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334B1 -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334B1
KR101334334B1 KR1020120061257A KR20120061257A KR101334334B1 KR 101334334 B1 KR101334334 B1 KR 101334334B1 KR 1020120061257 A KR1020120061257 A KR 1020120061257A KR 20120061257 A KR20120061257 A KR 20120061257A KR 101334334 B1 KR101334334 B1 KR 101334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gripping
vacuum
arm
link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태
석진욱
이병규
조승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1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10Assembly of wind motors; Arrangements for erecting win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4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는,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되면서 블레이드의 외측면을 그립핑(gripping)하는 한 쌍의 그립핑 아암; 및 그립핑 아암들의 단부에 마련되며, 블레이드의 외표면에 접촉지지되어 진공의 흡착력에 의해 블레이드의 외표면을 흡착하는 진공 흡착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Gripping apparatus for windmill blade}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레이드가 변형되는 것을 저지하면서도 블레이드를 안정적으로 그립핑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풍력발전기(혹은 풍력터빈)는 바람에 의한 회전에너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장치로서, 화석연료의 고갈과 환경문제로 인해 점차 그 비중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풍력발전기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블레이드(blade)가 허브(hub)에 연결되어 마련되는 로터(rotor)와, 로터와 연결되는 나셀(nacelle)을 지지하면서 보호하는 나셀 커버(nacelle cover)와, 나셀 커버를 지지하는 타워(tower)를 포함한다.
블레이드는 공기 역학적으로 설계된 형상을 이용하여 바람의 에너지에서 유용한 공력 토크(torque)를 발생시키고 이 공력 토크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기를 발생시킨다.
전기 발생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블레이드의 공기 역학적 형상이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그 형상으로부터 유발되는 하중을 적절히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하중은 공기역학적 형상에 지배적이지만 구조적인 최적 설계를 통해 동일한 하중을 지지하면서도 최대한 가벼운 블레이드를 설계 하는 것이 또 하나의 중요한 설계 기술이다.
한편, 블레이드는 타워와 마찬가지로 내부가 빈 파이프(pipe) 형상을 갖는 대단히 큰 거대 구조물이다.
따라서 풍력발전기의 제작 시 특히, 해상과 같이 작업 환경이 열악한 장소에서 풍력발전기의 설치 시, 즉 타워의 상단부에 결합된 허브에 블레이드를 설치하기 위해 블레이드를 그립핑할 때에는 블레이드가 분리되지 않도록 블레이드를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그립핑해야 한다.
하지만, 블레이드를 너무 과도하게 그립핑할 경우,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물인 블레이드의 측벽이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변형될 우려가 높은데, 블레이드가 변형되면 공기 역학적으로 설계된 형상에서 어긋나기 때문에 동작 시 소음 및 진동을 유발하는 등 바람의 운동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입력받기 어렵다.
선행기술 ; 미국특허 US7,726,94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진공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블레이드를 그립핑함으로써 블레이드가 변형되는 것을 저지하면서도 블레이드를 안정적으로 그립핑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되면서 블레이드의 외측면을 그립핑(gripping)하는 한 쌍의 그립핑 아암; 및 상기 그립핑 아암들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외표면에 접촉지지되어 진공의 흡착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의 외표면을 흡착하는 진공 흡착유닛을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진공 흡착유닛은, 다수의 진공홀이 형성되는 흡착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 흡착유닛은, 상기 그립핑 아암과 상기 흡착패드 사이에 배치되어 진공이 형성되는 경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흡착패드를 지지하는 패드 지지용 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패드의 진공홀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진공홀을 진공 유지시키는 진공 펌프; 상기 진공홀에 형성되는 진공의 정도를 감지하는 진공 감지부; 및 상기 진공 감지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진공 펌프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그립핑 아암과 연결되는 그립핑 바디; 및 상기 한 쌍의 그립핑 아암을 구동시키는 아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그립핑 아암 모두는, 상기 그립핑 바디에 연결되는 메인 링크 아암; 및 힌지에 의해 상기 메인 링크 아암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 링크 아암에 대하여 접철되는 서브 링크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암 구동부는, 상기 그립핑 바디와 상기 메인 링크 아암 사이에 연결되는 기어 박스; 및 상기 메인 링크 아암과 상기 서브 링크 아암에 연결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에 대한 상기 그립핑 아암의 그립핑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그립핑 아암의 그립핑 방향에 역 방향으로 저항하면서 상기 블레이드의 변형을 저지시키는 변형저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저지유닛은, 작업유체의 공급 또는 취출에 의해 부피 팽창 또는 부피 수축 가능한 변형저지용 튜브일 수 있다.
상기 변형저지유닛은, 상기 변형저지용 튜브의 부피 팽창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변형저지용 튜브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결합되어 해당 영역에서의 부피 팽창을 저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부피 팽창 저지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블레이드를 그립핑함으로써 블레이드가 변형되는 것을 저지하면서도 블레이드를 안정적으로 그립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가 적용될 풍력발전기의 정면도로서 하나의 블레이드가 설치되기 전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에 의해 블레이드가 그립핑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에 의해 블레이드가 그립핑 해제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블레이드에 대한 변형 단면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7에 적용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의 변형저지유닛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에 의해 블레이드가 그립핑된 상태의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가 적용될 풍력발전기의 정면도로서 하나의 블레이드가 설치되기 전 상태의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풍력발전기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풍력발전기는 나셀(nacelle, 미도시)에 연결되고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블레이드(110, blade)와, 나셀과 블레이드(110)의 축 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타워(101, tower)를 포함한다.
블레이드(110)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면서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일종의 날개이다. 허브(102)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블레이드(110)는 바람에 의해 쉽게 회전될 수 있도록 유선형의 날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2개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풍력발전기에는 3개의 블레이드(110)가 적용되고 있지만 이의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허브(102)는 다수의 블레이드(110)가 연결되는 장소이다. 허브(102)와 다수의 블레이드(110)를 통틀어 로터(rotor)라 부르기도 한다.
허브(102)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측면에서 바라볼 때는 돔(dom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허브(102)에는 블레이드(110)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동력을 발생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나셀(nacelle, 미도시)이 연결되며, 나셀은 나셀 커버(103, nacelle cover)에 의해 보호된다.
앞서도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나셀은, 블레이드(110)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동력을 발생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등 풍력발전기를 구동시키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계부품들, 예컨대 메인 샤프트(main shaft), 기어 박스(gear box, 미도시), 제너레이터(generator, 미도시)와 같은 기계부품들이 구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체를 통틀어 부르는 이름이다.
나셀 커버(103)는 나셀의 외부에 결합되어 나셀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나셀 커버(103)는 외기에 그대로 노출되어 눈, 비 혹은 햇볕 등에 상시 노출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강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나셀 커버(103)는 내구성이 우수한 비금속 혹은 금속 복합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타워(101)는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축으로서, 다수의 블레이드(110), 허브(102), 나셀 및 나셀 커버(103) 등의 구조물에 대한 축 방향 하중을 지지한다. 타워(101)는 위치별로 아랫부분의 로워 타워(101a, lower tower)와, 윗부분의 어퍼 타워(101b, upper tower)로 구분될 수 있다.
타워(101) 역시, 블레이드(110)와 마찬가지로 내부가 빈 파이프(pipe) 형의 구조물이며, 타워(101)의 내부 빈 공간을 통해 케이블(cable) 등이 통과된다. 케이블은 송전용 파워 케이블(power cable), 통신용 케이블(cable)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일 수 있다.
한편, 사이즈 혹은 크기가 작은 풍력발전기의 경우에는 설치에 어려움이 없지만, 예컨대 타워(101)의 길이가 대략 100 미터(m) 내외이고 블레이드(110)의 길이 역시 타워(101)에 준하는 길이를 갖는 대형 풍력발전기의 경우, 도 1처럼 허브(102)에 블레이드(110)를 설치하는 설치 작업이 그리 용이한 것은 아니다.
특히, 해상과 같이 작업 환경이 열악한 장소에서 타워(101)의 상단부에 결합된 허브(102)에 블레이드(110)를 설치하는 작업은 만만치 않다. 따라서 실제 적용 중이거나 혹은 적용 예상에 있는 블레이드(110) 설치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다만, 어떠한 기술을 사용하더라도 일단은 블레이드(110)를 그립핑(gripping)해야 하는데, 이처럼 블레이드(110)를 그립핑할 때에는 블레이드(110)가 분리되지 않도록 블레이드(110)를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그립핑해야 한다.
하지만,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블레이드(110)를 너무 과도하게 그립핑할 경우,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물인 블레이드(110)의 측벽이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변형될 우려가 높다.
만약, 블레이드(110)가 변형되면 공기 역학적으로 설계된 형상에서 어긋나기 때문에 동작 시 소음 및 진동을 유발하는 등 바람의 운동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입력받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감안한, 즉 블레이드(110)의 변형을 저지시키면서 블레이드(110)를 안정적으로 그립핑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120)가 제안된다.
도 2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에 의해 블레이드가 그립핑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4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에 의해 블레이드가 그립핑 해제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5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120)는,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되면서 블레이드(110)의 외측면을 그립핑(gripping)하는 한 쌍의 그립핑 아암(132)과, 그립핑 아암(132)들의 단부에 마련되며, 블레이드(110)의 외표면에 접촉지지되어 진공의 흡착력에 의해 블레이드(110)의 외표면을 흡착하는 진공 흡착유닛(135)을 포함한다.
그립핑 아암(132)은 그립핑 바디(131)에 연결되며, 아암 구동부(133,134)에 의해 도 2 및 도 4처럼 집게 방식으로 구동된다.
그립핑 바디(131)는 크레인 등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한 쌍의 그립핑 아암(132)과 아암 구동부(133,134)를 지지한다.
한 쌍의 그립핑 아암(132)은 마치 집게 타입으로서, 아암 구동부(133,134)의 동작에 기초하여 도 2처럼 상호간 접근되면서 블레이드(110)를 그립핑하거나 도 4처럼 상호간 이격되면서 블레이드(110)를 그립핑 해제한다.
한 쌍의 그립핑 아암(132) 모두는 동일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그립핑 아암(132) 모두는, 그립핑 바디(131)에 연결되는 메인 링크 아암(132a)과, 힌지(132c)에 의해 메인 링크 아암(132a)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며, 메인 링크 아암(132a)에 대하여 접철되는 서브 링크 아암(132b)을 포함할 수 있다.
아암 구동부(133,134)는 한 쌍의 그립핑 아암(132)을 집게 형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아암 구동부(133,134)는 그립핑 바디(131)와 메인 링크 아암(132a) 사이에 연결되는 기어 박스(133)와, 메인 링크 아암(132a)과 서브 링크 아암(132b)에 연결되는 액추에이터(134)를 포함할 수 있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기어 박스(133)는 스퍼기어, 헬리컬 기어, 베벨 기어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기어 박스(133)는 한 쌍의 기어(133a,13b), 즉 구동기어(133a)와 피동기어(133b)로 적용될 수 있으며, 구동기어(133a)에 모터 등을 연결하여 구동기어(133a)를 동작시킴에 따라 피동기어(133b)가 따라 돌면서 한 쌍의 그립핑 아암(132)이 집게 형식으로 동작되도록 하고 있다.
액추에이터(134)는 힘이 강한 유압 실린더일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공압이나 유공압 복합 실린더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에, 기어 박스(133)와 액추에이터(134)가 일 방향으로 동작되면 한 쌍의 그립핑 아암(132)이 도 2처럼 상호간 접근되면서 블레이드(110)를 그립핑할 수 있고, 기어 박스(133)와 액추에이터(134)가 역 방향으로 동작되면 도 4처럼 한 쌍의 그립핑 아암(132)이 블레이드(110)를 그립핑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진공 흡착유닛(135)은, 그립핑 아암(132)들의 단부에 마련되며, 블레이드(110)의 외표면에 접촉지지되어 진공의 흡착력에 의해 블레이드(110)의 외표면을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진공 흡착유닛(135)은, 다수의 진공홀(136a)이 형성되는 흡착패드(136)와, 그립핑 아암(132), 즉 서브 링크 아암(132b)과 흡착패드(136) 사이에서 배치되어 진공이 형성되는 경로를 형성하면서 흡착패드(136)를 지지하는 패드 지지용 헤드(137)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패드 지지용 헤드(137) 없이 흡착패드(136)만을 그립핑 아암(132)들의 단부에 마련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처럼 패드 지지용 헤드(137)가 마련되는 것이 흡착패드(136)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데에 보다 유리할 수 있고, 또한 진공홀(136a)들의 진공 경로를 형성하는 데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도 3과 같이 흡착패드(136)의 진공홀(136a)들에 진공이 형성되기 위해 흡착패드(136)의 진공홀(136a)을 통해 공기를 빨아들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도 5처럼 진공 펌프(181), 진공 감지부(182) 및 컨트롤러(183)가 마련된다.
진공 펌프(181)는 흡착패드(136)의 진공홀(136a)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홀(136a)을 진공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고, 진공 감지부(182)는 진공홀(136a)에 형성되는 진공의 정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83)는 진공 감지부(182)의 정보에 기초하여 진공 펌프(181)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3)는, 중앙처리장치(183a, CPU), 메모리(183b, MEMORY), 서포트 회로(183c,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3a)는 본 실시예에서 진공 감지부(182)의 정보에 기초하여 진공 펌프(181)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3b,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3a)와 연결된다. 메모리(183b)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83c,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3a)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c)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진공 감지부(182)의 정보에 기초하여 진공 펌프(181)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3b)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3b)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12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기어 박스(133)와 액추에이터(134)가 일 방향으로 동작된다. 그러면 한 쌍의 그립핑 아암(132)이 도 2처럼 서로 접근되면서 블레이드(110)의 외측면에 인접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처럼 컨트롤러(183)의 컨트롤에 따라 진공 펌프(181)가 동작되어 흡착패드(136)의 진공홀(136a)을 통해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진공홀(136a)들을 진공 유지시킨다.
진공홀(136a)들이 진공 유지되면 이와 같은 진공의 흡착력에 의해 흡착패드(136)가 블레이드(110)의 외표면에 접촉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블레이드(110)를 그립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그립핑 아암(132)이 블레이드(110)의 외표면에 근접되어 흡착패드(136)가 블레이드(110)의 외표면에 접촉지지되도록 한 상태로 1차 동작된 이후에 흡착패드(136)의 진공홀(136a)을 통한 진공의 흡착력에 의해 블레이드(110)를 그립핑하기 때문에 종전처럼 블레이드(110)의 그립핑을 위한 강한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블레이드(110)를 안정적으로 그립핑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110)의 변형의 효율적으로 저지시킬 수 있게 된다.
블레이드(110)를 그립핑한 후, 블레이드(110)에 대한 설치를 완료하고 나면 도 4처럼 기어 박스(133)와 액추에이터(134)의 역 방향 동작으로 블레이드(110)의 그립핑을 해제시키면 된다. 또한 이 경우에 컨트롤러(183)의 컨트롤에 따라 진공 펌프(181)의 동작이 정지될 수 있고, 따라서 흡착패드(136)의 진공홀(136a)을 통한 공기 흡입이, 블레이드(110)의 그립핑 해제 전 또는 해제와 함께 정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블레이드(110)를 그립핑함으로써 블레이드(110)가 변형되는 것을 저지하면서도 블레이드(110)를 안정적으로 그립핑할 수 있게 된다.
실제, 본 실시예가 적용되면 과도한 가압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진공의 흡착력에 의해 블레이드(110)를 안정적으로 그립핑할 수 있게 되는데, 특히 바람이 강한 해상에서 블레이드(110)의 설치 시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120a)의 경우,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에 더하여 변형저지유닛(170)을 더 포함하고 있다.
변형저지유닛(170)은 블레이드(110)에 대한 한 쌍의 그립핑 아암(132)의 그립핑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블레이드(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한 쌍의 그립핑 아암(132)의 그립핑 방향에 역 방향으로 저항하면서 블레이드(110)의 변형을 저지시키는 변형저지유닛(170)을 포함한다.
블레이드(110)를 그립핑할 때, 일단은 한 쌍의 그립핑 아암(132)이 서로 접근되면서 흡착패드(136)가 블레이드(110)의 외표면에 접촉지지되도록 한 상태로 1차 동작되어야 하는데, 이때 한 쌍의 그립핑 아암(132)의 힘에 의해 블레이드(110)의 측벽이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도 6처럼 변형저지유닛(170)이 블레이드(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바깥쪽으로 저항하게 되면 그립핑 아암(132)에 의한 블레이드(110)의 그립핑 압력을 상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110)가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시킬 수 있다. 즉 한 쌍의 그립핑 아암(132)의 압력에 의해 블레이드(110)의 측벽이 안쪽으로 휘어지면서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변형저지유닛(170)은 작업유체, 예컨대 유압의 공급 또는 취출에 의해 부피 팽창 또는 부피 수축 가능한 변형저지용 튜브로 적용된다. 이하, 편의를 위해, 변형저지유닛(170)을 변형저지용 튜브로 설명하면서 참조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한다.
참고로, 블레이드(110)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타워(102)와 달리 강성이 있으면서도 가벼워야 하기 때문에 비금속 재질로 제작되는데, 이때 블레이드(110)가 변형되지 않도록 블레이드(110) 내부에는 보강리브(111)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변형저지용 튜브(170)는 보강리브(111)에 의해 구획되는 각 스페이서 모두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다수의 스페이서 중에서 선택된 곳에만 변형저지용 튜브(170)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변형저지용 튜브(170)를 설치할 때는 블레이드(110)의 내부에서 팽창이 되지 않은 일반적인 상태로 존재하나 블레이드(110)에 대한 그립핑 작업이 진행될 때에는 도 6처럼 부피 팽창되면서 블레이드(110)의 바깥쪽으로 저항함으로써 블레이드(110)의 그립핑 압력을 상쇄시켜 블레이드(110)의 변형을 저지시킬 수 있다.
도 7은 블레이드에 대한 변형 단면 구조도이고, 도 8은 도 7에 적용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의 변형저지유닛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의 블레이드(210)의 경우, 그 내부에 다수의 보강리브(211,212)가 마련될 수 있으며, 다수의 보강리브(211,212)로 인해 블레이드(210)의 내부가 2개 이상이 스페이스(S1~S3)로 구획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변형저지유닛(270)은 각 스페이스(S1~S3)에 하나씩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지만 변형저지유닛(270)이 한 쌍의 그립핑 아암(132)의 압력 혹은 흡착패드(136)의 작업유체 압력(A)에 역 방향으로 저항하면 되기 때문에 이러한 그립핑 압력(A)이 제공되는 곳에만 배치되어도 충분하다.
즉 도 7의 경우, 그립핑 압력(A)이 제공되는 제2 스페이스(S2)에만 변형저지유닛(270)이 배치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변형저지유닛(270)이 동작될 때의 힘, 다시 말해 부피 팽창에 따른 압력은 그립핑 압력(A)에 역 방향인 도 7의 B 방향으로 작용하면 충분하며, 불필요하게 C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질 필요는 없다. 실제, C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질 경우, 보강리브(211,212)들이 휘어지는 폐단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변형저지유닛(270)을 도 8과 같이 적용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변형저지유닛(270)은, 작업유체의 공급 또는 취출에 의해 부피 팽창 또는 부피 수축 가능한 변형저지용 튜브(271)와, 변형저지용 튜브(271)의 부피 팽창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해 변형저지용 튜브(271)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결합되어 해당 영역에서의 부피 팽창을 저지시키는 부피 팽창 저지벽체(272)를 포함한다.
이때, 부피 팽창 저지벽체(272)는 변형저지용 튜브(271)의 외측면에서 한 쌍의 그립핑 아암(132)의 그립핑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변형저지유닛(270)이 적용되면, 변형저지용 튜브(271) 내로 작업유체가 공급될 때, 변형저지용 튜브(271)가 도 7의 B 방향으로만 부피 팽창하면서 그립핑 압력(A)에 역 방향으로 저항하기 때문에 효율적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에 의해 블레이드가 그립핑된 상태의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기어 박스(333)는 서로 치합되는 한 쌍의 무동력 기어(333a,333b)와, 한 쌍의 그립핑 아암(132)에 연결되는 액추에이터(333c)를 포함한다.
이때의 액추에이터(333c)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액추에이터(333c)가 동작됨에 따라 한 쌍의 그립핑 아암(132)이 집게 형식으로 동작될 수 있는데, 이때의 무동력 기어(333a,333b)는 한 쌍의 그립핑 아암(132)의 동작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의 기어 박스(333)가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1 : 타워 102 : 허브
103 : 나셀 커버 110 : 블레이드
120 :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131 : 그립핑 바디
132 : 그립핑 아암 132a : 메인 링크 아암
132b : 서브 링크 아암 132c : 힌지
133,134 : 아암 구동부 135 : 진공 흡착유닛
136 : 흡착패드 137 : 패드 지지용 헤드
170 : 변형저지유닛 181 : 진공 펌프
182 : 진공 감지부 183 : 컨트롤러

Claims (10)

  1.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되면서 블레이드의 외측면을 그립핑(gripping)하는 한 쌍의 그립핑 아암; 및
    상기 그립핑 아암들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외표면에 접촉지지되어 진공의 흡착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의 외표면을 흡착하는 진공 흡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진공 흡착유닛은,
    다수의 진공홀이 형성되는 흡착패드; 및
    상기 그립핑 아암과 상기 흡착패드 사이에 배치되어 진공이 형성되는 경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흡착패드를 지지하는 패드 지지용 헤드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패드의 진공홀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진공홀을 진공 유지시키는 진공 펌프;
    상기 진공홀에 형성되는 진공의 정도를 감지하는 진공 감지부; 및
    상기 진공 감지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진공 펌프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그립핑 아암과 연결되는 그립핑 바디; 및
    상기 한 쌍의 그립핑 아암을 구동시키는 아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그립핑 아암 모두는,
    상기 그립핑 바디에 연결되는 메인 링크 아암; 및
    힌지에 의해 상기 메인 링크 아암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 링크 아암에 대하여 접철되는 서브 링크 아암을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구동부는,
    상기 그립핑 바디와 상기 메인 링크 아암 사이에 연결되는 기어 박스; 및
    상기 메인 링크 아암과 상기 서브 링크 아암에 연결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에 대한 상기 그립핑 아암의 그립핑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그립핑 아암의 그립핑 방향에 역 방향으로 저항하면서 상기 블레이드의 변형을 저지시키는 변형저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저지유닛은, 작업유체의 공급 또는 취출에 의해 부피 팽창 또는 부피 수축 가능한 변형저지용 튜브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저지유닛은,
    상기 변형저지용 튜브의 부피 팽창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변형저지용 튜브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결합되어 해당 영역에서의 부피 팽창을 저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부피 팽창 저지벽체를 더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KR1020120061257A 2012-06-08 2012-06-08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KR101334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257A KR101334334B1 (ko) 2012-06-08 2012-06-08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257A KR101334334B1 (ko) 2012-06-08 2012-06-08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4334B1 true KR101334334B1 (ko) 2013-11-28

Family

ID=4985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257A KR101334334B1 (ko) 2012-06-08 2012-06-08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3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9332A (zh) * 2018-12-10 2019-03-26 成都世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提升风力发电机单叶片的装置
CN110228749A (zh) * 2019-06-28 2019-09-13 扬州市神力吊具制造有限公司 一种溜尾夹具及溜尾吊装叶片的方法
KR20190115806A (ko) * 2018-04-04 2019-10-1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각 조절이 가능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측정시스템
KR20200127708A (ko) * 2019-05-03 2020-11-1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그리퍼 시스템
CN112638814A (zh) * 2018-09-13 2021-04-09 力富特Ip公司 转子叶片夹持工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030B1 (ko) * 2001-04-03 2003-09-03 (주)코에지 풍력발전기의 로터 블레이드 및 그 성형방법
KR20080071347A (ko) * 2007-01-30 2008-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레티클 그립퍼 및 이를 구비한 레티클 이송장치
US20100164243A1 (en) * 2008-12-29 2010-07-01 Albin Scott R Gripper system
US20110185571A1 (en) * 2010-01-14 2011-08-04 Karl Aage Maj Clamp for clamping a blade for a wind turbine and method of installing wind turbine blad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030B1 (ko) * 2001-04-03 2003-09-03 (주)코에지 풍력발전기의 로터 블레이드 및 그 성형방법
KR20080071347A (ko) * 2007-01-30 2008-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레티클 그립퍼 및 이를 구비한 레티클 이송장치
US20100164243A1 (en) * 2008-12-29 2010-07-01 Albin Scott R Gripper system
US20110185571A1 (en) * 2010-01-14 2011-08-04 Karl Aage Maj Clamp for clamping a blade for a wind turbine and method of installing wind turbine blades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806A (ko) * 2018-04-04 2019-10-1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각 조절이 가능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측정시스템
KR102081437B1 (ko) * 2018-04-04 2020-02-2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각 조절이 가능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태측정시스템
CN112638814A (zh) * 2018-09-13 2021-04-09 力富特Ip公司 转子叶片夹持工具
CN112638814B (zh) * 2018-09-13 2023-10-13 力富特Ip公司 转子叶片夹持工具
US11994102B2 (en) 2018-09-13 2024-05-28 Liftra Ip Aps Rotor blade clamping tool
CN109519332A (zh) * 2018-12-10 2019-03-26 成都世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提升风力发电机单叶片的装置
KR20200127708A (ko) * 2019-05-03 2020-11-1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그리퍼 시스템
KR102182345B1 (ko) * 2019-05-03 2020-11-2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그리퍼 시스템
US11584015B2 (en) 2019-05-03 2023-02-21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Gripper system
CN110228749A (zh) * 2019-06-28 2019-09-13 扬州市神力吊具制造有限公司 一种溜尾夹具及溜尾吊装叶片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334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JP5694380B2 (ja) 大規模垂直軸型風力発電装置、および風力発電装置
US8011887B2 (en) Rotor blade assembly
KR101358231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설치용 로봇
KR101411472B1 (ko)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CN101548102B (zh) 风力发电装置的螺距驱动装置以及风力发电装置
KR101346178B1 (ko) 풍력발전기용 로터 회전장치
JP3204736U (ja) 緩衝装置を有する風力発電機
KR20140001043A (ko) 풍력발전기용 로터 회전장치
CN202612004U (zh) 一种可抗强风的风力发电机桨叶
KR101358229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
KR101334335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KR20140000965A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
KR101334338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KR101348619B1 (ko) 충격완화유닛이 구비된 풍력발전기
KR101334336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KR101334337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KR101466092B1 (ko) 요잉 장치, 이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EP3771818B1 (en) A nacelle assembly for a wind turbine
KR101368799B1 (ko) 풍력발전기
KR101379722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KR101313810B1 (ko) 풍력발전기용 타워 및 블레이드 연결장치
KR101346175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조립로봇
KR101379724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조립로봇
US8092182B2 (en) Wind turbine blade suppor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