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235A -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 - Google Patents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235A
KR20190115235A KR1020180038022A KR20180038022A KR20190115235A KR 20190115235 A KR20190115235 A KR 20190115235A KR 1020180038022 A KR1020180038022 A KR 1020180038022A KR 20180038022 A KR20180038022 A KR 20180038022A KR 20190115235 A KR20190115235 A KR 20190115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flange
hollow pin
brace
str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6926B1 (ko
Inventor
장남종
허나리
Original Assignee
장남종
허나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남종, 허나리 filed Critical 장남종
Priority to KR1020180038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92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흙막이 공사시에 토류벽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H-형강 사이에 설치되는 강관 버팀보 및 이들 강관 버팀보를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부의 일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강관과, 이 강관의 중심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조립되도록 각각의 관통공으로 끼워지는 중공핀과, 플랜지 및 이 플랜지의 일측면에 형성된 원통형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강관의 단부를 포함한 중공핀을 수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조인트와, 이 결속조인트의 원통형 하우징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중공핀 내로 끼워져 강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에 따라, 강관 버팀보의 시공시에 제작 오차에 따른 보상을 행할 수 있음은 물론 공사현장에서 간편하고 수월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별도의 보강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종전에 비해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토압에 의해 강관 버팀보의 연결부분에 작용하는 휨 응력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버팀보 간의 간격을 넓힐 수 있게 되므로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사 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 {Connecting Structure of Steel Pipe Strut}
본 발명은 흙막이 공사시에 토류벽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H-형강 사이에 설치되는 강관 버팀보를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이나 고가도로, 지하차도, 건축 구조물 등을 축조하기 위한 지반 굴착시에 토사(土砂)의 붕괴방지 및 변위억제를 위해 가설 흙막이 공사를 시행하게 되며, 이 경우 굴착 배면에 작용하는 토압(土壓)을 지지하기 위한 버팀보 공법이 활용된다.
이 버팀보 공법은 토류벽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띠장(Waling)을 설치한 후 서로 마주보는 띠장 사이에 다수의 강관을 배설하여 벽면에 작용하는 토압을 지지하도록 하는 방식으로서, 대개 제작 및 운송 편의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로 절단된 버팀보를 공사현장으로 반입하여 시공하게 된다.
따라서, 버팀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부속 자재를 덧대어 용접하거나 볼트 등을 체결하는 작업이 부수적으로 행해야만 하며, 이 때 연결부위의 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휨이나 전단강도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그런데, 띠장과 버팀보 사이를 용접 및 볼트 방식으로 체결하거나 이를 해체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띠장과 버팀보가 변형되어 유효 단면적, 특히 띠장으로 사용되는 H-형강의 플랜지에 대한 유효 단면적이 감소하는 결과를 유발하게 되며, 이로 인해 띠장의 회수율이 떨어져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버팀보 공법과 관련하여, 국내 공개특허 제2012-0075860호에는 사각강관 버팀보의 양단부에 대한 길이방향의 압축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좌굴현상을 차단하기 위해 사각강관 버팀보의 내부에 리브를 설치하는 기술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 등록특허 제1117546호의 경우에는 상하 대향의 체결구조를 갖는 연결보강부재를 이용하여 사각강관 버팀보를 상호 연결하고, 사각강관 버팀보와 띠장과의 사이에는 접합보강보재를 구비하여, 연결보강부재를 통해서는 설치 위치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버팀보를 적재해 놓은 상태로 상호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접합보강부재를 통해서는 사각강관 버팀보와 띠장 및 사각강관 버팀보와 잭서보트와의 체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은 주로 버팀보의 형상이나 구조를 변경하거나 보강재를 이용하여 버팀보의 좌굴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나, 실제로 가시설 구조의 안정성은 버팀보도 중요하나 띠장의 안정성, 특히 전단력에 대한 안정성이 가장 문제가 되며, 기존 H-형강의 띠장을 사용할 경우 띠장의 안정성에 한계가 있으므로 토압이 높을 경우 별도의 보강재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고 버팀보의 간격을 넓히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버팀보의 형상과 구조를 개선하는 것만으로는 시공성 및 작업성 개선에 한계가 많았고, 또 버팀보의 간격을 늘리는 것이 어려워 시공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크지 않았다.
등록특허 제0959553호(2010.05.17 등록) -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등록특허 제1289149호(2013.07.17 등록) -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및 강관 버팀보 연결장치. 등록특허 제1325331호(2013.10.29 등록) - 강관 버팀보 연결장치. 등록특허 제1708034호(2017.02.13 등록) - 다발 강관식 버팀대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버팀공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관 버팀보의 연결부위에 대한 제작 오차에 관계없이 조립작업을 현장에서 간편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관 버팀보의 연결부분에 작용하는 휨 응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에 따른 강관 버팀보의 연결부분의 강성을 강화하여 강관 버팀보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부의 일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강관과, 이 강관의 중심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조립되도록 각각의 관통공으로 끼워지는 중공핀과, 플랜지 및 이 플랜지의 일측면에 형성된 원통형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강관의 단부를 포함한 중공핀을 수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조인트와, 이 결속조인트의 원통형 하우징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중공핀 내로 끼워져 강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속조인트는 구성하는 원통형 하우징의 내경부에는 슬롯이 형성되어 강관에 장착된 중공핀의 양 끝단부를 가이드하여 조립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결속조인트의 원통형 하우징은 플랜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반구형의 제1몸체 및 이 제1몸체에 끼워져 조립되는 제2몸체로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결속조인트는 양 플랜지들을 상호 맞대어 체결하거나 또는 단일 플랜지의 양측에 원통형 하우징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들에 의해, 강관 버팀보의 시공시에 제작 오차에 따른 보상을 행할 수 있음은 물론 결속조인트를 활용하여 강관 버팀보 끼리의 조립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사현장에서 간편하고 수월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더구나, 별도의 보강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종전에 비해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른 강관 버팀보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강관 버팀보의 연결부분에 대한 강성을 강화함으로써 토압에 의해 강관 버팀보의 연결부분에 작용하는 휨 응력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좌굴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여 버팀보 간의 간격을 넓힐 수 있게 되므로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사 기간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등록특허 제1289149호의 강관 버팀보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연결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속조인트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a, 도 8b는 도 7의 결속조인트를 측면 및 정면에서 본 도면,
도 9는 강관 및 결속조인트의 조립상태 정면도,
도 10은 강관 및 결속조인트의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의 기술내용과 관련이 있는 하나의 예로서 등록특허 제1289149호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후술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강관 버팀보(10)를 연결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한쌍의 강관 버팀보(10)의 대향 단부를 연결함에 따라 마주하는 강관 버팀보(10)를 결속하게 된다.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는, 일측이 강관 버팀보(10)의 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이 강관 버팀보(10)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된 테이퍼부(110) 및 이 테이퍼부(110)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플랜지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110)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강관의 단부와 용접 등으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테이퍼부(110)는 강관 버팀보(10)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강관 버팀보(10)와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측 단면적의 크기는 강관 버팀보(10)의 단면적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재(130)는 테이퍼부(110)에 강관 버팀보(10)와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측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강관 버팀보(10)를 동일선상에 배치하고, 마주하는 양측의 강관 버팀보(10)의 단부에 구비된 플랜지부재(130)를 접합함으로써 복수개의 강관 버팀보(1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110)와 플랜지부재(130)는 강관 버팀보(10)를 연결하여 흙막이 벽체를 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재료가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강재, 알루미늄 합금, 주철 등의 금속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재(130)의 단면적 크기는 강관 버팀보(10)의 단면적 크기와 동일하거나 강관 버팀보(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관 버팀보(10)의 이음부분에 강관 버팀보(10)의 최대 외경부보다 돌출되는 부분이 없게 된다.
상기 플랜지부재(130)의 단면적의 크기는 상기 강관 버팀보(10)의 단면적을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강관 버팀보(10)의 연결부분에 작용하는 버팀 하중이 양측의 플랜지부재(130)에 전달되므로, 상기 강관 버팀보(10)의 단면적 크기 이내에서 최대한의 면적으로 제작하여 흙막이벽의 안정적인 버팀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재(130)의 형상은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나, 강관 버팀보(10)보다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강관 버팀보(10)의 형상에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강관 버팀보(10)가 원형인 경우에는 플랜지부재(130)를 원형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강관 버팀보의 연결구조는 강관 버팀보(10)에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는 테이퍼부(110)를 매개로 강관 버팀보(10)와 동일하거나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플랜지부재(130)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부재(130)가 강관 버팀보(10)보다 돌출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작업공간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강관 버팀보(10)에 테이퍼부(110)와 플랜지부재(130)가 일체로 결합되므로 복수개의 강관 버팀보(10)에 대한 연결을 해체한 후에도 별도의 관리가 필요없으며 분실의 염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테이퍼부(110)는 단면의 크기가 선형적으로 줄어들게 되므로 일측 단면에 어느 정도 응력이 집중되는지 쉽게 예측할 수 있어 테이퍼부(110) 및 플랜지부재(130)의 두께와 길이 등을 쉽게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강관 버팀보(10)가 축방향의 하중을 통해 압축력을 받으면 테이퍼부(110)와 플랜지부재(130)로 구성되는 버팀보(10)의 연결부분은 이러한 선하중을 반대편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테이퍼부(110)는 단면적 크기의 선형적 변화로 인해 응력(하중/단면적)이 선형적으로 변화하므로, 플랜지부재(130)와 접합되는 테이퍼부(110)의 단면에 어느 정도 응력이 집중되는지 쉽게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테이퍼부(110)는 강관 버팀보(10)가 연결되는 띠장(미도시)의 상태에 따라 강관 버팀보(10)에 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러한 휨모멘트의 발생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띠장의 굴곡이나 비대칭, 외력에 의해 강관 버팀보(10)에 휨모멘트가 발생할 수 있는데, 테이퍼부(110)의 일측의 단면적 크기는 강관 버팀보(10)의 단면적 크기보다 작으므로 테이퍼부(110)에 모멘트가 발생하여 강관 버팀보(10)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의 발생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플랜지부재(130)는 원판 또는 사각판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플랜지부재(130)에는 일정 간격마다 관통된 다수개의 볼트공(131)이 형성된다. 플랜지부재(130)는 접합되는 플랜지부재(130) 간의 볼트공(131)의 위치를 일치시키도록 일측면에 형성된 위치결정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위치결정수단(150)은, 어느 한 플랜지부재(130)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와, 이 돌출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마주하는 다른 플랜지부재(130)에 형성되는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2개의 상기 강관 버팀보(10)를 일직선상으로 위치시켜 상기 각각의 플랜지부재(130)를 서로 마주보게 접촉시킨 후, 플랜지부재(130) 중의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를 다른 플랜지부재(130)의 홈부에 결합하게 된다.
상기 위치결정수단(150)의 일 예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가 다각축(151)으로 형성됨에 따라 홈부는 다각축(151)이 끼워지도록 다각홈(15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는 돌기형태의 키이(155)로 이루어지며, 홈부는 키이(155)가 끼워지도록 키이(155)와 동일한 크기의 단면으로 형성된 키이홈(157)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접합되는 2개의 플랜지부재(130) 중 어느 하나는 키이(155) 만을 갖고 다른 하나는 키이홈(157) 만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결정수단(150)에 의해 마주하는 강관 버팀보(10)의 연결시 양측의 플랜지부재(130)에 형성된 볼트공(131)의 위치를 일치시키기 용이하므로 볼트공(131)에 체결볼트(132)와 너트(133)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재(130)는 볼트공(131) 둘레에 돌출 형성되어 양측의 플랜지부재(130)를 볼트 결합시 체결력을 강화시키는 체결강화판(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강화판(135)은 2개의 플랜지부재(130) 간의 볼트 체결시 체결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트공(131)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체결볼트(132)가 볼트공(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133)에 의해 압축 결합하여 2개의 플랜지부재(130)를 접합한 후, 강관 버팀보(10)에 작용하는 인장력 또는 휨모멘트 등에 의하여 2개의 플랜지부재(130) 사이에서 발생하는 들뜸현상을 방지하여 체결볼트(132)의 체결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강관 버팀보 연결장치(100)는 원형강관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각강관의 버팀보(10)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플랜지부재(130)는 사각강관의 단면 형상에 따라 사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우선 띠장에 연결되어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게 되는 2개의 강관 버팀보(10)의 단부에 테이퍼부(110)의 일측을 용접으로 접합시키고, 이 테이퍼부(110)의 타측에 플랜지부재(130)를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접합시킨다.
이 후, 2개의 강관 버팀보(10)를 일직선상으로 위치시켜 플랜지부재(130)를 마주보게 접촉시킨 후, 양측 플랜지부재(130)에 형성된 볼트공(131)의 위치를 맞춘다. 이 때 위치결정수단(150)의 돌출부와 홈부를 끼움 결합하여 볼트공(131)의 위치를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다음, 일측 플랜지부재(130)에 형성된 볼트공(131)으로 각각 체결볼트(132)를 삽입한 후, 타측에서 너트(133)를 끼워 나사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재(130)는 체결볼트(132)와 너트(133)의 나사 체결력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2개의 강관 버팀보(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플랜지부재(130)에 볼트공(131)의 주변으로 형성된 체결강화판(135)을 통하여 강관 버팀보(10)에 인장력 등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접합된 상기 플랜지부재(130)에 들뜸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에 있어서는, 강관 버팀보(10)의 단부에 테이퍼부(110) 및 이 테이퍼부(110)의 타측에 결합되는 플랜지부재(130)를 모두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제작한 상태에서 관통홀들의 중심을 맞춰 다수의 체결부재(132)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작업 자체가 매우 난해하여 시공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강관 버팀보(10)와 플랜지부재(130)의 중심이 정확하지 못하여 띠장의 굴곡이나 혹은 외력에 의해 강관 버팀보(10)에 휨 응력이 발생할 경우, 연결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높다는 단점을 가진다.
한편, 첨부된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통상 가설 흙막이 공사를 행하기 위해서는 각종 자재들을 공사현장으로 반입하여 서로 조립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일정 규격으로 절단된 강관(30)의 단부를 서로 체결하여 연결시키기 위한 결속조인트(40)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조인트(40)에는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있는 강관(30)을 포함하여 이 강관(30)의 단부에 끼워지는 중공핀(31)이 조립되어 볼트/너트 등으로 이루어진 체결부재(41a)에 의해 상호 결속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강관(30)의 단부 일측에는 서로 대향하도록 관통공(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관통공(32)으로 중공핀(31)이 끼워짐에 따라 강관(30)의 중심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중공핀(31)이 배치된다.
상기 결속조인트(40)는 플랜지(42a) 및 원통형 하우징(42b)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의 연결부분에는 강도를 증강시키기 위한 다수의 보강리브(43) 들이 형성된다. 상기 결속조인트(40)는 동일한 구조로서 플랜지(42a)를 서로 맞대어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41b)에 의해 조립하거나 혹은 플랜지(42a)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랜지(42a)를 중심으로 양측에는 원통형 하우징(42b)이 배치되어 두개의 강관(30)을 끼워 조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속조인트(40)를 구성하는 원통형 하우징(42b)에는 장공(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형 하우징(42b)의 내경부에는 슬롯(45)이 형성됨에 따라 강관(30)의 관통공(32)에 장착된 중공핀(31)이 슬롯(45)을 통해 가이드되는 것이며, 자연적으로 중공핀(31)과 장공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볼트(41)를 결속조인트(40)에 형성된 장공(44)을 통해 중공핀(31) 내로 조립하여 고정시킴으로써 강관(30)을 결속조인트(40)에 장착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 때 강관(30)이 조립되는 과정에서 중공핀(31)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작업성을 종전에 비해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강관(30)의 관통공(32)에 끼워지는 중공핀(31) 및 결속조인트(40)에 형성되는 장공(44)을 복수로 구성하여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결속조인트(40)의 원통형 하우징(42b)은 플랜지(42a)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반구형의 제1몸체(46a) 및 이 제1몸체(46a)에 끼워져 조립되는 제2몸체(46b)로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는 원통형 하우징(42b)을 구성하는 제1몸체(46a) 및 제2몸체(46b)의 분할된 부분에 각각 걸림턱(47a,47b)을 형성하여 상호 끼워맞춤에 의해 조립이 가능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제2몸체(46b)를 플랜지(46a)에 볼트(41b)로 체결함에 따라 일체형으로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원통형 하우징(42b)을 분할하여 상호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한 경우에도 제1 및 제2몸체(46a,46b) 내에 슬롯(45)을 형성하여 강관(30)의 조립시에 중공핀(31)의 양 끝단부를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공핀(31)이 강관(30)에 형성된 장공(44)과 일치된 상태에서 체결부재(41a)를 장공(44) 측에서 조립하여 중공핀(31)을 통해 체결함으로써 결속조인트(40) 내에 강관(30)을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 때 상기 체결부재(41a)의 경우 결속조인트(40)의 장공(44) 주위에 육각형상의 홈를 갖는 플랜지(48)를 형성함으로써 체결부재(41a)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로 절단된 두개의 강관(30)을 결속조인트(40)의 원통형 하우징(42b) 내로 손쉽게 장착시킬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며, 강관(30)의 양측 끝단부를 H-형강(도시생략)에 연결하는 경우에도 결속조인트(40)를 이용하여 직접 체결하거나 혹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별도의 신축부재를 개재하여 조립시킬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에 의하면, 강관 버팀보의 시공시에 제작 오차에 따른 보상을 행할 수 있음은 물론 결속조인트를 활용하여 띠장이나 강관 버팀보 끼리의 조립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사현장에서 간편하고 수월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더구나, 별도의 보강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종전에 비해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른 강관 버팀보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강관 버팀보의 연결부분에 대한 강성을 강화함으로써 토압에 의해 강관 버팀보의 연결부분에 작용하는 휨 응력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좌굴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여 버팀보 간의 간격을 넓힐 수 있게 되므로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사 기간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30: 강관 31: 중공핀
32: 관통공 40: 결속조인트
41a,41b: 체결부재 42a: 플랜지
42b: 원통형 하우징 43: 보강리브
44: 장공 45: 슬롯
46a: 제1몸체 46b: 제2몸체
47a,47b: 걸림턱 48: 플랜지

Claims (3)

  1. 단부의 일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강관(30)과,
    이 강관의 중심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조립되도록 각각의 관통공으로 끼워지는 중공핀(31)과,
    플랜지(42a) 및 이 플랜지의 일측면에 형성된 원통형 하우징(42b)으로 이루어져 강관의 단부를 포함한 중공핀을 수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조인트(40)와,
    이 결속조인트의 원통형 하우징에 형성된 장공(44)을 통해 중공핀 내로 끼워져 강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41)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속조인트는 구성하는 원통형 하우징의 내경부에는 슬롯(45)이 형성되어 강관(30)에 장착된 중공핀(31)의 양 끝단부를 가이드하여 조립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조인트(40)의 원통형 하우징(42b)은 플랜지(42a)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반구형의 제1몸체(46a) 및 이 제1몸체에 끼워져 조립되는 제2몸체(46b)로 분할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조인트(40)는 양 플랜지(42a)들을 상호 맞대어 체결하거나 또는 단일 플랜지의 양측에 원통형 하우징(42b)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
KR1020180038022A 2018-04-02 2018-04-02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 KR102066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022A KR102066926B1 (ko) 2018-04-02 2018-04-02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022A KR102066926B1 (ko) 2018-04-02 2018-04-02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235A true KR20190115235A (ko) 2019-10-11
KR102066926B1 KR102066926B1 (ko) 2020-01-16

Family

ID=6821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022A KR102066926B1 (ko) 2018-04-02 2018-04-02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9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384B1 (ko) * 2020-12-21 2021-07-06 김효정 강관 이음장치
KR200494194Y1 (ko) * 2020-12-21 2021-08-23 김효정 강관 연결장치
CN113914324A (zh) * 2021-10-26 2022-01-11 江苏东合南岩土科技股份有限公司 钢管水平支撑结构及其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561B1 (ko) * 2020-11-10 2022-12-20 석주건설(주) 삽입홈이 형성된 흙막이용 띠장 및 버팀보 연결장치
KR102262477B1 (ko) * 2020-11-20 2021-06-09 주식회사 대성기술 요철형 강관 버팀보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347A (ja) * 2001-05-14 2002-11-27 Kubota Corp 杭の継手構造
JP2005207081A (ja) * 2004-01-22 2005-08-04 Sekisui House Ltd 鋼管杭の継手構造
JP2008240383A (ja) * 2007-03-28 2008-10-09 Kubota Corp 杭の連結具およびその連結具を用いた杭
KR100959553B1 (ko) 2007-11-14 2010-05-27 (주)핸스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KR20100076388A (ko) * 2008-12-26 2010-07-06 주식회사 포스코 형상제어 강관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1247056A (ja) * 2010-05-31 2011-12-08 Tama Engineering Kk 回転圧入杭の接続部材
KR101289149B1 (ko) 2011-08-10 2013-07-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및 강관 버팀보 연결장치
KR101325331B1 (ko) 2006-12-19 2013-11-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
KR101708034B1 (ko) 2016-06-09 2017-02-17 백진명 다발 강관식 버팀대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버팀공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347A (ja) * 2001-05-14 2002-11-27 Kubota Corp 杭の継手構造
JP2005207081A (ja) * 2004-01-22 2005-08-04 Sekisui House Ltd 鋼管杭の継手構造
KR101325331B1 (ko) 2006-12-19 2013-11-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
JP2008240383A (ja) * 2007-03-28 2008-10-09 Kubota Corp 杭の連結具およびその連結具を用いた杭
KR100959553B1 (ko) 2007-11-14 2010-05-27 (주)핸스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KR20100076388A (ko) * 2008-12-26 2010-07-06 주식회사 포스코 형상제어 강관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1247056A (ja) * 2010-05-31 2011-12-08 Tama Engineering Kk 回転圧入杭の接続部材
KR101289149B1 (ko) 2011-08-10 2013-07-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및 강관 버팀보 연결장치
KR101708034B1 (ko) 2016-06-09 2017-02-17 백진명 다발 강관식 버팀대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버팀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384B1 (ko) * 2020-12-21 2021-07-06 김효정 강관 이음장치
KR200494194Y1 (ko) * 2020-12-21 2021-08-23 김효정 강관 연결장치
CN113914324A (zh) * 2021-10-26 2022-01-11 江苏东合南岩土科技股份有限公司 钢管水平支撑结构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926B1 (ko)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926B1 (ko)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
KR101117546B1 (ko) 가설 흙막이 공법용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및 접합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를 위한 연결보강부재와 접합보강부재
CN108118783B (zh) 一种钢管混凝土柱与钢梁的连接节点
KR100675985B1 (ko) 버팀보 수평수직 보강용 브레이싱
KR101357775B1 (ko) 엔드플레이트를 이용한 버팀보 연결장치
KR20050075314A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KR20120140318A (ko) 에이치 형강용 가변 스티프너 잭
KR100777212B1 (ko) 버팀보 조인트
KR101922534B1 (ko) 흙막이 시공용 각관식 2C(Two-channel) 부재
KR101289149B1 (ko)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및 강관 버팀보 연결장치
KR101337001B1 (ko) 강관 버팀보의 이음장치
KR100916546B1 (ko)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KR100581610B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KR200399887Y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KR20120104798A (ko) 버팀보 중앙연결장치
KR102178849B1 (ko) 입체형 아치구조를 활용한 버팀 보강 시스템
CN116084559A (zh) 全预制装配式混凝土框架干式拼接节点及其施工方法
KR101958768B1 (ko) 보강봉을 가지는 버팀보를 이용한 토류판 시공 구조물
KR100534079B1 (ko) 대단위 굴착공사의 버팀보 시공방법
KR20080057020A (ko) 강관 버팀보 연결 구조
KR102171986B1 (ko) 좌굴과 비틀림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 버팀보 어셈블리
KR102039928B1 (ko) 내하력과 강성이 향상된 아치형 띠장 구조체
KR101502772B1 (ko) 압축력을 받는 부재와 부재의 연결재
KR20180087701A (ko) 내진보강 cft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기존 건축물의 내진보강 공법
KR200436405Y1 (ko) 버팀보 보강용 브레이싱 서포트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