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806A - 미세각 조절이 가능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측정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세각 조절이 가능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측정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806A
KR20190115806A KR1020180038962A KR20180038962A KR20190115806A KR 20190115806 A KR20190115806 A KR 20190115806A KR 1020180038962 A KR1020180038962 A KR 1020180038962A KR 20180038962 A KR20180038962 A KR 20180038962A KR 20190115806 A KR20190115806 A KR 20190115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unit
support
coupl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1437B1 (ko
Inventor
임종환
최경현
이우석
양형찬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8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43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41Analysing solids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e.g. using Lamb, Rayleigh or shear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G01N29/2437Piezoelectric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3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turbine bla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4Wave modes and trajectories
    • G01N2291/042Wave modes
    • G01N2291/0423Surface waves, e.g. Rayleigh waves, Love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레이드에 밀착되어 표면파를 송수신하는 표면파센서부를 통해 블레이드의 상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표면파센서부는 블레이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블레이드의 상태 진단이 정확하고 용이하며 경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태측정장치를 블레이드에 압착시키는 진공패드와 표면파센서부가 블레이드의 다양한 굴곡에도 수평인 상태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레이드를 따른 안정적인 이동과 정확한 상태 측정이 가능한 미세각 조절이 가능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각 조절이 가능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측정시스템{A Diagnostic Apparatus for Wind Power Generator Capable of Controlling Minute Angle and Diagnostic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레이드에 밀착되어 표면파를 송수신하는 표면파센서부를 통해 블레이드의 상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표면파센서부는 블레이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블레이드의 상태 진단이 정확하고 용이하며 경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태측정장치를 블레이드에 압착시키는 진공패드와 표면파센서부가 블레이드의 다양한 굴곡에도 수평인 상태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레이드를 따른 안정적인 이동과 정확한 상태 측정이 가능한 미세각 조절이 가능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풍력발전기는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해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로, 크게 육상이나 해상에 설치된 타워(tower)와, 타워의 상부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발전기를 내장한 나셀(nacelle)과, 발전기의 구동을 위해 나셀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복수의 블레이드(blade)를 갖춘 로터(rotor) 등을 포함하는데, 이중 블레이드는 고장빈도가 가장 높고 발전효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풍력발전기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블레이드의 오염 및 파손으로 인한 발전효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청소, 보수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며, 위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블레이드의 정확한 상태 진단이 필요하다. 하지만, 풍력발전기는 거대 구조물이기 때문에 블레이드의 상태 진단에 어려움이 많아, 최근에는 하기 특허문헌처럼 자동으로 블레이드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 제10-2014-0038149호(2014. 03. 28. 공개) "전도성 나노물질이 포함된 섬유강화복합체의 구조 건전성 감시장치, 그의 감시 방법 및 제조방법, 그리고 전도성 나노물질이 포함된 풍력 발전용 블레이드의 구조 건전성 감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하지만, 종래의 블레이드 진단 시스템은 블레이드 내부에 센서를 위치시키고 블레이드의 물리적 변화를 센싱하여 블레이드 상태를 진단하므로, 블레이드에 일정 이상의 변형이 생긴 후에만 진단이 가능하여 불량발생 초기에 상태진단이 어렵고, 블레이드의 물리적 변형과 무관하게 블레이드 표면에 생긴 부식, 이물부착 등을 진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상태 진단이 정확하고 용이하며 경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블레이드를 따른 안정적인 이동과 정확한 상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측정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다양한 굴곡에도 진공패드가 블레이드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측정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 전체에 대한 상태 측정이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측정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 전체에 대한 상태측정장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측정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는 상태측정장치의 각 구성을 지지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형성되며, 풍력발전기 블레이드에 결합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블레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결합지지부와; 상기 결합지지부에 형성되어 블레이드를 따라 이동하며 표면파를 송수신하는 표면파센서부와; 상태측정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블레이드를 향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블레이드에 밀착·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회전부의 일단에서 양측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별개로 회전하는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포함하여, 블레이드의 굴곡에 맞는 미세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블레이드를 향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회전하는 회전바와; 상기 본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상기 회전바의 끝단에 연결되어 회전바를 밀거나 당기도록 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회전바의 일 지점과 본체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지지바;를 포함하여, 회전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결합부를 블레이드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진공패드에 의해 블레이드에 압착되는 제1압착부와, 상기 제1압착부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제1미세각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미세각조절부는 상기 회전바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회전바에 연결되는 측의 타단에 제1압착부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의 타단 및 회전바의 일 지점에 양단이 연결되어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압착부와 반대측에서 블레이드에 압착되는 제2압착부와, 상기 제2압착부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제2미세각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미세각조절부는 상기 회전바의 일단에 결합되며, 회전바에 결합되는 측의 타단에 제2압착부가 형성되는 지지바와; 상기 회전바 및 제2압착부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제2압착부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압착부는 진공상태로 블레이드에 압착되는 진공패드와, 상기 진공패드에 결합되어 상기 제2회전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회전축에 의해 상기 지지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상기 제2회전실린더는 상기 회전축이 연결되는 지점을 벗어나 상측 또는 하측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압착부 및 제2압착부는 블레이드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거리센서모듈은 진공패드의 바닥에서 가장 먼 양단에 형성되는 제1,2거리센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2거리센서모듈에 의해 측정되는 거리의 차이가 가장 적은 상태로 제1압착부 및 제2압착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부 및 결합부를 제어하는 회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부는 상기 회전부의 구동실린더 작동을 제어하는 회전부작동모듈과, 상기 제1압착부 및 제2압착부와 블레이드가 근접하는 거리를 감지하여 설정된 거리까지 회전부를 작동시키는 근접거리감지모듈과, 설정된 거리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1,2미세각조절부의 제1,2회전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결합부회전모듈과, 제1,2거리센서모듈에 의해 측정되는 거리를 비교하여 거리차가 가장 적은 상태에서 제1,2결합부의 회전을 정지하는 근접거리비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면파센서부는 표면파를 발생시키는 표면파발생부와, 표면파발생부에서 발생된 표면파를 수신하는 표면파수신부를 포함하고, 일측의 결합지지부에서는 제1압착부에 표면파발생부가 형성되고 제2압착부에 표면파수신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타측의 결합지지부에서는 제1압착부에 표면파수신부가 형성되고 제2압착부에 표면파발생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표면파발생부 및 표면파수신부가 블레이드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태측정장치는 상기 결합지지부를 이동시켜 표면파센서부가 블레이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센서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고정 결합하는 고정결합지지부와; 상기 본체부를 따라 이동하며, 표면파센서부가 형성되는 이동결합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고정결합지지부와 이동결합지지부 중 어느 하나가 블레이드에 결합된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를 이동시키도록 하여 블레이드 전체에 대한 표면파센서부의 안정적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이동부는 결합지지부가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이동결합지지부와 연결되어 구동수단의 작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가 본체부에 지지되어 이동하도록 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봉;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회전봉에 결합되어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상단이동부재와; 상단이동부재 및 이동결합지지부에 결합되어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이동결합지지부가 이동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서 상기 이동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근접감지수단은 상기 고정결합지지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의 일단에서 이동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제1근접센싱모듈과, 본체부의 타단에서 이동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제2근접센싱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이동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이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제어부는 상기 제1근접센싱모듈에 의해 이동체의 근접이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1근접감지모듈과; 제2근접감지모듈에 의해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동체를 제2근접센싱모듈을 향해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키며, 일정 간격마다 이동결합지지부의 결합부를 블레이드에 압착시켜 표면파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센서이동모듈과; 상기 이동체가 제2근접센싱모듈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2근접감지모듈과; 제2근접감지모듈에 의해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동결합지지부가 블레이드에 압착된 상태에서 고정결합지지부의 압착을 해제하고, 회전봉을 회전시켜 이동체가 제1근접센싱모듈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본체부 및 고정결합지지부를 이동시키는 결합이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태측정장치는 상기 본체부가 블레이드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지지부는 본체부의 양단에서 블레이드를 향해 형성되며, 본체부와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에 따라 입출되는 간격조절실린더와; 간격조절실린더의 끝단에 형성되어 블레이드에 접촉되는 지지롤러와; 지지롤러와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거리에 따라 지지롤러가 블레이드에 접촉되도록 간격조절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간격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에 밀착되어 표면파를 송수신하는 표면파센서부를 통해 블레이드의 상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표면파센서부는 블레이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블레이드의 상태 진단이 정확하고 용이하며 경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블레이드의 다양한 굴곡에도 블레이드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상태측정장치의 안정적인 이동과 정확한 상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진공패드의 바닥면이 블레이드 표면과 최대한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블레이드에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체부의 양측에 결합지지부가 대향되어 형성되도록 하고, 결합지지부에는 제1,2결합부가 형성되며, 제1,2결합부에 각각 표면파발생부 및 표면파수신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본체부 양측의 결합지지부에는 표면파발생부 및 표면파수신부가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블레이드 전체에 대한 상태 측정이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체부에 결합되어 블레이드에 고정되는 고정결합지지부와, 본체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결합지지부를 포함하도록 하고, 이동결합지지부에는 표면파센서부가 형성되어 블레이드를 따라 이동하며 표면파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결합지지부가 본체부의 끝단가지 이동하면 이동결합지지부를 블레이드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고정결합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블레이드 전체에 대한 상태측정장치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정결합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이동결합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결합지지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제2결합부에서 제2압착부와 표면파센서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표면파센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표면파발생부 및 표면파수신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면파발생부 및 표면파수신부에 의하여 블레이드의 결함을 진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9는 센서이동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센서이동부에 의한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1은 도 1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도 10에서 결합지지부 및 표면파센서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참고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를 이용한 상태측정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도 13의 이동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5는 도 13의 결함분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6은 도 13의 화면표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7은 도 13의 결함표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각 조절이 가능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측정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각 조절이 가능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를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는 상태측정장치의 각 구성을 지지하는 본체부(6)와; 상기 본체부(6)의 양측에 형성되며, 풍력발전기 블레이드(100)에 결합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블레이드(100)를 따라 이동하는 결합지지부(1)와; 상기 결합지지부(1)에 형성되어 블레이드(100)를 따라 이동하며 표면파를 송수신하는 표면파센서부(2)와; 상기 결합지지부(1)를 이동시키는 센서이동부(3)와; 본체부(6)가 블레이드(1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지지부(4)와; 상태측정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5)와; 별도의 모니터링장치와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무선통신부(7);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는 블레이드(100)를 따라 이동하며 표면파의 송수신에 의해 블레이드(100)의 상태를 진단하고 측정하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블레이드(100)의 다양한 굴곡에도 상태측정장치가 블레이드(10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정확한 표면파의 송수신을 통해 블레이드(100) 상태 측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지지부(1)는 블레이드(100)에 압착·지지되며, 블레이드(100)를 따라 이동하는 구성으로, 본체부(6)의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어 블레이드(100)의 양측에서 압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합지지부(1)는 블레이드(100)를 따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고정결합지지부(1')와 이동결합지지부(1'')를 형성하도록 하며, 고정결합지지부(1')는 본체부(6)에 결합·고정되어 본체부(6)와 일체로 이동하고, 이동결합지지부(1'')는 본체부(6)에 지지되어 본체부(6)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이동결합지지부(1'')에는 표면파센서부(2)가 형성되어 블레이드(100)를 따라 이동하며 표면파를 송수신하도록 하고, 이동결합지지부(1'')가 본체부(6)의 끝단까지 이동하면, 이동결합지지부(1'')가 본체부(6)에 압착·결합된 상태에서 고정결합지지부(1')가 본체부(6)와 함께 이동하여 블레이드(100)의 다음 구역에 대한 상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고정결합지지부(1') 및 이동결합지지부(1'')의 이동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센서이동부(3)에 관한 설명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결합지지부(1') 및 이동결합지지부(1'')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결합지지부(1'')에 표면파센서부(2)가 형성되는 것만을 제외하면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결합지지부(1)로 통칭하여 함께 설명하도록 하며, 필요한 경우에만 고정결합지지부(1')에 관한 구성의 도면부호에 ['] 표시를 하고, 이동결합지지부(1'')에 관한 구성의 도면부호에 [''] 표시를 하여 구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합지지부(1)는 블레이드(100)를 향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11)와, 회전부(11)의 일단에 형성되어 블레이드(100)에 밀착·결합하는 결합부(12)를 포함하여, 상태측정장치가 블레이드에 결합하여 지지되거나 결합이 해제되어 블레이드(1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부(11)는 블레이드(100)를 향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회전하여 그 끝단에 형성되는 결합부(12)가 블레이드(100)에 압착·결합하거나 압착이 해제되어 블레이드(1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블레이드(100)를 향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회전하는 회전바(111)와; 상기 본체부(6)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상기 회전바(111)의 끝단에 연결되어 회전바(111)를 밀거나 당기도록 하는 구동실린더(112)와; 상기 회전바(111)의 일 지점과 본체부(6)에 양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지지바(11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바(111)는 일단이 구동실린더(112)에 연결되고 타단이 결합부(12)에 연결되어 구동실린더(112)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구성으로, 회전지지바(113)가 연결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바(11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린더(112)의 실린더암(112a)이 당겨지는 경우에는 결합부(12)가 블레이드(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블레이드(100)를 따른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반대로 실린더암(112a)이 밀어져 돌출되는 경우에는 결합부(12)가 블레이드(1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압착·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실린더(112)는 일단이 본체부(6)에 연결되고 타단이 회전바(111)의 일단에 연결되어 실린더암(112a)의 입출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바(11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실린더(112)의 작동은 후술할 회전제어부(53)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결합부(12)와 블레이드(100)의 거리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지지바(113)는 양단이 상기 회전바(111)의 일 지점 및 본체부(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회전바(111)의 회전중심이 되는 구성으로, 구동실린더(112)의 작동에 따라 결합부(12)가 블레이드(100)에 압착되거나 압착이 해제되어 멀어지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12)는 상기 회전부(11)의 일단에 형성되어 블레이드(100)에 밀착·결합하는 구성으로, 특히 양측으로 제1결합부(121)와 제2결합부(122)가 별개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굴곡을 가진 블레이드(100)에 압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양측으로 형성된 제1결합부(121) 및 제2결합부(122)는 블레이드(100)의 굴곡에 따라 블레이드(100)의 표면과 최대한 수평을 이룰 수 있는 각도로 회전하며, 이를 통해 블레이드(100)에 안정적으로 압착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결합부(12)와 함께 회전하는 표면파센서부(2)도 블레이드(100)에 수평으로 압착되도록 하여 표면파의 송수신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결합부(121)와 제2결합부(122)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블레이드(100)의 동일 표면에 압착됨에 따라, 제1결합부(121) 및 제2결합부(122)에 각각 형성된 표면파발생부(21) 및 표면파수신부(22)가 표면파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레이드(100) 표면에 대한 상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표면파센서부(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00) 양측의 표면파발생부(21) 및 표면파수신부(22)가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블레이드(100) 표면(ⓐ)에 대한 상태 측정과 모서리(접합부,ⓑ) 부분에 대한 상태 측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이고 신속한 블레이드(100) 상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1결합부(121)는 상기 회전부(11)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면서, 본체부(6)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블레이드(100)에 압착되는 제1압착부(121a)와, 상기 제1압착부(121a)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1미세각조절부(121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압착부(121a)는 상기 회전바(111)의 끝단을 중심으로 본체부(6) 측에서 블레이드(100)에 압착되는 구성으로, 블레이드(100)에 압착되는 진공패드(121a-1), 진공패드(121a-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1a-2), 블레이드(100)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모듈(121a-3)을 포함한다.
상기 진공패드(121a-1)는 내부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 상태가 되면 블레이드(100)와의 압착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별도의 진공펌프 등과 연결되어 공기의 주입과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진공패드(121a-1)는 제1결합부(121)가 블레이드(100)에 압착되어 지지되는 경우에는 내부 공기를 제거하도록 하고, 제1결합부(121)가 블레이드(100)에 대한 압착이 해제되어 블레이드(100)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는 공기를 주입하여 압착이 해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진공패드(121a-1)는 지지부재(121a-2)에 지지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하며, 블레이드(100) 표면의 굴곡에 따라 회전되어 블레이드(100) 표면과 수평에 가까운 상태에서 블레이드(100)에 압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재(121a-2)는 진공패드(121a-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미세각조절부(121b)의 후술할 회전부재(121b-1)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거리센서모듈(121a-3)은 진공패드(121a-1)의 바닥측에 형성되어 블레이드(100)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모듈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 5는 제2결합부(122)에 관한 도면이나 제1결합부(121)의 제1,2거리센서모듈(121a-31,121a-32)도 동일함) 진공패드(121a-1) 바닥측의 가장 먼 양단에 제1,2거리센서모듈(121a-31,121a-32)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리센서모듈(121a-3)은 블레이드(100)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진공패드(121a-1)와 블레이드(100)의 근접여부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2거리센서모듈(121a-31,121a-32)에 의해 측정되는 블레이드(100)와의 거리를 비교하여 수평에 근접한 상태로 진공패드(121a-1)를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미세각조절부(121b)는 별도로 회전하는 제1결합부(121),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진공패드(121a-1)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회전부(11)의 회전과는 별도로 제1압착부(121a)의 진공패드(121a-1)를 미세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블레이드(100)에 대한 진공패드(121a-1)의 압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진공패드(121a-1)와 함께 회전하는 표면파센서부(2)도 수평인 상태로 블레이드(100)에 압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미세각조절부(121b)는 상기 회전바(111)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회전바(111)에 연결되는 측의 타단에 제1압착부(121a)가 형성되는 회전부재(121b-1)와; 회전부재(121b-1)의 타단 및 회전바(111)의 일 지점에 양단이 연결되어 회전부재(121b-1)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실린더(121b-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121b-1)는 회전바(111)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그 타단에는 제1압착부(121a)의 지지부재(121a-2)가 결합되어 회전바(111)에 연결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부재(121b-1)는 제1회전실린더(121b-2)의 작동에 따라 지지부재(121a-2)와 함께 회전하며, 이를 통해 진공패드(121a-1)도 함께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실린더(121b-2)는 상기 지지부재(121a-2) 및 회전바(111)에 양단이 연결되어 실린더암(121b-21)의 입출에 따라 회전부재(121b-1)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회전부재(121b-1)의 회전과 함께 진공패드(121a-1)도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회전실린더(121b-2)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암(121b-21)이 돌출되어 지지부재(121a-2)를 미는 경우 이에 결합된 회전부재(121b-1) 및 진공패드(121a-1)가 모두 ⓒ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실린더암(121b-21)을 당기는 경우에는 진공패드(121a-1)가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결합부(122)는 상기 회전부(11)의 끝단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면서, 제1결합부(121)와는 반대로 본체부(6)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122)는 제1결합부(121)와 유사하게 제2압착부(122a)와 제2미세각조절부(122b)를 포함하여 블레이드(100)의 굴곡에 따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나, 제2압착부(122a)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제2미세각조절부(122b)는 제1미세각조절부(121b)와 상이한 구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압착부(122a)는 상기 회전바(111)의 끝단을 중심으로 본체부(6)와 먼측에서 블레이드(100)에 압착되는 구성으로, 블레이드(100)에 압착되는 진공패드(122a-1), 진공패드(122a-1)를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122a-2), 블레이드(100)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모듈(122a-3)을 포함한다. 진공패드(122a-1) 및 거리센서모듈(122a-3)은 제1압착부(121a)의 진공패드(121a-1) 및 거리센서모듈(121a-3)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지지부재(122a-2)는 제1압착부(121a)의 지지부재(121a-2)와 같이 진공패드(122a-1)를 지지하는 구성이나, 제2미세각조절부(122b)의 후술할 지지바(122b-1)에 결합되어 지지바(122b-1)와 함께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22b-1)에 회전축(122a-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지지부재(122a-2)는 회전축(122a-21)이 연결되는 지점의 상측 또는 하측, 바람직하게는 상측으로 제2미세각조절부(122b)의 후술할 제2회전실린더(122b-2)가 연결되도록 하여 제2회전실린더(122b-2)의 작동에 따라 회전축(122a-2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진공패드(122a-1)도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미세각조절부(122b)는 상기 제2압착부(122a)의 진공패드(122a-1)의 미세한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바(111)의 일단에 결합되며, 회전바(111)에 결합되는 측의 타단에 제2압착부(122a)가 형성되는 지지바(122b-1)와; 상기 회전바(111) 및 제2압착부(122a)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제2압착부(122a)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실린더(122b-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122b-1)는 회전바(111)의 일단에 결합되어 제2회전실린더(122b-2) 및 제2압착부(122a)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본체부(6)에서 먼 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지지부재(122a-2)의 회전축(122a-21)을 지지하여 회전지지부재(122a-2)가 회전축(122a-2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회전실린더(122b-2)는 그 일단에 회전바(111)에 결합하고, 그 타단은 회전지지부재(122a-2)에 연결되어 그 작동에 따라 회전지지부재(122a-2)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회전지지부재(122a-2)의 회전에 따라 진공패드(122a-1)도 함께 회전하여 블레이드(100)의 다양한 굴곡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회전실린더(122b-2)는 그 타단이 상기 회전지지부재(122a-2)의 회전축(122a-21)이 연결되는 지점의 상측 또는 하측, 바람직하게는 상측에 연결되어 실린더암(122b-21)의 입출에 따라 회전지지부재(122a-2)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2회전실린더(122b-2)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암(122b-21)을 당기는 경우 회전지지부재(122a-2) 및 진공패드(122a-1)가 ⓓ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실린더암(122b-21)을 밀어 돌출시키는 경우에는 회전지지부재(122a-2) 및 진공패드(122a-1)가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표면파센서부(2)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결합지지부(1'')의 진공패드(121a-1'',122a-1'') 일측에 형성되어 진공패드(121a-1'',122a-1'')와 함께 회전하며 블레이드(100)에 압착되는 구성으로, 표면파의 송수신을 통해 블레이드(100)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면파센서부(2)는 상기 회전부재(121b-1'')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22a-2'')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할 수 있고, 특히 제2결합부(122'')의 경우에는 지지부재(122a-2'')의 회전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122a-2'')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파센서부(2)는 표면파를 발생시키는 표면파발생부(21)와 표면파발생부(21)에서 발생된 표면파를 수신하는 표면파수신부(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표면파수신부(22)에서 수신된 표면파를 분석하여 블레이드(100) 상태가 정상인 경우와 비교하도록 함으로써, 블레이드(100)의 결함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면파수신부(22)에서 수신된 신호는 상태측정장치 내에서 분석되어 결함을 감지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제작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별도의 모니터링 장치로 송수신하여 결함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면파센서부(2)는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결합지지부(1)에서는 제1압착부(121a)에 표면파발생부(21), 제2압착부(122a)에 표면파수신부(22)가 형성되도록 하고, 그에 대향되는 타측의 결합지지부(1)에서는 제1압착부(121a)에 표면파수신부(22), 제2압착부(122a)에 표면파발생부(21)가 형성되도록 하여, 표면파발생부(21) 및 표면파수신부(22)가 블레이드(100)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 표면파발생부(21)에서 표면파를 발생시키면 동일한 블레이드 표면에 형성된 표면파수신부(22) 및 반대측 블레이드 표면에 형성된 표면파수신부(22)에 동시에 수신되어 블레이드 표면(ⓐ) 및 접합부(ⓑ)에 의한 상태의 측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블레이드에 대한 상태측정이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표면파발생부(21) 및 표면파수신부(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저주파 및 고주파를 발생시키고 수신할 수 있는 저주파발생부(21a) 및 고주파발생부(21b), 저주파수신부(22a) 및 고주파수신부(22b)를 포함하도록 하여, 전기의 사용을 최소화한 효율적인 결함의 검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결함 여부에 따라 발광되는 발광부(23)를 포함하여 결함을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표면파발생부(21)는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블레이드 표면을 따라 이송하는 표면파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소자로 이루어진 압전기판(211)과, 압전기판(211) 상에 형성된 전극(2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극(212)에 전압을 공급하면 압전기판(211)에 의해 응력, 발진 과정이 반복되면서 표면 탄성파가 생성된다. 상기 표면파발생부(21)는 펄스 전압의 전기신호를 공급받아 압전기판(211)에 의해 일정 주파수의 표면파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함수발생기, 전력증폭기 등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표면파발생부(21)는 20 내지 50KHz의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부(21a)와, 70 내지 100KHz의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생부(2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저주파의 표면파는 고주파의 표면파에 비해 이송거리가 긴 장점이 있으나 블레이드의 불량을 정밀하게 진단할 수 없고, 고주파의 표면파는 저주파의 표면파에 비해 블레이드 불량을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으나 이송거리가 짧은 단점이 있어, 저주파 표면파를 이용하여 먼저 개략적인 진단을 실행하고, 이상이 의심되는 부분에서 고주파를 발생시켜 블레이드 표면의 정밀 진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태측정장치는 상기 이동결합지지부(1'')를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킬 때 긴 간격으로 먼저 저주파를 발생시킨 다음 이상이 있는 부분에서만 짧은 간격으로 고주파를 발생시켜 정밀하게 결함을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표면파발생부(21)가 특정 주파수의 고주파 및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생부(21b) 및 저주파발생부(21a)를 포함하도록 하고, 표면파수신부(22)는 특정 주파수의 표면파를 수신하는 고주파수신부(22b) 및 저주파수신부(22a)를 포함하도록 하여, 고주파발생부(21b)에서 발생된 고주파를 고주파수신부(22b)에서 수신하고 저주파발생부(21a)에서 발생된 저주파를 고주파수신부(22b)에서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면파의 간섭이나 중첩 등의 문제없이 효율적이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블레이드 결함의 검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는 달리 저주파발생부(21a)를 통해서만 표면파가 발생되도록 하여 블레이드의 결함을 검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표면파수신부(22)는 상기 표면파발생부(21)에서 생성되어 블레이드 표면을 따라 이송된 표면파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한다. 블레이드(100)에 크랙, 부식 및 이물 등이 생겨 블레이드의 상태 불량이 발생한 경우, 블레이드(100) 표면을 따라 이송되는 표면파는 반사, 회절, 감쇠가 이루어져 상기 표면파수신부(22)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는 블레이드가 정상적인 경우와 달리 변화하게 되므로, 상기 표면파수신부(22)에서 생성된 상기 전기 신호를 분석하여 블레이드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상기 표면파수신부(2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탄산 지르콘산납(PZT) 등의 압전소자로 이루어진 압전기판(221)과, 상기 압전기판(221) 상에 형성된 전극(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파발생부(21)에서 생성되어 블레이드 표면을 따라 이송된 표면파가 상기 표면파수신부(22)에 도달하면 상기 압전기판(221)에 응력이 가해져 전기 신호가 발생하여 전극(222)을 통해 상기 제어부(5)로 전달되고, 전달된 신호에 관한 정보는 별도의 모니터링 장치로 무선 전송되어 결함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표면파수신부(22)는 상기 저주파발생부(21a)에서 발생되는 저주파의 표면파를 수신하는 저주파수신부(22a)와, 상기 고주파발생부(21b)에서 발생되는 고주파의 표면파를 수신하는 고주파수신부(2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저주파수신부(22a) 및 고주파수신부(22b)는 각각 저주파발생부(21a)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및 고주파발생부(21b)에서 발생되는 고주파와 동일한 고유 진동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저주파수신부(22a) 및 고주파수신부(22b)의 압전기판(221)은 각각 수신하는 저주파 및 고주파와 동일한 고유 진동수를 갖도록 형성되어, 공명 현상을 통해 각 표면파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증폭시키도록 함으로써, 정상상태와 이상상태에서의 신호 비교가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밀한 블레이드 결함의 검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표면파센서부(2)는 상기 표면파발생부(21)가 저주파발생부(21a)만을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저주파발생부(21a)에 의해 발생된 저주파의 표면파를 저주파수신부(22a) 및 고주파수신부(22b)에서 수신하여 블레이드(100) 결함을 검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주파수신부(22a) 및 고주파수신부(22b)에서 각각 저주파발생부(21a) 및 고주파발생부(21b)에서 발생된 표면파를 수신하도록 하고, 저주파수신부(22a) 및 고주파수신부(22b)는 발생되는 저주파 및 고주파와 각각 동일한 고유 진동수를 갖도록 할 때, 효율적이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블레이드(100)의 결함 검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나, 저주파발생부(21a)에서 발생된 저주파를 저주파수신부(22a) 및 고주파수신부(22b)에서 수신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때에도,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100) 결함의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밀한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주파발생부(21a) 및 고주파발생부(21b)를 모두 작동시켜 블레이드(100) 결함을 검출하도록 하며, 신속한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저주파발생부(21a)에서 발생된 저주파만을 이용하여 블레이드(100) 결함을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고주파수신부(22b)에서 수신되는 저주파의 표면파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8(a)는 블레이드 크랙의 길이(2, 4, 6, 8cm)에 따라 얻은 전기신호를 나타내며, 도 8(b) 블레이드 크랙의 폭(medium(5mm), high(40mm))에 따라 얻는 전기신호를 나타내는데, 크랙의 길이 및 폭에 따라 전기신호의 진폭과 위상이 변화되는 패턴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저주파발생부(21a)에 의해 발생되는 저주파의 표면파를 고주파수신부(22b)에서 수신하는 경우에는 생성되는 전기 신호의 위상 및 진폭 변화를 확인하여 블레이드 결함의 검출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먼저 저주파수신부(22a)에서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분석하여 이상 여부를 감지하도록 하고, 이상이 감지되는 지점에서는 고주파수신부(22b)에서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정밀 분석하여 블레이드(100) 결함의 종류 및 정도를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23)는 블레이드(100)의 결함 종류, 정도에 따라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LED 모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파센서부(2), 특히 표면파수신부(22)의 일 지점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23)는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모니터링장치에 의한 결함의 분석 결과에 따라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결함의 종류, 정도에 따라 발광 색상 및 조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결함에 대한 신속하고 용이한 파악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센서이동부(3)는 상태측정장치의 블레이드(100)를 따른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지지부(1)가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31)과; 상기 이동결합지지부(1'')와 연결되어 구동수단(31)의 작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32)와; 상기 이동체(32)가 본체부(6)에 지지되어 이동하도록 하는 지지수단(33); 본체부(6)의 양단에서 이동체(32)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감지수단(34);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수단(31)은 결합지지부(1)가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이동체(32)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여, 이동체(32)와 연결된 이동결합지지부(1'')가 블레이드(1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동수단(31)에 의해 이동체(32)가 이동할 때, 이동체(32)와 연결된 이동결합지지부(1'')가 블레이드(100)에 압착되어 고정된 경우에는 회전봉(313)을 포함한 본체부(6) 및 본체부(6)와 결합된 고정결합지지부(1')가 이동하게 된다. 이에 관한 설명은 이동제어부(51)에 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수단(31)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11), 구동모터(311)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체(312), 구동모터(311)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봉(3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11)는 일반적인 모터가 적용될 수 있으며, 회전력을 발생시켜 회전봉(31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회전봉(313)의 회전에 따라 이동체(32)가 본체부(6)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311)에는 기어체(312)가 연결되어 구동모터(311)의 회전력을 회전봉(313)에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봉(313)은 구동모터(311)에 직접 연결되거나 기어체(312)를 통해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구동모터(311)의 작동에 따라 회전한다. 상기 회전봉(31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6)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고정결합지지부(1') 및 이동결합지지부(1'')가 블레이드(1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100)의 길이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봉(313)에는 상기 이동체(32)의 후술할 상단이동부재(321)가 삽입되어 지지되며, 회전봉(313)의 회전에 의해 상단이동부재(321)가 회전봉(313)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체(32)는 상기 회전봉(313)과 연결되어 구동모터(311)의 작동에 따라 이동하는 구성으로, 회전봉(313)에 연결되어 회전봉(313)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상단이동부재(321)와, 상단이동부재(321) 및 이동결합지지부(1'')와 연결되어 상단이동부재(321)의 이동에 따라 이동결합지지부(1'')가 함께 이동하도록 하는 연결부재(32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체(32)는 구동모터(311)의 작동과 함께 이동결합지지부(1'')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결합지지부(1'')가 블레이드(100)에 압착·결합된 경우에는 본체부(6)가 고정결합지지부(1')와 함께 회전봉(31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수단(33)은 상기 이동체(32)가 본체부(6)에 지지되어 본체부(6)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6)의 상단 및 하단에 상, 하측지지수단(331,332)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상측지지수단(331)은 상기 상단이동부재(321)에 결합되며 회전봉(313)에 삽입되는 가이드부재(331a)와, 가이드부재(331a)가 지지되어 이동하도록 하며 본체부(6)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이동가이드레일(331b)을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봉(313)에 삽입되어 회전봉(313)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부재(331a)는 이동가이드레일(331b)에 지지되어 본체부(6)의 양단을 왕복하며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측지지수단(332)은 상기 본체부(6)의 하측에 형성되어 이동체(32)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연결부재(322)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는 레일바(332a)와, 본체부(6)의 하측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레일바(332a)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가이드부재(332b)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동체(32)의 이동과 함께 본체부(6)를 따라 이동하는 레일바(332a)는 삽입가이드부재(332b)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본체부(6) 양단을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근접감지수단(34)은 본체부(6)의 양단에서 이동체(32)의 근접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고정결합지지부(1')가 형성되는 본체부(6)의 일단에서 이동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제1근접센싱모듈(341)과, 본체부(6)의 타단에서 이동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제2근접센싱모듈(34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결합지지부(1'')는 본체부(6)의 양단 사이를 왕복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태측정장치가 블레이드(1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센서이동부(3)의 작동에 관해 도 10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동결합지지부(1'')가 고정결합지지부(1')에 근접하여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32)가 제1근접센싱모듈(341)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이동체(32)는 일정 간격으로 회전봉(313)을 따라 이동하고, 일정 간격 이동할 때마다 이동결합지지부(1'')가 블레이드(100)에 압착되어 표면파의 송수신을 통해 블레이드(100) 상태를 측정하며, 이동할 때에는 이동결합지지부(1'')의 압착을 해제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동체(32)가 이동하여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근접센싱모듈(342)에 감지되면 이동결합지지부(1'')는 그 이동을 멈추고 블레이드(100)에 압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결합지지부(1')의 압착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구동모터(311)가 작동하여 회전봉(313)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그렇게 되면 이동체(32)는 이동할 수 없으므로, 회전봉(313)이 이동체(32)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회전봉(313)과 결합된 본체부(6) 및 본체부(6)에 결합된 고정결합지지부(1')가 회전봉(313)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고정결합지지부(1')가 이동결합지지부(1'')에 근접되면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32)가 제1근접센싱모듈(341)에 의해 감지되면 고정결합지지부(1')가 블레이드(100)에 압착되고 이동결합지지부(1'')가 다시 일정 간격으로 이동하며 블레이드에 압착되어 표면파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지지부(1)는 상당한 길이를 갖는 블레이드(100) 전체에 대해 안정적으로 이동하여 상태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지지부(4)는 상기 결합지지부(1)의 블레이드(100)를 따른 이동시 좀 더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롤러(42)를 통해 본체부(6)가 블레이드(100)에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간격조절실린더(41)의 작동을 통해 지지롤러(42)의 위치를 변경시켜 블레이드(100)의 크기 및 위치에 관계없이 본체부(6)가 지지롤러(42)에 의해 블레이드(100)에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지지부(4)는 지지롤러(42)와 블레이드(10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43)를 포함하여 자동으로 간격조절실린더(41)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실린더(41)는 일단에 지지롤러(42)가 형성되고 타단은 본체부(6)에 결합하여, 그 작동에 따라 지지롤러(42)가 블레이드(100)를 향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지지롤러(42)를 블레이드(100)에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거리감지센서(43)에 의해 측정되는 지지롤러(42)와 블레이드(1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작동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롤러(42)는 간격조절실린더(41)의 끝단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구성으로, 원형으로 형성되어 블레이드(100)에 지지된 상태에서 블레이드(1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합지지부(1)의 이동시에도 본체부(6)가 블레이드(100)에 지지되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리감지센서(43)는 상기 지지롤러(42)의 일측에 형성되어 지지롤러(42)와 블레이드(10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지지롤러(42)가 블레이드(100)에 접촉될 수 있도록 간격조절실린더(41)를 작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5)는 상태측정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제어부(51), 간격제어부(52), 회전제어부(53), 압착제어부(54), 표면파제어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제어부(51)는 상기 센서이동부(3)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앞서 센서이동부(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311)의 작동을 통해 회전봉(313)을 회전시키고, 이를 통해 이동결합지지부(1''), 고정결합지지부(1')의 블레이드(100)를 따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제어부(51)는 제1근접감지모듈(511), 센서이동모듈(512), 제2근접감지모듈(513), 결합이동모듈(5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근접감지모듈(511)은 상기 제1근접센싱모듈(341)에 의해 이동체(32)의 근접이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센서이동모듈(512)을 작동시켜 상기 이동결합지지부(1'')가 일정 간격으로 블레이드(1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센서이동모듈(512)은 상기 제1근접감지모듈(511)에 의해 이동체(32)가 제1근접센싱모듈(341)에 근접한 것이 감지되면, 표면파센서부(2)가 형성된 이동결합지지부(1'')가 일정 간격으로 블레이드(100)를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센서이동모듈(512)은 이동결합지지부(1'')를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켜 상기 회전제어부(53)에 의해 블레이드(100)에 압착되도록 하고, 표면파의 송수신을 통해 블레이드 상태를 측정하도록 하며, 그 다음 다시 이동결합지지부(1'')의 압착을 해제하여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켜 블레이드(100)에 압착되도록 하고, 이러한 과정을 이동체(32)가 제2근접센싱모듈(342)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반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센서이동모듈(512)은 저주파를 먼저 발생시킨 후에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 고주파를 발생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근접감지모듈(513)은 상기 이동체(32)가 제2근접센싱모듈(342)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이동결합지지부(1'')가 센서이동모듈(512)에 의한 이동을 멈추고 상기 결합이동모듈(514)이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이동모듈(514)은 이동결합지지부(1'')가 센서이동모듈(512)에 의한 이동을 멈추고 블레이드(100)에 압착·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대신 고정결합지지부(1')의 압착을 해제하여 구동모터(311)의 작동에 따른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결합지지부(1'')가 블레이드(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봉(313)을 회전시키면 본체부(6) 및 고정결합지지부(1')가 회전봉(313)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다시 상기 제1근접감지모듈(511)에 의해 이동체(32)의 근접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고정결합지지부(1')가 블레이드(100)에 다시 압착되고 센서이동모듈(512)의 작동이 개시되도록 한다.
상기 간격제어부(52)는 상기 이동지지부(4)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간격조절실린더(41)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간격제어부(52)는 거리감지센서(43)에 의해 지지롤러(42)와 블레이드(100)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하는 거리측정모듈(521)과, 거리에 따라 간격조절실린더(41)를 작동시키는 실린더작동모듈(522)을 포함하며, 항상 지지롤러(42)가 블레이드(100)에 접촉될 수 있도록 간격조절실린더(41)를 작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회전제어부(53)는 상기 결합지지부(1)의 회전부(11) 및 결합부(12)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회전부(11)의 구동실린더(112), 상기 결합부(12)의 제1회전실린더(121b-2), 제2회전실린더(122b-2)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제어부(53)는 상기 고정결합지지부(1') 또는 이동결합지지부(1'')를 블레이드(100)에 압착·결합시킬 때 구동실린더(112), 제1,2회전실린더(121b-2,122b-2)의 작동을 조절하여 진공패드(121a-1,122a-1)가 블레이드(100)와 수평인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압착·결합하도록 하고, 고정결합지지부(1') 또는 이동결합지지부(1'')를 블레이드(100)로부터 압착 해제시킬 때에는 구동실린더(112)의 작동을 조절하여 진공패드(121a-1,122a-1)가 블레이드(100)로부터 멀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제어부(53)는 회전부작동모듈(531), 근접거리감지모듈(532), 결합부회전모듈(533), 근접거리비교모듈(534)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작동모듈(531)은 상기 회전부(11)의 구동실린더(112)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구동실린더(112)의 실린더암(112a)이 입출되는 것을 조절하여 회전바(111)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회전부작동모듈(531)은 앞서 회전부(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린더암(112a)을 당겨 인입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12)가 블레이드(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지지부(1)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실린더암(112a)을 밀어 인출되도록 하는 경우 결합부(12)가 블레이드(100) 방향으로 회전하여 압착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작동모듈(531)은 제1,2결합부(12)의 미세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결합부(12)가 블레이드(100)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까지만 회전부(11)를 회전시키도록 하며, 그 상태에서 미세 각도 조절이 이루어진 후 다시 회전부(11)를 회전시켜 결합부(12)가 블레이드(100)에 압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근접거리감지모듈(532)은 상기 결합부(12), 더욱 정확하게는 제1압착부(121a) 및 제2압착부(122a)의 진공패드(121a-1,122a-1)와 블레이드(100)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가 되는 것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결합부(12)가 블레이드(100)에 압착되도록 회전할 때 설정된 거리까지만 근접한 후 상기 결합부회전모듈(533)에 의해 제1,2결합부(121,122)의 미세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수평인 상태를 맞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회전모듈(533)은 상기 제1,2결합부(121,122)의 제1,2회전실린더(121b-2,122b-2)의 작동을 조절하여 블레이드(100)의 굴곡에 따라 진공패드(121a-1,122a-1)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근접거리비교모듈(534)을 통해 제1거리센서모듈(121a-31,121a-32)과 제2거리센서모듈(121a-31,121a-32)에 의해 측정되는 블레이드(100)와 진공패드(121a-1,122a-1) 사이의 거리를 비교하여, 거리가 최대로 같아지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1,2회전실린더(121b-2,122b-2)를 작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회전모듈(533)은 상기 근접거리감지모듈(532)에 의해 진공패드(121a-1,122a-1)가 블레이드(10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여 작동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수평 상태로의 회전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결합지지부(1)의 회전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근접거리비교모듈(534)은 제1결합부(121)의 제1거리센서모듈(121a-31)과 제2거리센서모듈(121a-32), 제2결합부(122)의 제1거리센서모듈(122a-31)과 제2거리센서모듈(122a-32)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비교하는 구성으로, 진공패드(121a-1,122a-1)의 양단과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를 비교하여 가장 근접한 값을 가지는 각도로 진공패드(121a-1,122a-1)를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블레이드와 수평인 상태에서 압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수평인 상태로 진공패드(121a-1,122a-1)를 회전시키고 나면 다시 상기 회전부작동모듈(531)에 의해 구동실린더(112)를 작동시켜 진공패드(121a-1,122a-1)가 블레이드(100)에 그대로 압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착제어부(54)는 상기 진공패드(121a-1,122a-1)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거나 주입하여 블레이드(100)에 압착되거나 압착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흡입하거나 주입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압착제어부(54)는 공기흡입모듈(541)과 공기주입모듈(5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진공패드(121a-1,122a-1)를 블레이드(10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공기흡입모듈(541)에 의해 진공패드(121a-1,122a-1)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경우에는 진공패드(121a-1,122a-1)가 블레이드(100)에 압착·결합되고, 공기주입모듈(542)에 의해 진공패드(121a-1,122a-1)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에는 진공패드(121a-1,122a-1)의 압착이 해제되어 진공패드(121a-1,122a-1)를 블레이드(100)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시키고 결합지지부(1)가 블레이드(1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면파제어부(55)는 상기 표면파센서부(2)에 대한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표면파발생부(21)에 의해 표면파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상기 표면파수신부(22)에서 생성된 신호정보를 별도의 모니터링장치로 전달하도록 하며, 블레이드 결함에 따라 발광부(23)에 의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5)는 신호발생모듈(551), 생성신호전달모듈(552), 발광제어모듈(5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모듈(551)은 표면파발생부(21)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이동결합지지부(1'')는 센서이동부(3)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이동하며 블레이드(100)에 압착되는데, 블레이드(100)에 압착·결합하고 나면 표면파발생부(21)에 의해 표면파를 발생시켜 블레이드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신호발생모듈(551)은 긴 간격으로 이동하면서 저주파발생부(21a)를 먼저 발생시키도록 하고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만 좁은 간격으로 이동하며 고주파발생부(21b)에 의해 고주파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처음부터 좁은 간격으로 이동하면서 저주파발생부(21a)에 의해 저주파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저주파수신부(22a)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에 의해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만 고주파수신부(22b)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정밀하게 결함을 검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생성신호전달모듈(552)은 상기 표면파수신부(22)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 신호에 관한 정보를 별도의 모니터링장치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무선통신부(7)를 통해 무선으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발광제어모듈(553)은 상기 발광부(23)에 의한 발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모니터링장치에 의해 분석되는 결함에 따라 발광부(23)를 발광시키도록 한다. 상기 발광제어모듈(553)은 결함이 발생한 경우 결함의 발생 여부만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결함의 종류, 정도에 따라 발광의 색상, 조도를 달리하여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원격지에서 또는 결함을 해결하는 작업자가 결함에 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6)는 상태측정장치의 각 구성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양측으로는 상기 결합지지부(1)가 한 쌍으로 형성되어 블레이드(100)의 양측에서 블레이드(100)에 압착·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6)에는 상기 센서이동부(3)가 형성되어 이동결합지지부(1'')가 본체부(6)에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본체부(6)에 결합된 고정결합지지부(1')는 센서이동부(3)의 작동에 따라 본체부(6)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무선통신부(7)는 별도의 모니터링장치와 무선 통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모니터링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태측정장치의 동작을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표면파수신부(22)에 의해 생성된 전기신호를 송신하여 블레이드 결함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태측정장치의 작동과정을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상태측정장치(D)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100)를 따라 이동하여 표면파의 송수신을 통해 블레이드(100) 상태를 측정하고 결함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b)는 상태측정장치의 이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결합지지부(1')와 이동결합지지부(1'')가 최대로 근접한 상태, 즉 제1근접센싱모듈(341)에 의해 이동체(32)가 감지된 상태에서 도 12(b)의 ⓔ와 같이 고정결합지지부(1')와 이동결합지지부(1'')가 블레이드(100)에 압착·결합된 상태에서 상태 측정을 시작하며, 블레이드(100)의 내측 또는 외측 끝단부터 상태 측정이 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동결합지지부(1'')는 센서이동부(3)의 작동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블레이드(10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동시에는 블레이드(100)로부터 압착이 해제되어 회전부(11)에 의해 블레이드(10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고, 일정 간격 이동후 다시 블레이드(100)에 압착될 때에는 회전부(11)에 의해 일정 거리까지 회전한 후, 상기 제1,2미세각조절부(121b,122b)에 의해 진공패드(121a-1,122a-1)의 수평상태를 맞추어 블레이드(100)에 압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표면파의 송수신에 의해 블레이드(100)의 상태를 측정한 후,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일정 간격으로 블레이드(10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결합지지부(1'')가 이동을 계속하다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32)가 제2근접센싱모듈(342)에 의해 감지되면, 이동결합지지부(1'')는 블레이드(100)에 압착·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결합지지부(1')의 압착이 해제되고, 센서이동부(3)의 작동에 따라 고정결합지지부(1')가 본체부(6)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32)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근접센싱모듈(341)에 의해 감지되면 고정결합지지부(1')가 도 12(b)의 ⓕ와 같이 다시 블레이드(100)에 압착되고, 이동결합지지부(1'')가 일정 간격으로 이동하며 표면파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태측정장치는 블레이드(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블레이드(100)를 따라 이동하며 신속하고 용이하게 블레이드(100) 상태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측정장치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시스템을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상태측정시스템은 상태측정장치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태측정장치의 작동을 조절하고, 상태측정장치에서 생성되는 신호에 따라 블레이드(100)의 결함을 분석하는 모니터링장치(M)를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링장치(M)는 상태측정장치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태측정장치에 의한 표면파의 발생, 상태측정장치의 이동을 조절하고, 표면파수신부(22)에서 생성되는 신호에 따라 블레이드(100) 결함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니터링장치(M)는 신호조절부(M1), 이동조절부(M2), 결함분석부(M3), 화면표시부(M4), 결함표시부(M5), 통신부(M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조절부(M1)는 상기 표면파발생부(21)에 의한 표면파의 발생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표면파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태측정장치의 제어부(5)에 의하여 블레이드(100)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동하며 자동으로 표면파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조절부(M2)는 상태측정장치의 이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센서이동부(3)에 의한 상태측정장치의 이동, 이동지지부(4)에 의한 간격조절실린더(41)의 작동, 회전부(11), 결합부(12)에 의한 결합지지부(1)의 회전, 압착제어부(54)에 의한 진공패드(121a-1,122a-1)의 압착 등에 관한 동작을 수동으로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조절부(M2)는 센서이동제어모듈(M21), 간격제어모듈(M22), 회전제어모듈(M23), 압착제어모듈(M24)을 포함하여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태이동장치의 제어부(5)의 조절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함분석부(M3)는 상기 표면파수신부(22)로부터 생성된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블레이드(100)의 결함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상태측정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그 신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도록 한다. 상기 결함분석부(M3)는 저주파수신부(22a)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통해 블레이드(100)의 이상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며, 고주파수신부(22b)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의해 블레이드(100) 결함의 위치, 종류, 정도를 구체적으로 특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면파발생부(21)에서 발생되어 블레이드(100) 표면을 따라 이송되는 표면파는 크랙, 부식, 이물과 접촉될 경우 반사, 회절, 감쇠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표면파수신부(22)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는 그 진폭과 주파수가 변경된다. 따라서, 상기 결함분석부(M3)는 상기 표면파수신부(22)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블레이드의 결함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결함분석부(M3)는 결함의 종류, 크기에 따라 변경되는 전기신호의 패턴을 분석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이를 실제 표면파수신부(22)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와 비교하도록 함으로써, 결함의 종류, 크기를 특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함분석부(M3)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면파수신부(22)에 의해 수신되는 표면파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분석하는 수신신호분석부(M31)와, 각 표면파수신부(22)에 대해 정상상태 및 결함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저장하는 기본신호저장부(M32)와, 상기 수신신호분석부(M31) 및 기본신호저장부(M32)에 의해 분석되는 전기신호를 비교하여 블레이드 결함을 특정하는 결함특정부(M33)와, 반복적인 표면파의 송수신을 통해 결함을 확정하고 고장을 진단하는 결함확정부(M34)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신호분석부(M31)는 상기 표면파수신부(22)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상기 수신신호분석부(M31)에 의해 분석되는 정보는 상기 기본신호저장부(M32)에 의해 저장된 정보와 비교되어 블레이드의 결함을 진단하고 결함의 특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신신호분석부(M31)는 표면파수신부(12)에 대해 전기신호의 진폭을 분석하는 진폭분석모듈(M311)과, 위상을 분석하는 위상분석모듈(M31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진폭분석모듈(M311) 및 위상분석모듈(M312)은 일정시간 동안 전기신호의 평균 진폭과 위상차를 계산하여 상기 기본신호저장부(M32)에 의해 저장된 진폭, 위상과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본신호저장부(M32)는 상기 수신신호분석부(M31)에 의해 분석되는 정보와 비교될 수 있는 각 표면파수신부(22)의 전기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블레이드가 결함이 없는 정상상태에서 표면파수신부(22)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신호와, 블레이드에 결함이 발생하였을 때 결함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표면파수신부(22)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기본신호저장부(M32)는 정상상태에서의 진폭정보를 저장하는 정상진폭정보저장모듈(M321), 정상상태에서의 위상정보를 저장하는 정상위상정보저장모듈(M322), 결함별 진폭정보를 저장하는 결함별진폭정보저장모듈(M323), 결함별 위상정보를 저장하는 결함별위상정보저장모듈(M324)을 포함한다.
상기 정상진폭정보저장모듈(M321) 및 정상위상정보저장모듈(M322)은 블레이드에 결함이 없는 정상상태에서 상기 표면파수신부(22)가 표면파발생부(21)에 의해 발생되는 표면파를 수신하여 생성하는 전기신호의 평균 진폭 및 위상차를 분석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결함별진폭정보저장모듈(M323) 및 결함별위상정보저장모듈(M324)은 블레이드에 크랙, 부식, 이물 등의 결함이 발생하였을 때, 결함의 종류마다 표면파수신부(22)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의 진폭 및 위상차를 분석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블레이드의 결함은 이물의 경우 표면파의 반사에 많은 영향을 끼치며, 크랙의 경우 부식에 비해 표면파를 더 많이 감쇄시키게 되고, 동일한 크랙의 경우에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랙의 길이 또는 폭에 따라 다른 진폭 및 위상을 갖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함별진폭정보저장모듈(M323) 및 결함별위상정보저장모듈(M324)은 결함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표면파수신부(22)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신호의 평균진폭 및 위상차 정보를 분석하여 저장하도록 하며, 저장된 정보를 상기 수신신호분석부(M31)에 의해 분석되는 정보와 비교하도록 함으로써, 블레이드 결함의 종류 및 정도를 특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함특정부(M33)는 상기 수신신호분석부(M31) 및 상기 기본신호저장부(M32)에 의해 분석되는 정보를 비교하여 블레이드의 결함을 특정하는 구성으로, 신호의 진폭 및 위상 정보를 비교하여 결함의 종류, 정도를 특정하도록 상태측정장치의 위치를 파악하여 결함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함특정부(M33)는 진폭비교모듈(M331), 위상비교모듈(M332), 결함종류특정모듈(M333), 결함정도특정모듈(M334), 결함위치특정모듈(M335)을 포함한다.
상기 진폭비교모듈(M331) 및 위상비교모듈(M332)은 상기 수신신호분석부(M31)에 의해 분석되는 전기신호의 평균 진폭정보 및 위상정보와, 상기 기본신호저장부(M32)에 의해 저장되는 정상상태, 결함의 종류, 결함의 정도별 평균 진폭, 위상 정보를 비교하도록 한다.
상기 결함종류특정모듈(M333)은 상기 진폭비교모듈(M331) 및 위상비교모듈(M332)에 의해 비교되는 결과에 따라 평균 진폭 및 위상 정보가 일정 범위 내인 경우 크랙, 부식, 이물 등 해당 종류의 결함이 발생한 것으로 특정하도록 한다.
상기 결함정도특정모듈(M334)은 상기 진폭비교모듈(M331) 및 위상비교모듈(M332)에 의해 상기 수신신호분석부(M31)에 의해 분석되는 진폭 및 위상 정보와 결함의 크기에 따른 진폭 및 위상정보를 비교하여 결함의 길이, 너비 등 그 정도를 특정하도록 한다.
상기 결함위치특정모듈(M335)은 상태측정장치가 이동된 거리에 따라 상태측정장치의 위치를 파악하여 결함의 위치를 특정하도록 한다.
상기 결함확정부(M34)는 상기 결함분석부(M3)에 의한 블레이드 결함 검출의 정확성을 높이고 상태측정장치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표면파의 송수신을 자동으로 반복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결함특정부(M33)에 의해 결함의 특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표면파의 송수신을 반복하도록 한다. 상기 결함확정부(M34)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복수회에 걸쳐 표면파를 발생시키도록 하며, 복수회에 걸친 표면파의 송수신을 통해 일정 횟수 이상 동일한 결함이 특정되는 경우에만 결함의 종류, 위치, 정도를 확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함확정부(M34)는 일정 횟수 이상 결함이 일치하지 못하여 결함이 확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위치를 저장하여 다음 측정시 자동으로 표면파를 복수회 송수신하도록 하며, 그럼에도 결함이 일정 횟수 이상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태측정장치의 고장으로 진단하여 이를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함확정부(M34)는 반복측정모듈(M341), 결함비교모듈(M342), 결함확정모듈(M343), 위치저장모듈(M344), 고장진단모듈(M3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복측정모듈(M341)은 상기 결함특정부(M33)에 의해 결함의 위치, 종류, 정도가 특정되는 경우 자동으로 표면파의 송수신을 복수회 반복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다시 표면파수신부(22)에 의해 생성된 전기 신호를 분석하여 결함특정부(M33)에 의한 결함의 특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결함비교모듈(M342)은 상기 반복측정모듈(M341)에 의해 복수회 반복되는 표면파의 송수신에 의해 특정되는 결함을 각각 비교하여 결함의 위치, 종류, 정도가 일치하는 횟수를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결함확정모듈(M343)은 상기 결함비교모듈(M342)에 의해 비교되는 결함의 위치, 종류, 정도가 초기에 특정된 결함과 일정 횟수 이상 일치하는 경우 해당 결함을 확정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결함 검출의 정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위치저장모듈(M344)은 결함이 특정되었으나 일정 횟수 이상 결함이 일치하지 못하여 결함이 확정되지 않는 경우 해당 위치를 저장하고, 다음 측정에서 표면파의 송수신을 반복하여 장치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장진단모듈(M345)은 상기 위치저장모듈(M344)에 저장된 위치를 다시 측정하는 경우 표면파의 송수신을 복수회 반복하여 고장을 진단하는 구성으로, 반복적으로 결함이 검출됨에도 다시 한번 일정 횟수 이상 결함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태측정장치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고 이에 대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장진단모듈(M345)은 지속적인 신호의 이상이 발생하나 그 신호의 이상이 불규칙하게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태측정장치의 고장으로 진단하여 이를 알리도록 함으로써 결함의 정확성을 높임과 동시에 고장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화면표시부(M4)는 상기 결함분석부(M3)에 의해 분석되는 결함의 정보를 확인 및 검증하여 더욱 정확한 블레이드의 상태 감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각 표면파수신부(22)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와 결함정보를 별도의 화면(미도시)에 표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결함분석부(M3)에 의해 결함의 종류, 크기, 위치를 자동으로 특정할 수 있도록 하나, 항상 정확한 정보가 출력될 수는 없으므로, 상기 화면표시부(M4)를 통해 감시자가 직접 신호정보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결함분석부(M3)에 의해 검출되는 정보를 확인, 검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화면표시부(M4)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파수신부(12)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신호표시부(M41)와, 상기 결함분석부(M3)에 의해 분석되는 결함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결함정보표시부(M42)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표시부(M41)는 표면파수신부(22)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시간에 따른 전압의 변화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정상상태에서의 신호, 실제 생성되는 신호, 결함에 따른 신호를 함께 표시하고, 각 신호를 시간에 따라 동기화하여 정확한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각 신호의 진폭차, 위상차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고 신속한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신호표시부(M41)는 정상신호표시모듈(M411), 수신신호표시모듈(M412), 결함별신호표시모듈(M413), 신호동기화모듈(M414), 진폭차표시모듈(M415), 위상차표시모듈(M4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상신호표시모듈(M411)은 블레이드의 결함이 없는 정상상태에서 표면파수신부(12)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정상진폭정보저장모듈(M321) 및 정상위상정보저장모듈(M322)에 의해 저장되는 진폭 및 위상정보의 기초가 되는 신호정보가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상신호표시모듈(M411)은 일정 버튼을 누를 경우에만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신신호표시모듈(M412)은 실제 블레이드의 상태 감지시 상기 표면파수신부(12)에서 생성되는 표면파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상기 정상신호표시모듈(M411) 및 결함별신호표시모듈(M413)에 의해 표시되는 신호와 직접적인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결함별신호표시모듈(M413)은 블레이드 결함의 종류 및 정도에 따른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상기 수신신호표시모듈(M412)에 의해 표시되는 신호와의 비교를 통해 결함의 종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신호동기화모듈(M414)은 상기 정상신호표시모듈(M411), 수신신호표시모듈(M412), 결함별신호표시모듈(M413)에 의해 표시되는 신호의 시점을 동기화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표면파발생부(11)에서 표면파를 발생시키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각 신호의 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신호동기화모듈(M414)은 각 신호의 시점을 동기화하여 정확한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폭차표시모듈(M415)은 화면에 표시되는 신호간의 진폭차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정상신호표시모듈(M411), 수신신호표시모듈(M412), 결함별신호표시모듈(M413)에 의해 표시되는 신호들 중, 정상신호표시모듈(M411) 또는 결함별신호표시모듈(M413)과 수신신호표시모듈(M412) 사이의 진폭차를 화면에 강조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신신호표시모듈(M412)에 의해 표시되는 신호와 정상신호표시모듈(M411) 또는 결함별신호표시모듈(M413)에 의해 표시되는 신호 사이의 진폭차를 쉽게 파악하여 결함의 확인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표시모듈(M416)은 상기 진폭차표시모듈(M415)과 위상차를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이라는 것에 관해서만 차이를 가지며, 역시 결함의 확인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함정보표시부(M42)는 상기 결함확정부(M34)에 의해 확정되는 결함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결함이 발생된 표면파수신부(22)의 위치와 결함의 종류, 정도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함정보표시부(M42)는 상태측정장치의 고장이 진단되는 경우 고장 여부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고장의 신속한 인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함정보표시부(M42)는 결함의 위치를 표시하는 결함위치표시모듈(M421)과, 결함의 종류를 표시하는 결함종류표시모듈(M422), 결함의 정도를 표시하는 결함정도표시모듈(M423), 고장의 발생을 표시하는 고장표시모듈(M42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신호표시부(71)에 의해 표시되는 신호와 상기 결함정보표시부(73)에 의해 표시되는 결함정보를 동시에 확인하면서 정확한 결함의 검출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고장이 발생하지는 않았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함표시부(M5)는 상기 결함확정부(M34)에 의해 확정되는 결함정보를 블레이드(100) 상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상기 발광부(15)를 통해 결함의 위치, 정도, 종류가 직관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결함의 신속한 파악이 가능하고 결함을 수리하는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함표시부(M5)는 고장의 발생 여부도 블레이드(1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함표시부(M5)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함부발광모듈(M51), 결함별발광색상조절모듈(M52), 정도별조도조절모듈(M53), 고장부발광모듈(M54)을 포함한다.
상기 결함부발광모듈(M51)은 결함 발생 여부를 블레이드(100)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상기 결함확정부(M34)에 의해 결함이 확정된 경우 상기 발광부(23)를 발광시켜 결함의 발생 여부와 결함의 발생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함별발광색상조절모듈(M52)은 결함의 종류에 따라 발광부(15)에 의해 발광되는 색상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결함이 크랙이냐 부식이냐 이물이냐 등에 따라 발광되는 색상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정도별조도조절모듈(M53)은 결함의 정도에 따라 발광되는 빛의 조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결함의 정도가 심할수록 높은 조도를 갖도록 발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결함부발광모듈(M51)을 통해 결함이 발생한 위치에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결함 위치의 손쉬운 파악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결함의 종류, 정도에 따라 발광 색상 및 조도를 조절하도록 하여 원격지에서도 결함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결함을 수리하는 작업자도 손쉽게 결함에 대해 파악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고장부발광모듈(M54)은 상기 고장진단모듈(M345)에 의해 고장으로 진단되는 위치에서 발광부(15)를 발광시키는 구성으로, 결함과는 다른 색상의 빛으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고장부발광모듈(M54)은 고장의 발생 여부와 고장의 발생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신부(M6)는 상기 상태측정장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구성으로,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모듈이 적용될 수 있으며, 무선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M6)는 상태측정장치로부터 표면파수신부(22)에 의해 생성된 전기신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태측정장치로 제어정보 등을 전송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결합지지부 1': 고정결합지지부 1'': 이동결합지지부
11: 회전부 111: 회전바 112: 구동실린더 113: 회전지지바
12: 결합부 121: 제1결합부 121a: 제1압착부 121a-1: 진공패드
121a-2: 지지부재 121a-3: 거리센서모듈 121a-31: 제1거리센서모듈
121a-32: 제2거리센서모듈 121b: 제1미세각조절부 121b-1: 회전부재
121b-2: 제1회전실린더 122: 제2결합부 122a: 제2압착부
122a-1: 진공패드 122a-2: 회전지지부재 122a-21: 회전축
122a-3: 거리센서모듈 122a-31: 제1거리센서모듈
122a-32: 제2거리센서모듈 122b: 제2미세각조절부 122b-1: 지지바
122b-2: 제2회전실린더
2: 표면파센서부 21: 표면파발생부 211: 압전기판 212: 전극
21a: 저주파발생부 21b: 고주파발생부 22: 표면파수신부
221: 압전기판 222: 전극 22a: 저주파수신부
22b: 고주파수신부 23: 발광부
3: 센서이동부 31: 구동수단 311: 구동모터 312: 기어체
313: 회전봉 32: 이동체 321: 상단이동부재 322: 연결부재
33: 지지수단 331: 상측지지수단 331a: 가이드부재
331b: 이동가이드레일 332: 하측지지수단 332a: 레일바
332b: 삽입가이드부재 34: 근접감지수단 341: 제1근접센싱모듈
342: 제2근접센싱모듈
4: 이동지지부 41: 간격조절실린더 42: 지지롤러 43: 거리감지센서
5: 제어부 51: 이동제어부 511: 제1근접감지모듈
512: 센서이동모듈 513: 제2근접감지모듈 514: 결합이동모듈
52: 간격제어부 521: 거리측정모듈 522: 실린더작동모듈
53: 회전제어부 531: 회전부작동모듈 532: 근접거리감지모듈
533: 결합부회전모듈 534: 근접거리비교모듈 54: 압착제어부
541: 공기흡입모듈 542: 공기주입모듈 55: 표면파제어부
551: 신호발생모듈 552: 생성신호전달모듈 553: 발광제어모듈
6: 본체부 7: 무선통신부

Claims (12)

  1. 상태측정장치의 각 구성을 지지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형성되며, 풍력발전기 블레이드에 결합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블레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결합지지부와; 상기 결합지지부에 형성되어 블레이드를 따라 이동하며 표면파를 송수신하는 표면파센서부와; 상태측정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블레이드를 향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블레이드에 밀착·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회전부의 일단에서 양측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별개로 회전하는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포함하여, 블레이드의 굴곡에 맞는 미세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블레이드를 향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회전하는 회전바와; 상기 본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상기 회전바의 끝단에 연결되어 회전바를 밀거나 당기도록 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회전바의 일 지점과 본체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지지바;를 포함하여, 회전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결합부를 블레이드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진공패드에 의해 블레이드에 압착되는 제1압착부와, 상기 제1압착부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제1미세각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미세각조절부는,
    상기 회전바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회전바에 연결되는 측의 타단에 제1압착부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의 타단 및 회전바의 일 지점에 양단이 연결되어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압착부와 반대측에서 블레이드에 압착되는 제2압착부와, 상기 제2압착부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제2미세각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미세각조절부는,
    상기 회전바의 일단에 결합되며, 회전바에 결합되는 측의 타단에 제2압착부가 형성되는 지지바와; 상기 회전바 및 제2압착부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제2압착부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착부는
    진공상태로 블레이드에 압착되는 진공패드와, 상기 진공패드에 결합되어 상기 제2회전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회전축에 의해 상기 지지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상기 제2회전실린더는 상기 회전축이 연결되는 지점을 벗어나 상측 또는 하측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착부 및 제2압착부는
    블레이드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거리센서모듈은 진공패드의 바닥에서 가장 먼 양단에 형성되는 제1,2거리센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2거리센서모듈에 의해 측정되는 거리의 차이가 가장 적은 상태로 제1압착부 및 제2압착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부 및 결합부를 제어하는 회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부는
    상기 회전부의 구동실린더 작동을 제어하는 회전부작동모듈과, 상기 제1압착부 및 제2압착부와 블레이드가 근접하는 거리를 감지하여 설정된 거리까지 회전부를 작동시키는 근접거리감지모듈과, 설정된 거리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1,2미세각조절부의 제1,2회전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결합부회전모듈과, 제1,2거리센서모듈에 의해 측정되는 거리를 비교하여 거리차가 가장 적은 상태에서 제1,2결합부의 회전을 정지하는 근접거리비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파센서부는
    표면파를 발생시키는 표면파발생부와, 표면파발생부에서 발생된 표면파를 수신하는 표면파수신부를 포함하고,
    일측의 결합지지부에서는 제1압착부에 표면파발생부가 형성되고 제2압착부에 표면파수신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타측의 결합지지부에서는 제1압착부에 표면파수신부가 형성되고 제2압착부에 표면파발생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표면파발생부 및 표면파수신부가 블레이드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측정장치는
    상기 결합지지부를 이동시켜 표면파센서부가 블레이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센서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고정 결합하는 고정결합지지부와; 상기 본체부를 따라 이동하며, 표면파센서부가 형성되는 이동결합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고정결합지지부와 이동결합지지부 중 어느 하나가 블레이드에 결합된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를 이동시키도록 하여 블레이드 전체에 대한 표면파센서부의 안정적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이동부는
    결합지지부가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이동결합지지부와 연결되어 구동수단의 작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가 본체부에 지지되어 이동하도록 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봉;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회전봉에 결합되어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상단이동부재와; 상단이동부재 및 이동결합지지부에 결합되어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이동결합지지부가 이동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서 상기 이동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근접감지수단은 상기 고정결합지지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의 일단에서 이동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제1근접센싱모듈과, 본체부의 타단에서 이동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제2근접센싱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이동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이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제어부는 상기 제1근접센싱모듈에 의해 이동체의 근접이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1근접감지모듈과; 제2근접감지모듈에 의해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동체를 제2근접센싱모듈을 향해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키며, 일정 간격마다 이동결합지지부의 결합부를 블레이드에 압착시켜 표면파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센서이동모듈과; 상기 이동체가 제2근접센싱모듈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2근접감지모듈과; 제2근접감지모듈에 의해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동결합지지부가 블레이드에 압착된 상태에서 고정결합지지부의 압착을 해제하고, 회전봉을 회전시켜 이동체가 제1근접센싱모듈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본체부 및 고정결합지지부를 이동시키는 결합이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측정장치는
    상기 본체부가 블레이드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지지부는,
    본체부의 양단에서 블레이드를 향해 형성되며, 본체부와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에 따라 입출되는 간격조절실린더와; 간격조절실린더의 끝단에 형성되어 블레이드에 접촉되는 지지롤러와; 지지롤러와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거리에 따라 지지롤러가 블레이드에 접촉되도록 간격조절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간격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KR1020180038962A 2018-04-04 2018-04-04 미세각 조절이 가능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측정시스템 KR102081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962A KR102081437B1 (ko) 2018-04-04 2018-04-04 미세각 조절이 가능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측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962A KR102081437B1 (ko) 2018-04-04 2018-04-04 미세각 조절이 가능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측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806A true KR20190115806A (ko) 2019-10-14
KR102081437B1 KR102081437B1 (ko) 2020-02-25

Family

ID=68171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962A KR102081437B1 (ko) 2018-04-04 2018-04-04 미세각 조절이 가능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측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4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9111A (ko) * 2010-06-30 2013-03-21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컴퍼니 엘엘씨 터빈 디스크용 검사 운반체
KR101334334B1 (ko) * 2012-06-08 2013-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KR101708848B1 (ko) * 2016-03-29 2017-02-2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진단시스템
CN206982655U (zh) * 2017-06-30 2018-02-09 常州市三维技术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汽轮机静叶片探伤机器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9111A (ko) * 2010-06-30 2013-03-21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컴퍼니 엘엘씨 터빈 디스크용 검사 운반체
KR101334334B1 (ko) * 2012-06-08 2013-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KR101708848B1 (ko) * 2016-03-29 2017-02-2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진단시스템
CN206982655U (zh) * 2017-06-30 2018-02-09 常州市三维技术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汽轮机静叶片探伤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437B1 (ko) 202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62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n-destructive testing of materials
CN102341700B (zh) 低外形超声波检查扫描仪
JP5663382B2 (ja) 非破壊検査のための回転アレイプローブシステム
CN101713756B (zh) 非接触超声热激励红外热成像无损检测方法和系统
US20110030478A1 (en) Inspecting device including detachable probe
KR102058120B1 (ko) 무선통신기반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시스템
BR102017023106A2 (pt) Caracterização de rugas e previsão de desempenho para estruturas compostas
EP2508871A1 (en) Inspection apparatus, measurement method for three-dimensional shape, and production method for structure
CN105004282B (zh) 深度数据检测装置
EP3990858B1 (en) Video extensometer system with reflective back screen
KR102081437B1 (ko) 미세각 조절이 가능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측정시스템
CN105277571B (zh) 一种旋转轴表面裂纹在线检测系统及检测方法
EP2966440B1 (en) Nondestructive inspection using acousto-optics
KR20140000379A (ko) 카메라와 로봇 기반의 풍력 발전용 블레이드 검사 장치 및 방법
CN111007144B (zh) 一种铝套管的超声检测方法
KR101847415B1 (ko) 표면파센서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US11047831B2 (en) Nondestructive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KR100702578B1 (ko)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발전소의 증기터빈 자동 초음파검사장치 및 방법
CN112945974B (zh) 一种基于内窥镜的产品缺陷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0192895A (zh) 一种超声波探头及超声波诊断装置
US9528821B2 (en) High speed magnetic oscillating device
CN203011850U (zh) 太阳能光伏板故障诊断装置
KR20180107850A (ko) 표면파센서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상태측정시스템
CN207067297U (zh) 检测电感器开路的装置
CN205748324U (zh) 一种立式压住旋转平台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