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622A - 양산 무기체계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양산 무기체계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622A
KR20190115622A KR1020180038532A KR20180038532A KR20190115622A KR 20190115622 A KR20190115622 A KR 20190115622A KR 1020180038532 A KR1020180038532 A KR 1020180038532A KR 20180038532 A KR20180038532 A KR 20180038532A KR 20190115622 A KR20190115622 A KR 20190115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ing test
environmental load
total
temperature
c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2646B1 (ko
Inventor
김장은
이수림
최종수
Original Assignee
국방기술품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기술품질원 filed Critical 국방기술품질원
Priority to KR1020180038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64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06F17/5086
    • G06F2217/16

Landscapes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목표 잔류결함밀도(DRemain (Goal)), 환경부하 선별시험 프로파일의 온도 유지 구간(tconstant), 온도변화율(△R), 및 진동크기(△G)에 기초하여, 환경부하 선별시험의 전체 소요시간(tTotal)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허용 온도범위(△T)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양산 무기체계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및 장치{Cost-effectiveness and optimized test design method and apparatus of mass production weapon system Environmental stress screening}
본 발명은 양산 무기체계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무기체계 제조를 위해 적용되는 수많은 생산 기술과 다양한 공정 환경으로 인해 다양한 결함이 무기체계 제조공정에 유입되고 있다. 이러한 초기 결함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무기체계 생산공정 중 유입된 결함요소를 환경부하(온도, 진동)를 활용하여 결함검출/제거/개선하기 위해 환경 부하 선별 시험을 수행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제조되는 전자장비-지향 양산 무기체계는 대부분 중견/중소기업에서 제조되어 체계업체(대기업) 납품을 하거나, 정부에 직접 납품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인적자원이 제한된 중견/중소기업에서 초기고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량적 환경 부하 선별 시험 설계 어려움 및 높은 시험 소요비용으로 환경 부하 선별 시험 수행하는데 제한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MIL-HDBK-344를 기반 정량적 환경 부하 선별 시험 설계의 어려움을 완화시키고자, 한 가지 입력변수(온도범위) 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 부하 선별 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를 제공할 수 있으며, 환경 부하 선별 시험에 소요되는 비용/시간의 최적 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장비-지향 양산 무기체계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가지 입력변수(온도범위) 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 부하 선별 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및 환경 부하 선별 시험에 소요되는 비용/시간의 최적 관리가 가능한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목표 잔류결함밀도(DRemain(Goal)), 환경부하 선별시험 프로파일의 온도 유지 구간(tconstant), 온도변화율(△R), 및 진동크기(△G)에 기초하여, 환경부하 선별시험의 전체 소요시간(tTotal)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허용 온도범위(△T)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환경부하 선별시험의 전체 소요시간(tTotal)은 아래 일반식 1로 결정될 수 있다.
[일반식 1]
일반식 1에서, ncycle은 온도부하 인가 주기 횟수, tvib는 진동부하 인가 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온도부하 인가 주기 횟수(ncycle)는, 아래 일반식 2로 결정될 수 있다.
[일반식 2]
일반식 2에서, PE는 유도효율을 나타낸다.
또한, 진동부하 인가 시간(tvib)은 아래 일반식 3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반식 3]
일반식 3에서, F는 시험종류에 따른 가중요소(직렬: 1, 병렬: 1.18)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유도효율(PE)은 아래 일반식 4로 결정될 수 있다.
[일반식 4]
일반식 4에서, DE는 검출효율, DLat는 잠재결함, DPat는 명백결함, DRemain(Goal)는 목표 잔류결함밀도를 나타낸다.
또한, 환경부하 선별시험의 전체 소요시간(tTotal)은 아래 일반식 5로 결정될 수 있다.
[일반식 5]
일반식 6에서, 온도변화율(△R), 및 진동크기(△G)는 각각, 최대 온도변화율 및 최대 진동크기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최대 온도변화율 및 최대 진동크기에 기반하여 일반식 6을 통해 산출된 이론적 최소값과 가장 가까운 주기 기반 최저 시험시간을 환경부하 선별시험의 전체 소요시간(tTotal)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검출효율(DE)은 검사유형, 검사 중 환경 조건, 및 결합 발견/제거 능력의 곱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환경 부하 선별 시험 소요시간(tTotal)에 따른 온도 변화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되, 온도 상승 구간과 온도 하강 구간 사이에, 온도 무변화 구간을 포함하도록 온도 변화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 결함밀도(DIn), 목표 잔류결함밀도(DRemain(Goal)), 및 온도 유지 구간(tconstant)을 결정하는 단계; 양산 무기체계 제조업체 공정능력에 따라 온도 부하의 결함검출효율(DEtemp) 및 진동 부하의 결함검출효율(DEvib)를 결정하는 단계; 및 환경부하 선별시험 프로파일의 온도변화율(△R), 및 진동크기(△G)에 기초하여, 환경부하 선별시험의 전체 소요시간(tTotal)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허용 온도범위(△T)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온도변화율(△R), 및 진동크기(△G)는 각각, 최대 온도변화율 및 최대 진동크기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 결함밀도(DIn), 목표 잔류결함밀도(DRemain(Goal)), 온도 유지 구간(tconstant)을 각각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환경부하 선별시험 프로파일의 온도변화율(△R), 및 진동크기(△G)에 기초하여, 환경부하 선별시험의 전체 소요시간(tTotal)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허용 온도범위(△T)를 산출하기 위한 산출부를 포함하는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장치는 환경부하 선별시험의 전체 소요시간(tTotal), 온도변화율(△R), 허용 온도범위(△T)에 기초하여 환경부하 선별시험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프로파일(profile) 생성부 및 생성된 프로파일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및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한 가지 입력변수(온도범위) 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 부하 선별 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및 환경 부하 선별 시험에 소요되는 비용/시간의 최적 관리가 가능하다.
도 1은 환경부하 선별 시험 변수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검출 효율 매개변수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3은 공정 능력에 따른 유도효율의 결정 변수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4는 환경 부하 선별 시험 효과도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5는 환경 부하 선별 시험 효과도 적용 부하별 비교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매개변수 정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7은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부하종류에 따른 환경 부하 선별 시험 모델 및 매개변수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9는 도 7에 따라 산정된 온도 및 진동범위 기반 환경 부하 선별 시험 시간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7에 따라 산정된 환경부하 선별 시험 등고선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7에 따라 산정된 환경부하 선별 시험 등고선 그래프이다.
도 12는 도 7에 따라 산정된 환경부하 선별 시험 프로파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및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환경 부하 선별(ESS: Environmental Stress Screening) 시험이란 온도 주기 또는 진동과 같은 환경 영향을 발생시키는 일련의 과정으로, 기계, 전자 복합장비 고장 원인이 되는 잠재 결함을 유발하기 위한 시험이다. 현대 무기체계에 적용되는 수많은 생산 기술과 다양한 공정 환경으로 인해 다양한 결함이 무기체계 제조공정에 유입되고 있다.
이렇게 제조공정에 유입되는 결함 중 육안 검사, 기능 시험 등 기존 품질 관리 절차를 통해 검출할 수 있는 “명백결함”과 무기체계 복잡성과 제조공정의 복잡도로 기존 품질 관리 방식으로 검출이 제한되는 “잠재결함” 2가지 종류가 있다. 이 2가지 결함 중 생산공정에서 검출되지 않은 “명백결함” 일부와 “잠재결함“이 무기체계에 잔류된 상태로 출고가 되고, 이러한 결함은 무기체계 운용 초기에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초기 결함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무기체계 생산공정 중 부품/구성품/완성품에 온도 주기 또는 진동과 같이 환경요소를 활용하면, “명백결함” 및 “잠재결함”을 초기에 유발시켜 결함을 검출하고, 제거하여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환경부하 선별 시험 변수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입력결함밀도(DIn)는 명백결함(DPat), 잠재결함(DLat)의 매개변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품 공정 중 유입되는 결함을 의미한다. 또한, 입력 결합밀도는 명백결함(DPat)과 잠재결함(DLat)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DIn=명백결함(DPat) + 잠재결함(DLat)). 예를 들어, MIL-HDBK-344의 정의에 따르면, 입력 결합밀도의 명백결합과 잠재결합의 비율은 각각 50%로 결정될 수 있다.
도 2는 공정 능력에 따른 검출효율의 결정 변수를 나타내는 표이고, 도 3은 유도 효율 매개변수를 나타내는 표이다.
환경 부하 선별 시험은 환경 부하 선별 시험을 통해 복잡 전자장비에 유입되는 명백결함을 검출하고 제거하는 능력에 대한 척도로 정의되는 결함검출효율(DE)과 잠재결함을 명백결함 형태로 유도시켜 검출 가능한 상태로 만들 수 있는 척도로 정의되는 결함유도효율(PE)로 나타낸다. 명백결함을 검출하고 제거하는 결함검출효율(DE)은 검사유형, 검사 중 환경 조건, 및 결합 발견/제거 능력의 곱으로 결정될 수 있다.
잠재결함을 명백결함 형태로 유도해서 검출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주는 검출유도효율(PE)은 부하 지속시간의 함수로 온도부하와 진동부하에 따라 나눌 수 있으며, 온도부하에 관한 유도효율(PETemp)은 일반식 6과 같다.
[일반식 6]
도 3을 참조하면, k는 온도부하 유형에 따라 결정되고, ncycle은 온도부하 인가 주기횟수이다.
진동부하에 관한 유도효율(PEVib)은 일반식 7과 같다.
[일반식 7]
일반식 7에서, t vib는 분 단위 진동부하 인가 시간, k는 진동부하 유형에 따라 달라지고, F는 가중요소로 환경 부하 선별 시험 시 온도부하와 진동부하를 직렬로 수행항 경우 1이며, 병렬로 수행할 경우 1.18 이다. ‘환경 부하 선별 시험 결과’는 환경 부하 선별 시험을 통해 제거되지 않고 여전히 전자장비에 남아있는 결함을 잔류결함밀도(DRemain)이라 하며, 아래 일반식 8과 같다.
[일반식 8]
또한, 환경 부하 선별 시험을 통해 제거된 결함밀도를 제거결함밀도(DRemove)라 하면 아래 일반식 9와 같다.
[일반식 9]
한편, 환경 부하 선별 양산 신뢰성 시험 비용 최적화를 위해 환경 부하 선별 비용 모델(SCST)을 적용할 수 있으며, 아래 일반식 10과 같다.
[일반식 10]
여기서 EC는 장비비용, SC1는 복잡 전자장비 환경 부하 선별 시험 절차 비용, CS는 조사 및 분석 비용, FC는 결함검출 실패 비용이다. 일반식 10의 환경 부하 선별 비용 모델에서 시험에 따른 비용 변수는 복잡 전자장비 환경 부하 선별 절차 비용(SCI)으로 아래 일반식 11과 같다.
[일반식 11]
여기서 SCL은 노무비, SCA는 관리비이며, 환경 부하 선별 시험 최소소요 시간이 산정될 경우, 시험 소요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4는 환경 부하 선별 시험 효과도 적용 부하별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고, 도 5는 환경 부하 선별 시험 효과도 비교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의 (a)는 주기온도/일정온도의 비교 그래프이고, 도 5의 (b)는 랜덤 진동, 스워프 사인 진동, 고정 사인 진동의 비교 그래프이다.
시험 소요비용 최소화를 위해 환경 부하 선별 시험 소요시간(ttotal)을 최소화 하여야 하며, 온도 부하 유형(Temperature Cycling)과 진동 부하 유형(Random Vibration)을 적용 시 최소 시험 소요시간을 확보 할 수 있음을 도 4 및 도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목표 잔류결함밀도(DRemain (Goal)), 환경부하 선별시험 프로파일의 온도 유지 구간(tconstant), 온도변화율(△R), 및 진동크기(△G)에 기초하여, 환경부하 선별시험의 전체 소요시간(tTotal)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허용 온도범위(△T)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환경부하 선별시험의 전체 소요시간(tTotal)은 아래 일반식 1로 결정될 수 있다.
[일반식 1]
일반식 1에서, ncycle은 온도부하 인가 주기 횟수, tvib는 진동부하 인가 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온도부하 인가 주기 횟수(ncycle)는, 아래 일반식 2로 결정될 수 있다.
[일반식 2]
일반식 2에서, PE는 유도효율을 나타낸다.
또한, 진동부하 인가 시간(tvib)은 아래 일반식 3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반식 3]
일반식 3에서, F는 시험종류에 따른 가중요소(직렬: 1, 병렬: 1.18)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유도효율(PE)은 아래 일반식 4로 결정될 수 있다.
[일반식 4]
일반식 4에서, DE는 검출효율, DLAT는 잠재결함, DPAT는 명백결함, DRemain(Goal)는 목표 잔류결함밀도를 나타낸다.
또한, 환경부하 선별시험의 전체 소요시간(tTotal)은 아래 일반식 5로 결정될 수 있다.
[일반식 5]
일반식 5에서, 온도변화율(△R), 및 진동크기(△G)는 각각, 최대 온도변화율 및 최대 진동크기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최대 온도변화율 및 최대 진동크기에 기반하여 일반식 5을 통해 산출된 이론적 최소값과 가장 가까운 주기 기반 최저 시험시간을 환경부하 선별시험의 전체 소요시간(tTotal)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매개변수 정보를 나타내는 표이고, 도 7은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복잡 전자장비 설계 허용 가능 최대 온도변화율(Rproduct(Maximum))과 허용 가능 최대 진동크기((Gproduct(Maximum)))하에 독립변수 온도범위(△T))를 통해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된 부하 선별 시험 전체 소요시간(ttotal)을 구할 수 있다. 제안된 환경 부하 선별 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수행을 위한 사전 정의 변수는 도 6과 같으며, 예시적인 전체 알고리즘 구조는 도 7과 같다.
도 8은 부하종류에 따른 환경 부하 선별 시험 모델 및 매개변수를 나타내는 표이다.
본 특허에서 제안한 환경 부하 선별 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에 대한 유효성 확인 시나리오는 도 8과 같다.
도 9는 도 7에 따라 산정된 온도 및 진동범위 기반 환경 부하 선별 시험 시간 그래프이다.
환경 부하 선별 시험 설계를 위한 첫 번째 순서는 복잡 전자장비 결함밀도 또는 복잡 전자장비 제조사 품질경영 운영 체계 중 고장 보고 분석 및 시정조치 체계(Failure Reporting and Corrective Action System, FRACAS)로부터 양산된 복잡 전자장비에 인가되는 입력결함밀도(e.g. DIn=10)를 산정한다. 이어서 양산 복잡 전자장비에 유입된 결함밀도를 얼마나 제거할 것인가에 대한 목표 잔류 결함밀도 선정(DRemain= DIn x 0.3) 및 온도 유지구간(분 단위)(tconstant=5min)를 선정한다.
두 번째 순서는 부하 종류에 따른 변수값 선정으로 온도 및 진동 부하의 결함검출효율 경우 양산 복잡 전자장비 제조업체 공정능력(DEtemp=0.9, DEvib=0.9)에 따라 선정하고, 내환경 제품 설계 정보 기반으로 온도변화율(△R=0~10℃/min), 허용온도범위(△T=0~150℃), 그리고 허용진동크기(△G=0~15Grms)를 정의한다.
마지막으로 환경 부하 선별 시험 수행 시 온도부하와 진동부하를 동시(F=1.18)에 인가한다. 앞서 설명한 각 변수를 독립변수 온도범위(△?T=△?Tproduct)와 진동크기(G=Gproduct) 기반으로 일반식 5 기반 종속변수 환경 부하 선별 시험 전체 소요시간(ttotal) 확인 결과는 도 9와 같다. 이어서 환경 부하 선별 시험 소요시간 대비 양산 복잡 전자장비에 유입되는 입력결함밀도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허용 가능한 최대 진동부하크기(Gproduct (Maximum))를 인가한다.
도 10은 도 7에 따라 산정된 환경부하 선별 시험 등고선 그래프이고, 도 11은 도 7에 따라 산정된 환경부하 선별 시험 등고선 그래프이며, 도 12는 도 7에 따라 산정된 환경부하 선별 시험 프로파일 그래프이다.
양산 복잡 전자장비 허용 가능한 최대 진동 부하(Gproduct (Maximum)=15Grms) 대한 온도범위에 따른 환경 부하 선별 시험 전체 소요시간은 도 10 및 도 11과 같다.
온도범위와 진동크기에 따른 환경 부하 선별 시험 전체 소요시간 등고선 결과는 도 10과 같으며, 최대 진동 부하(Gproduct (Maximum)=15Grms) 인가 기반 온도범위(△?T=△?Tproduct(Gprodunt=15Grms))에 따른 환경 부하 선별 시험 전체 소요시간(ttotal) 결과는 도 11과 같다.
이론적 최소값(표시: *)(min ttotal ( Gproduct = 15Grms ), 0=△?Tproduct ( Gprodunt = 15Grms ) =150) 시험시간은 176.6분이다. 일반적으로 주기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환경 부하 선별 시험 프로파일을 이론적 최소값으로 설계할 경우 주기형태의 프로파일 구성에 제한이 있어 주기에 따른 환경 부하 선별 시험 프로파일을 선택해야 하며, 주기에 따른 소요시간(표시:o)은 도 11과 같다. 이러한 제한 조건하에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를 수행하기 위해 이론적 최소값 시험시간과 주기 기반 시험시간 중 최소잔차값(Minimum Residual value)을 가지는 주기 기반 시험시간(표시: □)(5주기/시험시간: 177분)을 선택한다. 본 과정을 통해 양산 복잡 전자장비 환경 부하 선별 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된 시험 프로파일을 도 12와 같이 산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경 부하 선별 시험 소요시간(tTotal)에 따른 온도 변화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되, 도 12를 참조하면, 온도 상승 구간과 온도 하강 구간 사이에, 온도 무변화 구간을 포함하도록 온도 변화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목표 잔류결함밀도(DRemain (Goal)), 환경부하 선별시험 프로파일의 온도 유지 구간(tConstant), 온도변화율(△R), 및 진동크기(△G)에 기초하여, 환경부하 선별시험의 전체 소요시간(tTotal)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허용 온도범위(△T)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환경부하 선별시험의 전체 소요시간(tTotal)은 아래 일반식 1로 결정되는,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일반식 1]

    일반식 1에서, ncycle은 온도부하 인가 주기 횟수, tvib는 진동부하 인가 시간을 나타낸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부하 인가 주기 횟수(ncycle)는, 아래 일반식 2로 결정되는,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일반식 2]

    일반식 2에서, PE는 유도효율을 나타낸다.
  4. 제 2 항에 있어서,
    진동부하 인가 시간(tvib)은 아래 일반식 3으로 결정되는,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일반식 3]

    일반식 3에서, F는 시험종류에 따른 가중요소(직렬: 1, 병렬: 1.18)를 나타낸다.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효율(PE)은 아래 일반식 4로 결정되는,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일반식 4]

    일반식 4에서, DE는 검출효율, DLat는 잠재결함, DPat는 명백결함, DRemain(Goal)는 목표 잔류결함밀도를 나타낸다.
  6. 제 1 항에 있어서,
    환경부하 선별시험의 전체 소요시간(tTotal)은 아래 일반식 5로 결정되는,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일반식 5]
  7. 제 6 항에 있어서,
    일반식 5에서, 온도변화율(△R), 및 진동크기(△G)는 각각, 최대 온도변화율 및 최대 진동크기로 결정되는,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최대 온도변화율 및 최대 진동크기에 기반하여 일반식 5을 통해 산출된 이론적 최소값과 가장 가까운 주기 기반 최저 시험시간을 환경부하 선별시험의 전체 소요시간(tTotal)으로 선택하는,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검출효율(DE)은 검사유형, 검사 중 환경 조건, 및 결합 발견/제거 능력의 곱으로 결정되는,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환경 부하 선별 시험 소요시간(tTotal)에 따른 온도 변화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되, 온도 상승 구간과 온도 하강 구간 사이에, 온도 무변화 구간을 포함하도록 온도 변화 그래프를 생성하는,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11. 입력 결함밀도(DIn), 목표 잔류결함밀도(DRemain (Goal)), 및 온도 유지 구간(tconstant)을 결정하는 단계;
    양산 무기체계 제조업체 공정능력에 따라 온도 부하의 결함검출효율(DEtemp) 및 진동 부하의 결함검출효율(DEvib)를 결정하는 단계; 및
    환경부하 선별시험 프로파일의 온도변화율(△R), 및 진동크기(△G)에 기초하여, 환경부하 선별시험의 전체 소요시간(tTotal)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허용 온도범위(△T)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온도변화율(△R), 및 진동크기(△G)는 각각, 최대 온도변화율 및 최대 진동크기로 결정되는,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13. 입력 결함밀도(DIn), 목표 잔류결함밀도(DRemain (Goal)), 온도 유지 구간(tconstant)을 각각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환경부하 선별시험 프로파일의 온도변화율(△R), 및 진동크기(△G)에 기초하여, 환경부하 선별시험의 전체 소요시간(tTotal)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허용 온도범위(△T)를 산출하기 위한 산출부를 포함하는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환경부하 선별시험의 전체 소요시간(tTotal), 온도변화율(△R), 진동크기(△G), 허용 온도범위(△T)에 기초하여 환경부하 선별시험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프로파일(profile) 생성부; 및
    생성된 프로파일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장치.

KR1020180038532A 2018-04-03 2018-04-03 양산 무기체계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및 장치 KR102032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532A KR102032646B1 (ko) 2018-04-03 2018-04-03 양산 무기체계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532A KR102032646B1 (ko) 2018-04-03 2018-04-03 양산 무기체계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622A true KR20190115622A (ko) 2019-10-14
KR102032646B1 KR102032646B1 (ko) 2019-10-15

Family

ID=6817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532A KR102032646B1 (ko) 2018-04-03 2018-04-03 양산 무기체계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6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2203A (zh) * 2020-01-16 2020-06-09 国网山西省电力公司晋城供电公司 一种弧垂调整一体化调整板的处理方法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428A (ko) 2020-07-01 2022-01-10 김민찬 개발되는 군용장비의 설계변경의 적절성 평가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장은, '양산 무기체계 환경 부하 선별 시험 효과도 분석 및 프로파일 설계 자동화 도구 구현'.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8), 2016년8월, pp.379-388. 1부.* *
비특허문헌(품질경영학회지) *
비특허문헌(한국품질경영학회)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2203A (zh) * 2020-01-16 2020-06-09 国网山西省电力公司晋城供电公司 一种弧垂调整一体化调整板的处理方法和装置
CN111262203B (zh) * 2020-01-16 2021-05-18 国网山西省电力公司晋城供电公司 一种弧垂调整一体化调整板的处理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646B1 (ko) 201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0531B2 (en) Model based system monitoring
KR102032646B1 (ko) 양산 무기체계 환경 부하 선별시험 비용 대비 효과도 최적 설계 방법 및 장치
JP5944241B2 (ja) 連想記憶方式を用いて監視対象システムの健全性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監視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Meruane Online sequential extreme learning machine for vibration-based damage assessment using transmissibility data
KR20170039906A (ko) 다양한 진동 스펙트럼 패턴에 대응 가능한 주파수 영역의 피로 손상도 계산방법
Menon et al. Defence standard 00-56 issue 4: Towards evidence-based safety standards
Li et al. Critical review of US Military environmental stress screening (ESS) handbook
WO2020162425A1 (ja) 解析装置、解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all’Ora et al. Industrial-iot data analysis exploiting electronic design automation techniques
Braden et al. A prognostic and data fusion based approach to validating automotive electronics
KR101928806B1 (ko) 환경 부하 선별시험 프로파일 설계 장치 및 방법
US11886831B2 (en) Data sorting device and method, and monitoring and diagnosis device
JP2019159365A (ja) 状態変動検出装置及び状態変動検出用プログラム
CN117677831A (zh) 用于生成预测部件疲劳寿命的测试试样规范的方法和系统
JP6965123B2 (ja) データ処理装置、測定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処理用プログラム
KR101865270B1 (ko) 다양한 진동 스펙트럼 패턴에 대응 가능한 주파수 영역의 피로 손상도 계산방법
Sipkás et al. Testing accelerated life data of micro switches
JP2003084034A (ja) 電気部品テストシステムおよび電気部品テスト方法
US20210390227A1 (en) Generation method, estimation method, generator, and estimator
US20220382247A1 (en) Estimation method and estimation system
US20230070635A1 (en) Generation method, estimation method, generation device, and estimation device
Hirai et al. Application of FEM Analysis Using Loads Predicted from Strain Measurement in Motorcycle Frame Development
CN116628796B (zh) 一种复合材料桥架寿命评估方法及系统
JP6859381B2 (ja) 状態変動検出装置及び状態変動検出用プログラム
JP2018120538A (ja) 処理フロー管理装置及び処理フロー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