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811A - 이형질 이음매 - Google Patents

이형질 이음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811A
KR20190114811A KR1020190033908A KR20190033908A KR20190114811A KR 20190114811 A KR20190114811 A KR 20190114811A KR 1020190033908 A KR1020190033908 A KR 1020190033908A KR 20190033908 A KR20190033908 A KR 20190033908A KR 20190114811 A KR20190114811 A KR 20190114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cable
heterogeneous
insulating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 치 얀 웡
Original Assignee
진 치 얀 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 치 얀 웡 filed Critical 진 치 얀 웡
Publication of KR20190114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을 연결하며 커넥터와 절연 본체를 포함하는 이형질 이음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케이블에 연결되는 제1 조인트와 상기 제2 케이블에 연결되는 제2 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인트와 상기 제2 조인트는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절연 본체의 일부는 가압 매질을 통하여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1 조인트를 밀접하게 둘러싸므로, 상기 가압 매질은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1 조인트에 대하여 충분한 일정 압력을 인가한다.

Description

이형질 이음매{ASYMMETRIC JOINT}
본 개시는 이형질 이음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이형질 이음매는 고압 케이블을 연결한다.
옥외에서 사용되는 이형질 이음매는 전기장 제어 부재, 장력 추 및 물리적 강도를 제공하고 외부와 절연시키는 절연체를 포함한다. 대부분의 설계에서, 장력 추와 절연체 사이의 공간은 절연유로 충진된다. 유류의 가연성과 오염 때문에, 이러한 유체의 존재는 점점 단점으로 간주되고 있다. 현재 단계에서는 안전하고 환경친화적이며, 비용이 낮고 신뢰성 있는 고압 케이블 연결용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는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을 연결하는 이형질 이음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케이블의 절연 직경은 상기 제2 케이블의 절연 직경보다 작다. 상기 이형질 이음매는 절연 본체, 압착 부재 및 고압 전극관을 포함한다. 상기 압착 부재와 상기 고압 전극관은 상기 절연 본체 내에 설치된다. 상기 절연 본체는 제1 단에 설치된 제1 개구와 제2 단에 설치된 제2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압착 부재는 제1 조인트와 제2 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인트의 직경은 상기 제2 조인트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1 조인트와 상기 제2 조인트는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며 견부를 형성한다. 상기 절연 본체는 제1 통로와 제2 통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통로는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1 조인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2 통로는 상기 제2 개구와 상기 제2 조인트를 연결하며, 상기 절연 본체는 상기 제1 통로와 상기 제2 통로를 밀접하게 둘러싸 상기 제1 통로에 수용된 상기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2 통로에 수용된 상기 제2 케이블이 충분한 일정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압 전극관의 일부분은 상기 제2 조인트를 원주 방향으로 타이트하게 둘러싸고, 상기 고압 전극관의 타 일부분은 상기 절연 본체가 연장됨에 따라 상기 제1 조인트 및 상기 제1 케이블과 연결된다.
본문에서는 기타 예시적인 실시예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형질 이음매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형질 이음매의 절연 본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형질 이음매의 압착 부재의 횡단면도이다.
케이블 시스템의 발전 과정에서,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라인에는 늘 새로운 라인을 연결해야 했다. 종래 라인의 절연 직경과 새로운 라인의 절연 직경은 일반적으로 상이한데, 이러한 차이는 반도체 면적의 차이 때문일 수도 있고, 두 케이블의 절연 두께 차이 때문일 수도 있다. 따라서, 절연 직경이 상이하며 그 두께 차이 또한 큰 고전압 케이블들을 연결하는 이형질 이음매가 요구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절연 직경이 상이하고 그 두께 차이 또한 큰 고전압 케이블들을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절연 직경 차이가 작은 케이블들의 경우, 일반적인 이형질 이음매는 이형질 이음매의 확장된 공차를 이용하여 이러한 고압 케이블들을 연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절연 직경이 비교적 작은 케이블(작은 케이블로 간단히 칭함)이 필요로 하는 이형질 이음매를 선택하여 연결하는 것이다. 이 때, 작은 케이블이 받는 압력은 이형질 이음매와 접합되기에 충분하며, 절연체 직경이 비교적 큰 케이블(큰 케이블)이 받는 압력, 특히 큰 케이블의 팽창 계수는 증가하게 된다. 본 방법은 큰 케이블의 팽창 계수가 수용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을 때에만 실행 가능하다. 큰 케이블의 팽창 계수가 지나치게 큰 경우, 작은 케이블이 필요로 하는 이형질 이음매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 없다. 따라서, 고압 케이블의 절연 직경에 있어서의 차이가 본 방법의 사용을 제한한다.
그러므로 케이블의 절연 직경 차이가 매우 큰 경우, 한 가지 방법은 다수의 이형질 이음매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다수의 이형질 이음매 세그먼트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방법은 원가가 높은데, 이는 여러 가닥의 케이블, 여러 개의 이음매 및 연결 웰의 비용이 추가되었기 때문이다.
또 다른 방법은 에폭시 수지를 중심 부재로 하는 이음매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이음매는 스프링 및 응력 추를 필요로 하므로, 설치 절차가 복잡하고 어려워, 원가와 가격이 훨씬 높다. 또한, 이 방법은 전체에 한 번으로 적격성 검사를 실시할 수 없어, 신뢰성이 낮으며, 현재 시중에서도 이미 기성품 형식의 이음매로 대체되었다.
또 다른 방법은 이형질 이음매의 고압 전극 구조를 변형하는 것이다. 절연 직경이 큰 케이블에 적합한 이형질 이음매를 사용할 경우, 큰 케이블에 적합한 이형질 이음매의 고압 전극의 일부분을 남겨두고, 고압 전극의 다른 일부분은 작은 케이블에 적합한 구조로 개조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새로운 몰드의 생산을 필요로 하며, 고압 전극을 평활화하는 것 또한 어렵다.
이하에서는 후술될 예시를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며, 예시는 본 개시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일 실시예는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을 연결하는 이형질 이음매를 포함하며, 이 때, 상기 제1 케이블의 절연 직경은 상기 제2 케이블의 절연 직경보다 작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케이블의 절연 직경과 상기 제2 케이블의 절연 직경의 차이는 8mm 내지 10mm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케이블의 절연 직경과 상기 제2 케이블의 절연 직경의 차이는 적어도 8mm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형질 이음매는 절연 본체, 커넥터(또는 압착 부재라고도 칭함) 및 고압 전극관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절연 본체는 미리 제작된 것으로서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절연 본체는 실리콘 고무로 제작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절연 본체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EPDM)로 제작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압착 부재의 재료는 구리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압착 부재의 재료는 알루미늄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고압 전극관은 파이프 형태이며 압착 부재와 동일한 축을 가진다.
본 개시의 예시적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 본체는 제1 단에 설치된 제1 개구와 제2 단에 설치된 제2 개구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절연 본체의 상기 제1 단 및 상기 제2 단은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착 부재는 상기 절연 본체 내에 설치되고, 제1 조인트와 제2 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인트의 직경은 상기 제2 조인트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1 조인트와 상기 제2 조인트는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어 견부를 형성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조인트와 상기 제2 조인트는 기본적으로 원주형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조인트와 상기 제2 조인트는 동일한 축을 가진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개구, 상기 제2 개구, 상기 제1 조인트 및 상기 제2 조인트는 동일한 축을 가진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조인트와 상기 제2 조인트는 동일한 축을 가지나, 상기 제1 개구 및/또는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1 조인트와 동일한 축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조인트와 상기 제2 조인트는 동일한 축을 가지지 않지만,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1 조인트는 동일한 축을 가지며, 상기 제2 개구와 상기 제2 조인트도 동일한 축을 가진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조인트는 상기 제1 케이블의 종단과 접합되며, 상기 제2 조인트는 상기 제2 케이블의 종단과 접합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조인트는 상기 절연 본체를 관통하는 제1 개구의 상기 제1 케이블 종단과 접합되며, 상기 제2 조인트는 상기 절연 본체를 관통하는 제2 개구의 상기 제2 케이블 종단과 접합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조인트가 작은 케이블의 종단과 접합되어야 하며 상기 제2 조인트는 큰 케이블의 종단과 접합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1 조인트의 횡단면 면적은 상기 제2 조인트의 횡단면 면적보다 작고, 이로써 상기 견부가 형성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 본체는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1 조인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2 개구와 상기 제2 조인트에 연결되고, 상기 절연 본체는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2 채널을 타이트하게 둘러싸 상기 제1 채널에 수용된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채널에 수용된 상기 제2 케이블에 대하여 충분한 일정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케이블은 상기 제1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채널에 진입하고 상기 제1 조인트와 접합되며, 상기 제2 케이블은 상기 제2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채널에 진입하고 상기 제2 조인트와 접합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케이블의 절연 직경과 제1 조인트의 직경은 기본적으로 서로 동일하며, 상기 제2 케이블의 절연 직경과 제2 조인트의 직경 또한 기본적으로 서로 동일하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케이블의 절연 직경은 제1 조인트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2 케이블의 직경은 제2 조인트의 직경보다 작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압 전극관은 상기 절연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고압 전극관의 일부분은 상기 제2 접합부의 둘레를 원주 방향으로 타이트하게 둘러싸며, 상기 고압 전극관의 다른 일부분은 상기 절연 본체가 연장됨에 따라 상기 제1 조인트 및 제1 케이블과 연결 또는 접촉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고압 전극관과 상기 제1 조인트 사이의 공간은 상기 절연 본체의 연장에 의하여 충진되고 상기 견부와 접촉하게 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절연 본체는 상기 제1 케이블과 제1 조인트를 타이트하게 둘러싸 상기 제1 케이블과 제1 조인트에 충분한 일정 압력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질 이음매는 상기 절연 본체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구리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구리 하우징은 접지된 절연 구리 박스이다.
예시적으로, 구리 하우징은 상기 절연 본체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1층의 구리 패브릭 및 테이프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구리 하우징은 접지 및 절연된다.
예시적으로, 구리 패브릭은 절연성을 가지며 수분이 이형질 이음매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이형질 이음매는 제1 장력 추와 제2 장력 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장력 추와 상기 제2 장력 추는 절두형의 추 형태로서 상기 절연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장력 추는 상기 제1 개구를 둘러싸고, 상기 제2 장력 추는 상기 제2 개구를 둘러싼다.
예시적으로, 작은 케이블에 연결되는 제1 장력 추는 큰 케이블에 연결되는 제2 장력 추와 동일한 축을 가진다.
예시적으로, 작은 케이블에 연결되는 제1 장력 추는 큰 케이블에 연결되는 제2 장력 추와 동일한 축을 가지지 않는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는 대형 케이블 및 소형 케이블을 연결하는 이형질 이음매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이형질 이음매는 대형 케이블의 이형질 이음매를 기초로 하여 제조되며, 즉 대형 케이블의 이형질 이음매에 적합한 고압 전극 부분은 보존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케이블과 작은 케이블을 연결하는 이형질 이음매(101)는 절연 본체(116), 압착 부재(114) 및 고압 전극관(118)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압착 부재(114)는 원주형으로서, 상기 제1 케이블(102)에 연결되는 제1 조인트(110)와 상기 제2 케이블(104)에 연결되는 제2 조인트(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인트(110)의 직경은 상기 제2 조인트(112)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1 조인트(110)와 상기 제2 조인트(112)는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어 견부(128)를 형성한다.
예시적으로, 대형 케이블에 적합한 이형질 이음매를 보존하는 고압 전극의 일부분은 도 1에 도시된 고압 전극관(118)과 같이 압착 부재(114)의 제2 조인트(112)를 원주 방향으로 타이트하게 둘러쌀 수 있으며, 상기 제2 조인트(112)는 대형 케이블(104)의 종단과 접합되기에 적합하고, 상기 제2 조인트(112)의 직경은 상기 대형 케이블(104)의 절연 직경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질 이음매의 압착 부재(114)는 소형 케이블(102)의 종단 접합에 적합한 제1 조인트(1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인트의 직경은 상기 소형 케이블(102)의 절연 직경과 기본적으로 서로 동일하다.
예시적으로, 고압 전극관(118)은 중공의 원주체이므로, 상기 고압 전극관(118)은 상기 제1 조인트(110) 및 소형 케이블(102)의 종단과 공간을 형성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질 이음매(101) 생산 시, 상기 공간에 절연성의 가압 매질을 한 층 추가한다. 상기 가압 매질을 제조하는 것은 상기 고압 전극관(110)을 둘러싼 절연 본체(116)를 상기 견부(128)까지 연장시켜 상기 공간을 충진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압 전극관(119)의 일부분은 상기 제2 조인트(112)를 타이트하게 둘러싸고, 상기 고압 전극관(118)의 타 일부분은 상기 절연 본체(116)가 연장됨에 따라 상기 제1 조인트(110)와 연결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는 큰 케이블과 작은 케이블을 연결하는 이형질 이음매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상기 절연성의 가압 매질을 미리 제조하여야 하며, 상기 가압 매질을 생산하는 것은 고압 전극 몰드를 생산 또는 재설치하는 것에 비하여 훨씬 간단하고 저렴하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는 큰 케이블과 작은 케이블을 연결하는 이형질 이음매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몰드 측면에서는 큰 케이블에 적합한 이형질 이음매보다 부재가 하나 더 추가되지만, 가격은 커넥트 웰을 하나 증가시키거나 고압 전극을 생산하는 것에 비하여 훨씬 낮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 본체는 제1 단에 설치된 제1 개구(120)와 제2 단에 설치된 제2 개구(122)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이형질 이음매(101)는 상기 절연 본체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구리 하우징(130)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이형질 이음매(101)는 제1 장력 추(106)와 제2 장력 추(108)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장력 추(106)와 상기 제2 장력 추(108)는 상기 절연 본체(116)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장력 추(106)는 상기 제1 개구(120)를 둘러싸며, 상기 제2 장력 추(108)는 제2 개구(122)를 둘러싼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장력 추(106)는 절두형의 추 형태이며, 절두 부분의 원주는 상기 제1 개구(120)를 둘러싸고 작은 케이블(102)의 외층과 긴밀하게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2 장력 추(108)는 절두형의 추 상태이며, 절두 부분의 원주는 상기 제2 개구(122)를 둘러싸고 큰 케이블(104)의 외층과 긴밀하게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작은 케이블(102)과 큰 케이블(104)의 외층은 1층의 구리 패브릭에 의하여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인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이형질 이음매의 절연 본체(116)를 도시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이형질 이음매는 큰 케이블에 사용되는 이형질 이음매에 비하여 하나의 절연층(1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절연층(140)은 작은 케이블(도 2에는 미도시)와 반 개의 고압 전극(도 2에는 미도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절연층은 반 개의 압착 부재(도 2에는 미도시)와 반 개의 고압 전극(도 2에는 미도시) 사이에 위치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이형질 이음매의 압착 부재(114)를 도시한다. 상기 압착 부재(114)는 제1 조인트(110)와 제2 조인트(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인트(110)의 직경은 제2 조인트(112)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1 조인트(110)와 상기 제2 조인트(112)는 인접하게 설치되어 견부(128)를 형성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질 이음매는 공장에서 출하되기 전 전체적으로 고압 테스트를 거칠 수 있으므로, 상품의 질을 보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는 절연체의 직경이 상이하며 그 차이가 큰 고압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기성제품인 이형질 이음매를 사용함으로써 설치에 필요한 공정을 간소화하고 설치 시간 및 노동력을 절감하였다. 상기 방법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을 연결하는 이형질 이음매를 제공하며 상기 제1 케이블의 직경은 상기 제2 케이블의 직경보다 작은 단계, 상기 제1 케이블의 종단을 상기 절연 본체를 관통하는 제1 개구 및 상기 압착 부재의 제1 조인트와 접합하는 단계, 상기 제2 케이블의 종단을 상기 절연 본체를 관통하는 제2 개구 및 상기 압착 부재의 제2 조인트와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질 이음매의 절연층은 상기 견부와 긴밀하게 연결되어야 하므로, 상기 단계의 순서는 필수적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견부와 상기 절연층 사이에 공극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이형질 이음매의 고압 전극관이 이형질 이음매 내의 전기장을 제어하는 데에 영향을 끼쳐 이형질 이음매가 상기 하중 전압 하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게 할 수 있고, 작업 수명을 단축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케이블의 종단을 먼저 제2 개구에 삽입하고 제2 조인트와 접합한 다음, 제1 케이블의 종단을 제1 개구에 삽입하고 제1 조인트와 접합할 경우, 압착 부재를 제2 개구의 방향으로 밀어 상기 견부와 상기 절연층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케이블은 그 크기의 차이에 상관없이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질 이음매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문의 기술적 특징, 기술적 해결 방안은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재에 부여한 "제1", "제2" 등의 번호는 상기 설명한 대상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며, 그 자체로 어떠한 순서 또는 기술적 함의를 가지지는 아니한다. 본 출원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실시 방식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의 내용은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결합하여 본 개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 것으로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가 이러한 설명에만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예를 들면, 본문에 사용된 "차이가 크다"는 표현은 절연체 직경의 차이가 적어도 8mm인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본문에 사용된 "절연체 직경"이란 절연 케이블의 물리적 직경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본문에 사용된 "고압 케이블"은 36kV 또는 그 이상의 전력을 전송하는 케이블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본문에 사용된 "초고압 케이블"은 220kV 또는 그 이상의 전력을 전송하는 케이블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본문에 사용된 "중압 케이블"은 3kV 내지 36kV 또는 그 이상의 전력을 전송하는 케이블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본문에 사용된 "충분한 일정 전력"은 절연 본체에 의하여 제공되는 일종의 압축력을 가리키며, 이러한 압축력은 충분하고 일정하게 계면의 절연 강도를 유지한다.

Claims (10)

  1. 제1 케이블과 상기 제 1 케이블보다 직경이 큰 제2 케이블을 연결하는 이형질 이음매로서:
    제1 단에 설치된 제1 개구와 제2 단에 설치된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절연 본체;
    상기 절연 본체 내에 설치되며, 제1 조인트와 제2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인트의 직경은 상기 제2 조인트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1 조인트와 상기 제2 조인트는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고 견부를 형성하는 압착 부재; 및
    상기 절연 본체 내에 설치되며, 일부분은 상기 제2 조인트를 원주 방향으로 타이트하게 둘러 싸고, 타 일부분은 상기 절연 본체가 연장됨에 따라 상기 제1 조인트 및 상기 제1 케이블과 연결되는 고압 전극관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 본체는 제1 통로와 제2 통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통로는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1 조인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2 통로는 상기 제2 개구와 상기 제2 조인트를 연결하며, 상기 절연 본체는 상기 제1 통로와 상기 제2 통로를 타이트하게 둘러쌈으로써 상기 제1 통로에 수용된 상기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2 통로에 수용된 상기 제2 케이블이 일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이형질 이음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의 절연 직경과 상기 제2 케이블의 절연 직경의 차이는 적어도 8mm인 이형질 이음매.
  3. 제1 항에 있어서, 제1 장력 추와 제2 장력 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장력 추와 상기 제2 장력 추는 절삭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절연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장력 추는 상기 제1 개구를 둘러싸고, 상기 제2 장력 추는 상기 제2 개구를 둘러싸는 이형질 이음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본체는 프리캐스트인 이형질 이음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부재의 재료는 알루미늄인 이형질 이음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는 상기 제1 케이블의 종단과 접합되고, 상기 제2 조인트는 상기 제2 케이블의 종단과 접합되는 이형질 이음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본체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구리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이형질 이음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로와 상기 제2 통로는 동축이 아닌 이형질 이음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로와 상기 제2 통로는 동축인 이형질 이음매.
  10.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제1항에 따른 이형질 이음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1 케이블의 종단을 상기 절연 본체의 상기 제1 개구로 관통시켜 상기 압착 부재의 상기 제1 조인트와 접합한 다음, 상기 제2 케이블의 종단을 상기 절연 본체의 상기 제2 개구로 관통시켜 상기 압착 부재의 상기 제2 조인트와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90033908A 2018-03-29 2019-03-25 이형질 이음매 KR201901148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K18104346A HK1245006A2 (zh) 2018-03-29 2018-03-29 連接高壓電纜的過渡接頭
HK18104346.3 2018-03-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811A true KR20190114811A (ko) 2019-10-10

Family

ID=681675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908A KR20190114811A (ko) 2018-03-29 2019-03-25 이형질 이음매
KR1020190033910A KR20190114812A (ko) 2018-03-29 2019-03-25 고압 케이블을 위한 건성 옥외 종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910A KR20190114812A (ko) 2018-03-29 2019-03-25 고압 케이블을 위한 건성 옥외 종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7222772B2 (ko)
KR (2) KR20190114811A (ko)
CN (1) CN209592946U (ko)
HK (1) HK124500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810A (ko) * 2020-06-09 2021-12-16 한국전력공사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슬리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4941A (ko) * 2022-03-15 2023-09-22 대한전선 주식회사 초고압 이경 케이블 접속을 위한 이경 pmj 및 이경 고무 유니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3670B2 (ja) * 1999-10-27 2008-02-0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複合碍管及びcvケーブル乾式終端接続部
JP4621707B2 (ja) * 2007-04-26 2011-01-26 株式会社エクシム 気中終端接続部用がい管ユニット
JP4430692B2 (ja) * 2007-06-22 2010-03-10 昭和電線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ポリマー套管およびこれを用いたケーブル終端接続部
EP3139443A1 (en) * 2015-09-01 2017-03-08 Nexans Electrical high voltage cable
JP6593644B2 (ja) 2016-01-18 2019-10-23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の接続構造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DK3416253T3 (da) * 2017-06-14 2022-03-07 Nexans Overgangssamling til masseimprægneret hvdc-kab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810A (ko) * 2020-06-09 2021-12-16 한국전력공사 통합 리드선 접속용 이질금속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27047B2 (ja) 2023-02-21
HK1245006A2 (zh) 2019-06-14
CN209592946U (zh) 2019-11-05
JP2019176722A (ja) 2019-10-10
KR20190114812A (ko) 2019-10-10
JP2019176723A (ja) 2019-10-10
JP7222772B2 (ja) 202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68757B (zh) 插塞式套管和具有这样的套管的高电压设施
AU2009212879B2 (en) Apparatus for a Connection Point between Two Electrical High Voltage Cables
US10141683B2 (en) Cable fitting for connecting a high-voltage cable to a high-voltage component or another high-voltage cable
KR101107038B1 (ko) 이종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도체 슬리브 및 코로나 쉴드의 구조, 이를 포함한 프리몰드 접속함, 및 이종의 전력 케이블의 접속 방법
US11236551B2 (en) Wired pipe and method for making
KR20190114811A (ko) 이형질 이음매
JP2008278601A (ja) 気中終端接続部用がい管ユニット及び気中終端接続部
CN101577155B (zh) 拉杆装置、高压套管以及高压设备
KR102032602B1 (ko) 고-전압 피드스루
US10689917B2 (en) Simplified packer penetrator and method of installation
CN101577154A (zh) 高压套管和包括这种套管的高压设备
US2781785A (en) Radio shielding for ignition cabl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180022144A (ko) 고압송전선 접속장치
RU2264681C2 (ru) Муфта кабельного удлинителя кабельной линии погружн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CN110504092B (zh) 套管及其制造方法
CA3002675A1 (en) Wired pipe and method for making
AU2018233126B2 (en) Electrical penetrator assembly
CN101577375B (zh) 高压套管接头、高压套管及高压装置
EP4024618A1 (en) Subsea power cable with tension and continuity joint
WO2017029627A1 (en) A transition joint
JP2002191116A (ja) ケーブル接続部
RU204792U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токопровода с твердой изоляцией
KR102544900B1 (ko)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구조 및 전력케이블과 도체 인출봉의 접속장치
CN101436453A (zh) 一种用于控制合成绝缘材料中的高电场的装置
US10309991B2 (en) Cable having a decoupled shield wire and method for decoupling a shield wire of a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