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281A - 용접용 장갑 - Google Patents

용접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281A
KR20190115281A KR1020180038118A KR20180038118A KR20190115281A KR 20190115281 A KR20190115281 A KR 20190115281A KR 1020180038118 A KR1020180038118 A KR 1020180038118A KR 20180038118 A KR20180038118 A KR 20180038118A KR 20190115281 A KR20190115281 A KR 20190115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yarn
welding
cotton
gl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말인
조한태
김진만
Original Assignee
백말인
김진만
조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말인, 김진만, 조한태 filed Critical 백말인
Priority to KR1020180038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5281A/ko
Publication of KR20190115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2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29Protective gloves with thermal or fire 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8Heat resistant; Fire retarda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26Electrically protective, e.g.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or electric shoc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8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 A41D2600/202W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Abstract

본 발명의 용접용 장갑은 직경이 0.06 내지 0.1 mm인 스틸 심사의 외주연에 40 내지 10수의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를 1차 연사시킨 스틸사 한올과, 20수의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를 2차 연사시킨 섬유사 3올 내지 4올을 함께 꼬아 환편직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접용 장갑{Welding Gloves}
본 발명은 용접시 발생되는 고열로부터 손을 보호할 수 있으며, 칼 등으로부터 장갑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활동성이 우수한 용접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 현장에서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손의 보호를 위하여 용접용 장갑을 착용하고 있다. 이러한 용접용 장갑은 방염 기능을 갖춘 피혁재로 제작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피혁재는 방염특성을 갖추고 있으나, 활동성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활동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장갑이 제안된 바 있다.
일례로, 국내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432612호 "삼지 용접용 장갑"이 개시되어 있는 바, 이의 구성은 앞면 벙어리단에 연장되어 측면에 날개가 형성된 앞면 식지부와, 등면 식지부가 일체로 재단된 앞면 손바닥피와, 상기 앞면 손바닥피에 결합되며, 그 측면에 날개가 형성된 반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앞면 벙어리단 상단에 재봉되는 앞면 벙어리피와, 별도 재단되며, 앞면 손바닥피와 앞면 벙어리피 상면에 봉합되는 등면 벙어리피를 포함하는 것으로, 여러 형태의 앞면 손바닥피와 여러 형태로 절단 재단된 손가락부와 앞면 벙어리피를 재봉하여 제작함으로써 재봉선의 이동과 봉합선의 제거로 손면과 손가락 사이의 배김 현상을 제거하고 용접 불똥으로부터 봉합선이 터지는 것을 방지하며 작업 중 손의 피로를 덜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고 있다.
또한, 국내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741481호 "삼지 용접용 장갑"에서는 하방에서 상방을 향해 파여진 엄지구멍을 가지는 앞면 식지단과, 상기 앞면 식지단의 측방과 상방으로부터 연장되며, 그 측면에 날개가 형성된 앞면 벙어리부를 가지는 앞면 손바닥판과, 상기 앞면 손바닥판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그 앞면 손바닥판의 측면에서 재봉되어 상기 앞면 벙어리부의 등면을 이루는 등면 벙어리부와, 상기 등면 벙어리부의 측방으로부터 연장되는 등면 식지부와, 상기 등면 식지부의 상방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등면 벙어리부가 위치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전체적으로 윗면이 볼록한 형태의 사각 형상을 가지며 그 측면에 날개가 연장되고 상기 앞면 식지단 상단과 재봉되는 앞면 식지부를 가지는 손등판을 포함하는 용접용 삼지 장갑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조선건설, 해양 플랜트 등 산업이 고도화됨으로써, 제작물인 철판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강도가 강하며, 기존의 용접과 달리 용접시 더욱 강한 고열을 발생시켜 용접해야 하기 때문에 고열에 의한 손의 뜨거움과 화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용접의 정밀도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368415호(발명의 명칭: 용접용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용접용 안전장갑은, 용접 작업시 고열로부터 손을 보호하기 위한 용접용 안전장갑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바닥과 맞닿는 하피와; 상기 하피와 재봉되고, 사용자의 손등과 맞닿는 상피와; 상기 상피의 외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과 손등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와; 상기 하피, 상피 및 보호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손목을 보호하기 위한 손목보호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상피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상기 보호부재가 접착된 상피는 상기 하피와 재봉되고, 상기 상피와 보호부재는 테두리를 따라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상피와 보호부재가 접착되고,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내측 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호부재는 파라 아라미드 직물 또는 탄소섬유 직물에 알루미늄 시트가 합포된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접용 안전장갑의 보호부재는 파라 아라미드 직물 또는 탄소섬유 직물에 알루미늄 시트가 합포된 소재를 사용하게 되므로 장갑을 착용하여 사용함에 따라 합포된 부위가 분리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갑을 환편직하여 제조함으로써 보호부재의 합포과정이 필요없고 합포된 부위의 분리가 되지 않도록 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용 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틸원사에 면사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를 이용하여 연사되도록 한 스틸사를 환편직하여 제조함으로써 방검 및 방염특성을 구비하도록 하는 용접용 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접용 장갑은, 직경이 0.06 내지 0.1 mm인 스틸 심사의 외주연에 40 내지 10수의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를 1차 연사시킨 스틸사 한올과, 20수의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를 2차 연사시킨 섬유사 3올 내지 4올을 함께 꼬아 환편직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1차 연사는 스틸 심사의 10cm 당 180 내지 300 TM이고, 2차 연사는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의 10cm 당 150 내지 200 T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용접용 장갑은, 직경이 0.06 내지 0.1 mm인 스틸 심사의 외주연에 40 내지 10수의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를 1차 연사시킨 스틸사 한올과, 20수의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를 2차 연사시킨 섬유사 3올 내지 4올을 함께 꼬아 환편직하여 형성된 장갑 외피(10); 상기 장갑 외피(10)의 내부에 삽입되고, 20수의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 3올 내지 4올을 함께 꼬아 환편직하여 형성된 장갑 내피(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1차 연사는 스틸 심사의 10cm 당 180 내지 300 TM이고, 2차 연사는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의 10cm 당 150 내지 200 T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갑 내피(20)는 배면이 테리조직(21)을 갖도록 환편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갑 내피(20)의 테리조직(21)이 상기 장갑 외피(10)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장갑 내피(20)가 상기 장갑 외피(1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갑 내피(20)는 40 내지 150D의 도전사가 더 삽입되어 환편직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용접용 장갑는 동이 갖는 특성을 이용하여 전자파 차폐, 항균 및 정전기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구리(Cu)의 원적외선 효과에 의하여 얻을 수 있는 혈액순환 및 피부노폐물 제거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용접용 장갑는 최적의 조건으로 커버링되도록 함으로써 신축성을 갖는 원단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용접용 장갑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용접용 장갑의 장갑 내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용접용 장갑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용접용 장갑은. 스틸사 한올과, 섬유사 3올 내지 4올을 함께 꼬아 환편직하여 형성된다.
이때, 장갑은 벙어리 장갑 형태로 환편직될 수 있으며, 손가락 장갑 형태로 환편직될 수 있다.
상기 스틸사는 직경이 0.06 내지 0.1 mm인 스틸 심사의 외주연에 40 내지 10수의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를 1차 연사시켜 형성된다.
스틸 심사의 외주연에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를 1차 연사시키는 섬유사가 10수 미만이 되면 장갑이 얇게 되어 열을 차단하기가 어렵고, 딱딱하게 되므로 활동성이 필요한 용접용 장갑으로는 부적합하게 된다.
스틸 심사의 외주연에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를 1차 연사시키는 섬유사가 40수를 초과하게 되면 부드러우나 장갑이 너무 두툼하게 되어 활동성이 필요한 용접용 장갑으로는 부적합하게 된다.
상기 스틸 심사에 감는 섬유사의 감는 횟수는 스틸 심사의 10cm 당 180 TM 미만으로 너무 낮으면 원단을 직조할 때 슬러브(스컴)이 발생되게 되어 원단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스틸 심사에 감는 섬유사의 감는 횟수는 스틸 심사의 10cm 당 300 TM보다 너무 높게 되면 슬러브(스컴)이 발생되게 되어 원단의 표면이 매끄럽게 되나 직조된 원단이 너무 딱딱하게 되어 활동성이 저하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스틸사의 연사가 완료되면, 별도로 20수의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를 2차 연사시켜 섬유사를 제조한다. 2차 연사시킨 섬유사 3올 내지 4올을 스틸사와 함께 꼬아 환편직하여 장갑을 완성한다.
별도로 20수의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를 2차 연사시켜 섬유사를 제조하는 이유는 장갑의 활동성을 고려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용접용 장갑은 스틸 심사가 삽입되어 환편직되므로 방검성이 우수하게 되며,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를 이용하여 환편직되므로 방염성이 우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용접용 장갑은 장갑 외피(10)와 장갑 내피(20)로 이중구조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용접용 장갑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용접용 장갑의 장갑 내피를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장갑 외피(1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용접용 장갑과 동일하게, 직경이 0.06 내지 0.1 mm인 스틸 심사의 외주연에 40 내지 10수의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를 1차 연사시킨 스틸사 한올과, 20수의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를 2차 연사시킨 섬유사 3올 내지 4올을 함께 꼬아 환편직하여 형성된다.
상기 장갑 외피(1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용접용 장갑과 마찬가지로, 벙어리 장갑 형태로 환편직될 수 있으며, 손가락 장갑 형태로 환편직될 수 있다.
상기 장갑 내피(20)는, 상기 장갑 외피(10)의 내부에 삽입되고, 20수의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 3올 내지 4올을 함께 꼬아 환편직하여 형성된다.
상기 장갑 내피(20)는 장갑 외피(10)와 동일한 형태로 벙어리 장갑 형태 또는 손가락 장갑 형태로 환편직된다.
상기 장갑 내피(20)는 배면이 테리조직(21)을 갖도록 환편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장갑 내피(20)의 테리조직(21)이 상기 장갑 외피(10)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장갑 내피(20)가 상기 장갑 외피(10)에 삽입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테리조직(21)에 의해 상기 장갑 내피(20)와 상기 장갑외피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열전도율을 낮게 하여 손의 보호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장갑 내피(20)는 40 내지 150D의 도전사가 더 삽입되어 환편직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갑 내피(20)에 도전사가 삽입되어 환편직되게 되면, 손에서 흐르는 미세전류를 장갑 내피(20)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장갑 외피(10)에는 스틸사가 구비되므로, 장갑을 낀 상태에서 미세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터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전사는 나일론과 같은 전기전도특성을 갖는 재질의 섬유사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장갑 외피
20: 장갑 내피
21: 테리조직

Claims (7)

  1. 직경이 0.06 내지 0.1 mm인 스틸 심사의 외주연에 40 내지 10수의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를 1차 연사시킨 스틸사 한올과, 20수의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를 2차 연사시킨 섬유사 3올 내지 4올을 함께 꼬아 환편직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장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연사는 스틸 심사의 10cm 당 180 내지 300 TM이고, 상기 2차 연사는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의 10cm 당 150 내지 200 T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장갑.
  3. 직경이 0.06 내지 0.1 mm인 스틸 심사의 외주연에 40 내지 10수의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를 1차 연사시킨 스틸사 한올과, 20수의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를 2차 연사시킨 섬유사 3올 내지 4올을 함께 꼬아 환편직하여 형성된 장갑 외피(10);
    상기 장갑 외피(10)의 내부에 삽입되고, 20수의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 3올 내지 4올을 함께 꼬아 환편직하여 형성된 장갑 내피(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장갑.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연사는 스틸 심사의 10cm 당 180 내지 300 TM이고, 상기 2차 연사는 면 또는 아라미드 섬유사의 10cm 당 150 내지 200 T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장갑.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 내피(20)는 배면이 테리조직(21)을 갖도록 환편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장갑.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 내피(20)의 테리조직(21)이 상기 장갑 외피(10)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장갑 내피(20)가 상기 장갑 외피(1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장갑.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 내피(20)는 40 내지 150D의 도전사가 더 삽입되어 환편직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장갑.
KR1020180038118A 2018-04-02 2018-04-02 용접용 장갑 KR20190115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118A KR20190115281A (ko) 2018-04-02 2018-04-02 용접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118A KR20190115281A (ko) 2018-04-02 2018-04-02 용접용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281A true KR20190115281A (ko) 2019-10-11

Family

ID=6821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118A KR20190115281A (ko) 2018-04-02 2018-04-02 용접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52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25784B (zh) 手套和针织手套的方法
US4384449A (en) Protective gloves and the like and a yarn with flexible core wrapped with aramid fiber
US9655393B2 (en) Layered structural fire glove
US6823699B1 (en) Fabric with reinforcing parts
JP2011511175A (ja) 耐切創性、耐油性及び耐燃性手袋及びそのための方法
KR101638483B1 (ko) 보호 장갑
CA1133654A (en) Protective gloves and the like and a yarn with flexible core wrapped with aramid fiber
AU2013360010A1 (en) Multifunctional knitted glove
EA018617B1 (ru) Защитная одежда для операций на высоковольтных проводах под напряжением
EP4015685A1 (en) High tenacity yar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love using same
KR20210117224A (ko) 금속복합사를 이용한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RU2019140374A (ru) Защитная одежда
KR20190115281A (ko) 용접용 장갑
KR100492154B1 (ko) 절단 방지용 장갑
WO2017130545A1 (ja) 強靱糸、耐切創性を備えた編織物及び手袋
JP2019194379A (ja) 強靱糸及び耐切創性を備えた編織物
KR101287377B1 (ko) 보온성이 향상된 내절단성 장갑
KR101368415B1 (ko) 용접용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JP2016223054A (ja) 耐切創性を備えた糸、編織物及び手袋
JP2017115251A (ja) 耐熱手袋
KR101310205B1 (ko) 용접용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RU2731869C2 (ru) Трикотажная перчатк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766432B1 (ko) 내열 내절단성 코팅 직조물 및 코팅 장갑
EP4362735A1 (en) Protective apparel
JP2022036605A (ja) 作業用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