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648A - 촬영된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활용한 디바이스 인증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촬영된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활용한 디바이스 인증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648A
KR20190116648A KR1020180039549A KR20180039549A KR20190116648A KR 20190116648 A KR20190116648 A KR 20190116648A KR 1020180039549 A KR1020180039549 A KR 1020180039549A KR 20180039549 A KR20180039549 A KR 20180039549A KR 20190116648 A KR20190116648 A KR 20190116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target device
authentication device
verification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5290B1 (ko
Inventor
이기동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십일번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십일번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9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290B1/ko
Priority to US16/118,682 priority patent/US10824712B2/en
Publication of KR20190116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06F21/445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by mutual authentication, e.g. between devices or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06V10/757Matching configurations of points or fe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7Graphical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디바이스간 인증방법, 인증시스템,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인증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임의의 인증용 디바이스가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이하 타겟디바이스)를 사진 또는 영상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매개로 하여 상기 타겟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게 한 디바이스 인증과 관련된 것이다.

Description

촬영된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활용한 디바이스 인증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AN IMAGE OF A PHOTOGRAPHED DEVICE}
본 발명은 두 개의 디바이스간 인증방법, 인증시스템,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인증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임의의 인증용 디바이스가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이하 타겟디바이스)를 사진 또는 영상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매개로 하여 상기 타겟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게 한 디바이스 인증과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태블릿PC와 같은 스마트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 패턴을 입력하는 방식, 홍채를 인식시키는 방식, 지문을 인식시키는 방식 등이 이용되고 있다.
스마트 기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행위는 사용자가 하루에도 여러 번 반복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를 높이기 위해 잠금 해제 방식을 간편화 하는 방식에 대한 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앞서 소개한 홍채인식, 지문인식 등과 같이 생체를 인식하는 방식 역시 이러한 필요성의 일환에서 개발된 것으로, 기존 비밀번호, 패턴 입력방식에 비해 사용자 편의성을 상당 부분 높인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증방식, 예를 들어 비밀번호, 패턴을 입력하는 방식은 비밀번호, 패턴이 노출될 위험성이 크며 나아가 매번 PIN 또는 패턴을 입력하는 것은 사용자 입장에서는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생체인증방식 역시 해당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에서만 가능한 것이어서 이러한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스마트 기기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방법, 또는 디바이스의 잠금을 해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글래스와 같이 촬영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잠금을 해제하고자 하는 타겟디바이스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매개로 하여 타겟디바이스의 인증수행, 또는 잠금해제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도출된 것으로,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3257호(2017.11.02.)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하루에도 여러 번 수행하게 되는 사용자 인증, 즉 잠금 해제를 보다 간편하게 구현하면서도 보안성은 유지할 수 있는 인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히 비밀번호, 패턴과 같이 노출이 쉬운 인증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인증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나아가 생체인식 기능을 갖추지 못한 디바이스에서도 보다 안전성, 편의성이 높은 인증방식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인증방법은 인증디바이스로 타겟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촬영하는 단계에 의해 획득된 촬영 이미지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이미지와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촬영 이미지와 상기 레퍼런스 이미지의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이면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대해 검증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로부터의 검증응답을 인식하는 단계; 및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검증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인증방법은 인증디바이스로 타겟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촬영하기 전,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를 사전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사전등록하는 단계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인증디바이스와 상기 타겟디바이스가 연결되는 단계;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의 촬영된 영역을 레퍼런스 이미지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바이스 인증방법은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대해 검증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이전,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인증디바이스가, 당해 인증디바이스의 현재 위치와 상기 타겟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대해 검증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디바이스의 위치와 상기 타겟디바이스의 위치가 임계치 이내의 거리값인 경우 수행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인증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영 이미지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이미지와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이미지 내에서 복수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복수의 특징점을 상기 레퍼런스 이미지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인증방법에 있어서 상기 타겟디바이스의 검증응답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의 출력화면을 인식하는 단계이고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검증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출력화면을 기초로 연산한 값을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타겟디바이스의 출력화면은 복수의 색깔들이 랜덤하게 조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인증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의 출력화면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인식한 출력화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영역 내 색깔들로부터 RGB값을 산출하는 단계이고,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출력화면을 기초로 연산한 값을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산출한 RGB값을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은, 타겟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촬영하여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이미지와 비교하며, 비교 결과 상기 촬영 이미지와 상기 레퍼런스 이미지의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대한 검증단계를 수행하는 인증디바이스; 및 상기 인증디바이스와 검증단계를 수행하고, 검증결과에 따라 상기 잠금을 해제하는 타겟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검증단계는, 상기 인증디바이스의 검증요청에 따라 상기 타겟디바이스가 출력한 출력화면을 매개로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출력화면은 복수의 색깔들이 랜덤하게 조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증디바이스는, 상기 출력화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영역 내 색깔들로부터 RGB값을 산출한 후, 산출된 RGB값을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타겟디바이스는, 상기 인증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RGB값이 당해 타겟디바이스가 출력화면에 포함시킨 복수의 색깔들과 대응되면 상기 인증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허용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증디바이스는, 상기 타겟디바이스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디바이스의 위치와 당해 인증디바이스의 위치가 임계치 이내의 거리값인 경우 검증단계를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디바이스는, 타겟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촬영 이미지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이미지와 비교하는 이미지 비교부; 및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대해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인증디바이스가 타겟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된 것으로서,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타겟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방법은, 인증디바이스로 타겟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촬영하는 단계에 의해 획득된 촬영 이미지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이미지와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촬영 이미지와 상기 레퍼런스 이미지의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이면,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대해 검증을 하는 단계; 및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대한 연결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번거로운 사용자 인증을 거치지 않고도 잠금을 해제하고자 하는 타겟디바이스를 단순히 인증디바이스의 촬영부에 노출시킴으로써 쉽게 인증을 할 수 있어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 편의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증 과정에서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노출될 염려가 없어 종래에 비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생체인식 기능을 갖추지 못한 디바이스, 구형의 디바이스를 사용하더라도 생체인식에 뒤지지 않는 편의성, 보안성을 갖춘 인증방식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방법 및 시스템의 이해를 돕기 위해 대표적인 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인증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인증디바이스의 세부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인증디바이스와 타겟디바이스 간 인증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인증방법 중에서도 특히 디바이스들 간 검증과정을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검증과정 중 타겟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출력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인증디바이스와 타겟디바이스 간 사전등록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인증방법, 구체적으로는 위치정보까지 포함하여 인증을 하는 방법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기란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전화기(phone) 등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장치를 의미하며, 해당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인증방법, 그리고 인증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인증시스템은 인증디바이스(100)와 타겟디바이스(3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증과정은 크게 인증디바이스(100)가 타겟디바이스(300)를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타겟디바이스(300)의 이미지와 기 저장되어 있던 레퍼런스 이미지를 비교하는 단계,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검증과정을 하는 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위의 단계들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는 타겟디바이스(300)의 잠금이 해제, 즉 타겟디바이스(300)에 대한 인증이 종료되어 사용자가 타겟디바이스(300)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타겟디바이스(300)란, 사용자가 사용을 위하여 인증을 하고자 하는 대상장치, 즉 잠금을 해제하고자 하는 대상장치를 의미한다. 타겟디바이스(300)의 종류에는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워치, PDA 등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휴대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TV,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휴대할 수 없는 가전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타겟디바이스(300)는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구성들, 예를 들어 CPU, 메모리 등 제어를 위한 명령어 처리 및 저장이 가능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나아가 후술하게 될 검증과정에서 필요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인증디바이스(100)란, 타겟디바이스(3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타겟디바이스(300)의 외관을 촬영하고 추가적인 검증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인증디바이스(100)의 종류에는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폰, 태블릿PC, PDA 등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임의의 대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증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상시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인증디바이스(100) 역시 앞서 설명한 타겟디바이스(300)와 마찬가지로 CPU, 메모리 등 명령어 처리 및 저장이 가능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다시 도 1을 살펴보면, 도 1은 인증디바이스(100)가 스마트 글래스이고 타겟디바이스(300)가 스마트폰인 경우의 인증과정을 대표적인 실시예로서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인 인증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게 될 도 3 내지 도 7에 대한 설명에서 더 자세히 다루고, 도 1을 참조하여서는 개략적으로 사용자가 어떻게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이 구현하고자 하는 디바이스 인증방법은 궁극적으로 사용자가 인증디바이스(100)를 이용해 타겟디바이스(300)를 촬영하면, 그 촬영 결과에 따라 타겟디바이스(300)의 인증을 수행하는, 그리고 타겟디바이스(300)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스마트 글래스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바라보는 것만으로 타겟디바이스(300)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을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는 스마트 글래스(인증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채로 스마트폰(타겟디바이스(300))를 바라보게 되는데, 이 과정은 스마트 글래스가 스마트폰의 외관을 촬영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한편, 스마트폰의 외관이 촬영되면 스마트 글래스는 촬영된 이미지와 레퍼런스 이미지를 비교하게 되는데, 이 때 레퍼런스 이미지란 스마트 글래스가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이미지, 즉 사전에 상기 스마트폰의 외관을 미리 촬영해 둔 이미지를 일컫는다. 촬영된 이미지와 레퍼런스 이미지의 비교 결과, 두 이미지의 유사도가 일정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인증디바이스(100)는 상기 타겟디바이스(300)와의 근거리 통신망(예. 블루투스)연결을 시도하거나 또는 이미 연결이 되어 있다면 검증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검증과정은 상기 타겟디바이스(300)가 진정한 연결대상인지를 추가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과정으로, 앞선 이미지 비교 단계만으로는 타겟디바이스(300)가 진정한 연결대상인지 여부를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부차적인 검증과정을 더 둔 것이다. 검증과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인증디바이스(100)가 타겟디바이스(300)의 출력화면을 읽어들인 후 그 출력화면과 매칭되는 정보를 생성하여 다시 타겟디바이스(300) 측으로 제공함으로써 인증디바이스(100)와 타겟디바이스(300) 간 검증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검증과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타겟디바이스(300)가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최종적으로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한편, 도 1에는 인증디바이스(100)가 스마트 글래스이고 타겟디바이스(300)가 스마트폰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인증방법은 비단 휴대용 장치에서만 활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타겟디바이스(300)가 휴대용 장치가 아닌 경우에도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디바이스(300)가 가정 내 설치된 에어컨이고, 위 에어컨에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제어패드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해 상기 에어컨의 외관을 촬영할 수 있고, 앞서와 같은 방식으로 촬영된 이미지와 레퍼런스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인증 하고자 하는 타겟디바이스(300)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비교를 통해 일응 식별이 된 이후에는 검증과정을 거쳐 상기 에어컨의 동작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인증디바이스(100)가 타겟디바이스(300)의 외관을 촬영하고, 그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타겟디바이스(300)를 식별하는 과정, 후속적으로 인증디바이스(100)와 타겟디바이스(300) 간 검증하는 과정을 거쳐 타겟디바이스(300)에 대해 인증을 실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인증디바이스(1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따르면, 위 인증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디바이스(100)는 촬영부(110), 이미지 비교부(120), 검증부(130), 그리고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촬영부(110)는 타겟디바이스(3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촬영하는 구성이다.
타겟디바이스(3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란 타겟디바이스(300)의 외관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 타겟디바이스(300)의 뒷면 전체 또는 일부 영역, 타겟디바이스(300)의 모서리 및 전면 일부 영역, 타겟디바이스(300)의 전면에 카메라가 배치된 영역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타겟디바이스(3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비단 디바이스의 겉으로 보이는 면만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뒷면 커버가 탈거된 상태일 때의 뒷면 전부 또는 일부 영역, 디바이스의 시리얼 넘버가 기재되어 있는 영역 등 해당 타겟디바이스(300)를 식별할 수 있는 영역이라면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촬영부(110)는 인증디바이스(100)가 어떤 종류의 것인지에 따라 달리 구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렌즈 및 이미지 처리수단을 포함한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비교부(120)는 상기 촬영부(110)에 의해 획득된 촬영 이미지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이미지와 비교하는 구성이다. 레퍼런스 이미지란, 사용자가 타겟디바이스(300)를 인증디바이스(100)에 사전 등록할 시에 촬영해 둔 타겟디바이스(300)의 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레퍼런스 이미지는 인증디바이스(100)가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저장부(150)(예. 메모리) 또는 상기 인증디바이스(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레퍼런스 이미지는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타겟디바이스(300)의 전면, 측면, 후면을 촬영한 이미지들이 레퍼런스 이미지로 저장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타겟디바이스(300)를 또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이미지도 레퍼런스 이미지로 저장될 수 있다. 레퍼런스 이미지를 복수 개 저장해 둔 경우 촬영 이미지와의 비교 시 더 많은 정보를 기초로 유사도 판단을 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이미지 비교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레퍼런스 이미지가 당해 인증디바이스(100) 내 자체적으로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이미지 비교부(120)는 앞서 촬영부(110)에 의해 획득된 촬영 이미지와 레퍼런스 이미지를 곧바로 비교할 수 있으며, 레퍼런스 이미지가 외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이미지 비교부(120)는 상기 외부 서버와의 별도 접속 과정을 통해 레퍼런스 이미지를 로드한 후 상기 촬영 이미지와의 비교를 할 수 있다.
이미지 비교부(120)는 촬영 이미지와 레퍼런스 이미지가 얼마나 유사한지에 대한 비교판단을 한 후 유사도를 하나의 값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유사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인증디바이스(100)로 하여금 현재 진행 중인 인증과정을 중지하게 할 수 있고,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후속하여 검증단계로 진행하게 할 수 있다. 유사도란 촬영 이미지와 레퍼런스 이미지를 비교하였을 때 얼마나 유사한지에 대한 값을 일컫는 것으로, 이미지 간 유사도를 산출하는 방법에는 이미지 내 대상물의 형태를 인식하고 그 형태가 얼마나 유사한지 여부, 또는 각 이미지들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해 낸 후 특징점의 위치, 특징점에서의 RGB값 등을 비교하여 얼마나 유사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검증부(130)는 앞선 이미지 비교부(120)에서의 유사도 값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인식된 타겟디바이스(300)가 인증의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인지, 다시 말해 잠금 해제가 되어야 할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으로, 상기 검증부(130)는 (i) 타겟디바이스(300)로 특정 정보가 포함된 검증요청을 전송하거나, (ii) 타겟디바이스(300)와의 상호간 데이터 송수신을 통하여 검증을 하거나, 또는 (iii) 타겟디바이스(300)가 출력하는 임의의 출력화면 내지 코드를 인식한 후 이에 대한 결과값을 타겟디바이스(300)에 송신하는 방식을 통하여 타겟디바이스(300)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검증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i) 검증부(130)가 타겟디바이스(300)로 검증요청을 전송하여 검증단계를 수행하는 하나의 실시예로, 검증부(130)는 타겟디바이스(300)에 특정 정보가 포함된 검증요청(이 때의 검증요청은 전송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를 의미함)을 전송하며, 이 때 검증요청에는 인증디바이스(100)에 대한 정보(디바이스 고유식별번호) 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사용자의 아이디, 패스워드 등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식별문자)가 포함되어 타겟디바이스(300)로 하여금 상기 검증요청 내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정상인증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잠금을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검증부(130)가 특정 정보가 포함된 검증요청을 전송하면 타겟디바이스(300)가 특정 정보의 내용이 사전에 잠금 해제의 요건에 맞는 내용인지를 판단한 후 잠금을 해제하게 되는 것이다.
(ii) 한편, 검증부(130)가 타겟디바이스(300)와 상호 데이터 송수신을 통하여 검증단계를 수행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 검증부(130)는 타겟디바이스(300)에 검증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응답하여 타겟디바이스(300)로 하여금 검증응답(이 때 검증응답은 전송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를 의미함)을 전송하게 하고, 검증부(130)는 수신한 검증응답이 인증을 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것인지를 검증한 후 다시 타겟디바이스(300) 측으로 검증완료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타겟디바이스(300)가 검증부(130)에 전송하는 검증응답에는 당해 타겟디바이스(30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검증부(130)는 위 정보들이 현재 사용자가 인증하고자 하는, 즉 잠금을 해제하고자 하는 디바이스가 맞는지를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검증완료응답을 전송한다.
(iii)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검증부(130)는 타겟디바이스(300)에 의해 임의 생성된 출력화면 또는 코드를 인식한 후 그 출력화면 또는 코드에 대한 값을 생성하여 타겟디바이스(300) 측에 제공함으로써 검증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검증부(130)로부터의 검증요청이 있으면 타겟디바이스(300)는 임의의 출력화면 또는 코드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검증부(130)는 인증디바이스(100)의 촬영부(110)를 활용해 상기 출력화면 또는 코드를 인식한 후 해당 출력화면 또는 코드에 대응되는 값을 연산한 뒤 그 결과값을 타겟디바이스(300)에 제공할 수 있다. 타겟디바이스(300)는 위 결과값을 수신한 후 타겟디바이스(300)가 출력한 화면 또는 코드가 맞는지를 확인하여 인증완료 또는 잠금해제를 하게 된다.
인증디바이스(100)의 검증부(130)가 타겟디바이스(300)와 상호 검증을 하는 단계에 대해서는 후술하게 될 도면들에서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인증디바이스(100)의 또 다른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촬영부(110), 이미지 비교부(120), 검증부(130)를 모두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140)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제어부(140)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으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인증디바이스(100) 내 저장부(150), 즉 메모리에는 인증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 및 컨텐츠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쉬(flash) 메모리, SRAM(Static RAM),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타겟디바이스(300)와의 인증을 수행하는 데에 이용되는 인증디바이스(100)의 필수 구성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인증에 필요한 구성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도시하지 않은 구성들, 예를 들어 인증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 통신부 및 그 밖에 기본적인 스마트 디바이스가 갖추어야 할 구성들은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당연히 포함된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위 디바이스들을 이용한 인증방법에 대해 순서에 따라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방법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실시예들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자가 스마트 글래스(인증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채 스마트폰(타겟디바이스(300))에 대한 인증을 하는 과정, 즉 스마트폰의 잠금해제를 하는 과정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인증방법은 가장 먼저 사용자가 스마트 글래스를 착용한 채 스마트폰을 바라보는 과정부터 시작되는데, 본 단계는 인증디바이스(100)가 타겟디바이스(300)를 촬영하는 단계(S300)에 해당한다. '촬영'이란 스마트 글래스 내 구비된 촬영부(110)가 타겟디바이스(300)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인식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로, 스마트 글래스가 구비하고 있는 카메라를 활용해 스마트폰의 외관을 동영상 또는 사진으로 촬영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타겟디바이스(300)의 외측면이란, 스마트폰을 임의의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노출되는 면을 의미하며, 이 때 타겟디바이스(300)의 외측면은 비단 해당 디바이스가 최초 생산되었을 때 구비하고 있는 하우징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 겉표면에 사용자가 임의로 구입한 케이스가 덧씌워진 상태의 외측면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즉, 사전 등록단계에서 스마트폰에 케이스가 씌워진 상태 또는 씌워지지 않은 상태로 등록된 경우, 사전 등록단계에서 등록된 외관 상태에 따라 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로서는 스마트폰 하우징에 별도의 케이스가 씌워져 있는 경우에도 본 인증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에서의 촬영은 비단 스마트폰, 즉 타겟디바이스(300)의 전체 모습이 하나의 이미지에 포함되도록 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타겟디바이스(300)의 영역 중 일부만 포함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타겟디바이스(300)의 하우징에 해당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무늬가 있거나 그 외 식별 가능한 문자가 있는 경우 해당 부분만을 촬영할 수도 있으며, 또는 덧씌워진 케이스의 고유 무늬나 문자가 포함된 부분만을 촬영할 수도 있다.
앞선 단계에서 촬영이 이루어진 후, 인증디바이스(100)는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S301) 촬영 이미지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활용되는 포맷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S301 단계 이후, 인증디바이스(100)는 촬영 이미지와 레퍼런스 이미지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연산하고, 유사도가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값을 가지는지를 비교하여 위 타겟디바이스(300)가 인증을 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302) 레퍼런스 이미지는, 앞서도 설명하였듯 사전 등록단계에서 타겟디바이스(300)의 외측면을 촬영하여 미리 저장해 둔 이미지들을 의미하며, 상기 레퍼런스 이미지는 인증디바이스(100)의 저장부(150) 내 저장되거나 또는 인증디바이스(100)와 별개의 외부 서버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S30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유사도가 임계치보다 낮은 값을 가지는 경우, 즉 타겟디바이스(300)를 촬영한 이미지가 레퍼런스 이미지와 유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인증디바이스(100)는 현재 진행중인 인증과정을 종료시키게 되며, 이와 달리 유사도가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값을 가지는 경우 인증디바이스(100)는 후속 단계인 검증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유사도 판단 단계(S302) 이후, 판단 결과에 따라 검증단계가 수행되는데, 이 때 검증단계는 세 가지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은 인증디바이스(100)가 특정 정보가 포함된 검증요청을 전송하면 타겟디바이스(300)가 상기 특정 정보를 기초로 인증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인증디바이스(100)가 당해 인증디바이스(100)의 고유식별번호, 또는 사용자의 고유식별자가 포함된 검증요청을 타겟디바이스(300)에 전송하면, 타겟디바이스(300)는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인지 또는 사용자인지를 판단하여 사전 등록된 것인 경우에는 올바른 인증디바이스(100)로부터의 검증요청인 것으로 판단하여 잠금을 해제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잠금 해제를 하지 않은 채 올바르지 않은 디바이스로부터의 인증시도가 있었음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거나 그 외 타겟디바이스(300)의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두 번째 방식은 인증디바이스(100)가 검증요청을 전송하면 타겟디바이스(300)가 상기 검증요청에 응답하여 검증응답을 전송하고, 인증디바이스(100)가 위 검증응답 내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올바른 타겟디바이스(300)로부터의 응답인지를 판단한 후 다시 타겟디바이스(300)로 검증완료응답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타겟디바이스(300)가 인증디바이스(100)로 전송하는 검증응답에는 타겟디바이스(30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타겟디바이스(300)의 시리얼 번호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인증디바이스(100)는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시리얼 번호와 상기 검증응답 내 포함된 시리얼 번호가 동일한 것인지를 판단하여 검증완료응답을 할 수 있다. 한편, 타겟디바이스(300)는 상기 검증완료응답에 따라 잠금 해제여부를 결정한다.
세 번째 방식은 검증요청에 따라 타겟디바이스(300)가 생성한 임의의 출력화면 또는 코드를 인증디바이스(100)가 인식하고, 해당 출력화면 또는 코드에 대한 값을 생성하여 타겟디바이스(300)로 제공함으로써 검증과정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도 4는 이 세 번째 방식의 검증방식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따르면, 먼저 인증디바이스(100)가 타겟디바이스(300)로 검증요청을 전송(S3031)하고, 타겟디바이스(300)는 상기 검증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검증용 출력화면 또는 코드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S3032)한다. 즉,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임의로 생성된 화면 또는 코드를 출력하는 것이다. 출력화면에는, 예를 들어 빨간색(R), 초록색(G), 파란색(B)으로 된 임의의 도형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코드에는 바코드, QR코드, 또는 그 밖에 숫자 및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코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RGB로 이루어진 출력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a)는 화면을 복수개의 정사각형들로 분할하고, 각각의 정사각형을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으로 표시한 실시예이다.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에는 각각의 정사각형을 R, G, B와 같은 문자로 표시하였으나, 각 정사각형은 색깔로 표시가 된 것임을 이해한다. 도 5의 (b)는 (a)와 달리 시간에 따라 색깔을 변경시키면서 R, G, B를 표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타겟디바이스(300)는 0.1초의 간격으로 R-B-G-B 색깔의 정사각형을 노출시킴으로써 인증디바이스(100)가 인식할 수 있는 출력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겟디바이스(300)는 화면의 스크린 색을 랜덤하게 바꾸며 출력하고, 인증디바이스(100)로 하여금 상기 타겟디바이스(300)의 화면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인증디바이스(100)는 상기 타겟디바이스(300)의 출력화면을 촬영한 후 상기 출력화면에 대응되는 값을 생성한 뒤 상기 타겟디바이스(300) 측으로 전송(S3034)할 수 있다. 이 때 인증디바이스(100)가 생성하는 값은 타겟디바이스(300)가 출력한 화면에서의 RGB 값과 관련된 것으로, 예를 들어 도 5(a)의 출력화면에 대응해서는 상기 RGB값들의 평균값을, 도 5(b)의 출력화면에 대응해서는 RGB의 값이 시간 순서대로 나열된 값일 수 있다. S3034단계는 일단 인증디바이스(100)가 타겟디바이스(300)가 출력한 화면을 모두 인식한 이후 특정 값을 산출한 뒤 그 특정 값을 타겟디바이스(300) 측으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또는 인증디바이스(100)가 타겟디바이스(300)의 출력 화면을 인식하고 있는 와중에 실시간으로 특정 값을 연산하면서 그 값을 타겟디바이스(300)와 공유할 수 있게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S3034단계 이후, 타겟디바이스(300)는 위 인증디바이스(100)에 의해 연산된 특정 값을 수신한 후, 그 특정 값이 당해 타겟디바이스(300)가 출력한 화면 또는 코드와 매칭이 되는 것인지를 확인하여 인증완료 및 잠금해제를 하게 된다. (S304 및 S305) 이 때 위 특정 값이 매칭이 되는 것인지를 판별하는 과정은 예를 들어 타겟디바이스(300)가 상기 인증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RGB 평균값이 자신이 출력한 RGB 값들과 같은지를 대조하거나 또는 자신이 출력한 RGB값들 중 기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RGB값들이 존재하는지 여부 등을 판별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인증디바이스(100)와 타겟디바이스(300)를 이용한 인증방법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순서에 따라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인증디바이스(100)와 타겟디바이스(300) 간 사전등록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사전등록이란, 앞서 도 3에서와 같은 인증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증디바이스(100)가 타겟디바이스(300)의 기본정보 및 레퍼런스 이미지를 미리 저장해 두는 과정을 의미한다.
사전등록의 첫 단계는 먼저 인증디바이스(100)와 타겟디바이스(300)가 연결이 되는 과정으로부터 시작된다. (S401)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 글래스(인증디바이스(100))의 블루투스 스위치를 온 시키고, 또한 스마트폰(타겟디바이스(300))의 블루투스 스위치를 온 시킨 후 두 디바이스를 패어링 시켜 연결시킬 수 있다. 단, 두 디바이스의 연결은 비단 블루투스 연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네트워크 연결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S401단계에서는 단순히 두 디바이스들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상태로 연결이 되는 것 뿐만 아니라 상호 기본정보들을 공유할 수도 있다. 기본정보에는, 예를 들어 각 디바이스의 고유식별번호(serial number), 디바이스 명칭, 디바이스 제품명, 디바이스 사용자 이름, 디바이스 제조년월 등 각 디바이스의 하드웨어와 관련된 정보, 또는 각 디바이스에 설치된 운영체제(OS)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S401단계 이후, 인증디바이스(100)는 타겟디바이스(300)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촬영한다. (S402) 이 때 '촬영'이란 앞서도 언급하였지만 인증디바이스(100) 내 구비된 촬영부(110)가 타겟디바이스(300)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인식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스마트 글래스(인증디바이스(100))가 구비하고 있는 카메라를 활용해 스마트폰(타겟디바이스(300))의 외관을 동영상 또는 사진으로 촬영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타겟디바이스(300)의 외측면은 비단 해당 디바이스가 최초 생산되었을 때 구비하고 있는 하우징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 겉표면에 사용자가 임의로 구입한 케이스가 덧씌워진 상태의 외측면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S402단계 이후, 인증디바이스(100)는 앞선 단계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레퍼런스 이미지로서 저장(S403)한 후 연결해제(S404)된다. 레퍼런스 이미지는 향후 인증이 진행될 때에, 더 구체적으로는 인증디바이스(100)가 타겟디바이스(300)를 촬영에 의해 인식하였을 때에 해당 타겟디바이스(300)가 맞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비교 기준이 되는 이미지이다.
이상 도 6에 도시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인증디바이스(100)는 타겟디바이스(300)를 사전등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형태의 인증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인증방법을 시간 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인데, 이 인증방법은 앞선 도 3에서의 인증방법과 비교할 때 타겟디바이스(300)의 위치정보를 더 활용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인증디바이스(100)는 타겟디바이스(300)를 인증하는 과정에서 타겟디바이스(300)를 촬영한 이미지를 활용하는 것에 더하여 해당 타겟디바이스(300)의 위치정보를 더 요청한 후 자신과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후속 단계를 진행시킬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 과정을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인증디바이스(100)는 타겟디바이스(300)를 촬영하고, 촬영이미지를 생성하며, 이미지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이미지와 비교하여 유사도 판단을 한다. (S700 내지 S702) 참고로 S700 내지 S702 단계는 앞서 설명한 도 3의 S300 내지 S302단계와 대응된다.
S702단계에서 이미지 간 유사도가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인증디바이스(100)는 후속적으로 타겟디바이스(300)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고(S703) 타겟디바이스(300)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현재의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S704) 이 때 타겟디바이스(300)가 인증디바이스(100)로 제공하는 위치정보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GPS정보, AP식별정보와 같은 텍스트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고, 또는 타겟디바이스(300)가 현재 위치를 촬영한 이미지로서 주변 건물의 외관, 주변 설치물의 외관 등이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될 수도 있다.
S704단계 이후, 인증디바이스(100)는 수신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위 타겟디바이스(300)가 현재 자신이 존재하고 있는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인지를 판별한다. (S705) 즉, 인증디바이스(100)는 타겟디바이스(300)의 위치정보와 현재 인증디바이스(100) 자신의 위치정보를 비교하고, 그 차이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두 디바이스들이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후 후속적인 검증단계(S706 및 S707단계)를 거친 후 잠금해제(S708)를 수행하며, 그 차이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는 두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후 그대로 종료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증방법은 두 디바이스의 위치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으로써 잠금해제시 보안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이상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증방법 및 인증시스템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그 범위를 제한해놓은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들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순차적인 순서에 불과하며, 다른 추가적인 단계들이 제공되거나, 일부 단계가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과 이를 실행하는 구현물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현물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또는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에 관한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장치”라 함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모두 포함한다.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 등으로 알려진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 또는 선험적,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되는 것은 아니며,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를 들어,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예를 들어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와 DVD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현물은 예를 들어, 데이터 장치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장치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인증방법 및 인증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웹 기반의 스토리지 시스템과 관련된 장치 또는 장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 상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코드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수단을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장치,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 모바일 컴퓨팅 플랫폼, 고정 컴퓨팅 플랫폼 등과 같은 컴퓨팅 플랫폼 중 일부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명령어, 코드 등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한 종류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및 프로그램이 저장된 CD-ROM, DVD, 메모리, 하드 디스크, 플래시 드라이브, RAM, ROM, 캐시 등과 같은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접근(Access)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인증방법 및 인증시스템은 장치, 클라이언트, 게이트웨이, 허브, 라우터 또는 네트워크 하드웨어 상의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장치를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는 파일 장치, 프린트 장치, 도메인 장치, 인터넷 장치, 인트라넷 장치, 호스트 장치, 분산 장치 등과같이 다양한 종류의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장치들은 메모리, 프로세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스토리지 매체, 통신 디바이스, 포트, 클라이언트 그리고 다른 장치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등 역시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디바이스들은 장치와 연관된 계층구조의 일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장치는 클라이언트, 다른 장치, 프린터, 데이터베이스 장치, 프린트 장치, 파일 장치, 통신 장치, 분산 장치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그램의 원격 실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장치에 연결된 디바이스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장치의 중앙 프로세서는 상이한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명령어, 코드 등을 디바이스에 제공하여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인증방법 및 인증시스템은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는 컴퓨팅 디바이스, 장치, 라우터, 허브, 방화벽, 클라이언트, 개인용 컴퓨터, 통신 디바이스, 라우팅 디바이스 등과 같은 디바이스와 각각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별도의 모듈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디바이스와 모듈 외에 스토리 플래시 메모리, 버퍼, 스택, RAM, ROM 등과 같은 스토리지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등 역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가 포함하는 디바이스, 모듈, 스토리지 매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실행 및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디바이스 역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의 일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명령어를 프로세서로 제공하는데 기여하는 모든 매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광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매체, 동적 메모리 등과 같은 휘발성 매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축 케이블, 구리 와이어, 광섬유 등과 같은 전송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블록도와 순서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성들은 상기 구성들 사이의 논리적인 경계를 의미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된 구성들과 그 기능들은 독립형 소프트웨어 모듈, 모놀리식 소프트웨어 구조, 코드, 서비스 및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실행되며,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 등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그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모든 실시 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과 그에 대한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는 하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특정 배열이 분명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단순히 추론되어서는 안된다. 즉, 이상에서 기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실시 예들이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보유하면서 일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순서도의 경우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것으로서, 도시된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 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실시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인증디바이스 300 타겟디바이스
110 촬영부 120 이미지 비교부 130 검증부 140 제어부
150 저장부

Claims (15)

  1. 인증디바이스가 타겟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디바이스 인증방법에 있어서,
    인증디바이스로 타겟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촬영하는 단계에 의해 획득된 촬영 이미지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이미지와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촬영 이미지와 상기 레퍼런스 이미지의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이면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대해 검증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로부터의 검증응답을 인식하는 단계;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검증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인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인증디바이스로 타겟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촬영하기 전,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를 사전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인증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등록하는 단계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인증디바이스와 상기 타겟디바이스가 연결되는 단계;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의 촬영된 영역을 레퍼런스 이미지로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인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대해 검증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이전,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인증디바이스가, 당해 인증디바이스의 현재 위치와 상기 타겟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대해 검증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디바이스의 위치와 상기 타겟디바이스의 위치가 임계치 이내의 거리값인 경우 수행되는, 디바이스 인증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이미지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이미지와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이미지 내에서 복수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복수의 특징점을 상기 레퍼런스 이미지와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인증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디바이스의 검증응답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의 출력화면을 인식하는 단계이고,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검증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출력화면을 기초로 연산한 값을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인증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디바이스의 출력화면은 복수의 색깔들이 랜덤하게 조합된 것인,
    디바이스 인증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의 출력화면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인식한 출력화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영역 내 색깔들로부터 RGB값을 산출하는 단계이고,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출력화면을 기초로 연산한 값을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산출한 RGB값을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인, 디바이스 인증방법.
  9. 타겟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촬영하여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이미지와 비교하며, 비교 결과 상기 촬영 이미지와 상기 레퍼런스 이미지의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대한 검증단계를 수행하는 인증디바이스;
    상기 인증디바이스와 검증단계를 수행하고, 검증결과에 따라 잠금을 해제하는 타겟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인증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단계는, 상기 인증디바이스의 검증요청에 따라 상기 타겟디바이스가 출력한 출력화면을 매개로 수행되는, 인증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화면은 복수의 색깔들이 랜덤하게 조합된 것인, 인증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디바이스는, 상기 출력화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영역 내 색깔들로부터 RGB값을 산출한 후, 산출된 RGB값을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타겟디바이스는, 상기 인증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RGB값이 당해 타겟디바이스가 출력화면에 포함시킨 복수의 색깔들과 대응되면 상기 인증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허용하는, 인증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디바이스는, 상기 타겟디바이스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디바이스의 위치와 당해 인증디바이스의 위치가 임계치 이내의 거리값인 경우 검증단계를 수행하는, 인증 시스템.
  14. 타겟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촬영 이미지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이미지와 비교하는 이미지 비교부;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대해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부;
    를 포함하는, 인증디바이스.
  15. 인증디바이스가 타겟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인증디바이스가 타겟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방법은,
    인증디바이스로 타겟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촬영하는 단계에 의해 획득된 촬영 이미지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이미지와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촬영 이미지와 상기 레퍼런스 이미지의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이면, 인증디바이스가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대해 검증을 하는 단계;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타겟디바이스에 대한 연결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80039549A 2018-04-05 2018-04-05 촬영된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활용한 디바이스 인증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055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549A KR102055290B1 (ko) 2018-04-05 2018-04-05 촬영된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활용한 디바이스 인증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16/118,682 US10824712B2 (en) 2018-04-05 2018-08-31 Method of authenticating device using photographed image and system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549A KR102055290B1 (ko) 2018-04-05 2018-04-05 촬영된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활용한 디바이스 인증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648A true KR20190116648A (ko) 2019-10-15
KR102055290B1 KR102055290B1 (ko) 2019-12-13

Family

ID=68096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549A KR102055290B1 (ko) 2018-04-05 2018-04-05 촬영된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활용한 디바이스 인증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24712B2 (ko)
KR (1) KR1020552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787B1 (ko) * 2014-01-27 2015-07-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디바이스 간 외부 인식정보를 이용한 동기화 및 제어 방법
KR101793257B1 (ko) 2016-02-17 2017-11-02 이길수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6362A (ja) * 1997-09-17 1999-04-09 Fujitsu Ltd 印影照合装置
KR100548372B1 (ko) 2003-07-05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이미지를 이용한 잠금 제어방법
US7818571B2 (en) * 2007-02-09 2010-10-19 Microsoft Corporation Securing wireless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US8229210B2 (en) * 2008-04-02 2012-07-24 Bindu Rama Rao Mobile device with color detection capabilities
KR101205738B1 (ko) 2011-01-19 2012-11-28 전자부품연구원 이미지를 생성과 촬영을 통한 인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JP2012238141A (ja) * 2011-05-11 2012-12-06 Sony Corp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33195B2 (en) * 2012-05-30 2017-04-25 Label Tech International Trims Limited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s
TW201531960A (zh) * 2013-11-14 2015-08-16 Sicpa Holding Sa 用於驗證產品的圖像分析
KR20160098901A (ko) 2015-02-11 2016-08-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인증 서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US9697348B1 (en) * 2016-10-24 2017-07-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cation specific image based authenti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787B1 (ko) * 2014-01-27 2015-07-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디바이스 간 외부 인식정보를 이용한 동기화 및 제어 방법
KR101793257B1 (ko) 2016-02-17 2017-11-02 이길수 디지털기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11111A1 (en) 2019-10-10
KR102055290B1 (ko) 2019-12-13
US10824712B2 (en)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575B1 (ko) 모바일 상거래에서의 사용자 아이덴티티 증명
US115395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authentication in a blockchain network
US936326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the accuracy performance of authentication systems
CN102930199A (zh) 多承租人订阅环境中的安全机器登记
CN109496443B (zh) 移动认证方法和用于其的系统
US11956229B2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using customizable physical security token
CN114128212A (zh) 用于认证到设备的安全凭证传输的方法和系统
WO2014181895A1 (ko) 이중보안 및 기록을 위한 장치와 방법
US10547610B1 (en) Age adapted biometric authentication
US10958661B2 (en) Multi-layer authentication system with selective level access control
US106790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CN108345778B (zh) 认证系统和方法
CN113177797A (zh) 用户身份信息认证方法、系统、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055290B1 (ko) 촬영된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활용한 디바이스 인증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172200B1 (ko) 라이브니스를 검증하는 모바일 장치 및 방법
WO2018179723A1 (ja) 顔認証処理装置、顔認証処理方法及び顔認証処理システム
WO2018066426A1 (ja) 偽ウェブページ判別装置、偽ウェブページ判別システム、偽ウェブページ判別方法及び偽ウェブページ判別プログラム
TWI771819B (zh) 認證系統、認證裝置、認證方法、及程式產品
JP6441544B2 (ja) 情報機器操作システム、情報機器操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69567B1 (ko) 생체 인증을 이용한 통합배선시스템
JP7100334B2 (ja) 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344593B (zh) 生物信息验证方法以及验证服务器、录入和验证客户端
BR102020003183A2 (pt) Método para autenticação de um usuário em um tacógrafo digital de um veículo por meio de um dispositivo móvel, tacógrafo digital, dispositivo móvel e dispositivo de banco de dados
KR20200130066A (ko) 안면인식장치 및 안면인식 방법
KR101988365B1 (ko) 얼굴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