100℃ 팽연화 볏짚은 육묘 3일째 20 cm, 4일째 44 cm로, 100℃ 팽연화 볏짚의 경우가 무처리 볏짚의 경우보다 성장성이 월등히 우수하였다. 이와 같은 육묘 실험 결과를 볼 때 오이 육묘용 상토로 팽연화 볏짚을 이용할 경우 오이의 생산성 및 수확량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Figure pat00011
2-3. 블루베리 육묘 실험
블루베리 육묘용 상토로 무처리 볏짚, 100℃ 팽연화 볏짚, 및 탑블루베리에서 구입한 라트비아산 화이트피트모스를 각각 사용하였다. 블루베리씨앗은 듀크 품종을 사용하였다. 16구 육묘포트에 무처리 볏짚, 100℃ 팽연화 볏짚, 화이트피트모스를 각각 세 포트씩 충진하고 각각의 포트에 10립씩 블루베리씨앗을 파종하였으며, 25℃ 인큐베이터에서 육묘하였다. 급수는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매일 1회 실시하였다. 발아율은 발아한 개체수를 파종한 개체수로 나누어 산정하였으며, 버니어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초장을 측정하였다.
도 10에 상토 종류별 블루베리 발아 사진이 제시되어 있고, 표 8에 상토 종류별 블루베리 발아율, 초장이 제시되어 있다. 파종 28일 경과 후 100℃ 팽연화 볏짚만이 발아하였고 발아율은 40%였다.
Figure pat00012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예가 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하기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4)

  1. (a) 볏짚을 분쇄시키는 단계;
    (b) 상기 분쇄된 볏짚의 함수율을 20 내지 50%로 조절하는 단계;
    (c) 상기 함수율 조절된 볏짚을 팽연화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팽연화된 볏짚을 분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볏짚상토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볏짚을 6 mm 이하로 분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상토 제조방법.
  3.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볏짚상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볏짚상토의 투수도는 10 ml/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상토.
KR1020180039559A 2018-04-05 2018-04-05 볏짚을 이용한 상토 제조방법 KR20190116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559A KR20190116650A (ko) 2018-04-05 2018-04-05 볏짚을 이용한 상토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559A KR20190116650A (ko) 2018-04-05 2018-04-05 볏짚을 이용한 상토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650A true KR20190116650A (ko) 2019-10-15

Family

ID=6820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559A KR20190116650A (ko) 2018-04-05 2018-04-05 볏짚을 이용한 상토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665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664B1 (ko) 2007-11-20 2008-08-01 (주) 대동산업 작물 육묘용 압축 판형 상토
KR20120005653A (ko) 2010-07-09 2012-01-17 이호용 기능성 상토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664B1 (ko) 2007-11-20 2008-08-01 (주) 대동산업 작물 육묘용 압축 판형 상토
KR20120005653A (ko) 2010-07-09 2012-01-17 이호용 기능성 상토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9849B2 (en) Compressed coconut coir pith granules and methods for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WO2018091902A1 (en) Coir substrat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CN104012383A (zh) 基于固体废弃物的育苗基质的配制方法
Gląb Effect of soil compaction on root system morphology and productivity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KR101783307B1 (ko) 수경재배용 고형배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그로우백 및 수경재배방법
CN106613373A (zh) 一种辣椒育苗种植方法
CN1314314C (zh) 一种利用有机废弃物开发的育苗基质
KR200417955Y1 (ko) 법면 조경용 식생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7150B1 (ko) 마늘 재배용 배양토
KR20190116650A (ko) 볏짚을 이용한 상토 제조방법
CN107162859A (zh) 降解型多功能种植宝及其制备方法
EP3694307B1 (en) Hydroponic growing medium
Rao et al. Effect of saline water irrigation on growth, ion content and forage yield of halophytic grasses grown on saline black soil
JPH01312934A (ja) 植物栽培用培地
KR100959233B1 (ko) 폐조개껍질을 함유한 사면 녹화용 식생재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 시공방법
CN109006367A (zh) 一种油茶育苗轻基质的制备方法
JP5231370B2 (ja) 甜菜の紙筒育苗において施肥量を減らす方法
CN1282510A (zh) 无土栽培基质及其生产方法
KR102390527B1 (ko) 농업부산물로부터 제조된 블랙카본을 이용한 완효성 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315319A (ja) 園芸用鉢植込材料及び土壌改良剤
JP2977553B1 (ja) きのこ栽培用培地
CN107567983A (zh) 一种芦笋秸秆生物制剂提高辣椒幼苗生物量的方法
CN108770576A (zh) 一种提高冬枣苗移栽成活率的种植方法
CN110734347A (zh) 含有罗汉果残渣的组合物
Singh et al. Root distribution, soil water depletion, and water use efficiency of sweet corn under deficit irrigation and biochar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